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28955A - 정보 입력 장치 - Google Patents

정보 입력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28955A
KR20090028955A KR1020070094118A KR20070094118A KR20090028955A KR 20090028955 A KR20090028955 A KR 20090028955A KR 1020070094118 A KR1020070094118 A KR 1020070094118A KR 20070094118 A KR20070094118 A KR 20070094118A KR 20090028955 A KR20090028955 A KR 2009002895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bstrate
holder
information input
bracket
switch ele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941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한철
Original Assignee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941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28955A/ko
Publication of KR200900289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2895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5/00Switches with compound movement of handle or other operating part
    • H01H25/06Operating part movable both angularly and rectilinearly, the rectilinear movement being along the axis of angular movement
    • H01H25/065Operating part movable both angularly and rectilinearly, the rectilinear movement being along the axis of angular movement using separate operating parts, e.g. a push button surrounded by a rotating knob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12Movable parts; Contacts mounted thereon
    • H01H13/14Operating parts, e.g. push-butt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9/00Switches operated by an operating part which is rotatable about a longitudinal axis thereof and which is acted upon directly by a solid body external to the switch, e.g. by a hand
    • H01H19/02Details
    • H01H19/10Movable parts; Contacts mounted thereon
    • H01H19/14Operating parts, e.g. turn knob

Landscapes

  • Switches With Compound Operations (AREA)

Abstract

전자 기기용 정보 입력 장치가 개시된다. 상기 정보 입력 장치는 홀더의 테두리부측이 기판과 수직하는 꺾쇠의 일측면에 걸리므로, 홀더가 기판의 수평방향으로 유동하지 않는다. 따라서, 홀더가 기판상에서 이탈되지 않으므로, 홀더에 결합된 회전커버 등이 기판상에서 이탈되지 않는다. 그러므로, 제품의 신뢰성이 향상된다.

Description

정보 입력 장치 {INFORMATION INPUT UNIT}
도 1은 종래의 정보 입력 장치의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보 입력 장치의 일부 분해 사시도.
도 3은 도 2의 결합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10 : 기판 120 : 베이스
130 : 홀더 140 : 코깅플레이트
150 : 회전커버 160 : 지지프레임
170 : 지지부재 180 : 마그네트
본 발명은 전자 기기용 정보 입력 장치에 관한 것이다.
오늘날, 이동 통신 기기 등과 같은 전자 기기에는 사용자의 누름 조작에 의해 신호를 발생시키는 버튼 타입 정보 입력 장치와 사용자의 회전 조작에 의해 신호를 발생시키는 휠 타입 정보 입력 장치가 설치된다.
도 1은 종래의 정보 입력 장치의 단면도로서, 이를 설명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스위치소자(11a)가 설치된 기판(11)이 마련된다. 기판(11)의 하면에는 꺾쇠(13a)가 형성된 베이스(13)가 결합되고, 기판(11)의 상면측에는 홀더(15)가 결합된다.
상세히 설명하면, 꺾쇠(13a)는 기판(11)을 관통하여 기판(11)의 상측으로 돌출되고, 홀더(15)의 테두리부측에는 꺾쇠(13a)에 삽입되어 꺾쇠(13a)의 하면에 상면이 걸리는 걸림돌기(15a)가 형성된다. 꺾쇠(13a)와 걸림돌기(15a)에 의하여 홀더(15)가 기판(11)에서 이탈되지 않는 것이다.
홀더(15)에는 회전커버(21)가 회전가능하게 결합된다. 상세히 설명하면, 회전커버(21)의 내주면측에는 링형상의 지지프레임(23)이 결합되고, 회전커버(21)와 지지프레임(23)은 지지부재(25)에 의하여 일체로 형성된다. 지지프레임(23)의 외주면측은 홀더(15)의 내주면측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데, 이로인해 회전커버(21)가 홀더(15)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이다.
그리고, 회전커버(21)의 일측을 누르면, 회전커버(21)에 의하여 홀더(15)의 일측이 눌려서 스위치소자(11a)가 온(On)된다.
지지부재(25)에는 링형상의 마그네트(27)가 고정되고, 홀더(15)에는 마그네트(27)와 작용하여 코깅토크를 발생하는 코깅플레이트(Cogging Plate)(17)가 결합된다. 코깅토크에 의하여 사용자는 클릭감을 느낀다.
정보 입력 장치는 회전커버(21)를 누르면, 홀더(15)도 기판(11)측으로 눌려야 하므로, 홀더(15)는 기판(11)의 수직방향으로 소정의 유격을 가지고 있다. 그리고, 홀더(15)와 베이스(13)의 공차로 인하여, 홀더(15)는 기판(11)의 수평방향으로 도 유동한다.
이로인해, 외부에서 가해지는 충격에 의하여 홀더(15)가 기판(11)의 수평방향으로 유동하게 되면, 걸림돌기(15a)가 꺾쇠(13a)로부터 이탈되어 홀더(15)가 기판(11) 상에서 분리된다. 홀더(15)가 기판(11) 상에서 분리되면, 회전커버(21) 및 회전커버(21)에 결합된 모든 부품들이 기판(11) 상에 분리되므로, 회전커버(21)를 조작할 수 없게 된다. 따라서, 제품의 신뢰성이 저하되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정보 입력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정보 입력 장치는, 수직방향 일면에 스위치소자와 홀소자가 설치된 기판; 상기 기판의 타면에 결합되며 복수의 꺾쇠가 형성되어 상기 기판의 일면측으로 돌출된 베이스; 외주면측에 형성된 걸림돌기가 상기 기판과 대향하는 상기 꺾쇠의 일면에 걸려서 상기 기판의 일면측에 고정된 홀더; 상기 홀더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외력을 가하여 가압하면 상기 스위치소자를 눌러서 온(On)시키는 회전커버; 상기 홀더에 결합되어 상기 홀더와 일체로 회전하는 마그네트; 상기 홀더가 상기 기판의 수평방향으로 유동하는 것을 방지하는 수단을 포함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보 입력 장치 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보 입력 장치의 일부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결합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정보 입력 장치는 기판(110)을 가진다. 기판(110)의 수직방향 일면에는 기판(110)에 수직하는 가상의 수직선을 중심으로 방사상으로 복수의 스위치소자(111)와 홀소자(113) 등과 같은 부품들이 설치된다.
기판(110)의 수직방향 타면에는 베이스(120)가 결합되는데, 상기 가상의 수직선을 중심으로 베이스(120)의 동일 원주상에는 복수의 꺾쇠(121)가 형성되어, 기판(110)의 수직방향 일면측으로 돌출된다. 이때, 꺾쇠(121)는 상호 소정 간격을 가지는 한쌍으로 마련되어 기판(110)에 수직하는 수직바(122)와 수직바(122)의 상단면에 일체로 형성된 수평바(123)를 가진다.
이하, 기판(110)의 수직방향 일면을 '상면'이라 하고, 타면을 '하면'이라 한다. 또한, 다른 구성요소들에 대한 상면 및 하면도 기판(110)과 대응되게 명명한다.
기판(110)의 상면측에는 상기 가상의 수직선과 동심을 이루는 링형상의 홀더(130)가 고정된다. 홀더(130)는 외주면측에는 꺾쇠(121)의 내부에 삽입되는 걸림돌기(131)가 돌출 형성되는데, 걸림돌기(131)의 상면이 기판(110)의 상면과 대향하는 수평바(123)의 하면에 걸리므로 인하여 기판(110)에 고정된다.
홀더(130)의 하면에는 자성체의 코깅플레이트(Cogging Plate)(140)가 복수개 결합되는데, 코깅플레이트(140)는 후술할 마그네트(180)와 작용하여 코깅토크를 발 생한다.
홀더(130)의 상면측에는 홀더(130)와 동심을 이루는 링형상의 회전커버(150)가 회전가능하게 결합된다.
회전커버(150)의 회전구조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회전커버(150)의 하면 내주면측에는 지지프레임(160)이 결합되고, 회전커버(150)와 지지프레임(160)은 사출되는 지지부재(170)와 일체로 형성된다. 그리고, 지지프레임(160)의 외주면측이 홀더(130)의 내주면측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회전커버(150)가 홀더(130) 상에서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지지부재(170)의 하면에는 복수의 극을 가진 링형상의 마그네트(180)가 고정되어 코깅플레이트(140)와 대향한다. 회전커버(150)를 회전시키면, 회전커버(150)와 함께 회전하는 마그네트(180)와 홀더(130)에 고정된 코깅플레이트(140)에 의하여 코깅토크가 발생하고, 사용자는 코깅토크로 인해 클릭감을 느낀다.
회전커버(150)의 회전에 의하여 마그네트(180)가 회전하면, 홀소자(113)가 마그네트(180)의 자속 변화를 검출하여 회전커버(150)의 회전방향 및 회전량 등을 검출한다. 그러면, 기판(110)과 연결된 제품의 제어회로에서 회전커버(150)의 회전방향과 회전량에 따라, 상기 제품의 표시부에서 스크롤 바가 이동하여 소망하는 테이타를 명시한다. 그리고, 회전커버(150)의 누름에 의해 스위치소자(111)가 온(On) 하고, 스위치소자(111)의 신호가 상기 제어회로에 출력되어 입력된 스크롤의 방향 및 스크롤의 량이 확정되는 것이다.
회전커버(150)를 기판(110)측으로 가압하면 스위치소자(111)가 온 되는데, 회전커버(150)와 기판(110) 사이에는 홀더(130)가 설치되어 있다. 그러므로, 회전커버(150)의 누름에 의하여 홀더(130)가 기판(110)측으로 눌려야 스위치소자(111)가 온 된다. 따라서, 회전커버(150)에 의하여 홀더(130)가 기판(110)측으로 눌릴 수 있도록 홀더(130)는 기판(110)의 수직방향으로 유격을 가지고 있다.
또한, 홀더(130)와 베이스(120)의 꺾쇠(121)의 공차로 인하여, 홀더(130)는 기판(110)의 수평방향으로도 유동한다. 이때, 외부에서 가해지는 충격에 의하여 홀더(130)가 기판(110)의 수평방향으로 유동하게 되면, 걸림돌기(131)가 꺾쇠(121)로부터 이탈되어 홀더(130)가 기판(110) 상에서 분리될 수 있다.
홀더(130)가 기판(110) 상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정보 입력 장치에는 홀더(130)가 기판(110)의 수평방향으로 유동하는 것을 방지하는 수단이 마련된다.
상기 수단은 걸림돌기(131)의 상면에 형성되며 기판(110)과 수직하는 수평바(123)의 측면과 접촉하는 접촉돌기(135)로 마련된다. 이때, 접촉돌기(135)는 기판(110)과 수직하는 수평바(123)의 외측면과 내측면중 어느 하나의 측면과 접촉해도 되고, 외측면 및 내측면에 동시에 접촉해도 된다. 그러므로, 홀더(130)가 기판(110)의 수평방향으로 유동하지 않는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홀더(130)는 기판(110)의 수직방향으로 유격을 가지고 있다. 그리고, 꺾쇠(121)와 꺾쇠(121) 사이에 스위치소자(111)가 위치되므로, 스위치소자(111)를 온 시키기 위하여 눌리는 회전커버(150) 및 홀더(130)의 부위는 꺾쇠(121)와 꺾쇠(121) 사이에 위치되는 부위이다. 그러나, 홀더(130)가 기판(110)측 으로 눌린 후 최초의 상태로 복귀될 때, 접촉돌기(135)의 상단면이 꺾쇠(121)의 하면에 걸리면, 홀더(130)가 최초의 상태로 복귀되지 못하므로, 접촉돌기(135)의 상단면(上端面)은 수평바(123)의 상면 상측으로 소정 높이 돌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미설명부호 190은 투명창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정보 입력 장치는 홀더의 테두리부측이 기판과 수직하는 꺾쇠의 일측면에 걸리므로, 홀더가 기판의 수평방향으로 유동하지 않는다. 따라서, 홀더가 기판상에서 이탈되지 않으므로, 홀더에 결합된 회전커버 등이 기판상에서 이탈되지 않는다. 그러므로, 제품의 신뢰성이 향상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본 발명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변경 및 변형한 것도 본 발명에 속함은 당연하다.

Claims (4)

  1. 수직방향 일면에 스위치소자와 홀소자가 설치된 기판;
    상기 기판의 타면에 결합되며 복수의 꺾쇠가 형성되어 상기 기판의 일면측으로 돌출된 베이스;
    외주면측에 형성된 걸림돌기가 상기 기판과 대향하는 상기 꺾쇠의 일면에 걸려서 상기 기판의 일면측에 고정된 홀더;
    상기 홀더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외력을 가하여 가압하면 상기 스위치소자를 눌러서 온(On)시키는 회전커버;
    상기 홀더에 결합되어 상기 홀더와 일체로 회전하는 마그네트;
    상기 홀더가 상기 기판의 수평방향으로 유동하는 것을 방지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정보 입력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단은 상기 걸림돌기에 형성되며 상기 기판과 수직하는 상기 꺾쇠의 양측면중 적어도 일측면과 접촉하는 접촉돌기인 정보 입력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돌기는 상기 꺾쇠의 타면 상측으로 돌출된 정보 입력 장치.
  4.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꺾쇠는 상호 대향하는 한쌍으로 마련되어 상기 기판에 수직하는 수직바와 상기 수직바의 단부에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기판과 수평하는 수평바를 가지고,
    상기 기판에 수직하는 상기 수평바의 측면에 상기 접촉돌기가 접촉하는 정보 입력 장치.
KR1020070094118A 2007-09-17 2007-09-17 정보 입력 장치 KR2009002895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94118A KR20090028955A (ko) 2007-09-17 2007-09-17 정보 입력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94118A KR20090028955A (ko) 2007-09-17 2007-09-17 정보 입력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28955A true KR20090028955A (ko) 2009-03-20

Family

ID=406958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94118A KR20090028955A (ko) 2007-09-17 2007-09-17 정보 입력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028955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206112A (zh) * 2016-12-16 2018-06-26 华为机器有限公司 一种按键组件、键盘及移动终端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206112A (zh) * 2016-12-16 2018-06-26 华为机器有限公司 一种按键组件、键盘及移动终端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978413B2 (ja) 回転操作部品及びこれを用いた入力装置
JP6443762B2 (ja) 情報処理装置及びベース部材
JP2011096183A (ja) タッチパネルの保持構造
JP2006286458A (ja) 操作入力装置およびそれを用いた電子機器
JP2006285743A (ja) 操作入力装置およびこれを用いた電子機器
KR20090028955A (ko) 정보 입력 장치
KR100786441B1 (ko) 정보 입력 장치 및 이것을 이용한 전자 기기
KR20090003578U (ko) 정보 입력 장치
JP2011210078A (ja) 入力装置
KR20090023865A (ko) 정보 입력 장치
KR20090026479A (ko) 정보 입력 장치
KR20090026476A (ko) 정보 입력 장치
KR20090023866A (ko) 정보 입력 장치
KR20090023867A (ko) 정보 입력 장치
KR20100022343A (ko) 정보 입력 장치
JP5098774B2 (ja) 入力装置
KR20090026471A (ko) 정보 입력 장치
KR20090012815U (ko) 정보 입력 장치
JP6488942B2 (ja) 情報入力装置
KR101551632B1 (ko) 정보 입력 장치
KR20090029460A (ko) 정보 입력 장치
JP2010073554A (ja) 情報入力装置
KR20090035847A (ko) 정보 입력 장치
KR100983145B1 (ko) 회전형 정보입력장치
KR20090037596A (ko) 정보 입력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