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25445A - 휴대용 단말기의 인체 통신 연결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휴대용 단말기의 인체 통신 연결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25445A
KR20090025445A KR1020070090306A KR20070090306A KR20090025445A KR 20090025445 A KR20090025445 A KR 20090025445A KR 1020070090306 A KR1020070090306 A KR 1020070090306A KR 20070090306 A KR20070090306 A KR 20070090306A KR 20090025445 A KR20090025445 A KR 2009002544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rtable device
human body
communication connection
portable terminal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903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12172B1 (ko
Inventor
류동렬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903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12172B1/ko
Publication of KR200900254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254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121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121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3/00Transmission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4B3/00 - H04B11/00
    • H04B13/005Transmission systems in which the medium consists of the human bod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09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 H04M1/72412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using two-way short-range wireless interfa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1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sensor for measuring a physical value, e.g. temperature or mo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용 단말기에서 인체 통신을 통한 휴대 장치와의 통신 연결 후, 비정상적인 종료가 발생할 경우, 상기 휴대 장치와의 재연결하도록 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상기 휴대 장치와의 인체 통신 연결이 비정상적으로 종료됨을 확인할 경우, 상기 휴대 장치와 재연결한 후, 상기 휴대 장치와 통신 연결중에 수행한 동작의 정보인 컨텍스트 정보를 확인하여 상기 컨텍스트 정보에 해당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휴대용 단말기에서 인체 통신을 이용하여 휴대 장치와의 통신 연결을 수행한 후, 비정상적인 통신 연결 종료가 발생할 경우, 상기 휴대 장치와의 수행하던 동작에서 상기 인체 통신을 재수행하도록 하여 통신 연결 종료 후 수행하던 인체 통신 재수행 과정을 단순화할 수 있다.
인체 통신, 무선 통신, 통신 연결, Body, Human

Description

휴대용 단말기의 인체 통신 연결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CONNECTION USING HUMAN BODY COMMUNICATION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본 발명은 휴대용 단말기의 인체 통신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휴대용 단말기에서 인체 통신을 통한 휴대 장치와의 통신 연결 후, 비정상적인 종료가 발생할 경우, 상기 휴대 장치와의 통신 연결을 재수행하도록 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유선 통신이나 무선 통신 대신 인체의 유전체적 특성을 이용하여 인체를 매질로 하여 정보를 주고 받을 수 있는 인체 통신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상기 인체 통신은 사용자가 통신하고자 하는 단말을 직관적으로 선택할 수 있는 사용자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최근 현대 사회가 언제, 어디서나 정보를 교환할 수 있는 유비쿼터스 시대에 진입함에 따라 개인이 주위의 휴대용 단말기로부터 각종 데이터들을 수집하고 처리하는 개인영역통신망(PAN ; Personal Area Network)이 부각되고 있다. 이러한 배경 에 의하여 개인이 직접 휴대하거나 주위에서 접하게 되는 개인 영역 단말(personal area terminal) 즉,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수 또한 점차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이에 따라 상기 휴대용 단말기 간의 정보 교환도 활발해지고 있다.
상기 휴대용 단말기 간에 데이터를 교환하기 위해서는 상기 휴대용 단말기들을 서로 연결할 수 있는 통신 방법이 필요하다. 전통적인 연결 방법으로 유선을 이용하여 통신하는 방법이 있지만 이 방법은 선들이 얽히고 사용자가 케이블을 휴대하는 데 있어 많은 불편함을 초래하는 단점이 있다. 이에 따라, 개인 영역 기기 즉 휴대용 단말기들 간의 접속을 위해 다양한 무선 통신 방식들(Bluetooth, IrDA, ZigBee, UWB 등)이 상용화되었거나 또는 개발 중에 있다.
일 예로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블루투스 통신 연결 과정에 대하여 설명하면, 블루투스 모듈을 구비하는 휴대용 단말기는 각각의 서비스에 대한 블루투스 장치들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주변의 연결 가능한 블루투스 장치들을 검색한다. 상기 연결 가능한 블루투스 장치를 검색한 후,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상기 검색한 블루투스 장치들에 대해 리스트를 생성하고,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사용자로부터 상기 생성된 블루투스 장치들의 리스트에서 연결하고자 하는 블루투스 장치를 선택받은 후, 상기 블루투스 장치와의 통신 연결을 수행한다.
하지만, 상기와 같은 휴대용 단말기는 정보 교환을 위하여 다양한 휴대 장치와 연결하기 위하여 복수의 무선 연결 방식을 지원하고, 지원하는 연결 방식이 많아짐에 따라 상기 휴대용 단말기와 상기 휴대 장치를 연결하는 과정 또한 복잡해지고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즉, 상기 휴대용 단말기로 상기 휴대 장치와 통신 연결을 수행할 경우, 상기 휴대 장치와 연결하기 위한 통신 방법을 선택하고 상기 선택한 통신 방법을 지원하는 휴대 장치를 검색해야한다. 반대로 수신측 휴대 장치에서도 상기 휴대용 단말기와 같은 동일한 과정을 수행하여 통신 연결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상기 휴대용 단말기와 휴대 장치를 연결하고자 할 경우, 사용자가 여러 단계의 과정을 거쳐야 하므로 사용자 편의성이 떨어진다는 단점이 발생함에 따라 유선 통신이나 무선 통신 대신 인체의 유전체적 특성을 이용하여 인체를 매질로 하여 정보를 주고 받을 수 있는 인체 통신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휴대용 단말기에서 인체 통신을 통한 통신 연결을 수행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먼저, 상기 인체 통신이란 사람의 몸(110)을 케이블 대신 사용하여 데이터 통신을 실현하는 기술로서 사람의 체내에 흐르는 전류의 변화를 이용하는 방식과 인체의 표면 전계 변화를 이용하여 상기 휴대용 단말기(100)와 휴대 장치(120)를 연결하는 방법을 말한다.
하지만, 상기와 같은 인체 통신은 상기 휴대용 단말기(100)의 사용자가 상기 휴대용 단말기(100)를 인체에 접속한 상태에서 수행해야함에 따라 상기 휴대용 단말기(100)의 조작이 불편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휴대용 단말기(100)의 사용자(110)가 손으로 상기 휴대용 단말기(100)를 파지한 상태에서 상기 휴대용 단말기(100)를 조작할 경우, 통신 유선 케이블로의 역할을 하는 경우 양손 을 자유롭게 사용하지 못하는 불편함과, 상기 휴대용 단말기(100)를 조작함에 따라 인체 통신을 가능하도록 하는 부분에서 손을 떼면 상기 인체 통신이 해제되어 상기 인체 통신 과정을 재수행해야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도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휴대용 단말기에서 휴대 장치와의 통신 연결을 수행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휴대용 단말기의 인체 통신 과정 수행중 비정상적인 통신 종료가 발생할 경우, 상기 휴대 장치와의 재연결을 가능하도록 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휴대용 단말기에서 휴대 장치와의 통신 연결 종료를 확할 경우, 기 수행한 동작의 정보인 콘텍스트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술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1 견지에 따르면, 인체 통신 기능을 제공하기 위한 휴대용 단말기는 상기 휴대 장치와의 인체 통신 연결이 비정상적으로 종료됨을 확인할 경우, 상기 휴대 장치와 재연결한 후, 상기 휴대 장치와 통신 연결중에 수행한 동작의 정보인 컨텍스트 정보를 확인하여 상기 컨텍스트 정보에 해당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2 견지에 따르면, 휴대 장치와의 통신 연결 종료에 따른 컨텍스트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휴대용 단말기는 상기 휴대 장치와의 통신 연결이 종료됨을 확인할 경우, 상기 휴대 장치와 수행한 동작의 정보인 컨텍스트 정보를 확인하여 저장한 후, 상기 휴대 장치와의 통신 연결 종료 시점의 시간 정보를 나타내는 타이머를 동작하는 연결 관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3 견지에 따르면, 휴대용 단말기에서 인체 통신 기능을 제공하기 위한 방법은 휴대 장치와의 인체 통신 연결이 비정상적으로 종료되었는지 확인하는 과정과, 상기 휴대 장치와의 인체 통신 연결이 비정상적으로 종료됨을 확인할 경우, 상기 휴대 장치와 재연결한 후, 상기 휴대 장치와 통신 연결중에 수행한 동작의 정보인 컨텍스트 정보를 확인하는 과정과, 상기 컨텍스트 정보에 해당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4 견지에 따르면, 휴대용 단말기에서 휴대 장치와의 통신 연결 종료에 따른 컨텍스트 정보 저장 방법은 휴대 장치와의 인체 통신 연결 중 주기적으로 상기 휴대 장치와의 통신 연결 상태를 확인하는 과정과, 상기 휴대 장치와의 통신 연결이 종료됨을 확인할 경우, 상기 휴대 장치와 수행한 동작의 정보인 컨텍스트 정보를 확인하여 저장하는 과정과, 상기 휴대 장치와의 통신 연결 종료 시점의 시간 정보를 나타내는 타이머를 동작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휴대용 단말기에서 인체 통신을 이용하여 휴대 장치와의 통신 연결을 수행한 후, 비정상적인 통신 연결 종료가 발생할 경우, 상기 휴대 장치와의 수행하던 동작에서 상기 인체 통신을 재수행하도록 하여 통신 연결 종료 후 수행하던 인체 통신 재수행 과정을 단순화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의 참조와 함께 상세히 설명한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된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설명에서는 인체 통신을 이용하여 휴대 장치와의 통신 연결을 수행하고자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장치 및 방법에 대하여 설명할 것이다.
먼저, 상기 인체 통신이란 사람의 몸을 케이블 대신 사용하여 데이터 통신을 실현하는 기술로서 사람의 체내에 흐르는 전류의 변화를 이용하는 방식과 인체의 표면 전계 변화를 이용하는 방식을 말한다.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셀룰라 전화기(cellular phone), 개인휴대통신 전화기(PCS ; 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복합무선단말기(PDA ; Personal Data Assistant), IMT-2000(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4세대 광대역 시스템(Broadband system) 단말기 등을 모두 포함하는 의미이며, 이하 설명은 상기 예들의 일반적인 구성을 가지고 설명할 것이다. 상기 휴대 장치는 상기 휴대 용 단말기와 통신이 가능한 개인용 컴퓨터, 복합무선단말기(PDA ; Personal Data Assistant), 휴대용 미디어 재생기(PMP ; Portable Multimedia Player)등을 포함하는 의미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인체 통신을 통한 통신 연결을 수행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상기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제어부(200), 연결 관리부(202), 메모리부(204), 입력부(206), 표시부(208) 및 통신부(210)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으며, 상기 연결 관리부(202)는 타이머부(203)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통신부(210)는 인체 통신 모듈(212)을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먼저,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제어부(200)는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음성통화 및 데이터 통신을 위한 처리, 제어 및 휴대 장치와의 인체 통신 과정을 수행하고, 통상적인 기능에 더하여 본 발명에 따라, 최근 일정 시간 안에 통신 연결을 수행한 휴대 장치와 통신 연결을 수행할 경우, 상기 연결 관리부(202)로 하여금 상기 휴대 장치와의 통신 연결이 비정상적으로 종료되었는지 판단하도록 처리한다. 만일, 상기 비정상적인 종료임을 확인할 경우, 상기 휴대 장치와 연결한 상태에서 수행한 동작의 정보를 확인하여 상기 동작을 재수행하도록 처리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200)는 상기 연결 관리부(202)로 하여금 상기 휴대 장치와의 통신 연결이 종료되는지 확인하도록 처리하며, 상기 연결 관리부(202)에 의해 상기 휴대 장치와의 통신 연결이 종료됨을 확인할 경우, 상기 제어부(202)는 상기 휴대 장치와 연결한 상태에서 수행한 동작의 정보인 컨텍스트 정보(예 ; 휴대용 단말기가 수행한 함수의 위치(프로그램 카운트), 해당 함수와 연계된 변수 및 레지스터 값)를 상기 메모리부(204)에 저장한다.
상기 연결 관리부(202)는 상기 제어부(200)의 지시를 받아 상기 휴대 장치와의 통신 연결 상태를 확인한다. 다시 말해서, 상기 연결 관리부(202)는 상기 휴대 장치와의 데이터 교환에 따른 수신 신호의 크기 또는 파일럿 신호의 크기를 측정하여 상기 통신 연결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결 관리부(202)는 상기 제어부(200)의 지시를 받아 상기 휴대 장치와의 통신 연결 종료를 확인할 경우, 상기 타이머부(203)를 동작하여 상기 휴대 장치와의 연결 종료 시간을 확인할 수 있도록 처리한다.
상기 메모리부(204)는 롬(ROM ; Read Only Memory), 램(RAM ; Random Access Memory), 플래쉬롬(flash ROM)으로 구성된다. 상기 롬은 상기 제어부(300)의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의 마이크로코드와 각종 참조 데이터(예 ;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무선 통신 정보, 상기 휴대 장치와 연결한 상태에서 수행한 동작의 정보인 컨텍스트 정보 등)를 저장한다.
상기 램은 상기 제어부(200)의 워킹 메모리(working memory)로, 각종 프로그램 수행 중에 발생하는 일시적인 데이터를 저장한다. 또한, 상기 플래쉬롬은 전화번호부(phone book), 발신메시지 및 수신메시지와 같은 갱신 가능한 각종 보관용 데이터를 저장한다.
상기 입력부(206)는 0 ~ 9의 숫자키 버튼들과, 메뉴버튼(menu), 취소버튼(지움), 확인버튼, 통화버튼(TALK), 종료버튼(END), 인터넷접속 버튼, 네비게이션 키(또는 방향키) 버튼들 및 문자 입력 키 등 다수의 기능키들을 구비하며, 사용자가 누르는 키에 대응하는 키 입력 데이터(예 ; 인체 통신 수행 요청 등)를 상기 제어부(300)로 제공한다.
상기 표시부(208)는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동작 중에 발생하는 상태 정보, 제한된 숫자의 문자들, 다량의 동영상 및 정지영상 등을 디스플레이한다. 상기 표시부(208)는 컬러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LCD ; Liquid Crystal Display)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통신부(210)는 인체 통신 모듈(212)을 포함하는 의미이다.
상기 인체 통신 모듈(212)은 인체 통신 송수신 기능을 담당하는 통신 모듈로 인체에 커플링 되는 신호 전극의 전위 변화를 이용하여 상기 휴대 장치와 통신을 수행한다.
또한, 상기 인체 통신 모듈(212)은 폐루프 구성을 위하여 대기 접지(air ground)나 지구 접지(earth ground)로 리턴 경로(return path)를 형성하여 기준 전위를 제공할 수 있으며, 상기 인체 통신 모듈(212)의 송신기와 수신기는 하나의 휴대용 단말기에 구현될 수 있고, 송신을 위한 신호전극과 수신을 위한 신호전극은 물리적으로 하나의 전극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하나의 신호 전극을 송신과 수신의 목적으로 사용하는 경우 신호 전극에 전달되는 정보는 송신 및 수신 여부에 따라 시간적으로 분리하거나, 송수신 신호를 주파수 대역을 분리하여 전송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따른 휴대용 단말기에서 인체 통신을 이용한 통신 연결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상기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먼저 301단계에서 휴대 장치와의 인체 통신 연결을 수행한다. 여기에서, 상기 인체 통신 연결은 사람의 몸을 케이블 대신 사용하여 데이터 통신을 실현하는 기술로서 사람의 체내에 흐르는 전류의 변화를 이용하는 방식과 인체의 표면 전계 변화를 이용하는 방식으로 상기 휴대 장치와의 통신하는 것을 말한다.
이후,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303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인체 통신을 수행하고 있는 휴대 장치로부터 상기 휴대 장치의 정보를 제공받은 후(여기에서, 상기 휴대 장치로부터 제공받는 휴대 장치의 정보는 상기 휴대 장치를 나타내는 식별자를 나타내는 정보를 말한다.), 305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휴대 장치로부터 통신 연결 요청을 수신하는지 검사한다.
만일, 상기 요청을 수신하지 않을 경우,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상기 305단계의 과정을 반복수행한다.
한편, 상기 요청을 수신할 경우,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307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휴대 장치와의 통신 연결을 수행한다. 또한,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상기 휴대 장치와의 통신 연결을 수행한 후, 파일 전송, 프린팅, 음악 재생과 같은 서비스를 수행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에서 휴대 장치와의 통신 연결 종료에 따른 컨텍스트 정보의 저장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상기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제어부(200)는 먼저 401단계에서 휴대 장치와의 인체 통신 연결 과정을 수행한 후, 403단계로 진행하여 연결 관리부(202)로 하여금 상기 휴대 장치와의 통신 연결 상태를 확인하도록 지시한다. 여기에서, 상기 제어부(200)의 지시를 받은 연결 관리부(202)는 상기 휴대 장치와의 데이터 교환에 따른 수신 신호의 크기 또는 파일럿 신호의 크기를 측정하여 미리 정한 임계치와 비교하여 상기 통신 연결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이후, 상기 제어부(200)는 405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휴대 장치와의 통신 연결 종료를 확인하는지 검사한다.
만일, 상기 휴대 장치와의 통신 연결 종료를 확인하지 않을 경우, 상기 제어부(200)는 상기 403단계의 과정을 반복 수행한다.
한편, 상기 휴대 장치와의 통신 연결 종료를 확인할 경우, 상기 제어부(200)는 407단계로 진행하여 컨텍스트 정보를 저장한 후, 409단계로 진행하여 연결 관리부(202)로 하여금 디스커넥트 타이머(203)를 동작하도록 지시한다. 여기에서, 상기 컨텍스트 정보는 상기 휴대용 단말기가 상기 휴대 장치와 연결한 상태에서 수행한 동작의 정보로 상기 휴대용 단말기가 수행한 함수의 위치, 해당 함수와 연계된 변수 및 레지스터 값 등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상기 휴대용 단말기에서 상기 휴대 장치와의 통신 연결 후 사용자의 조작에 의하여 전송할 파일을 선택하기 위한 파일브라우져가 실행되고 있는 상황을 가정할 경우, 상기 함수의 위치는 전송 파일 선택 단계에서 호출된 파일브라우져이고, 상기 함수와 연계된 변수 및 레지스터 값은 파일 브라우져의 현재 경로 위치와 파일명 등이 될 수 있다.
이후, 상기 제어부(200)는 본 알고리즘을 종료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따른 휴대용 단말기에서 비정상적인 통신 연결 종료에 따른 재연결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상기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제어부(200)는 먼저 501단계에서 휴대 장치와의 인체 통신 연결 과정을 수행하는지 확인한다. 만일, 상기 과정을 수행하지 않을 경우, 상기 제어부(200)는 519단계로 진행하여 해당 기능(예 ; 대기 모드)을 수행한다.
한편, 상기 인체 통신 연결 과정을 수행할 경우, 상기 제어부(200)는 503단계로 진행하여 통신 연결을 수행한 휴대 장치의 기록을 확인한 후, 505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인체 통신 연결 과정을 수행하고자 하는 휴대 장치와 최근에 통신 연결을 수행하였는지 확인한다.
만일, 상기 휴대 장치와 통신 연결을 수행하지 않음을 확인할 경우, 상기 제어부(200)는 521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인체 통신 연결을 수행하고자 하는 휴대 장치와의 새로운 인체 통신 연결을 수행한다.
한편, 상기 휴대 장치와 통신 연결을 수행함을 확인할 경우, 상기 제어부(200)는 507단계로 진행하여 디스커넥트 정보를 확인한 후, 509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휴대 장치와의 통신 연결을 종료한 시간을 알리는 타이머를 확인하여 미리 정 한 일정 시간만큼 지난 타이머 아웃 상태인지 확인한다. 여기에서, 상기 디스커넥트 정보는 상기 휴대 장치와의 통신 연결 종료에 따른 타이머 동작 시간을 나타낸다.
이후, 상기 제어부(200)는 511단계로 진행하여 인체 통신 연결을 수행하고자 하는 휴대 장치의 식별자 정보를 확인한 후, 513단계로 진행하여 최근 인체 통신을 수행한 휴대 장치의 식별자 정보와 비교하여 동일한 식별자 정보인지 확인한다.
만일, 상기 휴대 장치의 식별자 정보와 최근 인체 통신을 수행한 휴대 장치의 식별자 정보가 동일하지 않음을 확인할 경우, 상기 제어부(200)는 상기 521단계로 진행함으로써, 새로운 인체 통신 연결 과정을 수행한다.
한편, 상기 휴대 장치의 식별자 정보와 최근 인체 통신을 수행한 휴대 장치의 식별자 정보가 동일함을 확인할 경우, 상기 제어부(200)는 515단계로 진행하여 기 저장한 콘텍스트 정보를 확인한 후, 517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콘텍스트 정보에 해당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여기에서, 상기 컨텍스트 정보는 상기 휴대용 단말기가 상기 휴대 장치와 연결한 상태에서 수행한 동작의 정보로 상기 휴대용 단말기가 수행한 함수의 위치, 해당 함수와 연계된 변수 및 레지스터 값 등을 의미하며 상기 콘텍스트 정보의 예는 상기 도 4에서 설명하였음으로 이하 생략한다.
또한, 상기 콘텍스트 정보에 해당하는 기능을 예를 들어 설명하면, 상기 휴대용 단말기가 상기 휴대 장치로부터 음악 파일을 수신한 경우,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상기 수신한 음악 파일을 재생함으로써 수행한다.
이후, 상기 제어부(200)는 본 알고리즘을 종료한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도 1은 일반적인 휴대용 단말기에서 인체 통신을 통한 통신 연결을 수행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인체 통신을 통한 통신 연결을 수행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따른 휴대용 단말기에서 인체 통신을 이용한 통신 연결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에서 휴대 장치와의 통신 연결 종료에 따른 컨텍스트 정보의 저장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 및,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따른 휴대용 단말기에서 비정상적인 통신 연결 종료에 따른 재연결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

Claims (18)

  1. 인체 통신 기능을 제공하기 위한 휴대용 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휴대 장치와의 인체 통신 연결이 비정상적으로 종료됨을 확인할 경우, 상기 휴대 장치와 재연결한 후, 상기 휴대 장치와 통신 연결중에 수행한 동작의 정보인 컨텍스트 정보를 확인하여 상기 컨텍스트 정보에 해당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인체 통신 기능의 수행을 종료한 시점의 시간 정보와 미리 정한 임계치를 비교하여 상기 휴대 장치와의 인체 통신 연결이 비정상적으로 종료되는지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재연결하고자 하는 휴대 장치가 비정상적인 종료를 수행한 휴대 장치인지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컨텍스트 정보는,
    상기 휴대용 단말기가 상기 휴대 장치와 연결한 상태에서 수행한 동작의 정보임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컨텍스트 정보는,
    상기 휴대용 단말기가 수행한 함수의 위치(기 실행한 파일 브라우져), 해당 함수와 연계된 변수 및 레지스터 값(파일 브라우져의 경로, 파일 명) 가운데 적어도 어느 한 가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
  6. 휴대 장치와의 통신 연결 종료에 따른 컨텍스트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휴대용 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휴대 장치와의 통신 연결이 종료됨을 확인할 경우, 상기 휴대 장치와 수행한 동작의 정보인 컨텍스트 정보를 확인하여 저장한 후, 상기 휴대 장치와의 통신 연결 종료 시점의 시간 정보를 나타내는 타이머를 동작하는 연결 관리부를 포 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관리부는,
    상기 휴대 장치와의 데이터 교환에 따른 수신 신호의 크기 또는 파일럿 신호의 크기를 측정하여 미리 정한 임계치와 비교하여 상기 휴대 장치와의 통신 연결 상태를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
  8.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컨텍스트 정보는,
    상기 휴대용 단말기가 상기 휴대 장치와 연결한 상태에서 수행한 동작의 정보임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컨텍스트 정보는,
    상기 휴대용 단말기가 수행한 함수의 위치(기 실행한 파일 브라우져), 해당 함수와 연계된 변수 및 레지스터 값(파일 브라우져의 경로, 파일 명) 가운데 적어 도 어느 한 가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
  10. 휴대용 단말기에서 인체 통신 기능을 제공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휴대 장치와의 인체 통신 연결이 비정상적으로 종료되었는지 확인하는 과정과,
    상기 휴대 장치와의 인체 통신 연결이 비정상적으로 종료됨을 확인할 경우, 상기 휴대 장치와 재연결한 후, 상기 휴대 장치와 통신 연결중에 수행한 동작의 정보인 컨텍스트 정보를 확인하는 과정과,
    상기 컨텍스트 정보에 해당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 장치와의 인체 통신 연결이 비정상적으로 종료되는지 확인하는 과정은,
    상기 인체 통신 기능의 수행을 종료한 시점의 시간 정보를 확인하는 과정과,
    상기 시간 정보가 미리 정한 임계치보다 클 경우, 상기 인체 통신 연결이 정상적으로 종료되었다고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 시간 정보가 미리 정한 임계치 이하일 경우, 상기 인체 통신 연결이 비 정상적으로 종료되었다고 판단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2.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용 단말기에서 인체 통신 기능을 제공하기 위한 방법은,
    상기 재연결하고자 하는 휴대 장치가 비정상적인 종료를 수행한 휴대 장치임을 확인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3.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컨텍스트 정보는,
    상기 휴대용 단말기가 상기 휴대 장치와 연결한 상태에서 수행한 동작의 정보임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컨텍스트 정보는,
    상기 휴대용 단말기가 수행한 함수의 위치(기 실행한 파일 브라우져), 해당 함수와 연계된 변수 및 레지스터 값(파일 브라우져의 경로, 파일 명) 가운데 적어도 어느 한 가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5. 휴대용 단말기에서 휴대 장치와의 통신 연결 종료에 따른 컨텍스트 정보 저장 방법에 있어서,
    휴대 장치와의 인체 통신 연결 중 주기적으로 상기 휴대 장치와의 통신 연결 상태를 확인하는 과정과,
    상기 휴대 장치와의 통신 연결이 종료됨을 확인할 경우, 상기 휴대 장치와 수행한 동작의 정보인 컨텍스트 정보를 확인하여 저장하는 과정과,
    상기 휴대 장치와의 통신 연결 종료 시점의 시간 정보를 나타내는 타이머를 동작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6.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 장치와의 인체 통신 연결 중 주기적으로 상기 휴대 장치와의 통신 연결 상태를 확인하는 과정은,
    상기 휴대 장치와의 데이터 교환에 따른 수신 신호의 크기 또는 파일럿 신호의 크기를 측정하여 미리 정한 임계치와 비교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7.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컨텍스트 정보는,
    상기 휴대용 단말기가 상기 휴대 장치와 연결한 상태에서 수행한 동작의 정보임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8.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컨텍스트 정보는,
    상기 휴대용 단말기가 수행한 함수의 위치(기 실행한 파일 브라우져), 해당 함수와 연계된 변수 및 레지스터 값(파일 브라우져의 경로, 파일 명) 가운데 적어도 어느 한 가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KR1020070090306A 2007-09-06 2007-09-06 휴대용 단말기의 인체 통신 연결 장치 및 방법 KR1014121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90306A KR101412172B1 (ko) 2007-09-06 2007-09-06 휴대용 단말기의 인체 통신 연결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90306A KR101412172B1 (ko) 2007-09-06 2007-09-06 휴대용 단말기의 인체 통신 연결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25445A true KR20090025445A (ko) 2009-03-11
KR101412172B1 KR101412172B1 (ko) 2014-06-25

Family

ID=406937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90306A KR101412172B1 (ko) 2007-09-06 2007-09-06 휴대용 단말기의 인체 통신 연결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1217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124035A (ko) * 2009-05-18 2010-11-26 삼성전자주식회사 인체 통신을 이용한 기능 수행 방법 및 그를 수행하는 단말기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79900A (ja) 2003-08-29 2005-03-24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データ通信装置
KR100799571B1 (ko) * 2006-06-20 2008-01-30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인체를 이용한 통신장치 및 그 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124035A (ko) * 2009-05-18 2010-11-26 삼성전자주식회사 인체 통신을 이용한 기능 수행 방법 및 그를 수행하는 단말기
WO2010134743A3 (en) * 2009-05-18 2011-02-03 Samsung Electronics Co., Ltd. Terminal and method for executing function using human body communication
US9019131B2 (en) 2009-05-18 2015-04-28 Samsung Electronics Co., Ltd Terminal and method for executing function using human body communic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12172B1 (ko) 2014-06-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64077B1 (ko) 휴대용 단말기에서 블루투스 디바이스와 연결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KR100774292B1 (ko) 이동통신단말기에서 블루투스 자동 연결 방법
US7076269B2 (en) Radio communication system for notifying incommunicable state, and device and method used for the system
CN112004173B (zh) 蓝牙耳机的切换方法、移动终端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JP5011424B2 (ja) 車載端末装置及び車載端末装置用の無線接続プログラム
CN111416745A (zh) 一种网络切片确定方法和相关装置
KR20140118990A (ko) 통신 처리 방법 및 장치, 및 단말
US20100111055A1 (en) Wireless access point, wireless network architecture, and method for establishing wireless network architecture
KR20120025331A (ko) 듀얼 스탠바이 휴대단말기의 통신을 관리하는 방법 및 시스템
WO2018120239A1 (zh) 一种网络通信方法和终端
KR102441850B1 (ko) 서비스 처리 방법 및 이동 통신 단말
KR20080075297A (ko) 휴대용 단말기의 블루투스 연결 장치 및 방법
CN115190197B (zh) 基于蓝牙耳机的通话方法、装置及存储介质
US20140179232A1 (en) Communication system for establishing a wireless connection between two devices based on the permission status
CN110944313A (zh) 一种蓝牙连接方法、装置、存储介质及终端
KR100642683B1 (ko) 블루투스 자동 연결 방법
TWI487326B (zh) 個人區域網路的系統與裝置及其使用方法
CN111885591A (zh) 一种网络连接方法、装置、存储介质及终端
CN111104186A (zh) 蓝牙配置文件的加载方法及装置、存储介质、终端设备
KR20090025445A (ko) 휴대용 단말기의 인체 통신 연결 장치 및 방법
CN111866823A (zh) 无线耳机充电设备、交互方法及存储装置
KR20080022661A (ko) 휴대용 단말기의 블루투스 연결 장치 및 방법
CN106899733B (zh) 智能终端及系统通讯录电话号码处理方法和装置
KR100759767B1 (ko) 이동통신단말기에서 이미지를 저장하기 위한 방법
KR100598457B1 (ko) 인터넷 서비스 검색을 위한 이동통신 단말 장치 및 그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