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29083B1 - 케이블 셋탑 박스에서의 사용자 인증 방법 - Google Patents

케이블 셋탑 박스에서의 사용자 인증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29083B1
KR100729083B1 KR1020050116144A KR20050116144A KR100729083B1 KR 100729083 B1 KR100729083 B1 KR 100729083B1 KR 1020050116144 A KR1020050116144 A KR 1020050116144A KR 20050116144 A KR20050116144 A KR 20050116144A KR 100729083 B1 KR100729083 B1 KR 1007290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p box
cable
pod
program
box syste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161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57318A (ko
Inventor
박지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Priority to KR10200501161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29083B1/ko
Publication of KR200700573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5731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290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290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60Network structure or processes for video distribution between server and client or between remote clients; Control signalling between clients, server and network components; Transmission of management data between server and client, e.g. sending from server to client commands for recording incoming content stream; Communication details between server and client 
    • H04N21/63Control signaling related to video distribution between client, server and network components; Network processes for video distribution between server and clients or between remote clients, e.g. transmitting basic layer and enhancement layers over different transmission paths, setting up a peer-to-peer communication via Internet between remote STB's; Communication protocols; Addressing
    • H04N21/633Control signals issued by server directed to the network components or client
    • H04N21/6332Control signals issued by server directed to the network components or client directed to client
    • H04N21/6334Control signals issued by server directed to the network components or client directed to client for authorisation, e.g. by transmitting a ke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72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 H04N21/47211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for requesting pay-per-view cont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60Network structure or processes for video distribution between server and client or between remote clients; Control signalling between clients, server and network components; Transmission of management data between server and client, e.g. sending from server to client commands for recording incoming content stream; Communication details between server and client 
    • H04N21/65Transmission of management data between client and server
    • H04N21/658Transmission by the client directed to the server
    • H04N21/6583Acknowledge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POD 모듈의 별도 장착을 필요로 하지 않는 시스템 고유의 구분자 코드를 이용하는 온라인 사용자 인증 방식을 통해 서로 다른 스크램블 방식의 케이블 방송 프로그램에 선택 적응할 수 있도록 한다는 것으로,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스크램블 방식에 대응 가능한 POD 모듈을 별도 구매하여 장착하거나 혹은 케이블 셋탑 박스에 서로 다른 스크램블 방식을 각각 지원하는 복수의 POD 모듈을 장착하는 방식으로 서로 다른 스크램블 방식의 케이블 방송 프로그램을 선택적으로 서비스 받는 종래 방식과는 달리, 셋탑 박스 시스템에 부여된 고유의 구분자 코드를 이용하여 온라인으로 사용자의 유효성 여부를 인증하고 인증이 승인되지 않을 때 해당 케이블 셋탑 박스 시스템에 관련 POD 프로그램을 다운로드 방식으로 제공하여 저장 또는 갱신 저장함으로써, 서로 다른 스크램블 방식의 케이블 방송 프로그램을 시청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POD 모듈 구매 등에 기인하는 불필요한 비용 지출의 억제는 물론 사용자들의 서비스 이용 편리성을 대폭 증진시킬 수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케이블 셋탑 박스에서의 사용자 인증 방법{METHOD FOR AUTHORIZING USER IN CABLE SET-TOP BOX}
도 1은 MSO들이 자신의 관할권에 있는 다수의 케이블 셋탑 박스에 케이블 방송 프로그램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 계통을 도시한 계통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셋탑 박스에서의 사용자 인증을 제공받는 방법을 적용하는데 적합한 케이블 셋탑 박스 시스템의 블록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라 케이블 셋탑 박스에서 사용자 인증을 제공받는 과정을 도시한 순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0, 120 : MSO 112/1 - 112/n, 122/1 - 122/n : 셋탑 박스
114, 124 : 케이블 202 : 튜너 블록
204 : QAM 복조 블록 206 : 디스크램블러
208 : 디멀티플렉서 210 : OOB 처리 블록
212 : 제어 블록 214 : 플래시 메모리
본 발명은 케이블 셋탑 박스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디스크램블 기능을 갖는 POD 모듈을 이용하여 시청 권한에 따라 유료 케이블 방송을 시청할 때 서로 다른 스크램블 방식에 적응적으로 대응하는데 적합한 케이블 셋탑 박스에서의 사용자 인증 방법에 관한 것이다.
잘 알려진 바와 같이, 디지털 방송 프로그램에 대한 하나의 공용 표준으로 오픈 케이블 방식이 제안되었는데, 이러한 오픈 케이블 방식의 케이블 셋탑 박스에서는 특정한 방송 프로그램만을 선택적으로 시청할 수 있도록 하는 제한 수신 시스템(CAS : conditional access system) 기능을 채용하고 있다.
이를 위하여, 제한 수신 시스템 기능을 갖는 케이블 셋탑 박스에서는 제한 수신 시스템 기능을 위한 별도의 POD(point of deployment) 모듈(예컨대, 카드형 모듈)을 장착하고 있으며, 이러한 POD 모듈은 인-밴드(in-band) 대역을 통해 A/V 방송(방송 프로그램 등)을 수신하고, 아웃오브-밴드(out-of-band : OOB) 대역을 통해 MSO(multi system operator)와 양방향 통신을 수행한다. 여기에서, 인-밴드 대역을 통해 수신되는 방송 프로그램은 선택적으로 스크램블된 방송신호(즉, 유료 방송신호)이다.
따라서, 사용자들은 MSO에 유료 회원으로 가입하여 유료 방송 채널에 대한 시청 권한을 부여받아야 하며, 스크램블된 유료 케이블 방송 프로그램을 케이블 셋탑 박스에 장착된 POD 모듈을 통해 디스크램블하여 시청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지역 등의 규모에 따라 다수의 MSO들이 존재하게 되는데, 각 MSO들은 대부분이 서로 다른 스크램블 방식을 채택, 즉 다른 종류의 POD 모듈을 사용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따라서, 자신이 현재 가입되어 있는 MSO의 관할권을 벗어나는 지역으로 이주할 경우, 해당 사용자는, 유료 케이블 방송을 시청하기 위하여, 자신이 이주한 지역을 관할하는 새로운 MSO에 회원으로 가입하고 또한 새로운 MSO에 대응 가능한 새로운 POD 모듈을 구입하여 자신의 케이블 셋탑 박스에 장착해야만 하였다. 이것은 결국 불필요한 비용의 발생과 사용자들의 번거로움을 야기시키는 요인이 되고 있는 실정이다.
위와 같은 문제점의 해결을 위해 하나의 케이블 셋탑 박스에 복수의 POD 모듈(서로 다른 방식의 스크램블 방식을 각각 지원하는 복수의 POD 모듈)을 장착시키고, 수신되는 케이블 방송 프로그램의 스크램블 방식에 따라 자동으로 해당 POD 모듈을 선택하도록 하는 방식을 고려해 볼 수 있겠으나, 이와 같이 복수의 POD 모듈을 케이블 셋탑 박스에 장착할 경우 셋탑 박스 자체의 제조원가가 불필요하게 많이 상승하게 되는 요인이 된다.
따라서, 케이블 셋탑 박스에 POD 모듈을 복수 개 장착하여 다양한 형태의 스크램블 방식에 대응하도록 하는 방법의 경우, 사용자가 특정 MSO의 관할권을 벗어나는 이주를 할 가능성(즉, 장착된 다수개 POD 모듈의 선택적 활용성) 등을 고려한 효과와 대비하여 볼 때, 셋탑 박스 자체의 제조원가를 필요 이상으로 상승시킨다는 문제가 있으며, 이러한 문제는 결국 서로 다른 스크램블 방식에 적응적으로 대응하기 위한 근본적인 해결책이라고 볼 수 없는 것이 현재의 실정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POD 모듈의 별도 장착을 필요로 하지 않는 시스템 고유의 구분자 코드를 이용하는 온라인 사용자 인증 방식을 통해 서로 다른 스크램블 방식의 케이블 방송 프로그램에 선택 적응할 수 있는 케이블 셋탑 박스에서의 사용자 인증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케이블 채널을 통해 수신되는 케이블 방송 프로그램을 튜닝하여 시청 가능한 셋탑 박스 시스템에서의 사용자 인증 방법으로서, 상기 셋탑 박스 시스템이 작동될 때, 메모리 영역에 기 저장된 시스템 고유의 구분자 코드를 인출하여 케이블을 통해 MSO(multi system operator)로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구분자 코드가 수신될 때, 회원으로 등록된 유효한 코드인지를 체크하는 과정과, 상기 유효한 코드가 아닐 때, 무료 방송 시청 권한에 따른 시청 서비스를 상기 셋탑 박스 시스템에 제공하는 과정과, 상기 유효한 코드일 때, 상기 셋탑 박스 시스템이 상기 MSO에 대응하는 POD(point of deployment) 프로그램을 이전에 제공받은 등록 사용자인지를 인증하는 과정과, 상기 등록 사용자 인증이 승인될 때, 부여된 방송 시청 권한에 따른 시청 서비스를 상기 셋탑 박스 시스템에 제공하는 과정과, 상기 등록 사용자 인증이 승인되지 않을 때, 상기 POD 프로그램을 인출하여 상기 케이블을 통해 상기 셋탑 박스 시스템으로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POD 프로그램이 수신될 때 상기 메모리 영역에 저장 또는 갱신 저장하는 과정과, 상기 저장 또는 갱신 저장된 POD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부여된 방송 시청 권한에 따른 시청 서비스를 제공받는 과정을 포함하는 케이블 셋탑 박스에서의 사용자 인증 방법을 제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의 핵심 기술요지는, 스크램블 방식에 대응 가능한 POD 모듈을 별도 구매하여 장착하거나 혹은 케이블 셋탑 박스에 서로 다른 스크램블 방식을 각각 지원하는 복수의 POD 모듈을 장착하는 방식으로 서로 다른 스크램블 방식의 케이블 방송 프로그램을 선택적으로 서비스 받는 전술한 종래 방식과는 달리, 셋탑 박스 시스템에 부여된 고유의 구분자 코드를 이용하여 온라인으로 사용자의 유효성 여부를 인증하고 인증이 승인되지 않을 때 해당 케이블 셋탑 박스 시스템에 관련 POD 프로그램을 다운로드 방식으로 제공하여 저장 또는 갱신 저장함으로써, 서로 다른 스크램블 방식의 케이블 방송 프로그램을 시청할 수 있도록 한다는 것으로, 이러한 기술적 수단을 통해 본 발명에서 목적으로 하는 바를 쉽게 달성할 수 있다.
도 1은 MSO들이 자신의 관할권에 있는 다수의 케이블 셋탑 박스에 케이블 방송 프로그램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 계통을 도시한 계통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MSO(110)는 자신의 관할권에 있는 다수의 셋탑 박스(112/1 - 112/n)들에 대해 케이블(114)을 통해 물리적으로 연결되어 각 셋탑 박스(112/1 - 112/n)들에 케이블 방송 프로그램 서비스 등을 제공하고, MSO(120)는 자신의 관할권에 있는 다수의 셋탑 박스(122/1 - 122/n)들에 대해 케이블(124)을 통해 물리적으로 연결되어 각 셋탑 박스(122/1 - 122/n)들에 케이블 방송 프로그램 서비스 등을 제공한다. 여기에서, 참조번호 112는 MSO(110)의 케이블 방송 프로그램 서비스 관할권을 의미적으로 나타내고, 참조번호 122는 MSO(120)의 케이블 방송 프로그램 서비스 관할권을 의미적으로 나타낸다.
이때, 두 MSO(110, 120)는 동일한 스크램블 방식을 사용할 수도 있고 서로 다른 스크램블 방식을 사용할 수도 있으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여기에서는 두 MSO(110, 120)가 서로 다른 스크램블 방식을 사용하는 것으로 가정한다.
따라서, 일 예로서 셋탑 박스(112/1)의 사용자가 112의 관할권 지역에서 122의 관할권 지역으로 자신의 셋탑 박스를 가지고 이주를 한다고 가정할 대, 전술한 종래 방식에 따르면, 해당 사용자는 자신이 이주한 지역의 케이블 방송 프로그램 서비스를 관할하는 MSO(120)의 스크램블 방식에 대응 가능한 새로운 POD 모듈을 구입하여 자신의 셋탑 박스(112/1)에 장착하거나 혹은 자신의 셋탑 박스(112/1)가 복수의 POD 모듈이 장착된 셋탑 박스이어야만 MSO(120)에서 제공하는 케이블 방송 프로그램 서비스를 원활하게 제공받을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한 바와 같은 경우(112 지역에서 122 지역으로 이주할 경우)일지라도, 새로운 POD 모듈을 구입하여 자신의 셋탑 박스에 장착하거나 혹은 자신의 셋탑 박스가 복수의 POD 모듈을 장착한 셋탑 박스일 필요가 없다.
왜냐하면, 본 발명에 따르면, 이주한 지역(122)에서 셋탑 박스(112/1)를 케이블에 연결하여 작동시키게 되면, 자신의 셋탑 박스에서 고유의 구분자 코드(즉, 셋탑 박스 내 플래시 메모리 영역에 기 저장된 시스템 구분자 코드)를 인출하여 케이블(124)을 통해 MSO(120)로 전송하고, MSO(120)에서는 수신된 해당 구분자 코드 에 의거하여 해당 사용자가 기 등록된 사용자인지를 인증하며, 이를 통해 MSO(120)가 자신이 서비스하는 케이블 방송 프로그램을 디스크램블할 수 있는 프로그램이 내장된 POD 프로그램을 해당 셋탑 박스(112/1)로 전송해 주고, 해당 셋탑 박스(112/1)가 이를 수신받아 플래시 메모리 영역에 저장해 둔 후 이를 이용하여 MSO(120)가 제공하는 케이블 방송 프로그램에 대한 서비스를 제공받으면 되기 때문이다.
이와 같이, 임의의 지역으로 이주한 사용자가 시스템(셋탑 박스 시스템) 고유의 구분자 코드를 이용하는 온라인 인증을 통해 해당 MSO의 케이블 방송 프로그램 서비스에 대응할 수 있는 POD 프로그램을 다운로드 서비스 받고 이를 통해 해당 MSO로부터 케이블 방송 프로그램 서비스를 제공받는 과정에 대하여 이하에 상세하게 설명한다.
즉, 상술한 바와 같은 서비스 계통도를 갖는 케이블 방송 서비스 시스템을 이용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라 불특정 다수의 케이블 셋탑 박스에 온라인으로 사용자 인증 서비스를 제공하는 과정에 대하여 첨부된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셋탑 박스에서의 사용자 인증을 제공받는 방법을 적용하는데 적합한 케이블 셋탑 박스 시스템의 블록구성도로서, 튜너 블록(202), QAM(quadrature amplitude modulation) 복조 블록(204), 디스클램블러(206), 디멀티플렉서(208), OOB(out-of-band) 처리 블록(210), 제어 블록(212) 및 플래시 메모리(214) 등을 포함한다.
도 2를 참조하면, 튜너 블록(202)은 제어 블록(212)으로부터 제공되는 방송 채널 튜닝 제어신호에 의거하여 케이블을 통해 도시 생략된 MSO로부터 제공되는 특정 케이블 방송 채널을 튜닝, 즉 인-밴드(in-band) 대역을 통해 수신되는 임의의 케이블 방송 채널을 튜닝하고, 아웃오브-밴드(out-of-band : OOB) 대역을 통해 MSO(multi system operator)와의 양방향 통신을 수행하는 등의 기능을 제공하는 것으로, 여기에서 튜닝되는 케이블 방송 채널의 방송 프로그램 신호는 QAM 복조 블록(204)으로 제공되고, OOB 서비스 정보는 OOB 처리 블록(206)으로 전달된다.
다음에, QAM 복조 블록(204)은 튜너 블록(202)으로부터 제공되는 케이블 방송 프로그램 신호(A/V 신호)를 변조 전의 원 신호로 QAM 복조하며, 여기에서 복조된 케이블 방송 프로그램 신호는 디스크램블러(206)로 전달된다. QAM 복조는, 이 기술분야에 이미 널리 알려진 기술내용이므로 여기에서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어서, 디스크램블러(206)는, 제어 블록(212)으로부터 제공되는 디스크램블 제어신호에 응답하여, 송신측에서 스크램블링되어 전송된 케이블 방송 프로그램 신호(통상, 유료 케이블 방송 프로그램)를 디스크램블링하여 디멀티플렉서(208)로 전달하거나 혹은 스크램블링되어 있지 않은 케이블 방송 프로그램 신호(통상, 무료 케이블 방송 프로그램)를 바로 디멀티플렉서(208)로 전달하는 등의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디멀티플렉서(208)는, 제어 블록(212)으로부터 제공되는 제어신호에 응답하여, 디스크램블러(206)로부터 제공되는 케이블 방송 프로그램 신호를 비디오 및 오디오 신호로 디멀티플렉싱(분리)하며, 여기에서 분리된 비디오 신호는 도시 생략된 비디오 신호 처리 모듈로 전달되고, 분리된 오디오 신호는 도시 생략된 오디오 신호 처리 모듈로 전달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모니터 및 스피커 등을 통해 출력되는 케이블 방송 프로그램을 시청할 수 있게 된다.
한편, OOB 처리 블록(210)은 인-밴드 대역을 통해 전송되어 수신되는 OOB 서비스 정보를 처리, 예컨대 본 발명에 따라 MSO로부터 제공되는 POD 프로그램 정보를 추출하여 제어 블록(212)으로 제공하고, 제어 블록(212)으로부터 제공되는 정보, 예컨대 본 발명에 따라 제공되는 고유의 구분자 코드 정보를 아웃오브-밴드 대역에 실어 튜너 블록(202)으로 전달하는 등의 기능을 제공한다.
다음에, 제어 블록(212)은, 예를 들면 셋탑 박스 시스템의 전반적인 동작 제어를 수행하는 마이크로프로세서 등을 포함하는 것으로, 사용자 조작에 응답하여 케이블 방송 채널을 튜닝하기 위한 튜닝 제어신호를 발생하여 튜너 블록(202)으로 제공하고, 디스크램블링 및 디멀티플렉싱을 위한 제어신호를 각각 발생하여 디스크램블러(206) 및 디멀티플렉서(208)로 각각 제공하는 등의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제어 블록(212)은, 본 발명에 따라 사용자가 셋탑 박스 시스템을 작동(파워 온)시킬 때, 플래시 메모리(214)의 소정 영역에 기 저장된 고유의 구분자 코드(즉 시스템 구분자 코드) 정보를 인출하여 OOB 처리 블록(210)으로 제공하고, OOB 처리 블록(210)으로부터 제공되는 POD 프로그램 정보를 플래시 메모리(214)의 소정 영역에 저장(또는 갱신 저장)하며, 플래시 메모리(214)에 저장된 POD 프로그램 정보를 이용하여 케이블 방송 프로그램 신호를 디스크램블링할 수 있도록 이를 디스크램블러(206)에 제공하는 등의 기능을 수행한다.
즉, 플래시 메모리(214)에는 셋탑 박스 시스템의 고유의 구분자 코드 정보가 기 저장되어 있으며, MSO로부터 제공받는 POD 프로그램 정보 등이 저장된다. 여기에서, 고유의 구분자 코드 정보는 셋탑 박스 시스템을 제조할 때 할당되어 미리 저장되는 것으로, 사용자 등에 의해 변경 등이 불가능한 코드 정보이다.
다음에,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 셋탑 박스 시스템에서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인증 서비스를 제공받는 과정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라 케이블 셋탑 박스에서 사용자 인증을 제공받는 과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먼저, 설명의 편의와 이해의 증진을 위해, 셋탑 박스 시스템의 사용자가 해당 지역을 관할하는 MSO에 신규 회원으로 가입(예컨대, 다른 MSO의 관할 지역으로 이주해 오거나 혹은 현 지역에서 신규로 가입)하였거나 혹은 기존에 가입된 회원인 경우라고 가정한다.
도 3을 참조하면, 사용자가 셋탑 박스 시스템을 작동(파워 온)시키면(단계 302), 제어 블록(212)에서는 플래시 메모리(214)의 소정 영역에 기 저장되어 있는 고유의 구분자 코드 정보를 인출하여 OOB 처리 블록(210)으로 전달하며, 그 결과 해당 셋탑 박스 시스템의 고유의 구분자 코드 정보는 인-밴드 대역에 실려 케이블을 통해 도시 생략된 MSO로 전송된다(단계 304).
다음에, 해당 MSO에서는 인-밴드 대역을 통해 수신된 고유의 구분자 코드에 대해 자체 구비된 데이터베이스(즉, 회원 정보 데이터베이스)를 검색하여 해당 구분자 코드가 회원으로 등록된 유효한 구분자 코드인지의 여부를 체크한다(단계 306, 308).
상기 단계(308)에서의 판단 결과, 수신된 고유의 구분자 코드가 회원으로 등록된 유효한 구분자 코드가 아닌 것으로 판단되면, 해당 MSO에서는 구분자 코드를 전송한 해당 셋탑 박스 시스템에 대해 무료 방송 시청 권한을 부여하며(단계 310), 그 결과 해당 셋탑 박스 시스템의 사용자는 무료의 케이블 방송 프로그램(즉, 스크램블링되지 않은 케이블 방송 프로그램)만을 시청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단계(308)에서의 판단 결과, 수신된 고유의 구분자 코드가 회원으로 등록된 유효한 구분자 코드인 것으로 판단되면, 해당 MSO에서는 해당 구분자 코드가 회원으로 기 등록된 구분자 코드(즉, 해당 MSO에 대응 가능한 POD 프로그램을 이미 제공받아 가지고 있는 사용자의 구분자 코드)인지 아니면 신규 회원의 구분자 코드(즉, 회원으로 등록은 되었으나, 해당 MSO에 대응 가능한 POD 프로그램을 아직 제공받지 않은 사용자의 구분자 코드)인지의 여부를 인증한다(단계 312). 여기에서, 신규 회원이라 함은 해당 MSO가 관할하는 현 지역에서 가입한 신규 회원이거나 혹은 다른 지역의 MSO의 관할 지역으로부터 이주해 온 사용자가 가입한 이주 신규 회원을 의미한다.
상기 단계(312)에서의 체크 결과, 수신된 구분자 코드가 기 등록된 구분자 코드, 즉 이미 POD 프로그램을 제공받은 기존 등록 사용자의 구분자 코드인 것으로 판단되면, 해당 MSO에서는 사용자 인증을 승인하며, 그 결과 해당 셋탑 박스 시스템의 사용자는 자신에게 부여된 방송 시청 권한에 따른 케이블 방송 프로그램 서비스를 제공받게 될 것이다(단계 322).
상기 단계(312)에서의 체크 결과, 수신된 구분자 코드가 기 등록된 구분자 코드, 즉 이미 POD 프로그램을 제공받은 기존 등록 사용자의 구분자 코드가 아닌 것으로 판단되면, 해당 MSO에서는, 수신된 구분자 코드가 신규 회원 또는 이주 신규 회원인 것으로 판단하여(단계 314),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어 있는 POD 프로그램 정보를 인출하고, 이 인출된 POD 프로그램 정보를 인-밴드 대역에 실어 케이블을 통해 해당 셋탑 박스 시스템으로 전송한다(단계 316).
그 결과, 도 2의 튜너 블록(202)을 통해 인-밴드 대역으로부터 추출되는 POD 프로그램 정보는 OOB 처리 블록(210)을 통해 분석 처리되어 제어 블록(212)으로 전달되며(단계 318), 제어 블록(212)에서는 수신된 POD 프로그램 정보를 플래시 메모리(214)의 소정 영역에 저장 또는 갱신 저장한다(단계 320).
따라서, 해당 셋탑 박스 시스템의 사용자는 플래시 메모리(214)에 저장(또는 갱신 저장)된 POD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자신에게 부여된 방송 시청 권한에 따른 케이블 방송 프로그램 서비스를 제공받게 될 것이다(단계 322).
그러므로, 본 발명에 따르면, MSO 관할 지역이 다른 곳으로 이주를 하더라도, 셋탑 박스 시스템에 기 저장된 시스템 고유의 구분자 코드를 이용하는 사용자 인증을 통해 해당 지역의 MSO(즉, 이주 지역을 관할하는 MSO)로부터 디스크램블에 필요한 POD 프로그램을 온라인으로 다운로드받아 자신의 셋탑 박스 시스템에 탑재하는 방식을 통해 대응할 수 있기 때문에, 셋탑 박스 시스템 사용자는 이주 지역의 MSO에 대응하기 위한 POD 모듈을 별도로 구입하여 셋탑 박스에 장착하거나 혹은 복수의 POD 모듈을 갖는 셋탑 박스를 구입하여 사용할 필요가 없다.
이상의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제시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을 것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스크램블 방식에 대응 가능한 POD 모듈을 별도 구매하여 장착하거나 혹은 케이블 셋탑 박스에 서로 다른 스크램블 방식을 각각 지원하는 복수의 POD 모듈을 장착하는 방식으로 서로 다른 스크램블 방식의 케이블 방송 프로그램을 선택적으로 서비스 받는 전술한 종래 방식과는 달리, 셋탑 박스 시스템에 부여된 고유의 구분자 코드를 이용하여 온라인으로 사용자의 유효성 여부를 인증하고 인증이 승인되지 않을 때 해당 케이블 셋탑 박스 시스템에 관련 POD 프로그램을 다운로드 방식으로 제공하여 저장 또는 갱신 저장함으로써, 서로 다른 스크램블 방식의 케이블 방송 프로그램을 시청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POD 모듈 구매 등에 기인하는 불필요한 비용 지출의 억제는 물론 사용자들의 서비스 이용 편리성을 대폭 증진시킬 수 있다.

Claims (3)

  1. 케이블 채널을 통해 수신되는 케이블 방송 프로그램을 튜닝하여 시청 가능한 셋탑 박스 시스템에서의 사용자 인증 방법으로서,
    상기 셋탑 박스 시스템이 작동될 때, 메모리 영역에 기 저장된 시스템 고유의 구분자 코드를 인출하여 케이블을 통해 MSO(multi system operator)로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구분자 코드가 수신될 때, 회원으로 등록된 유효한 코드인지를 체크하는 과정과,
    상기 유효한 코드가 아닐 때, 무료 방송 시청 권한에 따른 시청 서비스를 상기 셋탑 박스 시스템에 제공하는 과정과,
    상기 유효한 코드일 때, 상기 셋탑 박스 시스템이 상기 MSO에 대응하는 POD(point of deployment) 프로그램을 이전에 제공받은 등록 사용자인지를 인증하는 과정과,
    상기 등록 사용자 인증이 승인될 때, 부여된 방송 시청 권한에 따른 시청 서비스를 상기 셋탑 박스 시스템에 제공하는 과정과,
    상기 등록 사용자 인증이 승인되지 않을 때, 상기 POD 프로그램을 인출하여 상기 케이블을 통해 상기 셋탑 박스 시스템으로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POD 프로그램이 수신될 때 상기 메모리 영역에 저장 또는 갱신 저장하는 과정과,
    상기 저장 또는 갱신 저장된 POD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부여된 방송 시청 권한에 따른 시청 서비스를 제공받는 과정
    을 포함하는 케이블 셋탑 박스에서의 사용자 인증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구분자 코드는, 상기 셋탑 박스 시스템의 플래시 메모리 영역에 저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셋탑 박스에서의 사용자 인증 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된 POD 프로그램은, 상기 플래시 메모리 영역에 저장 또는 갱신 저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셋탑 박스에서의 사용자 인증 방법.
KR1020050116144A 2005-12-01 2005-12-01 케이블 셋탑 박스에서의 사용자 인증 방법 KR1007290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16144A KR100729083B1 (ko) 2005-12-01 2005-12-01 케이블 셋탑 박스에서의 사용자 인증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16144A KR100729083B1 (ko) 2005-12-01 2005-12-01 케이블 셋탑 박스에서의 사용자 인증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57318A KR20070057318A (ko) 2007-06-07
KR100729083B1 true KR100729083B1 (ko) 2007-06-14

Family

ID=383546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16144A KR100729083B1 (ko) 2005-12-01 2005-12-01 케이블 셋탑 박스에서의 사용자 인증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2908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92277B1 (ko) * 2007-12-11 2010-11-05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다운로더블 제한 수신 서비스 제공을 위한 유형별 제한 수신 응용 프로그램 관리 및 전송 장치 및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79760B1 (ko) 2007-08-28 2014-03-31 삼성전자주식회사 저장된 사용자 정보 제공방법 및 이를 적용한 방송수신장치
KR100936885B1 (ko) * 2007-12-10 2010-01-14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다운로드 가능한 제한수신시스템에서의 상호 인증 방법 및그 장치
KR100927961B1 (ko) * 2007-12-18 2009-11-24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다운로더블 제한 수신 관리자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23000A (ko) * 2004-09-08 2006-03-13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지털방송 수신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23000A (ko) * 2004-09-08 2006-03-13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지털방송 수신장치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10-2006-23000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92277B1 (ko) * 2007-12-11 2010-11-05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다운로더블 제한 수신 서비스 제공을 위한 유형별 제한 수신 응용 프로그램 관리 및 전송 장치 및 방법
US8291053B2 (en) 2007-12-11 2012-10-16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Method and apparatus for management and transmission of classified conditional access application to provide downloadable conditional access system ser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57318A (ko) 2007-06-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021197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a signal decoder in a broadcasting system
CN100479521C (zh) 广播接收装置
US4739510A (en) Direct broadcast satellite signal transmission system
RU2302706C2 (ru) Способ и система для условного доступа
CN100521774C (zh) 条件访问机制的控制
CN101167356B (zh) 针对单频网络中各个发射机的条件接入系统及方法
KR20070037920A (ko) 디지털 방송 제한 수신 단말기 및 그 방법
JP2004248284A (ja) 複数のプログラムトランスポートストリームのデスクランブリングを制御する方法、受信器システム、および、携帯用安全装置
US20060095935A1 (en) Method for receiving digital broadcast signal
KR100729083B1 (ko) 케이블 셋탑 박스에서의 사용자 인증 방법
KR20100044969A (ko) 케이블카드를 사용하지 않는 제한 방송 수신시스템, 장치 및 방법
GB2387090A (en) A dvb receiver with at least two separate receivers, one of which decrypts encrypted keys which it sends to the others to use them to decrypt programmes
KR20090056651A (ko) 방송 시스템에서 다수의 제한수신 어플리케이션을 가지는단말 장치 및 방법
KR100737078B1 (ko) 방송 수신기에서의 유료 채널 방송용 수신 제한장치 및제어 방법
KR100810056B1 (ko) 어드레스지정 가능한 유료 tv에서 비승인 시청 시간을허가하는 방법 및 장치
KR20020031626A (ko) 지역코드를 이용한 위성방송의 시청제한 방법
KR101631501B1 (ko) 수신 제한 시스템
CN101449576A (zh) 用于显示图像的装置和方法
KR100745277B1 (ko) 조건부 접속이 가능한 디지털 av 시스템 및 조건부 접속처리 방법
KR101720176B1 (ko) 유료 채널 수신 권한 공유 장치 및 방법
KR100804941B1 (ko) 디지털 방송 장치의 방송 신호 재생 방법
KR20050019588A (ko) 셋탑박스의 소프트웨어 업그레이드 장치 및 방법
KR100403236B1 (ko) 디지털 위성방송 수신기의 수신제한장치
EP3644615A1 (en) An interface device and method for a main receiver
KR101303641B1 (ko) 디지털 방송 수신기에서의 해킹 차단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601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