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20436A - 조명장치 - Google Patents

조명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20436A
KR20090020436A KR1020070085203A KR20070085203A KR20090020436A KR 20090020436 A KR20090020436 A KR 20090020436A KR 1020070085203 A KR1020070085203 A KR 1020070085203A KR 20070085203 A KR20070085203 A KR 20070085203A KR 20090020436 A KR20090020436 A KR 2009002043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air
outside
outer cover
ligh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852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류준수
Original Assignee
류준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류준수 filed Critical 류준수
Priority to KR10200700852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20436A/ko
Publication of KR200900204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2043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5/00Protecting lighting devices from damage
    • F21V15/01Housings, e.g. material or assembling of housing par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00Globes; Bowls; Cover glasses
    • F21V3/04Globes; Bowls; Cover glasses characterised by materials, surface treatments or coat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1/00Gas-tight or water-tight arrangements
    • F21V31/03Gas-tight or water-tight arrangements with provision for vent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W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USES OR APPLICATION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W2121/00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for decorative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codes F21W2102/00 – F21W2107/00
    • F21W2121/02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for decorative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codes F21W2102/00 – F21W2107/00 for fountai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rangement Of Elements, Cooling, Sealing, Or The Like Of Light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투광창의 내부에 결로현상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공기유동수단이 구비된 조명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조명장치는 조명램프가 설치되며 수중 또는 지중에 설치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외부 온도와 내부 온도 사이의 온도차에 의해 상기 하우징 내부의 공기 중의 수분이 응결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하우징의 내,외부의 온도차를 줄이기 위해 외부공기가 상기 하우징의 내부로 유입되고, 상기 하우징의 내부공기가 외부로 배출되게 하는 공기유동수단을 구비한다.
본 발명에 따른 조명장치는 공기유동수단에 의해 투광창에 결로현상이 발생하는 것이 방지되므로 결로현상에 의한 조명장치의 휘도 저하를 방지하고, 유지 보수에 들어가는 비용과 인력을 최소화할 수 있다.
결로방지, 조명, 램프

Description

조명장치 {Lamp unit}
본 발명은 조명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투광창의 내부에 결로현상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공기유동수단이 구비된 조명장치에 관한 것이다.
조명은 사람이 생활하거나 활동을 할 수 있는 광원을 제공해 줌으로써 광량이 충분하지 않은 날이나, 우중 또는 야간에 시인성을 확보해 줄 수 있도록 하는 기본적인 기능을 가지고있다.
최근들어 조명은 다양한 분야에서 여러 용도로 사용되고 있는데, 특히 분수나 연못과 같은 곳의 수중에 설치되어 장식 효과를 높이는데 사용되거나, 지중에 설치되어 상방으로 빛을 조사함으로써, 건축물이나 조형물의 시각적 효과를 극대화 시키는데 사용되기도 한다.
그리고 이러한 장식용이 아니더라도, 차량이 통행하는 터널의 천장이나 지면 가장자리에 삽입되어 차량이 터널 내부에서 진행방향을 용이하게 식별하도록 설치되기도 한다.
그런데 이렇게 지중 또는 수중에 조명장치가 삽입 설치되는 경우에는 습기가 조명장치 내부로 스며들거나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케이블의 연결부분을 통해 수분이 포함된 공기가 유입되는 경우가 발생하는데, 이렇게 조명장치 내부로 유입된 습기는 램프가 소등되면, 조명장치의 내부 온도는 조명장치가 설치되는 지중의 지열 또는 수중의 수온에 의해 일정 온도 이상을 유지하는 반면, 조명램프의 빛이 조사되는 투광창의 외주면은 외부 공기와의 접촉에 의해 온도가 저하되어 있기 때문에 조명램프의 내부에 위치하는 투광창의 내주면에서 공기 중의 수분이 응결하여 결로현상이 발생하게 된다. 이렇게 투광창의 내주면에 물방울이 맺히면 램프의 휘도가 저하되므로, 조명장치가 소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어려워진다.
수중이나 지중에 설치되는 조명장치는 설치와 해체가 용이하지 않기 때문에 이러한 물방울에 의해 투광창을 교체하거나 수분제거 작업을 하는데 많은 비용과 인력이 소요되므로, 지중과 수중에 설치되는 조명장치에 결로현상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본 발명은 지중 또는 수중에 설치되는 조명장치의 투광창에 결로현상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조명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조명장치는 조명램프가 설치되며 수중 또는 지중에 설치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외부 온도와 내부 온도 사이의 온도차에 의해 상기 하우징 내부의 공기 중의 수분이 응결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하우징의 내,외부의 온도차를 줄이기 위해 외부공기가 상기 하우징의 내부로 유입되고, 상기 하우징의 내부공기가 외부로 배출되게 하는 공기유동수단을 구비한다.
상기 공기유동수단은 상기 하우징을 감싸며, 유입구와 배출구가 형성된 외부 커버와, 외부 공기가 상기 외부커버의 내부로 유입될 수 있도록 상기 유입구와 연통되도록 형성된 유입관과, 상기 하우징의 내부공기가 상기 외부커버를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상기 배출구와 연통되는 배출관을 가지며, 상기 유입관을 통해 유입되는 외부공기에 포함된 이물질과 습기를 제거하기 위한 제진필터 및 제습필터를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조명장치는 공기유동수단에 의해 투광창에 결로현상이 발생하는 것이 방지되므로 결로현상에 의한 조명장치의 휘도 저하를 방지하고, 유지 보수에 들어가는 비용과 인력을 최소화할 수 있다.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조명장치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조명장치(10)는 하우징(11)과, 하우징(11)의 내부에 설치되는 조명램프(16)와, 공기유동수단(14)을 구비한다.
하우징(11)은 조명램프(16)가 설치될 수 있도록 소정의 내부공간을 가지며, 상부는 개구되어 있다. 개구된 상부에는 조명장치(10)가 수중 또는 지중에 설치될 때, 물 또는 토사가 하우징(11)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투광창(14)이 결합되는데, 상기 투광창(14)은 조명램프(16)에서 조사되는 빛이 외부로 발산될 수 있도록 빛이 통과할 수 있는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는 하우징(11)의 상부에 결합되는 보호커버(15)가 더 구비되어 있다. 보호커버(15)는 하우징(11)이 지중에 삽입되어 설치되는 경우, 투광창(14)에 사람이나 차량의 하중이 모두 인가되어 투광창(14)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투광창(14)은 보호커버(16)에 비해 하방으로 소정깊이 인입된 상태이기 때문에 조명장치(10)가 설치된 지점에 사람이나 차량 등이 지나가도 하중을 투광창이 아닌 보호커버(15)가 받게 된다. 그러나 설치되는 장소의 환경이나 필요에 따라서 보호커버(15)가 필요치 않은 경우에는 보호커버(15)를 생략할 수도 있다.
조명램프(16)는 하우징(11)에 설치되어 빛을 조사하는 것으로, 설치되는 장소나 설치목적에 따라 다양한 종류의 램프가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보행자가 안전하게 보행할 수 있도록 보행로를 표시하고, 보행로 주변을 잘 식별하도록 하는 것이 목적이라면, 광량이 많은 형광등, 할로겐등과 같은 램프를 적용할 수 있다. 장식효과를 내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조명장치(10)인 경우에는 다양한 색상의 빛을 발광하는 발광 다이오드가 적용될 수도 있다. 조명램프(16)는 외부로부터 연장되는 전원케이블(17)에 의해 전원을 공급받아 발광한다.
하우징(11)의 내부에는 전원케이블(17)을 연장하기 위한 관통홀을 비롯해 하우징(11)에 형성된 여러 틈새를 통해 수증기를 포함하는 외부공기나 지중의 수분이 유입되기도 한다. 이러한 수증기를 포함한 외부공기나 누수된 물은 조명램프(16)가 소등되었을 때, 투광창(14)의 외주면과 하우징(11) 내부의 온도차에 의해서 투광창(14)의 내주면에서 수분이 응결됨으로써 투광창(14)을 통한 빛의 발산을 방해하는 요소가 되기도 한다. 투광창(14)에 물방울이 생기면 조명장치(10)가 소기의 목적을 달성하도록 작동할 수 없기 때문에 물방울을 제거하거나, 물방울이 생기지 않도록 해야한다.
공기유동수단(14)은 조명램프(16)가 소등되었을 때, 투광창(14)의 내,외주면의 온도차가 발생하지 않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서, 하우징(11)의 외주면을 감싸는 외부커버(12)와, 외부커버(12)의 내부로 외부 공기가 유입되어 공기의 순환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외부커버(12)의 내부와 외부 공기를 연통시키는 유입관(18) 및 배출관(19)을 구비한다.
외부커버(12)의 측면 일측에는 내부공간과 외부를 연통하는 유입구(13a)와 배기구(13b)가 형성되어 있고, 이 유입구(13a)와 배기구(13b)에 각각 유입관(18)과 배출관(19)이 설치된다.
상기 유입관(18)과 배출관(19)의 단부는 각각 외부공기와 연통되도록 연장되기 때문에 외부공기는 유입관(18)을 통해 외부커버(12)의 내부로 유입된 후, 다시 배기관(19)을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공기가 이렇게 유입관(18)과 배기관(19)을 통해 순환하기 때문에 외부커버(12)의 내부로 유입된 외부공기에 의해 하우징의 내부 온도가 외부공기의 온도와 동일하게 유지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하우징(11)의 내부 공간에서 결로현상이 발생하는 것이 방지된다.
유입관(18)은 또한 조명램프(16)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케이블(17)이 연장되는 연장공간을 제공한다.
도시되진 않았으나, 외부공기가 하우징(11)의 내부로 유입되는 유입관(18)의 입구측에는 외부공기에 포함된 이물질과 습기가 하우징(11)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제진 필터 및 제습 필터가 설치될 수도 있다.
도 2에 도시된 조명장치(20)의 제2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실시예의 조명장치(20)는 내부공간을 갖는 하우징(21)과, 하우징(21)의 상면에 결합되는 투광창(23)과, 하우징(21)의 내부공간에 설치되는 반사판(22)과, 반사판(22)의 상부에 결합되는 조명램프(16) 및 하우징(21)을 감싸며 유입구(26)와 배출구(27)가 형성된 외부커버(25)와, 외부커버(25)와 결합되는 유입관(28) 및 배출관(29)을 포함하는 공기유동수단(24)을 구비한다.
하우징(21)은 소정의 내부공간을 가지며, 하부 일측에 공기가 유,출입될 수 있는 공기통과공(21a)이 형성되어 있고, 하우징(21)의 내부에 설치된 반사판(22)에 의해 조명램프(16)에서 조사되는 빛의 발산이 보다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투광창(23)은 상기 제1 실시예의 투광창(23)과 같이 투광성이 있으며, 투광창(23)을 통해 외부 이물질과 수분이 하우징(21)의 내부로 유입되지 않도록 하우징(21)과 견고하게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공기유동수단(24)의 외부커버(25)는 하우징(21)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하우징(21)의 외부에 결합되어 하우징(21)에 형성된 공기통과공(21a)을 통해 외부 공기 및 이물질이 하우징(21)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한다. 하우징(21)과 외부커버(25) 사이의 이격공간을 통해 이물질이 유입되지 않도록 별도의 실링처리를 할 수도 있다. 외부커버(25)는 브라켓(25a)에 힌지 결합되어 있어서, 외부커버(25) 및 하우징(21)을 회동시켜 빛의 조사방향을 조절할 수 있다.
유입관(28)과 배출관(29)은 각각 외부커버(25)에 형성된 유입구(26)와 배출구(27)를 통해 외부커버(25)의 내부와 연통되게 결합되며, 각각의 단부는 외부로 연장되어 있다. 따라서 유입구(26)를 통해 외부커버(25)의 내부로 유입된 외부공기는 배출관(29)을 통해 다시 외부로 배출되면서 공기의 순환이 이루어지며, 외부공기가 외부커버(25)의 내부로 유입되기 때문에 하우징 내부의 온도와 외부 공기의 온도사이의 온도차가 외부커버(25) 내부를 순환하는 외부 공기에 의해 줄어들게 된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유입관(28)측에는 제1 실시예의 조명장치(20)와 마찬가지로 외부공기의 이물질과 습기를 제거할 수 있는 제진필터와 제습필터가 설치될 수 있으며, 공기의 순환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유입관(28) 측에 송풍기나 배출관(29)에 흡입팬이 더 구비될 수도 있다.
그리고 하우징(21)과 외부커버(25)의 내부를 연통하는 공기통과홀이 형성되어 외부공기가 하우징(21)의 내부로 유입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하우징(21) 내부의 조명램프의 점등시 조명램프의 냉각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도 있다.
도 3 내지 도 6에는 본 발명에 따른 조명장치들이 실제로 장착된 모습을 도시한 실시예들이 나타나있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조명장치(30)는 수중에 설치되는 것으로, 연못이나 호수에 설치되어 장식효과를 높이기 위한 것이다.
조명장치(30)의 하우징(31)은 연못의 바닥에 고정된 수중브라켓(35)에 고정된 커버(32)의 내부에 설치되어 있고, 하우징(31)에는 조명램프(36)가 설치되어 있다. 수중브라켓(35)에 커버(32)가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므로, 조명램프(36)가 분수를 향해 빛을 조사할 수 있도록 커버(32)가 소정각도 회동된 상태로 고정되어 있다.
커버(32)의 내부공간과 연통된 유입관(33)과 배기관(34)의 단부는 연못의 외부로 연장되어 외부공기가 커버(32)의 내부로 유입되고, 내부공기는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도시된 바와 같이 유입관(33)과 배기관(34)의 입구와 출구가 하방을 향하도록 절곡되어 있어서 유입관(33)과 배기관(34)을 통해 이물질이나 우수가 하우징(31)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한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조명장치(40)는 복수개의 하우징(41)들이 연결관(42)에 의해 상호 연결되는 구조를 갖는다.
본 실시예의 조명장치(40)는 지중에 설치되는데, 복수개의 조명장치(40)가 지중에 삽입설치되며, 각각의 조명장치(40)는 상호 연결관(42)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상기 조명장치(40)들 중 선택된 하나는 외부공기가 조명장치(40)의 내부 즉, 외부커버(41)의 내부로 유입될 수 있도록 외부공기와 연통되는 유입관(45)이 설치되어 있으며, 또한 유입관(45)이 설치되지 않은 나머지 조명장치(40) 중 선택된 하나에는 공기가 배출될 수 있는 배출관(46)이 지면의 상부로 연장되어 있다.
따라서 유입관(45)을 통해 유입된 외부공기는 연결관(42)들을 통해 각각의 조명장치(40)들을 통과하여 배출관(46)을 거쳐 외부로 배출된다. 따라서 유입관(45)과 배출관(46)의 사이에 연결된 모든 조명장치(40)의 내부로 공기의 순환이 가능하므로 하우징의 내부공간에서 결로현상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각각의 조명장치(40)에 배출관(46)과 유입관(45)을 따로 설치하는 것보다 비용과 설치시간을 현저하게 줄일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조명장치(50)는 외부커버(51)의 내부에 조명램프(56)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배터리(55)가 마련되어 있다.
본 실시예의 조명장치(50)는 외부커버(51)에 설치된 배터리(55)에서 조명램프(56)에 전원을 공급하므로, 전선을 연결하는 별도의 작업이 필요하지 않으므로 램프의 설치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도 6에는 조명램프(64)가 외부로 노출된 조명장치(60)가 도시되어 있다.
본 실시예의 조명장치(60)는 앞선 실시예의 조명장치들과는 달리 조명램프(64)가 외부로 직접 노출되기 때문에 투시창을 거쳐 빛이 조사되면서 조도가 저 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조명램프(64)가 외부로 노출되어 있기는 하지만 전원케이블(65)이 하우징(61)의 내부에서 결합되기 위해 하우징과 연결되어 있으므로 조명램프(64)에서 발생된 열이 하우징(61)의 내부로 전달되어 하우징(61)의 내부와 외부공기 사이의 온도차가 발생하고, 이 온도차에 의해 하우징(61)의 내부에서 결로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결로현상이 발생하게 되면, 전원케이블(65)과 조명램프(64)의 전기적인 연결 또는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조명램프(64)의 발광 여부를 컨트롤하기 위해 설치되는 제어기가 설치되는 경우, 장치의 파손의 원인이 될 수 있다.
따라서 하우징(61)의 내부와 외부를 연통시키기 위하여 유입관(62)과 배출관(63)이 설치되는데, 이 유입관(62)을 통해 외부 공기가 하우징(61)의 내부로 유입되고, 내부공기는 외부로 배출되어 하우징(61)의 내,외부의 공기의 온도차를 제거한다. 특히 하우징(61)의 외부 공기가 내부공기에 비해 온도가 더 낮으므로 유입관(62)의 연결지점이 배출관(63)의 연결지점보다 하우징(61)의 하방에 위치하도록 결합함으로써 상대적으로 온도가 높은 내부공기가 상방에 위치한 배출관(63)에 의해 외부로 배출되고, 온도가 낮은 외부공기가 기압차에 의해 하우징(61)의 내부로 자연스럽게 유입되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조명장치는 결로현상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실제 산업에서 이용 가능성이 높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조명램프의 제1 실시예가 도시된 부분절단 사시도,
도 2는 조명램프의 제2 실시예가 도시된 부분절단 사시도,
도 3은 수중에 설치되는 본 발명에 따른 조명램프의 제3 실시예가 설치된 상태를 보인 측면도,
도 4는 복수개의 본 발명에 따른 조명램프의 제4 실시예가 지중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
도 5는 조명램프의 제5 실시예가 지중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
도 6은 조명램프의 제6 실시예가 지중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

Claims (3)

  1. 조명램프가 설치되며 수중 또는 지중에 설치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외부 온도와 내부 온도 사이의 온도차에 의해 상기 하우징 내부의 공기 중의 수분이 응결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하우징의 내,외부의 온도차를 줄이기 위해 외부공기가 상기 하우징의 내부로 유입되고, 상기 하우징의 내부공기가 외부로 배출되게 하는 공기유동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유동수단은 상기 하우징을 감싸며, 유입구와 배출구가 형성된 외부 커버와;
    외부 공기가 상기 외부커버의 내부로 유입될 수 있도록 상기 유입구와 연통되도록 형성된 유입관과;
    상기 하우징의 내부공기가 상기 외부커버를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상기 배출구와 연통되는 배출관;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유동수단은 상기 유입관을 통해 유입되는 외부공기에 포함된 이물질과 습기를 제거하기 위한 제진필터 및 제습필터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 는 조명장치.
KR1020070085203A 2007-08-23 2007-08-23 조명장치 KR2009002043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85203A KR20090020436A (ko) 2007-08-23 2007-08-23 조명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85203A KR20090020436A (ko) 2007-08-23 2007-08-23 조명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20436A true KR20090020436A (ko) 2009-02-26

Family

ID=406879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85203A KR20090020436A (ko) 2007-08-23 2007-08-23 조명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020436A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21073B1 (ko) * 2013-05-31 2014-07-18 강정수 결로방지 기능을 갖는 조명기구
CN104662366A (zh) * 2013-09-25 2015-05-27 株式会社Elm 水中照明装置以及水中电子装置
KR102035702B1 (ko) 2019-04-08 2019-10-23 박열구 결로방지를 위한 진공구조가 적용된 확장형 led 투광등
KR102117199B1 (ko) * 2019-10-28 2020-06-02 임형렬 내부 열 및 습기 배출장치를 갖는 바닥형 보행 신호등
KR102269187B1 (ko) 2021-01-16 2021-06-24 손종범 고와트 led투광등의 결로 방지용 방습패드구조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21073B1 (ko) * 2013-05-31 2014-07-18 강정수 결로방지 기능을 갖는 조명기구
WO2014193200A1 (ko) * 2013-05-31 2014-12-04 Kang Jungsoo 결로방지 기능을 갖는 조명기구
CN105229374A (zh) * 2013-05-31 2016-01-06 姜正洙 具有防结露功能的照明器具
CN104662366A (zh) * 2013-09-25 2015-05-27 株式会社Elm 水中照明装置以及水中电子装置
EP2908047A4 (en) * 2013-09-25 2015-12-02 Elm Inc SUBMERSIBLE LIGHTING DEVICE AND IMMERGED ELECTRONIC APPARATUS
US9488342B2 (en) 2013-09-25 2016-11-08 Elm, Inc. Underwater lighting device and underwater electronic device
KR102035702B1 (ko) 2019-04-08 2019-10-23 박열구 결로방지를 위한 진공구조가 적용된 확장형 led 투광등
KR102117199B1 (ko) * 2019-10-28 2020-06-02 임형렬 내부 열 및 습기 배출장치를 갖는 바닥형 보행 신호등
KR102269187B1 (ko) 2021-01-16 2021-06-24 손종범 고와트 led투광등의 결로 방지용 방습패드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608335B2 (en) Lighting apparatus with a boost
CN103124876A (zh) 光学半导体照明设备
KR20090020436A (ko) 조명장치
CA2628115A1 (en) Luminaire system with thermal chimney effect
CN101614338A (zh) 照明装置
US11215341B2 (en) Light fixture with drainage system
CN213177955U (zh) 一种led模组隧道照明调节装置
KR20120000170U (ko) 발광 모듈이 결합된 욕실용 환풍기
CN209839878U (zh) 智慧城市用的led照明设备
CN205716718U (zh) 一种高效散热的led路灯
KR101637235B1 (ko) 방수 및 투습성을 갖는 엘이디등기구
KR20160001465U (ko) Led조명모듈의 열 방출 및 결로 방지용 통기 구조를 갖는 투광기
CN203467444U (zh) 用于对水体提供照明的水族箱照明装置、系统和套件
JP2001349095A (ja) ポール
KR100967373B1 (ko) 엘이디를 이용한 등기구의 방열장치
KR200259288Y1 (ko) 자립형 수목조명장치
WO2010026279A1 (en) Illuminating device
JP2007255757A (ja) 空気調和機
CN107816688A (zh) 一种采光风口
KR100803087B1 (ko) 지중전력기기의 공기조절장치
KR20190139045A (ko) 조명장치
US8585269B1 (en) High efficiency lighting for deep well skylight with thermal barrier and integral curb
US20040124792A1 (en) Directional luminaire
KR200409292Y1 (ko) 가로등주
KR200364524Y1 (ko) 가로등의 점등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