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25941A - 3층반복겹침접합압연공정을 이용한 인탈산동판재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3층반복겹침접합압연공정을 이용한 인탈산동판재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25941A
KR20090025941A KR1020070091160A KR20070091160A KR20090025941A KR 20090025941 A KR20090025941 A KR 20090025941A KR 1020070091160 A KR1020070091160 A KR 1020070091160A KR 20070091160 A KR20070091160 A KR 20070091160A KR 20090025941 A KR20090025941 A KR 2009002594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pper plate
phosphorus
rolling
manufacturing
acid copp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911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차용
한승전
Original Assignee
한국기계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기계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기계연구원
Priority to KR10200700911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25941A/ko
Publication of KR200900259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2594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20/00Non-electric welding by applying impact or other pressure, with or without the application of heat, e.g. cladding or plating
    • B23K20/04Non-electric welding by applying impact or other pressure, with or without the application of heat, e.g. cladding or plating by means of a rolling mil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20/00Non-electric welding by applying impact or other pressure, with or without the application of heat, e.g. cladding or plating
    • B23K20/22Non-electric welding by applying impact or other pressure, with or without the application of heat, e.g. cladding or plating taking account of the properties of the materials to be welded
    • B23K20/233Non-electric welding by applying impact or other pressure, with or without the application of heat, e.g. cladding or plating taking account of the properties of the materials to be welded without ferrous lay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20/00Non-electric welding by applying impact or other pressure, with or without the application of heat, e.g. cladding or plating
    • B23K20/24Preliminary treat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20/00Non-electric welding by applying impact or other pressure, with or without the application of heat, e.g. cladding or plating
    • B23K20/26Auxiliary equip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2101/00Articles made by soldering, welding or cutting
    • B23K2101/18Sheet pan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2103/00Materials to be soldered, welded or cut
    • B23K2103/08Non-ferrous metals or alloys
    • B23K2103/12Copper or alloys thereo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ressure Welding/Diffusion-Bonding (AREA)
  • Metal Roll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동일 크기를 갖는 세 개의 구리판재를 표면처리 후 겹쳐 고정하여 반복겹침접합압연공정으로 압연함으로써 170nm급 결정립경(grain size)을 가지도록 한 3층반복겹침접합압연공정을 이용한 인탈산동판재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3층반복겹침접합압연공정을 이용한 인탈산동판재 제조방법은, 다수 인탈산동판재(120)를 탈지(脫脂)하고 일면을 와이어브러싱(Wire brushing)하여 표면처리하는 제 1 단계(S100)와, 세 개의 인탈산동판재(120)를 겹쳐 고정시키는 제 2 단계(S200)와, 겹쳐 고정된 인탈산동판재(120)를 66.7%의 압하율로 압연하여 접합하는 제 3 단계(S300)와, 압연된 인탈산동판재(120)를 3등분으로 절단하는 제 4 단계(S400)와, 3등분된 인탈산동판재(120)를 탈지(脫脂)하고 일면을 와이어브러싱(Wire brushing)하여 표면처리하는 제 5 단계(S500)를 포함하며, 상기 제 5 단계(S500) 이후에는 상기 제 2 단계(S200) 내지 제 5 단계(S500)가 순차적으로 실시되는 사이클이 다수 회 반복 실시됨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결정립경이 170nm급 동 소재를 기존의 2층의 반복겹침접합압연(ARB)보다 더욱 효과적으로 제조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3층반복겹침접합압연(ARB), 인탈산동판재, 연속, 반복

Description

3층반복겹침접합압연공정을 이용한 인탈산동판재 제조방법 {A manufacturing method of Phosphorus Dioxidized Copper sheet using three-layer stack accumulative roll-bonding process}
도 1 은 본 발명에 의한 3층반복겹침접합암연공정을 이용한 인탈산동판재의 제조방법을 나타낸 공정개념도.
도 2 는 본 발명에 의한 3층반복겹침접합암연공정을 이용한 인탈산동판재의 제조방법에서 겹침 및 고정단계가 완료된 인탈산동판재의 광학 현미경 조직사진.
도 3 은 본 발명에 의한 3층반복겹침접합암연공정을 이용한 인탈산동판재의 제조방법을 1 싸이클(Cycle) 실시한 후의 EBSD 분석 사진.
도 4 는 본 발명에 의한 3층반복겹침접합암연공정을 이용한 인탈산동판재의 제조방법을 3 싸이클(Cycle) 실시한 후의 EBSD 분석 사진.
도 5 는 본 발명에 의한 3층반복겹침접합암연공정을 이용한 인탈산동판재의 제조방법을 5 싸이클(Cycle) 실시한 후의 EBSD 분석 사진.
도 6 은 본 발명에 의한 3층반복겹침접합암연공정을 이용한 인탈산동판재의 제조방법을 7 싸이클(Cycle) 실시한 후의 EBSD 분석 사진.
도 7 은 본 발명에 의한 3층반복겹침접합암연공정을 이용한 인탈산동판재의 제조방법을 실시함에 따른 결정립크기의 변화를 나타낸 그래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S100. ..... 제 1 단계 120. ..... 인탈산동판재
S200. ..... 제 2 단계 S300. ..... 제 3 단계
320. ..... 롤러 S400. ..... 제 4 단계
420. ..... 절단기 S500. ..... 제 5 단계
본 발명은 인탈산동판재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동일 크기를 갖는 세 개의 구리판재를 표면처리한 후 겹쳐 고정하여 반복겹침접합압연(ARB)공정으로 압연함으로써 170nm급 결정립경(grain size)을 가지도록 한 3층반복겹침접합압연공정을 이용한 인탈산동판재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반복겹침접합압연(Accumulative Roll-Bonding; ARB)법은 금속소재의 결정립도(結晶粒度)를 서브마이크론(Submicron)까지 초미세화시킴으로써 기계적 특성을 향상시키는 강소성가공법 중의 하나이다.
반복겹침접합압연공정의 1 사이클은 표면처리된 2 개의 금속 판재를 겹쳐 접합압연을 실시한 후 절단하는 과정(즉, 표면처리 과정→겹침 과정→접합압연 과정→절단 과정)으로 이루어지며, 이러한 사이클은 다수회 반복실시되는 것이 보통이다.
일반적으로, 상기 반복겹침접합압연공정을 다수회 반복 실시하면, 금속 판재 에 큰 변형량이 부과되어 초미세 결정립이 형성되고 그 결과 고강도화가 이루어진 금속판재를 획득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두 개의 금속판재에 대하여 반복겹침접합압연공정(2층 반복겹침접합압연공정이라고도 한다)을 실시할 때 인산탈동의 경우 8 사이클까지 진행되었을 때 200㎚의 결정립 미세화를 달성할 수 있다.
따라서, 많은 공정수가 요구되므로 생산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발생된다.
또한, 2층겹침접합압연공정의 경우 2개의 판재가 압연에 의해 접합 가능한 접합한계압하율은 50%이하로 한정되므로, 난(難)접합재료는 이러한 종래 기술을 통한 판재 생산이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다.
상기한 이유로 결국 제조 시간 및 제조 경비가 증가하게 되므로 가격 경쟁력 차원에서 볼 때 바람직하지 못하다.
상기와 같은 기존의 ARB법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동일 크기를 갖는 세 개의 인탈산동판재를 표면처리한 후 겹쳐 고정하여 반복겹침접합압연(ARB)공정으로 압연함으로써 170nm의 미세한 결정립이 형성되도록 한 3층반복겹침접합압연공정을 이용한 인탈산동판재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기존의 one pass 압연에 의한 반복겹침접합압연공정을 multi-pass화함으로써 기존의 tandem 식 압연설비를 활용하여 연속 생산이 가능하도록 한 3층반복겹침접합압연공정을 이용한 인탈산동판재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3층반복겹침접합압연공정을 이용한 인탈산동판재 제조방법은, 다수 인탈산동판재를 탈지(脫脂)하고 일면을 와이어브러싱(Wire brushing)하여 표면처리하는 제 1 단계와, 세 개의 인탈산동판재를 겹쳐 고정시키는 제 2 단계와, 겹쳐 고정된 인탈산동판재를 66.7%의 압하율로 압연하여 접합하는 제 3 단계와, 압연된 인탈산동판재를 3등분으로 절단하는 제 4 단계와, 3등분된 인탈산동판재를 탈지(脫脂)하고 일면을 와이어브러싱(Wire brushing)하여 표면처리하는 제 5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제 5 단계 이후에는 상기 제2단계 내지 제5단계가 순차적으로 실시되는 사이클이 다수 회 반복 실시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 3 단계의 압연은 25℃ ~ 250℃에서 실시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 5 단계 이후에는 상기 제2단계 내지 제5단계가 연속적으로 다수 회 반복 실시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 1 단계가 완료된 인탈산동판재와 제 5 단계가 완료된 인탈산동판재는 동일한 두께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170nm급 초미세결정립을 가지는 인탈산동판재를 연속적으로 제조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3층반복겹침접합압연공정에 의한 인탈산동판재 제조방법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에는 본 발명에 의한 3층반복겹침접합암연공정을 이용한 인탈산동판재의 제조방법을 나타낸 공정개념도가 도시되어 있다.
이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상기 반복겹침접합압연공정은 크게 4 단계로 구성된다. 즉, 다수 인탈산동판재(120)를 표면처리하는 제 1 단계(S100)와, 상기 제 1 단계(S100)를 거친 세 개의 인탈산동판재(120)를 겹쳐 고정시키는 제 2 단계(S200)와, 상기 제 2 단계(S200)를 거친 세 개의 인탈산동판재(120)를 압연하여 접합하는 제 3 단계(S300)와, 상기 제 3 단계(S300)를 거친 인탈산동판재(120)를 절단하는 제 4 단계(S4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제 1 단계(S100)에서는 미리 준비된 동일 크기(두께 1, 폭 30, 길이 300)를 갖는 3매(枚)의 인탈산동판재(120)를 표면처리하게 된다. 이러한 표면처리는 상기 인탈산동동판재(120)의 각각의 표면을 아세톤(Acetone)이나 알코올(Alcohol) 등으로 탈지처리한 후, 3매의 인탈산동판재(120)가 서로 접촉하는 한쪽 면 즉 상기 제 3 단계(S300)에서의 압연에 의해 결합되는 면을 와이어브러싱(Wire brushung) 처리하는 것이다.
상기 제 1 단계(S100)를 거친 다음에는 세 개의 인탈산동판재(120)를 겹쳐 고정하는 제 2 단계(S200)가 진행된다. 제 2 단계(S200)는 상기 제 1 단계(S100)를 거친 세 개의 인탈산동판재(120)를 겹친 후, 상기 제 3 단계(S300)에서의 압연에서 어긋나지 않도록 스폿(Spot)용접이나 철사 등으로 세 개의 인탈산동판재(120)를 고정시키는 과정이다.
이렇게 고정시킨 상기 세 개의 인탈산동판재(120)는 2단압연기에서 압연하여 접합하게 되는 제 3 단계(S300)를 거치게 된다. 상기 제 3 단계(S300)는 상기 2단압연기의 롤러(320)에 상기 제 2 단계(S200)에서 겹쳐 고정된 3매의 인탈산동판재(120)를 삽입함으로써 냉간(冷間) 또는 온간압연(溫間壓延)하여 접합(Roll-Bonding)시키게 된다.
상기와 같은 냉간압연의 압하율(壓下率)은 66.7%로 기존의 2층 ARB의 압하율(壓下率)(50%)에 비해 크므로 접합이 더욱 양호하게 이루어지게 되고, 소재에 대해 1/3만큼의 두께 감소가 길이 방향으로 3배의 증가를 초래한다는 이론에 착안을 둔 것이다.
상기 제 3 단계(S300)에서 접합되어 하나가 된 인탈산동판재(120)는 제 4 단계(S400)를 거치게 된다. 상기 제 4 단계(S400)는 하나가 된 상기 인탈산동판재(120)를 절단기(420)를 사용하여 길이방향으로 3등분되게 절단하는 과정이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제 1 단계(S100)에서 제 4 단계(S400)까지 거치는 과정을 1싸이클(Cycle)이라 하며, 상기 제 4 단계(S400)에서 3등분으로 절단된 상기 인탈산동판재(120)는 제 1 단계(S100)와 동일한 과정인 제 5 단계(S500)를 거치게 된다.
즉, 상기 제 4 단계(S400)에서 3등분으로 절단된 인탈산동판재(120)를 아세톤(Acetone)이나 알코올(Alcohol) 등으로 탈지처리한 후, 서로 접촉하는 한쪽 면 즉 상기 제 3 단계(S300)에서의 압연에 의해 결합되어질 면을 와이어브러싱(Wire brushung) 처리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제 1 단계(S100)에서 제 5 단계(S500)가 완료된 이후에는 상기 제 2 단계(S200) 내지 제 5 단계(S500)가 순차적으로 실시되는 사이클이 다수 회 반복된다.
한편, 도 2 에는 본 발명에 따른 3층반복겹침접합압연공정 전(前)의 인탈산동의 광학현미경 조직사진이 도시되어 있고, 도 3 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인 인탈산동으로 반복겹침접합압연공정을 1 싸이클 실시한 후의 EBSD (Electron Back-Scattering Diffraction) 측정 사진이 도시되어 있다.
그리고 도 4 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인 인탈산동으로 반복겹침접합압연공정을 3 싸이클 실시한 후의 EBSD 측정 사진이 도시되어 있으며, 도 5 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인 인탈산동으로 반복겹침접합압연공정을 5 싸이클 실시한 후의 EBSD 측정 사진이 도시되어 있고, 도 6에는 반복겹침접합압연공정을 8 싸이클 실시한 후의 EBSD 측정 사진이 도시되어 있다.
먼저, 도 2 에 도시된 바에 따라 아래의 화학조성을 가지는 인탈산동의 3층반복겹침접합압연공정 전(前) 광학현미경 조직사진을 살펴보면, 재결정 조직을 나타내며 평균결정입경(Mean grain diameter)은 45로 나타나게 된다.
< 인탈산동의 화학조성 >
(wt%)
Cu O Pb Bi Fe P S
Bal. 0.0005 0.017 <0.0001 0.0001 0.02 0.005
도 3은 3층반복겹침접합압연을 1 싸이클 실시한 후 인탈산동 EBSD 측정 사진이다. 여기서 도 3의 (a)는 ND orientation colour map을 나타내고, 도 3의 (b)는 grain boundary misorientation map을 나타낸다.
도 3의 (a)에서와 같이, 1사이클 후에는 압연방향으로 결정립이 다소 연신(延伸)되어 있으며 초기재료에 비해 두께방향으로 결정립크기가 감소된다. 도 3의 (b)에서와 같이 1싸이클 후에는 방위각(misorientation,θ)이 15°이상인 고경각입계(high angle boundary)가 많이 형성되어 있지는 않다.
도 4는 3 싸이클 실시한 후의 인탈산동의 EBSD 측정 사진이다. 3사이클 후에는 결정립이 압연방향으로 더욱 연신되어 층상조직(lamella structure)을 나타내며 결정립 두께가 더욱 감소하게 된다.
도 5는 5 싸이클 실시한 후의 인탈산동의 EBSD 측정 사진이다. 도 5의 (a)에서와 같이 두께방향으로 결정립 크기가 더욱 작아진다. 또한, 길이 방향으로 결정립이 세분화되어 길이 방향으로의 결정립 크기도 초미세화되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리고 도 5의 (b)에서와 같이, 3사이클 후의 재료는 1사이클 후의 재료(도 3b)에 비해, 고경각입계의 분율이 매우 증가하였으며, 입계의 대부분이 고경각입계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도 6은 7 싸이클 실시한 후의 인탈산동의 EBSD 측정 사진이다. 도 6의 (a)에서와 같이 결정립 크기는 더욱 더 미세화되며, 또한 결정립 모양이 등축화(equiaxed)되어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5사이클 후의 시편(도 5의 (b))과 유사하게 입계의 대부분이 고경각입계로 구성되어 있다.
도 7은 3층ARB에 따른 결정립 크기의 감소를 그림으로 나타낸 것이다. 초기 결정립 크기가 45㎛(도 2)이였던 것이 1사이클 후에 1.49㎛, 3사이클 후에 0.43㎛, 5사이클 후에 0.23㎛, 그리고 7사이클 후에는 0.17㎛(170nm)로 결정립이 매우 미세화되는 것을 알 수 있다. 즉, 7사이클의 3층ARB에 의해 결정립경이 170nm급 초미세결정립 인탈산동을 제조할 수 있게 된 것이다.
이러한 결과는 3층반복겹침접합압연(ARB)법이 8 싸이클 이후에 200nm의 초미세결정립 제조가 가능했던 2층ARB법에 비해 인탈산동의 결정립 초미세화에 더욱 효과적임을 잘 나타내 주는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에서 예시한 실시 예에 한정하지 않고, 상기와 같은 기술범위 안에서 당업계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있어서는 본 발명을 기초로 하는 다른 많은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위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3층반복겹침접합압연공정에 의한 170nm급 인탈산동판재의 제조방법에서는, 동일 크기를 갖는 세 개의 인탈산동판재를 표면처리한 후 겹쳐 고정하여 반복겹침접합압연(ARB)공정으로 압연하는 과정을 연속적으로 다수 회 반복하도록 구성하였다.
따라서, 3층반복겹침접합압연(ARB)공정으로 압하시 압하율이 증거하게 되므로 생산성이 향상되는 이점이 있다.
또한, 3층반복겹침접합압연의 경우 접합한계압하율을 50% 이상으로 높여 적용할 수 있게 되어 접합성이 향상되므로, 난(難)접합재료의 반복겹침접합압연이 가능한 이점이 있다.
뿐만 아니라, 높은 압하율로 인하여 롤러와 인탈산동판재 사이에는 큰 마찰 에 의한 전단변형이 발생하게 되므로 더욱 더 미세한 결정립이 형성되어 기계적 성질이 향상되는 이점이 있다.

Claims (4)

  1. 다수 인탈산동판재를 탈지(脫脂)하고 일면을 와이어브러싱(Wire brushing)하여 표면처리하는 제 1 단계와,
    세 개의 인탈산동판재를 겹쳐 고정시키는 제 2 단계와,
    겹쳐 고정된 인탈산동판재를 66.7%의 압하율로 압연하여 접합하는 제 3 단계와,
    압연된 인탈산동판재를 3등분으로 절단하는 제 4 단계와,
    3등분된 인탈산동판재를 탈지(脫脂)하고 일면을 와이어브러싱(Wire brushing)하여 표면처리하는 제 5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제 5 단계 이후에는 상기 제2단계 내지 제5단계가 순차적으로 실시되는 사이클이 다수 회 반복 실시됨을 특징으로 하는 3층반복겹침접합압연공정을 이용한 인탈산동판재 제조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단계의 압연은 25℃ ~ 250℃에서 실시됨을 특징으로 하는 3층반복겹침접합압연공정을 이용한 인탈산동판재 제조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5 단계 이후에는 상기 제2단계 내지 제5단계가 연속적으로 다수 회 반복 실시됨을 특징으로 하는 3층반복겹침접합압연공정을 이용한 인탈산동판재 제조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단계가 완료된 인탈산동판재와 제 5 단계가 완료된 인탈산동판재는 동일한 두께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층반복겹침접합압연공정을 이용한 인탈산동판재 제조방법.
KR1020070091160A 2007-09-07 2007-09-07 3층반복겹침접합압연공정을 이용한 인탈산동판재 제조방법 KR2009002594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91160A KR20090025941A (ko) 2007-09-07 2007-09-07 3층반복겹침접합압연공정을 이용한 인탈산동판재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91160A KR20090025941A (ko) 2007-09-07 2007-09-07 3층반복겹침접합압연공정을 이용한 인탈산동판재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25941A true KR20090025941A (ko) 2009-03-11

Family

ID=406941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91160A KR20090025941A (ko) 2007-09-07 2007-09-07 3층반복겹침접합압연공정을 이용한 인탈산동판재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025941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27014B1 (ko) * 2011-01-12 2013-01-28 한국기계연구원 고강도 고전기전도도 나노결정립 다층 동합금 판재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384799B1 (ko) * 2012-12-28 2014-04-21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클래드재 제조장치 및 그 제조방법
CN115703856A (zh) * 2021-08-04 2023-02-17 中国科学院金属研究所 一种Ti3AlC2-树脂复合材料及其制备方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27014B1 (ko) * 2011-01-12 2013-01-28 한국기계연구원 고강도 고전기전도도 나노결정립 다층 동합금 판재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384799B1 (ko) * 2012-12-28 2014-04-21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클래드재 제조장치 및 그 제조방법
CN115703856A (zh) * 2021-08-04 2023-02-17 中国科学院金属研究所 一种Ti3AlC2-树脂复合材料及其制备方法
CN115703856B (zh) * 2021-08-04 2023-11-03 中国科学院金属研究所 一种Ti3AlC2-树脂复合材料及其制备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254493B2 (ja) 固相接合を用いて異種材間に横並び金属結合を生成する方法及びこれにより製造された製品
JP4974362B2 (ja) Taスパッタリングターゲットおよびその製造方法
CN108971226A (zh) 一种波平连续叠轧金属基复合板的方法
JP2961263B1 (ja) 繰り返し重ね接合圧延による超微細組織高強度金属板の製造方法
CN104786581B (zh) 一种多层不锈钢复合钢板及其制造方法
DE69919763T2 (de) Keramisches Heizelement
CN104108141B (zh) 切割用波纹单丝型钢丝
DE102019106988A1 (de) Batterielasche mit einer lokalisierten schweissverbindung und verfahren zu deren herstellung
CN114682627B (zh) 一种金属复合板的轧制工艺
WO2013113311A4 (de) Thermoelektrisches generatormodul, metall-keramik-substrat sowie verfahren zum herstellen eines derartigen metall-keramik-substrates
KR101347051B1 (ko) 고강도-고연성 층상복합알루미늄합금판재 및 상기 판재의 제조방법
KR20090025941A (ko) 3층반복겹침접합압연공정을 이용한 인탈산동판재 제조방법
DE102018129040A1 (de) Ultraschallschweissen/löten eines stahlwerkstücks über aluminiumlegierungen
JP6683093B2 (ja) 凸条付き溶融亜鉛系めっき鋼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と、ホットスタンプ成形体
CN112845587B (zh) 一种增量-累积叠轧制备梯度结构金属材料的方法
JP6390710B2 (ja) チタン材の製造方法
Heydari Vini et al. Mechanical and Bonding Properties of Bi-Metal Al/Cu Bulk Composites Produced via Apb Technique
CN1359765A (zh) 爆炸焊接铝合金复合钎料的制造方法
JP2005281824A (ja) マグネシウム合金とアルミニウムとのクラッド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20060013211A (ko) 반복겹침접합압연공정에 의한 고강도 구리판재 제조방법
JP2014514434A (ja) 高強度高電気伝導度のナノ結晶粒多層銅合金板材及びこれの製造方法
DE3405478A1 (de) Metallisches flachprofil, insbesondere metallband
DE3022112A1 (de) Metallisches verbundmaterial fuer schmuckwaren und verfahren zu seiner herstellung
RU2632345C1 (ru) Способ получения листовых композиционных материалов с дисперсно-армированными частицами
EP2436473A1 (de)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Herstellung eines Metallkörpers aus übereinander angeordneten Metalllage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