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19318A - 조립식 가변 캐릭터 완구 - Google Patents

조립식 가변 캐릭터 완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19318A
KR20090019318A KR1020070083642A KR20070083642A KR20090019318A KR 20090019318 A KR20090019318 A KR 20090019318A KR 1020070083642 A KR1020070083642 A KR 1020070083642A KR 20070083642 A KR20070083642 A KR 20070083642A KR 20090019318 A KR20090019318 A KR 2009001931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riable
character
coupling
shape
prefabrica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836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경운
김종성
Original Assignee
송경운
김종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송경운, 김종성 filed Critical 송경운
Priority to KR10200700836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19318A/ko
Publication of KR200900193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1931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00Dolls
    • A63H3/16Dolls made of parts that can be put together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00Dolls
    • A63H3/04Dolls with deformable framework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00Dolls
    • A63H3/36Details; Accessories
    • A63H3/46Connections for limb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00Dolls
    • A63H3/36Details; Accessories
    • A63H3/48Mounting of parts within dolls, e.g. automatic eyes or parts for animation

Landscapes

  • Toy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종래의 조립식 완구 및 캐릭터 완구의 상술한 한계를 극복하고자 창출된 것으로서, 캐릭터 완구에 조립의 개념을 접목하여 무한히 자유로운 변형과 상황연출이 가능한 조립식 가변 캐릭터 완구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3차원 입체 형상의 캐릭터를 고정부 및 가변부와 같은 여러 개의 구성 각 편으로 나누고 그 결합방식을 규격화함으로써, 다양한 캐릭터를 조립하고 변형할 수 있는바, 조립식 완구와 캐릭터 완구의 장점만을 취하여 재미와 교육적 효과를 동시에 충족하는 완구의 제공이 가능하다.
조립, 캐릭터

Description

조립식 가변 캐릭터 완구{Building Block for assembling characters}
본 발명은 조립식 완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자세하게는 3차원 캐릭터의 부분형상으로 형상화된 구성 각 편 및 규격화된 결합부를 제공함으로써 캐릭터를 쉽게 변형하고 다양한 상황을 표현하며 놀이할 수 있는 조립식 가변 캐릭터 완구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조립식완구는 레고와 같이 사각형상 등의 단조로운 구성 각 편을 조립하여 특정 형상으로 완성하는 것으로서, 이는 도형 및 공간 인지에 도움을 주어 교육적 효과가 있다고 알려져 왔다.
그러나 제한적 형태의 부품으로 제작되는 종래의 조립식 완구는 사실적 표현이 불가한 형상적 한계로 인해, 놀이의 재미를 반감시키고 다양한 상황연출이 어려워, 감성발달 측면에서 어린이의 놀이감으로는 미흡한 면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캐릭터 완구는 일부 변신 로봇류의 완구를 제외하고는 대부분이 완성형이라, 조립완구가 주는 성취감이나 취사 선택의 재미 및 3차원 도형을 통한 교육적 효과를 제공하지 못하는바, 가지고 놀다 싫증나기 쉬워, 경제성과 교육적 효과를 고려할 때 어린이의 놀이감으로서 부적합한 면이 있었다.
종래 변신 로봇의 경우에도, 2~3가지의 정해진 방법에 의해 변형이 가능할 뿐이어서, 이 또한 아이들의 상상력을 자극하지 못하고 결국에는 다른 캐릭터 완구와 크게 다르지 않게 쉽게 폐기되고 마는 것이 현실이었다.
본 발명은 종래의 조립식 완구 및 캐릭터 완구의 상술한 한계를 극복하고자 창출된 것으로서, 캐릭터 완구에 조립의 개념을 접목하여 무한히 자유로운 변형과 상황연출이 가능한 조립식 가변 캐릭터 완구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형상적 유사성에 따라 분류된 유사 캐릭터 군(群)의 공통 형상으로 형성되고, 외부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결합부가 구비된 고정부와; 캐릭터 별(別) 고유 형상, 상기 캐릭터별 고유 형상에 소품이 결합한 형상 또는 캐릭터 별(別) 소품 형상 중 어느 하나의 전체 또는 일부의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고정부 상에 직접 또는 중첩적으로 탈착 가능하게 결합하는 가변부;를 포함하여, 상기 고정부와 가변부의 직접 결합 또는 중첩 결합을 통해 상기 유사 캐릭터 군 중에서 어느 하나의 캐릭터를 완성하고, 상기 고정부에 가변부 만을 교체하여 결합함으로써 캐릭터를 용이하게 변형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가변 캐릭터 완구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3차원 입체 형상의 캐릭터를 고정부 및 가변부와 같은 여러 개의 구성 각 편으로 나누고 그 결합방식을 규격화함으로써, 다양한 캐릭터를 조립하고 변형할 수 있는바, 조립식 완구와 캐릭터 완구의 장점만을 취하여 재미와 교육적 효과를 동시에 충족하는 완구의 제공이 가능하다.
<구성 각 편>
본 발명은 다양한 3차원 캐릭터를 형상적 특징에 따라 임의로 분류한 유사 캐릭터군(群)을 기초로 하는바, 가장 광범위하고 일반적으로 분류한다면, 사지(四肢)의 형상에 따라 조류, 네발로 걷는 짐승류, 사람류 등이 가능하다.
즉, 유사 캐릭터 군(群)에는 사람, 네발로 걷는 동물, 조류, 곤충, 식물, 의인화된 캐릭터 및 로봇류 등의 분류가 있을 수 있으며, 유사 캐릭터 군(群)으로부터 고정부와 가변부를 추출하게 되고, 유사 캐릭터 군은 후술되는 도면의 실시예와 같이, 개, 사자, 남자, 여아와 같이 더욱 세분화하여 캐릭터의 특성을 강조하는 방향으로도 분류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상기 유사 캐릭터군을 특정하는데에 있는 것이 아니라, 어떠한 방식으로든 형상적 유사성에 의해 분류된 유사 캐릭터군으로부터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가변 캐릭터완구를 창출하는 데에 있는바, 상기 캐릭터 분류는 제작자의 시각에 따라 다양하게 변형 가능함을 분명히 하고자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가변 캐릭터 완구의 일 실시예로서, 네발로 걷는 동물인 개 형상의 3차원 캐릭터가 여러 개의 구성 각 편으로 나누어져 구성됨을 나타내고, 도 2는 조립이 완성된 모습이다.
개의 부분 형상 및 개 전용 소품으로 형성된 여러 개의 구성 각 편 중 네발 로 걷는 동물의 공통 형상으로서의 몸체 골격은 고정부(1)이고, 개의 고유 형상이라 할 수 있는 머리, 꼬리, 발, 몸체, 개목걸이 등을 형상화한 구성 각 편 들은 가 변부(2) 인바, 상기 고정부(1)에 달리 구성된 가변부를 교체 결합함으로써 다른 종류의 개 또는 다양한 상황으로도 쉽게 변형해 낼 수 있다.
몸통과 같이 개의 종류에 관계없이 공통적으로 이용할 수 있는 형상을 고정부로 고정적으로 활용하고, 개의 종류별 특징적인 형상인 고유형상으로 형성된 것을 가변부로 하여, 상기 고정부에 가변부를 교체하여 결합함으로써 다양한 종류의 개 캐릭터를 손쉽게 조립하고 다른 종류의 개로 변형하거나 다양한 상황을 연출함으로써 놀이의 재미를 배가시키고 개 형상에 대한 3차원 구조의 이해를 도모하는 교육적 효과도 거둘 수 있다.
도 3은 사자 형상의 3차원 캐릭터로서, 상기 개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여러 개의 구성 각 편으로 나누어지고, 도 4와 같이 구성 각 편의 조립에 의해서 사자캐릭터로 완성된다.
사자의 경우도 암컷과 수컷이 다르고 상황별 다양한 소품이 동원될 수 있는 것인바, 상기 개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사자의 공통적인 형상인 몸통을 포함하는 부분을 고정부(11)로 하고, 이 고정부(11)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시킬 수 있는 머리, 갈기, 꼬리, 발 등 사자의 종류별 고유 형상으로 형성된 가변부(12)가 결합됨으로써 특정 사자 형상의 캐릭터가 완성되고, 상기 가변부(12)를 교체함으로써 사자 캐릭터를 손쉽게 변형해 낼 수 있다.
여기서 개와 사자는 네발로 걷는 동물이라는 형상적 유사성이 있는 유사 캐릭터 군(群)이라 할 것인바, 상기 고정부(1,11)를 동일하게 형성하여 이용할 수 있 으며, 이에 가변부(2,12)를 각 동물의 고유 형상에 맞게 선택하여 결합함으로써 유사 캐릭터 군 중 다른 동물 캐릭터로 용이하게 변형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서 상정하는 캐릭터는 매우 광범위한 것으로서, 현존 생물, 멸종 생물 또는 가상물에 대한 3차원 형상이며, 가변부는 무늬, 형체를 포함하는 캐릭터의 고유 형상은 물론이고, 캐릭터가 좋아하는 음식, 물건, 배경 등의 소품 또는 상기 고유 형상에 상기 소품이 결합된 형상으로 형상화되어 고정부에 직접 결합되거나, 결합된 가변부 상에 중첩적으로 결합됨으로써 특정 캐릭터의 형상을 완성 및 변형해 나가게 된다.
여기서, 고정부는 현존 생물, 멸종 생물 또는 가상물의 3차원 캐릭터의 몸통을 포함한 형상이 바람직하고 그 외에도 머리나 얼굴 부위와 같이 유사 캐릭터군에서 공통적으로 활용할 만한 부위라면 고정부로 이용할 수 있다.
고정부는 조립에 있어서 기준점이 되는 것으로서 조립의 시작을 용이하게 할 뿐만아니라 가변부의 교체 결합을 통해 놀이의 재미를 더해주는 부재이며, 공용되는 것이어서 구성 각 편을 규격화하는데에 유리하고 원가 절감의 효과를 제공한다.
도 5는 말 형상의 3차원 캐릭터로서, 상기 개 및 사자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여러 개의 구성 각 편으로 나누어지고, 도 6과 같이 구성 각 편의 조립에 의해서 사자캐릭터로 완성된다.
말의 경우도 암컷과 수컷이 다르고 상황별 다양한 소품이 동원될 수 있는 것인바, 말의 공통적인 형상인 몸통을 포함하는 부분을 고정부(21)로 하고, 이 고정 부(21)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시킬 수 있는 머리, 꼬리, 다리 등 말의 종류별 고유 형상으로 형성된 가변부(22)가 결합됨으로써 특정 말 형상의 캐릭터가 완성되고, 상기 가변부(22)를 교체함으로써 말 캐릭터를 손쉽게 변형해 낼 수 있다.
말 또한 네발로 걷는 동물이라는 형상적 유사성이 있는 유사 캐릭터 군(群)에 속한다 할 것인바, 상기 고정부를 개와 사자의 고정부와 동일하게 형성하여 이용할 수 있으며, 이에 가변부를 각 동물의 고유 형상에 맞게 선택하여 결합함으로써 유사 캐릭터 군 중 다른 동물 캐릭터로 용이하게 변형할 수도 있다.
도 7은 닭 형상의 3차원 캐릭터로서, 여러 개의 구성 각 편으로 나누어지고, 도 8과 같이 구성 각 편의 조립에 의해서 닭 캐릭터로 완성된다.
닭은 암컷과 수컷이 다르고 상황별 다양한 소품이 동원될 수 있는 것인바, 닭의 공통적인 형상인 몸통을 포함하는 부분을 고정부(31)로 하고, 이 고정부(31)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시킬 수 있는 머리, 꼬리, 다리 등 닭의 종류별 고유 형상으로 형성된 가변부(32)가 결합됨으로써 특정 닭 형상의 캐릭터가 완성되고, 상기 가변부(22)를 교체함으로써 닭 캐릭터를 손쉽게 변형해 낼 수 있다.
닭은 두발로 걷고 날개가 있는 조류에 속하는바, 이는 상기 설명된 네발로 갇는 짐승류와는 몸통의 형상이 다를 수밖에 없는 것이고, 조류에 속한다면 닭과 동일한 몸통을 적용할 수 있는바, 조류라는 유사 캐릭터 군(群)에 속한다 할 것이다.
따라서 상기 고정부를 다른 조류에도 동일하게 이용할 수 있으며, 이에 가변부를 각 조류의 고유 형상에 맞게 선택하여 결합함으로써 유사 캐릭터 군 중 다른 조류 캐릭터로 용이하게 변형할 수 있는 것이다.
도 9는 남자 캐릭터의 경우로서, 동물 캐릭터와는 달리 옷, 신발, 헤어스타일, 상황의 변화가 가능하도록 구성 각 편의 종류를 더욱 다양하게 구성할 수 있으며, 도 10은 이의 완성된 모습이다.
상기 구성 각 편은 신체 각 부위의 형상, 헤어스타일을 포함한 고유형상과 신변품, 소지품, 도구, 무기, 음식 또는 이 중 2가지 이상이 결합한 형상 등으로 형상화된 소품이 결합되어 일 캐릭터를 완성하고 구성 각 편을 교체 결합함으로써 캐릭터를 용이하게 변형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공통적인 형상이라고 할 수 있는 몸통 중심의 부위 또는 얼굴 부위를 고정부로(41)하고, 이를 토대로 특정 캐릭터로 완성하기 위하여 부착되는 특정 캐릭터 별 고유 형상과 각종 소품인 가변부(42)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가변부(42)는 옷, 신발, 모자 따위의 신변품, 각종 소지품, 헤어 스타일, 도구, 무기 또는 이 중 2가지 이상이 결합한 형상 등으로 형상화되어 상기 고정부(41)를 특정 캐릭터로 완성하고, 상기 가변부(42)를 교체함으로써 캐릭터를 쉽게 변형할 수 있다.
도 11은 여아 캐릭터로 구성한 경우로서, 여아 캐릭터에 필요한 신체적 특징이나 상황적 특징의 부분형상을 구성 각 편에 형상화하여 제공하고 이들을 결합함으로써 특정 여자 캐릭터를 완성할 수 있는 것이다. 도 12는 이의 완성된 모습이다.
이 경우 신체적 특징이나 상황적 특징은 구성 각 편을 교체함으로써 얼마든지 다양한 연출이 가능하고 캐릭터 자체도 용이하게 변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남자 캐릭터와 마찬가지로, 공통적인 형상이라고 할 수 있는 몸통 중심의 부위를 고정부로(51)하고, 이를 토대로 특정 캐릭터로 완성하기 위하여 부착되는 특정 캐릭터 별 고유 형상과 소품인 가변부(52)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가변부(52)는 옷, 신발, 모자 따위의 신변품, 각종 소지품, 헤어 스타일, 도구, 무기 또는 이 중 2가지 이상이 결합한 형상 등으로 형상화되어 상기 고정부(51)를 특정 캐릭터로 완성하고, 상기 가변부(52)를 교체함으로써 캐릭터를 쉽게 변형할 수 있다.
여기서 남자와 여아는 직립보행하는 사람이라는 형상적 유사성이 있는 유사 캐릭터 군(群)이라 할 것인바, 상기 고정부(41,51)를 동일하게 형성하여 이용할 수 있으며, 이에 가변부를 표현하고자 하는 사람의 고유 형상에 맞게 선택하여 결합함으로써 유사 캐릭터 군 중 다른 인물 캐릭터로 용이하게 변형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가변 캐릭터 완구는 소품을 포함한 다양한 가변부가 제공될 수 있는 것이어서, 단편적인 캐릭터 완구뿐만 아니라, 인형극과 같이 다수의 캐릭터 간의 상황연출도 가능하게 하는 장점이 있다.
즉, 동화 속의 한 장면이나 전체 줄거리를 상황 연출할 수 있도록 현상화된 가변부를 제공하면 된다는 것인데, 만일 백설공주를 연출하고자 한다면 도 13과 같이 여자 캐릭터를 백설공주로 변형할 수 있는 가변부를 제공하면 되는 것이다. 도 14는 도 13의 구성 각 편이 조립되어 완성된 모습이다.
도면을 보면 알 수 있듯이, 몸통가 두부(頭部)는 고정부(61)로서 다른 사람 캐릭터와 동일하게 제공되고, 나머지 의상, 헤어스타일 등의 소품은 가변부(62)로서 백설공주 캐릭터에 맞게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3차원의 실감나는 캐릭터 완구가 사용자가 상상하여 선택하는 대로 조립 및 변형되어 다양한 변신 및 상황 연출이 가능한 흥미진진한 완구가 제공된다.
이상 특정 캐릭터를 예로 들어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설명하였는바, 상기 한정된 실시예 이외에도 다양한 캐릭터 및 상황연출이 가능함은 자명하다.
<결합부>
상기 구성 각 편의 결합방법은 타 구성 각 편과 결합하기 위하여 적어도 하나의 결합부를 구비하며, 그 결합부는 결합방법에 맞게 형성되는 바, 홈(수용공간), 자성체 장착, 관통공 등 다양한 구조로 형성된다.
본 발명은 다양한 가변부를 이용한 교체 결합을 통해 캐릭터의 손쉬운 변형 및 상황연출을 도모하고자 하는 것인바, 결합방법은 간단하면서도 요구되는 결합공고성을 유지하고 탈착이 용이하여야 한다.
탈착이 용이한 결합방법이라면 무엇이든 본 발명에 적용될 수 있는바, 이하에서는 종래 결합 방법 중 탈착이 용한 자력결합과 끼움 결합을 위주로 설명할 것이나, 결합 방법이 이에 국한됨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하나의 캐릭터를 완성하는데에 한 가지 이상의 다양한 결합구조가 복 합적으로 적용될 수 있다.
도 1을 보면, 고정부(1)상에 결합하는 몸체(101)의 경우 대응 몸체와 끼움결합에 의해 고정부 상에 안착되도록 하고 있으며, 꼬리(102)의 경우 고정부(1) 후부에 돌기를 끼우는 끼움결합구조를 제공하고 있다.
중공부를 갖는 개목걸이(103)의 경우는 고정부상에 결합된 몸체(101)의 목부위에 중공부가 끼워지는 것이고, 머리(104) 역시 결합단부가 수용홈을 형성하여 몸체(1010의 목부위에 끼움결합하는 것이다.
발(105)의 경우는 자석결합을 보여주고 있는데, 고정부(1)의 다리 단부에는 발(105)과 자석결합할 수 있도록 자성체가 결합된다.
이밖에도 뼈다귀를 개에게 물릴 수도 있는데, 머리의 입 부분에 수용홈을 형성하면 이 수용홈을 이용하여 뼈다귀를 물릴 수 있다.
이와 같이, 가변부는 고정부 상에 직접 결합될 수도 있으나, 가변부 상에 중첩적으로 결합되어 더욱 다양한 상황연출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다.
도 7은 조류의 결합예시인바, 고정부(31)상에 몸체(311)가 끼움결합되고 달 벼슬도 머리 상에 끼움결합하도록 구성된다. 발의 경우 고정부(31)의 다리 단부에 돌기를 구비하여 발의 수용홈(304) 내부로 끼워 맞출 수 있도록 하였다.
도 9를 보면, 작업복(401)은 목에 끼워 위에서 아래로 탈착 가능하게 삽입하여 고정할 수 있는 형상으로 하여 머리를 부착하기 전에 먼저 작업복을 위에서 아래로 삽입한 후 머리를 부착한다.
옷은 작업복 이외에도 캐릭터에 맞게 다양한 연출이 가능하며, 그 부착 방식 또한 고정부 자체에 끼움 맞춤하거나, 옷에 중첩적으로 결합시켜 다양한 복식 또는 장식물을 표현할 수 있도록 얼마든지 변형 가능하다.
삽(402)은 손(403)에 끼움 결합할 수 있도록 손(403)의 모양을 수용홈과 유사하게 형성하고 삽 자루 부분이 손의 수용홈에 억지끼움되어 쉽게 이탈되지 않도록 구성하면 된다.
팔은 고정부(41) 팔 결합부(404)에 자성체를 결합하여 팔과 자력결합하며, 다리(405)의 경우 자력결합이 가능하도록 단부에 자성체를 결합한다.
헤어스타일(406)의 경우 머리 상부(407)에 자성체를 장착하여 자력결합에 의해 헤어스타일을 부착할 수 있도록 하고 모자(408)의 경우는 단순히 끼움 결합이나 헤어스타일과 같은 자력 결합 모두가 용이하다.
신발(409)의 경우도 캐릭터에 따라 다양하게 변화될 수 있는 부분이기 때문에 실시예의 캐릭터에 어울리는 신발을 다리(405) 단부에 끼움 결합할 수 있도록 형성한다.
이와 같이, 결합부위 별 적합한 결합구조를 채택하여 결합하면 족하며, 상기 실시예는 하나의 예시일 뿐 반드시 그와 같이 결합부를 형성해야 함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단지 구성 각 편 상호 간 및, 고정부와 가변부의 결합은 자력결합이나 끼움 결합 등 종래의 결합방식을 그대로 채택하되, 탈착이 용이하여 가변부의 교체가 쉽고 하나의 고정부를 이용한 다양한 캐릭터의 완성 및 변형이 가능하면 족한 것이다.
상기에서 설명한 끼움결합과 자력결합에 대하여 보다 상세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자력결합은 탈부착이 매우 용이한 반면, 결합의 공고성은 약한 편이나, 자력의 조절을 통해 본 발명에서 요구되는 결합력을 제공할 수는 있다.
따라서 도 15와 같이 양 결합부(A, A')에는 결합체(B)로서의 자성체가 결합되어 상호 자력결합할 수 있도록 구성하면 족한바, 양측(A,A') 중 하나는 자석이 매설되도록 하되 결합면은 노출되도록 하여 결합력을 증강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반대 측에는 자석이나 금속편이 매설되면 상호 자력결합이 가능하며, 양측 모두 자석을 장착하는 경우에는 자석 간에는 인력이 작용하도록 극성을 결합방향에 따라 일정하게 조절하거나, 도 16과 같이 결합체(B)로서의 자석이 일정공간 내에서 회전할 수 있도록 결합부(A) 및 결합단부(A')장착되어 극성에 관계없이 결합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
고정부 및 가변부 모두에 자석을 장착하여 결합시키는 경우, 자석은 고정부에 일 극성을 띄도록 장착하고, 가변부에는 고정부의 극성과 다른 극성을 제공하도록 장착하여 고정부에는 가변부가 항시 인력으로 작용할 수 있도록 규격화하여야 한다.
자석과 금속편의 결합인 경우, 고정부와 가변부 중 하나에는 자석을 나머지 하나에는 금속편을 결합하여 결합부를 규격화한다.
고정부와 가변부와 같이 주종관계로 나누지 않은 상태라면, 구성 각 편 간 결합방향에 따라 일정한 장착물을 장착하도록 하여 결합수단을 규격화할 수도 있 다.
즉, 자석과 금속편을 이용한 자력결합이라면, 왼쪽 방향으로 형성된 결합부는 자석을 장착하고 오른쪽 방향으로 형성된 결합부는 금속편을 장착하거나, 아래 쪽으로 형성된 결합부는 금속편을 위쪽을 향하는 결합부는 자석을, 앞을 향하는 결합부는 자석을 뒤쪽을 향하는 결합부는 금속편을 장착하는 등 정해진 기준에 따라 결합부를 형성하면 결합부가 규격화되어 제조 및 다른 구성 각 편과의 결합이 용이하다.
구성 각 편에 모두 자석을 장착할 경우에도, 자석 극성의 선택을 상기의 예와 같은 결합방향별로 특정하여 형성하면 되는 것이다.
자력결합 이외에도, 도 17의 결합방식(e.g. 레고)과 같이, 일측에는 치합 돌부(B)가 형성되고 나머지 일측에는 치합 요부(B')가 형성되어 끼움 결합을 할 수도 있다. 도 18은 상기 끼움 결합 중 손 부위를 위한 끼움 결합 구조를 보여주고 있다.
끼움 결합은 탈착이 용이하여 본 발명에 적용하기에는 매우 적합한 결합방식으로서, 별도의 치합돌부 및 치합요부를 제공하지 않더라도, 도 1의 개목걸이(103) 또는 도 9의 작업복(401)과 같이, 고정부 또는 타 가변부 상에 탈착 가능하게 끼움 결합하도록 고정부 또는 타 가변부의 형상에 맞춰 형성되어 고정부에 직접 결합 또는 타 가변부 상에 중첩결합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끼움 결합의 경우도 상기 자력 결합과 마찬가지로, 구성 각 편 간에는 결합방향을 기준으로 일정하게 치합돌부 및 치합요부 중 선택하여 형성하도록 하고 고 정부와 가변부 간에는 일측에는 치합돌부 타측에는 치합요부를 형성하면 결합이 규격화될 수 있다.
즉, 종래 조립식 완구의 결합방식 중 탈착이 용이한 것이라면 본 발명에도 그대로 적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뿐만 아니라, 본 발명의 경우 캐릭터 완구이다 보니 상황 연출상 움직임을 주고자 하는 필요성이 생길 수 있어 상술한 단순 결합 이외에도 관절운동이 가능한 결합방법의 제공이 필요하다.
관절운동의 구현은 상기 끼움 결합에서 결합단부의 형상을 조금만 변경하면 가능한바, 이 또한 종래 관절운동이 가능한 캐릭터 완구의 결합방식을 이용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끼움 결합에서 수용부의 외곽부가 구성 각 편에 모두 매설되어 있게 되면 치합 돌부의 이동범위가 제한되어 결합부에서의 관절운동은 불가하게 된다.
따라서, 도 19와 같이, 치합 요부(B')는 가변부 상에 외곽부가 드러나도록 형성하고, 치합돌부(B)의 최대 직경 미만의 개방부(B'')를 갖도록 상기 외곽부를 절개하여, 치합 요부 내에 결합된 치합 돌부가 장착된 구성 각 편이 상기 개방부를 통하여 관절운동 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는 종래의 캐릭터 완구에서 활용되는 관절구조를 그대로 채택하면 족한 것이나, 본 발명에서는 그에 더하여 탈착이 용이하여야 하는바, 종래 관절 결합 구조에 비하여 결합의 공고성은 떨어지더라도 탈착이 가능하면서도 관절운동이 가능하 도록 구성하여야 한다.
관절운동을 구현하기 위한 가장 바람직한 방법은 고정부의 결합부는 치합돌부로 형성하고, 이를 수용하는 가변부 측은 관절운동이 필요한 경우에 상기와 같이 치합 요부 외곽의 일부를 개방하도록 하여 구현하여, 가변부의 특성에 따라 관절의 선택적 구현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다.
즉, 관절운동이 필요한 가변부는 상기 관절 결합방식의 결합부를 채택하여 고정부에 끼움 결합하면 된다.
이상 구성 각 편 간의 결합 방법을 설명하였으나, 이는 세부적인 사항이 생략된 개략적인 것으로서 지엽적인 사항을 추가하여 더욱 구체화 또는 개선할 수 있으며, 상기 이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사상인 탈착 가능한 결합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라면 무엇이든 본 발명에 적용할 수 있음은 상술한 바와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로서 개 캐릭터의 조립예시도.
도 2는 도 1의 조립 따라 완성된 개 캐릭터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로서 사자 캐릭터의 조립예시도.
도 4는 도 3의 조립에 따라 완성된 사자 캐릭터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로서 말 캐릭터의 조립예시도.
도 6은 도 5의 조립에 따라 완성된 말 캐릭터 예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로서 닭 캐릭터의 조립예시도.
도 8은 도 7의 조립에 따라 완성된 닭 캐릭터 예시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로서 남자 캐릭터의 조립예시도.
도 10은 도 9의 조립에 따라 완성된 남자 캐릭터 예시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로서 여아 캐릭터의 조립예시도.
도 12는 도 7의 조립에 따라 완성된 여아 캐릭터 예시도.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로서 백설공주 캐릭터의 조립예시도.
도 14는 도 7의 조립에 따라 완성된 백설공주 캐릭터 예시도.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구성 각 편의 자력결합 개념도.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구성 각 편의 회전형 자석을 이용한 결합 개념도.
도 17은 본 발명에 따른 구성 각 편의 끼움결합 개념도.
도 18은 본 발명에 따른 구성 각 편의 끼움결합 일실시예의 개념도.
도 19는 본 발명에 따른 구성 각 편의 관절구현을 위한 결합 개념도.
<도면의 주요 부호에 대한 설명>
1, 11, 21, 31, 41, 51, 61 : 고정부
2, 12, 22, 32, 42, 52, 62 : 가변부
B : 결합부

Claims (13)

  1. 형상적 유사성에 따라 분류된 유사 캐릭터 군(群)의 공통 형상으로 형성되고, 외부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결합부가 구비된 고정부와; 캐릭터 별(別) 고유 형상, 상기 캐릭터별 고유 형상에 소품이 결합한 형상 또는 캐릭터 별(別) 소품 형상 중 어느 하나의 전체 또는 일부의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고정부 상에 직접 또는 중첩적으로 탈착 가능하게 결합하는 가변부;를 포함하여, 상기 고정부와 가변부의 직접 결합 또는 중첩 결합을 통해 상기 유사 캐릭터 군 중에서 어느 하나의 캐릭터를 완성하고, 상기 고정부에 가변부 만을 교체하여 결합함으로써 캐릭터를 용이하게 변형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가변 캐릭터 완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유사 캐릭터 군(群)은 사람, 네발로 걷는 동물, 조류 , 곤충, 식물, 의인화된 캐릭터 및 로봇을 포함하는 기준으로 분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가변 캐릭터 완구.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의 공통형상은 유사 캐릭터 군에서 공통적으로 포함하는 몸통 형상 또는 두부(頭部)이고, 상기 가변부의 고유형상은 상기 유사캐릭터 군 중 어느 한 캐릭터의 각 부위, 무늬 또는 헤어스타일이며 상기 가변부의 소품은 상기 유사캐릭터 군 중 어느 한 캐릭터의 신변품, 소지품, 음식, 무기, 도구 또는 이 중 2 가지 이상이 결합한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가변 캐릭 터 완구.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와 가변부의 직접결합은 상기 고정부의 결합부는 자성체가 장착된 구조이고, 이에 결합하는 가변부는 상기 자성체와 대응하는 위치에 자성체가 장착되어 고정부 상에 가변부가 자력결합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가변 캐릭터 완구.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변부 간의 중첩결합은 일 가변부의 결합부는 자성체가 장착된 구조이고, 이에 결합하는 타 가변부는 상기 자성체와 대응하는 위치에 자성체가 장착되어 상기 일 가변부 상에 타 가변부가 자력결합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가변 캐릭터 완구.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변부는 상기 고정부 상에 탈착 가능하게 끼움 결합하도록 고정부의 형상에 맞춰 형성되어 상기 고정부 상에 직접결합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가변 캐릭터 완구.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변부는 타 가변부 상에 탈착 가능하게 끼움 결합하도록 타 가변부의 형상에 맞춰 형성되어 타 가변부 상에 중첩결합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가변 캐릭터 완구.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와 가변부의 직접결합은 상기 고정부 및 상기 가변부 중 어느 하나는 결합 단부에 치합 돌부를 형성하고, 나머지 하나는 결합 단부에 치합 요부를 형성하여 상호 끼움 결합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가변 캐릭터 완구.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변부는 타 가변부 상에 탈착 가능하게 끼움 결합하도록, 상기 양 가변부 중 어느 하나는 결합 단부에 치합 돌부를 형성하고, 나머지 하나는 결합 단부에 치합 요부를 형성하여 상호 중첩 결합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가변 캐릭터 완구.
  10. 제 4항 또는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자력결합은 결합하는 양측을 모두 자석으로 구성하되, 자석이 회전 가능하게 매설되어 자석의 극성에 관계없이 자력결합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가변 캐릭터 완구.
  11. 제 8항 또는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상기 치합 요부는 외곽부가 가변부 상에 드러나도록 형성되고, 상기 치합 돌부의 최대 직경 미만의 개방부를 갖도록 상기 외곽부를 절개하여, 상기 요부 내에 결합된 치합 돌부가 상기 개방부를 통하여 관절운동 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가변 캐릭터 완구.
  12. 제 4항 또는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자력결합은 결합하는 양측 중 하나는 결 합 단부에 자석이 장착되고, 나머지 하나는 결합 단부에 금속 편 또는 자석 중 어느 하나가 장착되어 자력 결합하도록 하되, 결합 방향에 따라 일정한 장착물이 설치되도록 규격화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가변 캐릭터 완구.
  13. 제 8항 또는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치합 돌부 및 치합 요부는 결합 방향에 따라 일정하게 형성되도록 규격화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가변 캐릭터 완구.
KR1020070083642A 2007-08-20 2007-08-20 조립식 가변 캐릭터 완구 KR2009001931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83642A KR20090019318A (ko) 2007-08-20 2007-08-20 조립식 가변 캐릭터 완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83642A KR20090019318A (ko) 2007-08-20 2007-08-20 조립식 가변 캐릭터 완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19318A true KR20090019318A (ko) 2009-02-25

Family

ID=406871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83642A KR20090019318A (ko) 2007-08-20 2007-08-20 조립식 가변 캐릭터 완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019318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42993B1 (ko) * 2009-10-14 2010-02-17 (주)아트하우스 조립용 완구
CN114130040A (zh) * 2021-12-02 2022-03-04 上海布鲁可积木科技有限公司 积木玩偶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42993B1 (ko) * 2009-10-14 2010-02-17 (주)아트하우스 조립용 완구
CN114130040A (zh) * 2021-12-02 2022-03-04 上海布鲁可积木科技有限公司 积木玩偶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482063B1 (en) Articulating blocks toy
US5071385A (en) Posable figure
US7520793B2 (en) Manipulative toy having interchangeable appendages
US5480341A (en) Educational skeleton toy with outer shell
US3942283A (en) Hand puppet
US5788554A (en) Plush puzzle toy
US4579537A (en) Take-apart toy
US20180184768A1 (en) Transformable Jewelry and Decorative Structures
US20060234599A1 (en) Doll having head and upper torso interchangeable on doll bodies and styling bases
CN104616554B (zh) 虚拟积木系统
US6176756B1 (en) Plush construction set
US20100221975A1 (en) Transformable Jewelry and Decorative Structures
US20170095744A1 (en) Connectimals
JP2007521104A (ja) 接続・分離可能な友情の印しになるもの
US20100323580A1 (en) Sculptural construction system
US1340512A (en) Toy
KR20090019318A (ko) 조립식 가변 캐릭터 완구
US20140273725A1 (en) Stretchable Plush Doll
US10188956B2 (en) Assembly-type evolutionary game system
RU2819233C2 (ru) Модульный тренажер
WO2023091048A1 (ru) Модульный тренажер
RU214118U1 (ru) Игрушка-копия животного с имитацией шагов
US1229953A (en) Figure toy.
JP3228771U (ja) 玩具用カバー
KR200271892Y1 (ko) 찍찍이가 모든 면에 붙어있는 블록완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
B601 Maintenance of original decis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090316

Effective date: 200912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