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23627A - 개선된 기판 - Google Patents

개선된 기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23627A
KR20090023627A KR1020087031320A KR20087031320A KR20090023627A KR 20090023627 A KR20090023627 A KR 20090023627A KR 1020087031320 A KR1020087031320 A KR 1020087031320A KR 20087031320 A KR20087031320 A KR 20087031320A KR 20090023627 A KR20090023627 A KR 2009002362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quid crystal
counterfeiting
layer
crystal layer
substr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70313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99482B1 (ko
Inventor
로렌스 커맨더
애덤 제콕
캐롤 레즐리 포스터
Original Assignee
드 라 뤼 인터내셔날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36687841&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20090023627(A)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드 라 뤼 인터내셔날 리미티드 filed Critical 드 라 뤼 인터내셔날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0900236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2362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994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9948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DBOOKS; BOOK COVERS; LOOSE LEAVES; PRINTED MATTER CHARACTERISED BY 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PRINTED MATTER OF SPECIAL FORMAT OR STY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DEVICES FOR USE THEREWITH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MOVABLE-STRIP WRITING OR READING APPARATUS
    • B42D25/00Information-bearing cards or sheet-like structures characterised by 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Manufacture thereof
    • B42D25/30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e.g. for preventing forgery
    • B42D25/36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e.g. for preventing forgery comprising special materials
    • B42D25/364Liquid cryst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DBOOKS; BOOK COVERS; LOOSE LEAVES; PRINTED MATTER CHARACTERISED BY 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PRINTED MATTER OF SPECIAL FORMAT OR STY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DEVICES FOR USE THEREWITH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MOVABLE-STRIP WRITING OR READING APPARATUS
    • B42D25/00Information-bearing cards or sheet-like structures characterised by 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Manufacture thereof
    • B42D25/30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e.g. for preventing forger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DBOOKS; BOOK COVERS; LOOSE LEAVES; PRINTED MATTER CHARACTERISED BY 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PRINTED MATTER OF SPECIAL FORMAT OR STY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DEVICES FOR USE THEREWITH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MOVABLE-STRIP WRITING OR READING APPARATUS
    • B42D25/00Information-bearing cards or sheet-like structures characterised by 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Manufacture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DBOOKS; BOOK COVERS; LOOSE LEAVES; PRINTED MATTER CHARACTERISED BY 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PRINTED MATTER OF SPECIAL FORMAT OR STY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DEVICES FOR USE THEREWITH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MOVABLE-STRIP WRITING OR READING APPARATUS
    • B42D25/00Information-bearing cards or sheet-like structures characterised by 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Manufacture thereof
    • B42D25/20Information-bearing cards or sheet-like structures characterised by 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Manufacture thereof characterised by a particular use or purpose
    • B42D25/29Securities; Bank not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DBOOKS; BOOK COVERS; LOOSE LEAVES; PRINTED MATTER CHARACTERISED BY 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PRINTED MATTER OF SPECIAL FORMAT OR STY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DEVICES FOR USE THEREWITH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MOVABLE-STRIP WRITING OR READING APPARATUS
    • B42D25/00Information-bearing cards or sheet-like structures characterised by 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Manufacture thereof
    • B42D25/30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e.g. for preventing forgery
    • B42D25/351Translucent or partly translucent parts, e.g. window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DBOOKS; BOOK COVERS; LOOSE LEAVES; PRINTED MATTER CHARACTERISED BY 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PRINTED MATTER OF SPECIAL FORMAT OR STY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DEVICES FOR USE THEREWITH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MOVABLE-STRIP WRITING OR READING APPARATUS
    • B42D25/00Information-bearing cards or sheet-like structures characterised by 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Manufacture thereof
    • B42D25/30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e.g. for preventing forgery
    • B42D25/36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e.g. for preventing forgery comprising special materials
    • B42D25/378Special in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DBOOKS; BOOK COVERS; LOOSE LEAVES; PRINTED MATTER CHARACTERISED BY 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PRINTED MATTER OF SPECIAL FORMAT OR STY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DEVICES FOR USE THEREWITH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MOVABLE-STRIP WRITING OR READING APPARATUS
    • B42D25/00Information-bearing cards or sheet-like structures characterised by 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Manufacture thereof
    • B42D25/40Manufacture
    • B42D25/405Marking
    • B42D25/425Marking by deformation, e.g. emboss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DBOOKS; BOOK COVERS; LOOSE LEAVES; PRINTED MATTER CHARACTERISED BY 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PRINTED MATTER OF SPECIAL FORMAT OR STY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DEVICES FOR USE THEREWITH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MOVABLE-STRIP WRITING OR READING APPARATUS
    • B42D25/00Information-bearing cards or sheet-like structures characterised by 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Manufacture thereof
    • B42D25/40Manufacture
    • B42D25/45Associating two or more lay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25/00Cards, e.g. identity cards, credit car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57/00Electrical equipment
    • B32B2457/20Displays, e.g. liquid crystal displays, plasma displays
    • B32B2457/202LCD, i.e. liquid crystal displays
    • B42D2033/26
    • B42D2035/24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156/00Adhesive bonding and miscellaneous chemical manufacture
    • Y10T156/10Methods of surface bonding and/or assembly therefor
    • Y10T156/1002Methods of surface bonding and/or assembly therefor with permanent bending or reshaping or surface deformation of self sustaining lamina
    • Y10T156/1039Surface deformation only of sandwich or lamina [e.g., embossed panels]
    • Y10T156/1041Subsequent to lamination

Landscapes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quid Crystal (AREA)
  • Credit Cards Or The Like (AREA)
  • Materials For Medical Uses (AREA)
  • Organic Insulating Materials (AREA)
  • Glass Compositions (AREA)
  • Printing Methods (AREA)
  • Addition Polymer Or Copolymer, Post-Treatments, Or Chemical Modifications (AREA)
  • Inorganic Insulating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양한 인증 또는 위조방지 적용예들을 위하여 상이한 형상 및 크기로 이용될 수 있는 위조방지 장치, 특히 액정 물질을 이용하는 광학 가변성 위조방지 장치에 있어서의 개선에 관한 것이다. 그 위조방지 장치는 액정층(11), 액정층(11)의 일 측부의 적어도 일부분에 인접하고 적어도 부분적으로 흡수하는 흡수층(12), 및 선택된 영역들에서 흡수층(12)에 대하여 반대인 액정층(11)의 반대 측부의 적어도 일부분에 인접한 적어도 하나의 맞춤제작 영역(13)을 포함한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맞춤제작 영역(13)은 액정층(11)의 색변환 성질을 변형시켜서, 적어도 하나의 맞춤제작 영역에 의해 덮인 영역들과 적어도 하나의 맞춤제작 영역에 의해 덮이지 않은 영역들에 의하여, 적어도 두 개의 대비되는 광학적 가변 영역들이 제공된다.

Description

개선된 기판{Improvements in substrates}
본 발명은 다양한 인증 또는 위조방지 적용예들을 위하여 다양한 형상 및 크기로 이용될 수 있는 위조방지 장치(위조방지 기구)(security device), 특히 액정 물질(liquid crystal materials)를 이용하는 광학 가변성 위조방지 장치(optically variable security device)의 개선에 관한 것이다.
칼라 복사기 및 다른 이미지 시스템(imaging system)의 증가하는 대중화, 그리고 칼라 복사의 향상된 기술 품질은, 지폐(bank note), 여권(passport), 수입 인지(fiscal stamp), 인증 라벨(authentication label), 및 신분증(identification card) 등의 위조(counterfeiting) 증가로 이어져 왔다. 그러므로, 현존하는 특징물들에 부가적인 인증 또는 위조방지 특징물을 부가할 필요가 있다. 복사기에 의하여 복제될 수 없는 광학적 가변 특징물을 그러한 문서 내로 도입하기 위한 조치들이 이미 취해져 왔다. 또한 육안에 의하여 판별가능하지만 복사기에 의하여는 "보이지않는" 또는 상이하게 보이는 특징물들을 도입함에 대한 요구가 있다. 통상적으로 복사 과정은 복사될 이미지를 담고 있는 원래 문서에 높은 에너지의 빛을 산란(scatter)시키는 것을 포함하므로, 일 해결방안으로서는, 예를 들어 워터마크(watermark) 및 그 개선물과 같이, 반사 및 투과된 빛에 있어서 상이한 인 상(perception)을 갖는 하나 이상의 특징물을 문서 내에 포함시키는 것일 것이다.
어떤 액정 물질는 각도 의존적 색상 반사(angularly dependent coloured reflection)뿐만 아니라, 투과 및 반사되어 관찰될 때에 색상 변화를 보이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차별적인 광학적 특성을 생성하기 위하여, 액정 물질이 문서, 신분증, 및 다른 위조방지 요소들에 포함되어져 왔다. EP-A-0435029 는 신분증과 같은 데이터 캐리어(data carrier)에 관련된 것인데, 이것은 데이터 캐리어 내에 액정 폴리머(liquid crystal polymer)의 층(layer) 또는 필름(film)을 포함한다. 액정 폴리머는 실온에서 고체 형태로 있으며, 통상적으로는 라미네이트 구조(laminate structure) 내에 있다. 검정색 배경(black background)에 적용된 액정층이 모든 관찰 각도에 대하여, 반사된 스펙트럼에서 높은 색상 순도를 보여줄 것으로 의도된다. 인증성의 확인을 위한 자동적 시험은, 단일한 조합된 측정기에서 반사된 빛의 편광 특성 및 파장을 이용하여 나타나게 된다. 이것은 검정색 배경 상에 균일한 액정 영역을 필요로 하는 단일의 전반사 측정기(absolute reflective measurement)를 이용하여 광학적으로 복잡하다는 단점을 갖는다.
AU-A-488,652 도 위조방지 요소 내로 차별적인 광학적 가변 특징물을 도입시킴에 의하여 위조 복제를 방지하는 것에 관련된다. 이 특허는, 플라스틱 시트의 두 개의 층들 사이에 라미네이트된 액정 "잉크"를 이용하는 것에 관하여 기재하고 있다. 액정은 검정색 배경 상에 코팅되어서, 빛의 반사된 파장만이 색상으로서 보인다. 그 특허 명세서는 열변색성(thermochromic) 액정 물질에 관하여 주로 설명하고 있는데, 액색성 액정 물질는 온도의 변화에 따라서 변화하는 색상의 특성을 갖는다.
콜레스테롤성(cholesteric) 액정은 카이랄 네마틱 상(chiral nematic phase)에서 어떤 고유한 특성을 갖는다. 투과 또는 반사의 경우에서 관찰되는 때에 각도 의존적 색상 반사와 색상 차이를 낳는 것이 카이랄 네마틱 상이다. 콜레스테롤성 액정은 나선 구조를 형성하는데, 이것은 짧은 대역의 파장에 걸쳐서 원형으로 편광된 빛을 반사한다. 그 파장은 액정 물질 내의 정렬에 의하여 형성된 나선 구조의 피치(pitch)의 함수이다. 그러한 구조의 일 예가 도 1 에 도시되어 있는바, 여기에서 콜레스테롤성 나선 축은 화살표 X 의 방향으로 있다.
반사 파장은 액정의 화학 조성의 적절한 선택에 의하여 조정될 수 있다. 그 소재는 온도에 민감하거나 민감하지 않은 것으로 선택될 수 있다. 바른 소재의 선택에 의하여 오른 방향 및 왼 반향 둘 다의 원형 편광된 빛이 반사될 수 있고, 따라서 이중의 액정층들에 의하여 특정 파장에서의 높은 반사성이 얻어질 수 있다. 또한 반사된 빛의 파장은 입사각에 의존적인데, 이것은 장치(10)가 기울어짐에 따라서 관찰자에게 인지되는 색상 변화로 귀결된다(도 2 참조).
어두운 배경 상에서는 뒤로부터 투과되는 빛이 거의 없기 때문에 반사 효과만이 관찰된다. 어두운 배경이 제거되거나 또는 존재하지 않고 장치(10)가 투과 상태로 관찰되는 때에는, 투과되는 색상의 강도가 반사 색상을 포화(saturate)시킨다. 반사되지 않는 빛 중의 작은 비율의 부분은 흡수되고 나머지는 액정 물질를 통하여 투과된다. 바르게 구성된 때에는, 화살표(Y)의 방향으로의 투과된 색상과 화살표(Z)의 방향으로의 반사된 색상 간에 현저한 변화가 있다(도 3 참조). 도 3 의 액정층의 양 측부 상의 영역에는 투명한 폴리머 또는 유리가 있다. 상기 투과된 색상과 반사된 색상은 상보적인바, 예를 들어 반사된 녹색 색상은 투과된 마그네타(magenta) 색상을 낳는다.
액정 물질은, 예를 들어 WO-A-03061980 에 기재된 바와 같이 균일한 필름으로 적용된 비안료성 코팅(non-pigmented coating)으로서 위조방지 장치에 포함되거나, 또는 예를 들어 EP-A-1156934 에 기재된 바와 같이 유기성 바인더(organic binder) 내의 액정 안료로서 잉크의 형태로 위조방지 장치에 포함될 수 있다. 액정 잉크의 장점은, 통상적인 인쇄 공정을 이용하여 적용될 수 있다는 것이고, 따라서 액정 물질을 디자인의 형태로 상대적으로 수월하게 적용할 수 있다는 것이다. 그러나, 관찰되는 색상 및 색상-변환(colour-shift)의 색순도, 밝기, 및 선명도의 면에서는 안료성 액정 잉크(pigmented liquid crystal ink)가 액정층에 비하여 열등하다. 이 열등함은, 액정층의 균일한 정렬에 비하여, 개별의 액정 안료들 사이의 콜레스테롤성 나선 축의 정렬이 가변적임에 기인한다.
종래 기술에 설명된 위조방지 장치에 있어서 액정 필름을 이용하는 것의 단점은, 생산 과정에 있어서 캐리어 기판(carrier substrate) 상에 액정 폴리머를 코팅하는 단계, 형성된 액정 폴리머 필름을 캐리어 기판으로부터 위조방지 장치의 기판으로 전사시키는 단계와 같은 수 개의 단계들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각 위조방지 적용예를 위하여 베이스 액정층을 맞춤제작(customise)하는 것은 수월하지도 않고 비용면에서 효율적이지도 않다.
종래 기술에서는 액정층 아래의 흡수층(absorbing layer)을 변형함에 의하여 액정층들을 포함하는 위조방지 장치를 맞춤제작하는 것이 알려져 있다. 예를 들어 EP0435029 에서는, 액정층 아래에 검정색의 인쇄된 이미지를 적용함에 의하여 위조방지 장치가 맞춤제작된다. WO03061980 에서는 어두운 레지스트(dark resist)를 이용하여 탈금속화된 문자들(demetallised characters)을 도입함에 의하여 액정 위조방지 쓰레드(thread)가 맞춤제작된다. WO03061980 에는 위조방지 기판을 제조하기 위한 방법이 기재되어 있는데, 그것은 액정 물질의 색상변환 효과와 탈금속화된 표지의 이용을 조합한 것이다.
EP-A-1700707 에는 불투명한 인쇄층이 적용된 콜레스테롤 액정층 또는 다층 필름을 포함하는 판별 매체(discrimination medium)에 관하여 기술되어 있는바, 인쇄층에 있는 간격들은 관찰 각도에 따라서 색상을 변화시키는 이미지를 형성한다. 인쇄층은 단순히 액정 필름을 감추는 것이고, 액정층의 색변환 특성을 변형시키는 것이 아니다.
DE-A-102004039355 에는 두 개의 액정 물질을 포함하는 위조방지 장치가 설명되어 있는데, 여기에서는 어떤 영역들에 있어서, 콜레스테롤성 액정 물질의 두 개의 층들의 반사 스펙트럼의 부가적인 색상-혼합(additive colour-mixing)이 더 넓고 비상한 색상 기울임 효과(colour tilt effects)의 생성을 가능하게 한다.
맞춤제작 영역이 고가의 부가적인 액정층이 아닌, 종래 기술에 설명된 맞춤제작된 액정 장치는, 액정층의 색변환 특성을 변형시키지 않는다는 한계를 갖는다. 본 발명은, 부가적인 고가의 액정층을 이용하지 않고서 대비되는 색변환 성질을 갖는 적어도 두 개의 영역들이 생성되도록, 액정층이 쉽게 맞춤제작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위조방지 장치는, 액정층, 액정층의 일 측부의 적어도 일부분에 적용되거나 또는 그와 동일하게 걸쳐있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흡수하는 흡수층, 및 선택된 영역들에서 흡수층에 대하여 반대인 액정층의 반대 측부의 적어도 일부분에 적용되거나 또는 그와 동일하게 걸쳐있는 적어도 하나의 맞춤제작 영역(customising region)을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맞춤제작 영역은 액정층의 색변환 성질을 변형시켜서, 적어도 하나의 맞춤제작 영역에 의해 덮인 영역들과 적어도 하나의 맞춤제작 영역에 의해 덮이지 않은 영역들에 의하여, 적어도 두 개의 대비되는 광학적 가변 영역들이 제공된다.
상이한 색상들이 관찰되는 관찰 각도가 변화함에 따라서 액정층의 색변환 성질의 변형은 관찰자에게 명확하게 된다. 관찰 각도는, 그 장치를 기울임 및/또는 회전시킴에 의하여 달라질 수 있다.
맞춤제작 영역은 액정층을 출입하는 빛을 막지 않는바, 즉 맞춤제작 영역은 적어도 반투명하고, 바람직하게는 그 자체가 색변환 성질을 갖지 않는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형태에서, 액정층은 필름으로서 존재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필름의 이용에만 국한되는 것이 아니고, 액정층은 예를 들어 안료성 액정 코팅과 같은 다른 형태로서 제공될 수 있다.
액정층이 필름의 형태를 갖는다면, 본 발명의 위조방지 장치는 액정층의 우수한 광학적 성질의 장점을 갖는 한편, 안료성 잉크의 디자인 유연성은 유지한다.
이하에서는, 하기의 첨부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예시적으로서 설명된다.
도 1 에는 콜레스테롤성 액정 물질의 카이랄 네마틱 정렬이 도시되어 있고;
도 2 에는 콜레스테롤성 액정 물질로부터의 반사가 입사각에 따라서 어떻게 변화하는지가 도시되어 있고;
도 3 에는 액정 물질에 입사하는 빛의 투과 및 반사가 도시되어 있고;
도 4 에는 베이스 기판에의 적용 전에 있어서 전사 기판 상에 맞춤제작 영역을 적용하기 전의 위조방지 장치의 측단면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5 에는 본 발명에 따른 베이스 기판에 적용되고 맞춤제작 영역을 구비한 위조방지 장치의 평면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6 에는 도 5 의 V-V선을 따라 취한 것으로서, 베이스 기판에의 적용 후에 있어서의 도 5 의 위조방지 장치의 측단면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7 및 도 9 는 대안적인 위조방지 장치의 평면도들이 도시되어 있고;
도 8 및 도 10 은 도 7 및 도 9 각각의 VII-VII선 및 IX-IX선을 따라서 각각 취한, 위조방지 장치의 측단면도들이 도시되어 있고;
도 11 내지 도 17 에는 기판에 적용된 다른 대안적인 위조방지 장치의 평면도들이 도시되어 있다.
도 4 내지 도 6 을 참조하면, 위조방지 기판(16)으로 만들어지고 가치있는 문서를 보호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라 형성된 위조방지 장치(10)는, 액정층(11), 액정층(11)의 적어도 일부분과 동일하게 걸쳐 있는 흡수층(12), 및 맞춤제작 영역(13)을 포함한다. 맞춤제작 영역(13)은, 액정층(11)의 색변환 성질을 변형시킴에 의하여 장치(10)를 맞춤제작하기 위하여, 액정층(11)의 적어도 일부분에 동일하게 걸쳐 있고, 바람직하게는 액정층의 적어도 일부분에 직접 적용된다.
장치(10)는, 예를 들어 패치(patch), 호일(foil), 스트라이프(stripe), 스트립(strip) 또는 쓰레드(thread)와 같은 종래 기술에서 알려진 통상적인 방법들 중 임의의 것에 의하여 위조방지 기판(16) 또는 위조방지 문서에 적용 또는 포함될 수 있다. 액정층(11)은, 스트라이프 또는 패치의 경우와 같이 문서의 표면 상에 완전히 배치되거나, 또는 제한된 위조방지 쓰레드(windowed security thread)의 형태로 문서의 표면 상에 부분적으로만 보일 수 있게 될 수 있다. 현재, 위조방지 쓰레드들은 많은 세계의 화폐들 뿐만 아니라, 상품권, 여권, 여행자 수표, 신분증, 인증 라벨, 우표, 및 다른 문서들에도 있다. 많은 경우들에 있어서, 쓰레드는 부분적으로 함입(embed)되거나 또는 제한된 형태로 제공되는데, 여기에서 쓰레드는 종이의 안과 밖으로 지나가는 것으로 보여진다. 소위 제한된 쓰레드(windowed thread)를 구비한 종이를 제작하는 방법은, EP-A-0059056 및 EP-A-0860298 에서 찾아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장치(10)의 영역들이 문서의 양 측부들에서 보일 수 있도록 장치(10)가 문서 내에 포함될 수 있다. 문서의 양 측부들로부터 보일 수 있도록 위조방지 장치(10)를 포함시키는 방법은, EP-A-1141480 및 WO-A-03054297 에 설명 되어 있다. EP-A-1141480 에 설명된 방법에서는, 장치(10)의 일 측부가 부분적으로 함입되어 그 문서의 일 표면에서 완전히 노출되고 기판의 다른 표면에서는 제한 부분(window)을 통하여 부분적으로 노출된다.
스트라이프 또는 패치의 경우에는, 액정층(11)이 액정 물질의 코팅(coating), 인쇄(printing), 전사(transferring), 또는 라미네이팅(laminating)에 의하여 형성된 필름의 형태로서 캐리어 기판(14) 상에 제공될 수 있다. 일 예에서는, US-A-20040155221 에 설명된 바와 같이, 인쇄가능하고 폴리머화가능한 액정 물질을 이용하여, 액정 물질이 캐리어 기판 상에 그라비어 인쇄(gravure printing)될 수 있다. 그 후, 그 필름은 후속의 작업 단계에서 위조방지 기판(16)으로 전사된다. 장치(10)는 접착층(15)을 이용하여 위조방지 기판(16)에 적용(부착)(apply)될 수 있다. 접착층(15)은 액정층(11), 또는 장치(10)가 적용될 위조방지 기판(16)의 표면에 적용된다. 전사 후에는, 위조방지 장치(10)를 노출된 층으로서 남겨둔 채 캐리어 기판(14)이 제거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는, 캐리어 층(14)이 외측 보호층으로서 작용하는 구조부 부분으로서 잔존할 수 있다.
접착층(15)에 부가하여, 프라이머 층(primer layer)도 스트라이프의 전사 공정 중에 위조방지 기판(16)에 부가될 수 있다. 프라이머 층은 외부 자극에 반응하는 기능 성분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형태의 성분으로서는 형광성, 인광성(phosphorescent), 적외선 흡수성, 열변색성, 광변색성(photochromic), 자성, 전기변색성(electrochromic), 도전성, 및 압력변색성(piezochromic)의 것이 있으나,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프라이머 층은, 프라이머 층에서의 임의의 시 각적 효과가, 적용된 스트라이프에 평행하게 연장된 스트라이프로서 관찰될 수 있도록, 적용된 스트라이프를 넘어 연장될 수 있다.
위조방지 장치(10)의 적용에 뒤이어, 위조방지 기판(16)은 위조방지 문서의 생성을 위하여 다른 표준적인 위조방지 인쇄 공정을 겪는데, 그 공정들에는 습식 또는 건식 리소그래픽 인쇄(wet or dry lithographic printing), 음각 인쇄(intaglio printing), 활판 인쇄(letterpress printing), 플렉소그래픽 인쇄(flexographic printing), 스크린 인쇄(screen printing), 및/또는 그라비어 인쇄 중의 하나 이상이 포함된다. 본 발명의 일 형태에 있어서, 액정층(11)의 맞춤제작은 표준적인 위조방지 인쇄 공정들과 동시에 이루어지고, 바람직하게는 동일한 장비를 이용하여 이루어진다.
하기의 예들에 있어서, 위조방지 장치(10)는 위조방지 기판(16)에 스트라이프로서 적용되지만, 각 경우에서 달리 언급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은 패치, 제한된 위조방지 쓰레드, 및 문서의 양 측부로부터 관찰될 수 있는 부분적으로 긴 요소에 동등하게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맞춤제작 영역(13)은 위조방지 장치가 위조방지 기판에 적용된 후에 적용될 수 있다. 이것은 액정층(11)의 맞춤제작 영역이 기판(16) 상의 인접한 위조방지 특징물에 용이하게 정합(register)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도 4 에는 맞춤제작 영역(13)의 적용 전에 있어서 위조방지 장치(10)의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는데, 장치(10)는 스트라이프로서 위조방지 기판(16)에의 적용에 적합한 것이다. 장치(10)는 캐리어 기판(14) 상에 형성되는데, 캐리어 기판은 선택적인 해제층(release layer; 17)으로 코팅될 수 있는바, 해제층 상에는 균일한 액정층(11)을 형성하는 액정 물질이 적용된다. 액정층(11)은, 폴리머성 액정 물질을 코팅 또는 인쇄하고 경화시킴으로써 필름으로 형성되도록 하거나, 또는 이미 형성된 액정층(11)을 캐리어 기판(14) 상에 전사 또는 라미네이트시킴에 의하여, 캐리어 층(14) 상에 형성될 수 있다. 그 후에 흡수층(12)이 액정층(11) 위로 인쇄된다. 접착층(15)이 흡수층(12)에 적용되고, 장치(10)는 지폐와 같은 위조방지 기판(16)으로 전사될 준비가 된다.
도 5 및 도 6 에 도시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위조방지 장치(10)의 맞춤제작은 산란층(scattering layer; 13)인 맞춤제작 영역을 노출된 액정층(11)에 디자인의 형태로 적용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산란층(13)은, 표준적인 위조방지 인쇄 공정들 중의 하나를 이용하여 적용될 수 있는 매트 바니쉬(matt varnish) 또는 래커(lacquer)의 형태를 취한다. 이 문맥에 있어서, 매트 바니쉬 또는 래커는 액정층(11)으로부터 반사된 빛을 산란시킴으로써 액정층(11)의 광택을 저감시키는 것이다. 적합한 매트 바니쉬의 일 예로서는 유기성 수지 내에 부유되어 있는 미세 입자들이 있다. 빛이 바니쉬를 통과함에 따라서 표면 입자들은 그 빛을 산란시키고, 이로써 매트 외관(matt appearance)이 도출된다. 바니쉬 또는 래커가 액정층(11)에 적용되는 때에 바니쉬 또는 래커의 표면으로 이동하는 입자들에 의하여, 산란 과정이 향상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적합한 바니쉬는, 하이-테크 코팅 엘티디(Hi-Tech Coatings Ltd)사에 의하여 공급되는 "하이 -시일 오 340(Hi-Seal O 340)"이다. 대안적인 해결안에 있어서, 미세 입자들은 유기성 왁스에 의하여 대체될 수 있다. 다른 대안으로서는, 액정층의 표면 내로 매트 구조를 엠보싱(embossing)함에 의하여 산란층(13)이 생성될 수 있다. 적합한 엠보싱된 매트 구조가 WO-A-9719821 에 기재되어 있다. 산란층은, 두 개의 대비되는 광학적 가변 영역들이 다음과 같이 정의될 수 있도록, 액정층(11)의 색변환 성질을 변형시킨다.
영역 A - 흡수층(12) 위의 액정층(11). 이 영역에서는, 액정층(11)의 반사성 색변환이 관찰되고, 반사된 빛의 파장은 입사각에 의존적인데, 그것은 장치(10)가 기울여짐에 따라서 관찰자에게 색변화로서 인식되는 결과를 낳는바, 예를 들어 장치(10)가 법선으로부터 기울여짐에 따라서 적색으로부터 녹색으로 변화된다.
영역 B - 영역 A 위의 광 산란층(13). 이 영역에서는, 산란층(13)이 색변환하는 액정층(11)의 외관을 변형시킨다. 액정층(11)은 빛의 무시할 수 있는 산란을 보이는 균일한 표면을 구비하고, 먼 광원으로부터 백색광의 조명이 지향되는 경우에 입사광은 정반사를 겪으며 고광택의 표면이 관찰되는데, 그 색상은 기판에 대한 관찰 방향의 각도에 의존적이다. 산란층(13)은 액정층(11)의 표면을 변형시키는바, 이제 그 반사는 보다 난반사적으로 되어서, 액정층(11)의 섬광(glare)을 저감시키고 또한 위조방지 장치(10)의 개별 색상들이 인증자에게 용이하게 보이는 각도 범위를 변화시킨다. 예를 들어, 액정 물질이 적색으로부터 녹색으로의 색변환을 보인다면, 그 적색으로부터 녹색으로의 전환은 영역 A 에 비하여 영역 B 에 있어서 법선의 입사에 가까이에서 나타난다.
도 7, 8, 9, 및 10 각각에 도시된 다른 두 개의 실시예들에서, 흡수층은, 디자인의 형태로서 적용되고, 또한 산란층(13)과 함께 조합됨으로써 다음과 같이 정의될 수 있는 다른 두 개의 시각적으로 구별되는 영역들의 생성을 가능하게 한다.
영역 C - 이 영역에서는 흡수층이 없어서, 예를 들어 투명한 폴리머성 기판 상의 불투명한 폴리머성 코팅 또는 종이와 같은 베이스 기판(16) 위에 액정을 포함하는 광학적 가변 영역이 제공된다. 이 예에서, 선택적인 투명 접착제(15)가 액정 필름(11)과 베이스 기판(16) 사이에 제공된다. 흡수층(12)이 없는 곳에서는, 액정층(11)을 통하여 투과된 색상의 강도가 반사 색상을 포화시킨다. 투과된 색상과 반사된 색상은 상보적인바, 예를 들어 반사에 있어서 적색으로부터 녹색으로의 색변환은 투과에 있어서 시안색(cyan)으로부터 마그네타색(magenta)으로의 색변환으로 보인다. 그러므로, 영역 C 에서는, 액정층(11)을 통하여 투과된 빛이 기판(16)의 우세한 백색 배경에 대비되어 관찰되고, 영역 A 에 대해 상보적인 색변환을 나타내는 색상의 현저한 섞임(tint)을 기판(16)에 부여한다. 예를 들어, 영역 A 가 적색으로부터 녹색으로의 색변환을 보인다면, 영역 B 는 상보적인 시안색으로부터 마그네타색으로의 색변환을 보일 것이다.
영역 D - 영역 C 위에 적용된 광 산란층 - 산란층(13)은 투명 접착층(15)과 기판(16) 위의 액정층(11)의 색변환 효과를 효과적으로 저감시킨다. 색변환은 여전히 존재하지만 육안에는 효과적으로 보이지 않게 된다.
검정색 또는 매우 어두운, 실질적으로 완전히 흡수하는 흡수층의 이용은 가 장 강한 색변환 효과를 일으킬 수 있지만, 다른 색상 또는 색상들의 조합의 부분적으로 흡수하는 흡수층(12)의 이용에 의하여는 다른 효과가 생성되어서 상이하게 분명한 색변환 색상을 일으킬 수 있다. 상이한 색상들을 갖는 부분적으로 흡수하는 흡수층(12)들을 이용하는 것은, 광학적 가변 영역들의 갯수가 더 증가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본 발명의 흡수층(12)은 안료성 잉크(pigmented ink) 또는 안료성 코팅을 포함하거나, 또는 대안적으로는 비안료성 및 흡수성의 어두운 염료(non-pigmented absorbing dark dye)가 이용될 수 있다. 흡수층은 염색된 PET(dyed polyethylene terephthalate)와 같은 염색된 폴리머성 필름을 포함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상이한 광학적 가변 영역들을 이용하는 것에 관하여는, 하기의 예들을 이용하여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다시 도 5 및 도 6 을 참조하면, 여기에는 평면적이고 실질적으로 흰색인 위조방지 기판(16)에 전사된 위조방지 장치(10)가 도시되어 있다. 매트 바니쉬 형태의 산란층(13)은 전사 후에 광학적 가변 영역들 A 및 B 을 형성하기 위하여 액정층(11)과 협력하는 디자인의 형태로 적용된다. 영역 A 에서는 배경을 형성하는 흡수층(12) 위에 액정층(11)이 놓여 있고, 영역 B 에서는 액정층(11) 위에 산란층(13)이 놓여 있는데, 그 액정층은 이미 흡수층(12) 위에 놓여 있어서 달러 심볼을 형성한다. 이 예의 목적을 위하여, 어두운 흡수층(12) 위에서 반사되는 것을 보면 액정층(11)은 적색-녹색의 색변환을 나타낸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 색변환에 국한되는 것이 아니고, 임의적으로 색변환하는 액정층(11)이 이용될 수 있다.
주변의 빛 조건하에서 그리고 법선의 입사각(도 6 에서의 관찰 각도 α)로부 터 위조방지 장치(10)를 볼 때에, 배경 영역 A 와 영역 B 둘 다는 액정층(11)의 반사된 빛 때문에 적색으로 나타난다. 그러나, 법선의 입사에 있어서는 영역 A 로부터의 정반사의 강도가 영역 B 로부터의 난반사(diffuse reflection)의 강도보다 작고, 그러므로 영역 B 가 영역 A 보다 밝게 나타나며, 그 두 개의 영역들은 시각적으로 구별된다.
법선의 입사로부터 관찰 방향을 (α로부터 β를 통하여 γ로) 변경함에 따라서, 영역들 A 및 B 에 존재하는 액정층(11)의 반사광은 적색으로부터 녹색으로 전환된다. 영역 B 에 있는 산란층(13)의 매트 바니쉬는 그 반사된 빛을 산란시키고 또한 녹색 색상이 관찰되는 각도 범위를 증가시키는바, 그러므로 적색으로부터 녹색으로의 전환은 영역 A 보다 영역 B 에서 법선의 입사에 가까이에서 일어난다. 도 6 을 참조하면, 영역 B 는 관찰 각도 β 에서 적색으로부터 녹색으로 전환될 것이고, 영역 A 는 관찰 각도 γ 에서 적색으로부터 녹색으로 전환될 것이다.
도 5 및 도 6 에 도시된 맞춤제작된 위조방지 장치(10)는 두 개의 색변환 영역들을 포함하는데, 그 색변환 영역들은 색변환이 일어나는 관찰 각도의 상이함으로 인하여 서로 명백히 구별된다. 이에 부가하여, 위조방지 장치(10)의 광학적 가변 성질은 영역들 A 및 B 간의 광택 차이에 의하여 더 증대된다. 관찰 각도가 변화됨에 따라서, 영역 B 에서의 확산성 반사광(diffuse reflected light)의 강도는 일정하게 유지되지만, 영역 A 로부터의 정반사(specular reflection)의 강도는 영역 B 로부터의 난반사의 강도와 동일하거나 작거나 크게 되도록 변화한다. 이 상태들이 일어나는 각도 범위는 조명 조건에 의존하지만, 예시물을 주변 상태에서 기 울이면 영역들 A 및 B 의 강도가 동일하게 되어 구별할 수 없게 되도록 관찰 각도가 위치될 수 있고 또한 영역 A 의 강도가 영역 B 의 강도보다 크거나 그 역으로 될 수 있다. 그러므로, 도 5 및 도 6 에 도시된 장치(10)를 기울임에 따라서, 달러 심볼(dollar symbol)은 배경의 액정층(11)으로부터의 정반사의 정도에 따라서 시야로부터 벗어나거나 시야에 들어오게 나타날 수 있다.
맞춤제작에 의하여 생성된 디자인은 패턴, 심볼, 알파벳 문자, 및 이들의 조합과 같은 이미지의 형태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 디자인은 중실의 또는 불연속적인 영역들을 포함하는 패턴에 의하여 형성될 수 있는데, 그 영역은 예를 들어 선 패턴(line pattern), 미세선 패턴(fine filigree line pattern), 점 구조(dot structure), 및 기하학적 패턴(geometric pattern)을 포함할 수 있다. 가능한 문자들에는 로마문자가 아닌 문자들도 포함되는바, 예를 들어 중국 문자, 일본 문자, 사스크리트 문자, 및 아라비아 문자도 있으며,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도 7 및 도 8 에는 도 5 및 도 6 에 도시된 것에 대안적인 위조방지 장치(10)의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앞선 실시예와 같이, 액정층(11)은 어두운 흡수층(12) 위에서 반사되어 보여질 때에 적색으로부터 녹색으로의 색변환을 나타낸다. 이 예에서, 어두운 흡수층(12)은 디자인의 형태를 가지고 있으며, 산란층(13)의 매트 바니쉬와 액정층(11)과 협력하여 추가적인 광학적 가변 영역 C 를 형성한다. 어두운 흡수층(12)은 어떤 영역들로부터 생략되는바, 영역 C 에서는, 액정층(11)이 베이스 기판(16) 및 투명 접착제(15)위에 바로 있게 되어, 단어 "STRIPE"라는 반복적 패턴을 형성한다.
법선의 입사에서 관찰될 때에, 영역 C 는 기판(16)과 유사하게 나타나지만, 액정층(11)의 투과광에 의하여, 섞인 시안색(tinted cyan)을 띤다. 법선의 입사각으로부터 관찰 방향을 (α로부터 β를 통하여 γ로) 변경함에 따라서, 영역 C 에 존재하는 투과광은 시안색으로부터 마그네타색으로 전환된다. 액정층(11)으로부터 투과된 광으로부터 귀결되는 영역 C 에 존재하는 색상은 영역 A 에서 관찰되는 반사광의 색상에 대해 상보적인 색상이다.
도 7 및 도 8 의 맞춤제작된 위조방지 장치(10)는 세 개의 색변환 영역들 A, B, 및 C 를 포함하는바, 이들은 서로 명확히 구별된다. 영역 A 는 색변환이 일어나는 관찰 각도의 상이함때문에 영역 B 로부터 구별되고, 영역 C 는 영역 A 및 B 에 대해 상보적인 색변환을 나타낸다. 이에 부가하여, 장치(10)의 광학적 가변 성질은 도 5 및 도 6 을 참조하여 설명된 바와 같이 영역 A 및 B 간의 광택에서의 차이에 의하여 더 증대된다. 또한, 정반사가 가장 강렬한 관찰 방향에 있어서는, 영역 A 로부터의 섬광이 영역 C 에서의 색이 섞인 기판의 국부적 부위를 포화시켜서, 영역 C 에 의하여 형성된 디자인이 시야로부터 감춰지는 것으로 귀결된다. 이것이 가장 효과적으로 되기 위하여는, 예를 들어 알파벳 문자인 영역 C 의 디자인 요소들 각각이 30mm2 보다 적은 면적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요약하면, 도 7 및 도 8 에 도시된 장치(10)는 대비되는 색변환을 나타내는 세 개의 관찰 영역들 A, B, C 을 포함하고, 두 개의 영역들 B, C 은 어떤 관찰 각도에서는 실질적으로 보일 수 없게 되어, 일반 대중에게 자극적이고 기억에 남는 장치(10)가 도출되는 한편, 잠재적인 위조자가 복제하는 것이 매우 복잡하게 된다.
도 9 및 도 10 에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는데, 여기에서는 산란층(13)을 형성하는 매트 바니쉬의 국부적인 적용에 의하여 위조방지 장치(10)가 맞춤제작된다. 어두운 흡수층(12)과 매트 바니쉬는, 디자인의 형태로 적용되고, 액정층(11)과 협력하여, 도 7 및 도 8 을 참조로 하여 설명된 바와 같이 광학적 가변 영역들 A, B, 및 C 를 형성한다. 이 실시예에서, 부가적인 영역 D 는 베이스 기판(16)과 투명한 접착제(15)의 바로 위에 있는 액정층(12)의 구획부들 위에 매트 바니쉬가 적용된 곳에서 형성되어, 단어 "STRIPE" 주위에 박스를 형성한다. 매트 바니쉬는 투명 접착제(15) 위의 액정층(11)의 색변환 효과를 효과적으로 무효화시키고,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백색인 기판(16)의 색상 및 베이스 기판(16)이 관찰 방향에 무관하게 상기 영역 D 에서 보일 수 있게 될 것이다. 사실, 색변환 효과는 영역 D 에서도 여전히 발생하지만, 이것은 육안에 명백히 보이지 않는다. 따라서, 도 9 및 도 10 에 도시된 장치(10)를 기울임에 따라서, 단어 "STRIPE" (영역 C)는 시안색이 섞인 기판 색상으로부터 마그네타색이 섞인 기판 색상으로 전환될 것이고, 주위의 박스(영역 D)는 색이 섞이지 않은 기판(16)의 색상을 가질 것이다.
시안색으로부터 마그네타색으로의 전환은 순간적이지 않고, 그 색상들은 전환 각도에 가까이에서는 육안으로 보기 어려우므로, 전환 각도에 가까운 관찰 각도에 있어서는 영역들 C 와 D 가 구별될 수 없다. 법선의 입사각에서 볼 때에는, 단어 "STRIPE"가 시안색으로 나타나고, 법선의 입사각으로부터 멀리 기울어짐에 따라 서 박스의 백색 배경으로 사라지며, 더 기울이면 마그네타색으로 다시 나타난다.
산란층(13)의 매트 바니쉬는, 습식 또는 건식 리소그래픽 인쇄, 음각 인쇄, 활판 인쇄, 플렉소그래픽 인쇄, 스크린 인쇄, 및/또는 그라비어 인쇄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표준 위조방지 인쇄 공정들 중의 임의의 것을 이용하여, 전통적인 위조방지 인쇄를 하는 것과 동시에 기판(16) 상에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매트 바니쉬는, 리소 또는 음각 인쇄 프레스 상의 색상들 중의 하나를 대체하거나, 또는 그라비어 또는 플렉소그래픽 인쇄 프레스 상에 부가적인 유니트를 이용하여 인쇄될 수 있다. 바니쉬가 주위의 기판(16) 인쇄와 동일한 인쇄 공정 중에 적용될 수 있다는 사실은, 기판(16) 상의 전통적인 위조방지 인쇄와 적용된 위조방지 장치(10) 상의 맞춤제작된 이미지 사이에 기판(16) 상의 상이한 색상들 간에 표준적인 엄격한 정합 공차가 얻어질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위조방지 장치(10)가 위조방지 기판(16)에 적용되기 전에 맞춤제작 영역(13)이 적용될 수도 있다는 점에도 유의하여야 한다. 이것은, 위조방지 기판(16)에 대한 위조방지 장치(10)의 적용이 캐리어 층으로부터 액정층(11)을 전사하는 것을 포함하지 않는 경우에 더 적합하다. 예를 들어, 위조방지 쓰레드의 경우에 있어서, 광 산란성 매트 바니쉬의 형태를 갖는 맞춤제작 영역(13)은, 위조방지 쓰레드의 생산 중에 그라비어 인쇄에 의하여 적용될 수 있다.
도 11 에는 맞춤제작된 이미지가 위조방지 기판(16) 상에 인쇄의 형태로서 위조방지 특징부(security feature; 17)에 정합되는 경우의 일 예가 도시되어 있다. 앞서와 같이, 매트 바니쉬는 디자인의 형태로 산란층(13)을 형성하도록 적용 되고, 액정층(11)과 협력하여 앞서 정의된 바와 같은 광학적 가변 영역들 A 및 B 를 형성한다. 이 예에서, 매트 바니쉬는 기판(16)의 리소그래픽 인쇄 중에 적용되고, "L"자의 형태로서 광학적 가변 영역 B 를 형성하는데, 그 "L" 자는 식별 정보"DLR"을 형성하기 위하여 위조방지 장치(10)의 양 측부에서 기판(16) 상에 인쇄된 "D"자 및 "R"자에 정합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기판(16)과 위조방지 장치(10) 사이의 연결성(link)을 더 증대시키기 위하여, "D"자 및 "R"자가 액정층(11)의 색상들 중의 하나로서 인쇄될 수 있다.
도 11 에 도시된 예에 있어서는 원래의 위조방지 장치(10)가 임의의 위조방지 특징부(17)들과 정합되게 위조방지 기판(16)에 전사될 필요가 없다. 그러나, 광학적 가변 영역 C 및/또는 시각적으로 구별되는 영역 D 를 생성하기 위하여 위조방지 장치(10)가 패턴화된 흡수층(12)을 포함한다면, 영역들 C 및 D 에 의하여 형성되는 디자인을 기판(16) 상의 인접한 위조방지 특징부(17)들과 정합시키는 것이 유리할 수 있다. 이를 달성하기 위한 일 방법으로서는, 패턴화된 흡수층(12)의 동일한 영역이 기판(16)으로부터 형성된 모든 문서 상에 나타나도록 원래의 위조방지 장치(10)의 적용을 정합시키는 것이 있다. 이것을 행하는 방법은, 액정층(11)을 위하여 기판(16)내로 포함시키는 선택된 방법에 의존적인데, 예를 들어 쓰레드, 스트라이프, 또는 패치 등으로서의 포함이 가능하다.
GB-A-235959 에 기재된 하나의 가능한 쓰레드 정합 시스템은, 위조방지 요소가 풀려서 제지 기계(papermaking machine) 내로 공급됨에 따라서 위조방지 요소 상의 제어 특징물의 위치와, 기판 상의 제어 특징물이 형성됨에 따라서 기판 상의 제어 특징물을 감시한다. 그 시스템은 위조방지 요소의 인장력과 그것의 함입(embedment) 속도를 제어하기 위하여 이 위치 표시기들을 이용함으로써, 위조방지 요소와 기판의 제어 특징물들이 정합된다.
패치 또는 스트라이프를 정합되게 포함시키는 것은 공지된 정합 시스템들을 이용하여 수행될 수 있는바, 이로써 장치(10)가 기판(16) 상에 바르게 놓여지는 것이 보장된다. 영역들 C 및 D 에 의하여 형성된 디자인들을 기판(16) 상의 인접한 위조방지 특징부(17)들과 정합시키는 대안적인 방법은, 액정층(11)의 적용 전에 기판(16)에 흡수층(12)을 적용하는 것이다. 표면에 적용된 스트라이프(surface applied stripe)의 경우에 있어서는, 이것이 기계 방향으로의 정합에 대한 필요성을 제거할 것이고, 그러므로 보다 상당히 수월한 단면 방향에 있어서의 정합만이 필요하게 될 것이다.
도 12 에는 일 예가 도시되어 있는데, 여기에서는 광학적 가변 영역들 A, B, C, 및 D 에 의하여 형성되는 맞춤제작된 이미지들이 위조방지 문서 상의 전통적인 인쇄(18)에 정합된다. 산란층(13)을 형성하는 매트 바니쉬는 디자인의 형태로 적용되고, 액정층(11) 및 패턴화된 흡수층(12)과 협력하여 앞서 정의된 바와 같은 광학적 가변 영역들 A, B, 및 C 와 시각적으로 구별되는 영역 D 를 형성한다. 어두운 흡수층(12)은 장치(10)를 따라서 블록 형태로 적용되어 영역들 A 및 C 를 형성한다. 매트 바니쉬는 기판(16)의 리소그래픽 인쇄 중에 적용되고, 광학적 가변 영역들 B 및 D 를 형성한다. 영역 B 는 "TRIP" 문자들의 형태로 영역 A 내에 형성되는데, 이것은 위조방지 장치(10)의 양 측부 상에 인쇄된 "S" 및 "E" 문자들과 정합 되어서 단어 "STRIPE" 를 형성한다. 영역 D 는 "TRIP" 문자들의 형태로 영역 C 내에 형성되는데, 그 문자들은 위조방지 장치(10)의 양 측부 상에 인쇄된 "S" 및 "E" 문자들과 정합되어서 단어 "STRIPE" 를 형성한다. 영역들 A, B, 및 C 에 의하여 보여지는 상이한 색변환 효과들에 부가하여, 도 5 및 도 6 (영역 B) 과 도 9 및 도 10 (영역 D) 을 참조로 하여 설명된 이유로 인하여 기울임에 따라서 "TRIP" 문자들이 시야로부터 사라지고 다시 나타날 것이다.
도 12 에 도시된 형태의 위조방지 장치(10)는 세 개의 위조방지 사항들을 보이는바: 복수의 대비되는 색변환 영역들, 기울임 시에 식별용 이미지가 사라짐과 다시 나타남, 그리고 적용된 장치(10) 상의 이미지들과 기판(16)의 인접한 영역들 상의 전통적인 인쇄된 이미지(18) 간의 정합적인 연결성이 그것이다.
도 13a 및 도 13b 에는 일 예가 도시되어 있는데, 여기에서는 광학적 가변 영역들 A, B, 및 C 에 의하여 형성된 맞춤제작된 이미지들이 위조방지 기판(16) 상의 인쇄부(18)에 정합된다. 산란층(13)은 리소그래픽 인쇄 공정에 의하여 기판(16) 및 장치(10) 둘 다에 적용되는바, 이로써 그것이 인터페이스(interface)에 걸쳐서 연속적인 패턴을 형성한다. 이 예에서, 산란층(13)은 형광 물질(fluorescent material)을 포함하는바, 이로써 자외선 조명 하에서 볼 때에 가시적인 색상이 관찰된다. 액정층(11) 위의 바니쉬의 패턴이 영역 B 를 한정한다. 또한, 어두운 흡수층(12)은 어떤 영역들로부터 생략되는바, 이로써 영역 C 에서는 액정층(11)이 맨 기판(16) 위에 있게 되어 별모양의 이미지를 한정한다. 영역 A 는 배경이다. 별모양들이 언제나 기판(16)으로부터 형성된 각 문서 상의 동일한 위치에 있게 되도록, 위조방지 장치(10)가 기판(16)에 정합되어 적용되고, 그 후에 바니쉬가 적용되어 상보적인 디자인을 형성한다. 법선의 입사각에서 기판(16)을 볼 때(도 13a)에는, 액정층에서 세 개의 상이한 색변환 영역들 A, B, 및 C 가 관찰된다. 그 후 기판(16)을 자외선 조명 하에서 볼 때(도 13b)에는, 완벽하게 정합되어 기판(16)과 액정층(11)을 가로질러 중단되지 않고 계속되는 가시적인 패턴이 관찰되는바, 이로써 보호되는 기판(16)과 액정층(11) 사이에 명확한 연결성을 제공할 것이다.
형광 물질에 부가하여, 산란층(13)은 외부의 자극에 반응하는 다른 기능성 물질을 포함할 수도 있다. 그러한 물질들의 예들로서는, 인광성 물질, 적외선 흡수성 물질, 열변색성 물질, 광변색성 물질, 자성 물질, 전기변색성 물질, 도전성 물질, 및 압력변색성 물질이 있으나,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위조방지 장치(10)의 맞춤제작부는 상승된 선 구조부(raised line structure)로 액정층(11)을 엠보싱함으로써 구현된다. 액정층(11)에 상승된 선 구조부를 엠보싱하는 것은 특히 유리한데, 왜냐하면 엠보싱에 의하여 생성된 면(facet)이 들어오는 빛의 입사각에 있어서의 변화를 초래하여, 액정층(11)의 색상이 관찰 각도에 의존한다는 사실 때문에 다른 색상들의 면들을 생성하기 때문이다. 액정층(11)에 상승된 선 구조부를 이용하는 것은, 배경 층(11)으로부터 상이한 색변환을 보여주는 국부적인 영역들의 생성을 가능하게 한다.
예를 들어, 액정층(11)이 녹색으로부터 청색으로의 색변환을 나타낸다면, 법선의 입사각에서 볼 때에는 엠보싱된 영역과 엠보싱되지 않은 영역이 녹색으로 나 타날 것이다. 장치(10)를 기울이는 때에는, 장치(10)가 기울여짐에 따라서 상이한 관찰 각도에서, 엠보싱되지 않은 영역과 엠보싱된 영역이 녹색으로부터 청색으로 변화할 것이다. 나아가, 장치(10)가 상이한 방위의 엠보싱된 선 구조부의 영역들을 포함한다면, 장치가 기울여짐에 따라서 상이한 관찰 각도에서 각 영역이 녹색으로부터 청색으로 변화할 것이다. 유사하게, 액정층(11)의 평면에서 장치(10)를 회전시킴에 의하여, 엠보싱된 구조부의 방위가 관찰자에 대해 상대적으로 달라짐에 따라서, 엠보싱된 영역들이 회전의 상이한 지점들에서 녹색으로부터 청색으로 또는 그 역으로 전환될 것이다.
엠보싱된 상승된 선 구조부를 이용하는 것의 다른 장점은, 그 구조부가 촉각에 의하여 식별될 수 있는 상승된 표면을 갖는다는 것이다. 액정층(11)의 매끄러운 표면은 이 상승된 구조부의 촉감성을 더 증진시킨다.
엠보싱된 선 구조부는 임의의 편리한 형태를 취할 수 있는바, 여기에는 직선 또는 곡선이 포함되며, 그 곡선은 원의 전체적인 또는 부분적인 호(arc)나 사인파의 부분들일 수 있다. 그 선들은 연속적이거나 불연속적일 수 있고, 예를 들어 대쉬(dash), 점, 또는 다른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다른 형상이라 함은, 점들과 대쉬들이 그래픽적인 형태를 가질 수 있음을 의미한다. 그 선의 폭은 전형적으로는 10-500 미크론(micron)의 범위 내에 있지만, 바람직하게는 50-300 미크론의 범위 내에 있다. 바람직하게는, 개별적인 선들이 육안에는 거의 보일 수 없고, 복수의 선들의 배열에 의하여 주된 시각적 인상(main visual impression)이 부여된다. 선들은 임의의 형상 또는 형태를 정의할 수 있는바, 예를 들어 정사각형, 삼각형, 육각형, 별모양, 꽃모양, 또는 문자나 숫자와 같은 표지를 정의할 수 있다.
엠보싱된 선 구조부는 열과 압력 하에서 액정층(11)에 엠보싱 판(embossing plate)을 적용시킴에 의하여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하게는, 그 엠보싱 공정이 음각 인쇄 중에 일어나고, 선 구조부들을 정의하는 요부(recesse)들을 갖는 음각판을 이용하여 수행된다. 바람직하게는, 액정층(11)이 블라인드 엠보싱(blind embossing)되는바, 즉 요부들은 잉크로 채워지지 않는다. 그러나, 엠보싱된 구조부를 한정하는 요부들 중의 일부가 잉크로 채워지고 다른 요부들은 채워지지 않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나아가, 상이한 영역들 간에 정밀한 정합을 이루기 위하여, 액정층(11)에 인접한 기판(16)의 영역들 상에 동일한 음각판(intaglio plate)을 이용하여 음각 인쇄 또는 블라인드 엠보싱이 수행될 수 있다.
도 14 에는 필름이 베이스 기판(16)에 적용된 후에 필름(11)을 엠보싱함에 의하여 맞춤제작된 액정층(11)을 포함하는 위조방지 기판(16)의 일 예가 도시되어 있다. 이 예에서는 적색-녹색 색변환 액정층이 사용되는바, 즉 필름(11)은 법선의 입사각에서 적색으로 보이고, 관찰 각도가 법선의 입사각으로부터 멀리 되도록 기울여짐에 따라서 녹색으로 변환된다. 실질적으로 평행한 상승된 선들의 개별적인 세트에 의하여 형성된, 엠보싱된 선 구조부(23)는 숫자 "5"를 한정한다. 법선의 입사각에서 관찰될 때에는 엠보싱된 영역과 엠보싱되지 않은 영역 둘 다가 적색으로 보인다.
선들이 입사광 방향에 대해 90°로 연장되도록 관찰 방향 Y 를 따라 관찰하고 기판(16)을 법선의 입사각으로부터 멀리 그리고 방향 Y 에 평행하게 기울이면, 상승된 선들의 에지로부터 떠오르는 우세한 반사광 때문에 숫자 "5" 가 적색으로부터 우세하게 녹색인 색상으로 거의 순간적으로 전환된다. 대조적으로, 엠보싱되지 않은 영역은, 편평한 기판에 대해 상대적으로 큰 입사각에서 적색으로부터 녹색으로 전환된다. 색상 전환이 일어나는 관찰 각도의 차이는, 기판에 대해 법선방향으로 관찰될 때에, 에지(edge) 영역에 입사하는 빛의 유효 입사각이 엠보싱되지 않은 편평한 영역에 입사하는 빛의 입사각보다 크기 때문에 발생한다. 장치가 엠보싱된 선들의 방향에 평행한 방향 x 를 따라 관찰되도록 장치(10)가 90°만큼 회전되면, 기판(16)을 법선의 입사각으로부터 멀리 그리고 방향 X 에 평행하게 기울임에 따라서, 엠보싱된 영역과 엠보싱되지 않은 영역이 동일한 관찰 각도에서 적색으로부터 녹색으로 전환되는데, 이것은 선들의 에지에 의하여 반사되는 빛이 매우 적기 때문이다.
에지 영역의 상당 부분이 베이스 기판(16)에 대해 대략 45°의 각도로 연장되도록 엠보싱된 선들이 되어 있다면, 법선의 입사각으로부터 멀리 기판(16)을 기울이고 그 선들의 방향에 직각으로 관찰함에 따라서,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적색으로부터 우세한 녹색으로의 거의 순간적인 전환이 일어날 것이다. 그러나 기판(16)을 더 기울이면, 에지 영역에 입사하는 빛의 입사각이 법선의 입사각에 가깝게 움직임으로써, 적색으로 되돌아가는 전환으로 귀결되어서 거꾸로의 색변환을 유효하게 보일 것이다.
다른 실시예에서, 위조방지 장치(10)의 맞춤제작은, 액정층(11)을 비회절성 선 구조부(non-diffractive line structure)로 엠보싱함에 의하여 이루어진다. 비 회절성 선 구조부는 입사광의 각도가 변화할 때에 광학적 가변 효과를 생성하는 상승된 선 구조부의 일 예이지만, 여기에서 그 효과는 간섭 또는 회절에 의하여 유발되지 않는다. 비회절성 선 구조부에 기초한 위조방지 장치는 종래 기술에서 공지된 것이다. 예를 들어, WO-A-9002658 에는 반사성 표면에 하나 이상의 일시적인 이미지가 엠보싱되는 위조방지 장치가 설명되어 있다. WO-A-9820382 에는 다른 위조방지 장치가 설명되어 있는데, 여기에서는 선들이 서로 상이한 각도들로 연장된 요소 부위들의 그룹이 개별의 이미지 픽셀(image pixel)을 형성한다. US-A-1996539 에는 장식적 장치가 설명되어 있는바, 여기에서는 해제 구조부(relief structure)가 표면에 형성되어 있고 광학적 가변 효과를 갖는다. WO-A-2005080089 에는 기판의 반사성 부분에 있는 선 구조부에 의하여 정의된 세그먼트(segment)들을 갖는 위조방지 장치가 설명되어 있는바, 그것은 입사각이 변화함에 따라서 입사광이 비회절성으로 반사되도록 야기한다.
본 발명에 적합한 비회절성 선 구조부(23)의 일 예가 WO-A-2005080089 에 기재되어 있다. WO-A-2005080089 에는 상승된 선 구조부(23)가 제공된 반사성 부분을 구비한 기판(16)을 포함하는 위조방지 장치(10)가 기재되어 있는데, 선 구조부(23)는 복수의 세그먼트들을 한정하고, 각 세그먼트는 실질적으로 평행한 상승된 선들의 개별 세트에 의하여 형성된다. 적어도 세 개의 세그먼트들의 선들은 상이한 방향들로 연장되는데, 여기에서 각 세그먼트는 입사각이 변화함에 따라서 입사광이 가변적인 방식으로 비회절성으로 반사되도록 유발한다. 그러므로, 기판(16)이 입사광과 관찰 각도에 대해 기울어짐에 따라서, 광학적 가변 효과를 나타낼 것 이다. 각도의 넓은 범위에 걸쳐서 보일 수 있는 움직이는 효과를 제공하는 위조방지 장치(10)의 발명이 제공된다. 인증은 간단하면서도 위조는 곤란하다.
WO-A-2005080089 의 장치(10)의 반사성 부분이 액정층(11)을 포함하면, 장치(10)의 기울임 및 회전 시에 상이한 세그먼트들이 상이한 색상의 영역들을 나타내고 상이한 색변환들을 나타낼 것이다. 도 15 에는 그러한 장치(10)의 일 예가 도시되어 있는바, 여기에서는 적색-녹색으로 색변환하는 액정층(11)이 세그먼트들 P, Q, R, 및 S 을 엠보싱함에 의하여 맞춤제작된다. 법선의 입사각에서 보면, 모든 세그먼트들 P, Q, R, 및 S 와 엠보싱되지 않은 부위들이 세그먼트 P, Q, R, 및 S 내의 선 방향에 무관하게 적색으로 나타난다. 장치(10)를 법선의 입사로부터 (편평한 기판에 대해 상대적인) 관찰 방향 x 에 평행하게 기울이고 관찰 방향 X 를 따라 관찰함에 따라서, 선들이 입사광 방향에 대해 90°로 연장되어 있는 세그먼트 P 는 상승된 선들의 에지들로부터 올라오는 우세한 반사광 때문에 거의 순간적으로 녹색으로 전환된다. 반면에, 선들이 입사광 방향에 대해 평행하게 연장되어 있는 세그먼트 Q 는 세그먼트 P 보다 크고 엠보싱되지 않은 부위들의 전환 각도에 유사한 (편평한 기판에 대해 상대적인) 입사각에서 적색으로부터 녹색으로 전환되는데, 이것은 선들의 에지들에 의하여는 매우 적은 빛이 반사되기 때문이다. 이 두 개의 방향들 사이의 선 방위들을 갖는 세그먼트들 R 및 S 는, 이들 두 가지의 극단적 방위들 사이의 입사 각도에서 적색으로부터 녹색으로 전환한다. 장치(10)가 90° 회전되어서 관찰 방향 Y 을 따라서 관찰되고 관찰 방향 Y 에 평행한 법선 입사각으로부터 멀리 기울여지면, 관찰 방향 X 을 따라서 관찰될 때에 세그먼트들 P 및 Q 에 서 색변환이 일어나는 입사 각도가 역전될 것이다.
도 15 의 장치(10)는 상이한 관찰 각도에서 색상이 변화하는 가변적 색변환 영역들을 나타낸다. 나아가, 주어진 관찰 조건에 있어서는, 그 장치가 색변환 과정의 상이한 단계들에서 영역들을 나타낼 것이다. 예를 들어, 일 관찰 조건에서는, 세그먼트 Q 가 적색으로 나타나고, 세그먼트 P 는 녹색으로 나타나며, 세그먼트들 R 및 S 는 적색과 녹색 사이의 상이한 중간 톤들을 나타낼 것이다.
상이한 색변환 영역들에 부가하여, 장치(10)는 WO-A-2005080089에 정의된 바와 같은 광학적 가변 효과를 보여줄 수도 있다. 관찰 방향 X 을 따라서 관찰될 때에는, 세그먼트 P 내의 선들이 입사광 방향에 대해 90° 또는 90° 에 가깝게 연장되기 때문에, 세그먼트 P 가 밝게 나타난다. 장치(10)가 회전되어서 입사광 방향이 관찰 방향 Y 로 되는 때에는, 세그먼트 Q 가 밝게 나타난다. 이 두 개의 극단적 관찰 방향들 사이의 관찰 방향에 있어서는, 세그먼트들의 일부가 밝게 나타나고, 나머지 세그먼트들은 어둡게 나타난다. 다시 말하면, 이 밝기는 세그먼트를 형성하는 선들이 입사광 방향에 대한 90° 각도에 얼마나 가깝게 연장되는가에 의존한다. 이것은 넓은 범위의 각도에 걸쳐서 관찰될 수 있는 움직이는 효과를 제시하는 위조방지 장치(10)를 제공한다.
도 16 에는 두 개의 예들이 도시되어 있는데, 여기에서는 스트라이프의 형태를 갖는 액정층(11)이 기판(16)에 적용된 후에 엠보싱되어 있어서, 그 엠보싱의 디자인이 기판(16) 및/또는 액정층(11) 상의 다른 이미지들고 연결성을 갖는다. 도 16 에 도시된 기판(16)의 좌측부 상에서, 음각 인쇄 중에 액정층(11)을 블라인드 엠보싱한 부분(24)은 문자들 "TRIP" 을 형성하고, 이것은 동일한 음각 인쇄 공정 중에 필름(11)의 양 측부 상에 인쇄된 문자 "S" 및 "Ε" 와 정합되어서 단어 "STRIPE"를 형성한다.
도 16 에 도시된 기판(16)의 우측부에는, 어두운 흡수층(12)을 생략함에 의하여 액정층(11) 내에 숫자 "5"가 형성되고, 음각 인쇄 공정 중에 액정층(11)에 블라인드 엠보싱한 부분(24)에 의하여 숫자 "0"이 형성된다. 또한 심볼 "$"(18)은 동일한 음각 인쇄 공정 중에 인쇄된다. 위조방지 장치(10)를 포함시키는 공정과 후속하는 음각 인쇄 공정은, "5", "0", 및 "$" 가 조합되어 지폐의 단위 "$50" 를 표시하도록 제어된다.
다른 실시예에서, 위조방지 장치(10)의 맞춤제작은, 도 5 내지 도 16 에 설명된 방법의 조합을 이용하여 이루어진다. 이 방식에 의하면, 위조방지 장치(10)는 복수의 맞춤제작 영역들을 포함할 것인데, 각 맞춤제작 영역은 다른 맞춤제작 영역들 및 맞춤제작되지 않은 액정층과 대비되는 외관을 가진다. 도 17 에는 위조방지 장치(10)의 일 예가 도시되어 있는바, 영역 H 내에서는 맞춤제작 영역(13)을 광산란 매트 바니쉬의 형태로 적용시킴에 의하여 일련의 "$" 심볼들을 형성하도록 맞춤제작되고, 영역 I 내에서는 상승된 선 구조부를 엠보싱함에 의하여 숫자 "5"를 형성하도록 맞춤제작된다. 위조방지 장치(10)가 적용되는 위조방지 문서가 지폐인 경우에는, 이러한 맞춤제작 공정들 둘 다가 지폐를 위한 표준적 인쇄 공정들 내에 용이하게 통합될 수 있다. 매트 바니쉬는 리소그래픽 프레스(lithographic press)의 인쇄 유니트들 중의 하나를 이용하여 적용될 수 있고, 상승된 선 구조부는 음각 인쇄 단계 중에 블라인드 엠보싱 작업을 수행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맞춤제작 공정들에 의하여 형성되는 디자인들은 서로 정합될 수 있고 상호관련될 수 있으며, 또한 표준적인 위조방지 인쇄 공정들에 의하여 생성되는 디자인들 및 이미지들에도 정합될 수 있고 상호관련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다양한 인증 또는 위조방지 적용예들을 위하여 다양한 형상 및 크기로 이용될 수 있는 위조방지 장치, 특히 액정 물질를 이용하는 광학 가변성 위조방지 장치에 이용될 수 있다.

Claims (47)

  1. 액정층, 액정층의 일 측부의 적어도 일부분에 인접하고 적어도 부분적으로 흡수하는 흡수층, 및 선택된 영역들에서 흡수층에 대하여 반대인 액정층의 반대 측부의 적어도 일부분에 인접한 적어도 하나의 맞춤제작 영역(customising region)을 포함하는 위조방지 장치로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맞춤제작 영역은 액정층의 색변환 성질을 변형시켜서, 적어도 하나의 맞춤제작 영역에 의해 덮인 영역들과 적어도 하나의 맞춤제작 영역에 의해 덮이지 않은 영역들에 의하여, 적어도 두 개의 대비되는 광학적 가변 영역들이 제공되는, 위조방지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맞춤제작 영역은 색변환이 인지되는 각도를 변화시킴에 의하여 액정층의 색변환 성질을 변형시키는, 위조방지 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맞춤제작 영역은 적어도 반투명적인, 위조방지 장치.
  4. 앞선 청구항들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맞춤제작 영역은 색변환 성질을 갖지 않는, 위조방지 장치.
  5. 앞선 청구항들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맞춤제작 영역은 디자인의 형태로 적용되는, 위조방지 장치.
  6. 앞선 청구항들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맞춤제작 영역은 광산란 영역(light scattering region)인, 위조방지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광산란 영역은 매트 바니쉬(matt varnish) 또는 래커(lacquer)인, 위조방지 장치.
  8. 제 6 항 또는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광산란 영역은 유기성 수지 내에 부유되어 있는 미세 입자들을 포함하는, 위조방지 장치.
  9. 제 6 항 또는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광산란 영역은 유기성 왁스(organic wax)를 포함하는, 위조방지 장치.
  10.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광산란 영역은 액정층의 표면에 엠보싱(embossing)된 매트 구조(matt structure)를 포함하는, 위조방지 장치.
  11.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맞춤제작 영역은 액정층을 상승된 선 구조부(raised line structure)로 엠보싱함에 의하여 제공되는, 위조방지 장치.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상승된 선 구조부는 광학적으로 가변적인 비회절성 선 구조부인, 위조방지 장치.
  13. 제 11 항 또는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상승된 선 구조부는 실질적으로 평행한 상승된 선들의 세트(set)에 의하여 형성된, 위조방지 장치.
  14. 제 11 항 내지 제 13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상승된 선 구조부는 복수의 세그먼트(segment)들을 한정하고, 각 세그먼트는 실질적으로 평행한 상승된 선들의 개별적 세트에 의하여 형성되며, 적어도 두 개의 세그먼트들의 선들은 상이한 방향으로 연장되어서, 적어도 세 개의 광학적 가변 영역들을 제공하는, 위조방지 장치.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세 개의 영역들은 동일한 색변환을 나타내고, 그 색변환은 상이한 관찰 각도에서 일어나는, 위조방지 장치.
  16. 앞선 청구항들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흡수층은, 흡수층이 없는 부위들을 가진 디자인의 형태로 적용되는, 위조방지 장치.
  17. 앞선 청구항들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맞춤제작 영역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맞춤제작 영역에 의하여 겹쳐지지 않은 흡수층의 일부 영역들을 남겨둔채 흡수층에 부분적으로 겹쳐져서 적어도 세 개의 광학적 가변 영역들을 제공하는, 위조방지 장치.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세 개의 광학적 가변 영역들은 대비되는 색변환 영역들인, 위조방지 장치.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맞춤제작 영역은, 흡수층 내의 빈 부위들과 겹쳐져서 액정층의 광학적 가변 효과를 저감시키는, 위조방지 장치.
  20. 앞선 청구항들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흡수층은 색상을 가지는, 위조방지 장치.
  21. 앞선 청구항들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흡수층은 실질적으로 완전히 흡수하는 층인, 위조방지 장치.
  22. 앞선 청구항들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흡수층은 검정색인, 위조방지 장치.
  23. 제 1 항 내지 제 21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흡수층은 색상들의 조합을 포함하는, 위조방지 장치.
  24. 앞선 청구항들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흡수층은 안료성 잉크 또는 코팅을 포함하는, 위조방지 장치.
  25. 제 1 항 내지 제 23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흡수층은 비안료성 및 흡수성의 어두운 염료(non-pigmented absorbing dark dye)를 포함하는, 위조방지 장치.
  26. 제 5 항 내지 제 25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맞춤제작 영역 및/또는 흡수층의 디자인(들)은 이미지(image), 패턴(pattern), 심볼(symbol), 알파벳 문자(alphanumeric character), 및/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는, 위조방지 장치.
  27. 제 5 항 내지 제 26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맞춤제작 영역 및 흡수층은, 대비되는 영역들의 조합이 패턴, 심볼, 알파벳, 또는 이들의 조합인 적어도 하나의 디자인을 생성하도록 서로에 대해 상대적으로 배치되는, 위조방지 장치.
  28. 앞선 청구항들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맞춤제작 영역은 외부 자극에 대해 반응하는 기능성 물질을 포함하는, 위조방지 장치.
  29. 제 28 항에 있어서,
    상기 기능성 물질은 형광성, 인광성(phosphorescent), 적외선 흡수성, 열변색성, 광변색성(photochromic), 자성, 전기변색성(electrochromic), 도전성, 및/또는 압력변색성(piezochromic) 특성들 중의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위조방지 장치.
  30. 앞선 청구항들 중의 어느 한 항에 따른 위조방지 장치를 포함하는 위조방지 기판으로서, 베이스 기판에 적용되거나 또는 베이스 기판 내로 포함된, 위조방지 기판.
  31. 제 30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맞춤제작 영역 및/또는 흡수층의 디자인(들)은, 기판 상의 인쇄된 특징물들과 정합되어 형성된 이미지, 패턴, 심볼, 알파벳 문자, 및/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는, 위조방지 기판.
  32. 제 30 항 또는 제 31 항에 있어서,
    상기 흡수층은 베이스 기판에 적용된, 위조방지 기판.
  33. 제 30 항 내지 제 32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위조방지 장치는 베이스 기판의 표면에 대한 패치(patch), 호일(foil), 또는 스트라이프(stripe)로서 적용된, 위조방지 기판.
  34. 제 30 항 또는 제 31 항에 있어서,
    상기 위조방지 장치는 긴 위조방지 요소로서 베이스 기판 내에 포함된, 위조방지 기판.
  35. 제 34 항에 있어서,
    상기 긴 위조방지 요소는 기판의 적어도 일 표면에서의 제한 부분(window) 내에서 적어도 부분적으로 보일 수 있는, 위조방지 기판.
  36. 제 30 항 내지 제 35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따른 위조방지 기판으로부터 형성된 위조방지 문서(security document).
  37. 제 36 항에 있어서,
    상품권, 수입 인지, 인증 라벨, 여권, 수표, 인증서, 신분증, 카드, 지폐 등을 포함하는, 위조방지 문서.
  38. 제 1 항 내지 제 29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따른 위조방지 장치의 형성 방법으로서, 액정 물질이 베이스 기판에 적용되어 액정층이 형성되고, 흡수층이 액정층에 적용되며, 접착층이 흡수층에 적용되고, 부분적으로 형성된 위조방지 장치가 접착층에 의하여 베이스 기판에 부착되게 그 부분적으로 형성된 위조방지 장치를 베이스 기판에 전사시키며, 액정층의 표면이 노출된 채로 남겨두면서 단일의 캐리어 기판을 제거하고, 액정층의 노출된 표면에 상기 적어도 하나의 맞춤제작 영역을 적용하는, 위조방지 장치의 형성 방법.
  39. 제 1 항 내지 제 29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따른 위조방지 장치의 형성 방법으로서, 베이스 기판에 흡수층을 적용하는 단계, 흡수층에 액정층을 적용하는 단계, 및 액정층의 노출된 표면에 적어도 하나의 맞춤제작 영역을 적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위조방지 장치의 형성 방법.
  40. 제 38 항 또는 제 39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맞춤제작 영역은 액정층의 노출된 표면의 엠보싱에 의하여 형성되는, 위조방지 장치의 형성 방법.
  41. 제 40 항에 있어서,
    상기 엠보싱은 음각 인쇄 공정에 의하여 형성되는, 위조방지 장치의 형성 방법.
  42. 제 41 항에 있어서,
    상기 음각 인쇄 공정에 의하여 기판의 표면에 상승된 선 구조부들이 형성되는, 위조방지 장치의 형성 방법.
  43. 제 38 항 또는 제 39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맞춤제작 영역은, 매트 래커 또는 바니쉬로 액정층의 노출된 표면을 인쇄 또는 코팅함에 의하여 적용되는, 위조방지 장치의 형성 방법.
  44. 제 41 항 또는 제 43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맞춤제작 영역을 형성하는 인쇄 공정은 위조방지 기판에 걸쳐 연속적인 패턴을 형성하기 위하여 위조방지 기판의 표면에도 적용되는, 위조방지 장치의 형성 방법.
  45. 제 38 항 내지 제 44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맞춤제작 영역은 위조방지 기판의 표면에 대한 위조방지 인쇄와 동시적으로 적용되는, 위조방지 장치의 형성 방법.
  46. 첨부 도면들에 도시되고 첨부도면들을 참조로 하여 앞서 설명된 바와 실질적으로 같은, 위조방지 장치.
  47. 첨부 도면들에 도시되고 첨부도면들을 참조로 하여 앞서 설명된 바와 실질적으로 같은, 위조방지 기판.
KR1020087031320A 2006-05-26 2007-05-25 개선된 기판 KR10139948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GB0610539A GB2438383B (en) 2006-05-26 2006-05-26 Improvements in substrates
GB0610539.9 2006-05-26
PCT/GB2007/001966 WO2007138293A2 (en) 2006-05-26 2007-05-25 Improvements in substrate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23627A true KR20090023627A (ko) 2009-03-05
KR101399482B1 KR101399482B1 (ko) 2014-05-30

Family

ID=366878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7031320A KR101399482B1 (ko) 2006-05-26 2007-05-25 개선된 기판

Country Status (15)

Country Link
US (1) US8684415B2 (ko)
EP (1) EP2021188B2 (ko)
KR (1) KR101399482B1 (ko)
CN (1) CN101454165B (ko)
AT (1) ATE458625T1 (ko)
AU (1) AU2007266879C1 (ko)
BR (1) BRPI0712198A2 (ko)
CA (1) CA2651967C (ko)
DE (1) DE602007004973D1 (ko)
EA (1) EA014543B1 (ko)
ES (1) ES2339820T5 (ko)
GB (1) GB2438383B (ko)
MY (1) MY141332A (ko)
UA (1) UA92232C2 (ko)
WO (1) WO2007138293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07034716A1 (de) 2007-07-23 2009-01-29 Giesecke & Devrient Gmbh Sicherheitselement
GB2454752B (en) 2007-11-19 2012-05-23 Rue De Int Ltd Improvements in security devices
DE102007061828A1 (de) 2007-12-20 2009-06-25 Giesecke & Devrient Gmbh Sicherheitselement und Verfahren zu seiner Herstellung
DE102007061827A1 (de) 2007-12-20 2009-06-25 Giesecke & Devrient Gmbh Sicherheitselement und Verfahren zu seiner Herstellung
DE102008009296A1 (de) 2008-02-15 2009-08-20 Giesecke & Devrient Gmbh Sicherheitselement und Verfahren zu seiner Herstellung
GB2457911B (en) 2008-02-27 2010-05-12 Rue De Int Ltd Improved method for producing an optically varible security device
DE102008013167A1 (de) 2008-03-07 2009-09-10 Giesecke & Devrient Gmbh Sicherheitselement und Verfahren zu seiner Herstellung
DE102008031325A1 (de) 2008-07-02 2010-01-07 Giesecke & Devrient Gmbh Sicherheitselement sowie Verfahren zu seiner Herstellung
GB2474903B (en) * 2009-10-30 2012-02-01 Rue De Int Ltd Improvements in security devices
FR2976954B1 (fr) * 2011-06-23 2013-07-12 Arjowiggins Security Fil de securite
FR2982524B1 (fr) * 2011-11-14 2013-12-27 Arjowiggins Security Structure multicouche
WO2014019163A1 (en) * 2012-08-01 2014-02-06 Sicpa Holding Sa Optically variable security threads and stripes
EP2767395A1 (en) * 2013-02-15 2014-08-20 KBA-NotaSys SA Substrate for security papers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US9243169B2 (en) * 2013-05-16 2016-01-26 Sicpa Holding Sa Security laminate
GB2514338B (en) 2013-05-17 2020-06-10 De La Rue Int Ltd Security documents and methods of manufacture
PL2965920T3 (pl) * 2014-07-09 2018-03-30 Sicpa Holding Sa Optycznie zmienne magnetyczne nitki zabezpieczające i paski
DE102014116940A1 (de) 2014-11-19 2016-05-19 Leonhard Kurz Stiftung & Co. Kg Mehrschichtkörper und Verfahren zu dessen Herstellung
EA027930B1 (ru) * 2015-06-16 2017-09-29 Закрытое Акционерное Общество "Голографическая Индустрия" Способ получения полимерного слоя со скрытыми поляризационными изображениями
GB2548862B (en) 2016-03-31 2020-06-10 De La Rue Int Ltd Optically variable device and method of forming thereof

Family Cites Families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748691A (fr) * 1932-03-31 1933-07-07 Louis Dufay Procédé de décoration d'objets et objets obtenus à l'aide de ce procédé
AU488652B2 (en) 1973-09-26 1976-04-01 Commonwealth Scientific And Industrial Research Organisation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security tokens
DE3942663A1 (de) 1989-12-22 1991-06-27 Gao Ges Automation Org Datentraeger mit einem fluessigkristall-sicherheitselement
GB2268906A (en) * 1992-07-24 1994-01-26 Portals Ltd Counterfeit protection for documents using optical effects of liquid crystal
DE19544130A1 (de) * 1995-11-27 1997-05-28 Giesecke & Devrient Gmbh Datenträger mit optisch variabler Farbe
GB9623214D0 (en) 1996-11-07 1997-01-08 Fryco Ltd Optical images
DE19845552A1 (de) * 1998-10-02 2000-04-06 Giesecke & Devrient Gmbh Datenträger
JP2002127647A (ja) 2000-10-19 2002-05-08 Nhk Spring Co Ltd 対象物の識別媒体及びその製造方法
EP1227347A1 (en) 2001-01-29 2002-07-31 Rolic AG Optical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DE10226114A1 (de) 2001-12-21 2003-07-03 Giesecke & Devrient Gmbh Sicherheitselement für Sicherheitspapiere und Wertdokumente
GB0201767D0 (en) 2002-01-25 2002-03-13 Rue De Int Ltd Improvements in methods of manufacturing substrates
DE10207622A1 (de) * 2002-02-22 2003-09-04 Giesecke & Devrient Gmbh Sicherheitsdokument und Sicherheitselement für ein Sicherheitsdokument
GB0209564D0 (en) * 2002-04-25 2002-06-05 Rue De Int Ltd Improvements in substrates
DE10243650A1 (de) 2002-09-19 2004-04-01 Giesecke & Devrient Gmbh Sicherheitselement
NZ539221A (en) 2002-10-07 2007-06-29 Note Printing Au Ltd Embossed optically variable devices
GB2395959B (en) 2002-12-05 2004-11-10 Rue De Int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manufacturing a fibrous substrate incorporating an el ongate element
DE10318157A1 (de) * 2003-04-17 2004-11-11 Leonhard Kurz Gmbh & Co. Kg Folie und optisches Sicherungselement
DE10331798B4 (de) * 2003-07-14 2012-06-21 Giesecke & Devrient Gmbh Sicherheitselement, Wertgegenstand, Transfermaterial und Herstellungsverfahren
KR101044529B1 (ko) * 2003-09-15 2011-06-27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수평전계방식 액정표시소자 및 그 제조방법
WO2005063495A1 (ja) * 2003-12-26 2005-07-14 Nhk Spring Co., Ltd. 識別媒体および識別媒体の識別方法
GB0403845D0 (en) * 2004-02-20 2004-03-24 Rue De Int Ltd Security device
DE102004021246A1 (de) 2004-04-30 2005-11-24 Giesecke & Devrient Gmbh Sicherheitselement und Verfahren zu seiner Herstellung
DE102004039355A1 (de) * 2004-08-12 2006-02-23 Giesecke & Devrient Gmbh Sicherheitselement und Verfahren zu seiner Herstellung
BRPI0513694A (pt) 2004-07-21 2008-05-13 Rolic Ag dispositivos ópticos anisotrópicos e método para produção do mesmo
WO2006018171A2 (de) 2004-08-12 2006-02-23 Giesecke & Devrient Gmbh Sicherheitselement mit träger
DE102004049118A1 (de) * 2004-10-07 2006-04-13 Giesecke & Devrient Gmbh Sicherheitselement und Verfahren zu seiner Herstellu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BRPI0712198A2 (pt) 2012-01-10
UA92232C2 (ru) 2010-10-11
WO2007138293A2 (en) 2007-12-06
GB2438383B (en) 2008-10-08
ES2339820T3 (es) 2010-05-25
GB2438383A (en) 2007-11-28
KR101399482B1 (ko) 2014-05-30
CN101454165A (zh) 2009-06-10
CN101454165B (zh) 2010-11-17
ES2339820T5 (es) 2013-07-15
GB0610539D0 (en) 2006-07-05
US20100231846A1 (en) 2010-09-16
EP2021188B1 (en) 2010-02-24
US8684415B2 (en) 2014-04-01
CA2651967A1 (en) 2007-12-06
EP2021188A2 (en) 2009-02-11
CA2651967C (en) 2011-04-05
DE602007004973D1 (de) 2010-04-08
MY141332A (en) 2010-04-16
EA200870571A1 (ru) 2009-06-30
EP2021188B2 (en) 2013-04-10
ATE458625T1 (de) 2010-03-15
EA014543B1 (ru) 2010-12-30
AU2007266879C1 (en) 2013-02-14
WO2007138293A3 (en) 2008-03-27
AU2007266879A1 (en) 2007-12-06
AU2007266879B2 (en) 2010-12-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99482B1 (ko) 개선된 기판
EP2069148A1 (en) Improvements in forming security devices
EP2946940B1 (en) Improvements in security devices
AU2005274464C1 (en) Security element comprising a support
EP2073986B1 (en) Improvements in security devices
US10322601B2 (en) Security element with effect pigments and an embossing structure and method for the production thereof
EP3356155B1 (en) Security print media and method of manufacture thereof
EP3356154B1 (en) Security print media and method of manufacture thereof
CA2919038A1 (en) Improvements in security devic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