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21806A - 저장된 사용자 정보 제공방법 및 이를 적용한 방송수신장치 - Google Patents

저장된 사용자 정보 제공방법 및 이를 적용한 방송수신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21806A
KR20090021806A KR1020070086638A KR20070086638A KR20090021806A KR 20090021806 A KR20090021806 A KR 20090021806A KR 1020070086638 A KR1020070086638 A KR 1020070086638A KR 20070086638 A KR20070086638 A KR 20070086638A KR 20090021806 A KR20090021806 A KR 2009002180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information
user
broadcasting station
information
broadca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866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79760B1 (ko
Inventor
정춘식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866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79760B1/ko
Priority to US12/021,457 priority patent/US8176511B2/en
Publication of KR200900218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2180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797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797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60Network structure or processes for video distribution between server and client or between remote clients; Control signalling between clients, server and network components; Transmission of management data between server and client, e.g. sending from server to client commands for recording incoming content stream; Communication details between server and client 
    • H04N21/65Transmission of management data between client and server
    • H04N21/658Transmission by the client directed to the server
    • H04N21/6582Data stored in the client, e.g. viewing habits, hardware capabilities, credit card numb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7Interfacing the upstream path of the transmission network, e.g. for transmitting client requests to a VOD serv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server for facilitating the content distribution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end-users or client devices, e.g. end-user or client device authentication,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 H04N21/258Client or end-user data management, e.g. managing client capabilities, user preferences or demographics, processing of multiple end-users preferences to derive collaborative data
    • H04N21/25866Management of end-user dat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6Internal components of the client ; Characteristics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client for facilitating the reception of or the interaction with the content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the end-user or to the client device itself, e.g.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resolving scheduling conflicts
    • H04N21/466Learning process for intelligent management, e.g.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 H04N21/4667Processing of monitored end-user data, e.g. trend analysis based on the log file of viewer selec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방송수신장치 및 사용자 정보 제공방법이 제공된다. 본 방송수신 장치는 저장매체에 저장되어 있는 사용자 정보를 방송국으로 전송한다. 이에 의해, 사용자는 보다 편리하게 데이터 방송에 참여할 수 있게 된다.
Figure P1020070086638
사용자 정보, 디지털 방송, 데이터 방송, 아이디, 메모리

Description

저장된 사용자 정보 제공방법 및 이를 적용한 방송수신장치{A method for providing user information which is stored and a broadcast receiver thereof}
본 발명은 사용자 정보 제공방법 및 이를 적용한 방송수신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자가 방송국과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는 양방향 데이터 방송에서 사용자 정보 제공방법 및 이를 적용한 방송수신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방송국에서는 디지털 방송을 통해 사용자에게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디지털 방송이란 음성, 영상 및 데이터 등의 방송 신호를 디지털화하고, 처리한 후 디지털 방식의 전송 시스템으로 송신하고 수신하는 것을 말한다. 따라서, 음성과 영상뿐만 아니라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게 됨으로써, 사용자는 텔레비전을 통해 보다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게 되었다.
데이터 방송은 디지털 방송에 따른 대표적인 서비스 중에 하나이다. 데이터방송이란 텔레비전 방송 신호에 코드신호를 다중화시켜, 수신측의 텔레비전을 제어하거나 각종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송을 말한다. 따라서, 데이터 방송은 디지털 방송 신호를 통해서만 제공할 수 있다. 데이터 방송을 통해, 사용자는 TV에서 프로그램을 시청하면서 동시에 부가화면으로 날씨 정보, 교통 정보, 주식 정보 등을 제공 받을 수 있게 된다.
또한, 양방향 데이터 방송 서비스가 가능해짐에 따라, 사용자는 방송국과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게 되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데이터 방송을 통해 각종 퀴즈 및 설문에 참여할 수 있게 되었다.
사용자가 방송에 참여하기 위해서, 사용자는 사용자 인증을 위한 ID와 패스워드를 입력할 것이 요구된다. 그리고, 사용자는 리모콘을 이용하여 ID와 패스워드를 입력하게 된다.
하지만, 방송에 참여할 때마다 ID, 패스워드와 같은 사용자 정보를 입력하는 것은 사용자에게 번거로움으로 작용할 수 있다. 그리고, 리모콘과 같이 문자입력에 적절하지 않은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이용하는 경우, 이같은 번거로움은 더욱 증대된다.
또한, ID, 패스워드 이외에도 사용자의 이름, 주소, 전화번호 등의 부가정보를 매번 입력하는 것은 사용자에게 큰 불편함으로 작용한다.
사용자는 데이터 방송을 이용함에 있어서 더욱 편리한 방송 참여 방식을 추구하게 된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보다 편리하게 데이터 방송에 참여할 수 있게 하기 위한 방안의 모색이 요청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가 보다 편리하게 데이터 방송에 참여할 수 있게 하기 위한 방안으로, 저장매체에 저장된 사용자 정보를 방송국으로 전송하는 사용자 정보 제공방법 및 이를 적용한 방송수신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방송수신장치는, 방송국과 통신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인터페이스; 사용자 정보가 저장되어 있는 저장부; 및 상기 저장부에 저장되어 있는 사용자 정보를 상기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방송국으로 전송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사용자 정보는, 상기 방송국에서 제공하는 양방향 방송 서비스의 이용을 위해 요구되는 정보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양방향 방송 서비스는, 데이터 방송 서비스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사용자 정보는, 리모콘을 통해 사용자에 의해 입력되어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정보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사용자 정보는, ID, 패스워드 및 부가정보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사용자 정보는, 사용자, 방송국, 채널 및 프로그램 중 적어도 하나마다 별개의 ID 및 패스워드가 부여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부가 정보는, 사용자의 인적사항 및 방송수신장치의 기기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사용자 정보는, 사용자, 방송국, 채널 및 프로그램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 테이블화되어 저장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방송국으로부터 사용자 정보 요청을 수신하면, 상기 저장부에 저장되어 있는 사용자 정보를 상기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방송국으로 전송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방송국으로부터 사용자 정보 요청을 수신하고 사용자에 의해 사용자 정보 전송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저장부에 저장되어 있는 사용자 정보를 상기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방송국으로 전송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저장부에 저장되어 있는 사용자 정보 및 상기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사용자 정보를 상기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방송국으로 전송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
그리고, 상기 사용자 정보는, 채널별로 테이블화되어 저장되어 있고, 상기 제어부는, 채널이 변경된 경우, 변경된 채널에 대한 사용자 정보를 상기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방송국으로 전송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사용자 정보는, 사용자별로 테이블화되어 저장되어 있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방송수신장치를 사용하고 있는 사용자가 상기 사용자 정보를 이용할 수 있는 권한이 있는 자로 확인된 경우에, 상기 저장부에 저장되어 있는 사용자 정보를 상기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방송국으로 전송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방송수신장치의 사용자 정보 제공방법은, 상기 방송수신장치가, 저장매체로부터 사용자 정보를 독출하는 단계; 및 상기 방송수신장치가, 상기 독출된 사용자 정보를 상기 방송국으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사용자 정보는, 상기 방송국에서 제공하는 데이터 방송 서비스 및 양방향 방송 서비스 중 적어도 하나의 이용을 위해 요구되는 정보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사용자 정보는, 상기 방송국에서 제공하는 양방향 방송 서비스의 이용을 위해 요구되는 정보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양방향 방송 서비스는, 데이터 방송 서비스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사용자 정보 제공방법은, 리모콘을 통해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상기 사용자 정보를 상기 저장매체에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사용자 정보는, ID, 패스워드 및 부가정보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사용자 정보는, 사용자, 방송국, 채널 및 프로그램 중 적어도 하나마다 별개의 ID 및 패스워드가 부여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부가 정보는, 사용자의 인적사항 및 방송수신장치의 기기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사용자 정보는, 사용자, 방송국, 채널 및 프로그램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 테이블화되어 저장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전송단계는, 상기 방송국으로부터 사용자 정보 요청을 수신하면, 상기 독출된 사용자 정보를 상기 방송국으로 전송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전송단계는, 상기 방송국으로부터 사용자 정보 요청을 수신하고 사용자에 의해 사용자 정보 전송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독출된 사용자 정보를 상기 방송국으로 전송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전송단계는, 상기 저장매체에 저장되어 있는 사용자 정보 및 상기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사용자 정보를 상기 방송국으로 전송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사용자 정보 제공방법은, 상기 사용자 정보를 채널별로 테이블화하여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전송단계는, 채널이 변경된 경우, 변경된 채널에 대한 사용자 정보를 상기 방송국으로 전송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사용자 정보 제공방법은, 상기 사용자 정보를 사용자별로 테이블화하여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전송단계는, 상기 사용자가 상기 사용자 정보를 이용할 수 있는 권한이 있는 자로 확인된 경우에, 상기 독출된 사용자 정보를 상기 방송국으로 전송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저장매체에 저장된 사용자 정보를 방송국으로 전송하는 사용자 정보 제공방법 및 이를 적용한 방송수신장치를 제 공할 수 있게 되어, 사용자가 보다 편리하게 데이터 방송에 참여할 수 있게 된다.
특히, 사용자의 ID와 패스워드를 저장하여 자동으로 방송국에 전송함으로써, 사용자는 매번 ID와 패스워드를 직접 입력할 필요가 없게 된다.
또한, 사용자의 부가정보를 저장하여 자동으로 방송국에 전송함으로써, 사용자는 이름, 전화번호, 주소 등의 부가정보를 한 번만 입력하면, 그 후에는 직접 입력할 필요 없이 저장된 부가정보를 계속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DTV(Digital Television)의 블럭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DTV는 디지털 방송 프로그램을 사용자가 시청 가능하도록 제공하고, 데이터방송 서비스를 사용자가 이용 가능하도록 제공한다. 여기서, 데이터방송 서비스는 단방향 서비스는 물론, 양방향 서비스도 포함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DTV는 방송신호 수신부(110), 방송 처리부(120), 방송 출력부(130), 모뎀(140), 제어부(150), 사용자 정보 저장부(160), 리모콘(170), 데이터방송 저장부(180) 및 GUI(Graphical User Interface) 생성부(190)를 구비한다.
방송신호 수신부(110)는 방송국(100)으로부터 유선 또는 무선으로 수신되는 방송들 중 어느 하나를 선국하여 복조한다.
방송 처리부(120)는 방송신호 수신부(110)에서 출력되는 방송신호에 대한 신호처리를 수행한다. 특히 방송 처리부(120)는 비디오 신호에 대한 영상을 비디오 레이어(layer)에 나타내고, 데이터방송 신호에 대한 영상을 그래픽 레이어에 나타낸다.
이와 같은 기능을 수행하는 방송 처리부(120)는 방송 분리부(121), 오디오 디코딩부(122), 오디오 처리부(124), 비디오 디코딩부(123) 및 비디오 처리부(125)를 구비한다.
방송 분리부(121)는 방송신호 수신부(110)에서 출력되는 방송신호를 비디오 신호, 오디오 신호, PSI(Program Specific Information), PSIP(Program and System Information Protocol) 및 데이터방송 신호로 분리하여 출력한다. 즉, 데이터 방송의 방송 신호는 오디오 신호, 비디오 신호, 데이터방송 신호 및 PSIP 정보로 구성된다.
데이터방송 신호는 텍스트, 그래픽, 문서, 소프트웨어 등으로 이루어진 게임, 운세, 날씨, 교통, 증권, 부동산, 여행, 뉴스, 쇼핑, 맛집, 영화, 도서, 음악 및 스포츠 등에 관한 정보가 포함되어 있고, 사용자는 프로그램을 시청하면서 그 프로그램과 연관된 각종 정보를 데이터방송 신호에서 추출하여 데이터방송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또한 특정 프로그램에 연관되지 않은 각종 정보를 추출하여 데이터방송 서비스를 이용할 수도 있다.
그리고, PSI, PSIP는 디지털 TV에서 전송되는 프로그램 및 데이터와 TV 수신에 필요한 여러 정보를 기술하기 위해 만든 규격이다. PSI, PSIP는 디지털 방송을 위해 고안된 테이블의 집합으로, 수상기의 수신에 필요한 정보를 제공한다
방송 분리부(121)를 통해 방송신호로부터 분리된 비디오 신호와 오디오 신호 는 각각 비디오 처리부(125)와 오디오 처리부(124)로 인가되어, 디지털 방송 프로그램을 제공하는데 이용된다.
그리고, 방송신호로부터 분리된 PSI, PSIP 신호 및 데이터방송 신호는 각각 제어부(150) 및 데이터방송 저장부(180)로 인가되어, 부가 서비스 및 데이터방송 서비스를 제공하는데 이용된다.
오디오 디코딩부(122)는 방송 분리부(121)에서 출력되는 오디오 신호를 디코딩한다. 이에 따라, 오디오 디코딩부(122)에서는 압축해제된 오디오 신호가 출력되게 된다.
오디오 처리부(124)는 오디오 디코딩부(122)에서 출력되는 디코딩된 오디오 신호를 스피커를 통해 출력가능한 포맷의 오디오 신호로 변환한다.
비디오 디코딩부(123)는 방송 분리부(121)에서 출력되는 비디오 신호를 디코딩한다. 이에 따라, 비디오 디코딩부(123)에서는 압축해제된 비디오 신호가 출력되게 된다.
비디오 처리부(125)는 비디오 디코딩부(123)에서 출력되는 디코딩된 비디오 신호를 디스플레이를 통해 출력가능한 포맷의 비디오 신호로 변환한다. 이를 위해, 비디오 처리부(125)는 디코딩된 비디오 신호에 대한 컬러신호 처리 및 스케일링 등을 수행한다.
GUI 생성부(190)는 제어부(150)에서 출력되는 PSI, PSIP 및 데이터방송 저장부(180)에서 출력되는 데이터방송 신호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에 표시될 GUI를 생성한다. GUI 생성부(190)에서 생성된 GUI는 비디오 처리부(125)로 인가되어, 디스 플레이에 표시될 비디오에 부가된다.
GUI 생성부(190)는 제어부(150)로부터 전달받은 PSI, PSIP와 데이터방송 신호를 그래픽으로 생성하여 비디오 처리부(125)로 전달하고, 비디오 처리부(125)는 전달받은 그래픽을 그래픽 레이어에 나타낸다.
방송 출력부(130)는 방송 처리부(120)에서 출력되는 비디오 신호와 오디오 신호에 대응되는 비디오와 오디오를 출력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이와 같은 기능을 수행하는 방송 출력부(130)는 오디오 출력부(131)와 비디오 출력부(135)를 구비한다.
오디오 출력부(131)는 오디오 처리부(124)에서 출력되는 오디오 신호를 스피커를 통해 출력하거나 외부 출력단자를 통해 연결된 외부 디스플레이(예를 들면, 외부 TV)로 출력한다.
비디오 출력부(132)는 비디오 처리부(125)에서 출력되는 비디오 신호를 디스플레이를 통해 출력하거나 외부 출력단자를 통해 연결된 외부 디스플레이(예를 들면, 외부 TV)로 출력한다.
모뎀(140)은 외부 통신망을 통해 사용자의 요청/의사를 방송국(100) 등으로 전달하여, 양방향 데이터방송 서비스가 가능하도록 한다. 또한, 모뎀(140)은 후술할 사용자정보 저장부(160)로부터 사용자 정보를 독출하여 방송국(100)으로 송신한다..
또한, 외부 통신망을 통해 사용자정보를 방송국(100) 등으로 전달하기 위해서 모뎀(140) 이외에 다른 인터페이스가 사용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예를 들면, 케이블 티비에서는 OOB Tx(out of band transmitter)를 이용하여 사용자 정보를 방송국(100)으로 전송할 수 있다.
사용자정보 저장부(160)는 제어부(150)가 사용자 정보가 저장되어 있는 저장매체로서, 비휘발성 메모리, HDD(Hard Disk Drive) 등으로 구현가능하다.
데이터방송 저장부(180)는 방송분리부(121)로부터 수신된 데이터 방송 신호가 저장되어 있으며, 데이터방송 서비스 제공을 위해 실행되는 프로그램들이 저장되어 있는 저장매체로서, 메모리, HDD(Hard Disk Drive) 등으로 구현가능하다.
리모콘(170)은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사용자 명령을 제어부(150)로 전달한다. 또한, 리모콘(170)은 사용자의 조작을 통해 사용자 정보를 입력받을 수도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리모콘을 통해 사용자 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다고 기술하였으나, 이외에 다른 입력장치에 의해 입력받을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예를 들면, 키보드, 터치스크린 등을 통해 사용자 정보를 입력받을 수도 있다.
또한, 입력장치가 아닌 외부 저장매체를 통해 사용자 정보를 입력받을 수도 있다. 예를 들면, 메모리 카드, USB 메모리, 하드디스크 등에 저장된 사용자 정보를 DTV에서 입력받을 수도 있다.
제어부(150)는 리모콘(170)으로부터 전달받은 사용자 명령에 따라 DTV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50)는 디지털 방송 프로그램이 사용자에게 제공되도록 방송신호 수신부(110)와 방송 처리부(120)의 동작을 제어한다. 또한, 제어부(150) 는 방송 분리부(121)로부터 인가받은 PSI, PSIP 신호와 데이터방송 신호를 이용하여, 데이터방송 서비스를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또한, 제어부(150)는 사용자 정보 저장부(160)로부터 사용자 정보를 독출하고, 모뎀(140)을 통해 방송국(100)으로 사용자 정보를 전송한다. 제어부(150)는 방송국으로부터 사용자 정보 요청이 수신된 경우, 사용자에게 사용자 정보를 전송할 것인지 여부를 확인하는 메시지를 표시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로부터 사용자 정보 전송 명령이 입력되면, 제어부(150)는 모뎀(140)을 통해 사용자 정보를 방송국(100)으로 전송한다.
그리고, 사용자가 리모콘(170)을 통해 사용자 정보를 추가로 입력한 경우, 제어부(150)는 사용자 저장부(160)에 저장된 사용자 정보 및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사용자 정보를 모뎀(140)을 통해 모두 방송국(100)으로 전송할 수도 있다.
여기에서, 사용자 정보는 ID, 패스워드 및 부가정보를 포함한다. 부가정보는 사용자의 인적사항 및 방송수신장치의 기기정보를 포함한다. 그리고, 사용자의 인적사항은 사용자 이름, 나이, 전화번호, 주소 등을 포함하고, 방송수신장치의 기기정보는 방송수신장치의 시리얼넘버, 맥어드레스, 기기종류 등을 포함한다.
또한, 사용자 정보는 사용자, 방송국, 채널 및 프로그램 중 적어도 하나마다 별개의 ID 및 패스워드가 부여되어 있다. 이는 방송국, 채널 및 프로그램 별로 서비스 제공자가 서로 다를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사용자는 방송국 별, 채널 별, 프로그램 별로 아이디 및 패스워드를 따로 만들어야 한다.
또한, 제어부(150)는 사용자 정보가 사용자, 방송국, 채널 및 프로그램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 테이블화 되어 저장되도록 사용자 정보 저장부(160)를 제어한다. 그리고, 제어부(150)는 채널이 변경되어 변경된 채널의 방송으로부터 사용자 정보 요청이 수신되면, 변경된 채널에 대한 사용자 정보를 모뎀(140)을 통해 방송국(100)으로 전송한다. 또한, 사용자가 변경된 경우, 제어부(150)는 현재 사용자가 사용자 정보를 이용할 수 있는 권한이 있는지 확인하여, 권한이 있는 경우 사용자 정보 저장부(160)에 저장된 사용자 정보를 모뎀(140)을 통해 방송국(100)으로 전송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2를 참고하여 사용자 정보 제공 과정에 대하여 상세하게 기술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정보 제공방법의 설명에 제공되는 흐름도이다.
제어부(150)는 DTV를 사용하고 있는 사용자가 사용자 정보를 이용할 수 있는 권한이 있는 자인지 여부를 인증한다. 즉, 제어부(150)는 DTV의 사용자로 여러 명이 등록된 경우, 현재 사용자가 누구인지 여부를 입력받는다. 이와 같이, DTV는 일단 사용자 인증 과정을 거치게 된다(S200).
이를 통해, 사용자 인증이 된 경우(S200-Y), 제어부(150)는 방송국(100)으로부터 사용자 정보 요청을 수신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210).
방송국으로부터 사용자 정보 요청이 수신된 경우(S210-Y), 제어부(150)는 사용자 정보 저장부(160)로부터 사용자 정보를 독출한다(S220).
그리고, 제어부(150)는 사용자 정보 저장부(160)로부터 독출된 사용자 정보에 방송국(100)에서 요청된 사용자 정보가 모두 포함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 다(S230). 만약, 사용자 정보 저장부(160)로부터 독출된 사용자 정보에 방송국에서 요청된 사용자 정보가 모두 포함되어 있다면(S230-Y), 제어부(150)는 독출된 사용자 정보를 모뎀(140)을 통해 방송국(100)으로 전송한다(S250).
반면, 사용자 정보 저장부(160)로부터 독출된 사용자 정보에 방송국에서 요청된 사용자 정보가 일부 또는 전부 포함되어 있지 않다면(S230-N), 제어부(150)는 방송국(100)으로부터 요청된 사용자 정보를 입력받기 위한 GUI(Graphic User Interface)를 화면에 표시한다(S240).
그리고, 제어부(150)는 사용자로부터 리모콘(170)을 통해 사용자 정보를 입력받는다(S243). 이 때, 제어부(150)는 사용자 정보 저장부(160)에 저장된 사용자 정보와 중복되는 내용을 제외한 사용자 정보만 입력받을 수도 있다. 또한, 제어부(150)는 리모콘(170) 이외에 다른 입력장치를 통하여 사용자 정보를 입력받을 수도 있다.
사용자 정보 입력이 끝난 후에, 제어부(150)는 입력된 사용자 정보를 바탕으로 사용자 정보 저장부(160)에 저장된 사용자 정보를 업데이트한다(S246). 이와 같이, 사용자 정보 저장부(160)에 저장된 사용자 정보를 업데이트하면, 사용자는 사용자 정보를 한번 입력한 후 그 다음부터는 같은 정보를 반복하여 입력할 필요가 없어지게 된다.
그 다음으로, 제어부(150)는 업데이트된 사용자 정보를 바탕으로, 방송국(100)에서 요청된 사용자 정보를 모뎀(140)을 통해 방송국(100)으로 전송하게 된다(S250).
이 후에, 사용자에 의해 채널이 변경된 경우(S260-Y), 제어부(150)는 S210 단계부터 다시 시작하게 된다. 즉, 변경된 채널에 대한 사용자 정보를 상기 과정을 통해 방송국(100)으로 전송하게 된다.
그리고, DTV의 사용자가 변경된 경우(S270-Y), 제어부(150)는 S200 단계부터 다시 시작하게 된다. 즉, DTV의 사용자에 대한 재인증 과정을 거친 후에, 상기 과정을 통해 사용자 정보를 방송국(100)으로 전송하게 된다.
지금까지, 도 1 및 도 2를 참고하여 사용자 정보 저장부(160)에 저장된 사용자 정보를 방송국(100)으로 전송하는 DTV 및 사용자 정보 제공방법을 설명하였다.
이하에서는, 도 3을 바탕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면 구성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의 방송 참여 과정의 설명에 제공되는 도면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송국(100)과 DTV 간의 양방향 통신이 가능해짐에 따라, DTV를 통해 방송에 직접 참여할 수 있게 된다. 도 3에서는 사용자가 퀴즈쇼에 참여하는 경우를 도시하였다.
도 3의 제1 화면(310)과 같이, 일단 사용자가 퀴즈쇼에 참여할지 여부를 묻는 화면이 표시된다. 그리고, 사용자가 '퀴즈참여'를 선택한 경우, 방송국(100)에서는 퀴즈쇼 참여를 위한 사용자 정보를 요청하게 된다.
이 때, 미리 저장된 사용자 정보가 없는 경우, 사용자는 제2 화면(320)의 ID 및 패스워드 입력절차를 거쳐야 한다. 또한, 사용자는 리모콘(170)을 통해 직접 ID 및 패스워드를 입력해야 한다. 그 후에, 사용자는 제3 화면(330)을 통해 퀴즈쇼에 참여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게 된다.
반면, 사용자 정보 저장부(160)를 구비한 DTV의 경우, 사용자 정보를 직접 입력할 필요 없이 저장된 사용자 정보를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제1 화면(310)이 표시되고 사용자가 '퀴즈참여'를 선택한 경우, 제2 화면(320)을 거칠 필요 없이 바로 제3 화면(330)이 표시되면서 퀴즈쇼에 참여하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 정보 저장부(160)를 구비한 DTV의 경우, 사용자는 사용자 정보를 직접 입력할 필요 없이 더욱 간단하게 방송에 참여할 수 있게 된다.
이하에서는 도 4를 참고하여 사용자 정보의 구성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정보 테이블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의 좌측에 도시된 <사용자 정보 알고리즘>은 사용자 정보가 생성되는 알고리즘을 나타낸다. 사용자 정보 알고리즘의 1,2 라인을 보면, 사용자를 가장 상위 레벨로 하여 사용자 정보가 구성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 정보 알고리즘의 4,5 라인을 보면, 사용자 별로 채널 수만큼 사용자 정보가 생성됨을 알 수 있다. 그리고, 7 내지 15 라인을 보면, 각 사용자 정보는 아이디(user_id), 패스워드(user_password) 및 복수 개의 부가정보(property)로 구성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도 4의 우측 도면을 참고하면, 이와 같은 알고리즘을 통해 생성된 사용자 정보는 <사용자 정보 구조>와 같이 사용자별, 방송국별로 테이블화 되어 저장됨을 확인할 수 있다. 즉, User1은 KBS-1, KBS-2, MBC, SBS 및 EBS의 5개 채널에 대한 사 용자 정보를 포함하고 있다. 그리고, 각 사용자 정보는 user_id, password, property1, property2 등의 항목을 포함하고 있다. 여기에서 property는 부가정보를 나타내는 항목으로, 사용자의 인적사항 및 방송수신장치의 기기정보를 포함한다. 그리고, 사용자의 인적사항은 사용자 이름, 나이, 전화번호, 주소 등을 포함하고, 방송수신장치의 기기정보는 방송수신장치의 시리얼넘버, 맥어드레스, 기기종류 등에 대한 정보를 포함한다.
그리고, 다른 사용자인 User2에 대해서도 상기와 같은 채널별 사용자 정보가 저장된다.
지금까지 도 3 및 도 4를 참고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DTV 화면 구성 및 사용자 정보의 구성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본 실시예에서는 DTV의 방송신호 수신부(110)와 모뎀(140)이 별도로 작동하는 것으로 기술하였으나, 일체형으로 작동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DTV가 모뎀(140)에 의해 방송국(100)과 통신하는 것으로 상정하였으나, 이외에 다른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방송국(100)과 통신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는 방송수신장치가 DTV인 것으로 상정하여 설명하였으나, 이외에 다른 방송수신장치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적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예를 들면, 셋탑박스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적용할 수 있다.
또한,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DTV의 블럭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정보 제공방법의 설명에 제공되는 흐름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의 방송 참여 과정의 설명에 제공되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정보 테이블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20 : 방송 처리부 130 : 방송 출력부
140 : 모뎀 150 : 제어부
160 : 사용자 정보 저장부 170 : 리모콘

Claims (26)

  1. 방송국과 통신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인터페이스;
    사용자 정보가 저장되어 있는 저장부; 및
    상기 저장부에 저장되어 있는 사용자 정보를 상기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방송국으로 전송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방송수신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정보는,
    상기 방송국에서 제공하는 양방향 방송 서비스의 이용을 위해 요구되는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수신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양방향 방송 서비스는,
    데이터 방송 서비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수신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정보는,
    리모콘을 통해 사용자에 의해 입력되어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수신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정보는,
    ID, 패스워드 및 부가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수신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정보는,
    사용자, 방송국, 채널 및 프로그램 중 적어도 하나마다 별개의 ID 및 패스워드가 부여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수신장치.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부가 정보는,
    사용자의 인적사항 및 방송수신장치의 기기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수신장치.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정보는,
    사용자, 방송국, 채널 및 프로그램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 테이블화되어 저장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수신장치.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방송국으로부터 사용자 정보 요청을 수신하면, 상기 저장부에 저장되어 있는 사용자 정보를 상기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방송국으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수신장치.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방송국으로부터 사용자 정보 요청을 수신하고 사용자에 의해 사용자 정보 전송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저장부에 저장되어 있는 사용자 정보를 상기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방송국으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수신장치.
  1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저장부에 저장되어 있는 사용자 정보 및 상기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사용자 정보를 상기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방송국으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수신장치.
  1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정보는, 채널별로 테이블화되어 저장되어 있고,
    상기 제어부는,
    채널이 변경된 경우, 변경된 채널에 대한 사용자 정보를 상기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방송국으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수신장치.
  1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정보는, 사용자별로 테이블화되어 저장되어 있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방송수신장치를 사용하고 있는 사용자가 상기 사용자 정보를 이용할 수 있는 권한이 있는 자로 확인된 경우에, 상기 저장부에 저장되어 있는 사용자 정보를 상기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방송국으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수신장치.
  14. 방송수신장치의 사용자 정보 제공방법에 있어서,
    상기 방송수신장치가, 저장매체로부터 사용자 정보를 독출하는 단계; 및
    상기 방송수신장치가, 상기 독출된 사용자 정보를 상기 방송국으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사용자 정보 제공방법.
  15.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정보는,
    상기 방송국에서 제공하는 양방향 방송 서비스의 이용을 위해 요구되는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정보 제공방법.
  16.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양방향 방송 서비스는,
    데이터 방송 서비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정보 제공방법.
  17. 제 14항에 있어서,
    리모콘을 통해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상기 사용자 정보를 상기 저장매체에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정보 제공방법.
  18.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정보는,
    ID, 패스워드 및 부가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정보 제공방법.
  19. 제 18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정보는,
    사용자, 방송국, 채널 및 프로그램 중 적어도 하나마다 별개의 ID 및 패스워드가 부여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정보 제공방법.
  20. 제 18항에 있어서,
    상기 부가 정보는,
    사용자의 인적사항 및 방송수신장치의 기기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정보 제공방법.
  21.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정보는,
    사용자, 방송국, 채널 및 프로그램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 테이블화되어 저장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정보 제공방법.
  22.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단계는,
    상기 방송국으로부터 사용자 정보 요청을 수신하면, 상기 독출된 사용자 정보를 상기 방송국으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정보 제공방법.
  23.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단계는,
    상기 방송국으로부터 사용자 정보 요청을 수신하고 사용자에 의해 사용자 정보 전송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독출된 사용자 정보를 상기 방송국으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정보 제공방법.
  24.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단계는,
    상기 저장매체에 저장되어 있는 사용자 정보 및 상기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사용자 정보를 상기 방송국으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정보 제공방법.
  25.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정보를 채널별로 테이블화하여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전송단계는,
    채널이 변경된 경우, 변경된 채널에 대한 사용자 정보를 상기 방송국으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정보 제공방법.
  26.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정보를 사용자별로 테이블화하여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전송단계는,
    상기 사용자가 상기 사용자 정보를 이용할 수 있는 권한이 있는 자로 확인된 경우에, 상기 독출된 사용자 정보를 상기 방송국으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정보 제공방법.
KR1020070086638A 2007-08-28 2007-08-28 저장된 사용자 정보 제공방법 및 이를 적용한 방송수신장치 KR1013797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86638A KR101379760B1 (ko) 2007-08-28 2007-08-28 저장된 사용자 정보 제공방법 및 이를 적용한 방송수신장치
US12/021,457 US8176511B2 (en) 2007-08-28 2008-01-29 Method for providing user information and broadcast receiving apparatus us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86638A KR101379760B1 (ko) 2007-08-28 2007-08-28 저장된 사용자 정보 제공방법 및 이를 적용한 방송수신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21806A true KR20090021806A (ko) 2009-03-04
KR101379760B1 KR101379760B1 (ko) 2014-03-31

Family

ID=404096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86638A KR101379760B1 (ko) 2007-08-28 2007-08-28 저장된 사용자 정보 제공방법 및 이를 적용한 방송수신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8176511B2 (ko)
KR (1) KR10137976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120711A (ko) * 2010-04-29 2011-11-04 주식회사 알티캐스트 어플리케이션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17749B1 (ko) 2011-12-09 2018-11-14 삼성전자주식회사 방송 수신 장치, 서버, 방송 수신 장치의 제어 방법, 및 서버의 제어 방법
US9351037B2 (en) 2012-02-07 2016-05-24 Turner Broadcasting System, Inc. Method and system for contextual advertisement replacement utilizing automatic content recognition
US9167276B2 (en) 2012-12-28 2015-10-20 Turner Broadcasting System, Inc.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and handling product and service discounts, and location based services (LBS) in an automatic content recognition based system
US10701438B2 (en) 2016-12-31 2020-06-30 Turner Broadcasting System, Inc. Automatic content recognition and verification in a broadcast chain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20184351A1 (en) * 2001-02-07 2002-12-05 Istvan Anthony F. Information access in user model-based interactive television
US7917130B1 (en) * 2003-03-21 2011-03-29 Stratosaudio, Inc. Broadcast response method and system
US20060048179A1 (en) * 2004-08-27 2006-03-02 Kortum Philip T Method and system to access PC-based services from non-PC hardware
KR100632019B1 (ko) 2004-09-06 2006-10-04 엘지전자 주식회사 텔레비전 방송 수상기의 사용자 인증방법 및 장치
JP2006304133A (ja) 2005-04-25 2006-11-02 Aruze Corp 視聴者管理サーバ及び視聴者管理システム
KR100729083B1 (ko) 2005-12-01 2007-06-14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케이블 셋탑 박스에서의 사용자 인증 방법
US7873981B2 (en) * 2005-12-28 2011-01-18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Methods, system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s for providing internet protocol television set up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120711A (ko) * 2010-04-29 2011-11-04 주식회사 알티캐스트 어플리케이션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90064261A1 (en) 2009-03-05
KR101379760B1 (ko) 2014-03-31
US8176511B2 (en) 2012-05-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317202B2 (ja) Mpeg‐4に基づくマルチメディア・システム、そのシステムのためのサービス・プロバイダ、およびコンテンツに基づく遠隔通信装置
CN101636978B (zh) 与终端进行数据通信的方法以及使用该方法的接收器
KR100713505B1 (ko) 디지털 방송 수신 단말기의 선호 채널 공유 방법
KR100798918B1 (ko) 통합된 셋탑 기능을 갖는 홈서버 및 그 제어방법
US8947598B2 (en) Method for displaying wallpaper on digital broadcasting reception terminal
KR20090049041A (ko) 통합된 크로스 미디어 서비스
CN105657501B (zh) 一种数字电视直播系统及方法
JP2016103801A (ja) デジタル放送受信装置、デジタル放送受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2009501492A (ja) デジタルラジオでユーザ固有情報を受信するシステム及び方法
KR101379760B1 (ko) 저장된 사용자 정보 제공방법 및 이를 적용한 방송수신장치
KR100848783B1 (ko) 개인화된 맞춤형 정보 서비스를 제공하는 리모콘과 ip셋탑박스 및 그 제공 방법
JP2008131340A (ja) セットトップボックス
JP2005229152A (ja) ディジタル放送受信装置及び契約番組視聴方法
US20090013346A1 (en) Method for restricting viewing access to broadcast program and broadcast receiving apparatus using the same
CN102474590A (zh) 用于接收广播信号的方法和装置以及使用其的显示设备
KR20030055645A (ko) 사용자 단말기 성능 및 취향에 적합한 방송 수신 장치 및이 장치를 사용한 방송 서비스 방법
JP2006186513A (ja) チャンネルレイアウト記憶システム
KR101067780B1 (ko) 데이터 표시 방법 및 그 방법을 채용한 디스플레이 기기
KR20020072895A (ko) 셋톱 박스를 이용한 텔레비젼 화상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KR20050052755A (ko) 디지털 방송 시스템의 문자 메시지 제공 방법
KR20030046733A (ko) 디지털방송 시청시스템 및 시청방법
CN102804795B (zh) 接收广播信号的方法和设备
US7809947B2 (en) User certificate system and method for data broadcasting
JP3795266B2 (ja) ディジタル放送受信装置およびテレビジョン受信機およびディジタル放送受信方法
JP2007282168A (ja) 放送等の受信における視聴画像制御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2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2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28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