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22046A - 기록매체, 기록매체 기록/재생 방법 및 기록매체 기록/재생장치 - Google Patents

기록매체, 기록매체 기록/재생 방법 및 기록매체 기록/재생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22046A
KR20090022046A KR1020070087075A KR20070087075A KR20090022046A KR 20090022046 A KR20090022046 A KR 20090022046A KR 1020070087075 A KR1020070087075 A KR 1020070087075A KR 20070087075 A KR20070087075 A KR 20070087075A KR 20090022046 A KR20090022046 A KR 2009002204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recording medium
unit length
length
recor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870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성훈
박용철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870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22046A/ko
Publication of KR200900220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2204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0/18Error detection or correction; Testing, e.g. of drop-outs
    • G11B20/1816Testing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0/12Formatting, e.g. arrangement of data block or words on the record carriers
    • G11B20/1217Formatting, e.g. arrangement of data block or words on the record carriers on disc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002Recording, reproducing or eras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form of the carrier
    • G11B7/0037Recording, reproducing or eras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form of the carrier with discs
    • G11B7/00375Recording, reproducing or eras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form of the carrier with discs arrangements for detection of physical defects, e.g. of recording layer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0/12Formatting, e.g. arrangement of data block or words on the record carriers
    • G11B20/1217Formatting, e.g. arrangement of data block or words on the record carriers on discs
    • G11B2020/1218Formatting, e.g. arrangement of data block or words on the record carriers on discs wherein the formatting concerns a specific area of the disc
    • G11B2020/1227Formatting, e.g. arrangement of data block or words on the record carriers on discs wherein the formatting concerns a specific area of the disc one layer of multilayer disc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0/12Formatting, e.g. arrangement of data block or words on the record carriers
    • G11B2020/1264Formatting, e.g. arrangement of data block or words on the record carriers wherein the formatting concerns a specific kind of data
    • G11B2020/1265Control data, system data or management information, i.e. data used to access or process user data
    • G11B2020/1278Physical format specifications of the record carrier, e.g. compliance with a specific standard, recording density, number of layers, start of data zone or lead-out
    • G11B2020/1279Permanent information and control data stored in the PIC zone of a Blu-Ray disc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0/18Error detection or correction; Testing, e.g. of drop-outs
    • G11B20/1816Testing
    • G11B2020/1826Testing wherein a defect list or error map is generated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220/00Record carriers by type
    • G11B2220/20Disc-shaped record carriers
    • G11B2220/25Disc-shaped 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in that the disc is based on a specific recording technology
    • G11B2220/2537Optical discs
    • G11B2220/2541Blu-ray discs; Blue laser DVR disc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ignal Processing For Digital Recording And Reproducing (AREA)
  • Optical Recording Or Reprodu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록매체, 기록매체 기록/재생 방법 및 기록매체 기록/재생 장치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기록매체에 발생한 결함을 효과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방법 및 기록매체 기록/재생 장치와 이러한 방법 및 장치를 통해서 기록/재생 가능한 기록매체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기록층을 구비한 기록매체에 있어서, 상기 기록매체의 관리영역에, 상기 기록매체의 결함이 발생한 영역의 위치정보를 결함리스트의 형태로 전체 크기가 제 1 단위길이(First unit length)인 제 1 단위(First Unit)로 기록하되; 상기 제 1 단위는 상기 제 1 단위길이보다 짧은 제 2 단위길이(Second unit length)를 갖는 복수개의 제 2 단위(Second Unit)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매체 결함영역 기록방법을 제공한다.
기록매체, 결함영역, 위치정보

Description

기록매체, 기록매체 기록/재생 방법 및 기록매체 기록/재생 장치{Recording medium, Method for Recording/Reproducing on/from Recording Medium and Apparatus for the Same}
본 발명은 기록매체, 기록매체 기록/재생 방법 및 기록매체 기록/재생 장치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기록매체에 발생한 결함을 효과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방법 및 기록매체 기록/재생 장치와 이러한 방법 및 장치를 통해서 기록/재생 가능한 기록매체에 관한 것이다.
최근 기술의 급격한 발달로 고용량을 갖는 기록매체가 출현하게 되었다. 이러한 기록매체의 예로, CD(Compact Disc), DVD(Digital Versatile Disc)등이 있다. 또한, 이러한 기록매체 이외에도 차세대 기록매체로 보다 획기적으로 용량을 증가시킨 기록매체 들이 있다. 이러한 기록매체로는 블루레이 디스크(Blu-ray Disc), 근접장 기록매체(Near Field Recording Medium)등이 있다. 또한, 기록매체의 용량을 더욱 더 증대시키 위해 다층의 기록매체도 출현하게 되었다. 이러한 고용량, 다층의 기록매체의 경우, 결함이 발생한 경우 보다 효과적인 해결방법이 필요한 실정이다.
본 발명은 위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고용량 기록매체에 결함이 발생하였을 때 이를 효과적으로 해결하기 위한 기록매체 결함영역 관리방법 및 이를 이용한 기록매체 기록/재생 장치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전술된 결함영역 관리방법 및 기록매체 기록/재생 장치를 통해서 기록/재생이 가능한 기록매체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기록층을 구비한 기록매체에 있어서, 상기 기록매체의 관리영역에, 상기 기록매체의 결함이 발생한 영역의 위치정보를 결함리스트의 형태로 전체 크기가 제 1 단위길이(First unit length)인 제 1 단위(First Unit)로 기록하되; 상기 제 1 단위는 상기 제 1 단위길이보다 짧은 제 2 단위길이(Second unit length)를 갖는 복수개의 제 2 단위(Second Unit)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매체 결함영역 기록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제 1 단위길이는 상기 제 2 단위길이의 정수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매체 결함영역 기록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복수개의 제 2 단위의 길이의 총합은 제 1 단위길이와 같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매체 결함영역 기록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제 2 단위 사이에는 결함영역이 포함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함영역 기록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제 2 단위 길이는 1개의 클러스터(one cluster) 이상의 단위길이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함영역 기록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관리영역에 제 1 단위길이 이상의 연속적으로 기록가능한 공간이 없을 때, 상기 제 2 단위는 불연속적으로 기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매체 결함영역 기록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관리영역에 제 1 단위길이 이상의 연속적으로 기록가능한 공간이 있을 때, 상기 제 2 단위는 연속적으로 기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매체 결함영역 기록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제 1 단위길이는 기록매체의 층 수(number of layers)가 늘어나면 길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매체 결함영역 기록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제 1 단위길이는, N층의 기록매체의 경우 4N 클러스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매체 결함영역 기록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제 2 단위길이는 한 개의 클러스터(one cluster)를 단위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을 기록매체 결함영역 기록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관리영역은 상기 결함 리스트의 주소 정보를 포함하는 디스크 정의 구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매체 결함영역 기록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디스크 정의 구조에 포함된 상기 결함 리스트의 주소 정보는 제 2 단위의 주소 정보를 기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매체 결함영역 기록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제 2 단위의 주소 정보는 상기 제 2 단위의 시작 주소 정보(first PSN)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매체 결함영역 기록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제 2 단위가 한 개의 클러스터(one cluster)로 구성될 때는, 상기 제 2 단위의 주소 정보는 각 클러스터의 주소정보로 기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매체 결함영역 기록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제 2 단위 중에서, 할당되었으나 기록되지 않은 제 2 단위가 있을 때에는, 상기 제 2 단위의 주소 정보는 00 00 00 00h로 기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매체 결함영역 기록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기록매체는 블루레이 디스크(Blu-ray Disc)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매체 결함영역 기록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층을 구비한 기록매체에 있어서, 상기 기록매체의 관리영역에 상기 기록매체의 결함영역의 주소 정보를, 전체가 제 1 단위길이를 갖는 제 1 단위로 기록하되, 상기 기록매체의 관리영역에 제 1 단위길이 이상의 연속적인 기록공간이 있을 때에는 제 1 단위를 단위로 하여 기록하고; 상기 기록매체의 관리영역이 상기 제 1 단위길이 이상의 연속적인 기록공간이 없을 때에는 상기 제 1 단위길이보다 짧은 제 2 단위길이를 갖는 제 2 단위를 단위로 하여 기록하는 기록매체 결함영역 기록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기록매체의 결함이 발생한 영역의 주소 정보를, 상기 기록매체의 관리영역에 전체가 제 1 단위길이인 제 1 단위로 기록하되, 상기 제 1 단위는 제 1 단위길이보다 짧은 제 2 단위길이를 갖는 제 2 단위를 단위로 하여 결함리스트의 형태로 기록하는 단계; 상기 결함 리스트의 주소 정보를, 각 제 2 단위의 주소정보의 형태로 디스크 정의 구조에 기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매체 결함영역 기록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디스크 정의 구조는 관리영역에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매체 결함영역 관리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단위의 주소정보는 제 2 단위의 시작 주소정보로 기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매체 결함영역 관리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 데이터 영역과; 전체 길이가 제 1 단위길이이고, 상기 제 1 단위길이보다 짧은 제 2 단위길이를 단위로 하여 기록된 기록매체 결함리스트와, 상기 제 2 단위의 주소정보가 기록된 디스크 정의구조를 포함하는 관리영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매체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기록매체에 빔을 입사시키고, 상기 기록매체로부터 반사된 빔을 수신하는 픽업부와; 상기 기록매체로부터 수신된 빔으로부터, 기록매체에 결함영역이 발생하였는지를 판단하고, 상기 기록매체에 결함영역이 있다고 판단되면,상기 결함영역의 주소정보를 전체 길이가 제 1 단위길이인 제 1 단위로 기록하되, 상기 제 1 단위는 제 1 단위길이보다 짧은 제 2 단위길이를 갖는 제 2 단위를 하위단위로 하여 관리영역에 기록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매체 기록/재생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기록매체에 빔을 입사시키고, 상기 기록매체로부터 반사된 빔을 수신하는 픽업부와; 상기 기록매체의 관리영역에 상기 결함영역의 주소정보를 전체 길이가 제 1 단위길이인 제 1 단위로 기록하되, 상기 관리영역에 제 1 단위길 이 이상의 연속적인 기록가능한 공간이 없을 때에는 상기 제 1 단위길이보다 짧은 제 2 단위길이를 갖는 제 2 단위를 단위로 하여 관리영역에 기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매체 기록/재생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기록매체의 결함이 발생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판단 결과에 따라서, 결함영역의 주소 정보를 전체 길이가 제 1 단위길이인 제 1 단위로 기록하되, 상기 제 1 단위는 제 1 단위길이보다 짧은 제 2 단위길이를 갖는 복수개의 제 2 단위를 하위단위로 기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매체 기록/재생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결함영역 관리방법 및 기록매체 기록/재생 장치와 기록매체에 의하면, 대용량의 기록매체에서 결함영역이 발생한다 하더라도 이를 효과적으로 관리할 수 있게 되어, 보다 용이하고 효율적으로 기록매체를 기록/재생할 수 있게 한다.
본 발명의 목적,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한 도면을 참조한 실시예를 통해서 명백해 질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아울러,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가능한 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를 선택하였으나,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는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하였으므로,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용어가 가지는 의미로서 본 발명을 파악하여야됨을 밝혀두고자 한다.
관련하여, 본 발명에서 "기록매체"는 데이터가 기록되어 있거나, 기록가능한 모든 매체를 의미하며, 예를 들어, 디스크, 자기테이프 등 기록방식에 상관없이 모든 매체를 포괄하는 의미이다. 이하 본 발명은 설명의 편의를 위해 기록매체로서 디스크(disc) 특히 "블루레이 디스크(BD)"를 예로 하여 설명하고자 하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은 다른 기록매체에도 동일하게 적용가능함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관리영역"은 기록매체의 관리정보를 기록하는 영역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는 관리영역으로 디스크 관리영역(Disc Management Area:DMA)를 기준으로 설명하나, 임시 디스크 관리영역(Temporary DMA: TMDA)에서도 적용이 가능하다. 디스크 관리영역에는 디스크 관리 구조(Disc Management Structure:DMS)가 기록된다. 디스크 관리 구조(DMS)는 결함 리스트(Defect List: DFL)와 디스크 정의 구조(Disc Definition Structure:DDS)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결함 리스트(DFL)는 결함의 타입과 위치가 포함되어 있는 리스트이고, 디스크 정의 구조(DDS)는 결함관리 정보를 포함하는 디스크 관리정보를 포함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기록매체의 구조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기록매체는 재기록가능한 블루레이 디스크(BD-RE)를 예로 하여 설명하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기록매체에도 적용가능함은 자명한 사실이다. 또한, 기록매체의 기록층이 두개인 듀얼 레이어(dual layer)를 기준으로 설명하나, 본 발명은 다른 층수를 갖는 기록매체에도 적용 가능함은 자명한 사실이다. 한 예로, 본 발명은 싱글 레이어(single layer), 쿼드 레이어(quad layer) 혹은 N층을 갖는 기록매체에도 적용 가능하다.
본 발명에서 기록매체의 구조는 리드 인 영역(Lead in Area), 리드 아웃 영역(Lead out Area), 데이터 영역(data zone) 및 아우터 영역(outer zone)으로 구성된다. 데이터 영역(data zone)내에는 결함관리를 위한 스페어 영역으로 내주 스페어 영역(ISA0, ISA1)과 외주 스페어 영역(OSA0, OSA1) 및 사용자 데이터를 기록하는 유저데이터 영역(user data area)으로 구성된다. 또한,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이너 영역은 리드 인 영역과 리드 아웃 영역을 포함한다.
디스크 관리영역인 DMA는 이너영역과 아우터영역에 할당될 수 있다. 일 예로, 도 1과 같이 이너영역에 DMA1과 DMA2를 구비하고 아우터영역에서 DMA3, DMA4를 구비할 수 있다. 관리영역에는 디스크 관리 구조(DMS)가 기록되어 있다. 또한, DMA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층의 구조를 갖는 기록매체에 있어서, 각 층에 동일한 위치에 DMA1, DMA2, DMA3, DMA4 등이 할당되어 질 수 있다.
또한, 각 DMA 영역은 일정한 크기를 갖고 할당되어 질 수 있다. 한 예로, 본 발명에 도시된 듀얼 레이어 기록매체의 경우, 각 DMA 영역(DMA1, DMA2, DMA3, DMA4)은 64 클러스터(cluster)가 할당될 수 있다. 또한,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싱글 레이어 기록매체의 경우 각 DMA 영역(DMA1, DMA2, DMA3, DMA4)에 32 클러스터(cluster)가 할당될 수 있다. 기록매체의 용량 혹은 기록매체의 층수가 늘어날수록 기록매체의 관리영역인 DMA 영역은 보다 큰 영역이 할당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각 DMA 영역(DMA1, DMA2, DMA3, DMA4) 영역에는 디스크 관리구조(DMS)가 기록될 수 있는데, 유사한 정보가 반복되어져 기록할 수 있다. 한 예로, 디스크 관리구조(DMS)는 결함영역 리스트(DFL)과 디스크 정의 구조(DDS)를 포함할 수 있는데, 결함영역 리스트(DFL)의 경우, 같은 내용의 DFL이 각 DMA 영역에 반복되어져 기록될 수 있다. 이는 기록매체에 관리정보 등을 안정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DMA는 일정한 순서대로 사용할 수 있다. 한 예로, DMA1->DMA2->DMA3->DMA4와 같은 순서로 사용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듀얼 레이어 기록매체에서 DMA 영역의 일 실시예를 도시하였다.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설명하였듯이, 각 DMA 영역(DMA1, DMA2, DMA3, DMA4)은 64 클러스터가 할당되어 있다. 각 DMA 영역의 첫번째에서 네번째 클러스터(cluster1~cluster4)에는 디스크 정의 구조(Disc Definition Structure:DDS)가 기록되어 지도록 할당되어 있다. 디스크 정의 구조(DDS)는 관리 정보의 안정성을 위해서 같은 정보가 4번 반복되어 기록될 수 있다. 또한, 5번째 클러스터에서 8번째 클러스터는 기록되지 않는 보류영역(reserved area)로 할당되어 질 수 있다. 또한, 디스크 정의 구조(DDS)에는 DFL의 위치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한 예로, DFL의 위치 정보로 DFL의 첫번째 물리섹터넘버(First Physcial Sector Number: 1st PSN)가 기록될 수 있다.
또한, 도 2에서 기록매체 결함리스트는 총 8개의 클러스터 길이를 갖도록 할당되어 질 수 있다. 이와 같은 결함리스트의 길이는 기록매체의 종류에 따라서 달라질 수 있으며, 같은 종류의 기록매체라 하여도 기록매체의 층수에 따라서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편의상 결함 리스트의 길이를 "제 1 단위길이(First Unit length)"라 명명할 수 있고, 이러한 제 1 단위길이를 갖는 결함리스트를 편의상 제 1 단위(First Unit)이라 명명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결함리스트가 제 1 단위길이를 갖고 제 1 단위로 기록되는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또한, 제 1 단위길이는 기록매체의 층수에 비례할 수 있는데, 한 예로, 제 1 단위길이는 기록매체의 층수가 N층이라 할 때, 4N 클러스터로 할당될 수 있다.
또한, 도 2에 도시되어져 있듯이, 기록매체의 결함리스트가 제 1 단위로 기록될 때, 제 1 단위가 기록되는 연속적인 영역중 일부 영역에 결함이 발생한 경우(도 2의 실시예에서 9~16 번째 클러스터)는 다음과 같이 처리될 수 있다. 제 1 단위가 기록되는 9~16번째 클러스터 중 어느 일부 영역에 결함이 발생하였다면, 9~16번째 클러스터에 기록된 모든 정보는 그 다음 8개의 클러스터(제 1 단위길이에 해당)로 이동될 수 있다. 즉, 9~16번째 기록된 클러스터에 있던 정보들은 17~24번째 클러스터로 이동되며, 이에 따라서, DDS에는 결함리스트의 새로운 위치정보가 추가 기록될 수 있다.
이전에 사용되던 9~16번째 클러스터는 손상된 결함리스트(damaged DFL)로 등록될 수 있다. 또한, 유효한 결함리스트(Valid DFL)로 표시된 영역이 이후에 사용이 불가능하게 될 경우, 제 1 단위길이에 해당하는 다음 8개의 클러스터(17~25번째 클러스터)로 이동할 수 있다. 또한, "empty"로 표시된 클러스터들은 아직 DFL이 기록되지 않은 영역이다.
도 3은 기록매체 결함영역 기록방법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3에 도시된 실시예도 도 2에 도시된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듀얼 레이어 기록매체에서 각 DMA 영역기록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각 DMA 영역의 디스크 정의 구조(DDS)는 도 2에 도시된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총 4 클러스터(cluster)가 할당되어 있다. 각 클러스터에는 동일한 정보가 4번 반복되어 기록되어진다. 또한, 5~8번째 클러스터는 보류영역(reserved area)로 할당되어 진다. 도 2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결함 리스트를 결함리스트 전체 길이로 할당된 제 1 단위길이를 갖는 제 1 단위 전체로 할당하였다. 반면, 도 3의 실시예에서는 제 1 단위 전체로 기록하지 않고, 제 1 단위길이보다 짧은 길이를 갖는 제 2 단위길이(Second Unit Length)를 갖는 제 2 단위(Second Unit)를 하위단위로 하여, 복수개의 제 2 단위를 기록하였다. 즉, 결함 리스트의 전체 길이는 원래 결함 리스트의 길이인 제 1 단위길이가 되도록 하되, 기록은 복수개의 제 2 단위로 하여 기록하는 것이다.
제 2 단위길이는 기록매체 및 기록장치의 종류에 따라서 달라질 수 있다. 한 예로 제 2 단위길이로 한개의 클러스터(one cluster)를 할당할 수 있다. 혹은 몇개의 클러스터를 할당할 수 있다. 이 때 관리영역의 효율적인 활용을 위해서, 제 2 단위길이의 배수가 제 1 단위길이가 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제 1 단위길이가 8 클러스터로 할당하였다면, 제 2 단위길이는 4 클러스터, 2 클러스터, 1 클러스터가 되도록 할당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 2 단위의 길이는 DMA 영역의 결함여부를 판단하여 제어부에서 결정할 수 있다. 한 예로, 제 1 단위 길이를 8 클러스터가 되도록 할당하고, 제 2 단위길이를 1 클러스터가 되도록 할당하였다면, 총 8개의 제 2 단위가 DMA영역에 기록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보류영역(reserved area)은 한 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 기록매체의 종류나 혹은 기록매체의 결함영역의 상태에 따라서, 보류영역의 크기 및 할당여부도 변경할 수 있다.
또한, 복수개의 제 2 단위를 기록함에 있어서, 상기 제 2 단위는 연속적으로 기록될 수도 있고, 불연속적으로 기록될 수도 있다. 기록매체의 DMA 영역에 제 1 단위길이 이상이 남아 있을 경우, 연속적으로 제 2 단위를 기록할 수 있다. 혹은 연속적인 영역이 남아 있더라도, 불연속적으로 복수개의 제 2 단위를 기록할 수도 있다. 이는 기록매체의 종류 및 기록/재생 장치의 종류와 관리영역 자체의 결함발생에 따라서 달라질 수 있음은 자명한 것이다.
또한, 복수개의 제 2 단위가 할당되어 있는 경우, 이중 일부의 제 2 단위가 기록된 영역에 결함이 발생하였다면, 이 중 결함이 발생한 제 2 단위만 다시 기록될 수 있다. 혹은 복수개의 제 2 단위를 하위 단위로 하여 기록한 결함리스트 전체를 다시 기록할 수도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단위를 단위로 하여 기록할 경우, 제 2 단위의 주소 정보를 디스크 정의 구조에 기록하는 것이 필요하다. 도 2의 실시예에서는 제 1 단위로 기록된 결함리스트의 주소 정보를 제 1 단위의 시작 물리주소(first Physcial Sector Number: 1st PSN)으로 나타내었다. 하지만, 도 3의 실시예에서는 제 2 단위를 단위로 하여 기록하였으므로, 제 2 단위의 주소 정보를 디스크 정의 구조(DDS)에 기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디스크 정의 구조는 유효한 모든 제 2 단위의 주소 정보를 기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대해서는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디스크 정의 구조(DDS)를 기록하는 한 실시예이다. 디스크 정의 구조(DDS)는 기록매체의 결함영역 관리와 관련된 정보를 포함한다. 이러한 정보의 한 예로, 결함리스트의 주소 정보를 들 수 있다. 결함리스트가 기록되는 방식은 도 2와 도 3에 도시된대로, 전체가 제 1 단위길이를 갖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선택에 따라서, 제 2 단위길이를 갖는 제 2 단위를 제 1 단위의 하위 단위로 하여 기록매체의 결함 리스트를 기록할 수 있다.
도 4의 실시예에서는 도 3에 실시예와 같은 경우에 디스크 정의 구조의 실시예를 나타낸다. 즉, 결함리스트의 전체 길이가 제 1 단위가 되도록 하되, 제 1 단위를 단위로 하여 기록하지 않고, 복수개의 제 2 단위를 단위로 하여 기록한 경우의 실시예이다. 도 4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제 2 단위의 길이가 1 클러스터가 되도록 할당하였다. 또한, 전체 결함리스트의 길이 즉, 제 1 단위의 길이가 8 클러스터가 되도록 할당한 경우의 실시예이다. 이 때, 디스크 정의 구조에는 제 2 단위인 각 클러스터의(1st cluster of Defect List~8th cluster of Defect List) 주소 정보가 기록되어 있다. 이때, 주소 정보는 각 클러스터의 시작 물리섹터넘버(1st PSN)로 기록하였다.
또한, 기록매체에 결함이 적게 발생하여, 제 2 단위가 할당되지 않거나, 할당되었더라도 사용되지 않은 제 2 단위가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경우 제 2 단위의 주소 정보는 00 00 00 00h로 기록될 수 있다.
또한, 도 4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제 2 단위의 주소 정보를 기록하기 위해서 4 바이트를 할당하였다. 또한, 도 4에 도시된 숫자와 제 2 단위의 개수 등은 실시예이며, 본 발명의 사상은 변경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다양한 실시예가 가능함은 자명한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디스크 정의 구조 기록의 또 다른 실시예이다. 도 5의 실시예에서는 m 개의 제 2 단위의 주소가 디스크 정의 구조(DDS)에 기록될 수 있도록 할당되어 있다. 여기서 m은 제 1 단위길이를 제 2 단위길이로 나눈 몫을 의미한다. 한예로, 도4의 실시예와 같이, 제 1 단위길이가 8 클러스터이고, 제 2 단위길이가 1 클러스터일 때, m은 8이다. 앞에서도 언급하였듯이, 제 2 단위의 길이는 하나의 클러스터 혹은 그 이상의 갯수를 갖는 클러스터로 할당될 수 있다. 다만, 제 2 단위길이의 배수가 제 1 단위길이가 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5에 도시된 복수개의 제 2 단위의 주소 정보를 기록하는 방법은, 각 제 2 단위의 시작 물리섹터넘버(1st PSN)를 기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기록매체 결함영역 기록방법의 실시예이다. 도 6에 도시된 기록매체는 4층의 구조를 갖는 기록매체를 도시하였다. 2층을 갖는 기록매체와 마찬가지로 4층의 기록매체의 경우, DMA 영역이 기록매체의 이너 영역(inner zone), 아우터 영역(outer) 영역에 할당될 수 있다. 또한, 관리영역의 안정적인 관리를 위해서 이너영역 및 아우터 영역에 복수개의 DMA 영역을 할당해 놓고, 유사한 정보를 반복하여 기록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DMA는 이러한 복수개의 DMA영역 중 하나의 실시예이다.
4층 구조를 갖는 기록매체의 경우도, 전술한 기록매체의 관리영역 할당방법과 마찬가지로 처음 4개의 클러스터를 디스크 정의 구조(DDS)를 위한 공간으로 할당할 수 있다. 또한, DDS는 기록매체의 결함과 관련된 정보들이 안정적으로 기록되도록, 각 클러스터마다 동일한 정보가 반복되어져 기록될 수 있다.
4층 구조를 갖는 기록매체의 경우, 총 128 클러스터의 크기로 각 DMA 영역이 할당될 수 있다. 또한,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결함리스트의 경우, 총 16 클러스터의 길이를 갖고 할당될 수 있다. 즉, 기록매체가 4층의 구조를 갖는 경우, 제 1 단위길이는 16 클러스터가 되도록 설정할 수 있다.
기록매체의 결함리스트의 길이, 즉 제 1 단위길이가 16 클러스터 일 때, 기록매체의 결함리스트를 기록함에 있어서 다양한 실시예가 존재할 수 있다. 즉, 전술한 대로, 16 클러스터 전체를 제 1 단위로 하여 기록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로는 16 클러스터 보다 짧은 길이인 제 2 단위를 단위로 하여 기록할 수도 있다. 즉, 결함리스트 전체의 길이는 제 1 단위길이로 하되, 기록은 이보다 짧은 길이를 갖는 복수개의 제 2 단위를 이용하여 할 수 있다. 전술한 대로 제 2 단위길이는 하나의 클러스터 혹은 몇개의 클러스터가 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도 6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보류영역(reserved area)의 크기는 결함리스트의 기록방식에 따라서 달라질 수 있다. 한 예로, 결함 리스트 전체 길이인 제 1 단위길이를 단위로 하여 기록하는 경우, 보류영역은 12 클러스터가 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만약, 제 2 단위를 단위로 하여 기록하는 경우, 제 2 단위의 길이에 따라서 상기 보류영역(reserved area)의 크기가 달라질 수 있다. 만약, 제 2 단위길이가 8 클러스터로 할당되는 경우, 상기 보류영역(reserved area)의 크기는 4 클러스터로 할당될 수 있다. 만약, 제 2 단위길이가 1 클러스터로 할당된다면, 보류영역은 할당되지 않을 수도 있고, 혹은 임의의 몇 개의 클러스터가 할당될 수도 있다.
도 7은 4층 기록매체의 DMA 영역에 결함이 발생한 경우, DMA 영역에 결함 리스트를 기록하는 방법의 한 실시예를 도시하였다. 도 6의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처음 4 클러스터는 디스크 정의구조를 기록할 수 있게 할당할 수 있다.
도 7에서는 DMA 영역에 결함이 비교적 넓은 범위에 걸쳐서 발생한 경우의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다층의 기록매체에서, 상층에 결함영역이 발생한 경우, 상층의 결함이 하층의 기록/재생에 영향을 미칠 수 있으며, 이 때문에 상응하는 하층도 결함이 있는 것으로 간주되어 기록/재생이 회피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하층의 영역에도 결함리스트의 기록이 어려워질 수 있다.
따라서, 도 7과 같은 실시예에서는 제 1 단위로, 즉 결함리스트 전체로 연속적으로 기록하기가 어려워진다. 따라서, 결함리스트 전체의 길이를 제 1 단위길이가 되도록하되, 결함 리스트의 기록은 제 1 단위길이보다 짧은 복수개의 제 2 단위길이를 갖도록 하여 기록할 수 있다. 또한, 복수개의 제 2 단위길이로 기록된 결함 리스트의 총 길이는 제 1 단위길이가 된다. 도 7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①, ②, ③, ④영역에 걸쳐서 결함 리스트가 기록되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함 리스트가 제 2 단위를 단위로 하여 기록될 때, 제 2 단위는 불연속적으로 기록될 수 있다. 또는 연속적으로 기록될 수 있는 공간이 있을 때에는 연속적으로 기록될 수도 있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기록매체 기록/재생 장치의 일 실시예이다. 본 발명에 따른 기록매체 기록/재생 장치는 픽업부(11), 제어기(12), 신호처리부(13), 서보부(14), 메모리(15), 마이컴(16), AV 디코더(17), AV 인코더(18)를 포함한다. 또한, 이들 구성요소 중 픽업부(11),신호처리부(13), 서보부(14), 메모리(15), 마이컴(16)등의 요소가 결합된 장치를 기록재생부(20)라 명명할 수 있다. 기록재생부(20)는 드라이브로 명명될 수도 있으며, 이는 컴퓨터 주변기기로 활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픽업부(11)는 디스크에 데이터를 직접적으로 기록하거나 디스크에 기록된 데이터를 독출할 수 있으며, 마이컴(16), 서보부(14)등의 제어를 통해서 지정된 영역의 신호를 독출할 수 있다.
제어기(12)는 전체 구성요소의 제어를 담당하게 되며, 특히 본 발명과 관련하여서는 사용자와의 인터페이스(interface)를 통해 사용자 명령 등을 수신하고, 디스크에 데이터를 기록하거나 재생하기 위한 기록재생 명령을 기록재생부(20)로 전송하게 된다.
신호처리부(13)는 픽업부(11)로부터 독출된 신호를 수신하여 원하는 신호값으로 복원해내거나, 기록될 신호를 디스크에 기록되는 신호로 변조(modulation)하여 전달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서보부(14)는 디스크로부터 정확히 신호를 독출해내거나, 디스크에 신호를 정확히 기록하기 위해 픽업부(11)를 제어할 수 있다.
메모리(15)는 결함관리정보를 포함한 관리정보 및 데이터를 일시 저장할 수 있다.
마이컴(16)은 픽업부(11), 서보부(14), 신호처리부(13), 메모리(15)의 전반적인 제어를 담당할 수 있다.
AV디코더(17)는 제어기(12)의 제어에 따라 디스크로부터 독출된 신호를 디코딩하여 원하는 정보로 복원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하게 된다.
AV인코더(18)는 디스크에 신호를 기록하는 기능의 수행을 위해 제어기(12)의 제어에 따라 입력신호를 특정포맷의 신호, 예를 들어 MPEG2 트랜스포트 스트림으로 변환하여 신호처리부(13)에 제공하게 된다.
본 발명에서 제어기(controller: 12)와 마이컴(16)의 기능들은 각각 제1제어부(first control unit)와 제2제어부(second control unit)으로 나누어서 동작할 수 있다. 또는, 제어기(controller: 12)와 마이컴(16)의 기능들은 하나의 제어부(single control unit)로 합쳐져서 동작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제어부는 픽업부에 수신된 빔을 이용하여 기록매체에 결함이 발생하였는지 판단할 수 있다. 또한, 판단결과, 기록매체에 결함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되면, 기록매체의 결함영역에 관련된 정보를 기록매체의 관리영역(DMA)에 기록할 수 있다. 기록매체의 결함영역에 관련된 정보는 기록매체의 결함영역이 발생한 위치를 기록하는 것일 수도 있고 도는 기록매체의 결함타입에 관련된 정보를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제어부는 관리영역(DMA) 자체의 결함을 판단할 수도 있다. 관리영역 자체에 결함이 있는 경우, 결함 리스트 기록방법을 제어부가 결정할 수도 있다. 즉, 결함 리스트를 결함리스트 전체 길이인 제 1 단위로 기록하도록 할 수도 있고, 혹은 이보다 짧은 길이를 갖는 복수개의 제 2 단위를 하부 단위로 하여 기록하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결함리스트가 기록된 제 1 단위 혹은 제 2 단위의 주소 정보를 디스크 정의 구조(DDS)에 포함되도록 할 수도 있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기록매체 기록/재생 방법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도 9는 기록매체 기록/재생시에 발생한 결함영역을 기록하는 방법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먼저, 기록매체를 기록 또는 재생을 한다(s10). 기록매체의 기록/재생 도중에 기록매체에 결함영역이 발생하였는지 확인한다(s20). 만약, 기록매체에 결함이 발생하지 않았으면, 기록/재생을 계속할 수 있다. 기록매체에 결함이 발생하였다면, 결함영역의 주소 정보를 기록한다(s30). 이때, 결함영역의 주소 정보를 제 2 단위를 단위로 하여 기록할 수 있다. 즉, 결함 리스트 전체의 길이를 제 1 단위로 할 때에, 결함 리스트를 기록하는 것은 제 1 단위길이보다 짧은 복수개의 제 2 단위를 이용하여 할 수 있다.이 때, 복수개의 제 2 단위들의 총 길이는 제 1 단위길이와 동일하다.
제 2 단위를 단위로 하여 기록매체의 결함 리스트를 기록하고, 결함 리스트의 주소 정보를 디스크 정의 구조(DDS)에 기록한다(s40). 이때, 결함 리스트의 주소 정보는 제 2 단위의 주소 정보의 형태로 기록될 수 있다. 한 예로, 결함리스트 가 복수개의 제 2 단위로 기록되었을 때, 결함 리스트의 주소 정보는 각 제 2 단위의 주소 정보로 디스크 정의 구조(DDS)내에 기록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디스크 정의 구조와 결함 리스트는 기록매체의 관리영역에 포함될 수 있다.
결함 리스트의 주소 정보를 기록한뒤, 기록/재생을 종료할 수도 있고, 혹은 기록/재생을 종료하지 않을 때에는 다시 기록/재생을 수행하면서 s10~s40의 단계를 반복할 수 있다(s50).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결함영역 기록방법의 또 다른 실시예이다. 기록매체에서 기록/재생을 하고(s110), 기록매체로부터 결함영역이 발생하였는지를 판단(s120)하는 단계는 도 9의 설명을 참조할 수 있다.
기록매체의 결함영역이 발생하여서 기록매체의 관리영역(DMA)에 기록매체의 결함영역에 대한 정보를 결함 리스트의 형태로 기록하기 전에, 먼저, 결함 리스트를 기록하는 방식을 결정할 수 있다. 한 예로, 관리영역에 연속적으로 기록가능한 공간이 결함 리스트 전체의 길이인 제 1 단위길이 이상의 영역을 확보하고 있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s130).
만약, 기록매체의 관리영역에 연속적으로 기록가능한 공간이 제 1 단위길이 이상이면, 관리영역에 제 1 단위를 단위로 하여 기록매체의 결함 리스트를 기록할 수 있다(s140). 이 때, 관리영역내의 디스크 정의 구조(DDS)에는 제 1 단위가 기록된 주소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s150). 이 주소 정보는 전술한대로 제 1 단위의 첫번째 물리 섹터 번호(1st PSN)으로 기록할 수 있다. 다만, 다른 방법으로 기록가능할 수도 있다. 또는 디스크 정의 구조에 제 1 단위로 기록매체의 결함 리스트를 기 록했다는 정보를 더 기록할 수도 있다.
만약, 기록매체의 관리영역에 기록가능한 연속적인 기록공간이 제 1 단위길이보다 적을 때에는 제 1 단위길이보다 짧은 길이를 갖는 제 2 단위를 단위로 하여, 복수개의 제 2 단위로 기록할 수 있다. 이 때, 결함 리스트의 주소 정보는 각 제 2 단위들의 주소 정보로 기록할 수 있다(s160). 이 때, 각 제 2 단위의 주소 정보를 디스크 정의 구조에 기록할 수 있다(s170). 제 2 단위의 주소 정보는 제 2 단위의 첫번째 물리 섹터 넘버(1st PSN)으로 기록할 수 있다.
즉, 도 10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선택적으로 제 1 단위길이를 갖는 결함리스트의 형태로 기록할 것인지, 아니면 복수개의 제 2 단위로 구성된 결함리스트의 형태로 결함영역의 주소 정보를 기록할 수 있는지를 선택가능한 상태를 도시하였다. 도 10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기록매체의 관리영역 내의 연속적으로 기록가능한 공간에 따라서 제 1 단위를 단위로 하여 기록할 것인지, 제 2 단위를 단위로 하여 기록할 것인지를 결정하였다. 다만, 이러한 선택은 기록매체 제조자 혹은 기록매체 기록/재생 장치의 선택에 의해서 될 수도 있고, 혹은 기록매체의 종류 및 층수에 따라서 달라질 수도 있다.
기록매체에 결함 리스트를 기록하고, 결함 리스트의 주소 정보를 기록한 뒤 기록/재생을 종료할 수도 있고, 기록/재생을 계속할 수도 있다(s180).
이상 설명한 내용을 통해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일탈하지 아니하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실시예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 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정해져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기록매체의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기록매체의 관리영역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기록매체의 관리영역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기록매체의 디스크 정의 구조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기록매체의 디스크 정의 구조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기록매체의 관리영역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기록매체의 관리영역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기록매체 기록/재생 장치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기록매체 기록/재생 방법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기록매체 기록/재생 방법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Claims (32)

  1.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기록층을 구비한 기록매체에 있어서,
    상기 기록매체의 관리영역에, 상기 기록매체의 결함이 발생한 영역의 위치정보를 결함리스트의 형태로 전체 크기가 제 1 단위길이(First unit length)인 제 1 단위(First Unit)로 기록하되;
    상기 제 1 단위는 상기 제 1 단위길이보다 짧은 제 2 단위길이(Second unit length)를 갖는 복수개의 제 2 단위(Second Unit)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매체 결함영역 기록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단위길이는 상기 제 2 단위길이의 정수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매체 결함영역 기록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제 2 단위의 길이의 총합은 상기 제 1 단위길이와 같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매체 결함영역 기록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단위 사이에는 결함영역이 포함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 함영역 기록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단위 길이는 1개의 클러스터(one cluster) 이상의 단위길이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함영역 기록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영역에 제 1 단위길이 이상의 연속적으로 기록가능한 공간이 없을 때, 상기 제 2 단위는 불연속적으로 기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매체 결함영역 기록방법.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영역에 제 1 단위길이 이상의 연속적으로 기록가능한 공간이 있을 때, 상기 제 2 단위는 연속적으로 기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매체 결함영역 기록방법.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단위길이는 기록매체의 층 수(number of layers)가 늘어나면 길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매체 결함영역 기록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단위길이는, N층의 기록매체의 경우 4N 클러스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매체 결함영역 기록방법.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단위길이는 한 개의 클러스터(one cluster)를 단위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을 기록매체 결함영역 기록방법.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영역은 상기 결함 리스트의 주소 정보를 포함하는 디스크 정의 구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매체 결함영역 기록방법.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크 정의 구조에 포함된 상기 결함 리스트의 주소 정보는 제 2 단위의 주소 정보를 기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매체 결함영역 기록방법.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단위의 주소 정보는 상기 제 2 단위의 시작 주소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매체 결함영역 기록방법.
  14.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단위가 한 개의 클러스터(one cluster)로 구성될 때는, 상기 제 2 단위의 주소 정보는 각 클러스터의 주소정보로 기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매체 결함영역 기록방법.
  15. 제 13 항 또는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단위 중에서, 할당되었으나 기록되지 않은 제 2 단위가 있을 때에는, 상기 제 2 단위의 주소 정보는 00 00 00 00h로 기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매체 결함영역 기록방법.
  1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록매체는 블루레이 디스크(Blu-ray Disc)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매체 결함영역 기록방법.
  17. 적어도 하나 이상의 층을 구비한 기록매체에 있어서,
    상기 기록매체의 관리영역에 상기 기록매체의 결함영역의 주소 정보를, 전체가 제 1 단위길이를 갖는 제 1 단위로 기록하되,
    상기 기록매체의 관리영역에 제 1 단위길이 이상의 연속적인 기록공간이 있을 때에는 제 1 단위를 단위로 하여 기록하고;
    상기 기록매체의 관리영역이 상기 제 1 단위길이 이상의 연속적인 기록공간 이 없을 때에는 상기 제 1 단위길이보다 짧은 제 2 단위길이를 갖는 제 2 단위를 단위로 하여 기록하는 기록매체 결함영역 기록방법.
  18. 기록매체의 결함이 발생한 영역의 주소 정보를, 상기 기록매체의 관리영역에 전체가 제 1 단위길이인 제 1 단위로 기록하되, 상기 제 1 단위는 제 1 단위길이보다 짧은 제 2 단위길이를 갖는 제 2 단위를 단위로 하여 결함리스트의 형태로 기록하는 단계;
    상기 결함 리스트의 주소 정보를, 각 제 2 단위의 주소정보의 형태로 디스크 정의 구조에 기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매체 결함영역 기록방법.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크 정의 구조는 관리영역에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매체 결함영역 관리방법.
  20. 제 18 항에 있어서,
    제 2 단위의 주소정보는 제 2 단위의 시작 주소정보로 기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매체 결함영역 관리방법.
  21. 사용자 데이터 영역과;
    전체 길이가 제 1 단위길이이고, 상기 제 1 단위길이보다 짧은 제 2 단위길이를 단위로 하여 기록된 기록매체 결함리스트와,
    상기 제 2 단위의 주소정보가 기록된 디스크 정의구조를 포함하는 관리영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매체.
  22.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단위의 주소정보는 상기 제 2 단위의 시작주소 정보가 기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매체.
  23.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단위길이는 N 층의 기록매체의 경우, 4N 클러스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매체.
  24.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단위길이의 정수배가 제 1 단위길이가 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매체.
  25. 기록매체에 빔을 입사시키고, 상기 기록매체로부터 반사된 빔을 수신하는 픽업부와;
    상기 기록매체로부터 수신된 빔으로부터, 기록매체에 결함영역이 발생하였는 지를 판단하고, 상기 기록매체에 결함영역이 있다고 판단되면,상기 결함영역의 주소정보를 전체 길이가 제 1 단위길이인 제 1 단위로 기록하되,
    상기 제 1 단위는 제 1 단위길이보다 짧은 제 2 단위길이를 갖는 제 2 단위를 하위단위로 하여 관리영역에 기록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매체 기록/재생 장치.
  26. 제 2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단위길이는 상기 제 2 단위길이의 정수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매체 기록/재생 장치.
  27. 제 2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단위는 결함리스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매체 기록/재생 장치.
  28. 제 25 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영역은 디스크 정의 구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매체 기록/재생 장치.
  29. 제 28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크 정의 구조는 제 2 단위의 주소 정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 로 하는 기록매체 기록/재생 장치.
  30. 기록매체에 빔을 입사시키고, 상기 기록매체로부터 반사된 빔을 수신하는 픽업부와;
    상기 기록매체의 관리영역에 상기 결함영역의 주소정보를 전체 길이가 제 1 단위길이인 제 1 단위로 기록하되, 상기 관리영역에 제 1 단위길이 이상의 연속적인 기록가능한 공간이 없을 때에는 상기 제 1 단위길이보다 짧은 제 2 단위길이를 갖는 제 2 단위를 단위로 하여 관리영역에 기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매체 기록/재생 장치.
  31. 제 30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단위길이는 상기 제 2 단위길이의 정수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매체 기록/재생 장치.
  32. 기록매체의 결함이 발생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판단 결과에 따라서, 결함영역의 주소 정보를 전체 길이가 제 1 단위길이인 제 1 단위로 기록하되,
    상기 제 1 단위는 제 1 단위길이보다 짧은 제 2 단위길이를 갖는 복수개의 제 2 단위를 하위단위로 기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매체 기록/재생 방법.
KR1020070087075A 2007-08-29 2007-08-29 기록매체, 기록매체 기록/재생 방법 및 기록매체 기록/재생장치 KR2009002204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87075A KR20090022046A (ko) 2007-08-29 2007-08-29 기록매체, 기록매체 기록/재생 방법 및 기록매체 기록/재생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87075A KR20090022046A (ko) 2007-08-29 2007-08-29 기록매체, 기록매체 기록/재생 방법 및 기록매체 기록/재생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22046A true KR20090022046A (ko) 2009-03-04

Family

ID=406919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87075A KR20090022046A (ko) 2007-08-29 2007-08-29 기록매체, 기록매체 기록/재생 방법 및 기록매체 기록/재생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022046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03427B1 (ko) 1회 기록가능한 광기록매체 및 1회 기록가능한광기록매체에 있어서의 결함영역 관리방법 및 장치
CN1933003B (zh) 多层光盘和用于管理其层格式化的方法
KR101067777B1 (ko) 1회 기록가능한 광기록매체 및 1회 기록가능한광기록매체에 있어서의 결함관리방법
US7898918B2 (en) Write-once optical disc, and method and apparatus for recording/reproducing management information on/from optical disc
US8149664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cording data on write-once recording medium
KR20050094888A (ko) 광디스크 및 광디스크에 있어서의 결함영역 관리방법 및장치
KR20050048650A (ko) 1회 기록가능한 광디스크 및 1회 기록가능한 광디스크에있어서의 관리정보 기록방법 및 장치
JP2009104772A (ja) 書き込み可能な記録媒体上に管理情報を記録する装置及び方法並びに書き込み可能な記録媒体から管理情報を再生する装置及び方法
US20080013438A1 (en) Recording medium, apparatus for recording/reproducing data on/from the same and method thereof
KR20070003511A (ko) 기록매체 및 기록매체 기록/재생방법 및 장치
US7570557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cording management information on a recording medium and the recording medium
JP2012155840A (ja) 情報記録媒体及び再生装置
KR20090022046A (ko) 기록매체, 기록매체 기록/재생 방법 및 기록매체 기록/재생장치
JPWO2010073549A1 (ja) 情報記録媒体、情報記録装置、情報記録方法、情報再生装置および情報再生方法
RU2361289C2 (ru) Оптический диск однократной записи и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записи/воспроизведения управляющей информации на/с оптического диска
KR20080010544A (ko) 기록매체, 기록매체 기록방법 및 장치
KR20080040080A (ko) 기록매체, 기록매체 기록재생방법 및 장치
KR20080046323A (ko) 기록매체, 기록매체 기록방법 및 장치
KR20080062287A (ko) 기록 매체와 기록 재생 방법 및 그 장치, 그리고 결함 관리방법
KR20090024928A (ko) 기록매체, 기록매체 기록/재생 방법 및 기록매체 기록/재생장치
KR20080006220A (ko) 기록매체, 기록매체 기록방법 및 장치
KR20070117866A (ko) 기록매체, 기록매체 기록재생 방법 및 장치
KR20060017971A (ko) 광디스크의 스페어영역 가변 제어방법 및 이를 이용한광디스크 기록재생 방법과 장치
US20090092012A1 (en) Device and method of recording/reproducing information into/from a medium
KR20080025843A (ko) 기록매체, 기록매체 기록재생방법 및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