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22991A - 전화번호 조회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전화번호 조회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22991A
KR20090022991A KR1020070115044A KR20070115044A KR20090022991A KR 20090022991 A KR20090022991 A KR 20090022991A KR 1020070115044 A KR1020070115044 A KR 1020070115044A KR 20070115044 A KR20070115044 A KR 20070115044A KR 20090022991 A KR20090022991 A KR 2009002299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lephone number
subscriber
information
inquiry
d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150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07080B1 (ko
Inventor
조효기
조영표
최경향
김준
박지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Publication of KR200900229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2299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070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07080B1/ko

Links

Images

Landscapes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조회자가 피조회자의 현재 전화번호를 조회할 수 있는 전화번호 조회 장치 및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화번호 조회 장치는, 피조회자의 현재 전화번호를 조회하기 위한 입력 정보와 일치하는 정보를 가지는 제1 가입자의 전화번호를 가입자 정보 관리 장치에 요청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1 가입자가 설정한 전화번호 조회 허용 정보에 따라서, 상기 제1 가입자의 전화번호를 제공받는 통신부를 포함한다.
휴대장치, 착신자, 전화번호, 변경, 조회

Description

전화번호 조회 장치 및 방법{Phone number inquiry apparatus and method}
본 발명은 전화번호 조회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조회자가 피조회자의 과거 전화번호를 이용하여, 피조회자의 현재 전화번호를 조회하거나, 피조회자의 현재 전화번호로 단문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는 전화번호 조회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전화번호를 변경하는 경우, 가입자는 번호변경 안내 서비스를 이용하여 변경된 전화번호를 주변 사람들에게 알린다. 여기서, 번호변경 안내 서비스란, 발신자가 수신자의 변경전 전화번호로 전화를 하더라도, 수신자의 변경된 번호로 자동으로 연결시켜주며, 수신자의 변경된 전화번호에 대한 안내를 해주는 서비스를 말한다.
이처럼, 수신자가 번호변경 안내 서비스를 이용하는 동안에는 발신자가 수신자의 변경된 전화번호를 모르더라도, 수신자와의 연락이 가능하다. 그러나 발신자가 수신자의 변경된 전화번호를 모르는 상태에서, 수신자가 번호변경 안내 서비스 이용을 중지하게 되면, 발신자는 수신자와 더 이상 연락할 수 없게 된다.
때문에 발신자가 수신자의 변경된 전화번호를 모르더라도, 수신자의 변경된 전화번호를 조회할 수 있으며, 변경된 전화번호의 조회가 불가능한 경우에도 수신자와 연락할 수 있는 기술을 제공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은 조회자가 피조회자의 현재 전화번호를 모르더라도, 피조회자의 과거 전화번호를 이용하여, 피조회자의 현재 전화번호를 조회하거나, 피조회자의 현재 전화번호로 단문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는 전화번호 조회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목적들은 상기에 언급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화번호 조회 장치는, 피조회자의 현재 전화번호를 조회하기 위한 입력 정보와 일치하는 정보를 가지는 제1 가입자의 전화번호를 가입자 정보 관리 장치에 요청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1 가입자가 설정한 전화번호 조회 허용 정보에 따라서, 상기 제1 가입자의 전화번호를 제공받는 통신부를 포함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화번호 조회 방법은, 피조회자의 현재 전화번호를 조회하기 위한 입력 정보와 일치하는 정보를 가지는 제1 가입자의 전화번호를 가입자 정보 관리 장치에 요청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가입자가 설정한 전화번호 조회 허용 정보에 따라서, 상기 제1 가입자의 전화번호를 제공받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전화번호 조회 장치 및 방법에 따르면 피조회자의 번호변경 안내 서비스 가입여부와 상관없이, 조회자의 의지에 따라 피조회자의 변경된 전화번호를 조회할 수 있다. 또한, 피조회자의 현재 전화번호 조회가 불가능하더라도, 조회자가 입력한 단문 메시지를 피조회자의 변경된 전화번호로 전송하기 때문에, 피조회자와의 연락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으며,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한 전화번호 조회 장치 및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 또는 처리 흐름도에 대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이 때, 처리 흐름도 도면들의 각 블록과 흐름도 도면들의 조합들은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에 의해 수행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범용 컴퓨터, 특수용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의 프로세서에 탑재될 수 있으므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의 프로세서를 통해 수행되는 그 인스트럭션들이 흐름도 블록(들)에서 설명된 기능들을 수행하는 수단을 생성하게 된다.
이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특정 방식으로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를 지향할 수 있는 컴퓨터 이용 가능 또는 컴퓨터 판독 가능 메모리에 저장되는 것도 가능하므로, 그 컴퓨터 이용가능 또는 컴퓨터 판독 가능 메모리에 저장된 인스트럭션들은 흐름도 블록(들)에서 설명된 기능을 수행하는 인스트럭션 수단을 내포하는 제조 품목을 생산하는 것도 가능하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 상에 탑제되는 것도 가능하므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 상에서 일련의 동작 단계들이 수행되어 컴퓨터로 실행되는 프로세스를 생성해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를 수행하는 인스트럭션들은 흐름도 블록(들)에서 설명된 기능들을 실행하기 위한 단계들을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각 블록은 특정된 논리적 기능(들)을 실행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실행 가능한 인스트럭션들을 포함하는 모듈, 세그먼트 또는 코드의 일부를 나타낼 수 있다. 또, 몇 가지 대체 실행예들에서는 블록들에서 언급된 기능들이 순서를 벗어나서 발생하는 것도 가능함을 주목해야 한다. 예컨대, 잇달아 도시되어 있는 두 개의 블록들은 사실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고 또는 그 블록들이 때때로 해당하는 기능에 따라 역순으로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화번호 조회 시스템(100)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화번호 조회 시스템(100)은 유선통신 및/또는 이동통신을 기반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이동통신을 기반으로 구현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화번호 조회 시스템(100)은 전화번호 조회 장치(200), 통신사 별 가입자 정보 관리 장치(300, 400), 통신사 별 데이터 베이스(301, 401), 단문메시지 처리 센터(SMSC), 메시지 저장 장치, 교환기(MSC), 홈 위치 등록기(HLR), 및 기지국을 포함할 수 있다.
통신사 별 데이터 베이스(301, 401)는 가입자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여기서, 가입자 정보로는 가입자의 이름, 전화번호, 식별자, 전화번호 사용 시작일, 전화번호 사용 종료일, 및 전화번호 조회 허용 여부 등과 같은 기본 정보와, 특정 조회자의 전화번호, 및 상기 조회자에 대한 조회 허용 여부 등의 세부 정보를 예로 들 수 있다. 가입자 정보는 가입자 별로 테이블 형태로 저장될 수 있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가입자 정보를 포함하는 테이블을 '가입자 정보 테이블'이라 지칭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입자 정보 테이블(900)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가입자 정보 테이블(900)은 기본 정보 필드(901)와 세부 정보 필드(902)를 포함할 수 있다.
기본 정보 필드(901)는 가입자에 대한 기본적인 정보가 기록되는 필드로서, 이름 필드(910), 전화번호 필드(920), 식별자 필드(930), 사용 시작일 필드(940), 사용 종료일 필드(950), 및 조회 허용 정보 필드(96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름 필드(910)에는 가입자의 이름이 기록될 수 있다. 전화번호 필드(920)에는 가입자의 전화번호가 기록될 수 있다.
식별자 필드(930)에는 가입자의 식별자 예를 들어, 주민등록번호가 기록될 수 있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가입자의 주민등록번호를 식별자로 사용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사용 시작일 필드(940)에는 가입자가 해당 전화번호를 사용하기 시작한 날짜(이하, '전화번호 사용 시작일'이라 한다)가 기록될 수 있다. 이 때, 전화번호 사용 시작일은 예를 들어, 년/월/일/시/분/초 단위로 기록될 수 있다.
사용 종료일 필드(950)에는 가입자가 해당 전화번호의 사용을 중지한 날짜(이하, '전화번호 사용 종료일'이라 한다) 예를 들면, 해당 전화번호에 대한 명의 변경이 이루어진 날짜가 기록될 수 있다. 이 때, 전화번호 사용 종료일은 전화번호 사용 시작일과 마찬가지로, 년/월/일/시/분/초 단위로 기록될 수 있다. 만약, 해당 전화번호가 현재 사용되고 있는 상태라면, 사용 종료일 필드(950)에는 아무런 값이 설정되지 않거나, 사전에 약속된 임의의 날짜(예를 들면, 2999년 12월 31일 23시 59분 59초)가 설정될 수 있다.
조회 허용 정보 필드(960)는 조회자가 해당 전화번호를 조회하는 것을 허용하는지, 그렇지 않은지에 관한 정보가 기록되는 필드로서, 'Y', 'S', 'N', 및 'Null' 중 어느 하나의 값이 기록될 수 있다. 여기서, 'Y'는 전화번호 '조회 허용'을 의미하고, 'S'는 '부분적 허용'을 의미한다. 그리고, 'N'은 '조회 거부'를 의미하며, 'Null'은 가입자가 전화번호 조회 허용 여부를 설정하지 않은 상태를 의미한다.
세부 정보 필드(902)는 전화번호 조회 허용 여부와 관련된 세부적인 정보가 기록되는 필드로서, 설정 전화번호 필드(970), 및 설정 전화번호 조회 허용 정보 필드(980)를 포함할 수 있다.
설정 전화번호 필드(970)는 가입자가 지정한 특정 조회자의 전화번호(이하, '설정 전화번호'라 한다)가 기록되는 필드이다. 그리고, 설정 전화번호 조회 허용 정보 필드(980)는 설정 전화번호를 사용하고 있는 조회자에 대하여 가입자의 전화번호 조회를 허용할 것인지에 관한 정보가 기록되는 필드로서, 'Y', 'S', 및 'N' 중 어느 하나의 값이 기록될 수 있다. 여기서, 'Y'는 전화번호 조회 허용을 의미하며, 'S'는 전화번호 조회를 부분적으로 허용함을 의미한다. 그리고, 'N'은 전화번호 조회 거부를 의미한다.
한편, 설정 전화번호 필드(970)에는 적어도 하나의 설정 전화번호가 기록될 수 있다. 이 경우, 설정 전화번호 조회 허용 정보 필드(980)에는 각 설정 전화번호 별로 전화번호 조회 허용 여부에 대한 정보가 기록될 수 있다.
전술한 가입자 정보 테이블(900)은 한 명의 가입자에 대하여 복수개가 존재할 수 있다. 이 때, 각각의 가입자 정보 테이블(900)은 하나의 통신사의 데이터 베이스(301 또는 401)에 존재하거나, 서로 다른 통신사의 데이터 베이스(301, 401) 에 존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입자가 제1 전화번호, 및 제2 전화번호를 모두 사용하고 있는 경우를 예로 들자. 이 때, 제1 전화번호 및 제2 전화번호가 모드 '통신사A'에 속한 전화번호라면, 제1 전화번호와 관련된 제1 가입자 정보 테이블 및 제2 전화번호와 관련된 제2 가입자 정보 테이블은 '통신사A'의 데이터 베이스(301)에 저장될 수 있다. 만약, 제1 전화번호는 '통신사A'에 속한 관리번호이고, 제2 전화번호는 '통신사B'에 속한 관리번호라면, 제1 가입자 정보 테이블은 '통신사A'의 데이터 베이스(301)에 저장될 수 있고, 제2 가입자 정보 테이블은 '통신사B'의 데이터 베이스(401)에 저장될 수 있다.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전화번호 조회 장치(200)는 피조회자의 주민등록번호와 같이 피조회자의 현재 전화번호를 조회하는데 필요한 데이터를 가입자 정보 관리 장치(400)에 요청하고, 상기 요청에 대한 응답으로서, 피조회자의 주민등록번호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전화번호 조회 장치(200)는 피조회자의 현재 전화번호를 가입자 정보 관리 장치(400)에 요청하고, 이에 대한 응답으로서 피조회자의 전화번호를 수신하여 조회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이 때, 전화번호 조회 장치(200)는 피조회자가 사전에 설정한 전화번호 조회 허용 정보에 따라서, 피조회자의 현재 전화번호로 조회 사실을 통지하여, 피조회자의 선택에 따라 피조회자의 현재 전화번호를 조회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만약, 피조회자가 전화번호 조회를 거부하는 경우, 전화번호 조회 장치(200)는 조회자로부터 입력받은 단문 메시지를 피조회자의 현재 전화번호로 전송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전화번호 조회 장치(200)는 각 통신사의 가입자 정보 관리 장치(300, 400)와 연동될 수 있다. 이러한 전화번호 조회 장치(200)는 예를 들어, 자동응답시스템(Automatic Response System; ARS), 웹페이지, 휴대전화 등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전화번호 조회 장치(200)에 대한 보다 상세한 설명은 도 3을 참조하여 후술하기로 한다.
가입자 정보 관리 장치(400)는 전화번호 조회 장치(200)로부터 수신한 요청신호를 분석하여, 전화번호 조회 장치(200)가 요청한 데이터(예를 들면, 피조회자의 주민등록번호, 피조회자의 현재 전화번호)를 데이터 베이스(401)에서 검색하고, 검색 결과를 전화번호 조회 장치(200)로 제공할 수 있다. 가입자 정보 관리 장치(400)에 대한 보다 상세한 설명은 도 4를 참조하여 후술하기로 한다.
단문 메시지 처리 센터(SMSC; 50)는 전화번호 조회 장치(200)에서 전송된 단문 메시지를 수신하여 피조회자의 이동 통신 단말기(10)의 형식에 맞게 변환한 후, 교환기(30)로 전송한다.
메시지 저장 장치(60)는 단문 메시지 처리 센터(50)로 수신된 단문 메시지를 소정의 시간 동안 저장할 수 있다. 메시지 저장 장치(60)에 저장되어 있는 단문 메시지는 피조회자의 이동 통신 단말기(10)가 단문 메시지를 수신하지 못한 경우에 재전송될 수 있다.
홈 위치 등록기(HLR; 40)는 사전에 할당된 구역에서 다른 구역으로 서비스를 제공해 주는 역할을 한다. 예를 들면, 전화번호 조회 장치에서 전송된 단문 메시지에 포함된 수신자 즉, 피조회자의 위치 정보를 검색하고, 검색된 정보를 단문 메시 지 처리 센터(50)로 알려주어 피조회자의 이동 통신 단말기(10)로 단문 메시지가 전송될 수 있도록 한다.
교환기(MSC; 30)는 기지국(20)과 접속하여 중계 기능을 담당할 수 있다.
기지국(BTS; 20)은 교환기(30)로 수신된 단문 메시지를 피조회자의 이동 통신 단말기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기지국(20)은 한 개의 기지국이 관리하는 영역(Cell) 내의 이동 통신 단말기의 착신, 발신 등의 제어와 해당 기지국 내의 무선 채널 등을 관리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전화번호 조회 시스템(100)은 유선통신 및 이통통신 중 적어도 하나를 기반으로 구현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화번호 조회 장치(200)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전화번호 조회 장치(200)는 입력부(210), 통신부(220), 제어부(230), 및 출력부(240)를 포함할 수 있다.
입력부(210)는 피조회자의 현재 전화번호를 조회하는데 필요한 정보를 조회자로부터 입력받을 수 있다. 피조회자의 현재 전화번호를 조회하는데 필요한 정보의 예로써, 피조회자의 구전화번호, 상기 구전화번호로 통화한 날짜, 피조회자의 주민등록번호, 및 피조회자의 이름등을 들 수 있다. 이외에도 입력부(210)는 피조회자의 전화번호로 전송할 단문 메시지를 조회자로부터 입력받을 수 있다. 이를 위해 입력부(210)는 복수개의 입력 키를 구비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문자 입력을 위한 문자 키, 명령 실행을 위한 실행 키, 명령 실행 취소를 위한 취소 키 등을 구비할 수 있다. 복수개의 입력 키는 하드웨어적으로 구현되거나, 그래픽 유저 인터 페이스의 아이콘과 같이 소프트웨어적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가 복합된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제어부(230)는 입력부(210)를 통해 입력된 정보가 피조회자의 주민등록번호인지를 판단할 수 있다.
판단 결과, 피조회자의 주민등록번호가 입력된 경우, 제어부(230)는 입력받은 주민등록번호를 갖는 가입자가 현재 사용하고 있는 전화번호를 요청하는 전화번호 요청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이 때, 전화번호 요청신호는 입력받은 피조회자의 주민등록번호와, 조회자의 전화번호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전화번호 요청신호는 가입자 관리 장치들(300, 400)에게 전송될 수 있으며, 이에 대한 응답으로서, 해당 가입자의 전화번호 및 전화번호 조회 허용 정보가 획득될 수 있다.
판단 결과, 피조회자의 주민등록번호 이외의 값이 입력된 경우, 예를 들면, 피조회자의 구전화번호만 입력된 경우이거나, 피조회자의 구전화번호 및 상기 구전화번호로 통화한 날짜가 입력된 경우, 또는 피조회자의 구전화번호 및 피조회자의 이름이 입력된 경우, 제어부(230)는 입력된 정보와 일치하는 정보를 갖는 가입자의 주민등록번호를 요청하는 주민등록번호 요청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이 때, 주민등록번호 요청신호는 입력된 정보, 및 조회자의 전화번호를 포함할 수 있다.
주민등록번호 요청신호가 각 가입자 정보 관리 장치들(300, 400)로 송신되면, 주민등록번호 요청신호에 대한 응답으로서, 각 가입자 정보 관리 장치(300, 400)에서 검색된 주민등록번호를 획득할 수 있다. 이렇게 획득된 주민등록번호는 피조회자의 현재 전화번호를 조회하기 위한 키워드로 사용될 수 있다. 이처럼 주 민등록번호를 키워드로 사용하는 이유는, 피조회자의 구전화번호에 대한 이력을 보유하고 있지 않은 가입자 정보 관리 장치에서도 피조회자의 전화번호에 대한 검색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이다.
구체적으로, 피조회자의 구전화번호에 대한 이력과 현재 전화번호에 대한 이력이 서로 다른 통신사의 가입자 정보 관리 장치에 존재하는 경우를 예로 들자. 이 경우, 조회자가 피조회자의 현재 전화번호를 조회하기 위해 피조회자의 구전화번호 및 구전화번호로 통화한 날짜를 입력하였다면, 피조회자의 구전화번호 이력만을 보유하고 있는 가입자 정보 관리 장치는 입력된 구전화번호를 키워드로 하여, 상기 입력된 정보와 일치하는 정보를 갖는 가입자를 검색할 수 있다. 그러나 피조회자의 현재 전화번호 이력만을 보유하고 있는 가입자 정보 관리 장치는, 피조회자의 구전화번호에 대한 이력을 보유하고 있지 않으므로, 입력된 구전화번호를 키워드로 하여 가입자 검색을 실시할 수 없다. 이에 비하여, 피조회자의 주민등록번호를 키워드로 사용하게 되면, 피조회자의 구전화번호만을 보유하고 있는 가입자 정보 관리 장치뿐만 아니라, 피조회자의 구전화번호를 보유하고 있지 않은 가입자 정보 관리 장치에서도 피조회자의 현재 전화번호에 대한 검색이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각 가입자 정보 관리 장치(300, 400)로부터 주민등록번호 요청신호에 대한 응답을 수신한 결과, 수신된 주민등록번호가 복수개인 경우, 제어부(230)는 복수개의 주민등록번호 중에서 하나의 주민등록번호를 선택할 수 있다. 이 때, 제어부(230)는 주민등록번호와 함께 제공받은 날짜를 비교하여, 가장 최근의 날짜를 갖는 주민등록번호를 선택할 수 있다. 여기서, 주민등록번호와 함께 제공되는 날짜 는 해당 주민등록번호를 갖는 가입자의 전화번호가 유효했던 날짜 중 가장 최근 날짜(이하, '최종 유효 날짜'라 한다)일 수 있다.
주민등록번호를 선택한 후, 제어부(230)는 선택된 주민등록번호를 갖는 가입자가 현재 사용 중인 전화번호를 요청하는 전화번호 요청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이 때, 전화번호 요청신호는 제어부(230)에 의해 선택된 주민등록번호와, 조회자의 전화번호를 포함할 수 있다.
전화번호 요청신호가 가입자 정보 관리 장치들(300, 400)에게 전송되면, 전화번호 요청신호에 대한 응답으로서, 해당 가입자의 전화번호 및 전화번호 조회 허용 정보가 획득될 수 있다. 그러면, 제어부(230)는 상기 획득된 전화번호 조회 허용 정보를 확인한 결과에 따라, 상기 획득된 전화번호를 조회자에게 제공하거나, 전화번호 조회 사실을 피조회자에게 통지할 수 있다.
통신부(220)는 제어부(230)에 의해 생성된 요청신호를 각 통신사의 가입자 정보 관리 장치(300, 400)로 송신하고, 상기 요청신호에 대한 응답을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통신부(220)는 주민등록번호 요청신호를 각 가입자 정보 관리 장치(300, 400)로 송신할 수 있다. 그리고, 송신된 주민등록번호 요청신호에 대한 응답으로서, 주민등록번호 요청신호에 포함된 정보와 일치하는 정보를 갖는 가입자의 주민등록번호를 수신할 수 있다. 다른 예로써, 통신부(220)는 전화번호 요청신호를 각 가입자 정보 관리 장치(300, 400)로 송신할 수 있다. 그리고, 송신된 전화번호 요청신호에 대한 응답으로서, 전화번호 요청신호에 포함된 주민등록번호와 일치하는 주민등록번호를 갖는 가입자의 전화번호 및 해당 가입자가 설정한 전화번호 조회 허용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이외에도, 통신부(220)는 입력부(210)를 통해서 조회자로부터 입력받은 단문 메시지를 단문 메시지 처리 센터(50)로 전송할 수도 있다.
출력부(240)는 명령 처리 결과를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가입자 정보 관리 장치(300, 400)가 제공한 전화번호, 전화번호 조회와 관련된 에러메시지, 및 단문 메시지 전송 결과 등을 출력할 수 있다. 이러한 출력부(240)는 예를 들어, 스피커와 같은 음성 출력 수단 및/또는 액정 표시 소자와 같은 영상 출력 수단으로 구현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입자 정보 관리 장치(400)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가입자 정보 관리 장치(400)는 송수신부(410), 및 검색부(420)를 포함할 수 있다.
송수신부(410)는 전화번호 조회 장치(200)와 데이터를 교환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송수신부(410)는 전화번호 조회 장치(200)로부터 요청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요청신호에 대한 응답을 전화번호 조회 장치(200)로 송신할 수 있다.
검색부(420)는 송수신부(410)를 통해 수신된 요청신호를 분석하여, 전화번호 조회 장치(200)가 요청한 데이터를 데이터 베이스(401)에서 검색할 수 있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주민등록번호 요청신호가 수신되는 경우의 검색부(420)의 동작을 설명한 다음, 전화번호 요청신호가 수신되는 경우의 검색부(420)의 동작을 설명하기로 한다.
주민등록번호 요청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검색부(420)는 우선, 주민등록번호 요청신호에 포함된 정보와 일치하는 정보를 갖는 가입자를 검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주민등록번호 요청신호가 피조회자의 구전화번호를 포함하는 경우, 검색부(420)는 상기 구전화번호를 사용한 가입자를 데이터 베이스(401)에서 검색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주민등록번호 요청신호가 피조회자의 구전화번호 및 상기 구전화번호로 통화했던 날짜를 포함하는 경우, 검색부(420)는 상기 구전화번호를 상기 날짜에 사용했던 가입자를 데이터 베이스(401)에서 검색할 수 있다. 만약, 주민등록번호 요청신호가 피조회자의 이름 및 피조회자의 구전화번호를 포함하는 경우, 검색부(420)는 해당 구전화번호를 사용한 가입자 중에서 해당 이름을 가지는 가입자를 데이터 베이스(401)에서 검색할 수 있다.
검색 결과, 주민등록번호 요청신호가 포함하는 정보와 일치하는 정보를 갖는 가입자가 검색되지 않는 경우, 검색부(420)는 에러메시지를 전화번호 조회 장치(200)로 제공할 수 있다.
검색 결과, 주민등록번호 요청신호가 포함하는 정보와 일치하는 정보를 갖는 가입자가 한 명만 검색되었다면, 검색부(420)는 검색된 가입자의 전화번호 조회 허용 정보를 확인한 결과에 따라서, 검색된 가입자의 주민등록번호, 및 검색된 가입자의 전화번호에 대한 최종 유효 날짜를 전화번호 조회 장치(200)로 송신할 수 있다.
검색 결과, 만약, 주민등록번호 요청신호가 포함하는 정보와 일치하는 정보를 갖는 가입자가 복수인 경우, 검색부(420)는 복수의 가입자 중에서 해당 구전화번호를 가장 최근에 사용한 가입자를 선택할 수 있다. 그 다음, 검색부(420)는 선 택된 가입자의 전화번호 조회 허용 정보를 확인한 결과에 따라서, 선택된 가입자의 주민등록번호, 및 최종 유효 날짜를 전화번호 조회 장치(200)로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전화번호 요청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검색부(420)는 우선, 수신된 전화번호 요청신호에 포함되어 있는 주민등록번호와 일치하는 주민등록번호를 갖는 가입자를 데이터 베이스(401)에서 검색할 수 있다. 검색된 가입자가 있는 경우, 검색된 가입자의 세부 정보 중에 조회자의 전화번호가 포함되어 있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
확인 결과, 검색된 가입자의 세부 정보 중에 조회자의 전화번호가 존재하는 경우, 검색부(420)는 조회자의 전화번호에 대하여 설정되어 있는 조회 허용 정보에 따라서, 검색된 가입자의 전화번호 및 전화번호 조회 허용 정보를 전화번호 조회 장치(200)로 제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조회자의 전화번호에 대한 조회 허용 정보가 '조회 허용' 또는 '부분적 허용'으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 검색부(420)는 검색된 가입자가 현재 사용하고 있는 전화번호 및 전화번호 조회 허용 정보를 전화번호 조회 장치(200)로 제공할 수 있다. 만약, 조회자의 전화번호에 대한 조회 허용 정보가 '조회 거부'로 설정되어 있거나 설정 정보가 없는 경우, 검색부(420)는 에러메시지를 전화번호 조회 장치(200)로 제공할 수 있다.
확인 결과, 검색된 가입자의 세부 정보 중에 조회자의 전화번호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검색부(420)는 기본 정보에 기록되어 있는 전화번호 조회 허용 정보에 따라서, 검색된 가입자의 전화번호 및 전화번호 조회 허용 정보를 전화번호 조회 장치(200)로 제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기본 정보에 포함되는 전화번호 조회 허용 정보가 '조회 허용' 또는 '부분적 허용'으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 검색부(420)는 검색된 가입자가 현재 사용하고 있는 전화번호 및 전화번호 조회 허용 정보를 전화번호 조회 장치(200)로 제공할 수 있다. 만약, 기본 정보에 포함되는 전화번호 조회 허용 정보가 '조회 거부'로 설정되어 있거나, 설정 정보가 없는 경우, 검색부(420)는 에러 메시지를 전화번호 조회 장치(200)로 제공할 수 있다.
도 5a 내지 도 5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화번호 조회 과정을 도시한 개념도이다. 여기서, 도 5a는 피조회자의 현재 전화번호를 조회하는데 필요한 정보로서, 피조회자의 구전화번호가 입력되는 경우의 전화번호 조회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그리고, 도 5b는 피조회자의 구전화번호 및 구전화번호로 통화한 날짜가 입력되는 경우의 전화번호 조회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그리고, 도 5c는 피조회자의 주민등록번호가 입력되는 경우의 전화번호 조회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먼저, 도 5a를 참조하면, 전화번호 조회 장치(200)는 피조회자의 현재 전화번호를 조회하는데 필요한 정보 즉, 피조회자의 구전화번호를 입력받을 수 있다(S510).
그 다음, 전화번호 조회 장치(200)는 입력받은 정보와 일치하는 정보를 가지는 가입자의 주민등록번호를 가입자 정보 관리 장치들(300, 400)에게 요청할 수 있다(S520). 즉, 전화번호 조회 장치(200)는 주민등록번호 요청신호를 각 가입자 정보 관리 장치들(300, 400)에게 전송하여, 구전화번호를 사용했었던 가입자의 주민등록번호를 요청할 수 있다.
그러면, 각 가입자 정보 관치 장치(300, 400)는 주민등록번호 요청신호에 포 함된 정보와 일치하는 정보를 갖는 가입자를 각각의 데이터 베이스(301, 401)에서 검색할 수 있다(S531, S532). 이 때, 검색 결과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가입자 정보 관리 장치(300)는 주민등록번호 조회와 관련된 에러메시지를 전화번호 조회 장치(200)로 제공할 수 있다. 만약, 복수의 가입자가 검색되는 경우, 각 가입자 정보 관리 장치(400)는 구전화번호를 가장 최근에 사용한 가입자를 선택할 수 있다. 그리고 주민등록번호 요청신호에 대한 응답으로서, 선택된 가입자의 주민등록번호, 및 최종 유효 날짜를 함께 전화번호 조회 장치(200)로 제공할 수 있다(S541, S542).
한편, 각 가입자 정보 관리 장치(300, 400)로부터주민등록번호 요청신호에 대한 응답을 수신한 결과(S550), 복수개의 주민등록번호가 수신된 경우, 전화번호 조회 장치(200)는, 복수개의 주민등록번호 중에서 최종 유효 날짜가 가장 최근의 날짜를 갖는 주민등록번호를 선택할 수 있다(S555).
그 다음, 전호번호 조회 장치는 선택된 주민등록번호를 갖는 가입자가 현재 사용하고 있는 전화번호를 가입자 정보 관리 장치들(300, 400)에게 요청할 수 있다(S560). 즉, 전화번호 조회 장치(200)는 전화번호 요청신호를 각 가입자 정보 관리 장치들(300, 400)에게 전송하여 가입자의 현재 전화번호를 요청할 수 있다.
그러면, 각 가입자 정보 관리 장치들(300, 400)은 전화번호 요청신호에 포함된 주민등록번호를 갖는 가입자를 각 데이터 베이스(301, 401)에서 검색할 수 있다(S571, S572).
만약 검색된 가입자가 없다면, 검색 결과가 없음을 알리는 에러메시지가 전 화번호 조회 장치(200)로 송신될 수 있다(S581). 만약 검색된 가입자가 있다면, 검색된 가입자가 현재 사용 중인 전화번호 및 전화번호 조회 허용 정보가 전화번호 조회 장치(200)로 송신될 수 있다(S582).
그러면, 전화번호 조회 장치(200)는 가입자 정보 관리 장치(300, 400)로부터 제공받은 전화번호 조회 허용 정보를 확인한 결과에 따라, 함께 제공받은 전화번호를 출력할 수 있다(S590).
구체적으로, 제공받은 전화번호 조회 허용 정보가 '조회 허용'인 경우, 전화번호 조회 장치(200)는 제공받은 전화번호를 출력할 수 있다.
만약, 함께 제공받은 전화번호 조회 허용 정보가 '부분적 허용'인 경우, 일 예로, 전화번호 조회 장치(200)는 조회자로부터 단문 메시지를 입력받아, 이를 제공받은 전화번호로 전송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전화번호 조회 장치(200)는 제공받은 전화번호로 전화번호 조회에 대한 동의 여부를 묻는 단문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제공받은 전화번호를 단문 메시지에 대한 응답에 따라 선택적으로 출력할 수도 있다.
다음으로, 도 5b를 참조하면, 전화번호 조회 장치(200)는 피조회자의 현재 전화번호를 조회하는데 필요한 정보로서, 피조회자의 구전화번호 및 구전화번호로 통화한 날짜를 입력받을 수 있다(S510-1).
그 다음, 전화번호 조회 장치(200)는 주민등록번호 요청신호를 가입자 정보 관리 장치들(300, 400)에게 전송함으로써, 입력받은 정보와 일치하는 정보를 가지는 가입자의 주민등록번호를 가입자 정보 관리 장치들(300, 400)에게 요청할 수 있 다(S520-1).
그러면, 각 가입자 정보 관리 장치(300, 400)는 주민등록번호 요청신호에 포함된 정보와 일치하는 정보를 갖는 가입자를 각각의 데이터 베이스(301, 401)에서 검색할 수 있다(S531-1, 532-1).
이 때, 검색 결과가 존재하지 않는다면, 가입자 정보 관리 장치(300)는 주민등록번호 검색과 관련된 에러메시지를 전화번호 조회 장치(200)로 제공할 수 있다(S541-1).
만약, 검색 결과가 존재한다면, 가입자 정보 관리 장치(400)는 검색된 가입자의 주민등록번호를 전화번호 조회 장치(200)로 제공할 수 있다(S542-1). 상기 S542-1 단계에서는 도 5a의 S542 단계에서와 달리, 검색된 가입자의 주민등록번호만이 전화번호 조회 장치(200)로 제공될 수 있다. 도 5a의 S542 단계에서처럼, 검색된 가입자의 전화번호에 대한 최종 유효 날짜를 제공하지 않는 이유는, '구전화번호' 및 '통화 날짜'라는 두 가지의 조건이 모두 일치하는 가입자는 유일하기 때문이다. 다시 말해, 상기 두 조건과 일치하는 조건을 갖는 가입자를 검색하였을 때, 복수의 가입자가 검색될 수 없으므로, 복수의 가입자 중에서 어느 하나를 선택하기 위한 '최종 유효 날짜'는 전화번호 조회 장치(200)로 제공되지 않을 수 있는 것이다.
한편, 가입자 정보 관리 장치(400)로부터 주민등록번호가 수신되면(S550-1), 전화번호 조회 장치(200)는 수신된 주민등록번호를 갖는 가입자가 현재 사용하고 있는 전화번호를 가입자 정보 관리 장치들(300, 400)에게 요청할 수 있다(S560-1).
그러면, 각 가입자 정보 관리 장치들(300, 400)은 요청받은 주민등록번호를 갖는 가입자를 데이터 베이스(301, 401)에서 검색할 수 있다(S571-1, S572-1)
만약 검색된 가입자가 없다면, 에러메시지가 전화번호 조회 장치(200)로 전송될 수 있다(S581-1). 만약 검색된 가입자가 있다면, 검색된 가입자의 전화번호 및 전화번호 조회 허용 정보가 전송될 수 있다(S582-1). 이 때, 검색된 가입자의 전화번호 및 전화번호 조회 허용 정보는, 검색된 가입자가 사전에 설정한 전화번호 조회 허용 정보에 따라 전송될 수 있다.
그러면, 전화번호 조회 장치(200)는 가입자 정보 관리 장치(400)로부터 수신한 전화번호 조회 허용 정보를 확인한 결과에 따라, 함께 제공받은 전화번호를 출력할 수 있다(S590-1).
다음으로, 도 5c를 차조하면, 전화번호 조회 장치(200)는 피조회자의 변경된 전화번호를 조회하는데 필요한 정보 즉, 피조회자의 주민등록번호를 입력받을 수 있다(S510-2).
그 다음, 전화번호 조회 장치(200)는 입력된 주민등록번호를 갖는 가입자가 현재 사용하고 있는 전화번호를 가입자 정보 관리 장치들(300, 400)에게 요청할 수 있다(S560-2).
그러면, 각 가입자 정보 관리 장치들(300, 400)은 요청받은 주민등록번호를 갖는 가입자를 데이터 베이스(301, 401)에서 검색할 수 있다(S571-2, S572-2).
이 때, 검색된 가입자가 없다면, 에러메시지가 전화번호 조회 장치(200)로 전송할 수 있다(S581-2). 만약 검색된 가입자가 있다면, 검색된 가입자의 전화번 호 및 전화번호 조회 허용 정보가 전화번호 조회 장치(200)로 전송될 수 있다(S582-1). 이 때, 검색된 가입자의 전화번호 및 전화번호 조회 허용 정보는, 검색된 가입자가 사전에 설정한 전화번호 조회 허용 정보에 따라 전송될 수 있다.
그러면, 전화번호 조회 장치(200)는 가입자 정보 관리 장치(400)로부터 수신한 전화번호 조회 허용 정보를 확인한 결과에 따라서, 함께 제공받은 전화번호를 출력할 수 있다(S590-2).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화번호 조회 장치(200)의 동작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먼저, 입력부(210)는 피조회자의 현재 전화번호를 조회하는데 필요한 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다(S610). 예를 들면, 피조회자의 구전화번호, 상기 구전화번호로 통화한 날짜, 피조회자의 이름, 및 피조회자의 주민등록번호 중 적어도 하나를 입력받을 수 있다.
이 후, 제어부(230)는 입력된 정보가 피조회자의 주민등록번호인지를 판단할 수 있다(S620).
판단 결과, 피조회자의 주민등록번호가 입력된 경우라면(S620, 예), 제어부(230)는 전화번호 요청신호를 생성하여, 입력된 주민등록번호를 갖는 가입자가 현재 사용하고 있는 전화번호를 각 가입자 정보 관리 장치(300, 400)에게 요청할 수 있다(S670).
판단 결과, 피조회자의 주민등록번호가 입력되지 않은 경우라면(S620, 아니오), 다시 말해 피조회자의 구전화번호가 입력된 경우이거나, 피조회자의 구전화번 호 및 구전화번호로 통화한 날짜가 입력된 경우, 혹은 피조회자의 구전화번호 및 이름이 입력된 경우라면, 제어부(230)는 주민등록번호 요청신호를 생성하여, 입력된 정보와 일치하는 정보를 갖는 가입자의 주민등록번호를 각 가입자 정보 관리 장치(300, 400)에게 요청할 수 있다(S630).
그 다음, 제어부(230)는 요청한 주민등록번호를 각 가입자 정보 관리 장치(300, 400)로부터 획득하였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S640).
판단 결과, 요청한 주민등록번호를 획득하지 못하였다면(S640, 아니오), 제어부(230)는 출력부(240)를 통해 전화번호 조회에 대한 에러메시지를 출력할 수 있다(S680). 예를 들면, '전화번호 조회 실패'라는 에러메시지를 출력할 수 있다.
판단 결과, 요청한 주민등록번호를 획득하였다면(S640, 예), 제어부(230)는 획득한 주민등록번호가 복수개인지를 판단할 수 있다(S650).
만약, 획득된 주민등록번호가 하나인 경우(S650, 아니오), 제어부(230)는 획득된 주민등록번호를 갖는 가입자가 현재 사용하고 있는 전화번호를 각 가입자 정보 관리 장치(300, 400)에게 요청할 수 있다(S670).
만약, 획득된 주민등록번호가 복수개라면(S650, 예), 제어부(230)는 주민등록번호와 함께 제공된 최종 유효 날짜를 비교하여, 가장 최근의 날짜를 갖는 주민등록번호를 선택할 수 있다(S660).
그 다음, 제어부(230)는 전화번호 요청신호를 생성함으로써, 선택된 주민등록번호를 갖는 가입자가 현재 사용하고 있는 전화번호를 각 가입자 정보 관리 장치(300, 400)에게 요청할 수 있다(S670).
이 후, 전화번호 요청신호에 대한 응답으로써, 에러메시지가 수신되면(S680, 아니오), 제어부(230)는 수신된 에러 메시지를 출력부(240)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S685).
만약, 전화번호 요청신호에 대한 응답으로써, 요청한 가입자의 전화번호 및 전화번호 조회 허용 정보가 수신되면(S680, 예), 제어부(230)는 수신된 전화번호 조회 허용 정보를 확인한 결과에 따라, 수신된 전화번호를 출력할 수 있다(S690). 구체적으로, 수신된 전화번호 조회 허용 정보가 '조회 허용'인 경우, 제어부(230)는 수신된 전화번호를 출력부(240)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만약, 수신된 전화번호 조회 허용 정보가 '부분적 허용'인 경우, 일 예로, 제어부(230)는 조회자로부터 단문 메시지를 입력받은 다음, 이 단문 메시지를 수신된 전화번호로 전송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제어부(230)는 수신된 전화번호로 전화번호 조회에 대한 동의 여부를 묻는 단문 메시지를 전송한 다음, 그 응답에 따라, 전화번호를 출력할 수도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입자 정보 관리 장치(400)의 동작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전화번호 조회 장치(200)로부터 요청신호가 수신되면(S600), 수신된 요청신호의 종류를 판별할 수 있다(S700).
판별 결과, 수신된 신호가 주민등록번호 요청신호라면, 수신된 주민등록번호 요청신호에 포함된 정보와 일치하는 정보를 갖는 가입자의 주민등록번호를 데이터 베이스(401)에서 검색하여, 전화번호 조회 장치(200)로 제공할 수 있다(S800). 주 민등록번호를 제공하는 단계(S800)에 대한 보다 상세한 설명은 도 8을 참조하여 후술하기로 한다.
판별 결과, 수신된 신호가 전화번호 요청신호라면, 수신된 전화번호 요청신호에 포함된 주민등록번호와 일치하는 주민등록번호를 갖는 가입자의 현재 전화번호를 전화번호 조회 장치(200)로 제공할 수 있다(S900). 전화번호를 제공하는 단계(S900)에 대한 보다 상세한 설명은 도 9를 참조하여 후술하기로 한다.
도 8은 도 7의 주민등록번호를 제공하는 단계 S800을 보다 상세히 도시한 흐름도이다.
먼저, 검색부(420)는 주민등록번호 요청신호에 포함된 정보(예를 들면, 피조회자의 구전화번호)와 일치하는 정보를 가지는 가입자를 데이터 베이스(401)에서 검색할 수 있다(S810).
이 때, 검색 결과가 없다면(S820, 아니오), 검색부(420)는 전화번호 조회 장치(200)로 에러 메시지를 제공할 수 있다(S880).
만약, 검색 결과가 있다면(S820, 예), 복수의 가입자가 검색되었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S830).
판단 결과, 하나의 가입자가 검색되었다면(S830, 아니오) 검색부(420)는 검색된 가입자의 세부 정보에 조회자의 전화번호가 존재하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S850). 그리고, 검색된 가입자의 주민등록번호 및/또는 최종 유효 날짜를 확인 결과에 따라, 전화번호 조회 장치(200)로 송신할 수 있다.
판단 결과, 복수의 가입자가 검색되었다면(S830, 예), 검색부(420)는 복수의 가입자 중에서 해당 전화번호를 가장 최근에 사용한 가입자를 선택할 수 있다(S840).
그 다음, 검색부(420)는 선택된 가입자의 세부 정보 중에 조회자의 전화번호가 존재하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S850).
확인 결과, 선택된 가입자의 세부 정보 중에 조회자의 전화번호가 존재하지 않는다면(S850, 아니오), 검색부(420)는 선택된 가입자의 기본 정보에 해당하는 전화번호 조회 허용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선택된 가입자의 주민등록번호(또는 주민등록번호 및 최종 유효 날짜)를 전화번호 조회 장치(200)로 송신할 수 있다(S860). 구체적으로, 기본 정보의 전화번호 조회 허용 정보가 '조회 허용' 또는 '부분적 허용'으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에는, 선택된 가입자의 주민등록번호(또는 주민등록번호 및 최종 유효 날짜)가 전화번호 조회 장치(200)로 송신될 수 있다. 만약, 기본 정보의 전화번호 조회 허용 정보가 '조회 거부'로 설정되어 있거나, 설정 정보가 없는 경우에는, 전화번호 조회 장치(200)로 에러 메시지가 송신될 수 있다.
한편, 확인 결과, 선택된 가입자의 세부 정보 중에 조회자의 전화번호가 존재한다면(S850, 예), 조회자의 전화번호에 대하여 설정되어 있는 조회 허용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선택된 가입자의 주민등록번호(또는 주민등록번호 및 최종 유효 날짜)를 전화번호 조회 장치(200)로 송신할 수 있다(S870). 구체적으로, 조회자의 전화번호에 대한 조회 허용 정보가 '조회 허용' 또는 '부분적 허용'으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에는, 선택된 가입자의 주민등록번호(또는 주민등록번호 및 최종 유효 날짜)를 전화번호 조회 장치(200)로 송신할 수 있다. 이에 비하여, 조회자의 전화번 호에 대한 조회 허용 정보가 '조회 거부'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라면, 전화번호 조회 장치(200)로 에러 메시지를 송신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9는 도 7의 전화번호를 제공하는 단계 S900을 보다 상세히 도시한 흐름도이다.
먼저, 검색부(420)는 전화번호 요청신호에 포함되어 있는 주민등록번호와 일치하는 주민등록번호를 갖는 가입자를 데이터 베이스(401)에서 검색할 수 있다(S910).
이 때, 검색 결과가 없는 경우(S920, 아니오), 예를 들면, 요청된 주민등록번호를 갖는 가입자가 존재하지 않거나, 수신된 주민등록번호를 갖는 가입자는 존재하나, 해당 가입자가 현재 사용하고 있는 전화번호가 없다면, 검색부(420)는 검색 결과가 없음을 나타내는 에러 메시지를 전화번호 조회 장치(200)로 송신할 수 있다(S950).
만약, 검색 결과가 있는 경우(S920, 예), 검색부(420)는 검색된 가입자의 세부 정보 중에 조회자의 전화번호가 포함되어 있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S930).
확인 결과, 검색된 가입자의 세부 정보 중에 조회자의 전화번호가 존재하는 경우(S930, 예), 검색부(420)는 검색된 가입자의 전화번호 및 전화번호 조회 허용 정보를 조회자의 전화번호에 대하여 설정되어 있는 조회 허용 정보에 따라 전화번호 조회 장치(200)로 제공할 수 있다(S940). 구체적으로, 조회자의 전화번호에 대한 조회 허용 정보가 '조회 허용' 또는 '부분적 허용'으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 검색부(420)는 검색된 가입자가 현재 사용하고 있는 전화번호 및 전화번호 조회 허용 정보를 전화번호 조회 장치(200)로 제공할 수 있다. 만약, 조회자의 전화번호에 대한 조회 허용 정보가 '조회 거부'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 검색부(420)는 에러메시지를 전화번호 조회 장치(200)로 제공할 수 있다.
확인 결과, 검색된 가입자의 세부 정보 중에 조회자의 전화번호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S930, 아니오), 검색부(420)는 검색된 가입자의 전화번호 및 전화번호 조회 허용 정보를 검색된 가입의 기본 정보에 기록되어 있는 전화번호 조회 허용 정보에 따라 전화번호 조회 장치(200)로 제공할 수 있다(S960).
구체적으로, 기본 정보에 포함되는 전화번호 조회 허용 정보가 '조회 허용' 또는 '부분적 허용'으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 검색부(420)는 검색된 가입자가 현재 사용하고 있는 전화번호 및 전화번호 조회 허용 정보를 전화번호 조회 장치(200)로 제공할 수 있다.
만약, 기본 정보에 포함되는 전화번호 조회 허용 정보가 '조회 거부'로 설정되어 있거나 설정된 정보가 없는 경우, 검색부(420)는 전화번호 조회가 불가함을 나타내는 에러 메시지를 전화번호 조회 장치(200)로 제공할 수 있다.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피조회자의 현재 전화번호를 조회하는데 필요한 정보를 조회자로부터 입력받아 전화번호를 조회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피조회자의 현재 전화번호를 조회하는데 필요한 정보를 사전에 저장해 두었다가 전화번호 조회 명령이 입력되는 경우, 기 저장된 정보를 사용하여 피조회자의 현재 전화번호를 조회하는 것도 가능하다.
구체적으로, 전화번호 조회 장치는 전화번호 목록을 저장할 수 있는데, 전화 번호 목록에 포함된 피조회자에 대하여 전화번호 조회 메뉴가 선택되면, 선택된 피조회자의 이름 및 전화번호를 사용하여 전화번호 조회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0a와 같이, 전화번호 목록(250) 중 '홍길동'이 선택된 상태에서 메뉴 버튼(260)이 선택되면, 도 10b와 같이, 관련된 메뉴들(270)이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이 메뉴들(270) 중에서 전화번호 조회 메뉴(271)가 선택되면, 전화번호 조회 장치의 제어부는 선택된 피조회자의 현재 전화번호를 가입자 정보 관리 장치에 요청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전화번호 조회 장치는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전화번호 목록을 저장하는 저장부와, 도 10a 및 도 10b에 예시된 바와 같은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인터페이스 제공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실시예들에서는 가입자의 주민등록번호를 획득하여 전화번호를 조회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은 주민등록번호 이외에도 가입자를 식별할 수 있는 고유의 식별자를 사용하는 경우에도 적용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실시예들에서는 피조회자가 사전에 설정한 전화번호 조회 허용 정보에 따라, 조회자로부터 입력받은 단문 메시지를 피조회자의 현재 전화번호로 전송하는 경우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피조회자가 사전에 설정한 전화번호 조회 허용 정보와는 상관 없이, 조회자로부터 입력받은 단문 메시지를 피조회자의 현재 전화번호로 전송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상으로 예시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화번호 조회 장치 및 방법에 대해서 설명하였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의 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화번호 조회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입자 정보 테이블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화번호 조회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입자 정보 관리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화번호 조회 과정을 도시한 개념도로서, 피조회자의 구전화번호가 입력된 경우의 전화번호 조회 과정을 도시한 것이다.
도 5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화번호 조회 과정을 도시한 개념도로서, 피조회자의 구전화번호 및 구전화번호로 통화한 날짜가 입력된 경우의 전화번호 조회 과정을 도시한 것이다.
도 5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화번호 조회 과정을 도시한 개념도로서, 피조회자의 주민등록번호가 입력된 경우의 전화번호 조회 과정을 도시한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화번호 조회 장치의 동작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입자 정보 관리 장치의 동작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8은 도 7의 S800 단계를 보다 상세히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9는 도 7의 S900 단계를 보다 상세히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10a 및 도 10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전화번호 조회 시스템 200: 전화번호 조회 장치
210: 입력부 220: 통신부
230: 제어부 240: 출력부
400: 가입자 정보 관리 장치 410: 송수신부
420: 검색부 900: 가입자 정보 테이블

Claims (22)

  1. 피조회자의 현재 전화번호를 조회하기 위한 입력 정보와 일치하는 정보를 가지는 제1 가입자의 전화번호를 가입자 정보 관리 장치에 요청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1 가입자가 설정한 전화번호 조회 허용 정보에 따라서, 상기 제1 가입자의 전화번호를 제공받는 통신부를 포함하는, 전화번호 조회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정보는,
    상기 피조회자의 구전화번호, 상기 구전화번호로 통화한 날짜, 상기 피조회자의 이름, 상기 피조회자의 식별자, 및 상기 조회자의 전화번호 중 적어도 하나인, 전화번호 조회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력 정보에 상기 피조회자의 식별자가 비포함되는 경우, 상기 제1 가입자의 식별자를 상기 가입자 정보 관리 장치에 요청하는, 전화번호 조회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가입자 정보 관리 장치로부터 제공받은 식별자가 복수개인 경우, 상기 식별자와 함께 제공된 최종 유효 날짜가 가장 최근인 식별자를 선택하고, 상기 선택된 식별자를 갖는 제2 가입자의 현재 전화번호를 상기 가입자 정보 관리 장치에 요청하되,
    상기 최종 유효 날짜는 상기 제1 가입자의 전화번호가 유효했던 날짜 중 가장 최근의 날짜인, 전화번호 조회 장치.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조회자로부터 입력받은 단문 메시지를 상기 제1 가입자의 전화번호로 전송하는 전화번호 조회 장치.
  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가입자의 전화번호와 함께 제공받은 전화번호 조회 허용 정보에 따라, 전화번호 조회에 대한 동의 여부를 묻는 신호를 상기 제1 가입자의 전화번호로 전송하고, 상기 제1 가입자의 응답에 따라 상기 제1 가입자의 전화번호를 상기 조회자에게 제공하는, 전화번호 조회 장치.
  7.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는,
    상기 제1 가입자의 가입자 정보 테이블에 상기 조회자의 전화번호에 대하여 설정된 전화번호 조회 허용 정보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설정된 전화번호 조회 허용 정보에 따라, 상기 요청한 전화번호를 제공받는, 전화번호 조회 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가입자 정보 테이블은,
    상기 제1 가입자에 대한 기본 정보 및 세부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데,
    상기 기본 정보는, 상기 제1 가입자의 이름, 식별자, 전화번호 사용 시작일, 전화번호 사용 종료일, 및 전화번호 조회 허용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며,
    상기 세부 정보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조회자에 대한 전화번호 및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전화번호에 대한 전화번호 조회 허용 정보를 포함하는, 전화번호 조회 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적어도 하나의 피조회자의 구전화번호를 포함하는 전화번호 목록에서 소정 피조회자에 대한 전화번호 조회 메뉴가 선택되는 경우, 상기 선택된 피조회자의 현재 전화번호를 상기 가입자 정보 관리 장치에 요청하는, 전화번호 조회 장치.
  10. 피조회자의 현재 전화번호를 조회하기 위한 입력 정보와 일치하는 정보를 가지는 제1 가입자의 전화번호를 가입자 정보 관리 장치에 요청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가입자가 설정한 전화번호 조회 허용 정보에 따라서, 상기 제1 가입자의 전화번호를 제공받는 단계를 포함하는, 전화번호 조회 방법.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정보는
    상기 피조회자의 구전화번호, 상기 구전화번호로 통화한 날짜, 상기 피조회 자의 이름, 상기 피조회자의 식별자, 및 상기 조회자의 전화번호 중 적어도 하나인, 전화번호 조회 방법.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정보에 상기 피조회자의 식별자가 비포함되는 경우, 상기 제1 가입자의 식별자를 상기 가입자 정보 관리 장치에 요청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전화번호 조회 방법.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가입자 정보 관리 장치로부터 제공받은 식별자가 복수개인 경우, 상기 식별자와 함께 제공된 최종 유효 날짜가 가장 최근인 식별자를 선택하는 단계; 및
    상기 선택된 식별자를 갖는 제2 가입자의 현재 전화번호를 상기 가입자 정보 관리 장치에 요청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되,
    상기 최종 유효 날짜는 상기 제1 가입자의 전화번호가 유효했던 날짜 중 가장 최근의 날짜인, 전화번호 조회 방법.
  14.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조회자로부터 입력받은 단문 메시지를 상기 제1 가입자의 전화번호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전화번호 조회 방법.
  15.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가입자의 전화번호와 함께 제공받은 전화번호 조회 허용 정보에 따라, 전화번호 조회에 대한 동의 여부를 묻는 신호를 상기 제1 가입자의 전화번호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가입자의 응답에 따라 상기 제1 가입자의 전화번호를 상기 조회자에게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전화번호 조회 방법.
  16.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요청한 전화번호를 제공받는 단계는,
    상기 제1 가입자의 가입자 정보 테이블에 상기 조회자의 전화번호에 대하여 설정된 전화번호 조회 허용 정보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설정된 전화번호 조회 허용 정보에 따라, 상기 요청한 전화번호를 제공받는 단계를 포함하는, 전화번호 조회 방법.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가입자 정보 테이블은,
    상기 제1 가입자에 대한 기본 정보 및 세부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데,
    상기 기본 정보는, 상기 제1 가입자의 이름, 식별자, 전화번호 사용 시작일, 전화번호 사용 종료일, 및 전화번호 조회 허용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며,
    상기 세부 정보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조회자에 대한 전화번호 및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전화번호에 대한 전화번호 조회 허용 정보를 포함하는, 전화번호 조회 방법.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 시작일 및 상기 사용 종료일 중 적어도 하나는 년, 월, 일, 시, 분, 초 단위를 포함하는, 전화번호 조회 방법.
  19.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요청하는 단계는,
    적어도 하나의 피조회자의 구전화번호를 포함하는 전화번호 목록에서 소정 피조회자에 대한 전화번호 조회 메뉴가 선택되는 경우, 상기 선택된 피조회자의 현재 전화번호를 상기 가입자 정보 관리 장치에 요청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전화번호 조회 방법.
  20. 피조회자의 현재 전화번호를 조회하기 위한 정보를 전화번호 조회 장치로부터 수신하는 송수신부; 및
    상기 수신된 정보와 일치하는 정보를 가지는 제1 가입자를 검색하여, 상기 제1 가입자가 설정한 전화번호 조회 허용 정보에 따라, 상기 제1 가입자의 전화번호를 상기 전화번호 조회 장치로 제공하는 검색부를 포함하는, 가입자 정보 관리 장치.
  21.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검색부는,
    상기 수신된 정보에 상기 피조회자의 식별자가 비포함된 경우, 상기 제1 가입자가 설정한 전화번호 조회 허용 정보에 따라, 상기 제1 가입자의 식별자를 상기 전화번호 조회 장치로 제공하는, 가입자 정보 관리 장치.
  22.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검색부는,
    상기 제1 가입자가 복수인 경우, 가장 최근의 최종 유효 날짜를 갖는 가입자의 식별자를 상기 최종 유효 날짜와 함께 상기 전화번호 조회 장치로 제공하되,
    상기 최종 유효 날짜는, 상기 제1 가입자의 전화번호가 유효 했던 날짜 중 가장 최근의 날짜인, 가입자 정보 관리 장치.
KR20070115044A 2007-08-28 2007-11-12 전화번호 조회 장치 및 방법 KR10090708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86324 2007-08-28
KR20070086324 2007-08-2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22991A true KR20090022991A (ko) 2009-03-04
KR100907080B1 KR100907080B1 (ko) 2009-07-09

Family

ID=406927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70115044A KR100907080B1 (ko) 2007-08-28 2007-11-12 전화번호 조회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0708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86803A (ko) * 2016-07-11 2016-07-20 (주)로코모 고객의 휴대전화 번호 관련 정보 조회 방법, 이에 사용되는 정보제공 서버, 고객관리 서버, 및 통신사 서버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98965B1 (ko) * 2003-12-22 2006-07-12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전화번호 변경시 자동 연결 및 번호 변경 안내를 위한장치 및 방법
KR101147694B1 (ko) * 2005-09-21 2012-05-23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발신자에 따른 전화번호 변경 안내 서비스 제공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86803A (ko) * 2016-07-11 2016-07-20 (주)로코모 고객의 휴대전화 번호 관련 정보 조회 방법, 이에 사용되는 정보제공 서버, 고객관리 서버, 및 통신사 서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07080B1 (ko) 2009-07-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0556052C (zh) 电话号码改变通知方法以及电话号码改变通知系统
US8290126B2 (en) System and method for a visual voicemail interface
JP2004536499A (ja) 通信装置における部分文字列入力による交信参照
KR20100056687A (ko)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스팸 번호 관리 방법 및 장치
JP2009027560A (ja) 伝言サーバ装置とその動作方法、及びこの伝言サーバ装置で使用されるプログラムとその記録媒体
KR20020019852A (ko) 이동 통신 단말의 주소록 입력 방법
US8064961B2 (en)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therefor
JP6438197B2 (ja) 携帯端末装置、及び携帯端末プログラム
KR100907080B1 (ko) 전화번호 조회 장치 및 방법
US20090086718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facilitating telecommunication network selection
US20030162534A1 (en) Method of informing a status condition of a mobile phone and providing a service control center
US20120208574A1 (en) Method and System for Performing Short Message Terminal Calling Control
EP1243151A1 (en) Method and system for assisting mobile telecommunication terminal users
KR100539020B1 (ko) 대표 번호를 이용하는 통신 서비스 방법 및 그 시스템
JP2007110213A (ja) 携帯電話機、利用者情報管理装置、ワン切り電話着信防止システム・方法・プログラム
WO2004017654A1 (en) Apparatus and method of providing a contacts list for a mobile telecommunications device
JP4379157B2 (ja) 情報案内システム、情報案内方法及び情報案内サーバ
KR100434647B1 (ko) 네트워크 상에서의 연락처 정보 제공 방법 및 장치
US20090296903A1 (en) Method and System for Automatic Directory Entry for Telecommunications Devices
CN115426625B (zh) 验证电话转接正确性的方法、装置及设备
KR101247973B1 (ko) 발신 번호를 이용하여 단말기에 사용자 접속 메뉴를제공하는 시스템 및 방법
CN101415046A (zh) 一种呼叫提醒控制方法、系统和设备
KR20010028687A (ko) 교환 시스템에서 운영자 피씨를 이용한 부재중 통화내역 안내 방법
JP5996356B2 (ja) 通信端末
KR100609212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발신자 표시 철회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0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01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