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25443A - 멀티 모드 이동단말의 연속 관리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멀티 모드 이동단말의 연속 관리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25443A
KR20090025443A KR1020070090304A KR20070090304A KR20090025443A KR 20090025443 A KR20090025443 A KR 20090025443A KR 1020070090304 A KR1020070090304 A KR 1020070090304A KR 20070090304 A KR20070090304 A KR 20070090304A KR 20090025443 A KR20090025443 A KR 2009002544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etwork
terminal
information
network connection
connection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903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지은
박춘걸
석승학
정병덕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to KR10200700903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25443A/ko
Publication of KR200900254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2544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4/00Supervisory,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 H04W24/04Arrangements for maintaining operational condi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8/00Arrangements for software engineering
    • G06F8/60Software deployment
    • G06F8/65Updat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2Messaging; Mailboxes; Announcements
    • H04W4/14Short messaging services, e.g. short message services [SMS] or unstructured supplementary service data [USS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68/00User notification, e.g. alerting and paging, for incoming communication, change of service or the like
    • H04W68/02Arrangements for increasing efficiency of notification or paging channe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22Processing or transfer of terminal data, e.g. status or physical capabilities
    • H04W8/24Transfer of terminal dat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26Network addressing or numbering for mobility suppor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멀티 모드 이동단말의 연속 관리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멀티 모드 이동단말이 이종망 간의 전환을 수행하더라도 한 곳의 관리 서버로부터 연속적인 관리를 받을 수 있는 방법으로서, 더욱 상세하게 단말이 와이브로망, 무선랜망, CDMA망 등 IP를 지원하는 망과 IP를 지원하지 않는 망 등 어떤 망으로 이동하더라도 이전망의 관리 서버가 연속적으로 관리(원격 진단, 원격 조회, 원격 펌웨어 업그레이드 등) 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멀티 모드 이동단말을 이용한 가입자들에게 어느 망에 위치하든지 연속적인 관리를 해 줌으로써 고객 만족도를 높이고 양질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단말 관리 서버, 망 전환 정보, 망 연결 정보, 멀티 모드 이동단말

Description

멀티 모드 이동단말의 연속 관리 장치 및 방법{Method and Apparatus for Continuous Management in Multi-Mode Mobile Terminal}
본 발명은 단말의 연속 관리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멀티 모드 이동단말의 망 간 이동시 단말의 연속 관리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 고속 다운 링크 패킷 액세스(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이하 'HSDPA'라 칭함)와 와이브로 서비스가 시작되면서 HSDPA와 와이브로 서비스가 지원되는 단말이 새로 출시되고 있다.
전술한 HSDPA 및 와이브로 서비스뿐만 아니라 기존의 이동통신망인 코드 분할 다중 접속(Code Devision Multiple Access, 이하 'CDMA'라 칭함)망과 무선랜망과 같이 이전에 사용하고 있던 서비스도 그대로 이용하고자 하는 소비자의 요구가 증가하고 있다.
무선랜 서비스의 경우 요금이 저렴한 반면 적은 커버리지의 단점이 있으며 CDMA 서비스의 경우 커버리지가 넓은 반면 비용이 높은 단점이 있다. 따라서, 서비스 제공자들은 서비스 간 연동을 통해 서비스 비용을 최소화하면서 좋은 품질의 서비스를 얻기 위한 움직임이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실제로 와이브로와 HSDPA가 지원되는 단말을 사용하는 고객(와이브로가 특정 서비스 제공업체와 계약을 맺었다고 가정함)이 와이브로망에서 특정 관리 동작을 수행하다가 HSDPA망으로 넘어가서도 관련 동작을 연속으로 수행하는 경우 와이브로망에서 수행되었던 이력 정보, 관리 정보를 HSDPA 서비스 제공자가 알 수 없으며, 와이브로망의 관리 서버에 의한 연속적인 관리가 미흡한 실정이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이동통신망이 중첩되어 있는 상황에서 망을 이동하는 경우에도 멀티 모드 이동단말의 연속적인 관리를 수행하는 연속 관리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른 연속 관리 방법은 (a) 단말―상기 단말은 상기 단말의 연속적인 관리를 수행하는 단말 관리 서버의 IP 주소를 저장함―로부터 IP망을 통해 상기 IP 주소를 근거로 한 접속 요청을 받아 상기 단말과 접속하는 단계; (b) IP를 지원하는 망으로 이동한 상기 단말의 위치 정보와 상기 단말을 액세스하기 위한 망 연결 정보―상기 망 연결 정보는 현재 할당받은 IP 주소를 포함함―를 상기 IP망을 통해 수신하는 단계; 및 (c) 상기 망 연결 정보가 망 전환 관련 알림(Notification) 패킷인지 판단하여 상기 단말의 위치 정보와 상기 망 연결 정보를 저장함으로써 상기 단말이 연결된 망 정보를 등록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른 연속 관리 장치는 단말로부터 상기 단말의 현재 위치 정보와 상기 단말을 액세스하기 위한 망 연결 정보―상기 망 연결 정보는 망 사업자 정보, 망 종류, 할당받은 IP 주소, 왑 게이트 정보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정보를 포함함―를 IP망을 통해 수신하고, 상기 망 연결 정보를 기초로 상기 단말이 현재 연결된 망이 IP를 지원하는 경우 상기 할당받은 IP 주소로, IP를 지원하지 않는 경 우 상기 왑 게이트 정보를 통해 상기 단말과 접속하여 상기 단말의 설정 변경, 단말 정보 조회 기능을 수행하는 장치 관리부; 상기 단말로부터 상기 IP망을 통해 전송받은 상기 단말의 성능 정보를 가공하여 통계 정보로 변환하는 성능 관리부; 및 상기 단말로부터 상기 IP망을 통해 전송받은 상기 단말의 장애 정보를 분석하고, 상기 분석한 장애 정보에 따라 조치 프로세스를 가동하여 상기 단말의 장애를 처리하는 장애 관리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른 연속 관리 방법은 (a) 단말로부터 상기 단말의 현재 위치 정보와 상기 단말을 액세스하기 위한 망 연결 정보―상기 망 연결 정보는 망 사업자 정보, 망 종류, 할당받은 IP 주소 및 왑 게이트 정보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정보를 포함함―를 IP망을 통해 수신하는 단계; (b) 상기 수신한 망 연결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단말이 현재 연결된 망이 IP를 지원하는 경우 상기 할당받은 IP 주소로, IP 지원하지 않는 경우 상기 왑 게이트 정보를 통해 상기 단말과 접속하는 단계; 및 (c) 고객으로 받은 조회 요청에 따라 원격 조회 명령이나, 펌웨어 정보 업데이트 명령 및 상기 단말의 설정 변경 명령을 생성하여 상기 IP망을 통해 상기 단말로 전송함으로써 상기 단말을 원격 관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른 연속 관리 방법은 (a) 단말―상기 단말은 상기 단말의 연속적인 관리를 수행하는 단말 관리 서버의 IP 주소를 저장함―로부터 IP망을 통해 상기 IP 주소를 근거로 한 접속 요청을 받아 상기 단말과 접속하는 단계; (b) IP를 지원하는 망에서 IP를 지원하지 않는 망으로 이동한 상기 단말로부터 상기 단말의 위치 정보와 무선 네트워크 베어러에 따라 생성된 제1 망 연결 정보―상기 제 1 망 연결 정보는 망 사업자 정보, 망의 종류, 왑 게이트웨이 정보를 포함함―를 상기 IP망을 통해 수신하는 단계; 및 (c) 상기 제1 망 연결 정보가 망 전환 관련 알림(Notification) 패킷인지 판단하여 상기 단말의 위치 정보와 상기 제1 망 연결 정보를 저장함으로써 상기 단말이 연결된 상기 IP를 지원하지 않는 망의 정보를 등록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전술한 구성에 의하여, 본 발명은 멀티 모드 이동단말을 이용한 가입자들에게 어느 망에 위치하든지 연속적인 관리를 해 줌으로써 고객 만족도를 높이고 양질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기", "모듈", "블록"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 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는 IP를 지원하는 망과 IP를 지원하지 않는 망이 중첩되어 있으며, 멀티 모드 이동단말이 IP를 지원하는 두 망 간의 이동과, IP를 지원하는 망과 IP를 지원하지 않는 망 간의 이동을 설명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멀티 모드 이동단말이 이동한 망과 이전망 간의 사업자 협의로 인한 요금 문제, 리소스 사용, 인증 문제, 핸드 오버 등이 성공적으로 이루어져 망 간 이동에 장애가 없다는 전제하에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멀티 모드를 지원하는 이동단말이 망을 이동하는 경우에도 이전망의 단말 관리 서버에서 연속적인 관리를 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와이브로망(100)과 타 통신망(200)이 중첩되어 구성된 이동통신망 구성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와이브로망(100)에 멀티 모드 이동단말을 관리하는 단말 관리 서버가 위치하고 있다고 가정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와이브로망(100) 및 타 통신망(200)을 포함한다. 이외에 와이브로망(100), HSDPA망, CDMA망 등 두 가지 이상의 이종 망에 접속하여 패킷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는 멀티 모드 이동단말(300)을 포함한다.
와이브로망(100)은 기지국(Remote Access Server: RAS)(110), 제어국(Access Control Router: ACR)(120), 단말 관리 서버(130), 홈 에이전트(140), 인증 서버(Authentication Authorization Accounting: AAA)(150)를 포함한다.
기지국(110)은 멀티 모드 이동단말(300)을 다수 수용하고 와이브로 무선 자원 관리 및 제어, 이동성 지원 기능을 수행하는 네트워크 장비로 무선망과 유선망을 연결하는 브릿지 역할을 담당한다.
제어국(120)은 IP 라우팅 및 이동성 관리, 하나의 제어국(120) 내에서 기지국(110) 간에 이동성 제어를 담당하는 네트워크 장비이다.
단말 관리 서버(130)는 멀티 모드 이동단말(300)을 OMA, DM, SNMP 또는 비표준의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단말의 상태, 장애, 정보 등을 관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단말 관리 서버(130)는 멀티 모드 이동단말(300)이 타 통신망(CDMA망, HSDPA망 등)(200)으로 이동하는 경우에도 멀티 모드 이동단말(300)의 장애 정보, 성능 정보의 테스트, 재설정 기능을 하거나 펌웨어 업그레이드 등 단말 원격 관리 기능을 수행한다.
홈 에이전트(140)는 IETE의 RFC3344 규격을 따르는 네트워크 장비이다.
인증 서버(150)는 와이브로망(100)에서 가입자 단말기의 인증, 사용에 따른 과금 정보를 저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타 통신망(200)은 IP를 지원하는 망(예를 들어 HSDPA망 등)과 IP를 지원하지 않는 망(예를 들어 CDMA망 등)을 포함한다.
다음, 도 2를 참조하여 멀티 모드 이동단말(300)의 내부 구성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멀티 모드 이동단말(300)의 내부 구성을 간략하게 나타낸 블록 구성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멀티 모드 이동단말(300)은 모뎀부(310), 단말 관리 클라이언트(320), 로밍 콘트롤 유닛(330), 인증 클라이언트(340) 및 IP 할당 클라이언트(350)를 포함한다.
모뎀부(310)는 무선랜망의 신호를 처리하는 무선랜 모뎀부(312), 와이브로망(100)의 신호를 처리하는 와이브로 모뎀부(314), HSDPA망의 신호를 처리하는 HSDPA 모뎀부(316), CDMA망의 신호를 처리하는 CDMA 모뎀부(318)를 포함한다.
단말 관리 클라이언트(320)는 단말 관리 서버(130)로부터 알림(Notification) 패킷(IP 패킷), 관리 세션 연결, 관리 동작 메시지를 수신하여 이에 해당하는 동작을 수행하는 서버 초기화 관리(Server Initiated Management)와 단말 관리 서버(130)로 세션을 요청하여 관리 동작을 수행하는 클라이언트 초기화 관리(Client Initiated Management)를 모두 지원하는 모듈이다. 또한, 단말 관리 클라이언트(320)는 로밍 콘트롤 유닛(330)으로부터 모뎀부 전환 이벤트를 수신하면 전환 예정 망 정보를 포함한 알림(Notification) 패킷을 생성하여 단말 관리 서버(130)로 전송한다. 여기서, 전환 예정 망 정보는 전환할 망 사업자 정보와 망 종류를 포함한다. 또한, 전환 예정 망 정보는 어느 망 사업자의 망 종류가 될 수 있으며 어느 망 사업자의 어느 기지국(110)을 나타내는 IP 정보까지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모뎀부 전환 이벤트는 현재 연결된 망에서 수신되는 신호 세기가 줄어들어 모뎀부(310) 중 특정 모뎀부에서 다른 모뎀부로 전환(예를 들어, 와이브로 모뎀부(314)에서 HSDPA 모뎀부(316)로의 전환)을 나타내는 신호이다.
단말 관리 클라이언트(320)는 로밍 콘트롤 유닛(330)으로부터 인증 성공, IP 할당 성공을 포함하는 이벤트를 수신하면, 망 전환 정보를 생성하여 IP망(160)을 통해 단말 관리 서버(130)로 전송한다. 여기서, 망 전환 정보는 이하, 도 3 내지 도 8의 해당되는 부분에서 설명하기로 한다.
로밍 콘트롤 유닛(330)은 로밍이 시작되어 완료될 때까지 프로세스를 처리하는 모듈이다.
인증 클라이언트(340)는 로밍 콘트롤 유닛(330)으로부터 인증 요청 이벤트를 수신하는 경우 인증 서버(150)로 인증 프로세스를 수행한다. 또한, 인증 클라이언트(340)는 인증 서버(150)와의 인증 프로세스를 완료되면, 인증에 대한 결과 정보를 로밍 콘트롤 유닛(330)으로 전송한다. 여기서, 인증 클라이언트(340)는 전환 가능한 망들의 인증 서버(150)에 대한 정보를 미리 알고 있어야 하며, 이러한 정보를 단말 관리 서버(130)로부터 단말 관리 클라이언트(320)를 통해 얻을 수 있다.
IP 할당 클라이언트(350)는 로밍 콘트롤 유닛(330)으로부터 IP 할당 요청을 받은 경우 동적 호스트 설정 통신 규약(Dynamic Host Configuration Protocol: DHCP) 서버와 연동하여 IP 할당 기능을 수행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멀티 모드 이동단말(300)이 와이브로망(100)에서 HSDPA망으로 로밍하는 경우, 멀티 모드 이동단말(300)에서 발생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먼저, 와이브로망(100)과 HSDPA망은 각각 다른 사업자 제공업체와 계약을 맺고 있다고 가정한다. 멀티 모드 이동단말(300)은 와이브로망(100)에서 HSDPA망으로 이동하게 된다.
와이브로망(100)의 단말 관리 서버(130)는 HSDPA망으로 이동한 멀티 모드 이동단말(300)의 위치 정보(IP 정보)를 추적하고, 멀티 모드 이동단말(300)의 장애 정보, 성능 정보를 테스트, 재설정하여 관리한다.
이하, 도 3에서 설명되는 제2 홈 에이전트, 제2 인증 서버 및 제2 IP 할당 서버는 HSPDA망 사업자에 의하여 운용되는 서버로 와이브로망(100)에 존재하는 홈 에이전트(140), 인증 서버(150) 및 IP 할당 서버(미도시)와 동일한 기능을 한다.
로밍 콘트롤 유닛(330)은 모뎀부(310)에서 안테나(미도시)를 통해 수신되는 신호 세기를 분석하여 프리퍼드 네트워크(Preferred Network)의 시그널이 강해졌거나 현재 사용하고 있는 망의 신호가 약해졌는지 판단한다(S100). 이로 인해 로밍 콘트롤 유닛(330)은 현재 위치에서 로밍이 필요한지 알 수 있다.
로밍 콘트롤 유닛(330)은 로밍이 필요하다고 판단하는 경우, 모뎀부 전환 이벤트를 생성하여 단말 관리 클라이언트(320)로 전송하고, 와이브로 모뎀부(314)를 HSDPA 모뎀부(316)로 전환하도록 제어한다(S102).
단말 관리 클라이언트(320)는 특정 서비스 업체의 HSDPA망으로 전환 예정을 알리는 전환 예정 망 정보(망 사업자 정보와 망의 종류)를 포함한 알림(Notification) 패킷을 생성하여 IP망(160)을 통해 와이브로망(100)의 단말 관리 서버(130)로 전송한다(S104).
인증 클라이언트(340)는 로밍 콘트롤 유닛(330)으로부터 인증 요청 이벤트를 수신한 후 제2 인증 서버와 인증 프로세스를 수행한다(S106).
IP 할당 클라이언트(350)는 로밍 콘트롤 유닛(330)으로부터 IP 할당 요청을 받은 경우, 제2 IP 할당 서버와 연동하여 IP 할당 기능을 수행한다(S108).
단말 관리 클라이언트(320)는 특정 서비스 업체의 HSDPA망으로 전환을 나타내는 망 전환 정보를 포함한 알림(Notification) 패킷을 생성하여 IP망(160)을 통해 와이브로망(100)의 단말 관리 서버(130)로 전송한다(S110).
여기서, 망 전환 정보는 망 사업자 정보, HSDPA망(특정 망 정보), IP 지원 여부, 현재 할당받은 IP 주소를 포함한다.
이어서, 단말 관리 클라이언트(320)는 망 관련 테스크 및 스케줄을 재조정한다(S112). 여기서, 망 관련 테스크 및 스케줄 재조정은 음영 지역 정보를 주기적으로 수집하여 단말 관리 서버(130)로 전송하는 테스크, 전파 세기가 약한 경우 이러한 전파 세기 정보를 기초로 음영 지역 정보를 생성하는 테스크 등 와이브로망(100)의 품질을 측정하거나 품질 향상을 위해서 멀티 모드 이동단말(300)에서 수행되는 테스크들을 일시 정지하는 일들을 의미한다.
다음,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멀티 모드 이동단말(300)이 IP를 지원하는 망과 IP를 지원하지 않는 망으로 이동하고, 다시 IP를 지원하는 망으로 복귀하는 흐름을 설명한다. 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해 CDMA망에서는 무선 인터넷을 위해 WAP 1.X를 이용한다고 가정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멀티 모드 이동단말(300)이 와이브로망(100)에서 CDMA망으로 로밍하는 경우, 멀티 모드 이동단말(300)에서 발생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먼저, 와이브로망(100)과 CDMA망은 각각 다른 사업자 제공업체와 계약을 맺 고 있다고 가정한다. 멀티 모드 이동단말(300)은 와이브로망(100)에서 CDMA망으로 이동하게 된다.
와이브로망(100)의 단말 관리 서버(130)는 CDMA망으로 이동한 멀티 모드 이동단말(300)의 위치 정보(IP 정보)를 추적하고, 멀티 모드 이동단말(300)의 장애 정보, 성능 정보를 테스트, 재설정하여 관리한다.
이하, 도 4에서 설명되는 제3 홈 에이전트, 제3 인증 서버 및 제3 IP 할당 서버는 CDMA망 사업자에 의하여 운용되는 서버로 와이브로망(100)에 존재하는 홈 에이전트(140), 인증 서버(150) 및 IP 할당 서버와 동일한 기능을 한다.
로밍 콘트롤 유닛(330)은 모뎀부(310)에서 안테나(미도시)를 통해 수신되는 신호 세기를 분석하여 프리퍼드 네트워크(Preferred Network)의 시그널이 강해졌거나 현재 사용하고 있는 망의 신호가 약해졌는지 판단한다(S200). 이로 인해 로밍 콘트롤 유닛(330)은 현재 위치에서 로밍이 필요한지 알 수 있다.
로밍 콘트롤 유닛(330)은 로밍이 필요하다고 판단하는 경우, 모뎀부 전환 이벤트를 생성하여 단말 관리 클라이언트(320)로 전송하고, 와이브로 모뎀부(314)를 CDMA 모뎀부(318)로 전환하도록 제어한다(S202).
단말 관리 클라이언트(320)는 특정 서비스 업체의 CDMA망으로 전환 예정을 나타내는 전환 예정 망 정보(망 사업자 정보와 망의 종류)를 포함한 알림(Notification) 패킷을 생성하여 IP망(160)을 통해 와이브로망(100)의 단말 관리 서버(130)로 전송한다(S204).
인증 클라이언트(340)는 로밍 콘트롤 유닛(330)으로부터 인증 요청 이벤트를 수신한 후 제3 인증 서버와 인증 프로세스를 수행한다(S206).
단말 관리 클라이언트(320)는 무선 네트워크 베어러에 따라 왑 메시지를 생성하여 IP망(160)을 통해 와이브로망(100)의 단말 관리 서버(130)로 전송한다(S208). 여기서, 왑 메시지는 망 사업자 정보, 망의 종류, IP 지원 여부, 왑 게이트웨이 정보(WAP Gateway)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멀티 모드 이동단말(300)이 연결된 IP를 지원하지 않는 망의 정보를 왑 메시지를 이용하여 단말 관리 서버(130)와 접속하였지만, 왑 메시지 이외에 전화번호를 포함한 단문 메시지 등 다양한 수단이 가능하다.
이어서, 단말 관리 클라이언트(320)는 망 관련 테스크 및 스케줄을 재조정한다(S210).
멀티 모드 이동단말(300)은 왑을 이용하여 무선 네트워크에서 로밍이 발생한 망으로 이동한 경우, 망에 연결하기 위한 정보로 왑 게이트웨이 서버의 IP, 인증 키(Key) 등이 필요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멀티 모드 이동단말(300)이 CDMA망에서 와이브로망(100)으로 로밍하는 경우, 멀티 모드 이동단말(300)에서 발생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로밍 콘트롤 유닛(330)은 모뎀부(310)에서 안테나(미도시)를 통해 수신되는 신호 세기를 분석하여 프리퍼드 네트워크(Preferred Network)의 시그널이 강해졌거나 현재 사용하고 있는 망의 신호가 약해졌는지 판단한다(S300). 이로 인해 로밍 콘트롤 유닛(330)은 현재 위치에서 로밍이 필요한지 알 수 있다.
로밍 콘트롤 유닛(330)은 로밍이 필요하다고 판단하는 경우, 모뎀부 전환 이벤트를 생성하여 단말 관리 클라이언트(320)로 전송하고, CDMA 모뎀부(318)를 와이브로 모뎀부(314)로 전환하도록 제어한다(S302).
단말 관리 클라이언트(320)는 무선 네트워크 베어러에 따라 특정 서비스 업체의 와이브로망(100)으로의 복귀를 알리는 정보(망 사업자 정보와 망의 종류)를 포함한 왑 메시지를 생성하여 IP망(160)을 통해 와이브로망(100)의 단말 관리 서버(130)로 전송한다(S304).
인증 클라이언트(340)는 로밍 콘트롤 유닛(330)으로부터 인증 요청 이벤트를 수신한 후 인증 서버(150)와 인증 프로세스를 수행한다(S306).
IP 할당 클라이언트(350)는 로밍 콘트롤 유닛(330)으로부터 IP 할당 요청을 받은 경우, IP 할당 서버와 연동하여 IP 할당 기능을 수행한다(S308).
단말 관리 클라이언트(320)는 특정 서비스 업체의 와이브로망(100)으로 전환을 나타내는 망 전환 정보를 포함한 알림(Notification) 패킷을 생성하여 IP망(160)을 통해 와이브로망(100)의 단말 관리 서버(130)로 전송한다(S310).
여기서, 망 전환 정보는 망 사업자 정보, 와이브로망(특정 망 정보)(100), IP 지원 여부, 현재 할당받은 IP 주소를 포함한다. 이어서, 단말 관리 클라이언트(320)는 망 관련 테스크, 재조정 망 관련 테스크 및 스케줄 중 중지되었던 테스크나 스케줄을 재시작한다(S312).
다음, 도 6을 참조하여 단말 관리 서버(130)의 내부 구성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 관리 서버(130)의 내부 구성을 간략하게 나타낸 블록 구성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 관리 서버(130)는 장치 관리부(131), 성능 관리부(132), 장애 관리부(133), 통계 관리부(134), 이력 관리부(135) 및 펌웨어 관리부(136)를 포함한다.
장치 관리부(131)는 멀티 모드 이동단말(300)로부터 전송받은 단말의 위치 정보, 망 연결 정보를 수신하여 데이터베이스 작업을 수행하고, 고객으로부터 수신한 제어 요청에 따라 멀티 모드 이동단말(300)의 설정 변경, 단말 정보 조회 기능을 수행한다. 여기서, 망 연결 정보는 전술한 전환 예정 망 정보, 망 전환 정보, 왑 메시지 중 어느 하나의 정보 또는 메시지를 의미한다. 또한, 장치 관리부(131)는 멀티 모드 이동단말(300)로부터 설정 정보의 조회 요청을 수신하면, 설정 정보를 세팅하여 멀티 모드 이동단말(300)로 전송한다.
장치 관리부(131)는 멀티 모드 이동단말(300)로부터 수신한 망 연결 정보를 기초로 멀티 모드 이동단말(300)이 현재 연결된 망이 IP를 지원하는 경우, 망 연결 정보 중 현재 할당받은 IP 주소를, IP를 지원하지 않는 경우, 망 연결 정보 중 왑 메시지를 통해 멀티 모드 이동단말(300)과 접속하여 원격 관리한다.
성능 관리부(132)는 멀티 모드 이동단말(300)로부터 전송받은 성능 정보를 가공하여 고객이 볼 수 있는 통계 정보로 변환한다. 여기서, 성능 정보는 평균 다운/업로드 속도, 핸드오버 성공율 정보와 같은 멀티 모드 이동단말(300)의 성능을 나타내는 정보를 의미한다.
장애 관리부(133)는 멀티 모드 이동단말(300)로부터 전송받은 장애 정보(프로세스 장애, 펌웨어 실패 등)에 따라 조치 프로세스를 가동하여 운용자에게 자동으로 장애 처리를 명령하는 로직을 수행한다.
통계 관리부(134)는 성능 관리부(132)로부터 수신한 성능 정보를 통계 정보로 가공하고, 단말 사용 패턴, 시스템 사용 패턴, 주기별 통계 생성 및 관리 기능을 한다.
이력 관리부(135)는 외부 장치로부터 수신한 단말의 설정 변경 명령, 단말 정보 조회 명령, 제어 명령을 데이터베이스로 저장, 업데이트함으로써 고객이 볼 수 있는 이력 정보로 관리한다.
펌웨어 관리부(136)는 펌웨어 파일을 관리하는 장치로부터 펌웨어 업데이트 명령을 수신하는 경우 펌웨어 다운로드 및 프로세스 상의 장애 트래킹 기능을 수행하고, 멀티 모드 이동단말(300)로 펌웨어 업데이트를 수행한 후 펌웨어 업데이트에 성공한 경우 데이터베이스에 펌웨어 정보 업데이트를 수행한다.
다음, 도 7을 참조하여 멀티 모드 이동단말(300)에서 IP망(160)을 통해 단말 관리 서버(130)로 망 정보 등록 과정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멀티 모드 이동단말(300)이 IP망(160)을 통해 단말 관리 서버(130)로 접속하여 망 정보 등록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단말 관리 클라이언트(320)는 기저장된 단말 관리 서버(130)의 IP 주소를 이용하여 IP 망을 통해 단말 관리 서버(130)와 접속한다(S400).
단말 관리 클라이언트(320)는 망 연결 정보를 생성하여 IP망(160)을 통해 단 말 관리 서버(130)로 전송한다(S402).
단말 관리 서버(130)의 장치 관리부(131)는 수신한 망 연결 정보가 망 전환과 관련된 알림(Notification) 패킷인지 판단한다(S404).
장치 관리부(131)는 수신한 망 연결 정보가 망 전환과 관련된 알림 패킷이라고 판단하는 경우 망 연결 정보와 멀티 모드 이동단말(300)의 위치 정보를 저장함으로써 단말이 연결된 망 정보를 등록한다(S406).
단말 관리 서버(130)는 수신한 망 연결 정보가 망 전환과 관련된 알림 패킷이 아니라 성능 및 장애 관련 알림 패킷인 경우 단말 정보를 체크하거나 장애 정보에 따라 장애 조치를 취하는 프로세스를 수행한다(S408).
단말 관리 클라이언트(320)는 멀티 모드 이동단말(300)에서 성능 및 품질 정보를 재설정하거나 장애 정보가 발생하는 경우, 성능 정보, 품질 정보 및 장애 정보를 IP망(160)을 통해 단말 관리 서버(130)로 주기적으로 전송한다.
또한, 단말 관리 클라이언트(320)는 펌웨어 업데이트, 설정 정보 조회를 수행하는 경우, 단말 관리 서버(130)로 조회 및 업데이트 요청 신호를 IP망(160)을 통해 단말 관리 서버(130)로 전송하여 펌웨어 업데이트, 설정 정보 조회를 수행한다.
다음, 도 8을 참조하여 단말 관리 서버(130)에서 IP망(160)을 통해 멀티 모드 이동단말(300)을 원격 관리하는 방법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 관리 서버(130)에서 IP망(160)을 통해 멀티 모드 이동단말(300)을 원격 관리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먼저, 단말 관리 서버(130)는 멀티 모드 이동단말(300)과 IP망(160)을 통해 접속하여 멀티 모드 이동단말(300)이 연결된 망 정보를 등록하는 단계를 수행한다(S500). 즉, 단말 관리 서버(130)는 멀티 모드 단말로부터 단말의 현재 위치 정보와 망 연결 정보를 IP망(160)을 통해 수신하여 저장한다.
단말 관리 서버(130)는 망 연결 정보를 분석하여 멀티 모드 이동단말(300)이 현재 연결된 망이 IP를 지원하는 경우 현재 할당받은 IP 주소를, IP를 지원하지 않는 경우 왑 게이트웨이 정보를 포함한 왑 메시지를 통해 멀티 모드 이동단말(300)과 접속한다(S502).
단말 관리 서버(130)는 고객으로 받은 제어 요청에 따라 원격 조회 명령이나 펌웨어 업데이트 명령, 단말의 설정 변경, 단말 정보 조회 명령을 수신하고, 이에 따른 제어 명령에 따라 IP망(160)을 통해 접속한 멀티 모드 이동단말(300)을 원격 관리한다(S504).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장치 및/또는 방법을 통해서만 구현이 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에 대응하는 기능을 실현하기 위한 프로그램, 그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 등을 통해 구현될 수도 있으며, 이러한 구현은 앞서 설명한 실시예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전문가라면 쉽게 구현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와이브로 사업자 관리망과 타 사업자 관리망이 중첩되어 구성된 이동통신망 구성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멀티 모드 이동단말의 내부 구성을 간략하게 나타낸 블록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멀티 모드 이동단말이 와이브로망에서 HSDPA망으로 로밍하는 경우, 멀티 모드 이동단말에서 발생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멀티 모드 이동단말이 와이브로망에서 CDMA망으로 로밍하는 경우, 멀티 모드 이동단말에서 발생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멀티 모드 이동단말이 CDMA망에서 와이브로망으로 로밍하는 경우, 멀티 모드 이동단말에서 발생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 관리 서버의 내부 구성을 간략하게 나타낸 블록 구성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멀티 모드 이동단말이 IP망을 통해 단말 관리 서버로 접속하여 망 정보 등록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 관리 서버에서 IP망을 통해 멀티 모드 이동단말을 원격 관리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Claims (10)

  1. (a) 단말―상기 단말은 상기 단말의 연속적인 관리를 수행하는 단말 관리 서버의 IP 주소를 저장함―로부터 IP망을 통해 상기 IP 주소를 근거로 한 접속 요청을 받아 상기 단말과 접속하는 단계;
    (b) IP를 지원하는 망으로 이동한 상기 단말의 위치 정보와 상기 단말을 액세스하기 위한 망 연결 정보―상기 망 연결 정보는 현재 할당받은 IP 주소를 포함함―를 상기 IP망을 통해 수신하는 단계; 및
    (c) 상기 망 연결 정보가 망 전환 관련 알림(Notification) 패킷인지 판단하여 상기 단말의 위치 정보와 상기 망 연결 정보를 저장함으로써 상기 단말이 연결된 망 정보를 등록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연속 관리 방법.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c)단계에서,
    상기 망 연결 정보가 상기 망 전환 관련 알림 패킷이 아니고 성능 및 장애 관련 알림 패킷인 경우 성능 정보와 장애 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고, 상기 성능 정보를 분석하여 단말 정보를 체크하거나 상기 장애 정보에 따라 장애 조치를 취하는 프로세스를 수행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연속 관리 방법.
  3. 제1 항 또는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망 연결 정보는 특정 서비스 업체의 상기 IP를 지원하는 망으로 전환 예정을 알리는 전환 예정 망 정보와,
    망 사업자 정보, 망 종류 및 상기 현재 할당받은 IP 주소를 나타내는 망 전환 정보 중 어느 하나의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 관리 방법.
  4. 단말로부터 상기 단말의 현재 위치 정보와 상기 단말을 액세스하기 위한 망 연결 정보―상기 망 연결 정보는 망 사업자 정보, 망 종류, 할당받은 IP 주소, 왑 게이트 정보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정보를 포함함―를 IP망을 통해 수신하고, 상기 망 연결 정보를 기초로 상기 단말이 현재 연결된 망이 IP를 지원하는 경우 상기 할당받은 IP 주소로, IP를 지원하지 않는 경우 상기 왑 게이트 정보를 통해 상기 단말과 접속하여 상기 단말의 설정 변경, 단말 정보 조회 기능을 수행하는 장치 관리부;
    상기 단말로부터 상기 IP망을 통해 전송받은 상기 단말의 성능 정보를 가공하여 통계 정보로 변환하는 성능 관리부; 및
    상기 단말로부터 상기 IP망을 통해 전송받은 상기 단말의 장애 정보를 분석하고, 상기 분석한 장애 정보에 따라 조치 프로세스를 가동하여 상기 단말의 장애를 처리하는 장애 관리부
    를 포함하는 연속 관리 장치.
  5. 제4 항에 있어서,
    펌웨어 파일을 관리하는 장치로부터 펌웨어 업데이트 명령을 수신하는 경우 상기 단말로 펌웨어 업데이트를 수행한 후 펌웨어 업데이트에 성공하면 펌웨어 정보 업데이트를 수행하는 펌웨어 관리부
    를 더 포함하는 연속 관리 장치.
  6. (a) 단말로부터 상기 단말의 현재 위치 정보와 상기 단말을 액세스하기 위한 망 연결 정보―상기 망 연결 정보는 망 사업자 정보, 망 종류, 할당받은 IP 주소 및 왑 게이트 정보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정보를 포함함―를 IP망을 통해 수신하는 단계;
    (b) 상기 수신한 망 연결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단말이 현재 연결된 망이 IP를 지원하는 경우 상기 할당받은 IP 주소로, IP 지원하지 않는 경우 상기 왑 게이트 정보를 통해 상기 단말과 접속하는 단계; 및
    (c) 고객으로 받은 조회 요청에 따라 원격 조회 명령이나, 펌웨어 정보 업데이트 명령 및 상기 단말의 설정 변경 명령을 생성하여 상기 IP망을 통해 상기 단말로 전송함으로써 상기 단말을 원격 관리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연속 관리 방법.
  7. (a) 단말―상기 단말은 상기 단말의 연속적인 관리를 수행하는 단말 관리 서 버의 IP 주소를 저장함―로부터 IP망을 통해 상기 IP 주소를 근거로 한 접속 요청을 받아 상기 단말과 접속하는 단계;
    (b) IP를 지원하는 망에서 IP를 지원하지 않는 망으로 이동한 상기 단말로부터 상기 단말의 위치 정보와 무선 네트워크 베어러에 따라 생성된 제1 망 연결 정보―상기 제1 망 연결 정보는 망 사업자 정보, 망의 종류, 왑 게이트웨이 정보를 포함함―를 상기 IP망을 통해 수신하는 단계; 및
    (c) 상기 제1 망 연결 정보가 망 전환 관련 알림(Notification) 패킷인지 판단하여 상기 단말의 위치 정보와 상기 제1 망 연결 정보를 저장함으로써 상기 단말이 연결된 상기 IP를 지원하지 않는 망의 정보를 등록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연속 관리 방법.
  8.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c)단계 이후에,
    상기 IP를 지원하지 않는 망에서 상기 IP를 지원하는 망으로 상기 단말이 복귀한 경우 상기 단말로부터 상기 단말을 액세스하기 위한 제2 망 연결 정보―상기 제2 망 연결 정보는 망 사업자 정보, 망의 종류, 현재 할당받은 IP 주소―를 상기 IP망을 통해 수신하여 상기 단말이 연결된 상기 IP를 지원하는 망의 정보를 등록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연속 관리 방법.
  9. 제7 항 또는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망 연결 정보 또는 상기 제2 망 연결 정보가 상기 망 전환 관련 알림 패킷이 아니고 성능 및 장애 관련 알림 패킷인 경우 성능 정보와 장애 정보를 주기적으로 수신하고, 상기 성능 정보를 분석하여 단말 정보를 체크하거나 상기 장애 정보에 따라 장애 조치를 취하는 프로세스를 수행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연속 관리 방법.
  10. 제7 항 또는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망 연결 정보는 왑 메시지 또는 전화번호 정보를 포함한 단문 메시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 관리 방법.
KR1020070090304A 2007-09-06 2007-09-06 멀티 모드 이동단말의 연속 관리 장치 및 방법 KR2009002544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90304A KR20090025443A (ko) 2007-09-06 2007-09-06 멀티 모드 이동단말의 연속 관리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90304A KR20090025443A (ko) 2007-09-06 2007-09-06 멀티 모드 이동단말의 연속 관리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25443A true KR20090025443A (ko) 2009-03-11

Family

ID=406937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90304A KR20090025443A (ko) 2007-09-06 2007-09-06 멀티 모드 이동단말의 연속 관리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025443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165494B2 (en) Radio network controller with IP mapping table
US8792914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wireless communication using location based information
CA2554546C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the utilization of core based nodes for state transfer
CN1720757B (zh) 用于分组数据服务发现的方法和装置
CN101040463B (zh) 用于连接移动通信网络和无线网络的双模式移动终端的切换系统和方法
CN102812749B (zh) Wan与lan之间的数据业务的重定向方法及设备
US20090303962A1 (en) Method and a Network Node for Managing Handovers in a Packet Data Communication Environment
CN104994477A (zh) 重定向通过数据网络的蜂窝电话通信
CN102812757B (zh) 用于重定向数据业务的方法、装置和系统
KR20100029869A (ko) 이종망간 끊김없는 서비스를 지원하는 장치 및 그 방법
CN101370293A (zh) 异构网络中的用户终端接入控制方法及其系统
KR20130036861A (ko) 단말 및 그 단말에서 핸드오프 수행 방법
KR101010816B1 (ko) 이동성 관리를 촉진시키는 장치 및 방법
US20090109927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updating network information using mobile terminal
KR20090053279A (ko) 미디어 독립 핸드오버를 지원하는 통신시스템에서 인터넷주소를 할당하기 위한 방법, 장치 및 시스템
McCann et al. Next generation multimode terminals
KR100789900B1 (ko) 이종 무선 네트워크에 접속할 수 있는 멀티 무선인터페이스를 가진 이동단말의 정책을 기반으로 한핸드오버 방법
KR20090025443A (ko) 멀티 모드 이동단말의 연속 관리 장치 및 방법
KR101697206B1 (ko) 이기종 망간 핸드오버 시스템 및 방법
WO2022201454A1 (ja) モバイル通信システム、移動管理装置、および通信制御方法
EP1942630B1 (en) Selection of mobility management protocols
Alonistioti et al. Mobility management for beyond 3G reconfigurable systems.
KR20070079459A (ko)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이동 가능한 기지국의 이동성 제공 및서비스 프로파일 관리를 위한 장치 및 방법
JP2003143196A (ja) パケット通信網における通信制御方法、パケット交換機、及びパケット交換機の通信制御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