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19859A - 이동통신시스템에 있어서의 유저장치, 기지국 및 방법 - Google Patents

이동통신시스템에 있어서의 유저장치, 기지국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19859A
KR20090019859A KR1020087031465A KR20087031465A KR20090019859A KR 20090019859 A KR20090019859 A KR 20090019859A KR 1020087031465 A KR1020087031465 A KR 1020087031465A KR 20087031465 A KR20087031465 A KR 20087031465A KR 20090019859 A KR20090019859 A KR 2009001985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rol channel
identifier
base station
user
random acce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70314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62835B1 (ko
Inventor
요시히사 기시야마
켄이치 히구치
마모루 사와하시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엔티티 도코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엔티티 도코모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엔티티 도코모
Publication of KR200900198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1985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628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6283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0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4/00Wireless channel access
    • H04W74/08Non-scheduled access, e.g. ALOHA
    • H04W74/0866Non-scheduled access, e.g. ALOHA using a dedicated channel for acces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4/00Wireless channel access
    • H04W74/08Non-scheduled access, e.g. ALOH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유저장치는, 랜덤 액세스 채널을 작성하는 수단과,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한 스케줄링 정보에 따라서 제어채널을 작성하는 수단과, 랜덤 액세스 채널 또는 제어채널을 포함하는 상향 송신신호를 작성하는 수단을 갖는다. 기지국에 의해 일의적으로 할당된 유저 식별자의 유무를 적어도 구별하는 목적식별자는, 상기 랜덤 액세스 채널 또는 상기 제어채널에 포함된다.
Figure P1020087031465
랜덤 액세스 채널, 스케줄링, 유저 식별자, 목적 식별자, 유저장치

Description

이동통신시스템에 있어서의 유저장치, 기지국 및 방법{USER DEVICE, BASE STATION, AND METHOD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본 발명은 이동통신 기술분야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이동통신시스템에 있어서의 유저장치, 기지국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종류의 기술분야에서는, 차세대 통신시스템에 관한 연구 개발이 급속으로 진행되고 있다. 현재 상정되고 있는 통신시스템에서는, 피크 전력 대 평균 전력비(PAPR: Peak-to-Average Power Ratio)를 억제하면서 커버리지(coverage)를 넓게 하는 관점에서, 상향링크(uplink)에 싱글캐리어(single-carrier) 방식이 사용된다.
무선 리소스(radio resource)는, 복수의 유저 간에 공유되는 채널(shared channel) 형식으로, 각 유저의 채널 상태 등에 따라서 적절히 할당된다. 데이터 채널(data channel) 등을 전송하기 위한 무선 리소스의 할당 내용을 결정하는 처리는 스케줄링(scheduling)이라 불린다. 주파수나 시간(슬롯) 등의 할당 내용이 기지국(base station)에서 스케줄링되므로, 다른 유저와의 사이에서 충돌은 생기지 않는다. 때문에, 스케줄링에 따라서 전송되는 채널은, 스케줄드 채널(scheduled channel) 또는 충돌 비허용 채널이라고도 언급된다. 이에 대해, 리소스 할당을 요 구하는 의사표시 등을 수행하기 위한 채널도 마련되며, 충돌 허용 채널(contention based channel) 또는 랜덤 액세스 채널(RACH: random access channel)이라 불린다. 랜덤 액세스 채널은, 유저장치로부터 임의의 타이밍에서 송신할 수 있으나, 다른 유저장치로부터의 채널과 충돌할 우려는 남는다. 랜덤 액세스 채널에 대해서는, 공지된바 있다.
발명의 개시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
종래의 랜덤 액세스 채널은, 이후 어떠한 데이터 전송이 예정되어 있음을 나타내는 단순한 의사표시에 지나지 않으므로, 랜덤 액세스 채널의 송신 후, 다수의 제어채널의 송수신을 거쳐 마침내 목적한 메시지 전송이 시작되게 된다. 다시 말하면, 통신의 오버헤드(overhead)가 길어질 우려가 있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과제는, 랜덤 액세스 채널에 이어지는 상하 링크의 제어채널의 전송 횟수를 줄이는 것이다.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본 발명에 따르면, 랜덤 액세스 채널을 작성하는 수단과,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한 스케줄링 정보에 따라서 제어채널을 작성하는 수단과, 랜덤 액세스 채널 또는 제어채널을 포함하는 상향 송신신호를 작성하는 수단을 갖는 유저장치가 사용된다. 기지국에 의해 일의적으로(unique) 할당된 유저 식별자의 유무를 적어도 구별하는 목적식별자는, 상기 랜덤 액세스 채널 또는 상기 제어채널에 포함된다.
발명의 효과
본 발명에 따르면, 랜덤 액세스 채널에 이어지는 상하링크(uplink and downlink)의 제어채널의 전송 횟수를 줄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유저장치 및 기지국의 개략을 나타내는 도이다.
도 2는 랜덤 액세스 채널 및 후속의 제어채널의 관계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동작 예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동작 예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동작 예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6은 목적식별자 및 CQI에 따라서 시그네이처(signature)를 구분하여 사용하기 위한 테이블 예를 나타내는 도이다.
부호의 설명
11 RACH 프리앰블 신호 제어부
12 RACH 프리앰블 송신부
13 하향 제어 비트 수신부
14 상향 제어 비트 제어부
15 상향 제어 비트 송신부
21 RACH 프리앰블 수신부
22 하향 제어 비트 제어부
23 하향 제어 비트 송신부
24 상향 제어 비트 수신부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량의 형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후속의 제어채널의 내용을 구별하는 목적식별자가 마련되므로, 후속의 제어채널의 목적에 상응하는 리소스를 조기에 할당할 수 있다. 때문에, 랜덤 액세스 채널에 이어지는 상하 링크의 제어채널의 전송 횟수를 줄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의 몇 개가 이하에 설명되나, 각 실시 예의 구분은 본 발명에 본질적이지 않으며, 필요에 따라서 2 이상의 실시 예가 조합되어도 좋다.
실시 예 1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동통신시스템에서 사용되는 유저장치 및 기지국을 나타낸다. 유저장치 측에는, 랜덤 액세스 채널(RACH) 프리앰블 신호 제어부(11), RACH 프리앰블 송신부(12), 하향 제어 비트 수신부(13), 상향 제어 비트 제어부(14) 및 상향 제어 비트 송신부(15)가 도시되어 있다. 기지국 측에는, RACH 프리앰블 수신부(21), 하향 제어 비트 제어부(22), 하향 제어 비트 송신부(23) 및 상향 제어 비트 수신부(24)가 도시되어 있다.
RACH 프리앰블 신호 제어부(11)는, 랜덤 액세스 채널의 내용 결정이나 송신 결정 등을 수행한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랜덤 액세스 채널은 시그네이처(signature)와 같은 랜덤 ID(random ID), 목적식별자(purpose ID), 다운 링크의 CQI 등을 포함해도 좋다. 이들의 사항이 RACH 프리앰블 신호 제어부(11)에서 결정되어도 좋다.
RACH 프리앰블 송신부(12)는 결정사항에 따라서 랜덤 액세스 채널을 송신한다.
하향 제어 비트 수신부(13)는 제어채널을 수신하고, 제어정보를 취득한다. 제어정보에는 리소스 할당에 관한 시그널링 정보와 같은 데이터 채널에 부수하는 정보뿐만 아니라, 데이터 채널의 유무에 관계없이 전송되는 정보(예를 들면, ACK/NACK와 같은 송달 확인 정보나, CQI 등)가 포함되어도 좋다.
상향 제어 비트 제어부(14)는, 상향링크에서 전송할 제어정보를 결정한다.
상향 제어 비트 송신부(15)는, 상향 제어 비트 제어부(14)에서 결정된 제어정보를 상향 제어 채널로 송신한다.
RACH 프리앰블 수신부(21)는, 유저장치로부터의 랜덤 액세스 채널을 수신한다.
하향 제어 비트 제어부(22)는 랜덤 액세스 채널의 목적에 따라서 하향 제어 채널의 내용을 결정한다.
하향 제어 비트 송신부(23)는, 하향 제어 비트 제어부(22)에서 결정된 내용을 하향 제어 채널로 송신한다.
상향 제어 비트 수신부(24)는, 상향 제어 채널을 수신하고, 제어정보를 추출한다.
도 2는, 랜덤 액세스 채널 및 후속의 제어채널의 관계를 나타낸다. 랜덤 액 세스 채널은, 유저장치가 어떠한 데이터 전송을 수행할 용의가 있음을 기지국에 통지하기 위해서 송신된다. '목적식별자'(purpose ID)는 본 실시 예에서 도입되는 정보항목이며, 랜덤 액세스 채널의 종류를 구별하기 위한 식별자이다. 왼쪽에서 제2열은 유저장치에 무선 네트워크 템포러리 식별자(C-RNTI)가 할당되어 있는지 여부를 나타낸다. C-RNTI는 기지국이 자 셀에 재권하는 유저장치 각각에 일의적으로 할당하는 식별자이다. 목적식별자가 #1인지 아닌지로, C-RNTI의 유무를 구별할 수 있다. 랜덤 액세스 채널의 송신을 일으키는 이벤트에는 다양한 것이 상정된다. '초기 액세스'란 유저장치의 전원 투입의 경우나, 비교적 장기간에 걸친 정지 후에 다시 기동하는 경우에 대응한다. 'UL 데이터 송신'은 업 링크(상향링크)에서의 데이터 송신을 유저장치가 희망하는 경우에 대응한다. 'DL 데이터 송신'은 다운 링크(하향 링크)에서의 데이터 송신을 유저장치가 희망하는 경우에 대응한다. '핸드오버 실패'는 핸드오버를 수행함으로써 본래 계속되어야 할 통신이 어떠한 사정으로 끊기는 경우에 대응한다. 이들 이벤트에 의해 랜덤 액세스 채널의 송신이 일어난다. 이 경우, 후속의 제어채널에서는, C-RNTI의 부여를 요구하는 것이나, 그 유저장치를 셀의 관리대상으로 해야하는 것 등이 L3 제어 메시지로 기지국에 통지된다. 따라서, 이 L3 메시지의 데이터 사이즈는 비교적 커질 것이 예상된다.
'목적식별자' #2∼#4는 이미 C-RNTI가 부여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낸다. C-RNTI가 미부여된 경우와 마찬가지로, 'UL 데이터 송신'은 업 링크에서의 데이터 송신을 유저장치가 희망하는 경우에 대응하고, 'DL 데이터 송신'은 다운 링크에서의 데이터 송신을 유저장치가 희망하는 경우에 대응한다. 단, 현재의 경우는 이미 C- RNTI가 부여되어 있으므로, 'UL 데이터 송신'의 경우에는 후속의 제어채널에서 스케줄링 요구가 송신되어도 좋다. 'DL 데이터 송신'의 경우에는, 다운 링크의 채널 상태는 정기적으로 기지국에 보고되고(CQI 리포트), 그 보고값에 기초하여 기지국은 다운 링크의 무선 리소스를 할당한다. 따라서 우선 CQI를 상향링크에서 정기적으로 보고할 수 있도록, 상향링크의 동기를 취할 필요가 있다. 때문에, 랜덤 액세스 채널의 송신 후에 상향링크의 동기요구가 전송된다. '핸드오버 완료'는 핸드오버가 완료된 경우에 상당한다. 이 경우, 유저장치는 이행처 기지국(타겟 기지국)에 핸드오버가 완료하였음을 통지한다. 목적식별자 #2∼#4에 관해 제어채널로 전송되는 정보량은, 비교적 작을 것이 예상된다. C-RNTI가 이미 부여되어 있으며, 게다가 목적식별자로 내용이 이미 분류되어 있기 때문이다. 목적식별자의 결정법은 도시한 것에 한정되지 않으며, 다양한 결정법이 사용되어도 좋으나, 목적식별자는 시스템에서 사전에 정해져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동작 예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단계 S11(상향 제1 제어신호)에서는, 유저장치(UE)로부터 기지국(Node B)으로 랜덤 액세스 채널(RACH)이 전송된다. 랜덤 액세스 채널의 송신을 일으키는 이벤트는 도 2 제3열에 열거된 어떤 이벤트여도 좋다. 랜덤 액세스 채널에는 이하의 정보 항목이 포함된다:
·시그네이처,
·목적식별자, 및
·필요에 따라서 다운 링크의 CQI.
시그네이처는, 랜덤 ID라고도 불리며, 랜덤 액세스 채널용으로 그 셀에서 마련된 식별자이다. 시그네이처는 유저장치에 의해 선택되며, 기지국으로부터 일의적으로 할당되는 C-RNTI와는 다르다. 따라서 시그네이처는 경우에 따라서는 다른 유저장치와 경합할 우려가 있다. 목적식별자는 도 2의 가장 왼쪽열에 열거되어 있는 것이다. 다운 링크의 채널 상태를 나타내는 CQI가 이 랜덤 액세스 채널에 포함되어도 좋으나, 필수는 아니다. 랜덤 액세스 채널에 충분히 많은 비트 수가 할당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CQI는 포함되지 않아도 좋다.
단계 S21(하향 제1 제어신호)에서는, 기지국으로부터 유저장치로 제어채널이 전송된다. 이 제어채널에는 이하의 정보 항목이 포함된다:
·타이밍 정보(timing information),
·상향링크의 스케줄링 정보, 및
·C-RNTI(목적식별자 #1의 경우).
타이밍 정보는, 상향링크의 동기(synchronization)를 취하는데 사용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기지국 및 유저장치 간의 거리에 기인하는 전파지연(propagation delay)이, 이 타이밍 정보를 고려하여 보상된다. 스케줄링 정보는, 목적식별자의 종류 및(RACH에 포함되어 있는 경우) 다운 링크 CQI를 고려하여 결정되고, 유저장치에 할당되는 업 링크용의 리소스 내용을 특정한다. 리소스 내용은, 주파수 리소스 블록(frequency resource block), 시간 슬롯(time slot)(또는 서브프레임(sub-frame)), 변조방식(modulation type), 채널 부호화율(channel encoding rate) 등에 의해 특정된다. 스케줄링 정보를 유저장치에 통지하기 위한 하향 제어 채널용의 리 소스는, 보고된 다운 링크의 CQI에 기초하여 결정되어도 좋다(단계 S11의 RACH에 다운 링크 CQI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에, 그것이 가능하다). 목적식별자의 종류를 고려하므로, 후속의 제어채널에 필요한 데이터 사이즈의 대소가 이 시점에서 판명되고, 필요한 데이터 사이즈를 고려한 스케줄링을 수행할 수 있다. 또, 목적식별자가 #1이었다면, C-RNTI가 부여되어 있지 않은 것이 즉시 판명되므로, 단계 S21의 시점에서 빨리 C-RNTI를 할당하여 그것을 통지할 수 있다.
단계 S12(상향 제2 제어신호)에서는, 유저장치로부터 기지국으로 제어채널이 전송된다. 이 제어채널에는 이하의 정보 항목이 포함된다:
·L3 메시지(목적식별자 #1의 경우),
·스케줄링 요구(목적식별자 #2의 경우),
·업 링크 동기요구(목적식별자 #3의 경우), 및
·핸드오버 완료통지(목적식별자 #4의 경우).
이들의 구체적 내용은 이미 설명하였으므로, 중복적인 설명은 생략된다. 본 실시 예에 따르면, 유저장치는 이들의 정보 항목을 랜덤 액세스 채널의 다음에 조기에 송신할 수 있다.
단계 S31에서는 제어채널로 통지된 스케줄링 정보에 따라서 공유 데이터 채널에 의한 통신이 이루어진다.
실시 예 2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동작 예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단계 S11(상향 제1 제어신호)에서는, 유저장치(UE)로부터 기지국(Node B)으로 랜덤 액세스 채널(RACH)이 전송된다. 랜덤 액세스 채널의 송신을 일으키는 이벤트는 도 2 제3열에 열거된 어떤 이벤트여도 좋다. 랜덤 액세스 채널에는 이하의 정보 항목이 포함된다:
·시그네이처, 및
·필요에 따라서 다운 링크의 CQI.
시그네이처 및 다운 링크의 CQI는 제1 실시 예의 것과 동일하므로, 중복적인 설명은 생략된다.
단계 S21(하향 제1 제어신호)에서는, 기지국으로부터 유저장치로 제어채널이 전송된다. 이 제어채널에는 이하의 정보 항목이 포함된다:
·타이밍 정보, 및
·상향링크의 스케줄링 정보.
타이밍 정보 및 스케줄링 정보는 제1 실시 예의 것과 동일하므로, 중복적인 설명은 생략된다. 제1 실시 예와는 달리, 랜덤 액세스 채널에 목적식별자가 포함되어 있지 않으므로, C-RNTI를 이미 부여했는지 여부는 이 시점에서는 아직 확인되지 않는다. 따라서, 실제로는 C-RNTI가 미할당이라고 해도, 이 시점에서 그 할당을 실행하여 유저장치에 통지하는 동작은 수행되지 않는다. 또, 이 단계에서는 유저장치가 어떠한 제어채널의 전송을 예정하고 있는지는 불명확하므로, 후속의 상향 제어채널에 할당하는 리소스는 고정적인 사이즈로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단계 S12(상향 제2 제어신호)에서는, 유저장치로부터 기지국으로 제어채널이 전송된다. 이 제어채널에는 이하의 정보 항목이 포함된다:
·목적식별자
·상향링크의 스케줄링 요구, 및
·필요에 따라서 다운 링크의 CQI.
본 실시 예에서는, 이 제어채널에 목적식별자가 포함된다. 이 목적식별자를 판별함으로써, 기지국은 유저장치가 예정하고 있는 송신정보가 무엇에 관련하는지를 알 수 있다.
단계 S22(하향 제2 제어신호)에서는, 기지국으로부터 유저장치로 제어채널이 전송된다. 이 제어채널에는 이하의 정보 항목이 포함된다:
·상향링크의 스케줄링 정보, 및
·C-RNTI(목적식별자 #1의 경우).
스케줄링 정보는, 목적식별자의 종류 및(제2 제어신호에 포함되어 있는 경우) 다운 링크 CQI를 고려하여 결정되고, 유저장치에 할당되는 업 링크용의 리소스 내용을 특정한다. 스케줄링 정보를 유저장치에 통지하기 위한 하향 제어 채널용의 리소스는, 보고된 다운 링크 CQI에 기초하여 결정되어도 좋다. 목적식별자의 종류를 판별할 수 있으므로, 후속의 상향 제어채널에 필요한 데이터 사이즈의 대소가 판명되고, 필요한 데이터 사이즈를 고려한 스케줄링을 수행할 수 있다. 또, 목적식별자가 #1이었다면, C-RNTI가 부여되어 있지 않은 것이 판명되므로, 기지국은 그 유저장치에 C-RNTI를 할당하여 그것을 통지한다.
단계 S13(상향 제3 제어신호)에서는, 제1 실시 예의 단계 S12와 마찬가지로, 유저장치로부터 기지국으로 제어채널이 전송된다. 이 제어채널에는 이하의 정보 항 목이 포함된다:
·L3 메시지(목적식별자 #1의 경우),
·스케줄링 요구(목적식별자 #2의 경우),
·업 링크 동기요구(목적식별자 #3의 경우), 및
·핸드오버 완료통지(목적식별자 #4의 경우).
이들의 내용은 이미 설명하였으므로, 중복적인 설명은 생략된다. 이 제어채널로 전송되는 정보량은 목적 또는 내용에 따라서 크게 다르므로, 이 제어채널에 확보되는 리소스량(데이터 사이즈)은 동적으로 그때마다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점, 데이터 사이즈가 고정적인 것이 바람직한 단계 S12의 제어채널과 다르다.
단계 S31에서는 제어채널로 통지된 스케줄링 정보에 따라서 공유 데이터 채널에 의한 통신이 이루어진다.
본 실시 예에 따르면, 제1 실시 예와 비교하여 제어채널의 전송 횟수가 1 왕복분 많고, 그만큼 공유 데이터 채널에 의한 통신개시가 지연된다. 그러나 그 대신에, 제1 실시 예와는 달리, 목적식별자가 랜덤 액세스 채널에 포함되어 있지 않은 것에 유의를 요한다. 본 실시 예의 랜덤 액세스 채널은, 목적식별자를 포함하지 않아도 되는 만큼 제1 실시 예의 랜덤 액세스 채널보다도 전송 비트 수를 절약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는 것은, 예를 들면 랜덤 액세스 채널을 보다 멀리에 소요품질로 전송하는 관점에서 바람직하다.
실시 예 3
도 5는,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동작 예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대체적으로 본 실시 예에 따르면, 목적식별자 #1에 대해서는 제2 실시 예와 동일한 동작이 이루어지고, 다른 목적식별자에 대해서는 제1 실시 예와 동일한 동작이 이루어진다.
단계 S11(상향 제1 제어신호)에서는, 유저장치(UE)로부터 기지국(Node B)으로 랜덤 액세스 채널(RACH)이 전송된다. 랜덤 액세스 채널의 송신을 일으키는 이벤트는 도 2 제3열에 열거된 어떤 이벤트여도 좋다. 랜덤 액세스 채널에는 이하의 정보 항목이 포함된다:
·시그네이처, 및
·필요에 따라서 다운 링크의 CQI.
시그네이처 및 다운 링크의 CQI는 제1 실시 예의 것과 동일하므로, 중복적인 설명은 생략된다.
단계 S21(하향 제1 제어신호)에서는, 제2 실시 예의 단계 S21과 마찬가지로, 기지국으로부터 유저장치로 제어채널이 전송된다. 이 제어채널에는 이하의 정보 항목이 포함된다:
·타이밍 정보, 및
·상향링크의 스케줄링 정보.
단계 S12(상향 제2 제어신호)에서는, 유저장치로부터 기지국으로 제어채널이 전송된다. 이 제어채널에는 이하의 정보 항목이 포함된다:
·목적식별자
·상향링크의 스케줄링 요구,
·필요에 따라서 다운 링크의 CQI,
·스케줄링 요구(목적식별자 #2의 경우),
·업 링크 동기요구(목적식별자 #3의 경우), 및
·핸드오버 완료통지(목적식별자 #4의 경우).
본 실시 예에서는, 이 제어채널에 목적식별자가 포함된다. 이 목적식별자를 판별함으로써, 기지국은 유저장치가 예정하고 있는 송신정보가 무엇에 관련하는지를 알 수 있다. 제2 실시 예와는 달리, 본 실시 예에서는, 이 단계에서, 스케줄링 요구(목적식별자 #2의 경우), 업 링크 동기요구(목적식별자 #3의 경우) 또는 핸드오버 완료통지(목적식별자 #4의 경우)가 전송된다. 목적식별자 #1의 경우와는 달리, 이들의 정보 항목의 데이터 사이즈는 비교적 작으므로, 이 상향 제2 제어채널로 전송할 수 있다. 따라서 고정적으로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한 제2 제어채널용의 데이터 사이즈는, 적어도 상기한 정보 항목을 수용할 수 있을 정도로 확보해 둘 필요가 있으나, 그것은 과잉으로 큰 데이터 사이즈가 되지는 않는다. 본 실시 예에 따르면, 목적식별자 #2∼#4인 것에 대해서는, 제1 실시 예와 마찬가지로 빠른 시점에서, 송신예정인 제어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단계 S22(하향 제2 제어신호)에서는, 제2 실시 예의 단계 S22와 마찬가지로, 기지국으로부터 유저장치로 제어채널이 전송된다. 이 제어채널에는 이하의 정보 항목이 포함된다:
·상향링크의 스케줄링 정보, 및
·C-RNTI(목적식별자 #1의 경우).
단계 S13(상향 제3 제어신호)에서는, 유저장치로부터 기지국으로 제어채널이 전송된다. 이 제어채널에는 이하의 정보 항목이 포함된다:
·L3 메시지(목적식별자 #1의 경우),
목적식별자 #1 이외의 것은, 단계 S12에서 송신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는, 제2 실시 예와 마찬가지로, 목적식별자 #1에 관한 L3 메시지가 이 단계에서 송신된다.
단계 S31에서는 제어채널로 통지된 스케줄링 정보에 따라서 공유 데이터 채널에 의한 통신이 이루어진다.
본 실시 예에 따르면, 제2 실시 예와 마찬가지로, 랜덤 액세스 채널의 비트 수를 작게할 수 있는 것에 더해, 목적식별자 #2∼#4에 대해서는 제1 실시 예와 같은 정도로 조기에 제어정보를 전송할 수 있고, 또한 목적식별자 #1에 대해서도 제2 실시 예와 같은 정도로 신속히 제어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는 상승효과를 얻을 수 있다.
실시 예 4
도 6은, 목적식별자 및 CQI에 따라서 시그네이처를 구분하여 사용하기 위한 테이블 예를 나타낸다. 도표 중 1∼32의 숫자는 32개의 시그네이처를 나타낸다.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본 실시 예에서는, 시그네이처가, 목적식별자마다 및 다운 링크 CQI의 좋고 나쁨에 따라서 분류되어 있다. 예를 들면, 시그네이처가 '1' 또는 '2'는 목적식별자 #1에 대응하고, 또한 다운 링크 CQI가 매우 높은(좋은) 것에 대 응한다. 따라서, 예를 들면 시그네이처로서 '1'을 포함하는 랜덤 액세스 채널이 유저장치로부터 송신되었다고 하면, 기지국은, 그 유저장치가 목적식별자 #1에 관한 데이터 송신을 예정하고 있으며 또한 다운 링크 CQI가 매우 좋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 따르면, 시그네이처, 다운 링크 CQI 및 목적식별자의 미리 마련된 대응관계에 기초하여, 유저장치가 시그네이처를 구분하여 사용함으로써, 목적식별자 및 CQI를 직접적으로 나타내는 정보가 전송되지 않았다고해도, 그 대응관계에 기초하여 기지국은 목적식별자의 종류 및 CQI의 좋고 나쁨을 알아낼 수 있다. 그 결과, 랜덤 액세스 채널을 구성하기 위한 비트 수를 절약할 수 있다.
목적식별자 종류의 총수 및 CQI의 좋고 나쁨을 나타내는 단계 수는, 도시한 것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수치가 사용되어도 좋다. 또, 시그네이처, 다운 링크 CQI 및 목적식별자의 대응관계는, 불변으로 유지되어도 좋으며, 적절히 갱신(update)되어도 좋다. 후자의 경우는 알림채널 그 밖의 수단에 의해, 그 대응관계가 유저장치에 통지될 필요가 있다. 도시된 예에서는 목적식별자 #1의 비교적 낮은 CQI에 관련하는 시그네이처가, 다른 것보다 많이 마련되어 있으나, 다른 목적식별자에 많은 시그네이처가 마련되어도 좋으며, 다른 CQI에 많은 시그네이처가 마련되어도 좋다. 대응관계의 갱신은, 실제로 사용되고 있는 목적식별자의 빈도(빈도분포)나, CQI의 분포 등을 통계적으로 고찰하면서 수행되어도 좋다. 혹은 경험적으로 또는 시뮬레이션에 의해 도출된 어떠한 시그네이처 분포에 기초하여, 갱신이 수행되어도 좋다.
도시된 예에서는 시그네이처, 다운 링크 CQI 및 목적식별자의 대응관계가 마 련되어 있으나, 시그네이처와 목적식별자와의 대응관계만이 마련되어도 좋다. 이 경우, CQI를 전송하기 위한 리소스가 랜덤 액세스 채널 또는 제어채널에서 필요로되나, 목적식별자를 직접적으로 전송하는 것은 요하지 않으므로, 적어도 그만큼 랜덤 액세스 채널을 구성하기 위한 비트 수를 절약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은 특정의 실시 예를 참조하면서 설명되어 왔으나, 각 실시 예는 단순한 예시에 지나지 않으며, 당업자는 다양한 변형 예, 수정 예, 대체 예, 치환 예 등을 이해할 것이다. 발명의 이해를 촉진하기 위해 구체적인 수치 예를 이용하여 설명이 이루어졌으나, 특별히 단서가 없는 한, 그들의 수치는 단순한 일 예에 지나지 않으며 적절한 어떠한 값이 사용되어도 좋다. 각 실시 예의 구분은 본 발명에 본질적이지 않으며, 2 이상의 실시 예가 필요에 따라서 사용되어도 좋다. 설명의 편의상, 본 발명의 실시 예에 관한 장치는 기능적인 블록도를 이용하여 설명되었으나, 그와 같은 장치는 하드웨어로, 소프트웨어로 또는 그들의 조합으로 실현되어도 좋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정신으로부터 일탈하지 않고, 다양한 변형 예, 수정 예, 대체 예, 치환 예 등이 본 발명에 포함된다.
본 국제출원은 서력 2006년 6월 19일에 출원한 일본국 특허출원 제2006-169447호에 기초한 우선권을 주장하는 것이며, 그 전 내용을 본 국제출원에 원용한다.

Claims (13)

  1. 랜덤 액세스 채널을 작성하는 수단;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한 스케줄링 정보에 따라서 제어채널을 작성하는 수단; 및
    랜덤 액세스 채널 또는 제어채널을 포함하는 상향 송신신호를 작성하는 수단;을 갖는 유저장치에 있어서,
    기지국에 의해 일의적으로 할당된 유저 식별자의 유무를 적어도 구별하는 목적식별자가, 상기 랜덤 액세스 채널 또는 상기 제어채널에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저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목적식별자는, 일의적으로 할당된 유저 식별자의 유무를 구별하는 것에 더하여, 이후 데이터 전송이 예정되어 있다는 것 및 핸드오버의 완료통지를 송신할 예정인 것도 구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저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해당 유저장치에 의해 선택되는 시그네이처(signature)는, 상기 목적식별자가 구별하는 내용에 따라서 미리 분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저장치.
  4. 제 2항에 있어서,
    해당 유저장치에 의해 선택되는 시그네이처는, 다운 링크의 채널 상태의 좋고 나쁨에 의해서도 미리 분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저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목적식별자가, 랜덤 액세스 채널에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저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목적식별자가, 제어채널에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저장치.
  7. 셀 내에서 일의적으로 할당된 유저 식별자를 유저장치가 갖는지 여부를 적어도 구별하는 목적식별자를, 상기 유저장치로부터 수신한 랜덤 액세스 채널 또는 제어채널로부터 추출하는 수단;
    상기 목적식별자에 의해 구별되는 내용에 따라서, 상기 유저장치에 관한 리소스 할당을 계획하는 스케줄러; 및
    스케줄링 정보를 상기 유저장치에 통지하는 수단;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목적식별자는, 일의적으로 할당된 유저 식별자의 유무를 구별하는 것에 더하여, 이후 유저장치에 의한 데이터 전송이 예정되어 있다는 것 및 유저장치가 핸드오버의 완료통지를 송신할 예정인 것도 구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
  9. 제 7항에 있어서,
    유저장치에 의해 선택되는 시그네이처는, 상기 목적식별자가 구별하는 내용에 따라서 미리 분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
  10. 제 9항에 있어서,
    유저장치에 의해 선택되는 시그네이처는, 다운 링크의 채널 상태의 좋고 나쁨에 의해서도 미리 분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
  11. 기지국에 의해 일의적으로 할당된 유저 식별자의 유무를 적어도 구별하는 목적식별자를 포함하는 랜덤 액세스 채널이, 유저장치로부터 기지국으로 전송되는 단계;
    적어도 상기 목적식별자의 내용에 따라서, 상향 제어채널용의 무선 리소스가, 상기 유저장치에 할당되는 단계; 및
    할당된 무선 리소스를 이용하여 상기 유저장치로부터 기지국으로 제어채널이 전송되는 단계;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2. 시그네이처를 포함하는 랜덤 액세스 채널이, 유저장치로부터 기지국으로 전송되는 단계;
    상향 제어채널용의 무선 리소스가, 상기 유저장치에 할당되는 단계;
    기지국에 의해 일의적으로 할당된 유저 식별자의 유무를 적어도 구별하는 목적식별자를 포함하는 제어채널이, 유저장치로부터 기지국으로 전송되는 단계;
    적어도 상기 목적식별자의 내용에 따라서, 상향 제어채널용의 무선 리소스가, 상기 유저장치에 할당되는 단계; 및
    할당된 무선 리소스를 이용하여 상기 유저장치로부터 기지국으로 제어채널이 전송되는 단계;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3. 시그네이처를 포함하는 랜덤 액세스 채널이, 유저장치로부터 기지국으로 전송되는 단계;
    상향 제어채널용의 무선 리소스가, 상기 유저장치에 할당되는 단계;
    기지국에 의해 일의적으로 할당된 유저 식별자의 유무를 적어도 구별하는 목적식별자를 포함하는 제어채널이, 유저장치로부터 기지국으로 전송되는 단계로, 일의적으로 할당된 유저 식별자를 갖는다는 것, 이후 유저장치에 의한 데이터 전송이 예정되어 있다는 것 또는 유저장치가 핸드오버의 완료통지를 송신할 예정이라는 것을 나타내는 정보가 상기 제어채널에 포함되는 단계;
    적어도 상기 목적식별자의 내용에 따라서, 상향 제어채널용의 무선 리소스가, 상기 유저장치에 할당되는 단계; 및
    할당된 무선 리소스를 이용하여 상기 유저장치로부터 기지국으로 제어채널이 전송되는 단계;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KR1020087031465A 2006-06-19 2007-06-13 이동통신시스템에 있어서의 유저장치, 기지국 및 방법 KR10136283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6169447A JP4812535B2 (ja) 2006-06-19 2006-06-19 移動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ユーザ装置、基地局及び方法
JPJP-P-2006-169447 2006-06-19
PCT/JP2007/061940 WO2007148589A1 (ja) 2006-06-19 2007-06-13 移動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ユーザ装置、基地局及び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19859A true KR20090019859A (ko) 2009-02-25
KR101362835B1 KR101362835B1 (ko) 2014-02-14

Family

ID=388333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7031465A KR101362835B1 (ko) 2006-06-19 2007-06-13 이동통신시스템에 있어서의 유저장치, 기지국 및 방법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US (2) US7979071B2 (ko)
EP (2) EP2699047B1 (ko)
JP (1) JP4812535B2 (ko)
KR (1) KR101362835B1 (ko)
CN (1) CN101473691B (ko)
BR (1) BRPI0713713A2 (ko)
HU (1) HUE025871T2 (ko)
PT (1) PT2699047E (ko)
RU (1) RU2008152019A (ko)
TW (1) TW200812267A (ko)
WO (1) WO200714858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667660B1 (en) * 2006-06-20 2017-04-26 InterDigital Technology Corporation Recovering from an unsuccessful handover in a LTE system
CN101155415B (zh) * 2006-09-29 2011-02-23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基于随机接入信道的切换接入方法和装置
KR101319872B1 (ko) * 2006-10-04 2013-10-29 엘지전자 주식회사 제어 신호 송신 방법 및 이를 위한 통신 자원 할당 방법
KR101448622B1 (ko) * 2007-09-21 2014-10-08 엘지전자 주식회사 단말에 의한 채널정보 전송 방법 및 이동 통신 단말
KR101603332B1 (ko) * 2008-01-28 2016-03-14 아마존 테크놀로지스, 인크. 이동통신시스템에서의 스케줄링 요청(SchedulingRequest)을 효율적으로 전송하는 방법
US8369239B2 (en) * 2008-04-25 2013-02-05 Ntt Docomo, Inc. Base station apparatus and method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JP5285497B2 (ja) * 2009-03-12 2013-09-11 株式会社エヌ・ティ・ティ・ドコモ 移動通信方法及び無線基地局
WO2012011704A2 (ko) * 2010-07-19 2012-01-26 엘지전자 주식회사 다중 노드 시스템에서 피드백 신호를 전송하는 방법 및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U751011B2 (en) * 1998-11-09 2002-08-08 Samsung Electronics Co., Ltd. Reservation multiple access in a CDMA communications system
FI114077B (fi) * 1999-03-10 2004-07-30 Nokia Corp Tunnuksen varausmenetelmä
GB2389753B (en) * 1999-05-28 2004-02-25 Nec Corp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
JP3704003B2 (ja) * 1999-08-16 2005-10-05 株式会社東芝 無線基地局装置、無線端末装置及び情報通信方法
JP2001069151A (ja) * 1999-08-26 2001-03-16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基地局装置、識別子管理装置及び識別子割当て方法
US6775552B2 (en) * 1999-12-30 2004-08-10 Bellsouth Intellectual Property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fixing the location of a fixed wireless terminal in a wireless network
US7512086B2 (en) * 2000-06-12 2009-03-31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of assigning an uplink random access channel in a CDM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CA2364860A1 (en) * 2001-12-13 2003-06-13 Soma Networks, Inc. Communication channel structure and method
US6961595B2 (en) * 2002-08-08 2005-11-01 Flarion Technologies, Inc. Methods and apparatus for operating mobile nodes in multiple states
US7979078B2 (en) * 2003-06-16 2011-07-12 Qualcomm Incorporated Apparatus,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reverse link communication resources in a distributed communication system
WO2005096522A1 (ja) * 2004-03-30 2005-10-13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基地局装置、移動局装置およびデータチャネルのスケジューリング方法
WO2005109652A2 (en) 2004-04-27 2005-11-17 Wildseed Ltd. Reduced keypad
JP4619106B2 (ja) 2004-12-17 2011-01-26 住友化学株式会社 樹脂組成物およびその成形体
JP4538357B2 (ja) * 2005-03-29 2010-09-08 株式会社エヌ・ティ・ティ・ドコモ 伝送速度制御方法、移動局、無線基地局及び無線回線制御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699047A1 (en) 2014-02-19
BRPI0713713A2 (pt) 2012-10-30
JP4812535B2 (ja) 2011-11-09
EP2031889A4 (en) 2013-01-02
EP2031889A1 (en) 2009-03-04
EP2699047B1 (en) 2015-03-18
WO2007148589A1 (ja) 2007-12-27
US20110237285A1 (en) 2011-09-29
RU2008152019A (ru) 2010-07-27
TW200812267A (en) 2008-03-01
JP2007336495A (ja) 2007-12-27
HUE025871T2 (en) 2016-05-30
PT2699047E (pt) 2015-07-17
US20090325579A1 (en) 2009-12-31
EP2031889B1 (en) 2013-12-18
KR101362835B1 (ko) 2014-02-14
CN101473691A (zh) 2009-07-01
US8428652B2 (en) 2013-04-23
CN101473691B (zh) 2011-01-12
US7979071B2 (en) 2011-07-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62835B1 (ko) 이동통신시스템에 있어서의 유저장치, 기지국 및 방법
CN103069906B (zh) 在无线网络中使用基于竞争的资源区域发射数据的方法和装备
EP2827662B1 (en) Method and device for resource allocation
CN101448313B (zh) 一种通信系统的同步方法及装置
EP3244680B1 (en) Data transmission method and device
US20080232283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Handling Random Access Procedure in a Wireless Communications System
CN101754380B (zh) 载波聚合系统中的资源控制方法、系统、基站及终端
CN103069913A (zh) 用于在无线网络中确定何时使用基于竞争的接入来发射数据的方法和装备
KR20080086415A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랜덤 액세스 프로시져를 처리하는방법 및 장치
CN102244932B (zh) 一种资源分配的方法、系统和装置
CN102711267A (zh) 用于WTRU的方法、WTRU以及演进型节点B(eNB)
MX2010011764A (es) Metodo de procesamiento de conexion en sistema de comunicacion inalambrica y estacion de base inalambrica y terminal inalambrica.
CN101653036B (zh) 移动台、无线接入网络装置以及移动通信系统
US20210168824A1 (en) Method for allocating resources and receiving a resource allocation
CN101483881A (zh) 控制用户设备释放上行资源的方法和装置
EP2619927B1 (en) Location update method
CN102119511A (zh) 用于在网络中通信的方法及用于其的次站和系统
TWI472250B (zh) 傳輸資料的方法及主要站
EP1352540B1 (en) Method and radio communications system for reporting status information between a mobile station and a radio access network
CN101841913A (zh) 确定ue监听的下行成员载波的方法和基站
EP3188379B1 (en) Random access method, network device and user equipment
US20090170513A1 (en) Mobile station, radio access network apparatus and resource request method
US8274915B2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operating a wireless communications system
CN102149142B (zh) 载波聚合系统中的载波管理方法及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