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26534A - 대전방지성 다층 필름 및 그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대전방지성 다층 필름 및 그 제조 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90026534A KR20090026534A KR1020070091582A KR20070091582A KR20090026534A KR 20090026534 A KR20090026534 A KR 20090026534A KR 1020070091582 A KR1020070091582 A KR 1020070091582A KR 20070091582 A KR20070091582 A KR 20070091582A KR 20090026534 A KR20090026534 A KR 20090026534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thermoplastic resin
- carbon nanotubes
- layer
- dispersed
- film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1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al additiv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7/0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 B32B37/14—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the properties of the layers
- B32B37/15—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the properties of the layers with at least one layer being manufactured and immediately laminated before reaching its stable state, e.g. in which a layer is extruded and laminated while in semi-molten state
- B32B37/153—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the properties of the layers with at least one layer being manufactured and immediately laminated before reaching its stable state, e.g. in which a layer is extruded and laminated while in semi-molten state at least one layer is extruded and immediately laminated while in semi-molten stat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2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electrical or magnetic properties, e.g. piezoelectric
- B32B2307/202—Conductiv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vinyl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 B32B27/30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vinyl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comprising aromatic vinyl (co)polymers, e.g. styrenic (co)polymer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vinyl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 B32B27/3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vinyl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olefi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ester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esters
- B32B27/365—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esters comprising polycarbonat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4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urethan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82—NANOTECHNOLOGY
- B82Y—SPECIFIC USES OR APPLICATIONS OF NANOSTRUCTURES; MEASUREMENT OR ANALYSIS OF NANOSTRUCTURES; MANUFACTURE OR TREATMENT OF NANOSTRUCTURES
- B82Y30/00—Nanotechnology for materials or surface science, e.g. nanocomposites
Landscapes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대전방지성 다층 필름 및 그 제조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열가소성 수지층(A) 및 상기 열가소성 수지층의 적어도 한 편의 면에 카본나노튜브가 분산된 열가소성 수지 복합재층(B)이 적층된 대전방지성 다층 필름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카본나노튜브가 분산된 열가소성 수지 복합재층의 두께를 얇게 하여 제조비용을 최소화하면서도 충분한 전기 전도성을 유지할 수 있는 대전방지성 필름을 제조할 수 있다.
대전방지, 카본나노튜브, 필름, 표면저항, 열가소성 수지
Description
본 발명은 대전방지성 다층 필름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열가소성 수지층(A) 및 상기 열가소성 수지층의 적어도 한편의 면에 카본나노튜브가 분산된 열가소성 수지 복합재층(B)이 적층된 대전방지성 다층 필름에 관한 것이다.
열가소성 수지 필름은 제조와 성형이 용이하고, 부여하고자 하는 특성을 첨가제를 이용하여 쉽게 조절할 수 있기 때문에 여러 산업 분야에서 널리 사용된다. 근래에는 전자부품, 디스플레이 소재, 기능성 포장재 등에도 이용됨에 따라 전기 절연 물질인 열가소성 수지 필름에 전기 전도성을 부여하려는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다.
필름에 전기 전도성을 부여하는 방법으로는 필름 상에 전도성 물질을 코팅하는 방법과 열가소성 수지 및 전도성을 부여할 수 있는 물질을 블렌딩하는 방법 등을 들 수 있다.
필름 상에 전도성 물질을 코팅하는 방법으로는, 스퍼터링 등의 건식 코팅법으로 필름에 직접 금속 박막을 입히거나(일본특허 제2003-270402호, 제2002-311207호), 용매와 바인더에 금속산화물 또는 그 밖의 전도성 물질이 분산된 전도성 코팅액을 코팅한 후 건조하는 방식의 습식 코팅법으로 금속산화물이 필름상에 부착될 수 있도록 하는 방법(일본특허 제1993-341103호, 제1998-188681호)이 있으나, 이 두 가지 방법 모두 필름을 제조하는 공정 외에 전도성을 부여하는 별도의 공정을 필요로 하기 때문에 제조 원가 상승의 요인이 될 수 있다.
한편, 열가소성 수지와의 블렌딩을 통하여 전도성을 부여할 수 있는 물질로는 카본 블랙(carbon black), 금속 필러(filler), 흑연, 카본나노튜브 등이 있다. 이들 물질은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을 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미국특허 제4,876,033호는 폴리카보네이트 (polycarbonate)와 폴리알킬렌 테레프탈레이트 (polyalkylene terephthalate)에 카본 블랙과 그래파이트(graphite)를 혼합하여 블렌딩한 후 이를 시트로 제조하는 방법을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미국 특허 제4,876,033호 특허에 언급된 수지는 모두 파단 점 신률이 20 % 미만이므로 필름 성형용으로 사용하기에는 적절하지 못하다.
일본 특허 제2005-91927호에서는 흑연을 이용하여 수지에 난연성과 도전성을 부여하는 방법을 개시하고 있다. 수지에 흑연을 첨가하는 방법은 별도의 난연제를 사용하지 않고 높은 난연성을 부여할 수 있지만, 흑연만을 첨가하는 것으로는 대전방지 성능을 나타낼 수 있는 수준의 도전성을 부여할 수는 없다.
일본특허 제2004-339316호, 제2006-137939호에서는 카본나노튜브와 열가소성 수지와의 복합재 및 상기 복합재의 응용에 대하여 언급하고 있다.
카본나노튜브와 열가소성 수지의 복합재료는 도전성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도전성을 영구히 유지할 수 있다는 점, 입자에 의한 오염이 적다는 점, 유동성이 우수하다는 점, 리사이클 성이 우수하다는 점, 복합재가 수지 자체의 물성과 유사하다는 점 등의 여러 장점 때문에 널리 연구되고 있다.
그러나, 카본나노튜브를 카본 블랙 또는 흑연을 대체하여 사용할 경우 제조 원가가 상승하기 때문에 아직 그 응용 범위가 제한적이다.
본 발명자 등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예의 노력한 결과, 제조 비용을 최소화하면서도 상기 카본나노튜브와 열가소성 수지 복합재의 장점을 유지할 수 있는 다층 필름 및 그 제조방법을 발견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카본나노튜브가 분산된 열가소성 수지 복합재층의 두께를 얇게 하여 제조 비용을 최소화하면서도 카본나노튜브와 열가소성 수지 복합재의 장점인 우수한 도전성을 유지할 수 있는 다층 필름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열가소성 수지층(A) 및 상기 열가소성 수지층의 적어도 한 편의 면에, 카본나노튜브가 분산된 열가소성 수지 복합재층(B)이 적층된 대전방지성 다층 필름을 제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일 측면에 따르면,
열가소성 수지층(A) 및 상기 열가소성 수지층의 적어도 한편의 면에, 카본나노튜브가 분산된 열가소성 수지 복합재층(B)을 공압출하여 적층함으로써 대전방지성 다층 필름을 제조하는 방법을 제시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다층 필름에 사용된 구성성분 및 제조 방법에 대하여 기술한다.
열가소성 수지
본 발명의 다층 필름에 있어서, 열가소성 수지층(A) 및 카본나노튜브가 분산된 열가소성 수지 복합재층(B)에 사용되는 열가소성 수지는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열가소성 수지로서 카본나노튜브를 용이하게 분산할 수 있는 것이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폴리에틸렌(polyethylene),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등의 폴리올레핀(polyolefin) 수지, 스티렌(styrene), 스티렌 부타디엔 스티렌 블록 공중합체 (styrene butadiene styrene block copolymer, SBS), 스티렌 에틸렌 부틸렌 스티렌 블록 공중합체 (styrene ethylene butylene styrene block copolymer, SEBS) 등의 스티렌계 수지, 폴리에스테르(polyester), 폴리우레탄(polyurethane), 아크릴(acryl)계 수지,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 에틸렌 아크릴산 공중합체 (ethylene acrylic acid copolymer) 등을 단독으로 또는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 중 폴리카보네이트 수지가 바람직하다.
폴리카보네이트 수지는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디페놀류를 포스겐, 할로겐 포르메이트 또는 탄산 디에스테르와 반응시킴으로써 제조될 수 있다.
<화학식 1>
(상기 식에서, A는 단일 결합, C1-C5의 알킬렌, C1-C5의 알킬리덴, C5~C6의 시클로알킬리덴, -S-또는 -SO2-를 나타낸다.)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디페놀의 구체적인 예로서는 4,4'-디히드록시디페닐, 2,2-비스-(4-히드록시페닐)-프로판, 2,4-비스-(4-히드록시페닐)-2-메틸부탄, 1,1-비스-(4-히드록시페닐)-시클로헥산, 2,2-비스-(3-클로로-4-히드록시페닐)-프로판, 2,2-비스-(3,5-디클로로-4-히드록시페닐)-프로판 등을 들 수 있으며 이들 중, 2,2-비스-(4-히드록시페닐)-프로판, 2,2-비스-(3,5-디클로로-4-히드록시페닐)-프로판, 1,1-비스-(4-히드록시페닐)-시클로헥산 등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다층 필름의 제조에 있어서, 폴리카보네이트 수지는 호모-폴리카보네이트, 코-폴리카보네이트 수지 단독 형태로도 사용가능하며, 코-폴리카보네이트와 호모-폴리카보네이트의 블렌드 형태로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폴리카보네이트 수지는 15,000~50,000g/mol의 중량 평균 분자량을 가질 수 있다.
카본나노튜브
본 발명의 다층 필름의 제조에 사용된 탄소 나노 튜브의 크기는 특별히 한정 되지는 않지만, 직경 0.5~100 nm, 바람직하게는 1~10 nm가 좋으며, 길이는 0.01~100 μm, 바람직하게는 0.5~10 μm 정도의 것이 좋고, 종횡비는 100~100,000 인 것이 좋은데, 상기 직경, 길이 및 종횡비 범위에서 도전성 및 분산성 면에서 보다 우수하다.
상기 카본나노튜브의 제조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아크 방전법, 레이저 증착법, 화학 기상 성장법(CVD 법) 및 촉매 화학 기상 성장법(CCVD) 법 등의 제조법을 들 수 있다. 그 중 촉매 화학 기상 성장법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사용된 카본나노튜브는 육원환 망목의 그라펜 시트(graphen sheet) 1층으로 이루어진 단층나노튜브(singlewalled nanotube, SWNT)와 다층의 그라펜 시트로 이루어진 다층나노튜브(multiwalled nanotube, MWNT)의 어느 것을 사용하여도 무방하나, 원부재 원가와 분산성을 고려할 때 다층나노튜브가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카본나노튜브의 배합량은 열가소성 수지에 대하여 1.2 wt% 내지 15 wt% 로 함유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1.5 wt% 내지 10 wt% 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카본나노튜브의 배합량이 1.2 wt% 미만일 경우 카본나노튜브가 퍼콜레이션을 이룰 수 없으므로 전기 전도성이 미미하고, 카본나노튜브의 배합량이 15 wt% 초과할 경우 카본나노튜브가 열가소성 수지 내에 균일하게 분산되는 것이 어려워져, 필름의 외관에 카본나노튜브 뭉침 이물이 존재할 수 있으며 전기 전도성의 개선도 미미할 수 있다.
카본나노튜브는 열가소성 수지 내에서 임계량 이상이 불규칙하게 분산되어 있을 때 높은 전도성을 발휘한다. 카본나노튜브가 임계량 이상 분산되어 있어야만 퍼콜레이션(percolation)이라 명명하는 수지 내 카본나노튜브 간의 네트워크가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 네트워크가 전기를 통하는 통로 역할을 한다. 카본나노튜브의 배합량이 퍼콜레이션을 이룰 수 있는 임계량 이하이면 카본나노튜브와 열가소성 수지 복합재의 전기 전도성은 미약하게 되며 또한 카본나노튜브와 열가소성 수지 복합재를 압출하여 제조하는 필름에 대전방지성을 부여할 수 없다.
또한, 카본나노튜브는 수지 내에서 불규칙하게 분포하고 있을 때 가장 높은 전도성을 발휘한다. 즉, 카본나노튜브와 열가소성 수지 복합재를 이용하여 필름을 압출 형성할 때 카본나노튜브의 배향이 일어나면, 형성된 필름의 대전방지성은 저하된다.
따라서, 피복층으로서의 카본나노튜브와 열가소성 수지의 복합재층(B)을 기판층인 열가소성 수지층(A)의 적어도 한편에 면으로 공압출하면, 필름 성형시 작용하는 힘이 상기 기판층과 피복층으로 분산되므로 피복층에 작용하는 힘은 카본나노튜브와 열가소성 수지의 복합재 단독으로 필름을 성형할 때 그 단독층에 작용하는 힘보다 작아지게 된다. 따라서 복합재층의 두께가 같다면, 복합재층 단독 필름보다 수지와 복합재층의 공압출 필름에서 카본나노튜브의 배향이 억제될 수 있는 것이다.
첨가제
본 발명에 사용되는 열가소성 수지 및 탄소나노튜브가 분산된 열가소성 수지 복합재 조성물은 자외선 흡수제, 열안정제, 분산제, 산화방지제, 난연제, 활제, 염료 및/또는 안료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들 첨가제들은 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그 사용량이나 사용법이 공지되어 있다.
제조방법
본 발명의 대전방지성 다층 필름의 제조에 있어서는, 카본나노튜브가 분산된 열가소성 수지 복합재를 이용하여 필름을 제조할 때 일정량의 카본나노튜브를 열가소성 수지에 기 분산하여 마스터 배치의 형태로 미리 제조한 후 이것을 열가소성 수지와의 적층에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카본나노튜브가 분산된 열가소성 수지 복합재는 사용 용도에 따라 열가소성 수지층의 한편의 면에만 적층될 수도 있고, 양쪽 면에 적층될 수도 있다.
상기 카본나노튜브와 열가소성 수지의 복합재를 제조하는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카본나노튜브의 분산에 혼련 성능이 우수한 2축 압출기를 사용하여 블렌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2축 압출기에 있어서, 스크루(screw)의 길이(L)와 직경(D)의 비(L/D)는 20~50이 바람직하고, 28~42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L/D가 클수록 균질한 분산을 행할 수 있으나 50 이상이면 열화에 의한 수지의 분해가 일어나기 쉽다. 스크루 내에는 혼련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니딩 디스크 세그멘트(kneading disk segment)를 1~3 군데 도입하는 것도 바람직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열가소성 수지(A)와 카본나노튜브가 분산된 열가소성 수 지의 복합재(B)를 적층하기 위해서 공압출법을 적용한다.
공압출시에는 열가소성 수지층과 카본나노튜브가 분산된 열가소성 수지층의 복합재가 적층되는 계면에서의 불안정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를 위해서, 첫째로 각 층 수지의 유동성을 제어할 필요가 있다.
피복층으로서 위치하는 카본나노튜브가 분산된 열가소성 수지 복합재의 멜트 인덱스 (melt index, MI)는 기판층으로서 위치하는 열가소성 수지의 멜트 인덱스의 0.5 ~ 2 배인 것이 바람직하며 또한 0.6 ~ 1.8 배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0.5 배 미만일 때는 두 수지가 적층 합류시 기판층의 수지가 피복층 수지를 감싸고 들어가고 적층 계면에서의 전단응력이 불균일하여 필름이 혼탁해질 수 있다. 2배를 넘으면 역으로 피복층의 수지가 기판층 수지를 감싸고 들어가, 필름이 혼탁해 지거나 외관 불량이 발생할 수 있다.
계면에서의 불안정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기 위해 두번째로 중요한 사항은 열가소성 수지층(A)과 카본나노튜브가 분산된 열가소성 수지 복합재층(B)의 두께비(B/A)로서, 상기 두께비는 1% ~ 100%인 것이 바람직하다. 필름이 사용되는 용도 및 요구되는 물성에 따라서 열가소성 수지층(A)은 수십 마이크로미터에서 수백 마이크로미터까지, 카본나노튜브가 분산된 열가소성 수지 복합재층(B)의 두께는 수백 나노 미터에서 수십 마이크로까지 다양하게 변화될 수 있으나, 상기 두께비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각 층의 두께를 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두께비가 1% 미만이면 피복층에서 균일한 두께의 필름 형성이 불가능하며, 샤크 스킨 (shark skin)이라고 불리는 외관 불량이 발생할 수 있다. 두께비가 100 % 이상인 것은 본 발명의 목적에 부합하지 않는다.
또한, 카본나노튜브가 분산된 열가소성 수지 복합재층(B)의 두께는 100 ㎛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두께가 100 ㎛를 넘어서면 두께의 증가에 따라 전기 전도도는 더이상 상승하지 않고, 제조 원가만 상승할 우려가 있다.
특성
필름에 대전방지성을 부여하기 위해서는 그 필름의 표면저항이 1010Ω/sq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필름의 표면저항이 1010Ω/sq을 초과할 경우 기대하는 대전방지 효과를 구현하기 어렵다.
본 발명의 형태로 필름을 제조하면 카본나노튜브가 분산된 열가소성 수지 복합재층의 두께를 얇게 하여 제조 비용을 최소화하면서도 카본나노튜브와 열가소성 수지 복합재의 장점을 그대로 유지하는 대전방지성 다층 필름을 제조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이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예시로 제시된 것이며 어떠한 의미로도 이에 의해 본 발명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될 수는 없다.
여기에 기재되지 않은 내용은 이 기술 분야에서 숙련된 자이면 충분히 기술적으로 유추할 수 있는 것이므로 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사용한 구성 성분의 세부 사양은 다음과 같다.
1) 열가소성 수지
열가소성 수지로서 폴리카보네이트 수지인 Chimei-Asahi의 Wonderlite PC-110을 사용하여 열가소성 수지층(기판층)을 제조하였다. 수지의 MI는 15였다.
2) 카본나노튜브가 분산된 열가소성 수지 복합재
카본나노튜브로서 다층나노튜브이고 평균 섬유길이가 1.5㎛인 Nanocyl의 CN-7000을 사용하고, 카본나노튜브의 분산시 사용하는 열가소성 수지로서 폴리카보네이트 수지인 Teijin의 L-1225wx를 사용하였다. 상기 복합재는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카본나노튜브를 2wt% 혼합하여 2축 압출기에 투입하고 온도 280℃로 용융 혼련하여, 카본나노튜브가 분산된 열가소성 수지 복합재층(피복층)의 제조에 사용하였다. 제조된 복합재의 MI는 23이었다.
실시예
1~3
기판층의 열가소성 수지는 직경 65 mm, L/D=36의 1축 압출기를 이용하고 압출기 실린더의 온도를 280℃로 하여 용융하였다. 피복층의 카본나노튜브가 분산된 열가소성 수지 복합재는 직경 40 mm, L/D=36의 1축 압출기를 이용하고 압출기 실린더의 온도를 270℃로 하여 용융하였다. 두 수지는 피드 블록 (feed block)을 통해 적층되어 T-다이 (T-die)로 토출된다. 필름은 A/B의 2층으로 구성되었으며 제조된 각 필름의 총두께, 피복층의 두께 및 필름의 특성을 표 1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4
필름이 A/B/A의 3층 구조로 제조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3과 동일하게 필름을 제조하였다. 제조된 필름의 총 두께, 피복층의 두께 및 필름의 특성을 표 1에 나타내었다.
비교예
1~2
카본나노튜브가 분산된 열가소성 수지 복합재(B)만 압출하여 단층 필름을 제조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3과 동일하게 필름을 제조하였다. 제조된 필름의 두께 및 필름의 특성을 표 1에 나타내었다.
비교예
3
카본나노튜브가 분산된 열가소성 수지 복합재 제조시 카본나노튜브를 열가소성 수지에 대하여 1 wt% 배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3과 동일하게 필름을 제조하였다. 제조된 필름의 총 두께, 피복층의 두께 및 필름의 특성을 표 1에 나타내었다.
비교예
4
기판층의 두께를 1000 ㎛, 피복층의 두께를 8 ㎛로 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3과 동일하게 필름을 제조하였다. 제조된 필름의 피복층은 필름의 말단부까지 균일하게 형성되지 못하고 중앙부의 두께가 높게 형성되었다. 또한 필름의 외관에 샤크 스킨이 발생한 것을 확인하였다. 두께 및 필름의 특성을 표 1에 나타내었다.
총두께 (㎛) | 피복층두께(㎛) | 외관 | 표면저항(Ω/sq) | |
실시예 1 | 180 | 30 | 양호 | 1E5 |
실시예 2 | 157 | 7 | 양호 | 1E8 |
실시예 3 | 577 | 7 | 양호 | 1E8 |
실시예 4 | 210 | 30 | 양호 | 1E5 |
비교예 1 | - | 32 | 양호 | 1E8 |
비교예 2 | - | 75 | 양호 | 1E5 |
비교예 3 | 181 | 30 | 양호 | 1E12 |
비교예 4 | 1000 | 8 | 불량 | 1E8 |
<물성 평가방법>
· MI : ASTM D-1238에 따라 측정한 값을 g의 단위로 표시하였다.
· 표면 저항 : 표면저항 측정기 (MCP-HT450, Hiresta)를 이용하여 표면 저항을 측정하였다.
상기 표 1에서 확인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1, 2, 3 및 4의 대전방지성 다층 필름의 표면저항은 1010Ω/sq 이하로, 우수한 대전방지성을 나타냄을 알 수 있다.
구체적으로, 기판층 없이 피복층만을 가지는 비교예 1과 기판층과 피복층 모두를 가지는 실시예 1을 비교해 보면, 이들은 비슷한 두께의 피복층을 가지고 있지만 실시예 1의 표면저항이 더 낮고(대전방지성이 더 좋음),
비슷한 두께의 기판층과 피복층을 가지는 비교예 3과 실시예 1의 경우, 1wt%의 카본나노튜브를 함유하는 비교예 3의 경우가 2wt% 함유하는 실시예 1에 비해 표면저항이 크게 높아 대전방지성이 떨어지는 것을 알 수 있다.
비교예 2의 경우는 표면저항 수치는 양호하나, 피복층 두께가 두꺼워 이에 함유되는 카본나노튜브의 함량이 높아지므로 제조 비용 상승에 대한 우려가 있다.
또한, 실시예 2 내지 3의 결과로부터 카본나노튜브가 분산된 열가소성 수지 복합재 층의 두께가 얇아도 충분한 표면저항을 나타내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한편, 기판층 및 피복층의 두께비(B/A)가 1% 보다 작은 비교예 4의 경우는 필름의 피복층이 필름의 말단부까지 균일하게 형성되지 못하고 중앙부의 두께가 높게 형성되었으며 필름의 외관에 샤크 스킨이 발생하여 외관이 불량하였다.
Claims (13)
- 열가소성 수지층(A) 및 상기 열가소성 수지층의 적어도 한편의 면에, 카본나노튜브가 분산된 열가소성 수지 복합재층(B)이 적층된 대전방지성 다층 필름.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열가소성 수지층(A) 및 카본나노튜브가 분산된 열가소성 수지 복합재층(B)은 공압출 성형에 의하여 적층된 것인, 대전방지성 다층 필름.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열가소성 수지 복합재층(B)은 1.2 wt% 내지 10.0 wt% 의 카본나노튜브를 함유하는, 대전방지성 다층 필름.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카본나노튜브가 분산된 열가소성 수지 복합재층(B)은 100 ㎛ 이하의 두께를 가지는 것인, 대전방지성 다층 필름.
- 제1항에 있어서, 열가소성 수지층(A) 및 카본나노튜브가 분산된 열가소성 수지 복합재층(B)의 두께비(B/A)가 1% 내지 100%인 대전방지성 다층 필름.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열가소성 수지는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폴리올레핀 수지, 스티렌계 수지, 폴리에스테르 수지, 폴리우레탄 수지, 아크릴 수지 및 에틸렌 아크릴산 공중합체 수지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인, 대전방지성 다층 필름.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대전방지성 다층 필름은 그 표면 저항이 1010 Ω/sq 이하인 대전방지성 다층 필름.
- 열가소성 수지층(A) 및 상기 열가소성 수지층의 적어도 한편의 면에, 카본나노튜브가 분산된 열가소성 수지 복합재층(B)을 적층하여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전방지성 다층 필름의 제조방법.
-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열가소성 수지층(A) 및 카본나노튜브가 분산된 열가소성 수지 복합재층(B)의 적층은 공압출 성형에 의하여 이루어지는, 대전방지성 다층 필름의 제조방법.
-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열가소성 수지 복합재층(B)은 1.2 wt% 내지 10.0 wt% 의 카본나노튜브를 함유하는, 대전방지성 다층 필름의 제조방법.
-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카본나노튜브가 분산된 열가소성 수지 복합재층(B)은는 100 ㎛ 이하의 두께를 가지는 층으로 형성되는, 대전방지성 다층 필름의 제조방법.
- 제8항에 있어서, 열가소성 수지층(A) 및 카본나노튜브가 분산된 열가소성 수지 복합재 층(B)의 두께비(B/A)가 1% 내지 100%인 대전방지성 다층 필름의 제조방법.
-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열가소성 수지는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폴리올레핀 수지, 스티렌계 수지, 폴리에스테르 수지, 폴리우레탄 수지, 아크릴 수지 및 에틸렌 아크릴산 공중합체 수지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인, 대전방지성 다층 필름의 제조방법.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70091582A KR20090026534A (ko) | 2007-09-10 | 2007-09-10 | 대전방지성 다층 필름 및 그 제조 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70091582A KR20090026534A (ko) | 2007-09-10 | 2007-09-10 | 대전방지성 다층 필름 및 그 제조 방법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90026534A true KR20090026534A (ko) | 2009-03-13 |
Family
ID=406944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70091582A KR20090026534A (ko) | 2007-09-10 | 2007-09-10 | 대전방지성 다층 필름 및 그 제조 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90026534A (ko)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316705B1 (ko) * | 2012-03-02 | 2013-10-18 | 주식회사 알앤에프케미칼 | 디스플레이 제품 포장용 폼 합지 폴리에틸렌 필름 |
WO2017131317A1 (ko) * | 2016-01-26 | 2017-08-03 | 주식회사 엘지화학 | 대전방지 트레이 및 그 제조방법 |
KR20180007656A (ko) | 2016-07-13 | 2018-01-23 | 주식회사 나노솔루션 | 도전성 컬러 잉크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컬러 대전 방지 필름 |
KR102042607B1 (ko) | 2018-05-28 | 2019-11-27 | 박정복 | 산소발생장치 |
-
2007
- 2007-09-10 KR KR1020070091582A patent/KR20090026534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Cited B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316705B1 (ko) * | 2012-03-02 | 2013-10-18 | 주식회사 알앤에프케미칼 | 디스플레이 제품 포장용 폼 합지 폴리에틸렌 필름 |
WO2017131317A1 (ko) * | 2016-01-26 | 2017-08-03 | 주식회사 엘지화학 | 대전방지 트레이 및 그 제조방법 |
KR20170089349A (ko) * | 2016-01-26 | 2017-08-03 | 주식회사 엘지화학 | 대전방지 트레이 및 그 제조방법 |
KR20180007656A (ko) | 2016-07-13 | 2018-01-23 | 주식회사 나노솔루션 | 도전성 컬러 잉크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컬러 대전 방지 필름 |
KR102042607B1 (ko) | 2018-05-28 | 2019-11-27 | 박정복 | 산소발생장치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7056452B2 (en) | Polyvinylidene fluoride composites and methods for preparing same | |
JP5712205B2 (ja) | 透明導電性複合フィルム | |
US20060183817A1 (en) | Electrically conductive compositions and method of manufacture thereof | |
KR101851952B1 (ko) | 전기전도성 수지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 |
JP2014529352A (ja) | ナノチューブ及び微粉砕炭素繊維ポリマー複合組成物ならびに作製方法 | |
KR100941487B1 (ko) | 다층 구조를 가지는 화상 형성 장치용 전사벨트 | |
KR100948904B1 (ko) | 대전방지성 다층 필름 및 그 제조 방법 | |
KR20170122306A (ko) | 대전방지용 탄소 복합재, 성형품 및 그 제조방법 | |
KR102034670B1 (ko) | 전도성 수지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 |
TW202212435A (zh) | 膜、包覆電線被覆材料、可撓性印刷電路基板用膜、及積層體 | |
KR20090026534A (ko) | 대전방지성 다층 필름 및 그 제조 방법 | |
KR20100100153A (ko) | 대전방지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 |
KR20110068479A (ko) | 차단성과 전기전도성이 우수한 수지 복합체 및 이를 이용한 성형품 | |
JP2014000789A (ja) | 樹脂多層成形体及びその製造方法 | |
EP3244421A1 (en) | Electroconductive resin composite and electroconductive resin composition having excellent impact strength, and method of producing the same | |
KR102084640B1 (ko) | 전도성 수지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 |
DE102019117660A1 (de) | Kohlenstoff-Nanoröhren in Trägerband, Abdeckband und statischen Abschirmbeuteln | |
KR102043314B1 (ko) | 대전방지 트레이 및 그 제조방법 | |
KR101698911B1 (ko) | 전도성 시트 제조용 고분자 복합재 조성물 | |
KR102025373B1 (ko) | 탄소복합소재 및 그 제조방법 | |
KR20160144613A (ko) | 전도성이 향상된 전도성 복합재 및 이의 제조방법 | |
WO2018143224A1 (ja) | 樹脂コンパウンド及び樹脂コンパウンドを成型した成形物 | |
JP2013163363A (ja) | 樹脂多層成形体及びその製造方法 | |
US20240067795A1 (en) | Resin composition, method for its production and molded body | |
KR102402957B1 (ko) | 대전방지 수지 조성물, 이의 성형품 및 이의 제조방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AMND | Amendment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J201 |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 ||
AMND | Amendment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B601 | Maintenance of original decis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 ||
J301 | Trial decision |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090313 Effective date: 201002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