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28290A - 배선용 차단기의 샤프트 어셈블리 및 이를 갖는 단극 차단유닛 - Google Patents

배선용 차단기의 샤프트 어셈블리 및 이를 갖는 단극 차단유닛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28290A
KR20090028290A KR1020070093775A KR20070093775A KR20090028290A KR 20090028290 A KR20090028290 A KR 20090028290A KR 1020070093775 A KR1020070093775 A KR 1020070093775A KR 20070093775 A KR20070093775 A KR 20070093775A KR 20090028290 A KR20090028290 A KR 2009002829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aft
movable contact
opening
circuit breaker
curr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937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90755B1 (ko
Inventor
안병수
Original Assignee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937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90755B1/ko
Publication of KR200900282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282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907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907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71/00Details of the protective switches or relays covered by groups H01H73/00 - H01H83/00
    • H01H71/10Operating or release mechanism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00Contacts
    • H01H1/12Contact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in which co-operating contacts engage
    • H01H1/14Contact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in which co-operating contacts engage by abutting
    • H01H1/20Bridging contacts
    • H01H1/2041Rotating bridg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3/00High-tension or heavy-current switches with arc-extinguishing or arc-preventing means
    • H01H33/02Details
    • H01H33/42Driving mechanism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73/00Protective overload circuit-breaking switches in which excess current opens the contacts by automatic release of mechanical energy stored by previous operation of a hand reset mechanism
    • H01H73/02Details
    • H01H73/04Contacts

Landscapes

  • Break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배선용 차단기에 있어서 샤프트의 개구부를 차폐하여 샤프트와 샤프트 내부에 설치된 부품들을 아크 및/또는 아크에 의한 주변 용융 물의 유입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는 배선용 차단기의 샤프트 어셈블리를 제공하려는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샤프트 어셈블리는 한류 동작시 전자반발력에 의한 상기 가동 접촉자의 독립적 회전을 허용하는 개구 부를 가지며, 회로 개폐를 위해 상기 가동 접촉자를 회전구동할 수 있는 샤프트; 및 상기 개구 부를 포함하는 샤프트의 외주면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한류 동작시 회전하는 상기 가동 접촉자에 의해 가압 회동되게 마련되어, 상기 샤프트의 개구 부를 차폐하는 샤프트 캡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배선용 차단기, 샤프트, 아크, 보호

Description

배선용 차단기의 샤프트 어셈블리 및 이를 갖는 단극 차단 유닛{SHAFT ASSEMBLY FOR MOLD CASED CIRCUIT BREAKER AND SINGLE POLE SWITCHING UNIT WITH THE SHAFT ASSEMBLY}
본 발명은 배선용 차단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배선용 차단기에 있어서 아크 및/또는 아크로 인한 주변 용융 물의 샤프트 내 유입을 방지하여 샤프트 및 샤프트 내 구성물을 보호할 수 있는 배선용 차단기의 샤프트 어셈블리 및 이러한 샤프트 어셈블리를 갖는 단극 차단 유닛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대비되는 종래기술의 일 예에 따른 단극 차단 유닛 및 단극 차단 유닛에 내설되는 가동 접촉자 어셈블리의 구성과 동작을 첨부한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배선용 차단기의 단극 차단 유닛에 있어서 통전 상태를 보여주는 종 단면도이고, 도 2는 종래기술에 따른 배선용 차단기의 단극 차단 유닛에 있어서 한류 동작 상태를 보여주는 종 단면도이며, 도 3은 종래기술에 따른 배선용 차단기의 단극 차단 유닛에 있어서 가동 접촉자 어셈블리만을 별도로 분리하여 그 구성을 보여주는 사시 도이며, 도 4는 도 3의 가동 접촉자 어셈블리를 후 면 상부에서 비스듬히 내려다본 사시 도이다.
배선용 차단기에 있어서 샤프트(2)는 가동 접촉자(3)를 지지한 상태로 회전하여 배선용 차단기의 회로 개폐동작시 고정 접촉자(도 1의 부호 4 참조)에 접촉하는 폐로 위치와 상기 고정 접촉자로부터 분리되는 개로 위치로 개폐구동하도록 회전시켜주는 회전구동축의 기능을 수행하는 것이 그의 주기능이다. 또한 한류동작이 가능한 배선용 차단기의 경우, 회로 상 단락전류와 같은 사고전류가 통전할 때 샤프트(2)는 부동(不動) 상태에서 가동 접촉자(3)과 고정 접촉자(4) 사이의 전자 반발력(electromagnetic repulsive force)에 의해 가동 접촉자(3)가 독립적으로 회동하여 고정 접촉자(4)로부터 분리되어 사고전류를 제한하는 한류동작을 할 수 있도록, 한류 동작시 가동 접촉자(3)의 독립적 회전을 허용하게 지지하는 것이 샤프트(2)의 또 다른 기능이다.
이러한 샤프트(2)의 다른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한류 동작시 가동 접촉자(3)의 독립적 회전을 허용하기 위해서, 샤프트(2)에 개구 부(2a)가 필수적으로 마련된다.
개구 부(2a)는 샤프트(2)에 있어서 반지름 방향으로 가동 접촉자(3)와 고정 접촉자(4) 간에 전기적 차단 및 절연이 이루어지는 데 충분한 만큼 가동 접촉자(3)가 회전하는 데 충분한 각도로 미리 설정되어 형성되는 원호형의 개구(홈)을 이루는 부분이다.
샤프트(2)는 축 방향 상 중앙부위를 축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을 따라 도 1 및 도2와 같이 절단했을 때 개구부(2a)는 오목한 부분으로 나타나고 막힌 부분은 돌출 부(2c)로 나타난다. 도 1 및 도 2에 있어서 부호 2b는 3상의 단극 차단 유닛의 샤프트(2)들을 동시 회전구동하기 위한 구동 핀(pin)이 삽입되는 구동 핀 접속 홀(driving pin connecting hole)이다.
샤프트(2)는 도 1 내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극 차단 유닛의 외함을 이루는 베이스(1) 중 샤프트(2)의 원형 외주면에 상응하게 샤프트(2)의 직경에 맞춰 조립을 위해 설정된 공차를 갖게 마련되는 지지점 부(1b)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지지된다.
도 1 내지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동 접촉자(3)는 샤프트(2) 상에 가동 접촉자 회전 축(7)에 의해서 회전가능하게 지지된다. 또한 가동 접촉자(3)는 비틀림 스프링(5)에 의해서 고정 접촉자(4)쪽으로 회전하도록 탄성 바이어스(bias)된다. 즉, 비틀림 스프링(5)는 가동 접촉자(3)가 고정 접촉자(4)에 접촉하는 상태에서 접촉압력을 제공하는 접압 스프링이다. 단자 부(3a)는 가동 접촉자(3)를 외부의 전원 측 또는 부하 측 선로와 접속하기 위한 단자 부분으로서,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전원 측 또는 부하 측 선로를 접속하기 위한 단자 스크류(미도시)를 접속할 나사 홀부(부호 미지정)가 있는 평판 부와 이 평판 부로부터 직립하게 형성되어 가동 접촉자의 후 단부를 사이에 끼워 지지하는 한 쌍의 직립 지지부(부호 미지정)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가동 접촉자 회전 축(7)에 의해서 가동 접촉자(3)와 기계적 및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한편,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동 접촉자(3)와 고정 접촉자(4)가 접촉한 상태에서는 고정 접촉자(4)의 단자 부(4a)에 접속되는 선로와 가동 접촉자(3)의 단 자 부(3a)에 접속되는 선로 간의 회로 즉 전원과 부하 간의 회로가 통전되는 온(ON)상태가 되며, 이때 비틀림 스프링(5)에 의한 접촉 압력으로 인해서 가동 접촉자(3)와 고정 접촉자(4)가 접촉한 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온(ON) 상태에서 미 도시의 핸들 조작에 의해 또는 과전류 또는 사고전류의 감지에 따른 미도시한 트립기구 및 개폐기구의 구동에 의해 샤프트(2)가 도 1에서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 가동 접촉자(3)는 고정 접촉자(4)로부터 분리되어 회로가 차단되는 트립 또는 오프(OFF) 상태로 된다.
한편,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온(ON)상태에서 회로 상에 단락전류와 같은 큰 사고전류가 흐르면, 상기 트립기구 및 개폐기구의 작동 전에 가동 접촉자(3)와 U자형으로 절곡된 한류형의 고정 접촉자(4) 사이에 전자반발력이 발생하여 가동 접촉자(3)가 샤프트(2)는 부동 상태에서 독립적으로 고정 접촉자(4)로부터 개리(開離)되는 한류동작이 일어난다.
이러한 한류동작시 큰 사고전류로 인하여 가동 접촉자(3)와 고정 접촉자(4) 사이에서 발생하는 고온 고압의 아크는 아크 소호 기구(8)를 경유하여 단극 차단 유닛의 외함을 형성하는 베이스(1) 중 배기구 부(1a)를 통해 배출되지만 일부는 예컨대 아크 소호 기구(8) 등 주변부품의 용융물질과 함께 샤프트(2)의 개구 부(2a)를 통해 샤프트(2) 내부로 유입된다. 유입된 용융물질이 샤프트(2)와 가동 접촉자(3) 사이에 침착하여 가동 접촉자(3) 및 샤프트(2)의 회전에 마찰 또는 방해요소로 작용하기도 하고 고온/고압의 아크가 샤프트(2) 내의 비틀림 스프링(5) 등의 변형을 일으켜 결과적으로 배선용 차단기의 개폐 동작, 한류 동작 신뢰성 또는 통전 신뢰성을 저하시키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는 것으로서, 한류 동작시 아크 또는 접점 주변부품의 용융물이 샤프트 내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여 배선용 차단기의 성능을 유지할 수 있는 배선용 차단기의 샤프트 어셈블리를 제공하는 것을 일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한류 동작시 아크 또는 접점 주변부품의 용융물이 샤프트 내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여 배선용 차단기의 성능을 유지할 수 있는 배선용 차단기의 샤프트 어셈블리를 갖는 단극 차단 유닛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본 발명의 일 목적은, 가동 접촉자를 지지하기 위한 배선용 차단기의 샤프트 어셈블리에 있어서,
한류 동작시 전자반발력에 의한 상기 가동 접촉자의 독립적 회전을 허용하는 개구 부를 가지며, 회로 개폐를 위해 상기 가동 접촉자를 회전구동할 수 있는 샤프트; 및
상기 개구 부를 포함하는 샤프트의 외주면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한류 동작시 회전하는 상기 가동 접촉자에 의해 가압 회동되게 마련되어, 상기 샤프트의 개구 부를 차폐하는 샤프트 캡(shaft cap)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본 발명에 따른 배선용 차단기의 샤프트 어셈블리를 제공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 다.
또한 상기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배선용 차단기의 단극 차단 유닛에 있어서,
고정 접촉자;
상기 고정 접촉자에 접촉하거나 분리되어 회로를 개폐하는 위치로 회전가능한 가동 접촉자;
한류 동작시 전자반발력에 의한 상기 가동 접촉자의 독립적 회전을 허용하는 개구 부를 가지며, 회로 개폐를 위해 상기 가동 접촉자를 회전구동할 수 있는 샤프트;
상기 샤프트의 회전 지지점을 제공하며 상기 단극 차단 유닛의 외함을 형성하는 베이스;
상기 개구 부를 포함하는 샤프트의 외주면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한류 동작시 회전하는 상기 가동 접촉자에 의해 가압 회동되게 마련되어, 상기 샤프트의 개구 부를 차폐하는 샤프트 캡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본 발명에 따른 배선용 차단기의 단극 차단 유닛을 제공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라서 샤프트의 개구 부를 차폐하는 수단을 가진 샤프트 어셈블리 및/또는 이러한 샤프트 어셈블리를 가진 단극 차단 유닛이 제공됨에 의해서, 한류 동작시 샤프트의 개구 부를 통해 샤프트 내로 아크 및/또는 아크 발생 주변부품의 용융물이 유입되는 것이 방지됨에 따라, 샤프트 내의 토션 스프링의 변형을 방 지할 수 있고, 용융물의 침착에 따른 샤프트와 가동 접촉자의 회전에 마찰 또는 방해요소로 작용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배선용 차단기의 동작 및 통전 신뢰성을 향상시키고, 배선용 차단기의 수명을 길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상기 본 발명의 목적과 이를 달성하는 본 발명의 구성 및 그의 작용효과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한 이하의 설명에 의해서 좀 더 명확히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5는 한류 동작시 본 발명에 따른 배선용 차단기의 단극 차단 유닛을 보여주는 종 단면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배선용 차단기의 단극 차단 유닛은 고정 접촉자(4), 가동 접촉자(3), 샤프트(2), 베이스(1) 및 상기 샤프트의 개구 부를 차폐하는 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가동 접촉자(3)는 고정 접촉자(4)에 접촉하거나 분리되어 회로를 개폐하는 위치로 회전가능하다.
샤프트(2)는 한류 동작시 전자반발력에 의한 가동 접촉자(3)의 독립적 회전을 허용하는 개구 부(2a)를 가지며, 회로 개폐를 위해 가동 접촉자(3)를 회전구동할 수 있다.
베이스(1)는 3상별 상기 단극 차단 유닛을 서로 전기적으로 절연하기 위해서전기적 절연재로 형성되고, 샤프트(2)의 회전 지지점을 제공하며 상기 단극 차단 유닛의 외함을 형성한다.
샤프트(2)의 개구 부(2a)를 차폐하는 상기 수단은 개구 부(2a)를 포함하는 샤프트(2)의 외주면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한류 동작시 회전하는 가동 접촉자(3)에 의해 가압 회동되게 마련된다. 또한 상기 수단은 가동 접촉자(3)로부터 가압 회동력을 받기 위해 가동 접촉자(3)의 상부 및 하부 면의 일 부위를 둘러싸게 설치되는 회동력 접수 홈 부를 가지고, 적어도 한류 동작시 샤프트(2)의 개구 부(2a) 상에 위치하는 부위가 막혀있는 부재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부재는 그 축 방향 길이가 개구 부(2a)의 폭보다 길게 형성된다.
도 5에 있어서 미설명 부호 4a는 고정 접촉자(4)의 단자 부이고, 미설명 부호 2b는 3상의 단극 차단 유닛의 샤프트(2)들을 동시 회전구동하기 위한 구동 핀(pin)이 삽입되는 구동 핀 접속 홀(driving pin connecting hole)이며, 미설명 부호 2c는 샤프트(2)는 축 방향 상 중앙부위를 축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을 따라 도 5와 같이 절단했을 때 개구부(2a)는 오목한 부분으로 나타나고 막힌 부분은 돌출 부(2c)로 나타난다.
샤프트(2)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극 차단 유닛의 외함을 이루는 베이스(1) 중 샤프트(2)의 원형 외주면에 상응하게 샤프트(2)의 직경에 맞춰 조립을 위해 설정된 공차를 갖게 마련되는 지지점 부(1b)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지지된다.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동 접촉자(3)는 샤프트(2) 상에 가동 접촉자 회전 축(7)에 의해서 회전가능하게 지지된다. 또한 가동 접촉자(3)는 비틀림 스프링(5)에 의해서 고정 접촉자(4)쪽으로 회전하도록 탄성 바이어스(bias)된다. 즉, 비틀림 스프링(5)은 가동 접촉자(3)가 고정 접촉자(4)에 접촉하는 상태에서 접촉을 유지하도록 압력을 제공하는 접압 스프링이다. 단자 부(3a)는 가동 접촉 자(3)를 외부의 전원 측 또는 부하 측 선로와 접속하기 위한 단자 부분으로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전원 측 또는 부하 측 선로를 접속하기 위한 단자 스크류(미도시)를 접속할 나사 홀부(부호 미지정)가 있는 평판 부와 이 평판 부로부터 직립하게 형성되어 가동 접촉자의 후 단부를 사이에 끼워 지지하는 한 쌍의 직립 지지부(부호 미지정)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가동 접촉자 회전 축(7)에 의해서 가동 접촉자(3)와 기계적 및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상기 수단의 구성은 도 6을 참조한 다음의 설명에 의해서 더욱 명확히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배선용 차단기의 샤프트 어셈블리의 구성을 보여주는 사시 도이다.
도 6에 있어서, 가동 접촉자(3)를 지지하기 위한 배선용 차단기의 샤프트 어셈블리는 샤프트(2) 및 샤프트(2)의 개구 부(2a)를 차폐하는 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개구 부(2a)는 전술한 종래기술과 마찬가지로 샤프트(2)에 있어서 반지름 방향으로 가동 접촉자(3)와 고정 접촉자(4) 간에 전기적 차단 및 절연이 이루어지는 데 충분한 만큼 가동 접촉자(3)가 회전하는 데 충분한 각도로 미리 설정되어 형성되는 원호형의 개구(홈)을 이루는 부분이다.
샤프트(2)는 한류 동작시 전자반발력에 의한 가동 접촉자(3)의 독립적 회전을 허용하는 개구 부(2a)를 가지며, 회로 개폐를 위해 가동 접촉자(3)를 회전구동할 수 있다.
상기 수단은 개구 부(2a)를 포함하는 샤프트(2)의 외주면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한류 동작시 회전하는 가동 접촉자(3)에 의해 가압 회동되게 마련되어, 샤프트(2)의 개구 부(2a)를 차폐한다. 상기 수단은 바람직한 실시 예상 가동 접촉자(3)로부터 가압 회동력을 받기 위해 가동 접촉자(3)의 상부 및 하부 면의 일 부위를 둘러싸게 설치되는 회동력 접수 홈 부(6a)를 가지고, 적어도 한류 동작시 샤프트(2)의 개구 부 상에 위치하는 부위가 막혀있는 부재로 구성되며, 이러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부재를 샤프트 캡(shaft cap)(6)이라고 부르기로 한다.
샤프트(2)의 개구 부(2a)를 차폐할 수 있도록, 상기 부재 즉, 샤프트 캡(6)은 그 축 방향 길이(d1)가 개구 부(2a)의 폭(W1)보다 길게 형성된다.
샤프트 캡(6)의 회동력 접수 홈 부(6a)에 있어서, 회동력 접수 홈 부(6a)의 길이(d)는 가동 접촉자(3)의 높이방향 너비(W)보다 조립 공차만큼 여유를 갖도록 형성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배선용 차단기의 샤프트 어셈블리의 동작을 도 7 및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배선용 차단기의 샤프트 어셈블리에 있어서 통전 상태를 보여주는 종 단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배선용 차단기의 샤프트 어셈블리에 있어서 한류 동작시의 상태를 보여주는 종 단면도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은 온(ON) 상태에서 미 도시의 핸들 조작에 의해 또는 과전류 또는 사고전류의 감지에 따른 미 도시한 트립기구 및 개폐기구의 구동에 의해 샤프트(2)가 도 7에서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 가동 접촉자(3)는 고정 접촉자 (미도시, 도 5의 부호 4 참조)로부터 분리되어 회로가 차단되는 트립 또는 오프(OFF) 상태로 된다.
한편,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은 온(ON)상태에서 회로 상에 단락전류와 같은 큰 사고전류가 흐르면, 상기 트립기구 및 개폐기구의 작동 전에 가동 접촉자(3)와 U자형으로 절곡된 한류형의 상기 고정 접촉자 사이에 전자반발력이 발생하여 샤프트(2)는 부동 상태에서 가동 접촉자(3)가 독립적으로 상기 고정 접촉자로부터 개리(開離)되게 회전하는 한류동작이 일어난다. 이러한 한류 동작에 따라 가동 접촉자(3)가 독립적으로 상기 고정 접촉자로부터 개리(開離)되게 회전한 상태가 도 8에 도시된 상태이다.
이러한 한류동작시 큰 사고전류로 인하여 가동 접촉자(3)와 고정 접촉자(4) 사이에서 발생하는 고온 고압의 아크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은 아크 소호 기구(8)를 경유하여 베이스(1) 중 배기구 부(1a)를 통해 배출되며, 상기 고온 고압의 아크의 일부 및 아크로 인한 주변 부품의 용융물이 샤프트(2) 내로 유입되는 것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샤프트 캡(shaft cap)(6)의 차폐 부위(SA)가 개구 부(2a)를 차폐함에 의해서 방지될 수 있다. 따라서 샤프트(2) 내부 및 샤프트(2) 내의 비틀림 스프링(5)과 같은 부품이 아크에 의한 열화 및/또는 용융물의 침착으로부터 보호될 수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배선용 차단기의 단극 차단 유닛에 있어서 통전 상태를 보여주는 종 단면도이고,
도 2는 종래기술에 따른 배선용 차단기의 단극 차단 유닛에 있어서 한류 동작 상태를 보여주는 종 단면도이며,
도 3은 종래기술에 따른 배선용 차단기의 단극 차단 유닛에 있어서 가동 접촉자 어셈블리만을 별도로 분리하여 그 구성을 보여주는 사시 도이며,
도 4는 도 3의 가동 접촉자 어셈블리를 후면 상부에서 비스듬히 내려다본 사시 도이고,
도 5는 한류 동작시 본 발명에 따른 배선용 차단기의 단극 차단 유닛을 보여주는 종 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배선용 차단기의 샤프트 어셈블리의 구성을 보여주는 사시 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배선용 차단기의 샤프트 어셈블리에 있어서 통전 상태를 보여주는 종 단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배선용 차단기의 샤프트 어셈블리에 있어서 한류 동작시의 상태를 보여주는 종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베이스(base) 1a: 배기구 부
1b: 지지점 부 2: 샤프트
2a: 개구부 2b: 구동 핀 접속 홀(driving pin connecting hole)
2c: 돌출 부 3: 가동 접촉자
3a: 단자 부 4: 고정 접촉자
4a: 고정 접촉자 단자 부 5: 비틀림 스프링
6: 샤프트 캡(shaft cap) 6a: 회동력 접수 홈 부
7: 가동 접촉자 회전 축 8: 아크 소호 기구
SA: 차폐 부위

Claims (6)

  1. 가동 접촉자를 지지하기 위한 배선용 차단기의 샤프트 어셈블리에 있어서,
    한류 동작시 전자반발력에 의한 상기 가동 접촉자의 독립적 회전을 허용하는 개구 부를 가지며, 회로 개폐를 위해 상기 가동 접촉자를 회전구동할 수 있는 샤프트; 및
    상기 개구 부를 포함하는 샤프트의 외주면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한류 동작시 회전하는 상기 가동 접촉자에 의해 가압 회동되게 마련되어, 상기 샤프트의 개구 부를 차폐하는 샤프트 캡(shaft cap)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선용 차단기의 샤프트 어셈블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샤프트 캡은,
    상기 가동 접촉자로부터 가압 회동력을 받기 위해 상기 가동 접촉자의 상부 및 하부 면의 일 부위를 둘러싸게 설치되는 회동력 접수 홈 부를 가지고, 적어도 한류 동작시 상기 샤프트의 개구 부 상에 위치하는 부위가 막혀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선용 차단기의 샤프트 어셈블리.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샤프트의 개구 부를 차폐할 수 있도록, 상기 샤프트 캡은 그 축 방향 길이가 상기 개구 부의 폭보다 긴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선용 차단기의 샤프트 어 셈블리.
  4. 배선용 차단기의 단극 차단 유닛에 있어서,
    고정 접촉자;
    상기 고정 접촉자에 접촉하거나 분리되어 회로를 개폐하는 위치로 회전가능한 가동 접촉자;
    한류 동작시 전자반발력에 의한 상기 가동 접촉자의 독립적 회전을 허용하는 개구 부를 가지며, 회로 개폐를 위해 상기 가동 접촉자를 회전구동할 수 있는 샤프트;
    상기 샤프트의 회전 지지점을 제공하며 상기 단극 차단 유닛의 외함을 형성하는 베이스;
    상기 개구 부를 포함하는 샤프트의 외주면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한류 동작시 회전하는 상기 가동 접촉자에 의해 가압 회동되게 마련되어, 상기 샤프트의 개구 부를 차폐하는 샤프트 캡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선용 차단기의 단극 차단 유닛.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샤프트 캡은,
    상기 가동 접촉자로부터 가압 회동력을 받기 위해 상기 가동 접촉자의 상부 및 하부 면의 일 부위를 둘러싸게 설치되는 회동력 접수 홈 부를 가지고, 적어도 한류 동작시 상기 샤프트의 개구 부 상에 위치하는 부위가 막혀있는 부재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선용 차단기의 단극 차단 유닛.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샤프트의 개구 부를 차폐할 수 있도록, 상기 부재는 그 축 방향 길이가 상기 개구 부의 폭보다 긴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선용 차단기의 단극 차단 유닛.
KR1020070093775A 2007-09-14 2007-09-14 배선용 차단기의 샤프트 어셈블리 및 이를 갖는 단극 차단유닛 KR1008907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93775A KR100890755B1 (ko) 2007-09-14 2007-09-14 배선용 차단기의 샤프트 어셈블리 및 이를 갖는 단극 차단유닛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93775A KR100890755B1 (ko) 2007-09-14 2007-09-14 배선용 차단기의 샤프트 어셈블리 및 이를 갖는 단극 차단유닛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28290A true KR20090028290A (ko) 2009-03-18
KR100890755B1 KR100890755B1 (ko) 2009-03-26

Family

ID=406956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93775A KR100890755B1 (ko) 2007-09-14 2007-09-14 배선용 차단기의 샤프트 어셈블리 및 이를 갖는 단극 차단유닛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9075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58794B1 (ko) * 2018-06-21 2020-02-07 동아전기공업 주식회사 배선용 차단기의 한류 트립 구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062574B2 (ja) * 1999-09-07 2008-03-19 Thk株式会社 転動体連結体の製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68017B1 (ko) * 1997-12-27 2000-10-16 이종수 배선용 차단기의 메인 샤프트
KR200376478Y1 (ko) 2004-12-09 2005-03-10 엘지산전 주식회사 배선용 차단기
KR200396945Y1 (ko) 2005-06-30 2005-09-28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가스절연개폐장치용 차단기의 스프링력 조정장치
KR200411525Y1 (ko) 2005-12-29 2006-03-15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한류형 배선차단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58794B1 (ko) * 2018-06-21 2020-02-07 동아전기공업 주식회사 배선용 차단기의 한류 트립 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90755B1 (ko) 2009-03-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62752B1 (ko) 다극 배선용 차단기
GB2450809A (en) Circuit breaker incorporating an arc barrier
KR101085286B1 (ko) 진공 인터럽터의 접점
KR101052645B1 (ko) 아크 차폐장치를 갖는 배선용차단기
KR100575243B1 (ko) 배선용 차단기의 가동 접촉자 어셈블리
KR101036485B1 (ko) 한류형 배선용 차단기의 접촉자 어셈블리
EP1085552B1 (en) Improved arcing contact arrangement
KR100676968B1 (ko) 한류형 배선용 차단기의 접촉자 어셈블리
KR100890755B1 (ko) 배선용 차단기의 샤프트 어셈블리 및 이를 갖는 단극 차단유닛
CN107342178B (zh) 一种高分断小型断路器
KR100832325B1 (ko) 복합형 배선용 차단기
KR200411524Y1 (ko) 한류형 배선차단기
KR100701775B1 (ko) 기중 차단기의 가동접압장치
KR100606424B1 (ko) 한류형 배선차단기의 가동 접촉자 어셈블리
JP5192555B2 (ja) 4極回路遮断器の動力伝達装置
KR100990256B1 (ko) 4극 배선용 차단기의 보조장치 및 이를 갖는 4극 배선용 차단기
JP2009259827A (ja) 閉鎖およびラッチ機能が向上した回路遮断器
KR102349751B1 (ko) 단극차단유닛이 구비된 회로 차단기
KR101752300B1 (ko) 배선용 차단기의 가동접촉자 어셈블리
JP2011018513A (ja) 回路遮断器
KR200190795Y1 (ko) 배선용 차단기의 한류장치
KR100290932B1 (ko) 배선용차단기의한류장치
KR100689320B1 (ko) 한류형 배선용 차단기
KR200406795Y1 (ko) 회로차단기
KR200392656Y1 (ko) 배선용 차단기의 트립 구동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11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21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