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28823A - 내이액의 원격 감지 및 작동 - Google Patents

내이액의 원격 감지 및 작동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28823A
KR20090028823A KR1020097002563A KR20097002563A KR20090028823A KR 20090028823 A KR20090028823 A KR 20090028823A KR 1020097002563 A KR1020097002563 A KR 1020097002563A KR 20097002563 A KR20097002563 A KR 20097002563A KR 20090028823 A KR20090028823 A KR 2009002882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ner ear
fluid
communication
communication system
cathe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70025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85795B1 (ko
Inventor
클로드 졸리
Original Assignee
메드-엘 엘렉트로메디지니쉐 게라에테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메드-엘 엘렉트로메디지니쉐 게라에테 게엠베하 filed Critical 메드-엘 엘렉트로메디지니쉐 게라에테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0900288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2882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857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857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02Details
    • A61N1/04Electrodes
    • A61N1/05Electrodes for implantation or insertion into the body, e.g. heart electrode
    • A61N1/0526Head electrodes
    • A61N1/0541Cochlear electro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1/00Methods or devices for treatment of the ears or hearing sense; Non-electric hearing aids; Methods or devices for enabling ear patients to achieve auditory perception through physiological senses other than hearing sense; Protective devices for the ears, carried on the body or in the hand
    • A61F11/04Methods or devices for enabling ear patients to achieve auditory perception through physiological senses other than hearing sense, e.g. through the touch sens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1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 A61N1/32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 A61N1/36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for stimulation
    • A61N1/36036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for stimulation of the outer, middle or inner ea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1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 A61N1/32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 A61N1/36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for stimulation
    • A61N1/36036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for stimulation of the outer, middle or inner ear
    • A61N1/36038Cochlear stimul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5/00Deaf-aid sets, i.e. electro-acoustic or electro-mechanical hearing aids; Electric tinnitus maskers providing an auditory perception
    • H04R25/60Mounting or interconnection of hearing aid parts, e.g. inside tips, housings or to ossicles
    • H04R25/604Mounting or interconnection of hearing aid parts, e.g. inside tips, housings or to ossicles of acoustic or vibrational transducers
    • H04R25/606Mounting or interconnection of hearing aid parts, e.g. inside tips, housings or to ossicles of acoustic or vibrational transducers acting directly on the eardrum, the ossicles or the skull, e.g. mastoid, tooth, maxillary or mandibular bone, or mechanically stimulating the cochlea, e.g. at the oval window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20/00Details of connection covered by H04R, not provided for in its groups
    • H04R2420/07Applications of wireless loudspeakers or wireless microphon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tolaryng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Neurosurgery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ardiology (AREA)
  • Physiology (AREA)
  • Neurology (AREA)
  • Biophysics (AREA)
  • Psych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Prostheses (AREA)
  • External Artificial Organs (AREA)
  • Details Of Audible-Bandwidth Transducers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내이와 연통하기 위한 시스템이 기술된다. 음향 변환기는 전기 에너지와 기계 에너지 사이를 변환한다. 내이 카테터(202)는 내이액과 진동 연통되는 말단부, 음향 변환기와 진동 연통되는 기단부 및 말단부와 기단부 사이의 진동 신호를 결합하기 위한 카테터 유체로 충전된 루멘을 갖는다.
내이액, 음향 변환기, 카테터 유체, 루멘, 전자 모듈, 전극 어레이.

Description

내이액의 원격 감지 및 작동{REMOTE SENSING AND ACTUATION OF FLUID OF INNER EAR}
본 출원은 그 내용이 본 출원에 참조로서 포함되는 2006년 7월 17일자로 출원된 미국 특허 가출원 제 60/831,351호의 우선권의 이익을 주장한다.
본 발명은 이식 가능한 기기에 관한 것이며, 보다 구체적으로는 내이에 대한 기계 및 전기 자극과 유체 이송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정상인의 귀의 해부도이다. 정상적인 귀는 소리를 외이(101)를 통해 고막(eardrum:102)으로 전달하고, 중이(103)의 세 개의 뼈를 움직이며, 이어서 와우(104)를 자극한다. 와우(104) 또는 내이는 전정계(105)로 공지된 상부 채널 및 고실계(106)로 공지된 하부 채널을 포함하며, 이들은 와우관(107)에 의해 연결된다. 수신된 소리에 응답하여, 중이(103)의 뼈인 등골은 난원창(fenestra ovalis, oval window:114)을 거쳐 와우(104)의 외림프(내이액)에 진동을 전달한다. 내이액의 진동은 정원창(fenestra rotunda, round window:115)의 외부로 분산된다. 그 결과, 와우 신경(113)에 전달되며 궁극적으로는 뇌에 전달되는 전기-화학 펄스를 기동시키기 위하여 코르티 기관의 유모 세포들이 자극된다.
몇몇 환자들은 환경적 소음에 대한 장기간의 노출, 선천적인 결함, 질병 또 는 병에 의한 손상, 아미노글리코사이드(aminoglycosides) 등의 특정 약물의 사용 또는 신체적 외상을 포함하는 이유로 부분적으로 또는 완전히 손상된 청력을 가질 수 있다. 청력 손상은 전음성, 감각 신경성 또는 조합성 형태일 수 있다.
부분적인 또는 완전한 청각을 회복시킬 수 있는 중이 임플란트 및 내이 임플란트의 몇 가지 형태가 있다. 임플란트는 작동기, 센서 및/또는 스위치로서 기능할 수 있는 다양한 전자기 변환기를 종종 포함한다. 전자기 작동기를 구비한 임플란트의 일 예는 고막을 난원창에 기계적으로 연결하는 중이의 세 개의 뼈인 소골 연쇄(ossicular chain)를 기계적으로 구동시키는 중이 임플란트이다. 전자기 작동기를 구비한 다른 예는 고막(tympanic membrane)을 기계적으로 구동시키는 중이 임플란트이다.
임플란트의 또 다른 형태는 내이의 신경의 직접적인 전기 자극에 의존한다. 예컨대, 내부 와우 전극은 전극 접촉 부근의 신경 조직의 직접적인 전기 자극에 의해 약간의 청각을 회복할 수 있다. 이 전극들은 대개 와우 내에 나사 결합된 전극 캐리어의 단부 상에 위치된다. 예컨대, 전극은, 이식 전극이 와우 신경을 자극하는 전기 자극 신호를 생성하는 외부 신호 프로세서와 연통되는 이식 신호 프로세서에 연결된다.
임의의 내이 질환을 치료하기 위하여, 치료 작용제를 와우 내로 직접적으로 이송하는 것이 종종 필요하다. 치료 작용제를 내이로 이송하기 위한 시스템의 일 예는 정원창을 거쳐 와우 내로 삽입되는 카테터이다. 카테터의 단부는 내이액 내로 방출되는 치료 작용제가 주입될 수 있다. 카테터는 또한 내이액과 유체 연통되 는 치료 작용제 용액을 구비한 유체 저장통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르게는, 카테터는 내이액과 유체 연통되는 치료 작용제 용액을 포함하는 유체 충전 루멘(fluid filled lumen)을 포함할 수 있다. 와우로의 치료 작용제의 이송은 그 내용이 본 명세서에 참조로서 포함되는 2006년 3월 13일자로 출원된 미국 특허 출원 제 11/374,505호에 더 기술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내이와 연통하기 위한 시스템은 전기 에너지와 기계 에너지 사이를 변환시키는 음향 변환기를 포함한다. 내이 카테터는 내이액과 진동 연통되는 말단부, 음향 변환기와 진동 연통되는 기단부 및 말단부와 기단부 사이의 진동 신호를 결합시키기 위한 카테터 유체로 충전된 루멘을 갖는다.
이러한 다른 실시예에서는, 또한 내이 카테터의 기단부와 진동 연통되는 하우징 유체로 충전되며 음향 변환기를 수납하는 하우징 챔버도 있을 수 있다. 예컨대, 음향 변환기는 플로팅 매스 변환기(floating mass transducer)일 수 있다.
루멘의 말단부는 내이액과 유체 연통될 수 있고, 루멘의 기단부는 하우징 유체와 유체 연통될 수 있으며, 하우징은 내이로 이송하기 위한 치료 유체를 수용하는 유체 포트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하우징 챔버는 카테터의 기단부와 진동 연통되는 하우징 유체로 충전될 수 있으며 하우징 유체와 진동 연통되는 외부 하우징 멤브레인을 포함할 수 있다. 음향 변환기는 외부 하우징 멤브레인과 진동 연통되는 하우징 챔버 외부에 위치될 수 있다.
이러한 일 실시예에서, 루멘의 말단부는 내이액과 유체 연통될 수 있고, 루멘의 기단부는 하우징 유체와 유체 연통될 수 있으며, 하우징은 내이로 이송하기 위한 치료 유체를 수용하는 유체 포트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들은 청각 구조와 관련된 유체 역학을 감지하기 위한 하우징 멤브레인에 결합된 마이크를 포함할 수 있다. 루멘의 말단부는 내이액과 유체 연통될 수 있다. 루멘은 내이로 이송하기 위한 치료 유체를 수용하는 유체 포트를 포함할 수 있다. 루멘의 말단부는 내이액과 진동 연통되는 말단 멤브레인을 포함할 수 있다.
음향 변환기는 사용자의 외이, 중이 또는 내이에 사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리고/또는 사용자의 두개골에 고정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내이 카테터의 말단부는 사용자의 고실계 내에 사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전술한 임의의 실시예들은 또한 내이에 대한 전기 자극 신호를 생성하기 위한 전자 모듈을 포함할 수 있으며, 전기 자극 신호로 내이의 신경 조직을 자극시키기 위해 전자 모듈과 전기 연통되는 전극 어레이를 내이 카테터의 말단부에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전술한 실시예들은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하기의 상세한 설명을 참조함으로써 보다 쉽게 이해될 것이다.
도 1은 정상인의 귀의 구조를 도시한다.
도 2A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도식도이다.
도 2B는 본 발명의 카테터의 절결도이다.
도 3은 하우징 챔버 내에 수납된 변환기를 도시하는 도식도이다.
도 4는 멤브레인과 접촉하는 변환기와 함께, 외부 멤브레인을 갖는 하우징 챔버를 도시하는 도식도이다.
도 5는 와우 내에 나사 결합된 카테터를 도시하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회화도이다.
도 6은 와우 내에 이식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구비한 정상인의 귀의 구조이다.
과거에, 내이 감지 기기 및 증폭기는 내이의 구조에 실행 가능한한 가장 근접하게 보내어졌다. 그러나 이러한 접근은 많은 문제들을 가지며 실제로 실행하기 어려웠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내이와 시스템 기기 사이에 유체 연통을 형성하기 위해 카테터를 사용함으로써 후방 내부에 직접적으로 인접하지 않은, 보다 넓고 접근 가능한 위치에 기기 구조물을 사용자에 배치한다. 카테터는 예컨대, 포트 및/또는 중격 멤브레인(septum membrane)에 의해 진동 전달 액체로 충전될 수 있다. 카테터의 말단부는 내이를 관통하며 기단부는 음향 변환기에 결합된다. 카테터 내부에 유체를 수납하는 것은 누수를 방지하고 박테리아 오염을 막기 위해 내이액으로부터 격리시키면서 내이로의 편리한 기계적 접근을 제공한다. 카테터는 멤브레인을 가로질러 내이액 내로 이동하도록 구성된 치료 약제를 사용함으로써 약리적 접근을 제공하기 위하여 말단부에 반투과성 멤브레인을 포함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카테터의 기단부는 또한 치료 약제가 카테터 유체 내에 도입되게 하는 자가-밀봉 반투과성(semi-permeable) 중격 멤브레인에 결합될 수 있다. 예컨대, 기단부 멤브레인은 카테터 유체의 감지 또는 작동을 위한 꼭지 공동(mastoid cavity) 또는 중이 내에 위치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멤브레인은 또한 중이 및/또는 내이의 청각 구조와 관련된 유체 역학을 감지하는 마이크에 유용하게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이식된 인공 시스템과 내이액 사이에 박테리아 저항성 경계부 및 안전하고 편리한 누수 방지를 제공한다.
도 2A는 변환기-카테터 구성을 도시하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도식도이다. 도 2B는 내이 카테터의 일부의 절결 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에서, 음향 변환기(200)는 내이 카테터(202)의 기단부에 연결된다. 배선(204)은 음향 변환기(200)를 외부 회로 소자에 연결할 수 있다. 유체 포트(206)는 내이 카테터(202) 내부의 카테터 루멘(210)으로의 접근을 제공한다. 내이 카테터(202)는 또한 카테터의 길이를 따라 진행하는 전극 와이어(214)를 포함할 수 있다. 음향 변환기(200)는 전기 에너지를 기계적 진동으로, 그리고 그 반대로도 변환한다. 예컨대, 음향 변환기(200)는 인간 청각 범위 내에서 진동을 생성할 수 있다. 카테터 루멘(210)은 [예컨대, 중격 포트(206)를 거쳐] 카테터 유체(212)로 충전될 수 있으며, 카테터 유체는 음향 변환기(200)에 의해 발생된 진동을 내이액으로 전달할 수 있다. 음향 변환기(200)에 의해 발생된 진동이 카테터 유체(212) 내로 전달되도록 음향 변환기(200)는 내이 카테터(202)의 기단부에 연결된다. 충분하고 적절한 양의 기계 에너지가 음향 변환기에 의해 발생되어 카테터 유체(212)에 의해 카테터의 말단부에 전달되고 내이에 의해 소리로서 탐지되기 위하여 내이액 내로 전달되도록 음향 변환기(200), 카테터 루멘(210) 및 카테터 유체(212) 사이에 협력이 존재한다. 다르게는,등골 이동에 의해 내이 내부에 발생되는 유체 이동은 카테터 유체(212)를 통해 전달될 수 있으며, 음향 변환기(200)와 관련된 민감성 멤브레인(예컨대, 마이크 다이어프램)에 의해 탐지될 수 있다.
카테터 루멘(210)이 내이액에 대해 개방될 때, 카테터 유체(212)는 생리 식염수 또는 인공 림프일 수 있다. 내이 카테터(202)의 말단부가 중간계 내에 위치되는 경우, 카테터 유체(212)는 유용하게 인공 내림프가 될 수 있다. 카테터 유체(212)는 기계적 에너지 전달을 용이하게 하거나 강화하는 어떠한 액체도 될 수 있다. 내이 카테터(202)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와우 임플란트 전극을 통한 채널의 형태가 될 수 있다. 또는 내이 카테터(202)는 와우 임플란트 전극과 평행한 분리 카테터일 수 있다. 최소한의 에너지 손실로 유체(212)를 통하여 전달하도록 최적화시키기 위해 내이 카테터(202)는 압축할 수 없는 재료로 만들어질 수 있다. 내이 카테터(200)의 말단부와 기단부 사이에서 카테터 유체의 기계적 이동의 전달을 최대화하기 위하여 카테터 유체(212)의 체적은 유용하게 최소화될 수 있다.
카테터 루멘(210)은 내이액에 대해 개방식 단부일 수 있거나, 박테리아 필터와 같은 민감성 멤브레인에 의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폐쇄될 수 있다. 멤브레인은 또한 내이액으로부터 카테터(210)를 통한 단백질 수송을 방지할 수 있으며, 다른 확산 공정을 억제할 수 있다. 멤브레인은 치료 약제로의 반투과성 접근을 허용하도록 자가-밀봉 및/또는 반-다공성일 수 있다.
도 3은 유체로 충전된 하우징 챔버(300) 내부에 음향 변환기(200)가 있으며, 변환기(200)에 의해 발생된 진동이 챔버 유체로 전달되도록 배치된 또다른 변환기 구성을 도시한다. 중격을 구비한 중격 포트(302)는 하우징 챔버(300) 내의 유체에 접근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중격 포트(302)는 하우징 챔버(300) 및 내이 카테터(202)가 선택된 조성의 액체로 충전되게 한다. 내이액과 음향 변환기(200) 사이의 최적의 결합을 위하여 카테터 액체로 내이 카테터(202)를 충전할 수 있으며 또한 중이와 내이 사이에 효과적인 밀봉을 제공하는 것이 하나의 문제점이다. 음향 변환기(200)에 의해 발생된 기계적 진동이 챔버 유체를 통해 카테터 유체(212)로 전달되도록 내이 카테터(202)는 하우징 챔버(300)에 연결된다. 하우징 챔버(300) 내의 유체는 카테터 유체(212)와 유체 연동될 수 있다. 음향 변환기(200)에 의해 발생된 진동은 카테터 유체(212)를 통해 내이액에 전달된다. 이러한 구성에서, 예컨대, 음향 변환기(200)는 진동 FMT와 같은 플로팅 매스 변환기일 수 있다.
도 4는 또한 하우징 챔버(300)를 포함하는 또다른 변환기 구성을 도시한다. 도 3의 실시예에서와 같이, 기계적 진동이 챔버 유체를 통해 카테터 유체(212)로 전달되도록 내이 카테터(202)는 하우징 챔버(300)에 연결된다. 내이 카테터(202)를 카테터 유체(212)로 충전하고, 중격 포트(302)를 통해 하우징 챔버(300) 내의 유체에 대한 접근을 제공하기 위해 중격 포트(302)가 사용될 수 있다. 하우징 챔버(300) 내의 유체는 카테터 유체(212)와 유체 연동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하우징 챔버(300)는 관통하여 챔버 유체로 진동이 전달될 수 있는 하우징 멤브레인(400)을 포함한다(도 4). 음향 변환기(200)는 하우징 챔버(300) 외부에 있으며, 음향 변환기(200)에 의해 발생된 기계적 진동이 하우징 멤브레인(400)을 통해 챔버 유체를 거쳐 카테터 유체(212)에 전달되도록 하우징 멤브레인(400)에 대해 배열되고 장착된다. 그런 다음, 이러한 진동은 카테터 유체(212)를 거쳐 카테터의 말단부를 통해 내이액으로 전달된다.
도 5는 사용 환자의 와우(104) 내로 나사 결합되는 내이 카테터를 도시하는 본 발명의 일반적인 실시예의 회화도이다. 본 실시예에서, 음향 변환기(200)는 도 3의 실시예에서와 같이 하우징 챔버(300) 내부에 위치될 수 있다. 음향 변환기(200)는 또한 도 4의 실시예에서와 같이 하우징 챔버(300) 외부에 있을 수 있으며 하우징 멤브레인(400)에 장착될 수 있다. 예컨대, 음향 변환기(200)가 하우징 챔버(300) 내부에 위치될 때 또한 음향 변환기(200)의 출력을 모니터링하기 위해 하우징 멤브레인(400)이 사용될 수 있다. 카테터 유체(212)를 거쳐 내이로 이송하기 위한 치료 작용제가 하우징 유체 내에 도입될 수 있도록 하우징 멤브레인(400)은 또한 선택적 다공성 재료일 수 있다. 음향 변환기(200)를 다른 조립체에 장착시키거나, 다른 구성에서는 귀의 다른 구조 또는 (두개골과 같은) 뼈에 직접적으로 장착시키기 위해 사용될 수 있는 장착 브래킷(504)이 도시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내이 카테터(202)는 또한 카테터 멤브레인(500)과 전극 어레이(502)를 포함한다. 카테터 멤브레인(500)은 카테터 유체(212)로부터 내이액으로 음향 변환기(200)의 진동을 전달한다. 다른 실시예에서, 카테터 멤브레인(500)은 카테터 유체(212) 내의 치료 작용제가 내이액으로 이송되게 하는 선택적 다공성 멤브레인 또는 개방식 포트일 수 있다. 전극 어레이(502)는 전극 와이어(214)에 연결되며 내 이의 신경 조직의 전기 자극을 위해 사용된다. 이러한 구성에서, 전극 와이어(214)는 사용자의 외이 근처의 피부 아래의 이식 오디오 프로세서에 연결될 수 있다.
도 6은 와우 내에 이식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귀의 구조를 도시한다. 내이 카테터(202)는 정원창(115)을 거쳐 와우(104)의 고실계(106) 내에 나사 결합된다. 음향 변환기(200)는 중이 내부에 도시된다. 배선(204)은 음향 변환기(200) 및 전극 어레이(502)를 다른 회로 소자에 연결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예컨대, 전극 어레이(502)는 배선(204)을 거쳐 외이 근처의 피부 아래에 위치된 이식 오디오 프로세서(600)에 연결될 수 있다. 오디오 프로세서(600)는 오디오 신호를 수신하여, 내이의 신경 조직을 전기 자극하기 위해 배선(204)을 거쳐 전극 어레이(502)에 전달되는 전기 자극 신호를 생성한다. 오디오 프로세서(600)는 음원으로부터 오디오 입력을 수용하기 위한 전자 구성요소를 포함한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오디오 프로세서(600)는 아날로그 신호, 디지털 신호, 또는 양자 모두를 수용할 것이다. 오디오 입력은 마이크, 전화기, 텔레비젼, 스테레오 시스템, mp3 플레이어, 라디오 수신기 또는 컴퓨터로부터의 아날로그 출력 또는 디지털 출력일 수 있지만 그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시스템이 자세하게 도시되고 기술되었지만, 철저하다거나 개시된 실시예들로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기술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본 발명에 변경이 이루어질 수 있다는 것이 당업자들에게 명백해질 것이다. 예컨대, 도시된 실시예들은 대체로 변환기에 의해 발생된 진동을 내 이에 전달하기 위한 시스템을 기술하였지만, 변환기는 또한 카테터 유체를 거쳐 내이액 내의 진동을 탐지하기 위해 사용될 수도 있다. 도시된 본 실시예들은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연결하기 위한 와이어를 포함하지만, 와이어는 선택적이다. 이러한 연결은 와이어가 없을 수 있거나, 구성 요소들이 선택적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본 명세서에 첨부된 특허청구범위 및 그에 대응하는 것에 의해 정의되도록 의도된다.

Claims (28)

  1. 내이와 연통하기 위한 시스템이며,
    전기 에너지와 기계 에너지 사이를 변환하기 위한 음향 변환기와,
    i 내이액과 진동 연통되는 말단부, ii 음향 변환기와 진동 연통되는 기단부 및 iii 말단부와 기단부 사이에서 진동 신호를 결합하기 위한 카테터 유체로 충전된 루멘을 갖는 내이 카테터를 포함하는 내이 연통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내이 카테터의 기단부와 진동 연통되는 하우징 유체로 충전되며 음향 변환기를 수납하는 하우징 챔버를 추가로 포함하는 내이 연통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음향 변환기는 플로팅 매스 변환기인 내이 연통 시스템.
  4. 제2항에 있어서, 루멘의 말단부는 내이액과 유체 연통되고, 루멘의 기단부는 하우징 유체와 유체 연통되며, 하우징은 내이로 이송하기 위한 치료 유체를 수용하는 유체 포트를 추가로 포함하는 내이 연통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카테터의 기단부와 진동 연통되는 하우징 유체로 충전되고 하우징 유체와 진동 연통되는 외부 하우징 멤브레인을 포함하는 하우징 챔버를 추가로 포함하며,
    음향 변환기는 외부 하우징 멤브레인과 진동 연통되는 하우징 챔버 외부에 위치되는 내이 연통 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루멘의 말단부는 내이액과 유체 연통되고, 루멘의 기단부는 하우징 유체와 유체 연통되며, 하우징은 내이로 이송하기 위한 치료 유체를 수용하는 유체 포트를 추가로 포함하는 내이 연통 시스템.
  7. 제5항에 있어서, 청각 구조와 관련된 유체 역학을 감지하기 위하여 외부 하우징 멤브레인에 결합된 마이크를 추가로 포함하는 내이 연통 시스템.
  8. 제1항에 있어서, 루멘의 말단부는 내이액과 유체 연통되는 내이 연통 시스템.
  9. 제8항에 있어서, 루멘은 내이로 이송하기 위한 치료 유체를 수용하는 유체 포트를 추가로 포함하는 내이 연통 시스템.
  10. 제1항에 있어서, 루멘의 말단부는 내이액과 진동 연통되는 말단 멤브레인을 포함하는 내이 연통 시스템.
  11. 제1항에 있어서, 음향 변환기는 사용자의 중이 내에 사용하도록 구성된 내이 연통 시스템.
  12. 제1항에 있어서, 음향 변환기는 사용자의 외이 내에 사용하도록 구성된 내이 연통 시스템.
  13. 제1항에 있어서, 음향 변환기는 사용자의 두개골에 고정되도록 구성된 내이 연통 시스템.
  14. 제1항에 있어서, 내이 카테터의 말단부는 사용자의 고실계 내에 사용하도록 구성된 내이 연통 시스템.
  15. 내이와 연통하기 위한 시스템이며,
    전기 에너지와 기계 자극 신호 사이의 변환을 위한 음향 변환기와,
    내이에 대한 전기 자극 신호를 생성하기 위한 전자 모듈과,
    i 내이액과 진동 연통되는 말단부, ii 음향 변환기와 진동 연통되는 기단부 및 iii 말단부와 기단부 사이에서 진동 신호를 결합하기 위한 카테터 유체로 충전된 루멘을 갖는 내이 카테터와,
    전기 자극 신호를 이용하여 내이의 신경 조직을 자극시키기 위해 전자 모듈과 전기 연통되며, 내이 카테터의 말단부에 있는 전극 어레이를 포함하는 내이 연통 시스템.
  16. 제15항에 있어서, 내이 카테터의 기단부와 진동 연통되는 하우징 유체로 충전되며 음향 변환기를 수납하는 하우징 챔버를 추가로 포함하는 내이 연통 시스템.
  17. 제16항에 있어서, 변환기는 플로팅 매스 변환기인 내이 연통 시스템.
  18. 제16항에 있어서, 루멘의 말단부는 내이액과 유체 연통되고, 루멘의 기단부는 하우징 유체와 유체 연통되며, 하우징은 내이로 이송하기 위한 치료 유체를 수용하는 유체 포트를 추가로 포함하는 내이 연통 시스템.
  19. 제15항에 있어서,
    카테터 기단부와 진동 연통되는 하우징 유체로 충전되고 하우징 유체와 진동 연통되는 외부 하우징 멤브레인을 포함하는 하우징 챔버를 추가로 포함하며,
    음향 변환기는 외부 하우징 멤브레인과 진동 연통되는 하우징 챔버 외부에 위치되는 내이 연통 시스템.
  20. 제19항에 있어서, 루멘의 말단부는 내이액과 유체 연통되고, 루멘의 기단부는 하우징 유체와 유체 연통되며, 하우징은 내이로 이송하기 위한 치료 유체를 수용하는 유체 포트를 추가로 포함하는 내이 연통 시스템.
  21. 제19항에 있어서, 청각 구조와 관련된 유체 역학을 감지하기 위하여 외부 하우징 멤브레인에 결합된 마이크를 추가로 포함하는 내이 연통 시스템.
  22. 제15항에 있어서, 루멘의 말단부는 내이액과 유체 연통되는 내이 연통 시스템.
  23. 제22항에 있어서, 루멘은 내이로 이송하기 위한 치료 유체를 수용하는 유체 포트를 추가로 포함하는 내이 연통 시스템.
  24. 제15항에 있어서, 루멘의 말단부는 내이액과 진동 연통되는 말단 멤브레인을 포함하는 내이 연통 시스템.
  25. 제15항에 있어서, 음향 변환기는 사용자의 중이 내에 사용하도록 구성된 내이 연통 시스템.
  26. 제15항에 있어서, 음향 변환기는 사용자의 외이 내에 사용하도록 구성된 내이 연통 시스템.
  27. 제15항에 있어서, 음향 변환기는 사용자의 두개골에 고정되도록 구성된 내이 연통 시스템.
  28. 제15항에 있어서, 내이 카테터의 말단부는 사용자의 고실계 내에 사용하도록 구성된 내이 연통 시스템.
KR1020097002563A 2006-07-17 2007-07-16 내이액의 원격 감지 및 작동 KR10138579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83135106P 2006-07-17 2006-07-17
US60/831,351 2006-07-17
PCT/US2007/073572 WO2008011359A1 (en) 2006-07-17 2007-07-16 Remote sensing and actuation of fluid of inner ea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28823A true KR20090028823A (ko) 2009-03-19
KR101385795B1 KR101385795B1 (ko) 2014-04-16

Family

ID=386948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7002563A KR101385795B1 (ko) 2006-07-17 2007-07-16 내이액의 원격 감지 및 작동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8128551B2 (ko)
EP (1) EP2040654B1 (ko)
JP (1) JP5160543B2 (ko)
KR (1) KR101385795B1 (ko)
CN (1) CN101484102B (ko)
AR (1) AR062093A1 (ko)
AU (1) AU2007275382B2 (ko)
CA (1) CA2655662C (ko)
RU (1) RU2465876C2 (ko)
WO (1) WO200801135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720542B2 (en) * 2006-07-17 2010-05-18 Med-El Elektromedizinische Geraete Gmbh Remote sensing and actuation of fluid in cranial implants
WO2009049320A1 (en) 2007-10-12 2009-04-16 Earlens Corporation Multifunction system and method for integrated hearing and communiction with noise cancellation and feedback management
EP2301261B1 (en) 2008-06-17 2019-02-06 Earlens Corporation Optical electro-mechanical hearing devices with separate power and signal components
US8301260B2 (en) * 2008-08-13 2012-10-30 Daglow Terry D Method of implanting a medical implant to treat hearing loss in a patient, devices for faciliting implantation of such devices, and medical implants for treating hearing loss
BRPI0919266A2 (pt) 2008-09-22 2017-05-30 SoundBeam LLC dispositivo e método para transmitir um sinal de áudio para um usuário, métodos para fabricar um dispositivo para transmitir um sinal de áudio para o usuário, e para fornecer um dispositivo de áudio a um usuário, e, dispositivo e método para transmitir um som para um usuário tendo um tímpano
WO2010102342A1 (en) 2009-03-13 2010-09-16 Cochlear Limited Improved dacs actuator
EP2412171B1 (en) * 2009-03-24 2013-04-24 Advanced Bionics AG Fully or partially implantable hearing system
WO2011031918A1 (en) * 2009-09-11 2011-03-17 Med-El Elektromedizinische Geraete Gmbh Low pulse rate cochlear implant stimulation in conjunction with a separate representation of fundamental frequencies and voiced/unvoiced distinctions
US8868202B2 (en) * 2010-01-12 2014-10-21 The Johns Hopkins University Implantable vestibular prosthesis
US9131323B2 (en) * 2010-11-03 2015-09-08 Cochlear Limited Hearing prosthesis having an implantable actuator system
DK2656639T3 (da) 2010-12-20 2020-06-29 Earlens Corp Anatomisk tilpasset øregangshøreapparat
EP2637424A1 (en) * 2012-03-07 2013-09-11 Oticon Medical A/S An acoustical transmission means and method for transmitting sound
US9999770B2 (en) 2013-11-07 2018-06-19 Cochlear Limited Cochlear implant electrode array including receptor and sensor
US10034103B2 (en) 2014-03-18 2018-07-24 Earlens Corporation High fidelity and reduced feedback contact hearing apparatus and methods
WO2016011044A1 (en) 2014-07-14 2016-01-21 Earlens Corporation Sliding bias and peak limiting for optical hearing devices
US9924276B2 (en) 2014-11-26 2018-03-20 Earlens Corporation Adjustable venting for hearing instruments
DE102015101482B3 (de) * 2015-02-02 2016-05-19 Fraunhofer-Gesellschaft zur Förderung der angewandten Forschung e.V. Elektroakustisches Implantat
US20170095202A1 (en) * 2015-10-02 2017-04-06 Earlens Corporation Drug delivery customized ear canal apparatus
US10492010B2 (en) 2015-12-30 2019-11-26 Earlens Corporations Damping in contact hearing systems
US11350226B2 (en) 2015-12-30 2022-05-31 Earlens Corporation Charging protocol for rechargeable hearing systems
WO2017116791A1 (en) 2015-12-30 2017-07-06 Earlens Corporation Light based hearing systems, apparatus and methods
US10560791B2 (en) 2016-01-29 2020-02-11 Cochlear Limited Hybrid electrically- and mechanically-stimulating cochlear implant
EP3510796A4 (en) 2016-09-09 2020-04-29 Earlens Corporation CONTACT HEARING SYSTEMS, DEVICE AND METHOD
WO2018093733A1 (en) 2016-11-15 2018-05-24 Earlens Corporation Improved impression procedure
US11806492B2 (en) 2017-09-22 2023-11-07 Cochlear Limited Trans middle ear-inner ear fluid flow implementations
WO2019173470A1 (en) 2018-03-07 2019-09-12 Earlens Corporation Contact hearing device and retention structure materials
WO2019199680A1 (en) 2018-04-09 2019-10-17 Earlens Corporation Dynamic filter
DE102018220731B3 (de) * 2018-11-30 2020-06-04 Med-El Elektromedizinische Geräte GmbH Elektroakustischer Wandler zur Implantation in ein Ohr,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solchen und Cochlea-Implantatsystem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91806C (de) 1920-07-25 1924-03-11 Bronislaw Gwozdz Aufnahmekinematograph
SU1690749A1 (ru) * 1988-11-15 1991-11-15 Московский Институт Электронного Машиностроения Устройство дл передачи сигнала в имплантируемую часть искусственного уха
DE3918086C1 (ko) * 1989-06-02 1990-09-27 Hortmann Gmbh, 7449 Neckartenzlingen, De
US5176620A (en) * 1990-10-17 1993-01-05 Samuel Gilman Hearing aid having a liquid transmission means communicative with the cochlea and method of use thereof
RU2035922C1 (ru) * 1992-06-16 1995-05-27 Саратовский научно-исследовательский институт травматологии и ортопедии Имплантируемый нейростимулятор
WO1997030565A1 (en) * 1996-02-15 1997-08-21 Neukermans Armand P Improved biocompatible transducers
US6259951B1 (en) * 1999-05-14 2001-07-10 Advanced Bionics Corporation Implantable cochlear stimulator system incorporating combination electrode/transducer
US6629922B1 (en) 1999-10-29 2003-10-07 Soundport Corporation Flextensional output actuators for surgically implantable hearing aids
US6629911B2 (en) * 2001-03-09 2003-10-07 Bob Cook Weighted exercise glove
WO2003034960A1 (en) * 2001-10-24 2003-05-01 Med-El Elektromedizinische Geräte Ges.m.b.H. Implantable fluid delivery apparatuses and implantable electrode
AU2003270597A1 (en) * 2002-09-10 2004-04-30 Vibrant Med-El Hearing Technology Gmbh Implantable medical devices with multiple transducer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8128551B2 (en) 2012-03-06
CN101484102B (zh) 2011-02-23
AU2007275382A1 (en) 2008-01-24
CA2655662C (en) 2014-03-11
WO2008011359A1 (en) 2008-01-24
EP2040654A1 (en) 2009-04-01
JP5160543B2 (ja) 2013-03-13
KR101385795B1 (ko) 2014-04-16
JP2009543669A (ja) 2009-12-10
RU2465876C2 (ru) 2012-11-10
RU2009105410A (ru) 2010-08-27
EP2040654B1 (en) 2012-10-24
US20080064918A1 (en) 2008-03-13
CA2655662A1 (en) 2008-01-24
AU2007275382B2 (en) 2011-04-21
CN101484102A (zh) 2009-07-15
AR062093A1 (es) 2008-10-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85795B1 (ko) 내이액의 원격 감지 및 작동
EP0861570B1 (en) Implantable microphone for cochlear implants
US7033313B2 (en) Surgically implantable hearing aid
CA2697617C (en) Remote sensing and actuation of fluid in cranial implants
US6473651B1 (en) Fluid filled microphone balloon to be implanted in the middle ear
US20110046730A1 (en) Implantable microphone system
US20100048983A1 (en) Multipath Stimulation Hearing Systems
CA2343669A1 (en) At least partially implantable system for rehabilitation of hearing disord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3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08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