KR101318663B1 - 소프트웨어가 탑재된 휴대형 저장장치 및 이를 이용한 컴퓨터 환경 변환 방법 - Google Patents

소프트웨어가 탑재된 휴대형 저장장치 및 이를 이용한 컴퓨터 환경 변환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18663B1
KR101318663B1 KR1020090085609A KR20090085609A KR101318663B1 KR 101318663 B1 KR101318663 B1 KR 101318663B1 KR 1020090085609 A KR1020090085609 A KR 1020090085609A KR 20090085609 A KR20090085609 A KR 20090085609A KR 101318663 B1 KR101318663 B1 KR 1013186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nguage
storage device
portable storage
host computer
environ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856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27501A (ko
Inventor
원성혁
황준호
이성주
윤종덕
정기모
남기선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856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18663B1/ko
Publication of KR201100275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275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186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1866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8/00Arrangements for software engineering
    • G06F8/60Software deployment
    • G06F8/65Updates
    • G06F8/654Updates using techniques specially adapted for alterable solid state memories, e.g. for EEPROM or flash memori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3/00Interconnection of, or transfer of information or other signals between, memories, input/output devices or central processing units
    • G06F13/14Handling requests for interconnection or transf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5/00Digital computers in general; Data processing equipment in general
    • G06F15/16Combinations of two or more digital computers each having at least an arithmetic unit, a program unit and a register, e.g. for a simultaneous processing of several progra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5/00Digital computers in general; Data processing equipment in general
    • G06F15/16Combinations of two or more digital computers each having at least an arithmetic unit, a program unit and a register, e.g. for a simultaneous processing of several programs
    • G06F15/161Computing infrastructure, e.g. computer clusters, blade chassis or hardware partition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Stored Programmes (AREA)
  • Information Retrieval, Db Structures And Fs Structures Therefo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용자가 익숙하지 않은 언어 기반의 컴퓨터를 사용할 경우 소프트웨어가 탑재된 휴대형 저장장치를 이용하여 간편하게 컴퓨터 환경을 사용자가 익숙한 언어 기반의 환경으로 변환할 수 있는 방법과 그 휴대형 저장장치에 관한 것이다. 호스트 컴퓨터에 휴대형 저장장치가 접속되면, 사용자가 익숙한 기준언어 정보를 포함하고 있는 호스트 컴퓨터의 환경분석기는 호스트 컴퓨터의 메모리에 로드되어 호스트 컴퓨터의 운영체제가 지원하는 사용언어를 판단한다. 사용언어가 기준언어와 일치하지 않을 경우 휴대형 저장장치의 언어변환기는 사용언어에 대응하는 언어모듈을 추출하고, 추출된 언어모듈과 함께 메모리에 로드되어 호스트 컴퓨터의 운영체제와 연동한다. 언어변환기는 운영체제가 전달하는 데이터를 언어모듈을 참조하면서 사용언어에서 기준언어로 변환한다.
휴대형 저장장치, 호스트 컴퓨터, 컴퓨터 환경, 소프트웨어, 가상환경 엔진, 환경분석기, 언어변환기, 언어모듈

Description

소프트웨어가 탑재된 휴대형 저장장치 및 이를 이용한 컴퓨터 환경 변환 방법{Portable Storage Device Having Software Therein and Method for Transforming Computer Environment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휴대형 저장장치를 이용하여 컴퓨터상에서 소프트웨어를 실행하는 기술에 관한 것으로서, 좀더 구체적으로는 사용자가 익숙하지 않은 언어 기반의 컴퓨터를 사용할 경우 소프트웨어가 탑재된 휴대형 저장장치를 이용하여 간편하게 컴퓨터 환경을 사용자가 익숙한 언어 기반의 환경으로 변환할 수 있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최근 웹의 성공을 토대로 기존의 공개 소프트웨어 제공 방식을 벗어나, 언제 어디서나 누구라도 쉽게 소프트웨어와 콘텐츠를 사용하고 제작하고 유통할 수 있는 방향으로 기술이 발전하고 있다. 여기에 소프트웨어나 콘텐츠를 특정 서버에 의한 중앙 집중적인 방식으로 관리하지 않고, 개인이 휴대형 저장장치를 통해 휴대하면서 어떠한 단말기에서도 동일한 작업 환경에서 관리할 수 있는 기술이 주목을 받고 있다.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일례로 사용자가 자신의 컴퓨터에서 문서작성용 소프트웨어를 사용하여 문서작업을 하다가 물리적인 장소의 이동을 통해 다른 컴퓨터에서 문서작업을 계속하고자 할 경우, 사용자의 컴퓨터에서 작성한 문서파일을 이동시키기 위한 저장매체로서 USB 메모리 또는 플래시 메모리 카드와 같은 휴대형 저장장치를 이용한다.
하지만 사용하고자 하는 컴퓨터에 해당 문서파일을 실행할 수 있는 소프트웨어가 설치되어 있지 않다면, 사용자는 해당 소프트웨어를 설치할 방법을 찾아야만 한다. 즉, 해당 소프트웨어의 인스톨 CD를 이용하거나 인스톨 파일을 다운로드 받아 소프트웨어를 설치하는 번거로운 과정을 거쳐야만 한다.
이러한 불편함을 해소하기 위하여, 휴대형 저장장치 자체에 소프트웨어를 탑재하고, 이를 컴퓨터에 연결하면 탑재된 소프트웨어를 컴퓨터에 설치할 필요 없이 소프트웨어가 설치된 것과 마찬가지로 필요한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이 소개되고 있다.
즉, 휴대형 저장장치가 컴퓨터에 연결되면, 휴대형 저장장치에 저장된 소프트웨어가 구동될 수 있는 가상환경이 컴퓨터에 구축된다. 이때, 컴퓨터는 휴대형 저장장치로부터 소프트웨어의 실행에 필요한 파일들을 다운로드 받아 필요한 작업을 수행하게 된다. 이후, 휴대형 저장장치가 컴퓨터로부터 분리되면, 작업 중이던 컴퓨터에 구축된 가상환경은 삭제되고, 로딩된 소프트웨어도 아울러 삭제된다.
한편, 해외여행이나 해외출장 시에 현지의 컴퓨터를 사용하게 되는 경우가 종종 발생한다. 그런데 현지 컴퓨터에서 사용되는 언어가 만약 사용자에게 익숙하지 않은 언어라면, 사용자가 그 컴퓨터를 사용하기란 여간 어려운 일이 아닐 수 없 다. 예를 들어 한글과 영어 외의 다른 언어에 익숙하지 않은 사용자가 일본이나 중국 등지에서 해당 국가의 언어로 된 컴퓨터를 사용해야 할 경우, 운영체제(OS)와 키보드 자판을 비롯하여 컴퓨터에 기본적으로 탑재되는 파일 탐색기, 웹 브라우저와 같은 응용프로그램들이 지원하는 언어가 사용자에게 익숙하지 않기 때문에 컴퓨터의 이용은 매우 제한적일 수밖에 없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전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소프트웨어가 탑재된 휴대형 저장장치를 이용하여 언어의 장벽 없이 편하게 컴퓨터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즉,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가 익숙하지 않은 언어 기반의 컴퓨터를 사용할 경우 소프트웨어가 탑재된 휴대형 저장장치를 이용하여 간편하게 컴퓨터 환경을 사용자가 익숙한 언어 기반의 환경으로 변환할 수 있는 방법과 그 휴대형 저장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휴대형 저장장치는 환경분석기 및 언어변환기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환경분석기는 기준언어 정보를 포함하며, 호스트 컴퓨터에 휴대형 저장장치가 접속되면 상기 호스트 컴퓨터의 메모리에 로드되고, 상기 호스트 컴퓨터의 운영체제가 지원하는 사용언어가 상기 기준언어와 일치하는지 판단한다. 상기 언어 변환기는 상기 사용언어가 상기 기준언어와 일치하지 않을 경우 상기 사용언어에 대응하는 언어모듈을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언어모듈과 함께 상기 메모리에 로드되어 상기 호스트 컴퓨터의 운영체제와 연동하며, 상기 운영체제에 전달된 데이터를 상기 언어모듈을 참조하면서 상기 사용언어에서 상기 기준언어로 변환한다.
상기 휴대형 저장장치에 있어서, 상기 언어변환기가 변환하는 상기 데이터는 상기 호스트 컴퓨터에 탑재된 제1 소프트웨어가 상기 메모리에 구축된 실제환경 하에서 구동되면서 발생한 데이터 및 키보드를 통해 입력된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상기 휴대형 저장장치는 가상환경 엔진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가상환경 엔진은 상기 메모리에 로드되어 가상환경을 구축하고, 상기 휴대형 저장장치에 탑재된 제2 소프트웨어가 상기 가상환경 하에서 실행되도록 한다.
이 경우, 상기 언어변환기가 변환하는 상기 데이터는 상기 제2 소프트웨어가 상기 가상환경 하에서 실행되면서 발생한 데이터 및 키보드를 통해 입력된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상기 휴대형 저장장치는 자동 실행부를 더 포함할 수 있는데, 상기 자동 실행부는 상기 호스트 컴퓨터에 상기 휴대형 저장장치가 접속될 때 상기 메모리에 자동으로 로드되어 실행되고, 상기 환경분석기와 상기 언어변환기를 상기 메모리에 로드시킨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휴대형 저장장치를 이용한 컴퓨터 환경 변환 방법은, 호스트 컴퓨터에 휴대형 저장장치가 접속되면, 기준언어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휴 대형 저장장치의 환경분석기가 상기 호스트 컴퓨터의 메모리에 로드되고, 상기 호스트 컴퓨터의 운영체제가 지원하는 사용언어가 상기 기준언어와 일치하는지 판단하는 단계; 상기 사용언어가 상기 기준언어와 일치하지 않을 경우 상기 휴대형 저장장치의 언어변환기가 상기 사용언어에 대응하는 언어모듈을 상기 휴대형 저장장치로부터 추출하는 단계; 상기 추출된 언어모듈과 함께 상기 언어변환기가 상기 메모리에 로드되어 상기 호스트 컴퓨터의 운영체제와 연동하는 단계; 상기 운영체제에 전달된 데이터를 상기 언어변환기가 상기 언어모듈을 참조하면서 상기 사용언어에서 상기 기준언어로 변환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러한 컴퓨터 환경 변환 방법에서, 상기 언어변환기가 변환하는 상기 데이터는 상기 호스트 컴퓨터에 탑재된 제1 소프트웨어가 상기 메모리에 구축된 실제환경 하에서 구동되면서 발생한 데이터 및 키보드를 통해 입력된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환경 변환 방법은, 상기 휴대형 저장장치에 저장된 가상환경 엔진이 상기 메모리에 로드되어 가상환경을 구축하는 단계; 상기 가상환경 엔진이 상기 휴대형 저장장치에 탑재된 제2 소프트웨어를 상기 메모리에 로드시켜 상기 가상환경 하에서 실행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언어변환기가 변환하는 상기 데이터는 상기 제2 소프트웨어가 상기 가상환경 하에서 실행되면서 발생한 데이터 및 키보드를 통해 입력된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환경 변환 방법은, 상기 호스트 컴퓨터에 상기 휴대형 저장장치 가 접속될 때 상기 휴대형 저장장치의 자동 실행부가 상기 메모리에 자동으로 로드되어 실행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이때 상기 환경분석기의 로드 단계 및 상기 언어변환기의 로드 단계는 상기 자동 실행부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다른 한편, 본 발명은 상기 방법들 중 하나를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가 익숙하지 않은 언어 기반의 컴퓨터를 사용할 경우, 소프트웨어가 탑재된 휴대형 저장장치를 이용하여 운영체제, 키보드 자판, 응용프로그램 등의 컴퓨터 환경을 사용자가 익숙한 언어 기반의 환경으로 간편하게 변환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어떤 언어 기반의 컴퓨터라도 불편함이나 번거로움 없이 휴대형 저장장치를 이용하여 편하게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 잘 알려져 있고 본 발명과 직접적으로 관련이 없는 기술 내용에 대해서는 가급적 설명을 생략한다. 이는 불필요한 설명을 생략함으로써 본 발명의 핵심을 흐리지 않고 더욱 명확히 전달하기 위함이다. 한편, 첨부 도면을 통틀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요소에는 동일한 참조번호를 부여한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호스트 컴퓨터와 휴대형 저장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은 휴대형 저장장치(100)가 자체적으로 소프트웨어를 탑재하고 있고 이러한 휴대형 저장장치(100)를 호스트 컴퓨터(200)에 연결하면 소프트웨어를 호스트 컴퓨터(200)에 설치할 필요 없이 소프트웨어가 설치된 것과 마찬가지로 해당 소프트웨어를 실행하여 필요한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경우에 적용된다.
휴대형 저장장치(100)는 USB 메모리(101), 플래시 메모리 카드(102), 이에 상응하는 각종 이동식, 휴대식 저장매체(예컨대, SD(Secure Digital) 메모리 카드, microSD 메모리 카드, ISO 7816 표준의 스마트 카드 등)를 통칭한다. 휴대형 저장장치(100)의 구성에 대해서는 도 2를 참조하여 후술한다.
호스트 컴퓨터(200)는 소프트웨어의 실행이 가능한 독립된 CPU를 가진 컴퓨팅 장치, 예컨대 PC, 노트북, 워크스테이션 등을 통칭한다. 호스트 컴퓨터(200)는 다수의 사용자들에 의해 접근이 자유로운 공용 컴퓨터를 포함한다. 또한, 호스트 컴퓨터(200)는 휴대형 저장장치(100)의 접속이 가능해야 한다. 호스트 컴퓨터(200)와 휴대형 저장장치(100)의 접속은 물리적 장착에 의한 접속이 일반적이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예를 들어, 지그비(Zigbee), WPAN(Wireless Personal Area Netwrok), 와이브로(Wibro) 등의 무선방식에 의한 접속도 가능하다.
이하, 휴대형 저장장치(100)의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형 저장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휴대형 저장장치(100)는 통신 인터페이스(110), I/O 어댑 터(120), 자동 실행부(130), 저장부(140), 통신 버스(1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통신 인터페이스(110)는 휴대형 저장장치(100)가 호스트 컴퓨터(200)에 접속될 때 호스트 컴퓨터(200)의 통신 인터페이스(도시되지 않음)와 데이터 통신을 수행한다.
I/O 어댑터(120)는 휴대형 저장장치(100)와 다른 장치(여기서는 호스트 컴퓨터(200)) 사이의 데이터 입출력을 제어한다.
자동 실행부(130)는 휴대형 저장장치(100)가 호스트 컴퓨터(200)에 접속될 때 호스트 컴퓨터(200)의 메모리(도 4의 220)에 자동으로 로드되어 실행되며, 저장부(140)에 저장된 초기 메뉴창(141)을 호스트 컴퓨터(200)의 메모리에 로드시켜 표시부(도 4의 230)에 출력한다. 또한, 자동 실행부(130)는 초기 메뉴창(141)을 통해 환경변환 항목이 선택되면 저장부(140)에 저장된 환경분석기(143)를 호스트 컴퓨터(200)의 메모리에 로드시키며, 호스트 컴퓨터(200)의 컴퓨터 환경이 분석되면 저장부(140)에 저장된 언어변환기(144)와 언어모듈(147)을 호스트 컴퓨터(200)의 메모리에 로드시킨다. 또한, 자동 실행부(130)는 초기 메뉴창(141)을 통해 특정 항목이 선택되면 저장부(140)에 저장된 가상환경 엔진(142)을 호스트 컴퓨터(200)의 메모리에 로드시켜 가상환경을 구축한다.
저장부(140)는 초기 메뉴창(141), 가상환경 엔진(142), 환경분석기(143), 언어변환기(144), 소프트웨어 패키지(145, SW 패키지), 프로세스 매니저(146), 언어모듈(147) 등을 저장한다.
초기 메뉴창(141)은 휴대형 저장장치(100)가 호스트 컴퓨터(200)에 접속될 때 자동 실행부(130)에 의해 호스트 컴퓨터(200)의 메모리에 로드되어 표시부에 표시된다. 초기 메뉴창(141)은 휴대형 저장장치(100)에 탑재된 소프트웨어의 목록, 휴대형 저장장치(100)에 저장된 각종 파일과 컨텐츠의 목록 및 폴더 구조, 사용자 데이터, 인증 및 보안관련 메뉴, 환경설정 메뉴, 특정 웹사이트의 바로가기 메뉴 등을 포함하며, 특히 환경변환 항목을 포함한다. 환경변환 항목은 사용자가 익숙하지 않은 언어(예컨대 일본어나 중국어) 기반의 컴퓨터 환경을 익숙한 언어(예컨대 한글) 기반의 환경으로 변환하고자 할 때 이용된다. 초기 메뉴창(141)은 다양한 형태로 설계될 수 있고 다양한 내용을 포함할 수 있다.
가상환경 엔진(142)은 호스트 컴퓨터(200)상에서 초기 메뉴창(141)을 통해 특정 항목이 선택되면 자동 실행부(130)에 의해 호스트 컴퓨터(200)의 메모리에 로드되어 가상환경을 구축한다. 이때, 특정 항목이란 호스트 컴퓨터(200)상에서 실행하고자 하는 소프트웨어, 파일, 컨텐츠 등이 될 수 있으며, 해당 소프트웨어 또는 해당 파일이나 컨텐츠 등을 실행하기 위한 소프트웨어가 호스트 컴퓨터(200)에 설치되어 있지 않은 경우이다. 즉, 가상환경 엔진(142)은 호스트 컴퓨터(200)에 설치되지 않은 소프트웨어를 이용하고자 할 경우 호스트 컴퓨터(200)상에 로드되어 가상환경을 구축하고 휴대형 저장장치(100)에 탑재된 소프트웨어가 호스트 컴퓨터(200)상에서 실행될 수 있도록 한다.
환경분석기(143)는 초기 메뉴창(141)에서 환경변환 항목이 선택될 때 자동 실행부(130)에 의해 호스트 컴퓨터(200)의 메모리에 로드되어 호스트 컴퓨터(200)의 환경을 조회하고 분석한다. 특히, 환경분석기(143)는 사용자에게 익숙한 언어 (예컨대 한글)인 기준언어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고 있고, 호스트 컴퓨터(200)의 운영체제가 지원하는 언어인 사용언어(예컨대 일본어나 중국어)가 기준언어와 일치하는지 판단한다. 사용언어가 기준언어와 일치하지 않을 경우, 환경분석기(143)는 사용언어에 대한 정보를 휴대형 저장장치(100)로 전송한다.
언어변환기(144)는 호스트 컴퓨터(200)의 사용언어에 대응하는 특정 언어모듈(도 4의 147a)을 추출하고, 추출된 특정 언어모듈(147a)과 함께 자동 실행부(130)에 의해 호스트 컴퓨터(200)의 메모리에 로드된다. 언어변환기(144)는 호스트 컴퓨터(200)의 운영체제(도 4의 210)와 연동하며, 함께 로드된 특정 언어모듈(도 4의 147a)을 참조한다.
도 4를 참조하여 후술하는 바와 같이, 언어변환기(144)는 호스트 컴퓨터(200)의 운영체제(210)에 전달된 데이터를 가로채어 그 데이터의 언어를 변환한다. 이때, 운영체제(210)에 전달된 데이터는 사용자에게 익숙하지 않은 사용언어로 되어 있고, 언어변환기(144)는 언어모듈(147a)을 참조하여 사용자에게 익숙한 기준언어로 표시부(230)에 출력할 데이터를 변환한다. 특히, 운영체제(210)에 전달된 데이터는 호스트 컴퓨터(200)에 탑재된 소프트웨어가 메모리에 구축된 실제환경 하에서 구동되면서 발생한 데이터이거나 키보드를 통해 입력된 데이터일 수 있고, 또는 휴대형 저장장치(100)에 탑재된 소프트웨어가 호스트 컴퓨터(200)의 메모리에 로드되어 가상환경 하에서 실행되면서 발생한 데이터이거나 키보드를 통해 입력된 데이터일 수 있다.
소프트웨어 패키지(145)는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를 포함한다. 소프트웨어 패키지(145)에는 예를 들어 사무용 소프트웨어, 그래픽 관련 소프트웨어, 멀티미디어 관련 소프트웨어, 인터넷 관련 소프트웨어, 게임 관련 소프트웨어, 시스템 관련 소프트웨어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패키지(145)는 파일 단위 또는 파일을 구성하는 블록 단위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소프트웨어 패키지(145)의 특정 소프트웨어(도 4의 145a)가 호스트 컴퓨터(200)의 가상환경(도 4의 260)에서 실행될 때 해당 소프트웨어는 파일 단위 또는 블록 단위로 호스트 컴퓨터(200)로 전송될 수 있다. 전송방식은 다운로드 방식 또는 스트리밍 방식이 모두 가능하다.
프로세스 매니저(146)는 소프트웨어 패키지(145)의 특정 소프트웨어(도 4의 145a)가 호스트 컴퓨터(200)에 구축된 가상환경(도 4의 260)에서 실행될 때 호스트 컴퓨터(200)로부터 특정 파일 또는 특정 블록의 요청을 수신하고, 요청된 파일 또는 블록을 소프트웨어 패키지(145)로부터 추출하여 호스트 컴퓨터(200)로 전송한다.
언어모듈(147)은 사용자가 익숙하지 않은 언어 기반의 컴퓨터 환경을 사용자가 익숙한 언어 기반의 환경으로 변환하기 위해 언어변환기(144)가 참조하는 언어별 고유 모듈이다. 즉, 호스트 컴퓨터(200)에서 실행되는 언어변환기(144)는 운영체제(210)가 보내는 데이터를 그 사용언어에 해당하는 언어모듈(147)을 참조하여 사용자에게 익숙한 기준언어로 변환하고 변환된 데이터를 표시부(230)에 출력한다. 언어모듈(147)은 컴퓨터의 운영체제가 지원하는 사용언어에 해당하는 다수의 언어모듈들을 포함하며, 추가, 삭제, 변경 등이 가능하다. 언어모듈(147)은 일례로 운영체제(210)가 참조하는 키 매핑 테이블(key mapping table)과 같은 형태로 구성될 수도 있다.
통신 버스(150)는 휴대형 저장장치(100) 내의 각 요소들간의 신호전송 경로를 제공한다.
이하, 소프트웨어가 탑재된 휴대형 저장장치를 이용한 컴퓨터 환경 변환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형 저장장치를 이용한 컴퓨터 환경 변환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2와 도 3을 참조하면, 먼저 휴대형 저장장치(100)가 호스트 컴퓨터(200)에 접속하면(S11 단계), 휴대형 저장장치(100)의 자동 실행부(130)는 호스트 컴퓨터(200)의 메모리(도 4의 220)에 자동으로 로드되어 실행된다(S12 단계).
호스트 컴퓨터(200)에 로딩된 자동 실행부(130)는 휴대형 저장장치(100)의 저장부(140)에 저장된 초기 메뉴창(141)을 호스트 컴퓨터(200)의 메모리에 로드시켜 표시부(도 4의 230)에 표시한다(S13 단계).
호스트 컴퓨터(200)가 사용자에게 익숙하지 않은 사용언어로 되어 있는 경우 사용자가 초기 메뉴창(141)을 통해 환경변환 항목을 선택하면 호스트 컴퓨터(200)는 환경변환 항목의 선택을 인식하고 이를 자동 실행부(130)에 알린다(S14 단계). 이를 위해 초기 메뉴창(141)에 포함된 항목들은 기준언어나 사용언어와 상관없이 영어로 표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자동 실행부(130)는 휴대형 저장장치(100)의 저장부(140)에 저장된 환경분석기(143)를 호스트 컴퓨터(200)의 메모리에 로드시킨다(S15 단계). 환경분석기(143) 는 사용자에게 익숙한 언어인 기준언어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고 있다. 기준언어는 미리 설정되어 있을 수도 있고, 사용자에 의한 설정 및 변경이 가능할 수도 있다.
호스트 컴퓨터(200)에 로딩된 환경분석기(143)는 호스트 컴퓨터(200)의 컴퓨터 환경을 분석하여 운영체제가 지원하는 사용언어를 판단한다(S16 단계). 특히, 이 단계에서 환경분석기(143)는 사용언어가 기준언어와 일치하는지 판단한다. 만일 사용언어가 기준언어와 일치하지 않으면(예를 들어 기준언어가 한글인데 사용언어가 일본어이면), 환경분석기(143)는 분석된 컴퓨터 환경정보, 즉 사용언어에 대한 정보를 휴대형 저장장치(100)로 전송한다(S17 단계).
환경분석기(143)로부터 호스트 컴퓨터(200)의 사용언어에 대한 정보를 수신한 휴대형 저장장치(100)의 언어변환기(144)는 사용언어에 해당하는 특정 언어모듈(도 4의 147a)을 언어모듈(147)로부터 추출한다(S18 단계).
이어서, 자동 실행부(130)는 언어변환기(144)와 추출된 특정 언어모듈을 호스트 컴퓨터(200)의 메모리에 로드시킨다(S19 단계). 메모리에 로딩된 언어변환기(144)는 호스트 컴퓨터(200)의 운영체제(도 4의 210)와 연동하여 실행되며, 함께 로딩된 특정 언어모듈(도 4의 147a)을 참조하게 된다(S20 단계). 즉, 언어변환기(144)는 운영체제(210)에 전달된 데이터를 그 사용언어에 해당하는 언어모듈(147)을 참조하여 사용자에게 익숙한 기준언어로 변환하고 변환된 데이터를 표시부(230)에 출력한다. 이와 같이, 언어변환기(144)의 실행에 의해 호스트 컴퓨터(200)의 사용언어 환경은 사용자에게 익숙한 기준언어 기반의 환경으로 변환되는 것이다. 이에 대해서는 도 4를 참조하여 뒤에서 다시 설명할 것이다.
이어서, 사용자가 초기 메뉴창(141)을 통해 특정 항목을 선택하면(S21 단계), 자동 실행부(130)는 휴대형 저장장치(100)의 저장부(140)에 저장된 가상환경 엔진(142)을 호스트 컴퓨터(200)의 메모리에 로드시킨다(S22 단계). 전술한 바와 같이, 가상환경 엔진(142)이 로딩되도록 초기 메뉴창(141)을 통해 선택되는 특정 항목이란, 호스트 컴퓨터(200) 자체에 설치되지 않은 소프트웨어 또는 그를 통해 실행되는 파일이나 컨텐츠 등을 의미한다.
가상환경 엔진(142)은 호스트 컴퓨터(200)에 로딩된 후 선택된 특정 항목과 관련된 가상환경(도 4의 260)을 호스트 컴퓨터(200)의 메모리(도 4의 220)에 구축한다(S23 단계). 이때 가상환경이란 휴대형 저장장치(100)의 소프트웨어가 호스트 컴퓨터(200)에 실제로 설치되지 않고도 마치 설치된 것처럼 실행될 수 있는 환경을 의미한다.
한편, 다른 실시예에서, 자동 실행부(130)는 호스트 컴퓨터(200)에 로드된 직후에 가상환경 엔진(142)을 호스트 컴퓨터(200)에 로드시켜 가상환경을 구축할 수도 있고, 동시에 초기 메뉴창(141)을 로드시켜 표시부 화면에 출력할 수도 있다.
가상환경이 구축되면, 가상환경 엔진(142)은 앞서 초기 메뉴창(141)을 통해 선택된 특정 항목과 관련된 소프트웨어(도 4의 145a)를 휴대형 저장장치(100)로부터 호스트 컴퓨터(200)의 메모리(도 4의 220)로 로드시키고(S24 단계), 가상환경(도 4의 260) 하에서 실행시킨다(S25 단계). 이때 호스트 컴퓨터(200)에 로딩되어 실행되는 소프트웨어는 전체 파일일 필요는 없고 실행에 필요한 최소한의 파일 또는 최소한의 블록이면 충분하다. 소프트웨어 실행 중에 추가로 필요한 파일 또는 블록은 휴대형 저장장치(100)로 요청되고, 휴대형 저장장치(100)의 프로세스 매니저(146)는 요청된 파일 또는 블록을 소프트웨어 패키지(145)로부터 추출하여 호스트 컴퓨터(200)로 전송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호스트 컴퓨터(200)의 메모리에는 언어변환기(144)가 이미 실행되고 있으므로, 소프트웨어의 실행 시에도 운영체제와 언어변환기(144)의 상호작용에 의해 사용자는 자신에게 익숙한 컴퓨터 환경으로 소프트웨어를 이용한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사용자가 익숙하지 않은 언어 기반의 컴퓨터(200)를 사용하는 경우, 소프트웨어가 탑재된 휴대형 저장장치(100)를 해당 컴퓨터(200)에 접속시켜 환경변환 항목을 선택하면, 휴대형 저장장치(100)에 탑재된 환경분석기(143)가 컴퓨터(200)에 사용된 언어를 판단하고, 언어변환기(144)가 컴퓨터 메모리에 로딩되어 운영체제, 키보드 자판, 응용프로그램 등의 컴퓨터 환경을 사용자에게 익숙한 언어 기반의 환경으로 변환시켜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이하, 컴퓨터 환경 변환에 대하여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형 저장장치를 이용한 컴퓨터 환경 변환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4 및 도 2를 참조하면, 호스트 컴퓨터(200)의 메모리(220)에는 운영체제(OS, 210)가 제공하는 실제환경(250)이 구축되며, 휴대형 저장장치(100)로부터 로딩된 가상환경 엔진(142)에 의해 가상환경(260)이 구축된다. 호스트 컴퓨터(200)에 탑재된 제1 소프트웨어(240)는 실제환경(250) 하에서 구동되고, 휴대형 저장장 치(100)로부터 제공되는 제2 소프트웨어(145a)는 가상환경(260) 하에서 구동된다. 제1 소프트웨어(240)는 예컨대 파일 탐색기, 웹 브라우저와 같은 응용프로그램들이 될 수 있고, 제2 소프트웨어(145a)는 일례로 문서작성용 응용프로그램이다.
호스트 컴퓨터(200)의 메모리(220)에는 또한 휴대형 저장장치(100)로부터 언어변환기(144)와 사용언어에 해당하는 특정 언어모듈(147a)이 로딩된다. 언어변환기(144)는 호스트 컴퓨터(200)의 운영체제(210)와 연동하여 실행되면서 언어모듈(147a)을 참조한다. 언어변환기(144)는 운영체제(210)의 일부 기능을 대체하는 형태로 운영체제(210) 내에 위치할 수도 있고, 운영체제(210) 외부에서 운영체제(210)와 연동하는 형태일 수도 있다. 후자의 경우, 언어변환기(144)는 운영체제(210)와 표시부(230) 사이에 위치할 수도 있고, 운영체제(210)와 소프트웨어(240, 145a) 사이에 위치할 수도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언어모듈(147a)은 호스트 컴퓨터(200)의 운영체제(210)가 지원하는 사용언어에 해당하는 언어모듈이다.
호스트 컴퓨터(200)의 운영체제(210)에 데이터가 전달되면, 언어변환기(144)는 운영체제(210)에 전달된 데이터를 중간에서 가로채고, 언어모듈(147a)을 참조하여 사용자에게 익숙한 기준언어로 변환한 후, 표시부(230)를 통해 출력한다.
예를 들어, 제1 소프트웨어(240)인 파일 탐색기가 실제환경(250)에서 구동되면서 발생한 데이터가 운영체제(210)에 전달되면, 언어변환기(144)는 그 데이터를 변환하여 표시부(230)에 출력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호스트 컴퓨터(200)에서 사용되는 사용언어가 아니라 자신에게 익숙한 기준언어로 파일 탐색기를 보고 이용할 수 있게 된다.
다른 예로, 제1 소프트웨어(240)인 웹 브라우저가 구동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키보드를 통해 입력하는 경우를 가정하자. 이때, 키 입력 데이터는 운영체제(210)로 전달되는데, 언어변환기(144)가 표시부(230)에 출력되기 전의 데이터를 변환하므로 사용자는 자신에게 익숙한 기준언어로 키보드 입력 결과를 볼 수 있게 된다. 즉, 키보드 자체는 한글 2벌식 자판을 지원하지 않더라도, 사용자는 마치 한글 2벌식 자판을 사용하는 것처럼 키보드를 이용할 수 있는 것이다.
또 다른 예로, 제2 소프트웨어(145a)인 문서작성용 응용프로그램이 가상환경(260)에서 실행되면서 발생한 데이터나 키보드를 통해 입력된 데이터가 운영체제(210)에 전달되면, 언어변환기(144)는 그 데이터를 변환하여 표시부(230)에 출력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자신에게 익숙한 기준언어로 키보드를 이용해 문서작성용 응용프로그램을 사용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4 및 위 설명에서는 언어변환기(144)를 통해 사용언어에서 기준언어로 변환된 데이터가 표시부(230)를 통해 출력되는 경우를 예시하였지만, 해당 데이터가 저장부에 저장되는 경우도 마찬가지로 적용된다.
지금까지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에 따른 소프트웨어가 탑재된 휴대형 저장장치 및 이를 이용한 컴퓨터 환경 변환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본 명세서와 도면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개시하였으며, 비록 특정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반적인 의미에서 사용된 것이지,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 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 형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소프트웨어가 탑재된 휴대형 저장장치 및 이를 이용한 컴퓨터 환경 변환 방법은 컴퓨터 산업 전반에 걸쳐 폭넓게 이용할 수 있으며, 특히 온-디맨드 소프트웨어 스트리밍(On-demand software streaming) 기술로 대표되는 주문형 소프트웨어 서비스에 유용하게 적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호스트 컴퓨터와 휴대형 저장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형 저장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형 저장장치를 이용한 컴퓨터 환경 변환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형 저장장치를 이용한 컴퓨터 환경 변환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설명>
100: 휴대형 저장장치 110: 통신 인터페이스
120: I/O 어댑터 130: 자동 실행부
140: 저장부 141: 초기 메뉴창
142: 가상환경 엔진 143: 환경분석기
144: 언어변환기 145: 소프트웨어 패키지
145a: 제2 소프트웨어 146: 프로세스 매니저
147: 언어모듈 147a: 특정 언어모듈
150: 통신 버스 200: 호스트 컴퓨터
210: 운영체제 220: 메모리
230: 표시부 240: 제1 소프트웨어
250: 실제환경 260: 가상환경

Claims (11)

  1. 기준언어 정보를 포함하며, 호스트 컴퓨터에 휴대형 저장장치가 접속되면 상기 호스트 컴퓨터의 메모리에 로드되고, 상기 호스트 컴퓨터의 운영체제가 지원하는 사용언어가 상기 기준언어와 일치하는지 판단하는 환경분석기;
    상기 사용언어가 상기 기준언어와 일치하지 않을 경우 상기 사용언어에 대응하는 언어모듈을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언어모듈과 함께 상기 메모리에 로드되어 상기 호스트 컴퓨터의 운영체제와 연동하며, 상기 운영체제에 전달된 데이터를 상기 언어모듈을 참조하면서 상기 사용언어에서 상기 기준언어로 변환하는 언어변환기;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형 저장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언어변환기가 변환하는 상기 데이터는 상기 호스트 컴퓨터에 탑재된 제1 소프트웨어가 상기 메모리에 구축된 실제환경 하에서 구동되면서 발생한 데이터 및 키보드를 통해 입력된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형 저장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에 로드되어 가상환경을 구축하고, 상기 휴대형 저장장치에 탑재 된 제2 소프트웨어가 상기 가상환경 하에서 실행되도록 하는 가상환경 엔진;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형 저장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언어변환기가 변환하는 상기 데이터는 상기 제2 소프트웨어가 상기 가상환경 하에서 실행되면서 발생한 데이터 및 키보드를 통해 입력된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형 저장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호스트 컴퓨터에 상기 휴대형 저장장치가 접속될 때 상기 메모리에 자동으로 로드되어 실행되고, 상기 환경분석기와 상기 언어변환기를 상기 메모리에 로드시키는 자동 실행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형 저장장치.
  6. 호스트 컴퓨터에 휴대형 저장장치가 접속되면, 기준언어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휴대형 저장장치의 환경분석기가 상기 호스트 컴퓨터의 메모리에 로드되고, 상기 호스트 컴퓨터의 운영체제가 지원하는 사용언어가 상기 기준언어와 일치하는지 판단하는 단계;
    상기 사용언어가 상기 기준언어와 일치하지 않을 경우 상기 휴대형 저장장치의 언어변환기가 상기 사용언어에 대응하는 언어모듈을 상기 휴대형 저장장치로부 터 추출하는 단계;
    상기 추출된 언어모듈과 함께 상기 언어변환기가 상기 메모리에 로드되어 상기 호스트 컴퓨터의 운영체제와 연동하는 단계;
    상기 운영체제에 전달된 데이터를 상기 언어변환기가 상기 언어모듈을 참조하면서 상기 사용언어에서 상기 기준언어로 변환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휴대형 저장장치를 이용한 컴퓨터 환경 변환 방법.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언어변환기가 변환하는 상기 데이터는 상기 호스트 컴퓨터에 탑재된 제1 소프트웨어가 상기 메모리에 구축된 실제환경 하에서 구동되면서 발생한 데이터 및 키보드를 통해 입력된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형 저장장치를 이용한 컴퓨터 환경 변환 방법.
  8.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휴대형 저장장치에 저장된 가상환경 엔진이 상기 메모리에 로드되어 가상환경을 구축하는 단계;
    상기 가상환경 엔진이 상기 휴대형 저장장치에 탑재된 제2 소프트웨어를 상기 메모리에 로드시켜 상기 가상환경 하에서 실행시키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형 저장장치를 이용한 컴퓨터 환경 변환 방법.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언어변환기가 변환하는 상기 데이터는 상기 제2 소프트웨어가 상기 가상환경 하에서 실행되면서 발생한 데이터 및 키보드를 통해 입력된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형 저장장치를 이용한 컴퓨터 환경 변환 방법.
  10.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호스트 컴퓨터에 상기 휴대형 저장장치가 접속될 때 상기 휴대형 저장장치의 자동 실행부가 상기 메모리에 자동으로 로드되어 실행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며,
    상기 환경분석기의 로드 단계 및 상기 언어변환기의 로드 단계는 상기 자동 실행부에 의해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형 저장장치를 이용한 컴퓨터 환경 변환 방법.
  11. 청구항 6 내지 청구항 10 중의 어느 하나에 기재된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KR1020090085609A 2009-09-10 2009-09-10 소프트웨어가 탑재된 휴대형 저장장치 및 이를 이용한 컴퓨터 환경 변환 방법 KR1013186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85609A KR101318663B1 (ko) 2009-09-10 2009-09-10 소프트웨어가 탑재된 휴대형 저장장치 및 이를 이용한 컴퓨터 환경 변환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85609A KR101318663B1 (ko) 2009-09-10 2009-09-10 소프트웨어가 탑재된 휴대형 저장장치 및 이를 이용한 컴퓨터 환경 변환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27501A KR20110027501A (ko) 2011-03-16
KR101318663B1 true KR101318663B1 (ko) 2013-10-16

Family

ID=439343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85609A KR101318663B1 (ko) 2009-09-10 2009-09-10 소프트웨어가 탑재된 휴대형 저장장치 및 이를 이용한 컴퓨터 환경 변환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18663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94760A (ko) * 2001-06-13 2002-12-18 삼성전자 주식회사 컴퓨터용 소프트웨어의 언어표시방법 및언어표시시스템과, 언어표시방법과 언어표시시스템이저장된 기록매체
KR20060081942A (ko) * 2005-01-11 2006-07-14 엘지전자 주식회사 다국어 지원 휴대단말기 및 시스템
KR20100043440A (ko) * 2008-10-20 2010-04-29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언어 입력기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94760A (ko) * 2001-06-13 2002-12-18 삼성전자 주식회사 컴퓨터용 소프트웨어의 언어표시방법 및언어표시시스템과, 언어표시방법과 언어표시시스템이저장된 기록매체
KR20060081942A (ko) * 2005-01-11 2006-07-14 엘지전자 주식회사 다국어 지원 휴대단말기 및 시스템
KR20100043440A (ko) * 2008-10-20 2010-04-29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언어 입력기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27501A (ko) 2011-03-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89977B1 (ko) 다중 운영체제를 지원하는 클라이언트 단말 및 다중 운영체제 지원방법
US11762634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seamlessly integrating multiple products by using a common visual modeler
CN101183360B (zh) 字符输入编辑方法
EA006814B1 (ru) Система и способ использования множества приложений
MX2015002906A (es) Generacion de codigo nativo a partir de un codigo de lenguaje intermediario para una aplicacion.
US9779106B2 (en) Application management method and device
KR20010067976A (ko) 인터넷을 이용한 컴퓨터 원격 제어 시스템 및 방법
CN103443763A (zh) 包含对重写虚拟函数的调用的支持的isa桥接
CN110674444B (zh) 一种动态网页下载的方法及终端
Kaar An introduction to Widgets with particular emphasis on Mobile Widgets
KR101318663B1 (ko) 소프트웨어가 탑재된 휴대형 저장장치 및 이를 이용한 컴퓨터 환경 변환 방법
CN106412006B (zh) 移动终端调用web应用的通信系统、方法及装置
KR20150130800A (ko) 데이터 공유 기능을 지원하는 사용자 단말 장치와 그 방법
US8898421B2 (en) Electronic device for providing self-adapting services depending on the platform of the host equipment with which it is connected
KR20080103077A (ko) 이식가능한 트랜잭션 포맷을 사용한 장치 구성 및 데이터 추출
KR100653209B1 (ko)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서버, 표준 vm 플랫폼을구동하는 통신 단말 장치,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서버의 동작 방법, 및 표준 vm 플랫폼을 구동하는 통신단말 장치의 동작 방법
KR101399016B1 (ko) 소프트웨어가 탑재된 휴대형 저장장치 및 이를 이용한 파일 패키지 저장 방법
US9489467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implifying service interface to access web service
JP5359704B2 (ja) プログラム生成システムおよびプログラム生成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生成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ならびに記録媒体
KR20080056522A (ko) 응용 프로그램 설치파일 처리 방법 및 그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
KR102317616B1 (ko) 전자 장치 및 그의 서버에 액세스하는 방법
Barth et al. Configuring Unconnected Embedded Devices with Smartphones
KR20040100495A (ko) 매스 스토리지 클래스 인터페이스 규격의 대용량 저장장치 기능과 컨텐츠 보호 기능을 지원하는 휴대용 응용기기, 이를 구비한 매스 스토리지 클래스 인터페이스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959488B1 (ko) 임베디드 시스템에서 컨텐츠 및 실행파일을 동시에전송받아 인스톨하는 방법 및 시스템
CN116016485A (zh) 文件夹下载的方法及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2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16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