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18881A - Image forming apparatus, image forming method, pattern forming system and pattern forming method - Google Patents

Image forming apparatus, image forming method, pattern forming system and pattern forming method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18881A
KR20090018881A KR1020087024596A KR20087024596A KR20090018881A KR 20090018881 A KR20090018881 A KR 20090018881A KR 1020087024596 A KR1020087024596 A KR 1020087024596A KR 20087024596 A KR20087024596 A KR 20087024596A KR 20090018881 A KR20090018881 A KR 2009001888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nsfer
toner image
potential
toner
im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7024596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0966953B1 (en
Inventor
다미오 후쿠이
마사아키 아오이케
Original Assignee
다이니폰 스크린 세이조우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07109017A external-priority patent/JP4834597B2/en
Priority claimed from JP2007109018A external-priority patent/JP4876015B2/en
Application filed by 다이니폰 스크린 세이조우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다이니폰 스크린 세이조우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900188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18881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669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6695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3/00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 H05K3/02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in which the conductive material is applied to the surface of the insulating support and is thereafter removed from such areas of the surface which are not intended for current conducting or shielding
    • H05K3/06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in which the conductive material is applied to the surface of the insulating support and is thereafter removed from such areas of the surface which are not intended for current conducting or shielding the conductive material being removed chemically or electrolytically, e.g. by photo-etch process
    • H05K3/061Etching masks
    • H05K3/065Etching masks applied by electrographic, electrophotographic or magnetographic method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14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transferring a pattern to a second base
    • G03G15/1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transferring a pattern to a second base of a toner pattern, e.g. a powder pattern, e.g. magnetic transfer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22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involving the combination of more than one step according to groups G03G13/02 - G03G13/20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covered by H05K3/00
    • H05K2203/05Patterning and lithography; Masks; Details of resist
    • H05K2203/0502Patterning and lithography
    • H05K2203/0517Electrographic pattern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Electrostatic Charge, Transfer And Separation In Electrography (AREA)
  • Manufacturing Of Printed Circuit Boards (AREA)
  • Wet Developing In Electrophotography (AREA)

Abstract

A pattern formation system includes an image formation device (1) which transfers to an object (9), a toner image formed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a photoconductor drum (31) by wet toner having etching resistance, by using electrostatic transfer performed by applying a transfer voltage between the photoconductor drum (31) and a transferred surface (91) of the object (9), and fixes the transferred toner image onto the object (9) so as to form a resist pattern. Thus, it is possible to surely prevent disturbance or destruction of the toner image upon transfer and form the toner image to be used as a resist pattern on the object (9) with a high accuracy. Moreover,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cost required for formation of the resist pattern as well as the time required for formation of the resist pattern.

Description

화상 형성 장치, 화상 형성 방법, 패턴 형성 시스템 및 패턴 형성 방법{IMAGE FORMING APPARATUS, IMAGE FORMING METHOD, PATTERN FORMING SYSTEM AND PATTERN FORMING METHOD}Image forming apparatus, image forming method, pattern forming system and pattern forming method {IMAGE FORMING APPARATUS, IMAGE FORMING METHOD, PATTERN FORMING SYSTEM AND PATTERN FORMING METHOD}

본 발명은, 판형상 또는 필름형상의 대상물 상에 토너 화상을 형성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며, 또한, 당해 토너 화상을 이용하여 대상물 상에 배선 패턴을 형성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echnique for forming a toner image on a plate-shaped or film-shaped object, and also to a technique for forming a wiring pattern on an object using the toner image.

종래부터, 프린트 기판 등의 대상물에 배선 패턴을 형성하는 방법으로서, 서브트랙티브(subtractive)법이나 세미애디티브(semi-additive)법, 풀애디티브법(full-additive) 등이 이용되고 있고, 서브트랙티브법에서는, 다른 2개의 방법에 비해 저비용으로 신속하게 배선 패턴을 형성할 수 있다.Conventionally, the subtractive method, the semi-additive method, the full-additive method, etc. are used as a method of forming a wiring pattern in the object, such as a printed board, In the subtractive method, a wiring pattern can be formed quickly and at low cost as compared with the other two methods.

포토레지스트 기술을 이용한 서브트랙티브법의 하나인 근접(proximity) 노광 방식에서는, 절연성의 기재 상에 구리박(Cu)이 접합된 대상물에 대해서, 감광성 및 에칭 내성을 가지는 레지스트막이 구리박 상에 형성되고, 배선 패턴에 대응하는 투 광부 또는 차광부를 가지는 유리 마스크나 필름 마스크를 통해 레지스트막이 노광된다. 이어서, 레지스트막이 현상됨으로써, 레지스트막의 배선 패턴에 대응하는 부위 이외가 제거되고, 배선 패턴에 대응하는 레지스트막의 패턴(즉, 레지스트 패 턴)이 구리박 상에 형성된다. 그리고, 대상물에 대해서 에칭액이 부여됨으로써, 구리박의 레지스트막으로부터 노출되어 있는 부위가 제거된 후, 레지스트 패턴이 제거됨으로써, 구리에 의해 형성된 배선 패턴의 형성이 종료한다.In the proximity exposure method, which is one of the subtractive methods using photoresist technology, a resist film having photosensitivity and etching resistance is formed on copper foil with respect to an object in which copper foil (Cu) is bonded on an insulating substrate. The resist film is exposed through a glass mask or a film mask having a light transmitting portion or a light shielding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wiring pattern. Subsequently, by developing the resist film, other than the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wiring pattern of the resist film is removed, and a pattern (that is, a resist pattern) of the resist film corresponding to the wiring pattern is formed on the copper foil. Then, the etching liquid is applied to the object to remove the portion exposed from the resist film of the copper foil, and then the resist pattern is removed, thereby forming the wiring pattern formed of copper.

또한, 스크린 인쇄 기술을 이용한 서브트랙티브법에서는, 상술한 유리 마스크 등을 통한 레지스트막의 노광에 대신해, 배선 패턴에 대응하는 판을 이용해 레지스트 패턴이 구리박 상에 인쇄된다.In addition, in the subtractive method using the screen printing technique, instead of exposing the resist film through the glass mask or the like described above, the resist pattern is printed on the copper foil using a plate corresponding to the wiring pattern.

한편, 마스크 등을 사용하지 않고 레지스트막 상에 패턴을 묘화하는 방법으로서, 공간 변조된 광 빔을 레지스트막 상에서 주사함으로써 패턴을 직접 묘화하는 방식(이하, 「직접 묘화(direct writing) 방식」이라고 한다)이 알려져 있다.On the other hand, as a method of drawing a pattern on a resist film without using a mask or the like, a method of directly drawing a pattern by scanning a spatially modulated light beam on the resist film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direct writing method"). Is known.

일본국 특개평 7-273428호 공보(문헌 1)에서는, 전자 사진법에 의해 레지스트 패턴에 대응하는 정전 잠상을 감광체 드럼 상에 형성하고, 당해 정전 잠상을 열용융 토너에 의해 현상하여 토너 화상을 형성한 후, 가열에 의해 용해 상태로 된 토너 화상을 피가공 부재에 압접하는 열 용융 전사에 의해, 프린트 기판이 되는 피가공 부재의 구리박 상에 토너 화상을 레지스트 패턴으로서 전사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문헌 1에서는, 입경 7㎛∼15㎛의 건식 열용융 토너가 이용되는데, 입경 1㎛∼2㎛의 습식의 열용융 토너도 이용 가능하게 되어 있다.In Japanese Patent Laid-Open No. 7-273428 (Document 1), an electrostatic latent image corresponding to a resist pattern is formed on a photosensitive drum by an electrophotographic method, and the electrostatic latent image is developed with a hot melt toner to form a toner image. After that, a technique is disclosed in which a toner image is transferred as a resist pattern on a copper foil of a member to be a printed substrate by hot melt transfer, in which the toner image that has been dissolved by heating is press-contacted to the member to be processed. . In Document 1, a dry hot melt toner having a particle size of 7 μm to 15 μm is used. A wet hot melt toner having a particle size of 1 μm to 2 μm is also available.

그런데, 상술한 유리 마스크나 판 등을 이용하는 패턴 묘화에서는, 배선 패턴에 대응하는 마스크 등을 미리 제조해 둘 필요가 있고, 또한, 이러한 마스크 등을 소정의 환경 하에서 보관할 필요가 있으므로, 마스크 등의 제조 및 보관에 관한 비용이 필요해진다. 또한, 배선 패턴이 변경되면 새로운 마스크 등이 필요해지므 로, 다품종 소량 생산에는 적합하지 않다. 또한, 이들 방법에서는, 구리박 상에 형성되는 레지스트막의 박막화에 한계가 있으므로, 에칭에 의해 형성되는 배선 패턴의 고정밀화에 한계가 있다.By the way, in the pattern drawing using the above-mentioned glass mask, board, etc., since it is necessary to manufacture the mask etc. corresponding to a wiring pattern beforehand, and also to store such a mask under predetermined environment, manufacture of a mask etc. And storage costs. In addition, if the wiring pattern is changed, a new mask is required, which is not suitable for producing small quantities of various products. Moreover, in these methods, since the thinning of the resist film formed on copper foil has a limit, there is a limit to the high precision of the wiring pattern formed by etching.

직접 묘화 방식에서는, 패턴을 미소한 도트(화소)의 집합으로서 표현하여 도트(dot) 단위로 패턴을 묘화하는 래스터 방식이 일반적이고, 배선 패턴의 고정밀화에 대응하기 위해서는, 묘화 장치의 분해능을 높일(즉, 도트의 면적을 작게 할) 필요가 있다. 이 때문에, 고정밀 패턴을 묘화할 때, 묘화할 도트수가 증가하여 묘화에 요하는 시간이 증대해 버린다. 또, 구리박 상에 레지스트막을 형성하는 점에서는, 마스크 등을 이용하는 패턴 묘화와 동일하기 때문에, 상기와 마찬가지로 배선 패턴의 고정밀화에 한계가 있다. 나아가, 레지스트막에 대해서 광 빔을 조사하는 광원으로서 대출력의 고가의 광원이 필요해져, 묘화에 요하는 비용이 증대해 버린다.In the direct drawing method, the raster method which draws a pattern as a set of minute dots (pixels), and draws a pattern by a dot unit is common, and in order to cope with the high precision of a wiring pattern, the resolution of a drawing apparatus is raised. (I.e., to make the area of the dot small). For this reason, when drawing a high precision pattern, the number of dots to draw increases, and the time required for drawing increases. Moreover, in forming a resist film on copper foil, since it is the same as the pattern drawing using a mask etc., there exists a limit to the high precision of a wiring pattern similarly to the above. Furthermore, an expensive light source with a large output is needed as a light source for irradiating a light beam to a resist film, and the cost required for drawing increases.

이에 대해, 문헌 1의 레지스트 패턴의 형성에서는, 정전 잠상을 현상함으로써 형성된 열용융 토너의 토너 화상을 피가공 부재에 전사함으로써, 마스크 등을 이용하지 않고, 또한, 레지스트막을 피가공 부재의 전면에 걸쳐 형성하지 않고 레지스트 패턴이 피가공 부재 상에 형성되고, 또한, 입경이 작은 습식의 열용융 토너를 이용함으로써, 고정밀 레지스트 패턴이 신속하게 형성된다.On the other hand, in the formation of the resist pattern of Document 1, by transferring a toner image of a hot melt toner formed by developing an electrostatic latent image to a member to be processed, a resist film is applied over the entire surface of the member without using a mask or the like. A resist pattern is formed on the member to be processed without being formed, and a high precision resist pattern is quickly formed by using a liquid hot melt toner having a small particle size.

그러나, 문헌 1의 레지스트 패턴의 형성에서는, 토너 화상이 열용융 상태로 된 다음에 피가공 부재에 압접되므로, 용융이나 압접에 의해 토너 화상이 흐트러질 우려가 있어, 레지스트 패턴의 고정밀화에 한계가 있다.However, in the formation of the resist pattern of Document 1, since the toner image is hot melted and then press-contacted to the member to be processed, the toner image may be disturbed by melting or press welding, and thus the limit of the high precision of the resist pattern is limited. have.

한편, 판형상 또는 필름형상의 대상물 상에 토너 화상을 형성하는 기술로는, 종래부터, 복사기나 프린터 등에 있어서, 종이나 필름과 같이 절연체(혹은, 절연체에 가까운 성질을 가지는 것)를 대상물로 하여, 대상물의 이면측으로부터 도전성의 롤러나 벨트 혹은 코로나 방전에 의해 전하를 부여하여 토너를 보관하는 감광체와 대상물의 사이에 전계를 발생시킴으로써, 대전된 토너를 대상물에 끌어들여 전사하는 정전 전사가 행해진다.On the other hand, as a technique for forming a toner image on a plate-shaped or film-like object, conventionally, an insulator (or having properties close to the insulator) as a paper or a film is used as a target in a copying machine or a printer. The electrostatic transfer is performed by attracting the charged toner to the object by transferring an electric charge between the photoconductor for storing the toner and the object by applying charge from the back side of the object by conductive rollers, belts, or corona discharge. .

또, 일본국 특허공표 2002-527783호 공보(문헌 2)에서는, 감광 드럼 상에 형성된 액체 토너의 화상을 판형상의 절연체인 유리 기판에 전사할 때에, 감광 드럼과 유리 기판의 사이에 간극을 형성하고, 이 간극을 액체 토너의 캐리어액으로 채우는 인쇄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Moreover, in Japanese Patent Laid-Open No. 2002-527783 (Document 2), when transferring an image of a liquid toner formed on a photosensitive drum to a glass substrate which is a plate-shaped insulator, a gap is formed between the photosensitive drum and the glass substrate. The printing apparatus which fills this clearance gap with the carrier liquid of a liquid toner is disclosed.

그런데, 이러한 정전 전사법에서는, 감광 드럼과 대상물이 접근하는 전사 위치 근방에 있어서, 감광 드럼과 대상물의 사이의 공간에 전사 전계에 의한 방전(이른바, 박리 방전)이 생기는 경우가 있다. 또한, 대상물이 종이와 같이 부분적으로 전하가 통과하기 쉬운 구조를 가지는 것인 경우, 대상물의 이면측에 부여된 전하가 표면측으로 이탈되면, 감광 드럼 상의 토너에 전하가 이동하여 토너를 대상물에 끌어들이는 힘이 소실되거나 혹은 대상물 상에 전사된 토너에 전하가 이동하여 토너가 감광 드럼으로 되돌아가 버리는 전사 누락이 생기는 경우가 있다. 여기서, 정전 전사를 행하는 기기에서는, 박리 방전이나 전사 누락에 의한 토너 화상의 흐트러짐이, 전사 불량으로 간주되지 않는 허용 범위 내에 들어가도록, 박리 방전이나 전사 누락의 연속적인 발생을 방지하는 다양한 기술이 제안되어 있다.By the way, in such an electrostatic transfer method, in the vicinity of the transfer position where the photosensitive drum and the object approach, discharge (so-called peeling discharge) by a transfer electric field may occur in the space between the photosensitive drum and the object. In addition, in the case where the object has a structure in which charge easily passes, such as paper, when the charge imparted on the back side of the object deviates to the surface side, the charge is transferred to the toner on the photosensitive drum to attract the toner to the object. The power may be lost or transfer may occur, in which charge is transferred to the toner transferred onto the object, causing the toner to return to the photosensitive drum. Here, in the apparatus for electrostatic transfer, various techniques are proposed to prevent the continuous generation of the peel discharge or the transfer omission so that the disturbance of the toner image due to the peel discharge or the transfer omission falls within an acceptable range which is not regarded as a defective transfer. It is.

정전 전사법은, 배리어블(variable) 인쇄에 용이하게 대응할 수 있고, 또한, 고해상도 및 고속 처리를 실현할 수 있으므로, 최근, 다양한 산업 기기에의 적용이 검토되고 있다. 이 경우, 토너를 전사하는 대상물은, 문헌 2의 유리 기판과 같은 절연체와는 달리, 금속 시트나 금속판 등의 도전체로 되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Since the electrostatic transfer method can easily cope with variable printing and can realize high resolution and high speed processing, application to various industrial devices has recently been considered. In this case, it is conceivable that the object for transferring the toner is a conductor such as a metal sheet or a metal plate, unlike an insulator such as the glass substrate of Document 2.

그러나, 대상물의 도전성의 피전사면에 대해서 정전 전사법을 적용하는 경우, 대상물 상의 일부에 있어서 감광 드럼과의 사이에 박리 방전이 발생하면, 박리 방전이 생기는 부위로 도전체 상의 전하가 이동하여 박리 방전이 지속된다. 이 때, 대상물에 전하를 부여하는 전원으로서 정전압 전원이 이용되면, 박리 방전에 의한 리크가 저감하지 않고 지속하여, 토너 화상이 넓은 범위에서 흐트러져 전사 불량이 생긴다. 또한, 정전류 전원이 이용되면, 박리 방전에 의한 리크에 의해, 박리 방전이 발생하는 부위의 주위에 있어서의 전사 효율이 저하해 버려, 역시 넓은 범위의 전사 불량이 발생한다.However, when the electrostatic transfer method is applied to the conductive transfer surface of the object, when peeling discharge occurs between the photosensitive drum on a part of the object, the charge on the conductor is moved to the site where the peeling discharge occurs and the peeling discharge occurs. This lasts. At this time, when a constant voltage power supply is used as a power supply for charging an object, leakage due to peeling discharge is continued without reduction, and the toner image is disturbed over a wide range, resulting in transfer failure. Moreover, when a constant current power supply is used, the transfer efficiency in the vicinity of the site | part which generate | occur | produces peeling discharge will fall by leak by peeling discharge, and a wide range of transfer failure will also generate | occur | produce.

본 발명은, 판형상 또는 필름형상의 대상물 상에 토너 화상을 형성하는 화상 형성 장치에 적합하고, 토너 화상을 대상물 상에 고정밀도로 형성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며, 또한, 도전성의 피전사면에 대한 토너 화상의 전사를 안정되게 행하는 것도 목적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is suitable for an image forming apparatus for forming a toner image on a plate-shaped or film-shaped object, and aims to form the toner image on the object with high precision, and also has a toner image on a conductive transfer surface. It is also an object to stably transfer transcription.

화상 형성 장치는, 에칭 내성을 가지는 습식 토너에 의한 전사 전의 토너 화상이 외주면 상에 형성되는 원통 드럼형상 또는 평벨트 형상의 환상 부재를 상기 외주면을 따라서 순환 이동시키는 토너 화상 보유부와, 판형상 또는 필름형상의 절연성 기재 및 상기 절연성 기재의 하나의 주면에 형성된 비저항이 103Ω·cm이하인 도전층을 가지는 대상물을 보유하고, 상기 도전층의 피전사면을 소정의 전사 위치에 있어서 상기 외주면에 가장 접근시키면서, 상기 대상물을 상기 전사 위치에 있어서의 상기 환상 부재의 부위와 동일한 속도로 상기 환상 부재의 상기 부위의 진행 방향과 같은 방향이며 상기 피전사면을 따르는 이동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이동 기구와, 상기 전사 위치에 있어서 상기 환상 부재와 상기 대상물의 상기 피전사면의 사이에 소정의 전사 전압을 작용시켜 상기 토너 화상을 상기 대상물에 전사하는 토너 화상 전사부를 구비한다. 화상 형성 장치, 토너 화상을 대상물 상에 고정밀도로 형성할 수 있다.The image forming apparatus includes a toner image holding portion for circularly moving a cylindrical drum-shaped or flat belt-shaped annular member in which a toner image before transfer by a liquid toner having etching resistance is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and a plate-shaped or An object having a film-shaped insulating substrate and a conductive layer having a specific resistance formed on one main surface of the insulating substrate having a resistivity of 10 3 Ω · cm or less, and the transfer surface of the conductive layer is closest to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at a predetermined transfer position. A moving mechanism for moving the object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direction of travel of the portion of the annular member at the same speed as that of the portion of the annular member in the transfer position and in the movement direction along the transfer surface; and the transfer position A predetermined transfer between the annular member and the transfer surface of the object in And a toner image transfer portion for transferring the toner image to the object by applying a voltage. An image forming apparatus and a toner image can be formed on the object with high accuracy.

본 발명의 하나의 바람직한 실시의 형태에서는, 상기 토너 화상 전사부가, 상기 순환 이동의 상기 전사 위치보다도 앞에서 상기 토너 화상 상으로부터 상기 환상 부재의 상기 외주면에 상기 습식 토너의 대전 극성과 동일한 극성의 제1 전위를 부여하는 제1 전위 부여부와, 상기 피전사면에 접지 전위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제2 전위를 부여함으로써, 상기 전사 위치에 있어서 상기 환상 부재와 상기 피전사면의 사이에 상기 전사 전압을 작용시키는 제2 전위 부여부를 구비한다. 이에 따라, 도전성의 피전사면에 대한 토너 화상의 전사를 안정되게 행할 수 있다.In on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oner image transfer portion has a first polarity equal to the charging polarity of the liquid toner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annular member from the toner image before the transfer position of the circular movement. A first potential imparting portion for imparting a potential and a second potential substantially equal to a ground potential to the transfer surface to apply the transfer voltage between the annular member and the transfer surface at the transfer position; It is provided with two potential provision parts. As a result, the transfer of the toner image onto the conductive transfer surface can be performed stably.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실시의 형태에서는, 상기 대상물이, 가요성을 가지는 플렉시블 기판이며, 화상 형성 장치가, 상기 이동 기구에 의한 상기 대상물의 상기 이동 방향에 있어서 상기 전사 위치보다도 하류측에 배치되어 상기 토너 화상을 상기 피전사면에 정착시키는 정착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이동 기구가, 상기 토너 화상이 전사되기 전의 롤형상의 상기 대상물을 보유함과 더불어 상기 대상물을 상기 전사 위치로 공급하는 대상물 공급부와, 상기 이동 기구에 의한 상기 대상물의 상기 이동 방향에 있어서 상기 정착부보다도 하류측에 배치되고, 상기 토너 화상이 정착된 상기 대상물을 감아들여 회수하는 대상물 회수부를 구비한다.In another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object is a flexible substrate having flexibility, and the image forming apparatus is disposed downstream from the transfer position in the moving direction of the object by the moving mechanism. A fixing unit for fixing a toner image to the to-be-transmitted surface, wherein the moving mechanism holds the roll-shaped object before the toner image is transferred and supplies the object to the transfer position; And an object recovery part disposed downstream of the fixing part in the moving direction of the object by the moving mechanism, and collecting and collecting the object on which the toner image is fixed.

또한 다른 실시의 형태에서는, 화상 형성 장치가, 상기 환상 부재의 상기 외주면에 정전 잠상을 형성하는 잠상 형성부와, 상기 습식 토너에 의해 상기 정전 잠상을 현상하여 상기 토너 화상을 형성하는 현상부를 더 구비한다.In another embodiment, the image forming apparatus further includes a latent image forming unit that forms an electrostatic latent image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annular member, and a developing unit that develops the electrostatic latent image by the liquid toner to form the toner image. do.

본 발명의 하나의 국면에서는, 화상 형성 장치는, 외주면 상에 습식 토너에 의한 전사 전의 토너 화상이 형성되는 원통 드럼형상 또는 평벨트 형상의 환상 부재를 상기 외주면을 따라서 순환 이동시키는 토너 화상 보유부와, 대상물의 비저항이 103Ω·cm이하인 도전성의 피전사면을 소정의 전사 위치에 있어서 상기 외주면에 가장 접근시키면서, 상기 대상물을 상기 전사 위치에 있어서의 상기 환상 부재의 부위와 동일한 속도로 상기 환상 부재의 상기 부위의 진행 방향과 같은 방향이며 상기 피전사면을 따르는 이동 방향으로 이동하는 이동 기구와, 상기 순환 이동의 상기 전사 위치보다도 앞에서 상기 토너 화상 상으로부터 상기 환상 부재의 상기 외주면에 상기 습식 토너의 대전 극성과 동일한 극성의 제1 전위를 부여하는 제1 전위 부여부와, 상기 피전사면에 접지 전위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제2 전위를 부여함으로써, 상기 전사 위치에 있어서 상기 환상 부재와 상기 대상물의 상기 피전사면의 사이에 소정의 전사 전압을 작용시켜 상기 토너 화상을 상기 대상물에 전사하는 제2 전위 부여부를 구비한다. 이에 따라, 도전성의 피전사면에 대한 토너 화상의 전사를 안정되게 행할 수 있다.In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n image forming apparatus includes a toner image holding portion for circularly moving a cylindrical drum-like or flat belt-shaped annular member on which an toner image before transfer by a liquid toner is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The annular member at the same speed as the site of the annular member at the transfer position, while the conductive transfer surface having a resistivity of the object of 10 3 Ω · cm or less approaching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at a predetermined transfer position. A movement mechanism moving in the movement direction along the transfer surface and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advancing direction of the portion, and charging of the liquid toner to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annular member from the toner image before the transfer position of the cyclic movement; A first potential providing portion for imparting a first potential having the same polarity as that of the polarity; By applying a second potential substantially equal to the ground potential on the slope, a transfer voltage is applied between the annular member and the transfer surface of the object at the transfer position to transfer the toner image to the object. It is provided with two potential provision parts. As a result, the transfer of the toner image onto the conductive transfer surface can be performed stably.

본 발명은, 또한, 상기 화상 형성 장치를 구비함과 더불어 대상물 상에 배선 패턴을 형성하는 패턴 형성 시스템에도 적합하고, 이 시스템에 의해 배선 패턴을 신속하고 또한 고정밀도로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판형상 또는 필름형상의 대상물 상에 토너 화상을 형성하는 화상 형성 방법, 및, 당해 화상 형성 방법을 이용함과 더불어 대상물 상에 배선 패턴을 형성하는 패턴 형성 방법에도 적합하다.The present invention is also suitable for a pattern forming system for forming a wiring pattern on an object in addition to being provided with the image forming apparatus, and by this system, the wiring pattern can be formed quickly and with high precision. The present invention is also suitable for an image forming method for forming a toner image on a plate-shaped or film-like object, and a pattern forming method for forming a wiring pattern on the object while using the image forming method.

상술한 목적 및 다른 목적, 특징, 양태 및 이점은,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이하에 행하는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의해 명백해진다.The above objects and other objects, features, aspects, and advantages will become apparent from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made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제1의 실시의 형태에 관한 패턴 형성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FIG. 1: is a figure which shows the structure of the pattern formation system which concerns on 1st Embodiment.

도 2는 화상 형성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2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n image forming apparatus.

도 3은 대상물 상에 배선 패턴을 형성하는 처리의 흐름을 나타내는 도면이다.3 is a diagram illustrating a flow of a process of forming a wiring pattern on an object.

도 4a는 감광체 표면의 전위 분포를 나타내는 도면이다.4A is a diagram showing a potential distribution on the surface of a photoconductor.

도 4b는 감광체 표면의 전위 분포를 나타내는 도면이다.4B is a diagram showing the potential distribution on the surface of the photoconductor.

도 4c는 감광체 표면의 전위 분포를 나타내는 도면이다.4C is a diagram showing the potential distribution on the surface of the photoconductor.

도 5는 제1 전위 및 제2 전위와 토너 화상의 전사 품질 및 전사 효율의 관계를 나타내는 표이다.5 is a table showing a relationship between the first potential and the second potential and the transfer quality and transfer efficiency of the toner image.

도 6은 제2의 실시의 형태에 관한 화상 형성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6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image forming apparatus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도 7은 제3의 실시의 형태에 관한 화상 형성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7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image forming apparatus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도 8은 스테이지 및 흡착 제어부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8 is a plan view of the stage and the adsorption controller.

도 9는 이동 기구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9 is a side view illustrating the moving mechanism.

도 10은 제4의 실시의 형태에 관한 화상 형성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10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image forming apparatus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도 11은 대상물 상에 토너 화상을 형성하는 처리의 흐름을 나타내는 도면이다.11 is a diagram illustrating a flow of a process of forming a toner image on an object.

도 12는 제5의 실시의 형태에 관한 화상 형성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12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image forming apparatus according to a fifth embodiment.

도 1은, 본 발명의 제1의 실시의 형태에 관한 패턴 형성 시스템(100)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패턴 형성 시스템(100)은, 필름형상의 대상물(9) 상에 배선 패턴을 형성하는 장치이다. 대상물(9)은 가요성을 가지는 플렉시블 기판(즉, 필름 기판)이며, 필름형상의 절연성 기재, 및, 절연성 기재의 하나의 주면 전체에 형성된 비저항이 10-6Ω·cm 이상 103Ω·cm이하인 도전층(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구리박(Cu))을 구비한다. 패턴 형성 시스템(100)에서는, 대상물(9) 상에 구리에 의한 배선 패턴을 형성함으로써, 복수의 플렉시블 회로 기판이 연속된 시트형상 부재인 회로 기판 시트가 형성된다.FIG. 1: is a figure which shows the structure of the pattern formation system 100 which concerns on 1st Embodiment of this invention. The pattern formation system 100 is an apparatus which forms a wiring pattern on the film-like object 9. The object 9 is a flexible substrate having a flexibility (that is, a film substrate), and the resistivity formed on the film-shaped insulating substrate and one main surface of the insulating substrate is 10 −6 Ω · cm or more and 10 3 Ω · cm The following conductive layer (copper foil (Cu) in this embodiment) is provided. In the pattern formation system 100, the circuit board sheet which is a sheet-like member in which several flexible circuit boards were continuous by forming the wiring pattern by copper on the target object 9 is formed.

도 1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패턴 형성 시스템(100)은, 대상물(9)의 도전층의 표면 상에 토너 화상을 전사(즉, 형성)하고, 당해 토너 화상을 도전층 상에 정착시켜 레지스트 패턴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1), 도전층의 레지스트 패턴으로부터 노출되어 있는 부위(즉, 토너 화상에 의해 피복되어 있지 않은 부위)에 에칭액을 부여함으로써, 에칭을 실시하여 당해 부위를 절연성 기재 상에서 제거하는 에칭 장치(61), 에칭이 종료한 대상물(9)을 세정하는 제1 세정 장치(62), 대상물(9) 상으로부터 레지스트 패턴(즉, 토너 화상)을 박리하여 제거하는 화상 제거 장치(63), 및, 레지스트 패턴이 제거된 대상물(9)을 세정하는 제2 세정 장치(64)를 구비한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화상 형성 장치(1)에 의해 토너 화상이 전사되는 대상물(9)의 도전층의 표면(91)을 「피전사면(91)」이라고 한다.As shown in FIG. 1, the pattern forming system 100 transfers (i.e. forms) a toner image onto the surface of the conductive layer of the object 9, and fixes the toner image on the conductive layer to form a resist pattern. The etching is applied to the image forming apparatus 1 and the portion exposed to the resist pattern of the conductive layer (that is, the portion not covered by the toner image) to perform etching to remove the portion on the insulating substrate. The etching apparatus 61, the 1st cleaning apparatus 62 which wash | cleans the object 9 with which etching was complete | finished, and the image removal apparatus 63 which peels and removes a resist pattern (namely, toner image) from the object 9 And a second cleaning device 64 for cleaning the object 9 from which the resist pattern has been removed.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the surface 91 of the conductive layer of the object 9 to which the toner image is transferred by the image forming apparatus 1 is referred to as the "transfer surface 91."

도 2는, 화상 형성 장치(1)를 확대하여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화상 형성 장치(1)는, 절연성 기재(93) 및 도전층(94)을 가지는 대상물(9)을 보유함과 더불어 피전사면(91)을 따르는 이동 방향인 (+Y) 방향으로 이동하는 이동 기구(2), 전자 사진법으로 감광 드럼(31) 상에 토너 화상을 형성하는 프로세스 유닛(3), 당해 토너 화상 상으로부터 감광 드럼(31)의 외주면에 소정의 전위를 부여하는 제1 전위 부여부(4) 및 대상물(9)에 접촉하여 피전사면(91)에 소정의 전위를 부여하는 제2 전위 부여부(5)를 구비한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제1 전위 부여부(4)에 의해 감광 드럼(31)에 부여되는 전위를 「제1 전위」라고 하고, 제2 전위 부여부(5)에 의해 피전사면(91)에 부여되는 전위를 「제2 전위」라고 한다.2 is an enlarged view of the image forming apparatus 1. As shown in FIG. 2, the image forming apparatus 1 holds the object 9 having the insulating base 93 and the conductive layer 94, and is a ++ Y which is a moving direction along the transfer surface 91. A moving unit 2 moving in the direction of ()), a process unit 3 for forming a toner image on the photosensitive drum 31 by an electrophotographic method, and a predetermined potential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photosensitive drum 31 from the toner image. A second potential providing portion 5 which contacts the first potential providing portion 4 and the object 9 to be provided and imparts a predetermined potential to the transfer surface 91 is provided.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the potential given to the photosensitive drum 31 by the 1st electric potential provision part 4 is called "1st electric potential", and is provided to the to-be-transfer surface 91 by the 2nd electric potential provision part 5. The potential which becomes is called a "second potential."

프로세스 유닛(3)은, 감속기를 통해 모터(도시 생략)에 접속되는 직경 250㎜ 의 감광 드럼(31)을 구비하고, 감광 드럼(31)은, 도 2중의 X방향으로 평행한 회전축(310)을 중심으로 하여 도 2중에 있어서의 시계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된다. 감광 드럼(31)은, 알루미늄 등의 금속에 의해 형성됨과 더불어 회전축(310)을 중심으로 하는 드럼 본체(311)를 가지고, 드럼 본체(311)는 전기적으로 접지된다.The process unit 3 includes a photosensitive drum 31 having a diameter of 250 mm connected to a motor (not shown) via a speed reducer, and the photosensitive drum 31 has a rotating shaft 310 parallel to the X direction in FIG. 2. It can be rotated clockwise in FIG. The photosensitive drum 31 is formed of a metal such as aluminum, and has a drum body 311 around the rotating shaft 310, and the drum body 311 is electrically grounded.

드럼 본체(311)의 외주면에는, 예를 들면, 프탈로시아닌 안료를 가지는 단층형 유기 감광체(이하, 간단히 「감광체(312)」라고 한다)가 균일하게 도포된다(또는, 증착된다). 또한, 감광 드럼(31)의 직경은 250㎜로는 한정되지 않지만, 바람직하게는 200mm이상 400mm이하로 된다. 또, 감광체(312)는, 프탈로시아닌 안료를 가지는 단층형 유기 감광체 이외에, 예를 들면, 아몰퍼스(amorphous) 실리콘 등의 무기 감광체에 의해 형성되어도 된다.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drum main body 311, for example, a monolayer organic photoconductor (hereinafter referred to simply as "photosensitive member 312") having a phthalocyanine pigment is uniformly applied (or deposited). The diameter of the photosensitive drum 31 is not limited to 250 mm, but preferably 200 mm or more and 400 mm or less. The photoconductor 312 may be formed of, for example, an inorganic photoconductor such as amorphous silicon in addition to the single layer organic photoconductor having a phthalocyanine pigment.

프로세스 유닛(3)은, 또한, 감광 드럼(31)의 (+Z)측에 있어서 감광 드럼(31)에 대향하여 설치되어 감광체(312)를 대전시키는 대전기(32), 화상 형성용의 광을 출사하여 감광체(312)의 외주면에 정전 잠상을 형성하는 잠상 형성부(33), 에칭 내성을 가지는 액체 토너(예를 들면, 이소파라핀계의 절연성의 용매(캐리어액)에 분산되어 있는 습식 토너)에 의해 감광체(312) 상의 정전 잠상을 현상하여 감광체(312)의 외주면 상에 토너 화상을 형성하는 현상부(34), 감광체(312)의 표면을 클리닝하는 클리너(35) 및 광을 출사하여 감광체(312)를 제전(除電)하는 제전기(36)를 구비한다.The process unit 3 is further provided on the (+ Z) side of the photosensitive drum 31 so as to face the photosensitive drum 31 so as to charge light for image forming and the charger 32 for charging the photosensitive member 312. A latent image forming portion 33 which exits to form an electrostatic latent image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photosensitive member 312, and a liquid toner having an etching resistance (for example, a liquid toner dispersed in an isoparaffinic insulating solvent (carrier liquid)) Develops an electrostatic latent image on the photosensitive member 312 to form a toner image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photosensitive member 312, a cleaner 35 for cleaning the surface of the photosensitive member 312, and light to emit the photosensitive member The static eliminator 36 for static eliminating 312 is provided.

프로세스 유닛(3)에서는, 대전기(32)로부터 감광 드럼(31)의 회전 방향(즉, 도 1중의 시계 방향)에 따라서 잠상 형성부(33), 현상부(34), 클리너(35) 및 제전 기(36)가, 감광 드럼(31)의 주위에 배치되어 있고, 현상부(34)에는, 현상액인 액체 토너를 공급하는 토너 공급부(도시 생략)가 접속되어 있다. 또한, 화상 형성 장치(1)에서는, 제1 전위 부여부(4)도, 현상부(34)와 클리너(35)의 사이에서 감광 드럼(31)의 주위에 배치되어 있다.In the process unit 3, the latent image forming part 33, the developing part 34, the cleaner 35, and the rotating direction of the photosensitive drum 31 from the charger 32 (that is, the clockwise direction in FIG. 1) and The static eliminator 36 is arranged around the photosensitive drum 31, and a developing unit 34 is connected with a toner supply unit (not shown) for supplying liquid toner as a developing solution. In the image forming apparatus 1, the first potential providing portion 4 is also arranged around the photosensitive drum 31 between the developing portion 34 and the cleaner 35.

제1 전위 부여부(4)는, 코로나 방전에 의해 이온을 발생시키고, 당해 이온을 감광체(312)에 부여함으로써 감광체(312)를 대전시키는 코로나 대전 기구이며,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제1 전위 부여부(4)로서 스코로트론(scorotron)이 이용되어 감광체(312)에 제1 전위가 부여된다. 또한, 프로세스 유닛(3)의 대전기(32)도, 제1 전위 부여부(4)와 마찬가지로, 코로나 방전에 의해 감광체(312)를 대전시키는 코로나 대전 기구이다.The first potential providing unit 4 is a corona charging mechanism that generates ions by corona discharge and charges the photosensitive member 312 by applying the ions to the photosensitive member 312. A scorotron is used as the provision part 4, and a 1st electric potential is given to the photosensitive member 312. As shown in FIG. Moreover, the charger 32 of the process unit 3 is also a corona charging mechanism which charges the photosensitive member 312 by corona discharge similarly to the 1st electric potential provision part 4.

제2 전위 부여부(5)는 2개의 접촉자(51)를 구비하고, 접촉자(51)는, 도전성 재료로 형성되는 브러쉬(예를 들면, 카본 브러쉬나 도전성 모 브러쉬)를 가진다. 각 접촉자(51)는 도시 생략의 지지 부재에 의해 지지되어 있고, 대상물(9)의 도전성의 피전사면(91)에 직접 맞닿는다. 각 접촉자(51)의 전극은 전기적으로 접지되어 있으므로, 대상물(9)의 피전사면(91)도 전기적으로 접지된다. 환언하면, 제2 전위 부여부(5)의 접촉자(51)에 의해, 대상물(9)의 피전사면(91)에 접지 전위인 제2 전위가 부여된다.The second potential imparting portion 5 includes two contacts 51, and the contacts 51 have a brush (for example, a carbon brush or a conductive bristle brush) formed of a conductive material. Each contact member 51 is supported by a supporting member (not shown) and directly contacts the conductive transfer surface 91 of the object 9. Since the electrodes of each contactor 51 are electrically grounded, the transfer surface 91 of the object 9 is also electrically grounded. In other words, the contact potential 51 of the 2nd electric potential provision part 5 gives the 2nd electric potential which is a ground electric potential to the to-be-transmitted surface 91 of the target object 9.

화상 형성 장치(1)에서는, 감광 드럼(31)의 (-Z)측에 있어서, 이동 기구(2)에 의해 감광 드럼(31)에 대향하여 이동하는 대상물(9)의 피전사면(91)이, 제1 전위 부여부(4)와 클리너(35)의 사이에서 감광 드럼(31)의 외주면에 가장 접근한다. 그리고, 제1 전위 부여부(4) 및 제2 전위 부여부(5)에 의한 전위의 부여에 의해, 감광 드럼(31)과 대상물(9)이 가장 접근하는 위치에 있어서, 감광 드럼(31)과 대상물(9)의 피전사면(91)의 사이에 소정의 전사 전압이 작용하고, 감광 드럼(31)의 외주면 상의 토너 화상이 대상물(9)의 피전사면(91) 상에 전사된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감광 드럼(31)의 외주면과 대상물(9)의 피전사면(91)이 가장 접근하는 위치를 「전사 위치」라고 부른다. 전사 위치는, 프로세스 유닛(3)에 대해서 상대적으로 고정된 위치가 된다. 화상 형성 장치(1)에서는, 제1 전위 부여부(4) 및 제2 전위 부여부(5)가, 전사 위치에 있어서 감광 드럼(31)과 대상물(9)의 피전사면(91)의 사이에 소정의 전사 전압을 작용시켜 토너 화상을 대상물(9)에 전사하는 토너 화상 전사부로 되어 있다.In the image forming apparatus 1, on the (-Z) side of the photosensitive drum 31, the transfer surface 91 of the object 9 that is moved by the moving mechanism 2 to face the photosensitive drum 31 is formed. ,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photosensitive drum 31 is most approached between the first dislocation applying portion 4 and the cleaner 35. Then, the photosensitive drum 31 is positioned at the position where the photosensitive drum 31 and the object 9 are closest to each other by the provision of the potential by the first potential providing portion 4 and the second potential providing portion 5. A predetermined transfer voltage is applied between the target surface 9 and the transfer surface 91 of the object 9, and the toner image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photosensitive drum 31 is transferred onto the transfer surface 91 of the object 9.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the position which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photosensitive drum 31 and the to-be-transmitted surface 91 of the target object 9 approach most is called "transfer position." The transfer position is a position fixed relative to the process unit 3. In the image forming apparatus 1, the first dislocation applying portion 4 and the second dislocation applying portion 5 are disposed between the photosensitive drum 31 and the transfer surface 91 of the object 9 at the transfer position. A toner image transfer section which transfers a toner image to the object 9 by applying a predetermined transfer voltage.

화상 형성 장치(1)는, 이동 기구(2)에 의한 대상물(9)의 이동 방향에 있어서 상기 전사 위치보다도 하류측(즉, (+Y)측)에 배치되어 대상물(9)의 피전사면(91)에 전사된 토너 화상을 피전사면(91)에 정착시키는 정착부(52)를 더 구비한다. 화상 형성 장치(1)에서는, 정착부(52)에 의해 대상물(9)의 피전사면(91)을 비접촉으로 가열함으로써, 토너 화상이 피전사면(91)에 정착되어 레지스트 패턴으로 된다.The image forming apparatus 1 is disposed on the downstream side (i.e., (+ Y) side) from the transfer position in the moving direction of the object 9 by the moving mechanism 2, so that the image to be transferred 91 of the object 9 Is further provided with a fixing unit 52 for fixing the toner image transferred to the toner onto the transfer surface 91. In the image forming apparatus 1, the toner image is fixed to the to-be-transferred surface 91 by the fixing unit 52 to non-contactly heat the to-be-transferred surface 91 of the object 9 to form a resist pattern.

이동 기구(2)는, 토너 화상이 전사되기 전의 롤형상의 대상물(9)을 보유함과 더불어 대상물(9)을 전사 위치로 공급하는 대상물 공급부(203), 전사 위치에 있어서 대상물(9)을 하면측(즉, 피전사면(91)과는 반대측)인 (-Z)측으로부터 지지하는 전사 롤러(204), 및, 이동 기구(2)에 의한 대상물(9)의 이동 방향에 있어서 정착부(52)보다도 하류측(즉, (+Y)측)에 배치됨과 함께 정착부(52)에 의해 토너 화상 이 정착된 대상물(9)을 감아들여 회수하는 대상물 회수부(205)를 구비한다. 도 2에서는, 정착부(52)와 대상물 회수부(205)의 사이에 배치되는 에칭 장치(61) 등의 다른 장치의 도시를 생략하고 있다.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이동 기구(2)에 의한 대상물(9)의 (+Y) 방향으로의 이동 속도는, 분속 약 2m∼3m이다.The moving mechanism 2 holds the object 9 in the shape of a roll before the toner image is transferred, and supplies the object 9 to the transfer position, and the object 9 at the transfer position. The fixing roller (204) supported from the (-Z) side, which is the lower surface side (that is, the opposite side to the transfer surface 91), and the fixing unit in the moving direction of the object 9 by the moving mechanism 2 ( 52 is provided on the downstream side (i.e., (+ Y) side), and is provided with an object recovery part 205 for winding up and collecting the object 9 on which the toner image is fixed by the fixing part 52. In FIG. 2, illustration of other apparatuses, such as the etching apparatus 61 arrange | positioned between the fixing | fixed part 52 and the object recovery part 205, is abbreviate | omitted. In this embodiment, the moving speed of the target object 9 in the (+ Y) direction by the moving mechanism 2 is about 2 m to 3 m per minute.

도 1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패턴 형성 시스템(100)에서는, 이동 기구(2)에 의한 대상물(9)의 이동 방향에 있어서, 에칭 장치(61), 제1 세정 장치(62), 화상 제거 장치(63) 및 제2 세정 장치(64)가, 화상 형성 장치(1)의 정착부(52)와 대상물 회수부(205)의 사이에 순서대로 배치되어 있고, 따라서, 화상 제거 장치(63)는 에칭 장치(61)와 대상물 회수부(205)의 사이에 배치되게 된다. 이동 기구(2)에 의해 이동되는 대상물(9)상의 하나의 부위에 주목하면, 당해 부위는, 이동 기구(2)에 의해 하나의 장치로부터 다른 장치로 순서대로 반송된다. 환언하면, 대상물(9)을 이동시키는 이동 기구(2)는, 화상 형성 장치(1), 에칭 장치(61), 제1 세정 장치(62), 화상 제거 장치(63) 및 제2 세정 장치(64)에 의해 공유되는 대상물 반송 기구로 이루어져 있다.As shown in FIG. 1, in the pattern forming system 100, the etching apparatus 61, the first cleaning apparatus 62, and the image removing apparatus in the moving direction of the object 9 by the moving mechanism 2. The 63 and the second cleaning device 64 are disposed in order between the fixing unit 52 and the object collecting unit 205 of the image forming apparatus 1, and therefore the image removing device 63 It is arranged between the etching apparatus 61 and the object recovery part 205. When one site | part on the object 9 moved by the moving mechanism 2 is paid attention, the said site | part is conveyed by the moving mechanism 2 from one apparatus to another apparatus in order. In other words, the moving mechanism 2 for moving the object 9 includes the image forming apparatus 1, the etching apparatus 61, the first cleaning apparatus 62, the image removing apparatus 63, and the second cleaning apparatus ( It consists of the object conveyance mechanism shared by 64).

에칭 장치(61)는, 염화철(FeCl3)이나 염화구리(CuCl2) 등을 주성분으로 하는 에칭액을 토너 화상이 형성된 대상물(9)의 피전사면(91)을 향해서 분사하는 복수의 스프레이(611)를 구비하고, 제1 세정 장치(62)는, 순수 물 등의 세정액을 대상물(9)의 피전사면(91)을 향해서 분사하는 복수의 스프레이(621)를 구비한다. 또한, 화상 제거 장치(63)는, 대상물(9)로부터 토너 화상을 박리하는 박리액을 대상 물(9)의 피전사면(91)을 향해서 분사하는 복수의 스프레이(631)를 구비하고, 제2 세정 장치(64)는, 제1 세정 장치(62)와 마찬가지로, 순수 물 등의 세정액을 대상물(9)의 피전사면(91)을 향해서 분사하는 복수의 스프레이(641)를 구비한다.The etching apparatus 61 includes a plurality of sprays 611 for spraying an etching solution containing iron chloride (FeCl 3 ), copper chloride (CuCl 2 ), etc., toward the target surface 91 of the object 9 on which the toner image is formed. The first cleaning device 62 includes a plurality of sprays 621 for spraying a cleaning liquid such as pure water toward the target surface 91 of the object 9. In addition, the image removal device 63 includes a plurality of sprays 631 for spraying the peeling liquid for peeling the toner image from the object 9 toward the target surface 91 of the object 9, and the second The cleaning apparatus 64 includes a plurality of sprays 641 for spraying a cleaning liquid such as pure water toward the target surface 91 of the object 9, similarly to the first cleaning apparatus 62.

다음에, 패턴 형성 시스템(100)에 의한 배선 패턴의 형성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3은, 패턴 형성 시스템(100)에 의해 대상물(9) 상에 배선 패턴을 형성하는 처리의 흐름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또한, 도 3중의 단계 S11∼S15는 감광체(312)의 일부에 주목한 처리의 흐름을 나타내고, 감광체(312) 전체에 대해서는 실제로는 이들 단계는 시간적으로 거의 병행하여 행해진다. 또한, 단계 S16∼S20는 대상물(9)의 일부에 주목한 처리의 흐름을 나타내고 있고, 대상물(9) 전체에 대해서는 실제로는 이들 단계는 시간적으로 거의 병행하여 행해진다.Next, formation of the wiring pattern by the pattern formation system 100 is demonstrated. 3 is a diagram illustrating a flow of a process of forming a wiring pattern on the object 9 by the pattern forming system 100. Incidentally, the steps S11 to S15 in Fig. 3 show the flow of the process paying attention to a part of the photoconductor 312, and these steps are performed substantially in parallel with the entire photoconductor 312 in time. In addition, the steps S16 to S20 show the flow of the process paying attention to a part of the object 9, and in practice, these steps are performed substantially in parallel with the entire object 9.

도 2에 도시하는 화상 형성 장치(1)에서는, 우선, 감광 드럼(31)이 회전축(310)을 중심으로 하여 도 2중에 있어서의 시계 방향으로 일정한 회전 속도로 회전을 개시함과 더불어, 이동 기구(2)에 있어서 대상물 공급부(203) 및 대상물 회수부(205)가 각각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함으로써, 대상물(9)의 (+Y) 방향으로의 이동이 일정한 속도로 개시된다. 프로세스 유닛(3)에서는 감광 드럼(31)의 회전에 의해, 회전축(310)을 중심으로 하는 원통 드럼 형상의 환상 부재인 감광 드럼(31)이, 주위에 배치된 각 주변 구성(즉, 대전기(32), 잠상 형성부(33), 현상부(34), 제1 전위 부여부(4), 클리너(35) 및 제전기(36))에 대해서 외주면을 따라서 연속적으로 순환 이동하고, 이들 주변 구성에 의한 감광체(312)에 대한 처리가 개시된다.In the image forming apparatus 1 shown in FIG. 2, first, the photosensitive drum 31 starts rotation at a constant rotational speed in the clockwise direction in FIG. 2 with the rotation axis 310 as the center, and moves. In (2), the object supply part 203 and the object recovery part 205 rotate counterclockwise, respectively, and the movement of the object 9 to the (+ Y) direction is started at a constant speed. In the process unit 3, by the rotation of the photosensitive drum 31, each peripheral configuration (that is, a charger) in which the photosensitive drum 31, which is a cylindrical drum-shaped annular member centered on the rotating shaft 310, is arranged around (32), the latent image forming portion 33, the developing portion 34, the first dislocation applying portion 4, the cleaner 35, and the static eliminator 36 are continuously circulated alo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thereof, Processing for the photosensitive member 312 by the configuration is started.

대전기(32)에서는, 대향하는 위치에 도달하는 감광체(312)의 일부(이하, 「 대상 부위」라고 부른다)에 전하가 순차적으로 부여되고, 대상 부위의 표면을, 예를 들면,+700V(볼트)로 균일하게 대전시킨다(단계 S11). 대전 후의 대상 부위는 잠상 형성부(33)의 광의 조사 위치로 연속적으로 이동한다.In the charger 32, electric charges are sequentially applied to a part of the photoconductor 312 (hereinafter referred to as "target site") that reaches the opposite position, and the surface of the target site is, for example, +700 V (volts). Is uniformly charged (step S11). The target site after the charging continuously moves to the irradiation position of the light of the latent image forming section 33.

잠상 형성부(33)는, 소정의 파장의 광을 출사하는 복수의 발광 다이오드(LED)가 배열된 LED 어레이를 광원으로서 가진다. 잠상 형성부(33)에는, 대상물(9)의 피전사면(91) 상에 형성되는 토너 화상의 화상 데이터가 입력되고, 화상 데이터에 따라 화상 형성용의 광이 감광체(312)를 향해서 출사된다. 감광체(312)의 대상 부위에 있어서 광이 조사된 부위에서는, 표면의 전하가 감광체(312) 내로 이동함으로써, 표면 전위가 +100V까지 저감된다. 또한, 광이 조사되지 않는 부위는 대전 상태가 그대로 유지되므로, 감광체(312)의 표면에는 전하의 분포에 의한 화상(즉, 정전 잠상)이 형성된다(단계 S12). 잠상 형성부(33)의 광원은, 반드시 LED일 필요는 없고, 예를 들면, 반도체 레이저나, 램프와 액정 셔터를 조합 것이어도 된다.The latent image forming section 33 has, as a light source, an LED array in which a plurality of light emitting diodes (LEDs) emitting light of a predetermined wavelength are arranged. In the latent image forming section 33, image data of a toner image formed on the transfer surface 91 of the object 9 is input, and light for image formation is emitted toward the photosensitive member 312 in accordance with the image data. In the site | part to which light was irradiated in the target site | part of the photosensitive member 312, surface electric charge moves to the photosensitive member 312, and surface potential is reduced to + 100V. In addition, since the charged state is maintained in the part where the light is not irradiated, an image (that is, an electrostatic latent image) is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photoconductor 312 (step S12). The light source of the latent image forming part 33 does not necessarily need to be LED, For example, it may combine a semiconductor laser, a lamp, and a liquid crystal shutter.

감광 드럼(31)에 있어서 정전 잠상이 형성된 부분(대상 부위)은 현상부(34)에 대향하는 위치로 이동한다. 현상부(34)에서는, 현상 롤러(341)가 현상 바이어스 전원(343)에 접속되어 있고, 현상 바이어스 전원(343)에 의해, +500V의 전위가 부여되어 있다. 그리고, 현상 롤러(341)와 정전 잠상의 사이의 바이어스 전압에 의해, 액체 토너 중에 있어서 플러스로 대전되어 있는 습식 토너(즉, 액체 토너의 용매 중에 분산됨과 더불어 감광체(312)의 표면과 동일한 극성으로 대전되어 있는 습식 토너)가 정전 잠상에 부여된다(단계 S13).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습식 토너 로서, 입경이 0.1㎛이상 2㎛이하(보다 바람직하게는, 0.1㎛이상 0.5㎛이하)인 것이 사용된다. 또, 습식 토너의 주성분은 아세트산비닐(C4H6O2)로 된다.The portion (target portion) in which the electrostatic latent image is formed in the photosensitive drum 31 is moved to a position opposite to the developing portion 34. In the developing portion 34, the developing roller 341 is connected to the developing bias power supply 343, and a potential of +500 V is applied by the developing bias power supply 343. Then, by the bias voltage between the developing roller 341 and the latent electrostatic image, the liquid toner positively charged in the liquid toner (i.e., dispersed in the solvent of the liquid toner and having the same polarity as the surface of the photosensitive member 312) The charged liquid toner is applied to the latent electrostatic image (step S13). In this embodiment, as the liquid toner, particles having a particle diameter of 0.1 µm or more and 2 µm or less (more preferably, 0.1 µm or more and 0.5 µm or less) are used. The main component of the liquid toner is vinyl acetate (C 4 H 6 O 2 ).

도 4A 내지 도 4C는, 현상부(34)(도 2 참조)에 의해 습식 토너(92)가 부여된 감광체(312) 표면의 전위 분포를 개념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A 내지 도 4C에서는, 감광체(312) 표면의 전위를 실선(81)으로 그리고 있고, 실선(81)이 감광체(312) 표면으로부터 드럼 본체(311)와는 반대측에 위치하는 경우를 플러스로 한다. 또, 실선(81)과 감광체(312) 표면의 사이의 상하 방향의 거리는, 전위의 크기를 나타낸다.4A to 4C are diagrams conceptually showing the potential distribution on the surface of the photosensitive member 312 to which the liquid toner 92 is applied by the developing unit 34 (see FIG. 2). 4A to 4C, the potential of the surface of the photoconductor 312 is drawn by the solid line 81, and the case where the solid line 81 is located on the opposite side to the drum body 311 from the surface of the photoconductor 312 is positive. The distance in the vertical direction between the solid line 81 and the surface of the photoconductor 312 represents the magnitude of the dislocation.

도 4A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감광체(312)의 표면과 동일한 극성인 플러스로 대전되어 있는 습식 토너(92)는, 감광체(312) 상의 대상 부위에 있어서, 잠상 형성부(33)에 의해 표면 전위가 저감된 부위에만 부착되고, 이에 따라, 정전 잠상이 현상된다. 즉, 감광체(312)의 외주면 상의 대상 부위에, 습식 토너(92)에 의한 전사전의 토너 화상이 형성된다. 도 2에 도시하는 화상 형성 장치(1)에서는, 감광 드럼(31) 및 드럼 회전용의 모터가, 감광체(312)의 외주면에 전사전의 토너 화상을 보유함과 더불어 감광체(312)를 순환 이동시키는 토너 화상 보유부로 되어 있다.As shown in Fig. 4A, the positively charged liquid toner 92 having the same polarity as the surface of the photoconductor 312 is surface-displaced by the latent image forming section 33 at the target site on the photoconductor 312. Is attached only to the reduced portion, whereby the electrostatic latent image is developed. That is, a toner image before transfer by the liquid toner 92 is formed on the target site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photosensitive member 312. In the image forming apparatus 1 shown in FIG. 2, the photosensitive drum 31 and the motor for rotating the drum retain the toner image before transfer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photosensitive member 312 while circulating the photosensitive member 312. And a toner image holding portion.

현상부(34)에서는, 대상 부위 상의 불필요한 액체 토너는 현상 롤러(341)의 (-Z)측(즉, 감광 드럼(31)의 순환 이동의 하류측)에 위치하는 스퀴지(squeegee) 롤러(342)에 의해 긁어내져 현상부(34)로 되돌려진다. 스퀴지 롤러(342)는 스퀴지용 전원(344)에 접속되어 있고, 스퀴지용 전원(344)에 의해, +500V의 전위가 부여 되어 있다. 그리고, 스퀴지 롤러(342)가 도 1중의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여 액체 토너를 긁어냄으로써, 감광체(312) 상의 잉여의 액체 토너(즉, 잠상 형성부(33)에 의해 표면 전위가 저감된 부위 상에 과잉으로 부여된 액체 토너, 및, 표면 전위가 저감되지 않은 부위인 백그라운드 상에 부여된 액체 토너)가 회수된다.In the developing portion 34, the unnecessary liquid toner on the target site is a squeegee roller 342 located on the (-Z) side of the developing roller 341 (that is, downstream of the circular movement of the photosensitive drum 31). Is scraped off and returned to the developing part 34. The squeegee roller 342 is connected to the squeegee power supply 344, and a potential of +500 V is applied by the squeegee power supply 344. Then, the squeegee roller 342 rotates in the clockwise direction in FIG. 1 to scrape the liquid toner, thereby causing the excess liquid toner on the photoconductor 312 (that is, on the portion where the surface potential is reduced by the latent image forming portion 33). Liquid toner imparted excessively and liquid toner imparted on the background which is a site where the surface potential is not reduced) are recovered.

다음에, 감광 드럼(31)의 순환 이동에 있어서 전사 위치보다도 앞에 배치된 제1 전위 부여부(4)에 의해, 감광체(312) 상에 현상된 토너 화상 상으로부터, 감광체(312)의 외주면에 습식 토너의 대전극성과 동일한 극성인 플러스의 제1 전위가 부여된다(단계 S14). 이에 따라, 도 4B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감광체(312)의 외주면의 대상 부위 전체가, 대전기(32)에 의한 대전과 같은 정도, 또는, 절대치에 있어서 큰 전위(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약 +800V)까지 대전된다. 또한, 대상 부위에서는, 습식 토너(92)의 부착 영역에 있어서의 전위와 비부착 영역에 있어서의 전위가 약간 다르지만, 이 정도의 전위차는 후술하는 습식 토너(92)의 전사에는 거의 영향을 주지 않는다. 또한, 당해 전위차는, 제1 전위 부여부(4)에 의한 제1 전위의 부여 시간을 길게 함으로써 해소된다.Next,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photosensitive member 312 from the toner image developed on the photosensitive member 312 by the first dislocation applying portion 4 disposed before the transfer position in the circular movement of the photosensitive drum 31. A positive first potential having the same polarity as that of the counter electrode of the liquid toner is applied (step S14). Accordingly, as shown in FIG. 4B, the entire target portion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photoconductor 312 is about the same as that of the charging by the charger 32, or a large potential in the absolute value (in this embodiment, about To + 800V). In addition, although the potential in the adhesion region of the liquid toner 92 and the non-attachment region are slightly different in the target site, this potential difference hardly affects the transfer of the liquid toner 92 described later. . In addition, the said potential difference is eliminated by lengthening the provision time of the 1st electric potential by the 1st electric potential provision part 4.

도 2에 도시하는 제1 전위 부여부(4)에 의한 제1 전위의 부여가 종료하면, 감광 드럼(31)의 대상 부위는, 감광 드럼(31)의 회전에 동기하여 이동하는 대상물(9)의 피전사면(91)에 가장 접근하는 전사 위치에 도달하고, 전사 위치에서 대상 부위는 감광 드럼(31)의 회전 속도에 따른 속도(즉, 감광 드럼(31)의 외주면의 회전축(310)에 수직인 단면에 있어서의 접선 방향의 속도)로 정확하게 (+Y)방향으로 이동한다. 또한, 대상물(9)은, 이동 기구(2)에 의해, 전사 위치에 있어서의 감광 체(312)의 대상 부위와 동일한 속도로, 대상 부위의 진행 방향과 동일한 (+Y) 방향을 이동 방향으로 하여 이동한다. 이에 따라, 전사 위치의 매우 근방에 있어서 대상물(9)(의 대상 부위에 대향하는 부위)의 위치가 대상 부위에 대해서 상대적으로 고정된다.When the provision of the first potential by the first potential providing portion 4 shown in FIG. 2 is finished, the target portion of the photosensitive drum 31 moves in synchronization with the rotation of the photosensitive drum 31. Reaches the transfer position that is closest to the transfer surface 91, and the target portion at the transfer position is perpendicular to the speed according to the rotational speed of the photosensitive drum 31 (that is, perpendicular to the rotation axis 310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photosensitive drum 31). In the tangential direction in the cross section of phosphorus) and move in the (+ Y) direction accurately. In addition, the object 9 is moved by the moving mechanism 2 at the same speed as that of the target portion of the photosensitive member 312 at the transfer position, with the same (+ Y) direction as the moving direction of the target portion as the moving direction. Move. As a result, the position of the object 9 (the part facing the object part of) in the vicinity of the transfer position is relatively fixed with respect to the object part.

이 때, 대상물(9)은, 전사 위치의 (+Y)측 및 (-Y)측에 각각 배치되는 제2 전위 부여부(5)의 2개의 접촉자(51)를 통해 전기적으로 접지되어 있고(환언하면, 제2 전위 부여부(5)에 의해, 대상물(9)의 피전사면(91)에 접지 전위가 부여되어 있고), 전사 위치에 있어서의 대상물(9)의 피전사면(91)과 감광체(312)의 대상 부위의 사이에 소정의 전사 전압이 작용한다. 즉, 대상 부위로부터 피전사면(91)을 향하는 전계가 발생하고, 도 4C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감광체(312)로부터 대상물(9)의 피전사면(91)으로 향하는 방향(즉, 도 4C중의 부호 82를 붙인 화살표가 향하는 방향)의 힘이 습식 토너(92)에 작용한다. 이에 따라, 감광체(312)의 대상 부위 상에 부착된 플러스로 대전된 토너 화상이, 대상물(9)의 피전사면(91)에 순차적으로 전사된다(단계 S15).At this time, the object 9 is electrically grounded through the two contactors 51 of the second potential applying portion 5 respectively disposed on the (+ Y) side and the (−Y) side of the transfer position (in other words, On the lower surface, the ground potential is applied to the transfer surface 91 of the target object 9 by the second potential providing unit 5, the transfer surface 91 and the photosensitive member of the target object 9 at the transfer position. A predetermined transfer voltage is applied between the target sites of 312). In other words, an electric field is generated from the target site toward the target surface 91, and as shown in Fig. 4C, the direction from the photosensitive member 312 toward the target surface 91 of the target object 9 (i.e., the symbol in Fig. 4C). The force of the arrow facing the arrow 82) acts on the liquid toner 92. Thereby, the positively charged toner image attached on the target portion of the photosensitive member 312 is sequentially transferred to the to-be-transferred surface 91 of the object 9 (step S15).

습식 토너의 전사 후의 감광체(312)의 대상 부위는, 도 2에 도시하는 클리너(35)의 위치로 계속해 이동한다. 클리너(35)에서는, 스프레이 노즐(351)에 의해 대상 부위에 세정액이 부여됨으로써, 대상물(9)에 전사되지 않고 대상 부위에 잔류된 습식 토너 등의 불필요물(이하, 「잔토너」라고 한다)이 적셔진다. 이에 의해, 대상 부위에 고착하는 잔토너가 팽윤하여, 잔토너의 감광체(312)에 대한 고착력이 저감된다.The target site of the photosensitive member 312 after the transfer of the liquid toner continues to move to the position of the cleaner 35 shown in FIG. In the cleaner 35, the cleaning liquid is applied to the target site by the spray nozzle 351, thereby eliminating unnecessary matter such as a liquid toner remaining on the target site without being transferred to the target object 9 (hereinafter referred to as "zantoner"). Is soaked. As a result, the residual toner adhered to the target site swells, and the fixing force of the residual toner to the photosensitive member 312 is reduced.

계속해서, 도 2중에 있어서의 시계 방향(즉, 감광 드럼(31)의 회전 방향과 같은 방향)으로 회전하는 스펀지 롤러(352)에 의해 감광체(312)의 대상 부위가 문질러짐으로써, 잔토너가 감광체(312) 상의 세정액 중에 분산된다. 스펀지 롤러(352)의 대상 부위와 대향하는 위치의 바로 앞측에는 스프레이 노즐(3521)이 설치되어 있고, 스프레이 노즐(3521)로부터 스펀지 롤러(352)에 세정액이 부여됨으로써, 스펀지 롤러(352)가 세정액을 포함한 상태에서 대상 부위에 접촉한다. 이 때문에, 스펀지 롤러(352)가 감광체(312) 상의 세정액을 흡수해 버리는 것이 방지되어, 잔토너가 감광체(312) 상의 세정액 중에 충분히 분산된다.Subsequently, the target portion of the photosensitive member 312 is rubbed by the sponge roller 352 rotating in the clockwise direction (that is, the same direction as the rotational direction of the photosensitive drum 31) in FIG. It is dispersed in the cleaning liquid on the photosensitive member 312. The spray nozzle 3351 is provided just in front of the position of the sponge roller 352 opposite to the target portion, and the sponge roller 352 is provided with the cleaning liquid by applying the cleaning liquid to the sponge roller 352 from the spray nozzle 3551. Contact with the target site in the state containing. For this reason, the sponge roller 352 is prevented from absorbing the cleaning liquid on the photosensitive member 312, and the residual toner is fully dispersed in the cleaning liquid on the photosensitive member 312.

또한, 스펀지 롤러(352)의 대상 부위와 대향하는 위치를 사이에 두고 스프레이 노즐(3521)의 반대측에는 흡인 노즐(3522)이 설치되고, 흡인 노즐(3522)에 의해 스펀지 롤러(352)로부터 세정액이 흡인된다. 이에 따라, 감광체(312)와의 마찰에 의해 스펀지 롤러(352)에 잔토너가 부착된 경우에도, 당해 잔토너가 세정액과 함께 스펀지 롤러(352) 상에서 제거되고, 스펀지 롤러(352)의 대상 부위에 접촉하는 부위가 항상 청정한 상태로 유지된다.In addition, a suction nozzle 3252 is provided on the opposite side of the spray nozzle 3551 with a position facing the target portion of the sponge roller 352 interposed therebetween, and the cleaning liquid is removed from the sponge roller 352 by the suction nozzle 3352. Aspirated. Accordingly, even when the residual toner is attached to the sponge roller 352 by friction with the photosensitive member 312, the residual toner is removed on the sponge roller 352 together with the cleaning liquid, and the target portion of the sponge roller 352 is removed. The area in contact is always kept clean.

클리너(35)에서는, 스프레이 노즐(351)에 의한 세정액의 부여로부터, 스펀지 롤러(352)에 의한 대상 부위의 마찰까지의 사이의 시간은, 예를 들면, 1초 이상으로 된다. 이에 따라, 잔토너가 충분히 팽윤하여 스펀지 롤러(352)에 의한 마찰에 의해 세정액 중에 충분히 분산된다.In the cleaner 35, the time from the provision of the cleaning liquid by the spray nozzle 351 to the friction of the target site by the sponge roller 352 is, for example, 1 second or more. As a result, the residual toner swells sufficiently and is sufficiently dispersed in the cleaning liquid by friction by the sponge roller 352.

다음에, 도 2중에 있어서의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는 건조 상태의 스펀지 롤러(353)에 의해 감광체(312)의 대상 부위가 문질러짐으로써, 감광체(312) 상의 세 정액 중에 분산해 있는 잔토너가, 세정액과 함께 스펀지 롤러(353)에 흡수되어 스펀지 롤러(353)에 부착한 상태에서 감광체(312)상에서 제거된다. 스펀지 롤러(353)에 부착된 잔토너는, 스프레이 노즐(3531)에 의해 세정액이 부여된 후, 흡인 노즐(3532)에 의해 세정액과 함께 흡인되어 스펀지 롤러(353)상에서 제거된다. 이에 따라, 스펀지 롤러(353)의 대상 부위에 접촉하는 부위가 항상 청정하고 또한 건조한 상태로 유지된다.Next, the target portion of the photoconductor 312 is rubbed by the dry sponge roller 353 rotating clockwise in FIG. 2, so that the residual toner dispersed in the three semens on the photoconductor 312 is It is absorbed by the sponge roller 353 together with the cleaning liquid and removed on the photosensitive member 312 in a state where it is attached to the sponge roller 353. The residual toner adhered to the sponge roller 353 is applied to the cleaning liquid by the spray nozzle 3531, and is then sucked together with the cleaning liquid by the suction nozzle 3532 to be removed on the sponge roller 353. As a result, the site of contact with the target site of the sponge roller 353 is always kept clean and dry.

스펀지 롤러(354)는, 스펀지 롤러(353)와 마찬가지로, 도 2중에 있어서의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감광체(312)의 대상 부위에 접촉한다. 이에 따라, 잔토너의 일부가 스펀지 롤러(353)에 의해 제거되지 않고 감광체(312)상에 남겨진 경우에도, 당해 잔토너가 세정액과 함께 스펀지 롤러(354)에 흡수되어 감광체(312)상에서 제거된다. 스펀지 롤러(354)에 부착된 잔토너는, 스펀지 롤러(353)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스프레이 노즐(3541)에 의해 세정액이 부여된 후, 흡인 노즐(3542)에 의해 세정액과 함께 흡인되어 스펀지 롤러(354)상에서 제거된다. 이에 따라, 스펀지 롤러(354)의 대상 부위에 접촉하는 부위가 항상 청정하고 또한 건조한 상태로 유지된다.Like the sponge roller 353, the sponge roller 354 contacts the target site of the photosensitive member 312 while rotating clockwise in FIG. Accordingly, even when a part of the residual toner is left on the photoconductor 312 without being removed by the sponge roller 353, the residual toner is absorbed by the sponge roller 354 together with the cleaning liquid and removed on the photoconductor 312. . As in the case of the sponge roller 353, the residual toner adhered to the sponge roller 354 is supplied with the cleaning liquid by the spray nozzle 3551, and then sucked together with the cleaning liquid by the suction nozzle 3542 to form a sponge roller ( 354). As a result, the portion of the sponge roller 354 in contact with the target portion is always kept clean and dry.

클리너(35)에서는, 스펀지 롤러(353, 354)가 감광 드럼(31)과 동일한 회전 방향으로 회전하기 때문에, 스펀지 롤러(353, 354)를 잔토너에 확실히 접촉시킬 수 있고, 이에 따라, 잔토너의 감광체(312)상으로부터의 제거를 보다 확실히 행할 수 있다. 또한, 스펀지 롤러(353, 354)에 부착된 잔토너를 제거할 때에, 흡인 노즐(3532, 3542)에 의한 흡인 전에 스펀지 롤러(353, 354)에 세정액을 부여함으로 써, 잔토너를 스펀지 롤러(353, 354)로부터 효율적으로 흡인할 수 있음과 더불어, 잔토너가 흡인에 의해 분체 토너로 되어 주위에 비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In the cleaner 35, since the sponge rollers 353 and 354 rotate in the same rotational direction as the photosensitive drum 31, the sponge rollers 353 and 354 can be reliably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remaining toner, and thus the residual toner Can be removed from the photosensitive member 312 more reliably. In addition, when removing the residual toner adhered to the sponge rollers 353 and 354, the cleaning liquid is applied to the sponge rollers 353 and 354 before the suction by the suction nozzles 3532 and 3542, so that the residual toner is applied to the sponge roller ( 353 and 354 can be sucked efficiently, and the residual toner can be prevented from being scattered around by becoming a powder toner by suction.

클리너(35)에 의해 감광체(312)의 표면이 클리닝되어 감광체(312)가 기계적으로 초기 상태로 되돌려지면, 램프와 필터의 조합, 혹은, LED 등을 가지는 제전기(36)에 의해 대상 부위에 광이 조사되어 감광체(312)가 제전되어, 전기적으로 초기 상태로 되돌려진다.When the surface of the photoconductor 312 is cleaned by the cleaner 35 and the photoconductor 312 is mechanically returned to an initial state, a combination of a lamp and a filter or a static eliminator 36 having an LED or the like is applied to the target site. Light is irradiated, the photosensitive member 312 is static-discharged, and is electrically returned to an initial state.

상술한 바와 같이, 단계 S11∼S15의 처리는 감광체(312) 상의 각 부위에 대해서 거의 병행하여 행해지고, 전사 위치에 순차적으로 도달하는 감광체(312)의 각 부위에 대해서 연속적으로 처리가 행해진다. 이 때문에, 감광체(312)의 외주면 상의 토너 화상 전체가 전사 위치에 있어서 대상물(9) 상에 전사되고, 이것이 반복됨으로써, 최종적으로 복수의 플렉시블 회로 기판이 되는 대상물(9) 상에, 복수의 플렉시블 회로 기판의 배선 패턴에 대응하는 토너 화상이 형성된다.As described above, the processing of steps S11 to S15 is performed almost in parallel with respect to each site on the photoconductor 312, and the processing is continuously performed for each site of the photoconductor 312 which sequentially reaches the transfer position. For this reason, the entire toner image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photosensitive member 312 is transferred onto the object 9 at the transfer position, and this is repeated, so that a plurality of flexible on the object 9 finally to be a plurality of flexible circuit boards. A toner image corresponding to the wiring pattern of the circuit board is formed.

화상 형성 장치(1)에서는, 대상물(9)의 토너 화상이 형성된 부위가, 이동 기구(2)에 의해 전사 위치로부터 (+Y)측으로 이동되어 정착부(52)의 하방을 통과함으로써, 피전사면(91) 및 피전사면(91) 상의 토너 화상이 정착부(52)에 의해 가열되고, 토너 화상이 피전사면(91)에 정착되어 레지스트 패턴으로 된다(단계 S16).In the image forming apparatus 1, the portion on which the toner image of the object 9 is formed is moved from the transfer position by the moving mechanism 2 to the (+ Y) side and passes below the fixing unit 52, whereby the transfer surface ( 91 and the toner image on the transfer surface 91 are heated by the fixing unit 52, and the toner image is fixed on the transfer surface 91 to form a resist pattern (step S16).

대상물(9)의 토너 화상이 정착된 부위는, 도 1에 도시하는 이동 기구(2)에 의해 화상 형성 장치(1)로부터 에칭 장치(61)로 이동하고, 에칭 장치(61)에 있어서 에칭액이 부여됨으로써, 도전층(94)(도 2 참조)의 토너 화상(즉, 레지스트 패턴)으로부터 노출되는 부위에 에칭이 실시되어 당해 부위가 절연성 기재(93)(도 2 참조) 상에서 제거된다(단계 S17). 이에 따라, 구리로 형성된 도전층(94) 중 토너 화상에 의해 피복된 부분만이 절연성 기재(93) 상에 남겨져, 플렉시블 회로 기판의 배선 패턴(즉, 구리 전극 및 구리 배선)으로 된다.The portion where the toner image of the object 9 is fixed is moved from the image forming apparatus 1 to the etching apparatus 61 by the moving mechanism 2 shown in FIG. 1, and the etching liquid in the etching apparatus 61 is removed. By being applied, etching is performed on a portion exposed from the toner image (i.e., resist pattern) of the conductive layer 94 (see FIG. 2) to remove the portion on the insulating base 93 (see FIG. 2) (step S17). ). As a result, only the portion of the conductive layer 94 made of copper covered by the toner image is left on the insulating base 93 to form a wiring pattern (i.e., copper electrode and copper wiring) of the flexible circuit board.

대상물(9)의 에칭이 실시된 부위는, 이동 기구(2)에 의해 에칭 장치(61)로부터 제1 세정 장치(62)로 이동하고, 제1 세정 장치(62)에 있어서 순수 물이 분사됨으로써, 대상물(9)이 세정되어 대상물(9) 상의 에칭액이 제거된다(단계 S18).The part where the object 9 was etched is moved from the etching apparatus 61 to the 1st cleaning apparatus 62 by the moving mechanism 2, and pure water is sprayed in the 1st cleaning apparatus 62, The object 9 is washed to remove the etchant on the object 9 (step S18).

대상물(9)의 세정이 종료한 부위는, 이동 기구(2)에 의해 제1 세정 장치(62)로부터 화상 제거 장치(63)로 이동하고, 화상 제거 장치(63)에 있어서 박리액이 부여됨으로써, 대상물(9) 상의 토너 화상(즉, 절연성 기재(93) 상에 형성된 배선 패턴 상의 레지스트 패턴)이 배선 패턴으로부터 박리되어 제거된다(단계 S19). 이에 따라, 절연성 기재(93) 및 절연성 기재(93) 상에 구리로 형성된 배선 패턴을 가지는 플렉시블 회로 기판이 형성된다.The portion where the cleaning of the object 9 is completed is moved from the first cleaning device 62 to the image removal device 63 by the moving mechanism 2, and the peeling solution is applied in the image removal device 63. The toner image (i.e., the resist pattern on the wiring pattern formed on the insulating base 93) on the object 9 is peeled off and removed from the wiring pattern (step S19). As a result, a flexible circuit board having a wiring pattern formed of copper on the insulating base 93 and the insulating base 93 is formed.

대상물(9)의 토너 화상이 박리된 부위는, 이동 기구(2)에 의해 화상 제거 장치(63)로부터 제2 세정 장치(64)로 이동하고, 제2 세정 장치(64)에 있어서 순수 물이 분사됨으로써, 대상물(9)이 세정되어 대상물(9) 상의 박리액이 제거된다(단계 S20). 그리고, 대상물(9)의 세정이 종료한 부위는, 이동 기구(2)에 의해 제2 세정 장치(64)로부터 반출되고, 필요에 따라서 가열이나 송풍 등에 의해 건조된 후, 이동 기구(2)의 대상물 회수부(205)에 의해 감겨져 회수된다. 이에 따라, 복수의 플렉시블 회로 기판이 연속한 회로 기판 시트가 형성된다.The portion where the toner image of the object 9 has been peeled off is moved from the image removal device 63 to the second cleaning device 64 by the moving mechanism 2, and pure water is removed in the second cleaning device 64. By spraying, the object 9 is washed and the peeling liquid on the object 9 is removed (step S20). And the site | part which the washing | cleaning of the target object 9 complete | finished is carried out from the 2nd washing | cleaning apparatus 64 by the moving mechanism 2, and if needed, after drying by heating, ventilation, etc., It is wound up by the object recovery part 205 and recovered. As a result, a circuit board sheet in which a plurality of flexible circuit boards are continuous is formed.

이상에서 설명한 것처럼, 패턴 형성 시스템(100)에서는, 이동 기구(2)의 대 상물 공급부(203)에 의해 보유된 롤형상의 대상물(9)이, 화상 형성 장치(1)의 전사 위치로 공급되어 토너 화상의 전사 및 정착이 행해지고, 또한, 에칭 장치(61) 및 화상 제거 장치(63)에 의해 에칭 및 토너 화상의 제거가 행해진 후에 대상물 회수부(205)에 의해 회수됨으로써, 복수의 플렉시블 회로 기판으로 되는 회로 기판 시트를 신속하게 형성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in the pattern forming system 100, the roll-shaped object 9 held by the object supply unit 203 of the moving mechanism 2 is supplied to the transfer position of the image forming apparatus 1. A plurality of flexible circuit boards are recovered by the object recovery unit 205 after the toner image is transferred and fixed and the etching and removal of the toner image are performed by the etching apparatus 61 and the image removing apparatus 63. A circuit board sheet to be formed can be formed quickly.

화상 형성 장치(1)에서는, 에칭 내성을 가지는 습식 토너에 의해 감광 드럼(31)의 외주면 상에 형성된 토너 화상을, 감광 드럼(31)과 대상물(9)의 피전사면(91)의 사이에 전사 전압을 작용시킴으로써 대상물(9)에 전사하고, 전사된 토너 화상을 대상물(9) 상에 정착시킴으로써 레지스트 패턴이 형성된다.In the image forming apparatus 1, the toner image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photosensitive drum 31 by the liquid toner having etching resistance is transferred between the photosensitive drum 31 and the transfer surface 91 of the object 9. A resist pattern is formed by transferring to the object 9 by applying a voltage, and fixing the transferred toner image on the object 9.

이와 같이, 레지스트 패턴으로 되는 토너 화상을 대상물(9)에 정전 전사함으로써, 대상물의 전면에 형성된 감광성의 레지스트막에 마스크 등을 통한 광의 조사 및 현상을 행함으로써 레지스트 패턴을 형성하는 근접 노광 방식에 비해, 마스크 등의 제조 및 보관에 관한 비용을 삭감하여 레지스트 패턴의 형성에 관한 비용을 저감할 수 있다. 나아가, 레지스트 패턴에 대응한 마스크 등을 요하지 않음으로써, 예를 들면, 다품종의 플렉시블 회로 기판을 소량씩 생산하는 경우에, 복수 종류의 레지스트 패턴의 형성을 저비용으로 효율적으로 행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electrostatic transfer of the toner image, which becomes a resist pattern, to the object 9, compared with the proximity exposure method of forming a resist pattern by irradiating and developing light through a mask or the like on a photosensitive resist film form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object. The cost associated with the formation of the resist pattern can be reduced by reducing the costs associated with the manufacture and storage of the mask and the like. Further, by not requiring a mask or the like corresponding to the resist pattern, for example, when a small amount of a large variety of flexible circuit boards are produced, formation of a plurality of types of resist patterns can be efficiently performed at low cost.

또한, 대상물의 전면에 형성된 감광성의 레지스트막 상에 있어서의 광 빔의 주사 및 현상을 행함으로써 레지스트 패턴을 형성하는 직접 묘화 방식에 비해, 레지스트 패턴을 신속하게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레지스트막의 감도는 비교적 낮기 때문에, 직접 묘화 방식에서는 레지스트막의 노광에 고출력의 레이저 광원이 필요하게 되는데, 화상 형성 장치(1)에서는, 감광체(312)의 감도가 상기 레지스트막보다도 높기 때문에, 감광체(312)에 레지스트 패턴에 대응하는 패턴을 노광하는 잠상 형성부(33)의 출력을, 직접 묘화 방식의 레이저 광원에 비해 작게 할 수 있어, 장치의 비용을 저감할 수 있다.Further, by performing the scanning and developing of the light beam on the photosensitive resist film formed on the entire surface of the object, the resist pattern can be formed faster than the direct drawing method of forming the resist pattern. In addition, since the sensitivity of the resist film is relatively low, in the direct drawing method, a high power laser light source is required for exposure of the resist film. In the image forming apparatus 1, since the sensitivity of the photosensitive member 312 is higher than that of the resist film, The output of the latent image forming part 33 which exposes the photosensitive member 312 to a pattern corresponding to the resist pattern can be made smaller than the laser light source of the direct drawing method, and the cost of the apparatus can be reduced.

근접 노광 방식이나 직접 묘화 방식에서는, 레지스트막을 어느 정도 이상 얇게 하는(예를 들면, 두께 5㎛이하로 한다) 것이 어렵기 때문에, 후공정의 에칭에 의해 형성되는 배선 패턴의 고정밀화에 한계가 있는데, 화상 형성 장치(1)에서는, 입경이 2㎛이하의 작은 습식 토너에 의해 형성한 토너 화상을 레지스트 패턴으로 함으로써, 후공정의 에칭에 의해 형성되는 배선 패턴의 고정밀화를 한층 더 실현할 수 있다.In the proximity exposure method and the direct drawing method, it is difficult to thin the resist film to some extent (for example, 5 µm or less in thickness), and thus there is a limit to the high precision of the wiring pattern formed by the etching in the later step. In the image forming apparatus 1, by making a toner image formed by a small liquid toner having a particle diameter of 2 µm or less as a resist pattern, it is possible to further realize high precision of the wiring pattern formed by etching in a later step.

또한, 화상 형성 장치(1)에서는, 근접 노광 방식이나 직접 묘화 방식에 있어서 필요한 레지스트막의 형성 공정, 노광 공정 및 현상 공정에 대신하여, 토너 화상의 전사 및 정착 공정만에 의해 레지스트 패턴을 형성할 수 있으므로, 레지스트 패턴의 형성에 필요로 하는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에칭에 의한 배선 패턴의 형성에 있어서, 레지스트 패턴의 형성 공정이 다른 공정보다도 소요 시간이 긴 보틀넥(bottleneck)이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배선 패턴의 형성에 관한 일련의 공정(즉, 레지스트 패턴의 형성 공정이나 에칭 공정, 레지스트 패턴의 박리 공정 등)을, 패턴 형성 시스템(100)과 같은 하나의 시스템으로 연속적으로 행할 수 있다. 패턴 형성 시스템(100)에서는, 배선 패턴을 신속하고 또한 고정밀도로 형성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image forming apparatus 1, instead of the formation process, exposure process, and development process of the resist film required in the proximity exposure method or the direct drawing method, the resist pattern can be formed only by the transfer and fixation process of the toner image. Therefore, the time required for formation of the resist pattern can be shortened. Accordingly, in the formation of the wiring pattern by etching,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process of forming the resist pattern from becoming a bottleneck which takes a longer time than other processes, so that a series of processes relating to the formation of the wiring pattern (that is, , A resist pattern forming step, an etching step, a resist pattern peeling step, and the like) can be continuously performed in one system such as the pattern forming system 100. In the pattern formation system 100, a wiring pattern can be formed quickly and with high precision.

나아가, 화상 형성 장치(1)에서는, 대상물(9)에의 토너 화상의 전사를 상술한 바와 같이 정전 전사에 의해 행하므로, 열용융 전사 등과 같이 전사 시에 토너 화상을 용융하거나 압접하는 경우에 비해, 전사 시에 토너 화상이 어지러워지거나 흐트러지는 것을 확실히 방지할 수 있어, 레지스트 패턴으로서 이용되는 토너 화상을 대상물(9) 상에 고정밀도로 형성할 수 있다.Furthermore, in the image forming apparatus 1, the transfer of the toner image to the object 9 is performed by electrostatic transfer as described above, compared with the case where the toner image is melted or press-bonded during transfer such as hot melt transfer. It is possible to reliably prevent the toner image from being disturbed or disturbed during the transfer, and a toner image used as a resist pattern can be formed on the object 9 with high precision.

상술한 바와 같이, 화상 형성 장치(1)에서는, 습식 토너로 형성된 토너 화상 상으로부터 습식 토너와 동 극성의 제1 전위가 제1 전위 부여부(4)에 의해 감광체(312)의 외주면에 부여되고, 제2 전위 부여부(5)에 의해, 대상물(9)의 도전성의 피전사면(91)이 전기적으로 접지됨으로써(즉, 피전사면(91)에 접지 전위가 부여된다), 감광체(312)와 피전사면(91)의 사이에 전사 전압이 작용하고, 토너 화상이 감광체(312)로부터 대상물(9)의 피전사면(91)에 전사된다.As described above, in the image forming apparatus 1, a first potential having the same polarity as that of the liquid toner is applied to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photosensitive member 312 by the first potential providing portion 4 from the toner image formed of the liquid toner. The electrically conductive transfer surface 91 of the object 9 is electrically grounded (that is, a ground potential is applied to the transfer surface 91) by the second potential providing unit 5, so that the photoconductor 312 A transfer voltage is applied between the transfer surface 91, and the toner image is transferred from the photosensitive member 312 to the transfer surface 91 of the object 9.

이와 같이, 화상 형성 장치(1)에서는, 건식 토너보다도 입경이 작은 습식 토너에 의해 토너 화상을 형성함으로써, 토너 화상 상으로부터 감광체(312)의 외주면에 제1 전위를 부여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고, 토너 화상의 전사에 이용되는 전사 전압을, 대상물(9)에 접지 전위를 부여하면서 감광체(312)로의 제1 전위의 부여에 의해 작용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감광체(312)와 피전사면(91)의 사이의 공간에 있어서 전사 전압에 의한 박리 방전이 발생한 경우에도, 피전사면(91)의 박리 방전이 발생한 부위의 전위를 접지 전위인 채로 유지하여, 박리 방전의 지속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대상물에 부여된 전하가 토너로 이동함으로써 생기는 전사 누락(즉, 감광 드럼 상의 토너가 대상물로 전사되지 않는 현상, 혹은, 대상물 상에 일 단 전사된 토너가 감광 드럼으로 되돌아가 버리는 현상)의 발생도 방지할 수 있다. 그 결과, 박리 방전이나 전사 누락에 의한 토너 화상의 품질 저하나 파괴를 방지하여 도전성의 피전사면(91)에 대한 토너 화상의 전사(즉, 대상물(9)에 대한 토너 화상의 형성)를 안정되게 행할 수 있다.In this manner, in the image forming apparatus 1, by forming the toner image with a liquid toner having a particle size smaller than that of the dry toner, the first potential can be applied to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photosensitive member 312 from the toner image, thereby toner The transfer voltage used for the transfer of the image can be caused by applying the first potential to the photosensitive member 312 while giving the ground potential to the object 9. Thus, even when peeling discharge due to the transfer voltage occurs in the space between the photosensitive member 312 and the transfer surface 91, the potential of the portion where the peeling discharge of the transfer surface 91 has occurred remains at ground potential. The continuation of peeling discharge can be prevented. In addition, transfer omission caused by the transfer of charges to the object to the toner (i.e., the phenomenon that the toner on the photosensitive drum is not transferred to the object, or the toner transferred once on the object is returned to the photosensitive drum). It can also be prevented. As a result, the toner image is prevented from being degraded or destroyed due to peeling discharge or transfer failure, thereby stably transferring the toner image (i.e., forming the toner image to the object 9) onto the conductive transfer surface 91. I can do it.

프로세스 유닛(3)에서는, 제1 전위 부여부(4)가, 코로나 방전에 의해 발생한 이온을 감광체(312)의 외주면에 부여하는, 코로나 대전 기구로 됨으로써, 감광체(312)에 제1 전위를 용이하게 부여할 수 있다.In the process unit 3, the first potential providing unit 4 serves as a corona charging mechanism that imparts ions generated by corona discharge to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photosensitive member 312, thereby easily providing the first potential to the photosensitive member 312. Can be given.

프로세스 유닛(3)에서는, 잠상 형성부(33)에 의해 감광체(312)의 외주면에 정전 잠상을 형성하고, 현상부(34)에 의해 습식 토너로 정전 잠상을 현상하는 전자 사진법에 의해 토너 화상을 형성함으로써, 프로세스 유닛(3) 및 화상 형성 장치(1)의 구조를 간소화할 수 있다. 또한, 습식 토너의 입경을 2㎛이하로 함으로써, 제1 전위 부여부(4)에 의한 토너 화상 상으로부터의 감광체(312)로의 제1 전위의 부여를 확실하고 용이하게 실현할 수 있다. 나아가, 습식 토너에 의해 형성되는 레지스트 패턴을 얇게 할 수 있어, 후공정의 에칭으로 형성되는 배선 패턴을 더욱 고정밀화할 수 있다. 또한, 습식 토너의 주성분을 아세트산비닐로 함으로써, 레지스트 패턴의 에칭 내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In the process unit 3, the latent image forming unit 33 forms an electrostatic latent image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photosensitive member 312, and the developing unit 34 develops the electrostatic latent image with the liquid toner by an electrophotographic method. By forming the structure, the structures of the process unit 3 and the image forming apparatus 1 can be simplified. Further, by setting the particle size of the liquid toner to 2 µm or less, the provision of the first potential to the photosensitive member 312 from the toner image on the toner image by the first potential providing portion 4 can be reliably and easily realized. Further, the resist pattern formed by the liquid toner can be made thin, and the wiring pattern formed by the etching in a later step can be further refined. Further, by setting the main component of the liquid toner as vinyl acetate, the etching resistance of the resist pattern can be improved.

화상 형성 장치(1)에서는, 제1 전위 부여부(4) 및 제2 전위 부여부(5)에 의해 부여되는 제1 전위 및 제2 전위는, 상술한 전위에는 반드시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대상물(9)의 피전사면(91)은, 반드시 제2 전위 부여부(5)에 의해 전기적으로 접지될 필요는 없고, 제2 전위 부여부(5)에 의해 접지 전위에 실질적으로 동일한 제2 전위가 부여되면 된다. 구체적으로는, 제2 전위의 절대치가, 제1 전위 부여부(4)에 의해 감광체(312)에 부여되는 제1 전위의 절대치의 5%이하로 되어 있으면 되고, 상술한 바와 같이, 제1 전위가 +800V인 경우에는, -40V이상 +40V이하로 된다. 이 경우에도, 박리 방전이나 전사 누락에 의한 토너 화상의 품질 저하나 파괴를 방지하여 도전성의 피전사면(91)에 대한 토너 화상의 전사를 안정되게 행할 수 있다.In the image forming apparatus 1, the first potential and the second potential provided by the first potential applying unit 4 and the second potential providing unit 5 are not necessarily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potentials. For example, the transfer surface 91 of the object 9 does not necessarily need to be electrically grounded by the second potential providing portion 5, and is substantially connected to the ground potential by the second potential providing portion 5. The same second potential may be provided. Specifically, the absolute value of the second potential needs to be 5% or less of the absolute value of the first potential applied to the photosensitive member 312 by the first potential providing portion 4, and as described above, the first potential Is + 800V, -40V or more and + 40V or less. Even in this case, the toner image can be transferred to the conductive transfer surface 91 stably by preventing the deterioration or destruction of the toner image due to peeling discharge or transfer omission.

도 5는, 제1 전위 및 제2 전위를 다양하게 변화시켜 제1 전위 및 제2 전위와 토너 화상의 품질(전사 품질) 및 전사 효율의 관계를 나타내는 표이다. 도 5에 나타내는 바와같이, 제1 전위를, 대전기(32)에 의해 감광체(312)에 부여되는 전위(+700V)보다도 작은 +500V로 하면, 제2 전위를 -200V∼-400V로 변화시켜 제1 전위와 제2 전위의 차이(즉, 전사 전압)를 변경해도, 박리 방전에 의한 방전 모양이나 전사 누락이 발생하여, 전사 품질은 양호하게는 되지 않는다. 또, 제1 전위를, 대전기(32)에 의해 감광체(312)에 부여되는 전위 이상으로 한 경우에도, 제2 전위가 -100V나 -200V 등과 같이 접지 전위(OV)로부터 크게 떨어져 있으면, 전사 품질은 양호하게 되지 않는다.5 is a table show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first potential and the second potential and the quality (transfer quality) and the transfer efficiency of the toner image by varying the first potential and the second potential. As shown in FIG. 5, when the first potential is set to + 500V which is smaller than the potential (+ 700V) applied to the photosensitive member 312 by the charger 32, the second potential is changed to -200V to -400V so that the first potential is changed. Even if the difference between the potential and the second potential (that is, the transfer voltage) is changed, the discharge pattern and the transfer omission caused by the peeling discharge occur, and the transfer quality is not good. Also, even when the first potential is set to be equal to or higher than the potential applied to the photosensitive member 312 by the charger 32, if the second potential is largely separated from the ground potential OV such as -100 V or -200 V, the transfer is performed. Quality is not good.

이에 대해, 제1 전위를, 대전기(32)에 의해 감광체(312)에 부여되는 전위(+700V) 이상으로 하고, 또한, 제2 전위를 접지 전위로 한 경우는, 전사 품질이 양호하게 된다. 다만, 제1 전위가 +900V와 같이 대전기(32)에 의해 감광체(312)에 부여되는 전위로부터 크게 떨어져 있으면, 역시 방전 모양이 발생한다. 따라서 화상 형성 장치(1)에서는, 제1 전위를, 대전기(32)에 의해 감광체(312)에 부여되는 전 위(+700V) 이상이며 당해 전위로부터 크게 떨어지지 않는 범위내인 +700V 이상 +900V미만(보다 바람직하게는, +700V이상 +850V이하)으로 하고, 제2 전위를 접지 전위(혹은, 접지 전위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전위)로 함으로써, 양호한 전사 품질을 실현할 수 있다. 또한, 제1 전위를 +800V로 함으로써, 전사 효율을 향상시킬 수도 있다. 또한, 제1 전위의 바람직한 범위는, 습식 토너의 종류나 감광체(312)의 재질, 감광 드럼(31)의 곡률 반경 등, 다양한 요인에 의해 변화하고, 예를 들면, 습식 토너의 대전량이나 감광체(312)와 습식 토너의 밀착력 등에 의해,+400V정도에서도 양호한 전사 품질을 얻을 수 있는 경우도 있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first potential is equal to or more than the potential (+700 V) applied to the photosensitive member 312 by the charger 32 and the second potential is set to the ground potential, the transfer quality is good. However, if the first potential is largely separated from the potential imparted to the photosensitive member 312 by the charger 32, such as + 900V, the discharge shape also occurs. Therefore, in the image forming apparatus 1, the first potential is greater than or equal to (+700 V) applied to the photosensitive member 312 by the charger 32 and is more than +700 V or less than +900 V in a range not significantly separated from the potential. Preferably, it is +700 V or more and +850 V or less, and by setting the second potential to the ground potential (or a potential substantially equal to the ground potential), good transfer quality can be realized. In addition, the transfer efficiency can also be improved by setting the first potential to + 800V. Moreover, the preferable range of a 1st electric potential changes with various factors, such as the kind of liquid toner, the material of the photosensitive member 312, and the radius of curvature of the photosensitive drum 31, For example, the charge amount of a liquid toner, a photoreceptor Good adhesion quality may be obtained even at about + 400V due to the adhesion between the 312 and the liquid toner.

다음에, 본 발명의 제2의 실시의 형태에 관한 패턴 형성 시스템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6은, 제2의 실시의 형태에 관한 패턴 형성 시스템의 화상 형성 장치(1a)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화상 형성 장치(1a)에서는, 중간 전사체(251)를 가지는 중간 전사부(25)가 설치되고, 감광 드럼(31) 상의 토너 화상은 중간 전사체(251)를 통해 간접적으로 대상물(9) 상에 전사된다. 그 외의 구성은, 도 2에 도시하는 화상 형성 장치(1)와 동일하고,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동일한 부호를 붙인다.Next, the pattern formation system which concerns on the 2nd Embodiment of this invention is demonstrated. FIG. 6 is a diagram illustrating the image forming apparatus 1a of the pattern forming system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In the image forming apparatus 1a, an intermediate transfer portion 25 having an intermediate transfer member 251 is provided, and the toner image on the photosensitive drum 31 is indirectly imaged on the object 9 through the intermediate transfer member 251. Is transferred to. The other structure is the same as the image forming apparatus 1 shown in FIG. 2, and attaches | subjects the same code | symbol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도 6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중간 전사체(251)는, 유전 재료로 형성되는 평벨트 형상의 환상 부재로 되고, 2개의 롤러(252a, 252b)에 외접하여 설치된다. 한쪽의 롤러(252a)에는 모터가 접속되고, 모터가 구동됨으로써, 감광 드럼(31) 상의 토너 화상에 맞닿으면서 중간 전사체(251)가 외주면을 따라서 순환 이동한다. 또한, 다른쪽의 롤러(252b)에는 직류 전원(253)이 접속된다. 또한, 도 2의 화상 형성 장 치(1)와 비교해, 제1 전위 부여부(4)가 중간 전사체(251)의 전사 위치의 직전에 설치되고, 중간 전사체(251)에 대향하는 대상물(9)의 이동 방향이 반대 방향((-Y)방향)으로 되는 점에서 더욱 상이하다.As shown in FIG. 6, the intermediate transfer member 251 is a flat belt-shaped annular member formed of a dielectric material and is provided outside the two rollers 252a and 252b. A motor is connected to one roller 252a, and by driving the motor, the intermediate transfer member 251 circulates alo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while contacting the toner image on the photosensitive drum 31. In addition, a DC power supply 253 is connected to the other roller 252b. In addition, compared with the image forming apparatus 1 of FIG. 2, the first dislocation applying unit 4 is provided immediately before the transfer position of the intermediate transfer member 251, and is opposed to the intermediate transfer member 251 ( It is further different in that the moving direction of 9) becomes the opposite direction ((-Y) direction).

화상 형성 장치(1a)에서는, 프로세스 유닛(3)의 대전기(32), 잠상 형성부(33), 현상부(34) 등에 의해 감광체(312) 상에 형성된 토너 화상이, 롤러(252b)를 통해 중간 전사체(251)에 부여되는 전위에 의해, 중간 전사체(251) 상에 전사된다. 즉, 중간 전사체(251)나 중간 전사체(251)를 순환 이동시키는 기구를 포함하는 중간 전사부(25)는, 중간 전사체(251)의 외주면 상에 전사 전의 토너 화상을 간접 적으로 형성하여 보유하는 토너 화상 보유부로 되어 있다. 또한, 화상 형성 장치(1a)에서는, 중간 전사체(251)의 외주면과 대상물(9)이 가장 근접하는 전사 위치의 직전에 있어서, 제1 전위 부여부(4)에 의해, 토너 화상 상으로부터 소정의 전위가 중간 전사체(251)의 외주면에 대략 균일하게 부여되고, 전위가 부여된 대상 부위는 대상물(9)을 향해 이송된다.In the image forming apparatus 1a, the toner image formed on the photosensitive member 312 by the charger 32, the latent image forming unit 33, the developing unit 34, or the like of the process unit 3 is formed by the roller 252b. By the potential applied to the intermediate transfer member 251 via the transfer, it is transferred onto the intermediate transfer member 251. That is, the intermediate transfer portion 25 including the intermediate transfer member 251 or the mechanism for circulating the intermediate transfer member 251 indirectly forms the toner image before transfer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intermediate transfer member 251. And a toner image holding portion for holding. In addition, in the image forming apparatus 1a, the first potential providing portion 4 determines the image from the toner image immediately before the transfer position at which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intermediate transfer member 251 and the object 9 are closest to each other. Dislocation of is substantially uniformly given to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intermediate transfer member 251, and the target site | part to which dislocation was provided is conveyed toward the target object 9.

화상 형성 장치(1a)에서는, 도 2의 화상 형성 장치(1)와 마찬가지로, 대상물(9)의 전사 위치의 부위가 중간 전사체(251)의 전사 위치의 부위와 동일한 속도로 같은 방향으로 이동한다. 그리고, 제2 전위 부여부(5)의 접촉자(51)에 의해 대상물(9)의 피전사면(91)에 접지 전위가 부여됨으로써, 전사 위치에 있어서, 습식 토너에 대상물(9)로 향하는 전기적 힘이 작용하고, 중간 전사체(251) 상의 토너 화상이 대상물(9) 상에 높은 정밀도로 전사된다.In the image forming apparatus 1a, similar to the image forming apparatus 1 of FIG. 2, the portion of the transfer position of the object 9 moves in the same direction at the same speed as the portion of the transfer position of the intermediate transfer member 251. . Then, the ground potential is applied to the transfer surface 91 of the object 9 by the contactor 51 of the second dislocation imparting part 5, whereby the electric force directed to the object 9 to the liquid toner at the transfer position. This action causes the toner image on the intermediate transfer member 251 to be transferred onto the object 9 with high precision.

다음에, 본 발명의 제3의 실시의 형태에 관한 패턴 형성 시스템에 대해서 설 명한다. 제3의 실시의 형태에 관한 패턴 형성 시스템에서는, 절연성 기재인 유리 기판, 및, 절연성 기재의 하나의 주면 전체에 형성된 도전층인 ITO(Indium Tin Oxide:산화인듐주석)막을 구비하는 판형상의 대상물에 대한 배선 패턴의 형성이 행해진다. 도 7은, 제3의 실시의 형태에 관한 패턴 형성 시스템의 화상 형성 장치(1b)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화상 형성 장치(1b)에서는, 도 2에 도시하는 화상 형성 장치(1)의 이동 기구(2)에 대신하여, 도 7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이동 기구(2a)가 설치된다. 그 외의 구성은 도 2에 도시하는 화상 형성 장치(1)와 동일하고,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동 부호를 붙인다.Next, a pattern forming system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the pattern formation system which concerns on 3rd Embodiment, in the plate-shaped object provided with the glass substrate which is an insulating base material, and the ITO (Indium Tin Oxide) film which is a conductive layer formed in the whole one main surface of an insulating base material, The wiring pattern is formed. FIG. 7: is a figure which shows the image forming apparatus 1b of the pattern forming system which concerns on 3rd Embodiment. In the image forming apparatus 1b, instead of the moving mechanism 2 of the image forming apparatus 1 shown in FIG. 2, as shown in FIG. 7, the moving mechanism 2a is provided. The other structure is the same as that of the image forming apparatus 1 shown in FIG. 2, and the same code | symbol is attached | subjected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도 7에 도시하는 화상 형성 장치(1b)에서는, 두께 약 0.7mm의 절연성 기재(93)인 유리 기판 상에 비저항이 약 10-6Ω·cm∼약 103Ω·cm의 도전층(94)인 ITO막(ITO 잉크의 도포 등에 의해 형성된다)을 가지는 대상물(9a)의 ITO막 표면인 피전사면(91)에 대해서, 제1의 실시의 형태와 마찬가지로, 에칭 내성을 가지는 습식 토너에 의해 토너 화상이 형성되고, 정착부(52)에 의해 피전사면(91)에 정착됨으로써 레지스트 패턴이 형성된다.In the image forming apparatus 1b shown in FIG. 7, the conductive layer 94 having a specific resistance of about 10 −6 Ω · cm to about 10 3 Ω · cm on a glass substrate that is an insulating base 93 having a thickness of about 0.7 mm. The toner by the liquid toner having etching resistance as in the first embodiment is applied to the transfer surface 91 which is the surface of the ITO film of the object 9a having the phosphorus ITO film (formed by application of ITO ink or the like). An image is formed, and the resist pattern is formed by fixing to the to-be-transferred surface 91 by the fixing | fixed part 52. FIG.

이동 기구(2a)는, 도 7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대상물(9a)을 흡착 보유하는 보유부인 스테이지(21), 정반(11) 상에 설치됨과 더불어 스테이지(21)를 Y방향으로 슬라이드하는 슬라이드 기구(22), 및, 스테이지(21)에 의한 대상물(9a)의 흡착 보유를 제어하는 흡착 제어부(23)(후술의 도 8 참조)를 구비한다.As shown in FIG. 7, the movement mechanism 2a is provided on the stage 21 and the surface plate 11 which are the holding | maintenance parts which hold | maintain and hold | maintain the object 9a, and the slide which slides the stage 21 to a Y direction. The mechanism 22 and the adsorption control part 23 (refer FIG. 8 mentioned later) which controls the adsorption | suction retention of the target object 9a by the stage 21 are provided.

도 8은, 스테이지(21) 및 흡착 제어부(23)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8에 서는, 대상물(9a)을 2점 쇄선으로 표시한다. 도 7 및 도 8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스테이지(21)의 대상물(9a)이 재치되는 보유면(210)은, 정밀도가 높은 평면으로 되어 있고, 보유면(210)에는 각각이 대상물(9a)의 반송 방향으로 수직인 X방향으로 신장됨과 더불어 반송 방향으로 배열된 복수의 흡착 요소인 홈(211)이 형성되어 있다.8 is a plan view illustrating the stage 21 and the adsorption control unit 23. In FIG. 8, the object 9a is shown by the dashed-dotted line. As shown in FIG. 7 and FIG. 8, the holding surface 210 on which the object 9a of the stage 21 is placed is a plane with high precision, and each of the holding surface 210 is an object 9a. Groove 211 which is a plurality of adsorption elements arranged in the conveyance direction while extending in the X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conveyance direction of is formed.

스테이지(21)의 (+X)측 및 (-X)측에는, 복수의 튜브(212)가 장착되어 있고, 각 홈(211)은 대응하는 2개의 튜브(212)를 통해 흡착 제어부(23)에 접속되고, 흡착 제어부(23)는 도시 생략의 감압 펌프에 접속된다. 스테이지(21)에서는, 감압 펌프에 의해 복수의 홈(211)으로부터 공기가 흡인되어 대상물(9a)이 보유면(210) 상에 흡착 보유되고, 흡착 제어부(23)에 의해, 각 홈(211)에 의한 흡착이 개별적으로 ON/OFF 가능하게 된다. 또한, 실제로는, 튜브(212)는 스테이지(21)의 이동의 방해가 되지 않게 충분히 길게, 묶여져 구부러져 있다.On the (+ X) side and the (-X) side of the stage 21, a plurality of tubes 212 are mounted, and each groove 211 is connected to the adsorption control unit 23 through two corresponding tubes 212. The suction control unit 23 is connected to a pressure reducing pump (not shown). In the stage 21, air is sucked from the plurality of grooves 211 by a pressure reducing pump, and the object 9a is sucked and held on the holding surface 210, and each groove 211 is provided by the suction control unit 23. Adsorption by means of ON / OFF can be performed individually. In addition, the tube 212 is actually tied and bent long enough so that the movement of the stage 21 may not be disturbed.

도 7에 도시하는 화상 형성 장치(1b)에서는, 대상물(9a)의 전체가 스테이지(21)에 흡착된 경우에, 전사 위치에 있어서의 프로세스 유닛(3)의 감광체(312)의 외주면과 대상물(9a)의 피전사면(91)의 사이에 30㎛ 내지 100㎛(바람직하게는, 40㎛∼80㎛)의 설계상의 간극이 생기도록 감광 드럼(31)과 스테이지(21)가 위치 결정되어 있다. 그리고, 후술하는 바와같이, 토너 화상의 전사 시에 스테이지(21)에 의한 흡착이 부분적으로 해제되어 대상물(9a)이 도 7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감광 드럼(31)에 전기적으로 끌어당겨져, 대상물(9a)의 전사 위치의 부위가 30㎛ 내지 100㎛(바람직하게는, 40㎛∼80㎛)만큼 휘어진다. 또한,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대상 물(9a)의 휨량은 50㎛로 설정되어 있고, 도 7에서는, 대상물(9a)의 휨량을 실제보다도 크게 도시하고 있다.In the image forming apparatus 1b illustrated in FIG. 7, when the entirety of the object 9a is attracted to the stage 21,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photosensitive member 312 of the process unit 3 at the transfer position and the object ( The photosensitive drum 31 and the stage 21 are positioned so that a design gap of 30 µm to 100 µm (preferably 40 µm to 80 µm) may be formed between the transfer surfaces 91 of 9a). Then, as will be described later, adsorption by the stage 21 is partially released during transfer of the toner image so that the object 9a is electrically attracted to the photosensitive drum 31 as shown in FIG. The site | part of the transcription position of 9a) is bent by 30 micrometers-100 micrometers (preferably 40 micrometers-80 micrometers). In addition, in this embodiment, the curvature amount of the target object 9a is set to 50 micrometers, and FIG. 7 shows the curvature amount of the target object 9a larger than it actually is.

도 9는 이동 기구(2a)를 도시하는 측면도이며, 도 7중의 (-Y)측으로부터 (+Y) 방향을 향해 본 모습을 나타내고 있다. 슬라이드 기구(22)는, 정반(11) 상에 있어서, 각각이 Y방향으로 신장하는 1쌍의 가이드 레일(231)을 가지고, 스테이지(21)에는 각 가이드 레일(231)에 대향하는 위치에 슬라이더(232)가 설치된다. 각 슬라이더(232)에는 에어 공급부(233)로부터 고압의 에어가 공급되어 슬라이더(232)가 가이드 레일(231)에 비접촉으로 걸어맞춰지고, 스테이지(21)가 Y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지지된다. 또한, 슬라이드 기구(22)는 리니어 모터(24)를 더 가지고, 리니어 모터(24)의 고정체(241)는 정반(11) 상에 고정되고, 이동체(242)는 스테이지(21)에 장착된다. 그리고, 리니어 모터(24)를 구동함으로써, 스테이지(21)가 대상물(9a)과 함께 Y방향으로 자연스럽게 이동한다.FIG. 9: is a side view which shows the movement mechanism 2a, and has shown the state seen from the (-Y) side in FIG. 7 toward the (+ Y) direction. On the surface plate 11, the slide mechanism 22 has a pair of guide rails 231 which extend in the Y direction, and the stage 21 has a slider at a position opposite to each guide rail 231. 232 is installed. High pressure air is supplied to each slider 232 from the air supply part 233, the slider 232 engages non-contact with the guide rail 231, and the stage 21 is supported so that a movement to a Y direction is possible. In addition, the slide mechanism 22 further has a linear motor 24, the fixed body 241 of the linear motor 24 is fixed on the surface plate 11, and the movable body 242 is mounted to the stage 21. . Then, by driving the linear motor 24, the stage 21 naturally moves in the Y direction together with the object 9a.

도 7에 도시하는 전위 부여부(5)는, 제1의 실시의 형태와 마찬가지로, 전사 위치의 (+Y)측 및 (-Y)측에 각각 배치되는 2개의 접촉자(51)를 구비하고, 접촉자(51)는, 도전성 재료로 형성되는 브러쉬를 가진다. 도 8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Y)측 및 (-Y)측의 접촉자(51)는, 스테이지(21)의 (-X)측에 배치되어 있고, 각 접촉자(51)는 도시 생략의 지지 부재에 의해 지지된다.The dislocation provision part 5 shown in FIG. 7 is equipped with the two contactors 51 arrange | positioned respectively at the (+ Y) side and (-Y) side of a transfer position similarly to 1st Embodiment, and a contactor 51 has a brush formed of a conductive material. As shown in Fig. 8, the contactors 51 on the (+ Y) side and the (-Y) side are arranged on the (-X) side of the stage 21, and each contact 51 is not shown in the illustration. Supported by the member.

도 7에 도시하는 접촉자(51)는 대상물(9a)의 피전사면(91)에 직접 맞닿는다. 실제로는, 대상물(9a)은 도 8중의 (-Y)측으로부터 (+Y) 방향을 향해 이동하므로, 대상물(9a)의 (+Y)측의 단부가 전사 위치에 위치하는 동안은 (-Y)측의 접촉 자(51)가 대상물(9a)의 피전사면(91)에 맞닿고, 대상물(9a)의 (-Y)측의 단부가 전사 위치에 위치하는 동안은 (+Y)측의 접촉자(51)가 대상물(9a)의 피전사면(91)에 맞닿아, 토너의 전사 시에 있어서 (+Y)측 및 (-Y)측의 접촉자(51)중 적어도 한쪽이 피전사면(91)에 항상 맞닿는다. 도 7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각 접촉자(51)의 전극은 전기적으로 접지되어 있으므로, 대상물(9a)의 피전사면(91)도 전기적으로 접지된다. 환언하면, 제2 전위 부여부(5)의 접촉자(51)에 의해, 대상물(9a)의 피전사면(91)에 접지 전위인 제2 전위가 부여된다.The contactor 51 shown in FIG. 7 directly contacts the transfer surface 91 of the object 9a. In practice, the object 9a moves from the (-Y) side in FIG. 8 toward the (+ Y) direction, so that the (-Y) side while the end of the (9) side of the object 9a is located at the transfer position. Contactor 51 on the (+ Y) side while the contactor 51 contacts the transfer surface 91 of the object 9a and the end portion on the (-Y) side of the object 9a is located at the transfer position. Touches the transfer surface 91 of the object 9a so that at least one of the contacts 51 on the (+ Y) side and the (−Y) side always contacts the transfer surface 91 at the time of transfer of the toner. As shown in Fig. 7, the electrodes of the respective contactors 51 are electrically grounded, so that the transfer surface 91 of the object 9a is also electrically grounded. In other words, the contact potential 51 of the 2nd electric potential provision part 5 gives the 2nd electric potential which is a ground electric potential to the to-be-transmitted surface 91 of the target object 9a.

화상 형성 장치(1b)에 의한 대상물(9a)로의 토너 화상의 형성 흐름은, 제1의 실시의 형태에 있어서의 토너 화상의 형성 흐름(도 3 참조)과 거의 같다. 화상 형성 장치(1b)에서는, 도 3중의 단계 S15에 있어서의 토너 화상의 전사 시에, 감광체(312)의 회전(즉, 감광체(312) 상의 대상 부위의 이동) 및 대상물(9a)의 (+Y) 방향으로의 이동에 수반해 흡착 제어부(23)(도 8 참조)가 제어됨으로써, 스테이지(21)의 복수의 홈(211) 중 전사 위치에 위치하는 홈(211)(정확하게는, 전사 위치로부터 (±Y) 방향으로 일정한 거리의 범위 내에 위치하는 복수의 홈(211))에 의한 흡착이 순차적으로 해제되어, 대상물(9a)의 전사 위치의 부위가, 감광 드럼(31)의 외주면을 향해 휘어짐 가능한 상태로 된다. 그 결과, 감광 드럼(31)과 대상물(9a)의 사이에 작용하는 전사 전압에 기인하는 전기적 흡인력에 의해, 대상물(9a)의 전사 위치의 부위가 감광 드럼(31)을 향해 휘어지고, 대상물(9a)의 피전사면(91)과 감광체(312)가 습식 토너를 사이에 두고 밀착한다. 흡착 제어부(23)에서는, 흡착의 부분적인 해제를 고속으로 행하기 위해, 흡착을 해제하는 홈(211)에 순간적으로 블로우(blow)가 행해져도 된다.The flow of formation of the toner image to the object 9a by the image forming apparatus 1b is almost the same as the flow of formation of the toner image (see Fig. 3) in the first embodiment. In the image forming apparatus 1b, the rotation of the photoconductor 312 (that is, the movement of the target site on the photoconductor 312) and (+ Y) of the object 9a at the time of transferring the toner image in step S15 in FIG. The suction control unit 23 (see FIG. 8) is controlled along with the movement in the () direction, whereby the groove 211 located at the transfer position among the plurality of grooves 211 of the stage 21 (exactly, from the transfer position Adsorption by the plurality of grooves 211 positioned within a range of a constant distance in the (± Y) direction is released sequentially, and the portion of the transfer position of the object 9a is bent toward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photosensitive drum 31. It becomes possible state. As a result, the portion of the transfer position of the object 9a is bent toward the photosensitive drum 31 by the electrical suction force resulting from the transfer voltage acting between the photosensitive drum 31 and the object 9a. The transfer surface 91 and the photosensitive member 312 of 9a are in close contact with the liquid toner. In the adsorption control part 23, in order to perform partial release of adsorption at high speed, a blow may be performed to the groove | channel 211 which releases adsorption instantly.

그리고, 대상물(9a)의 전사 위치의 부위가 감광 드럼(31)의 외주면의 전사 위치의 부위와 동일한 속도로 같은 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감광체(312)의 대상 부위 상의 플러스로 대전된 토너 화상이, 대상물(9a)의 피전사면(91)에 순차적으로 전사된다. 또한, 대상물(9a)의 전사 위치를 통과한 부위는, 스테이지(21)의 홈(211)에 의해 다시 흡착 보유된다. 이에 따라, 대상물(9a)의 보유면(210) 상에 있어서의 위치 정밀도를 유지하면서 대상물(9a)의 전사 위치의 부위만을 휘어지게할 수 있다.Then, the portion of the transfer position of the object 9a moves in the same direction at the same speed as the portion of the transfer position of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photosensitive drum 31, so that the positively charged toner image on the target portion of the photosensitive member 312 is It is sequentially transferred to the transfer surface 91 of the object 9a. In addition, the site | part which passed the transfer position of the target object 9a is adsorbed-retained by the groove | channel 211 of the stage 21 again. Thereby, only the site | part of the transfer position of the target object 9a can be bent, maintaining the positional precision on the holding surface 210 of the target object 9a.

화상 형성 장치(1b)에서는, 제1의 실시의 형태와 마찬가지로, 에칭 내성을 가지는 습식 토너에 의해 감광 드럼(31)의 외주면 상에 형성된 토너 화상을, 정전 전사에 의해 대상물(9a)에 전사함으로써, 레지스트 패턴으로서 이용되는 토너 화상을 대상물(9a) 상에 고정밀도로 또한 신속하게, 나아가, 저비용으로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전사된 토너 화상을 대상물(9a) 상에 정착시킴으로써, 레지스트 패턴을 신속하게 형성할 수 있다.In the image forming apparatus 1b, similarly to the first embodiment, the toner image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photosensitive drum 31 by the liquid toner having etching resistance is transferred to the object 9a by electrostatic transfer. The toner image used as the resist pattern can be formed on the object 9a with high accuracy and speed and further at low cost. Further, by fixing the transferred toner image on the object 9a, a resist pattern can be formed quickly.

화상 형성 장치(1b)에서는, 또한, 제1의 실시의 형태와 마찬가지로, 토너 화상 상으로부터 습식 토너와 동 극성의 제1 전위가 제1 전위 부여부(4)에 의해 감광체(312)의 외주면에 부여되고, 제2 전위 부여부(5)에 의해 대상물(9a)의 도전성의 피전사면(91)에 접지 전위가 부여됨으로써, 정전 전사에 의한 토너 화상의 전사가 행해질 때, 박리 방전이나 전사 누락에 의한 토너 화상의 품질 저하나 파괴를 방지하여 도전성의 피전사면(91)에 대한 토너 화상의 전사를 안정되게 행할 수 있다.In the image forming apparatus 1b, similarly to the first embodiment, the first potential applying portion 4 having the same polarity as that of the liquid toner is applied to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photosensitive member 312 by the first potential providing portion 4 from the toner image. When the ground potential is applied to the conductive transfer surface 91 of the object 9a by the second potential providing unit 5, the transfer of the toner image by electrostatic transfer is performed. It is possible to stably transfer the toner image onto the conductive transfer surface 91 by preventing the degradation or destruction of the toner image.

제3의 실시의 형태에 관한 화상 형성 장치(1b)에서는, 특히, 전사 전압에 기인하는 전기적 흡인력에 의해 대상물(9a)을 감광체(312)측으로 휘어지게 하면서 토너 화상이 전사됨으로써, 기계적 압력을 주지않고 전기적 흡인력으로 토너 화상과 대상물(9a)을 접촉시킬 수 있다(또는, 거의 접촉해 있다고 간주할 수 있을 정도로 실질적으로 접촉시킨다). 그 결과, 토너 화상에 불필요하게 강한 힘이 작용해 버리는 것을 방지하면서, 대상물(9a)의 기복의 영향을 방지할 수 있는 힘의 크기로 토너 화상과 대상물(9a)을 접촉시킬 수 있어, 높은 정밀도로 토너 화상을 전사 할 수 있다.In the image forming apparatus 1b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the toner image is transferred while bending the object 9a to the photosensitive member 312 side by the electric suction force caused by the transfer voltage, in particular, thereby applying mechanical pressure. The toner image and the object 9a can be brought into contact with each other (or substantially brought into contact with each other so that they can be regarded as almost in contact with each other). As a result, the toner image and the object 9a can be brought into contact with each other with a magnitude of force capable of preventing the influence of the ups and downs of the object 9a while preventing an unnecessary strong force from acting on the toner image. Toner images can be transferred.

제3의 실시의 형태에 관한 패턴 형성 시스템에서는, 제1의 실시의 형태와 마찬가지로, 에칭 장치, 제1 세정 장치, 화상 제거 장치 및 제2 세정 장치가 설치된다. 이들 장치에서는 각각, 대상물(9a)을 보유하는 스테이지, 및, 스테이지를 대상물(9a)의 피전사면(91)에 평행하게 이동시키는 스테이지 이동 기구가 설치되고, 또한, 대상물(9a)을 하나의 장치로부터 반출하여 다른 장치로 반입하는 반송 기구도 설치된다.In the pattern forming system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the etching apparatus, the first cleaning apparatus, the image removing apparatus, and the second cleaning apparatus are provided similarly to the first embodiment. In these apparatuses, a stage holding the object 9a and a stage moving mechanism for moving the stage in parallel with the transfer surface 91 of the object 9a are provided, and the object 9a is provided as one apparatus. The conveyance mechanism which carries out from another and carries in to another apparatus is also provided.

제3의 실시의 형태에 관한 패턴 형성 시스템에서는, 당해 반송 기구에 의해, 대상물(9a)이 화상 형성 장치(1b), 에칭 장치, 제1 세정 장치, 화상 제거 장치 및 제2 세정 장치에 순차적으로 반입되어 처리됨으로써, 도전층(94)인 ITO막 중, 토너 화상에 의해 형성된 레지스트 패턴으로부터 노출되어 있는 부위가 제거되고, 절연성 기재(93)인 유리 기판 상에 ITO 전극이나 ITO 배선 등의 배선 패턴이 형성된다. 제3의 실시의 형태에 관한 패턴 형성 시스템에서도, 제1의 실시의 형태와 마찬가지 로, 회로 기판을 신속하게 형성할 수 있다. 제3의 실시의 형태에 관한 패턴 형성 시스템에서는, 예를 들면, 유리 에폭시 기판 상에 전극으로 되는 구리박이 접합된 대상물에 대해서, 상술한 토너 화상의 형성 처리, 에칭 처리, 제1의 세정 처리, 레지스트 패턴(즉, 토너 화상)의 제거 처리, 및, 제2의 세정 처리가 행해져도 된다. In the pattern forming system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the object 9a is sequentially arranged on the image forming apparatus 1b, the etching apparatus, the first cleaning apparatus, the image removing apparatus, and the second cleaning apparatus by the transfer mechanism. By carrying in and processing, the site | part exposed from the resist pattern formed by the toner image among the ITO film | membrane which is the conductive layer 94 is removed, and wiring patterns, such as an ITO electrode and ITO wiring, on the glass substrate which is the insulating base 93 Is formed. Also in the pattern formation system which concerns on 3rd Embodiment, a circuit board can be formed quickly similarly to 1st Embodiment. In the pattern formation system which concerns on 3rd Embodiment, the formation process of the above-mentioned toner image, the etching process, the 1st washing process, for example with respect to the object to which the copper foil used as an electrode was bonded on the glass epoxy board | substrate, The removal process of the resist pattern (that is, the toner image) and the second cleaning process may be performed.

다음에, 본 발명의 제4의 실시의 형태에 관한 화상 형성 장치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0은, 제4의 실시의 형태에 관한 화상 형성 장치(1c)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화상 형성 장치(1c)는, 제1의 실시의 형태에 관한 패턴 형성 시스템(100)의 화상 형성 장치(1)(도 1 및 도 2 참조)와 마찬가지로, 전자 사진법을 이용해 판형상 또는 필름형상의 대상물 상에 토너 화상을 형성하는 장치이며, 화상 형성 장치(1c)에서는, 대상물(9b)의 도 10중의 (+Z)측의 주면(91)(즉, 피전사면(91))에 대해서 토너가 전사되어 토너 화상이 형성된다.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대상물(9b)은 두께 약 1mm의 알루미늄판이며, 피전사면(91)은, 비저항이 10-6Ω·cm 이상 103Ω·cm이하인 도전성으로 된다. 대상물(9b)은, 표면 상에 배선 패턴이 형성되는 것이 아니고, 따라서, 토너 화상의 형성에 이용되는 토너도 에칭 내성을 가지는 것일 필요는 없다.Next, an image forming apparatus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10 is a diagram illustrating the image forming apparatus 1c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The image forming apparatus 1c is in the form of a plate or film using an electrophotographic method, similarly to the image forming apparatus 1 (see FIGS. 1 and 2) of the pattern forming system 10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A toner image is formed on a target object, and in the image forming apparatus 1c, toner is applied to the main surface 91 (that is, the transfer surface 91) on the (+ Z) side in FIG. 10 of the object 9b. It is transferred and a toner image is formed.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object 9b is an aluminum plate having a thickness of about 1 mm, and the transfer surface 91 becomes conductive having a specific resistance of 10 −6 Ω · cm or more and 10 3 Ω · cm or less. In the object 9b, no wiring pattern is formed on the surface, and therefore, the toner used for forming the toner image does not need to have etching resistance.

도 10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화상 형성 장치(1c)는, 도 2에 도시하는 화상 형성 장치(1)의 이동 기구(2) 및 제2 전위 부여부(5)와는 구조가 다른 이동 기구(2b) 및 제2 전위 부여부(5a)를 구비한다. 그 외의 구조는, 도 2에 도시하는 화상 형성 장치(1)와 동일하고, 이하의 설명에서는 대응하는 구성에 동일 부호를 붙 인다.As shown in FIG. 10, the image forming apparatus 1c has a moving mechanism 2b that is different in structure from the moving mechanism 2 and the second potential applying unit 5 of the image forming apparatus 1 shown in FIG. 2. ) And second dislocation imparting portion 5a. The other structure is the same as the image forming apparatus 1 shown in FIG. 2, and the same code | symbol is attached | subjected to the corresponding structure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이동 기구(2b)는, 대상물(9b)을 도 10중의 (+Z)측 및 (-Z)측의 사이에 두고 보유하는 상부 롤러(201) 및 하부 롤러(202)를 구비하고, 상부 롤러(201) 및 하부 롤러(202)가 각각, 도 10중에 있어서 시계 방향 및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함으로써, 대상물(9b)이 피전사면(91)을 따르는 이동 방향인 (+Y) 방향으로 이동한다.The movement mechanism 2b is provided with the upper roller 201 and the lower roller 202 which hold | maintain the object 9b between the (+ Z) side and (-Z) side in FIG. 10, and the upper roller 201 ) And the lower roller 202 rotate in the clockwise direction and the counterclockwise direction in FIG. 10, respectively, so that the object 9b moves in the (+ Y) direction, which is a moving direction along the transfer surface 91.

제2 전위 부여부(5a)는, 도전성의 탄성 재료(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도전성 고무)로 중심 전극의 주위를 덮음으로써 형성된 전위 부여 롤러(51a)를 구비하고, 전위 부여 롤러(51a)는, 대상물(9b)의 (-Z)측에 있어서, X방향으로 평행한 회전축(510)을 중심으로 하여 도 10중에 있어서의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된다.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전위 부여 롤러(51a)의 비저항은, 약 103Ω·cm∼약 106Ω·cm로 된다. 화상 형성 장치(1c)의 전사 위치(즉, 감광 드럼(31)의 외주면과 대상물(9b)의 피전사면(91)이 가장 접근하는 위치이며, 프로세스 유닛(3)에 대해서 상대적으로 고정된 위치)에서는, 전위 부여 롤러(51a)가 도전성의 대상물(9b)의 (-Z)측의 주면에 맞닿아 있고, 전위 부여 롤러(51a)를 통해 대상물(9b)의 피전사면(91)에 제2 전위가 부여된다. 또한, 전위 부여 롤러(51a)에 의해, 대상물(9b)이 전사 위치에 있어서 감광 드럼(31)의 감광체(312)에 토너 화상을 통해 밀착한다. 화상 형성 장치(1c)에서는, 전위 부여 롤러(51a)가 전기적으로 접지되어 있고, 제2 전위 부여부(5a)에 의해 대상물(9b)에 부여되는 제2 전위는 접지 전위로 된다.The 2nd dislocation provision part 5a is equipped with the dislocation provision roller 51a formed by covering the circumference | surroundings of a center electrode with electroconductive elastic material (conductive rubber in this embodiment), and the dislocation provision roller 51a is On the (-Z) side of the object 9b, it is possible to rotate in the counterclockwise direction in FIG. 10 about the rotation axis 510 parallel to the X direction.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specific resistance of the dislocation applying roller 51a is about 10 3 Ω · cm to about 10 6 Ω · cm. The transfer position of the image forming apparatus 1c (that is, the position where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photosensitive drum 31 and the transfer surface 91 of the object 9b are closest to each other and fixed relative to the process unit 3). In this case, the dislocation applying roller 51a is in contact with the main surface on the (-Z) side of the conductive object 9b, and the second dislocation is applied to the transfer surface 91 of the object 9b via the dislocation applying roller 51a. Is given. In addition, the dislocation applying roller 51a causes the object 9b to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photosensitive member 312 of the photosensitive drum 31 at the transfer position through the toner image. In the image forming apparatus 1c, the potential applying roller 51a is electrically grounded, and the second potential applied to the object 9b by the second potential providing unit 5a becomes the ground potential.

다음에, 화상 형성 장치(1c)에 의한 토너 화상의 형성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1은, 화상 형성 장치(1c)에 의해 대상물(9b) 상에 토너 화상을 형성하는 처리의 흐름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또한, 도 11중의 단계 S23∼S27는, 도 3중의 단계 S11∼S15와 마찬가지로, 감광체(312)의 일부에 주목한 처리의 흐름을 나타내고 있고, 감광체(312) 전체에 대해서는 실제로는 이들 단계는 시간적으로 거의 병행하여 행해진다. 화상 형성 장치(1c)에 의한 토너 화상의 형성 흐름은, 제1의 실시의 형태에 관한 화상 형성 장치(1)에 의한 토너 화상의 형성 흐름과 거의 동일하며, 동일한 공정에 대해서는 설명을 간략화한다.Next, formation of the toner image by the image forming apparatus 1c will be described. FIG. 11 is a diagram showing a flow of processing for forming a toner image on the object 9b by the image forming apparatus 1c. In addition, steps S23 to S27 in FIG. 11 show a flow of processing that pays attention to a part of the photoconductor 312 as in steps S11 to S15 in FIG. 3, and these steps are actually temporal for the entire photoconductor 312. Almost in parallel. The flow of formation of the toner image by the image forming apparatus 1c is almost the same as the flow of formation of the toner image by the image forming apparatus 1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and the description of the same process is simplified.

도 10에 도시하는 화상 형성 장치(1c)에서는, 우선, 감광 드럼(31)이 회전축(310)을 중심으로 하여 도 10중에 있어서의 시계 방향으로 일정한 회전 속도로 회전을 개시함과 더불어, 이동 기구(2b)에 의해 대상물(9b)도 (+Y) 방향으로 일정한 속도로 이동을 개시한다(단계 S21, S22). 계속해서, 제1의 실시의 형태와 마찬가지로, 프로세스 유닛(3)에 있어서의 감광 드럼(31)의 회전에 의해, 회전축(310)을 중심으로 하는 원통 드럼형상의 환상 부재인 감광 드럼(31)이, 주위에 배치된 각 주변 구성(즉, 대전기(32), 잠상 형성부(33), 현상부(34), 제1 전위 부여부(4), 클리너(35) 및 제전기(36))에 대해서 외주면을 따라 연속적으로 순환 이동하고, 이들 주변 구성에 의한 감광체(312)에 대한 처리가 개시된다.In the image forming apparatus 1c illustrated in FIG. 10, first, the photosensitive drum 31 starts rotation at a constant rotational speed in the clockwise direction in FIG. 10 with the rotation axis 310 as the center. By (2b), the object 9b also starts moving at a constant speed in the (+ Y) direction (steps S21 and S22). Subsequently, similarly to the first embodiment, the photosensitive drum 31 is an annular member having a cylindrical drum shape centering on the rotation shaft 310 by the rotation of the photosensitive drum 31 in the process unit 3. Each peripheral configuration (that is, the charger 32, the latent image forming portion 33, the developing portion 34, the first potential providing portion 4, the cleaner 35, and the static eliminator 36 disposed around the periphery) are disposed. ) Is continuously circulated alo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and the process for the photosensitive member 312 by these peripheral configurations is started.

대전기(32)에서는, 대향하는 위치에 도달하는 감광체(312)의 대상 부위에 전하가 순차적으로 부여되고, 대상 부위의 표면을, 예를 들면, +700V(볼트)로 균일하게 대전시킨다(단계 S23). 대전 후의 대상 부위는 잠상 형성부(33)의 광의 조사 위치로 연속적으로 이동한다.In the charger 32, electric charge is sequentially applied to the target site of the photoconductor 312 that reaches the opposite position, and the surface of the target site is uniformly charged to, for example, +700 V (volts) (step S23). ). The target site after the charging continuously moves to the irradiation position of the light of the latent image forming section 33.

잠상 형성부(33)에서는, 대상물(9b)의 피전사면(91) 상에 형성되는 토너 화상의 화상 데이터에 따라 화상 형성용의 광이 감광체(312)를 향해서 출사된다. 광이 조사된 부위에서는, 표면 전위가 +100V까지 저감되고, 감광체(312)의 표면에는 전하의 분포에 의한 화상(즉, 정전 잠상)이 형성된다(단계 S24).In the latent image forming section 33, light for image formation is emitted toward the photosensitive member 312 in accordance with the image data of the toner image formed on the transfer surface 91 of the object 9b. At the site where the light is irradiated, the surface potential is reduced to +100 V, and an image (that is, an electrostatic latent image) is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photoconductor 312 (step S24).

정전 잠상이 형성된 대상 부위는 현상부(34)에 대향하는 위치로 이동한다. 현상부(34)에서는, +500V의 전위가 부여되어 있는 현상 롤러(341)와 정전 잠상의 사이의 바이어스 전압에 의해, 액체 토너 중에 있어서 플러스로 대전되어 있는 습식 토너(즉, 액체 토너의 용매 중에 분산됨과 더불어 감광체(312)의 표면과 동일한 극성으로 대전되어 있는 습식 토너)가 정전 잠상에 부여된다(단계 S25). 그리고, 대상 부위 상의 불필요한 액체 토너는, +500V의 전위가 부여되어 있는 스퀴지 롤러(342)에 의해 긁어내져 현상부(34)로 되돌려진다.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제1의 실시의 형태와 마찬가지로, 습식 토너로서, 입경이 0.1㎛이상 2㎛이하(보다 바람직하게는, 0.1㎛이상 0.5㎛이하)의 것이 사용된다.The target portion where the electrostatic latent image is formed moves to a position opposite to the developing portion 34. In the developing unit 34, the liquid toner is positively charged in the liquid toner (i.e., dispersed in the solvent of the liquid toner) by the bias voltage between the developing roller 341 to which the potential of +500 V is applied and the electrostatic latent image. In addition, a liquid toner charged with the same polarity as the surface of the photosensitive member 312 is applied to the latent electrostatic image (step S25). Unnecessary liquid toner on the target site is scraped off by the squeegee roller 342 to which a potential of +500 V is applied and returned to the developing unit 34. In this embodiment, similarly to the first embodiment, as the liquid toner, particles having a particle size of 0.1 µm or more and 2 µm or less (more preferably, 0.1 µm or more and 0.5 µm or less) are used.

현상부(34)에서는, 제1의 실시의 형태와 마찬가지로(도 4A 참조), 감광체(312)의 표면과 동일한 극성인 플러스로 대전되어 있는 습식 토너는, 감광체(312) 상의 대상 부위에 있어서, 잠상 형성부(33)에 의해 표면 전위가 저감된 부위에만 부착되고, 이에 따라, 정전 잠상이 현상된다. 즉, 감광체(312)의 외주면 상의 대상 부위에, 습식 토너에 의한 전사 전의 토너 화상이 형성된다. 도 10에 도시하는 화상 형성 장치(1c)에서는, 감광 드럼(31) 및 드럼 회전용의 모터가, 감광체(312)의 외주면에 전사전의 토너 화상을 보유함과 더불어 감광체(312)를 순환 이동시키는 토너 화상 보유부로 되어 있다.In the developing unit 34, similarly to the first embodiment (see FIG. 4A), the positively charged liquid toner having the same polarity as the surface of the photoconductor 312 is formed at the target site on the photoconductor 312. It adheres only to the site | part in which surface potential was reduced by the latent image formation part 33, and an electrostatic latent image is developed by this. That is, the toner image before the transfer by the liquid toner is formed on the target portion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photosensitive member 312. In the image forming apparatus 1c shown in FIG. 10, the photosensitive drum 31 and the motor for rotating the drum retain the toner image before transfer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photosensitive member 312 and circulate the photosensitive member 312. And a toner image holding portion.

다음에, 제1 전위 부여부(4)에 의해, 감광체(312) 상에 현상된 토너 화상 상으로부터, 감광체(312)의 외주면에 습식 토너의 대전 극성과 동일한 극성인 플러스의 제1 전위가 부여된다(단계 S26). 이에 따라, 제1의 실시의 형태와 마찬가지로(도 4B 참조), 감광체(312)의 외주면의 대상 부위 전체가, 대전기(32)에 의한 대전과 동일한 정도, 또는, 절대치에 있어서 큰 전위(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약 +800V)까지 대전된다.Next, the first potential providing portion 4 imparts a positive first potential having the same polarity as that of the liquid toner to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photosensitive member 312 from the toner image developed on the photosensitive member 312. (Step S26). Thereby, similarly to 1st Embodiment (refer FIG. 4B), the whole target site | part of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photosensitive member 312 is the same as the charging by the charger 32, or a large electric potential in absolute value (this In an embodiment, up to about + 800V) is charged.

제1 전위의 부여가 종료하면, 감광 드럼(31)의 대상 부위가 전사 위치에 도달한다. 이 때, 대상물(9b)은, 제2 전위 부여부(5a)를 통해 전기적으로 접지되어 있고(환언하면, 제2 전위 부여부(5a)에 의해, 대상물(9b)의 피전사면(91)에 접지 전위가 부여되어 있고), 전사 위치에 있어서의 대상물(9b)의 피전사면(91)과 감광체(312)의 대상 부위의 사이에 소정의 전사 전압이 작용한다. 즉, 대상 부위로부터 피전사면(91)으로 향하는 전계가 발생하고(도 4C 참조), 감광체(312)로부터 대상물(9b)의 피전사면(91)으로 향하는 방향의 힘이 습식 토너에 작용한다. 이에 따라, 감광체(312)의 대상 부위 상에 부착된 플러스로 대전된 토너 화상이, 대상물(9b)의 피전사면(91)에 순차적으로 전사된다(단계 S27).When the provision of the first potential is completed, the target portion of the photosensitive drum 31 reaches the transfer position. At this time, the object 9b is electrically grounded through the second potential providing portion 5a (in other words, by the second potential providing portion 5a, to the transfer surface 91 of the object 9b). A ground potential is applied), and a predetermined transfer voltage acts between the target surface of the target surface 9b of the target object 9b and the photosensitive member 312 at the transfer position. That is, an electric field directed from the target site to the target surface 91 is generated (see FIG. 4C), and a force in the direction from the photosensitive member 312 toward the target surface 91 of the object 9b acts on the liquid toner. Thereby, the positively charged toner image attached on the target portion of the photosensitive member 312 is sequentially transferred to the transfer surface 91 of the object 9b (step S27).

습식 토너의 전사 후의 감광체(312)의 대상 부위는, 도 10에 도시하는 클리너(35)의 위치로 계속해서 이동하고, 클리너(35)에 의해 대상 부위에 잔류한 습식 토너(즉, 대상물(9b)에 전사되지 않은 습식 토너) 등의 불요물이 제거되어 감광체(312)의 표면이 클리닝되어, 감광체(312)가 기계적으로 초기 상태로 되돌려진다. 그리고, 램프와 필터의 조합, 혹은, LED 등을 가지는 제전기(36)에 의해 광이 조사되어 감광체(312)가 제전되고, 전기적으로 초기 상태로 되돌려진다.The target portion of the photosensitive member 312 after the transfer of the liquid toner continues to move to the position of the cleaner 35 shown in FIG. 10, and the liquid toner remaining on the target portion by the cleaner 35 (i.e., the object 9b). ), And the surface of the photosensitive member 312 is cleaned, and the photosensitive member 312 is mechanically returned to an initial state. Then, the light is irradiated by the combination of the lamp and the filter, or the static eliminator 36 having the LED or the like, so that the photosensitive member 312 is discharged and is returned to the initial state electrically.

상술한 바와 같이, 단계 S23∼S27의 처리는 감광체(312) 상의 각 부위에 대해서 거의 병행하여 행해지고, 전사 위치에 순차적으로 도달하는 감광체(312)의 각 부위에 대해서 연속적으로 처리가 행해지므로, 최종적으로는 감광체(312)의 외주면 상의 토너 화상 전체가 전사 위치에 있어서 대상물(9b) 상에 전사되게 된다. 그리고, 감광 드럼(31)의 회전이 정지함과 더불어 이동 기구(2b)가 정지하고, 화상 형성 장치(1c)에 의한 인쇄 처리가 종료하여 대상물(9b)의 피전사면(91) 상에 토너 화상이 형성된다(단계 S28, S29). 또한, 화상 형성 장치(1c)에서는, 감광 드럼(31)이 복수회 회전하여 복수의 대상물(9b)에 연속하여 토너 화상의 전사가 행해져도 된다.As described above, the processing of steps S23 to S27 is performed almost in parallel with respect to each site on the photoconductor 312, and the processing is performed continuously for each site of the photoconductor 312 that sequentially reaches the transfer position, and thus, finally, As a result, the entire toner image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photosensitive member 312 is transferred onto the object 9b at the transfer position. Then, the rotation of the photosensitive drum 31 stops, the moving mechanism 2b stops, and the print processing by the image forming apparatus 1c ends, toner image on the transfer surface 91 of the object 9b. Are formed (steps S28, S29). In the image forming apparatus 1c, the photosensitive drum 31 may be rotated a plurality of times to transfer the toner image continuously to the plurality of objects 9b.

이상에 설명한 것처럼, 화상 형성 장치(1c)에서는, 제1의 실시의 형태와 마찬가지로, 습식 토너로 형성된 토너 화상 상으로부터 습식 토너와 동 극성의 제1 전위가 제1 전위 부여부(4)에 의해 감광체(312)의 외주면에 부여되고, 제2 전위 부여부(5a)에 의해, 대상물(9b)의 도전성의 피전사면(91)이 전기적으로 접지됨으로써(즉, 피전사면(91)에 접지 전위가 부여된다), 감광체(312)와 피전사면(91)의 사이에 전사 전압이 작용하고, 토너 화상이 감광체(312)로부터 대상물(9b)의 피전사면(91)에 전사된다.As described above, in the image forming apparatus 1c, similarly to the first embodiment, the first potential providing portion 4 has the first potential having the same polarity as that of the liquid toner from the toner image formed of the liquid toner. It is applied to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photosensitive member 312, and the electrically conductive transfer surface 91 of the object 9b is electrically grounded by the second potential providing portion 5a (that is, the ground potential is transferred to the transfer surface 91). And a transfer voltage is applied between the photosensitive member 312 and the transfer surface 91, and the toner image is transferred from the photosensitive member 312 to the transfer surface 91 of the object 9b.

이와 같이, 화상 형성 장치(1c)에서는, 건식 토너보다도 입경이 작은 습식 토너에 의해 토너 화상을 형성함으로써, 토너 화상 상으로부터 감광체(312)의 외주 면에 제1 전위를 부여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고, 토너 화상의 전사에 이용되는 전사 전압을, 대상물(9b)에 접지 전위를 부여하면서 감광체(312)로의 제1 전위의 부여에 의해 작용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감광체(312)와 피전사면(91)의 사이의 공간에 있어서 전사 전압에 의한 박리 방전이 발생한 경우에도, 피전사면(91)의 박리 방전이 발생한 부위의 전위를 접지 전위인 채로 유지하여, 박리 방전의 지속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대상물에 부여된 전하가 토너로 이동함으로써 생기는 전사 누락(즉, 감광 드럼 상의 토너가 대상물로 전사되지 않는 현상, 혹은, 대상물 상에 일단 전사된 토너가 감광 드럼으로 되돌아가 버리는 현상)의 발생도 방지할 수 있다. 그 결과, 박리 방전이나 전사 누락에 의한 토너 화상의 품질 저하나 파괴를 방지하여 도전성의 피전사면(91)에 대한 토너 화상의 전사(즉, 대상물(9b)에 대한 토너 화상의 형성)를 안정되게 행할 수 있다.In this manner, in the image forming apparatus 1c, by forming the toner image with the liquid toner having a smaller particle size than the dry toner, the first potential can be applied to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photosensitive member 312 from the toner image. The transfer voltage used for the transfer of the toner image can be caused by applying the first potential to the photosensitive member 312 while giving the ground potential to the object 9b. Thus, even when peeling discharge due to the transfer voltage occurs in the space between the photosensitive member 312 and the transfer surface 91, the potential of the portion where the peeling discharge of the transfer surface 91 has occurred remains at ground potential. The continuation of peeling discharge can be prevented. In addition, transfer omission (i.e., the phenomenon that the toner on the photosensitive drum is not transferred to the object or the toner once transferred on the object returns to the photosensitive drum) occurs due to the transfer of the charge applied to the object to the toner. Can also be prevented. As a result, the toner image is prevented from being degraded or destroyed due to peeling discharge or transfer failure, thereby stably transferring the toner image (i.e., forming the toner image to the object 9b) onto the conductive transfer surface 91. I can do it.

프로세스 유닛(3)에서는, 제1 전위 부여부(4)가, 코로나 방전에 의해 발생한 이온을 감광체(312)의 외주면에 부여하는 코로나 대전 기구로 됨으로써, 감광체(312)에 제1 전위를 용이하게 부여할 수 있다.In the process unit 3, the first potential providing unit 4 serves as a corona charging mechanism for applying ions generated by corona discharge to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photosensitive member 312, thereby easily providing the first potential to the photosensitive member 312. You can give it.

또한, 프로세스 유닛(3)에서는, 잠상 형성부(33)에 의해 감광체(312)의 외주면에 정전 잠상을 형성하고, 현상부(34)에 의해 습식 토너로 정전 잠상을 현상하는 전자 사진법에 의해 토너 화상을 형성함으로써, 프로세스 유닛(3) 및 화상 형성 장치(1c)의 구조를 간소화할 수 있다. 또한, 습식 토너의 입경을 2㎛이하로 함으로써, 제1 전위 부여부(4)에 의한 토너 화상 상으로부터 감광체(312)로의 제1 전위의 부여를 확실하고 또한 용이하게 실현할 수 있다.In the process unit 3, an electrostatic latent image is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photosensitive member 312 by the latent image forming unit 33, and the developing unit 34 uses an electrophotographic method of developing the electrostatic latent image with liquid toner. By forming the toner image, the structures of the process unit 3 and the image forming apparatus 1c can be simplified. Further, by setting the particle size of the liquid toner to 2 µm or less, it is possible to reliably and easily realize the provision of the first potential to the photosensitive member 312 from the toner image by the first potential providing portion 4.

화상 형성 장치(1c)에서는, 제1 전위 부여부(4) 및 제2 전위 부여부(5a)에 의해 부여되는 제1 전위 및 제2 전위는, 상술한 전위에는 반드시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대상물(9b)의 피전사면(91)은, 반드시 제2 전위 부여부(5a)에 의해 전기적으로 접지될 필요는 없고, 제2 전위 부여부(5a)에 의해 접지 전위에 실질적으로 동일한 제2 전위가 부여되면 된다. 구체적으로는, 제2 전위의 절대치가, 제1 전위 부여부(4)에 의해 감광체(312)에 부여되는 제1 전위의 절대치의 5%이하로 되면 되고,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1 전위가 +800V인 경우에는, ―40V이상 +40V이하로 된다. 이 경우에도, 박리 방전이나 전사 누락에 의한 토너 화상의 품질 저하나 파괴를 방지하여 도전성의 피전사면(91)에 대한 토너 화상의 전사를 안정되게 행할 수 있다.In the image forming apparatus 1c, the first potential and the second potential provided by the first potential providing part 4 and the second potential providing part 5a are not necessarily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potentials. For example, the transfer surface 91 of the object 9b does not necessarily need to be electrically grounded by the second potential providing portion 5a, and is substantially connected to the ground potential by the second potential providing portion 5a. The same second potential may be provided. Specifically, the absolute value of the second potential should be 5% or less of the absolute value of the first potential applied to the photosensitive member 312 by the first potential providing portion 4, and the first potential is +800 V as described above. In the case of, it is -40V or more and + 40V or less. Even in this case, the toner image can be transferred to the conductive transfer surface 91 stably by preventing the deterioration or destruction of the toner image due to peeling discharge or transfer omission.

화상 형성 장치(1c)에서는, 제1의 실시의 형태와 마찬가지로(도 5 참조), 제1 전위를, 대전기(32)에 의해 감광체(312)에 부여되는 전위(+700V) 이상이며 당해 전위로부터 크게 떨어지지 않는 범위내인 +700V이상 +900V미만(보다 바람직하게는,+700V이상 +850V이하)으로 하고, 제2 전위를 접지 전위(혹은, 접지 전위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전위)로 함으로써, 양호한 전사 품질을 실현할 수 있다. 또한, 제1 전위를 +800V로 함으로써, 전사 효율을 향상시킬 수도 있다. 또한, 제1 전위의 바람직한 범위는, 습식 토너의 종류나 감광체(312)의 재질, 감광 드럼(31)의 곡률 반경 등, 다양한 요인에 의해 변화하고, 예를 들면, 습식 토너의 대전량이나 감광체(312)와 습식 토너의 밀착력 등에 의해, +400V정도에서도 양호한 전사 품질을 얻을 수 있는 경우도 있다.In the image forming apparatus 1c, similarly to the first embodiment (see FIG. 5), the first potential is equal to or more than the potential (+700 V) applied to the photosensitive member 312 by the charger 32, and from the potential Good transfer quality can be realized by setting + 700V or more and less than + 900V (more preferably, + 700V or more and + 850V or less) within a range that does not fall significantly, and setting the second potential to the ground potential (or substantially the same potential as the ground potential). have. In addition, the transfer efficiency can also be improved by setting the first potential to + 800V. Moreover, the preferable range of a 1st electric potential changes with various factors, such as the kind of liquid toner, the material of the photosensitive member 312, and the radius of curvature of the photosensitive drum 31, For example, the charge amount of a liquid toner, a photoreceptor Good adhesion quality may be obtained even at about + 400V due to the adhesion between the 312 and the liquid toner.

다음에, 본 발명의 제5의 실시의 형태에 관한 화상 형성 장치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2는, 제5의 실시의 형태에 관한 화상 형성 장치(1d)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화상 형성 장치(1d)는, 도 6에 도시하는 제2의 실시의 형태에 관한 화상 형성 장치(1a)와 거의 동일한 구조를 구비하고, 도 6중의 이동 기구(2)에 대신하여, 도 7내지 도 9에 도시하는 제3의 실시의 형태에 관한 화상 형성 장치(1b)와 동일한 이동 기구(2a)를 구비한다.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제3의 실시의 형태와 마찬가지로, 절연성 기재인 유리 기판 상에 비저항이 약 10-6Ω·cm∼약 103Ω·cm의 도전층인 ITO막을 가지는 대상물(9a)에 대한 토너 화상의 형성이 행해진다.Next, an image forming apparatus according to a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12 is a diagram illustrating the image forming apparatus 1d according to the fifth embodiment. The image forming apparatus 1d has a structure substantially the same as the image forming apparatus 1a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shown in FIG. 6, and replaces the moving mechanism 2 in FIG. The same moving mechanism 2a as the image forming apparatus 1b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shown in FIG. 9 is provided. In the present embodiment, similarly to the third embodiment, the object 9a having an ITO film having a specific resistance of about 10 −6 Ω · cm to about 10 3 Ω · cm on a glass substrate that is an insulating substrate is used. The toner image is formed.

화상 형성 장치(1d)에서는, 프로세스 유닛(3)의 대전기(32), 잠상 형성부(33), 현상부(34) 등에 의해 감광체(312) 상에 형성된 토너 화상이, 롤러(252b)를 통해 중간 전사체(251)에 부여되는 전위에 의해, 중간 전사체(251) 상에 전사 된다. 또한, 중간 전사체(251)의 외주면과 대상물(9a)이 가장 근접하는 전사 위치의 직전에 있어서, 제1 전위 부여부(4)에 의해, 토너 화상 상으로부터 소정의 전위가 중간 전사체(251)의 외주면에 대략 균일하게 부여되고, 전위가 부여된 대상 부위는 대상물(9a)을 향해 이송된다.In the image forming apparatus 1d, the toner image formed on the photosensitive member 312 by the charger 32, the latent image forming portion 33, the developing portion 34, or the like of the process unit 3 is formed by the roller 252b. By the potential applied to the intermediate transfer member 251 via the transfer, the intermediate transfer member 251 is transferred onto the intermediate transfer member 251. In addition, immediately before the transfer position where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intermediate transfer member 251 and the object 9a are closest to each other, the first potential applying unit 4 causes the intermediate transfer member 251 to have a predetermined potential from the toner image. The target site which is given substantially uniformly to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and to which dislocation is applied, is conveyed toward the object 9a.

화상 형성 장치(1d)에서는, 도 7에 도시하는 화상 형성 장치(1b)와 마찬가지로, 이동 기구(2a)의 스테이지(21)에 의한 흡착을 부분적으로 해제함으로써, 대상물(9a)의 전사 위치의 부위가 중간 전사체(251)의 외주면을 향해 휘어짐 가능한 상태로 된다. 그리고, 도 6에 도시하는 화상 형성 장치(1a)와 마찬가지로, 대상 물(9a)의 전사 위치의 부위가 중간 전사체(251)의 전사 위치의 부위와 동일한 속도로 같은 방향(즉, (-Y) 방향)으로 이동하고, 제2 전위 부여부(5)의 접촉자(51)에 의해 대상물(9a)의 피전사면(91)에 접지 전위가 부여된다. 이에 따라, 전사 위치에서는, 습식 토너에 대상물(9a)을 향하는 전기적 힘이 작용함과 더불어, 전기적 흡인력에 의해 대상물(9a)이 중간 전사체(251)를 향해 휘어지고, 중간 전사체(251)와 대상물(9a)을 밀착시키면서 중간 전사체(251) 상의 토너 화상이 대상물(9a) 상에 높은 정밀도로 전사된다.In the image forming apparatus 1d, similarly to the image forming apparatus 1b shown in FIG. 7, the portion of the transfer position of the object 9a is partially released by partially releasing suction by the stage 21 of the moving mechanism 2a. Becomes bendable toward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intermediate transfer member 251. And similarly to the image forming apparatus 1a shown in FIG. 6, the site | part of the transcription | transfer position of the object 9a is the same direction (namely, (-Y) at the same speed as the site | part of the transcription | transfer position of the intermediate | middle transcription | transfer body 251. Direction), and the ground potential is applied to the transfer surface 91 of the object 9a by the contactor 51 of the second potential providing portion 5. Accordingly, in the transfer position, the electric force directed to the object 9a acts on the liquid toner, and the object 9a is bent toward the intermediate transfer member 251 by the electric suction force, and the intermediate transfer member 251 And the toner image on the intermediate transfer member 251 are transferred onto the object 9a with high precision while bringing the object 9a into close contact.

이상,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에 대해서 설명했는데, 본 발명은 상기 실시의 형태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다.As mentioned above, although embodiment of this invention was described, this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said embodiment, A various change is possible.

예를 들면, 제1, 제3 및 제4의 실시의 형태에 관한 화상 형성 장치에서는, 감광 드럼(31)에 대신하여 평벨트 형상의 감광 벨트가 이용되어도 되고, 제2 및 제5의 실시의 형태에 관한 화상 형성 장치에서는, 중간 전사체(251)가 드럼 형상으로 되어도 된다.For example, in the image form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first, third and fourth embodiments, a flat belt-shaped photosensitive belt may be used in place of the photosensitive drum 31, and according to the second and fifth embodiments, In the image form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aspect, the intermediate transfer member 251 may have a drum shape.

제1 전위 부여부(4)는, 코로나 대전 기구 이외의 다른 구성으로 되어도 된다. 예를 들면, 제1, 제3 및 제4의 실시의 형태에 관한 화상 형성 장치에서는, 감광 드럼(31)의 회전축(310)과 같은 방향을 향하는 중심축을 중심으로 하여 감광 드럼(31)의 회전 방향과는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는 원통형상의 도전성 스펀지에 전위를 부여하고, 도전성 스펀지를 감광체(312)의 외주면에 접촉시킴으로써, 토너 화상 상으로부터 감광체(312)의 외주면에 제1 전위가 부여되어도 된다. 또한, 제2 및 제5의 실시의 형태에 관한 화상 형성 장치에서는, 동일한 도전성 스펀지에 의해, 중간 전사체(251)의 외주면에 제1 전위가 부여되어도 된다.The first potential providing portion 4 may have a configuration other than the corona charging mechanism. For example, in the image form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first, third and fourth embodiments, the rotation of the photosensitive drum 31 about the central axis facing the same direction as the rotation axis 310 of the photosensitive drum 31 is performed. A potential may be applied to the cylindrical conductive sponge rotating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direction, and the first potential may be applied to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photosensitive member 312 from the toner image by contacting the conductive sponge with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photosensitive member 312. In the image forming apparatuses according to the second and fifth embodiments, the first electric potential may be applied to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intermediate transfer member 251 by the same conductive sponge.

잠상 형성부(33)에 의해 형성되는 정전 잠상은, 네거티브형이거나 포지티브형이어도 된다. 또한, 프로세스 유닛(3)에서는, 감광체(312)에 대한 이온 플로우에 의해, 직접적으로 정전 잠상이 형성되어도 된다. 현상부(34)에서는, 마이너스로 대전된 습식 토너를 포함하는 액체 토너가 감광체(312)에 부여되어도 되고, 이 경우, 대전기(32) 및 제1 전위 부여부(4)에 의해 감광체(312)(또는, 중간 전사체(251))에 부여되는 전위도 동 극성의 마이너스로 된다.The electrostatic latent image formed by the latent image forming section 33 may be negative or positive. In the process unit 3, an electrostatic latent image may be formed directly by the ion flow to the photosensitive member 312. In the developing unit 34, the liquid toner containing the negatively charged liquid toner may be applied to the photosensitive member 312. In this case, the photosensitive member 312 is provided by the charger 32 and the first potential providing unit 4. ) (Or the intermediate transfer member 251) also becomes negative of the same polarity.

제1 내지 제3, 및, 제5의 실시의 형태에 관한 화상 형성 장치에서는, 제2 전위 부여부(5)의 접촉자(51)는, 브러쉬 이외에 예를 들면, 탄성재나 전위 부여 롤러 등을 이용해 피전사면(91)에 전위를 부여하는 것이어도 된다.In the image form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first to third and fifth embodiments, the contactor 51 of the second dislocation applying unit 5 uses, for example, an elastic material, a dislocation applying roller, or the like in addition to the brush. A potential may be provided to the transfer surface 91.

화상 형성 장치에서는, 제2 전위 부여부에 의해 피전사면(91)에 부여되는 제2 전위는 실질적으로 접지 전위에 동일하게 되는데, 예를 들면, 습식 토너의 종류나 감광체(312)(또는, 중간 전사체(251))의 재질, 감광 드럼(31)(또는, 롤러(252a))의 곡률 반경 등을 적절히 변경함으로써, 피전사면(91)에 대한 토너 화상의 전사를 안정되게 행할 수 있는 것이면, 제2 전위는 접지 전위로부터 충분히 떨어진 전위로 되어도 된다. 또한, 제1 전위 부여부(4)에 의한 감광체(312)(또는, 중간 전사체(251))로의 제1 전위의 부여도 생략되어도 된다.In the image forming apparatus, the second potential imparted to the transfer surface 91 by the second potential imparting portion becomes substantially the same as the ground potential, for example, the type of the liquid toner or the photosensitive member 312 (or the intermediate). By properly changing the material of the transfer member 251, the radius of curvature of the photosensitive drum 31 (or the roller 252a), and the like, as long as the transfer of the toner image to the transfer surface 91 can be performed stably, The second potential may be a potential sufficiently far from the ground potential. In addition, the provision of the first potential to the photosensitive member 312 (or the intermediate transfer member 251) by the first potential providing portion 4 may be omitted.

화상 형성 장치의 정착부(52)에서는, 예를 들면, 토너 화상에 대해서 정착용 스프레이에 의해 정착액을 부여함으로써 토너 화상의 정착이 행해져도 되고, 또한, 가열 롤러를 토너 화상에 접촉시킴으로써 토너 화상의 정착이 행해져도 된다. 다 만, 고정밀의 레지스트 패턴을 형성한다는 관점에서는, 상기 실시의 형태와 같은 비접촉 가열에 의한 정착, 또는, 정착액의 부여에 의한 비접촉 정착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실시의 형태에 관한 패턴 형성 시스템에서는, 화상 형성 장치의 정착부(52)에 대신하여, 화상 형성 장치와 에칭 장치(61)의 사이에 화상 형성 장치와는 독립된 정착 장치가 설치되어도 된다.In the fixing unit 52 of the image forming apparatus, for example, fixing of the toner image may be performed by applying a fixing liquid to the toner image by means of a fixing spray. Further, the toner image may be fixed by contacting the heating roller with the toner image. Fixation may be performed. However, from the viewpoint of forming a high-precision resist pattern, fixing by non-contact heating as in the above embodiment or non-contact fixing by applying a fixing solution is more preferable. In the pattern forming system according to the above embodiment, a fixing apparatus independent of the image forming apparatus may be provided between the image forming apparatus and the etching apparatus 61 in place of the fixing unit 52 of the image forming apparatus. .

상기 실시의 형태에 관한 패턴 형성 시스템의 화상 형성 장치는, 대상물에 토너 화상을 형성하는 장치로서, 에칭 장치(61), 제1 세정 장치(62), 화상 제거 장치(63) 및 제2 세정 장치(64)와는 별도로 단체(單體)로 사용되어도 된다. 예를 들면, 제1 및 제2의 실시의 형태에 관한 화상 형성 장치가 단체로 사용되는 경우, 이동 기구(2)의 대상물 공급부(203)에 의해 보유된 롤형상의 대상물(9)이 전사 위치로 공급되고, 토너 화상의 전사 및 정착이 행해진 후에 대상물 회수부(205)에 의해 회수됨으로써, 복수의 플렉시블 회로 기판으로 되는 대상물(9)에 대한 레지스트 패턴의 형성을 신속하게 행할 수 있다.The image forming apparatus of the pattern forming system according to the embodiment is an apparatus for forming a toner image on an object, and includes an etching apparatus 61, a first cleaning apparatus 62, an image removing apparatus 63, and a second cleaning apparatus. Apart from (64), they may be used alone. For example, when the image forming apparatuses according to the first and second embodiments are used alone, the roll-shaped object 9 held by the object supply part 203 of the moving mechanism 2 is transferred to the transfer position. After the toner image has been transferred and fixed, the object recovery unit 205 recovers the toner image, thereby quickly forming a resist pattern on the object 9 serving as a plurality of flexible circuit boards.

본 발명을 상세하게 묘사해 설명했는데, 기존 서술의 설명은 예시적이고 한정적인 것은 아니다. 따라서, 이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 다수의 변형이나 양태가 가능한 것이 이해된다.While the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and described in detail, the description in the prior description is illustrative and not restrictive. Accordingly, it is understood that many variations and aspects are possib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is invention.

Claims (23)

판형상 또는 필름형상의 대상물(9) 상에 토너 화상을 형성하는 화상 형성 장치(1)로서,An image forming apparatus 1 which forms a toner image on a plate-like or film-like object 9, 에칭 내성을 가지는 습식 토너(92)에 의한 전사 전의 토너 화상이 외주면 상에 형성되는 원통 드럼형상 또는 평벨트 형상인 환상 부재(251, 312)를 상기 외주면을 따라서 순환 이동시키는 토너 화상 보유부(25, 31)와,Toner image retaining portion 25 for circularly moving annular members 251 and 312 having a cylindrical drum shape or flat belt shape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toner image before transfer by the liquid toner 92 having etching resistance alo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 31), 판형상 또는 필름형상의 절연성 기재(93) 및 상기 절연성 기재(93)의 하나의 주면에 형성된 비저항이 103Ω·cm이하인 도전층(94)을 가지는 대상물(9)을 보유하고, An object 9 having a plate-like or film-like insulating base 93 and a conductive layer 94 having a specific resistance of 10 3 Ω · cm or less formed on one main surface of the insulating base 93, 상기 도전층(94)의 피전사면(91)을 소정의 전사 위치에 있어서 상기 외주면에 가장 접근시키면서, 상기 대상물(9)을 상기 전사 위치에 있어서의 상기 환상 부재(251, 312)의 부위와 동일한 속도로 상기 환상 부재(251, 312)의 상기 부위의 진행 방향과 같은 방향이며 상기 피전사면(91)을 따르는 이동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이동 기구(2)와,The object 9 is the same as the site of the annular members 251 and 312 at the transfer position, while the transfer surface 91 of the conductive layer 94 is closest to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at a predetermined transfer position. A moving mechanism 2 which moves at a speed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traveling direction of the portion of the annular members 251 and 312 and in the moving direction along the transfer surface 91; 상기 전사 위치에 있어서 상기 환상 부재(251, 312)와 상기 대상물(9)의 상기 피전사면(91)의 사이에 소정의 전사 전압을 작용시켜 상기 토너 화상을 상기 대상물(9)에 전사하는 토너 화상 전사부(4, 5)를 구비하는 화상 형성 장치.A toner image for transferring the toner image to the object 9 by applying a predetermined transfer voltage between the annular members 251 and 312 and the transfer surface 91 of the object 9 at the transfer position. An image forming apparatus comprising transfer portions (4, 5). 청구항 1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상기 습식 토너(92)의 주성분이 아세트산비닐인 화상 형성 장치.An image forming apparatus, wherein a main component of the liquid toner (92) is vinyl acetate. 청구항 1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상기 대상물(9)이 가요성을 가지는 플렉시블 기판인 화상 형성 장치.An image forming apparatus, wherein the object is a flexible substrate having flexibility. 청구항 3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3, 상기 이동 기구(2)에 의한 상기 대상물(9)의 상기 이동 방향에 있어서 상기 전사 위치보다도 하류측에 배치되고, 상기 토너 화상을 상기 피전사면(91)에 정착시키는 정착부(52)를 더 구비하고,A fixing unit 52 is further provided in the moving direction of the object 9 by the moving mechanism 2, and is disposed downstream of the transfer position to fix the toner image to the transfer surface 91. and, 상기 이동 기구(2)가,The moving mechanism 2, 상기 토너 화상이 전사되기 전의 롤형상의 상기 대상물(9)을 보유함과 더불어 상기 대상물(9)을 상기 전사 위치로 공급하는 대상물 공급부(203)와,An object supply part 203 which holds the object 9 in a roll shape before the toner image is transferred, and supplies the object 9 to the transfer position; 상기 이동 기구(2)에 의한 상기 대상물(9)의 상기 이동 방향에 있어서 상기 정착부(52)보다도 하류측에 배치되고, 상기 토너 화상이 정착된 상기 대상물(9)을 감아들여 회수하는 대상물 회수부(205)를 구비하는 화상 형성 장치.The object collection | recovery which arrange | positions downstream of the said fixing | fixed part 52 in the said moving direction of the said object 9 by the said moving mechanism 2, and winds up and collect | recovers the said target object 9 to which the toner image was fixed An image forming apparatus comprising a portion 205. 청구항 1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상기 토너 화상 전사부(4, 5)가,The toner image transfer sections 4 and 5 상기 순환 이동의 상기 전사 위치보다도 앞에서 상기 토너 화상 상으로부터 상기 환상 부재(251, 312)의 상기 외주면에 상기 습식 토너(92)의 대전극성과 동일한 극성의 제1 전위를 부여하는 제1 전위 부여부(4)와,A first potential imparting portion for imparting a first potential having the same polarity as that of the counter electrode of the liquid toner 92 to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annular members 251 and 312 from the toner image before the transfer position of the cyclic movement; (4) and, 상기 피전사면(91)에 접지 전위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제2 전위를 부여함으로써, 상기 전사 위치에 있어서 상기 환상 부재(251, 312)와 상기 피전사면(91)의 사이에 상기 전사 전압을 작용시키는 제2 전위 부여부(5)를 구비하는 화상 형성 장치.By applying a second potential substantially equal to the ground potential to the transfer surface 91, the transfer voltage is applied between the annular members 251 and 312 and the transfer surface 91 at the transfer position. An image forming apparatus comprising two dislocation applying portions (5). 판형상 또는 필름형상의 대상물(9) 상에 토너 화상을 형성하는 화상 형성 장치로서,An image forming apparatus for forming a toner image on a plate-like or film-like object 9, 외주면 상에 습식 토너(92)에 의한 전사 전의 토너 화상이 형성되는 원통 드럼형상, 또는 평벨트 형상의 환상 부재(251, 312)를 상기 외주면을 따라서 순환 이동시키는 토너 화상 보유부(25, 31)와,Toner image holding portions 25 and 31 for circularly moving the cylindrical drum-shaped or flat-belt-shaped annular members 251 and 312 alo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n which the toner image before transfer by the liquid toner 92 is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Wow, 대상물(9)의 비저항이 103Ω·cm이하인 도전성의 피전사면(91)을 소정의 전사 위치에 있어서 상기 외주면에 가장 접근시키면서, 상기 대상물(9)을 상기 전사 위치에 있어서의 상기 환상 부재(251, 312)의 부위와 동일한 속도로 상기 환상 부재(251, 312)의 상기 부위의 진행 방향과 같은 방향이며 상기 피전사면(91)을 따르는 이동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이동 기구(2)와,The said annular member in the said transfer position was made to move the said target object 9 in the said transfer position, making the electrically conductive to-be-transmitted surface 91 whose specific resistance of the object 9 is 10 3 ohm * cm or less closest to the said outer peripheral surface at a predetermined transfer position. A moving mechanism 2 which moves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direction of travel of the portions of the annular members 251 and 312 in the movement direction along the transfer surface 91 at the same speed as that of the portions 251 and 312, 상기 순환 이동의 상기 전사 위치보다도 앞에서 상기 토너 화상 상으로부터 상기 환상 부재(251, 312)의 상기 외주면에 상기 습식 토너(92)의 대전극성과 동일 한 극성의 제1 전위를 부여하는 제1 전위 부여부(4)와,A first potential portion for imparting a first potential of the same polarity as that of the counter electrode of the liquid toner 92 to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annular members 251 and 312 from the toner image before the transfer position of the cyclic movement; Whether or not (4), 상기 피전사면(91)에 접지 전위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제2 전위를 부여함으로써, 상기 전사 위치에 있어서 상기 환상 부재(251, 312)와 상기 대상물(9)의 상기 피전사면(91)의 사이에 소정의 전사 전압을 작용시켜 상기 토너 화상을 상기 대상물(9)에 전사하는 제2 전위 부여부(5)를 구비하는 화상 형성 장치.By giving the transfer surface 91 a second potential that is substantially equal to the ground potential, the predetermined transfer is made between the annular members 251, 312 and the transfer surface 91 of the object 9 at the transfer position. And a second potential providing portion (5) for transferring the toner image to the object (9) by applying a transfer voltage of. 청구항 6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상기 제1 전위 부여부(4)가, 코로나 방전에 의해 발생한 이온을 상기 토너 화상 보유부(25, 31)에 부여하는 코로나 대전 기구인 화상 형성 장치.And the first potential providing portion (4) is a corona charging mechanism for imparting ions generated by corona discharge to the toner image holding portions (25, 31). 청구항 6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상기 대상물(9)이,The object 9, 판형상 또는 필름형상의 절연성 기재(93)와,Plate-like or film-shaped insulating base 93, 상기 절연성 기재(93)의 하나의 주면에 형성된 상기 피전사면(91)을 가지는 도전층(94)을 구비하는 화상 형성 장치.An image forming apparatus comprising: a conductive layer (94) having the transfer surface (91) formed on one main surface of the insulating base (93). 청구항 5 내지 청구항 8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5 to 8, 상기 제2 전위의 절대치가, 상기 제1 전위의 절대치의 5%이하인 화상 형성 장치.And the absolute value of the second potential is 5% or less of the absolute value of the first potential. 청구항 9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9, 상기 제2 전위가 접지 전위인 화상 형성 장치.And the second potential is ground potential.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8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8, 상기 습식 토너(92)의 입경이 2㎛이하인 화상 형성 장치.An image forming apparatus, wherein the liquid toner (92) has a particle diameter of 2 m or less.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8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8, 상기 환상 부재(251, 312)의 상기 외주면에 정전 잠상을 형성하는 잠상 형성부(33)와,A latent image forming portion 33 forming an electrostatic latent image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annular members 251 and 312, 상기 습식 토너(92)에 의해 상기 정전 잠상을 현상하여 상기 토너 화상을 형성하는 현상부(34)를 더 구비하는 화상 형성 장치.And a developing portion (34) for forming the toner image by developing the latent electrostatic image by the liquid toner (92). 판형상 또는 필름형상의 대상물(9) 상에 토너 화상을 형성하는 화상 형성 방법으로서, An image forming method of forming a toner image on a plate-shaped or film-shaped object 9, a) 외주면을 따라서 순환 이동하는 원통 드럼형상 또는 평벨트 형상의 환상 부재(251, 312)의 상기 외주면 상에 에칭 내성을 가지는 습식 토너(92)에 의한 전사 전의 토너 화상을 형성하는 공정과,a) forming a toner image before transfer by the liquid toner 92 having etching resistance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ylindrical drum-shaped or flat belt-shaped annular members 251, 312 circulating alo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b) 판형상 또는 필름형상의 절연성 기재(93) 및 상기 절연성 기재(93)의 하나의 주면에 형성된 비저항이 103Ω·cm이하인 도전층(94)을 가지는 대상물(9)을 보 유하고, 상기 도전층(94)의 피전사면(91)을 소정의 전사 위치에 있어서 상기 외주면에 가장 접근시키면서, 상기 대상물(9)을 상기 전사 위치에 있어서의 상기 환상 부재(251, 312)의 부위와 동일한 속도로 상기 환상 부재(251, 312)의 상기 부위의 진행 방향과 같은 방향이며 상기 피전사면(91)을 따르는 이동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공정과,b) the object 9 which has the plate-shaped or film-shaped insulating base 93 and the conductive layer 94 whose specific resistance formed in one main surface of the said insulating base 93 is 10 3 ohm * cm or less, The object 9 is the same as the site of the annular members 251 and 312 at the transfer position, while the transfer surface 91 of the conductive layer 94 is closest to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at a predetermined transfer position. Moving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travel direction of the portion of the annular members 251 and 312 at a speed and in the moving direction along the transfer surface 91; c) 상기 b) 공정과 병행하여, 상기 전사 위치에 있어서 상기 환상 부재(251, 312)와 상기 대상물(9)의 상기 피전사면(91)의 사이에 소정의 전사 전압을 작용시켜 상기 토너 화상을 상기 대상물(9)에 전사하는 공정을 구비하는 화상 형성 방법.c) in parallel with the step b), a predetermined transfer voltage is applied between the annular members 251, 312 and the transfer surface 91 of the object 9 at the transfer position to produce the toner image. An image forming method comprising the step of transferring to said object (9). 청구항 13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3, 상기 습식 토너(92)의 주성분이 아세트산비닐인 화상 형성 방법.An image forming method in which the main component of the liquid toner (92) is vinyl acetate. 청구항 13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3, 상기 c) 공정이,C) the process, d) 상기 순환 이동의 상기 전사 위치보다도 앞에서 상기 토너 화상 상으로부터 상기 환상 부재(251, 312)의 상기 외주면에 상기 습식 토너(92)의 대전극성과 동일한 극성의 제1 전위를 부여하는 공정과,d) applying a first electric potential having the same polarity as that of the counter electrode of the liquid toner 92 to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annular members 251 and 312 from the toner image before the transfer position of the circular movement; e) 상기 d) 공정과 병행하여, 상기 피전사면(91)에 접지 전위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제2 전위를 부여함으로써, 상기 전사 위치에 있어서 상기 환상 부재(251, 312)와 상기 피전사면(91)의 사이에 상기 전사 전압을 작용시키는 공정을 구비하는 화상 형성 방법.e) In parallel with the step d), the annular members 251 and 312 and the to-be-transmitted surface 91 are provided at the transfer position by applying a second potential substantially equal to the ground potential to the to-be-transmitted surface 91. And a step of applying the transfer voltage in between. 판형상 또는 필름형상의 대상물(9) 상에 토너 화상을 형성하는 화상 형성 방법으로서,An image forming method of forming a toner image on a plate-shaped or film-shaped object 9, a) 외주면을 따라서 순환 이동하는 원통 드럼형상 또는 평벨트 형상의 환상 부재(251, 312)의 상기 외주면 상에 습식 토너(92)에 의한 전사 전의 토너 화상을 형성하는 공정과,a) forming a toner image before transfer by the liquid toner 92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ylindrical drum-shaped or flat belt-shaped annular members 251, 312 circulating alo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b) 대상물(9)의 비저항이 103Ω·cm이하인 도전성의 피전사면(91)을 소정의 전사 위치에 있어서 상기 외주면에 가장 접근시키면서, 상기 대상물(9)을 상기 전사 위치에 있어서의 상기 환상 부재(251, 312)의 부위와 동일한 속도로 상기 환상 부재(251, 312)의 상기 부위의 진행 방향과 같은 방향이며 상기 피전사면(91)을 따르는 이동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공정과,b) The annular object at the transfer position while the conductive transfer surface 91 having a resistivity of the object 9 of 10 3 Ω · cm or less is most approached to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at a predetermined transfer position. Moving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direction of travel of the portions of the annular members 251 and 312 in the movement direction along the transfer surface 91 at the same speed as the portions of the members 251 and 312, c) 상기 b) 공정과 병행하여, 상기 순환 이동의 상기 전사 위치보다도 앞에서 상기 토너 화상 상으로부터 상기 환상 부재(251, 312)의 상기 외주면에 상기 습식 토너(92)의 대전극성과 동일한 극성의 제1 전위를 부여하는 공정과,c) in parallel with the step b), the same polarity as that of the counter electrode of the liquid toner 92 is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annular members 251 and 312 from the toner image before the transfer position of the circular movement. 1 step of applying a potential, d) 상기 b) 공정 및 상기 c) 공정과 병행하여, 상기 피전사면(91)에 접지 전위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제2 전위를 부여함으로써, 상기 전사 위치에 있어서 상기 환상 부재(251, 312)와 상기 대상물(9)의 상기 피전사면(91)의 사이에 소정의 전사 전압을 작용시켜 상기 토너 화상을 상기 대상물(9)에 전사하는 공정을 구비하는 화 상 형성 방법.d) in parallel with the process b) and the process c), by applying a second potential substantially equal to the ground potential to the transfer surface 91, the annular members 251 and 312 at the transfer position; And transferring a toner image to the object (9) by applying a predetermined transfer voltage between the target surfaces (91) of the object (9). 청구항 15 또는 청구항 16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5 or 16, 상기 제2 전위의 절대치가, 상기 제1 전위의 절대치의 5%이하인 화상 형성 방법.And the absolute value of the second potential is 5% or less of the absolute value of the first potential. 청구항 17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7, 상기 제2 전위가 접지 전위인 화상 형성 방법.And the second potential is a ground potential. 청구항 13 내지 청구항 16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3 to 16, 상기 습식 토너(92)의 입경이 2㎛ 이하인 화상 형성 방법.An image forming method, wherein the liquid toner (92) has a particle diameter of 2 m or less. 판형상 또는 필름형상의 절연성 기재(93) 및 상기 절연성 기재(93)의 하나의 주면에 형성된 비저항이 103Ω·cm이하인 도전층(94)을 가짐과 더불어 가요성을 가지는 플렉시블 기판인 대상물(9) 상에 배선 패턴을 형성하는 패턴 형성 시스템으로서,An object that is a flexible substrate having flexibility while having a plate-like or film-like insulating base 93 and a conductive layer 94 having a specific resistance of 10 3 Ω · cm or less formed on one main surface of the insulating base 93 ( 9) A pattern forming system for forming a wiring pattern on 에칭 내성을 가지는 습식 토너(92)에 의한 전사 전의 토너 화상이 외주면 상에 형성되는 원통 드럼형상 또는 평벨트 형상의 환상 부재(251, 312)를 상기 외주면을 따라서 순환 이동시키는 토너 화상 보유부(25, 31)와,Toner image retaining portion 25 for circularly moving cylindrical drum-shaped or flat belt-shaped annular members 251 and 312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toner image before transfer by the liquid toner 92 having etching resistance alo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 31), 상기 대상물(9)을 보유하고, 상기 도전층(94)의 피전사면(91)을 소정의 전사 위치에 있어서 상기 외주면에 가장 접근시키면서, 상기 대상물(9)을 상기 전사 위치에 있어서의 상기 환상 부재(251, 312)의 부위와 동일한 속도로 상기 환상 부재(251, 312)의 상기 부위의 진행 방향과 같은 방향이며 상기 피전사면(91)을 따르는 이동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이동 기구(2)와,The annular member at the transfer position while retaining the object 9 and making the target surface 91 of the conductive layer 94 approach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at a predetermined transfer position. A moving mechanism 2 which moves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direction of travel of the portions of the annular members 251 and 312 in the moving direction along the transfer surface 91 at the same speed as the portions of 251 and 312, 상기 전사 위치에 있어서 상기 환상 부재(251, 312)와 상기 대상물(9)의 상기 피전사면(91)의 사이에 소정의 전사 전압을 작용시켜 상기 토너 화상을 상기 대상물(9)의 상기 피전사면(91)에 전사하는 토너 화상 전사부(4, 5)와,At the transfer position, a predetermined transfer voltage is applied between the annular members 251 and 312 and the transfer surface 91 of the object 9 so that the toner image is transferred to the transfer surface of the object 9 ( The toner image transfer sections 4, 5 to be transferred to 91; 상기 이동 기구(2)에 의한 상기 대상물(9)의 상기 이동 방향에 있어서 상기 전사 위치보다도 하류측에 배치되고, 상기 토너 화상을 상기 피전사면(91)에 정착시키는 정착부(52)와,A fixing unit 52 arranged downstream of the transfer position in the moving direction of the object 9 by the moving mechanism 2 to fix the toner image to the transfer surface 91; 상기 이동 방향에 있어서 상기 정착부(52)보다도 하류측에 배치되고, 상기 도전층(94)의 상기 토너 화상으로부터 노출되어 있는 부위에 에칭을 실시하는 에칭 장치(61)를 구비하고,An etching apparatus 61 disposed downstream of the fixing unit 52 in the moving direction and etching to a portion exposed from the toner image of the conductive layer 94; 상기 이동 기구(2)가,The moving mechanism 2, 상기 토너 화상이 전사되기 전의 롤형상의 상기 대상물(9)을 보유함과 더불어 상기 대상물(9)을 상기 전사 위치로 공급하는 대상물 공급부(203)와,An object supply part 203 which holds the object 9 in a roll shape before the toner image is transferred, and supplies the object 9 to the transfer position; 상기 이동 기구(2)에 의한 상기 대상물(9)의 상기 이동 방향에 있어서 상기 정착부(52)보다도 하류측에 배치되고, 상기 토너 화상이 정착된 상기 대상물(9)을 감아들여 회수하는 대상물 회수부(205)를 구비하는 패턴 형성 시스템.The object collection | recovery which arrange | positions downstream of the said fixing | fixed part 52 in the said moving direction of the said object 9 by the said moving mechanism 2, and winds up and collect | recovers the said target object 9 to which the toner image was fixed A pattern forming system having a portion 205. 청구항 20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0, 상기 대상물(9)의 상기 이동 방향에 있어서 상기 에칭 장치와 상기 대상물 회수부의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토너 화상을 상기 대상물(9) 상에서 제거하는 화상 제거 장치(63)를 더 구비하는 패턴 형성 시스템.And an image removal device (63) disposed between the etching apparatus and the object recovery portion in the moving direction of the object (9), and for removing the toner image on the object (9). 대상물(9) 상에 배선 패턴을 형성하는 패턴 형성 방법으로서,As a pattern formation method which forms a wiring pattern on the target object 9, a) 외주면을 따라서 순환 이동하는 원통 드럼형상 또는 평벨트 형상의 환상 부재(251, 312)의 상기 외주면상에 에칭 내성을 가지는 습식 토너(92)에 의한 전사전의 토너 화상을 형성하는 공정과,a) forming a toner image before transfer by the liquid toner 92 having etching resistance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s of the cylindrical drum-shaped or flat belt-shaped annular members 251, 312 circulating alo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b) 판형상 또는 필름형상의 절연성 기재(93) 및 상기 절연성 기재(93)의 하나의 주면에 형성된 비저항이 103Ω·cm이하인 도전층(94)을 가지는 대상물(9)을 보유하고, 상기 도전층(94)의 피전사면(91)을 소정의 전사 위치에 있어서 상기 외주면에 가장 접근시키면서, 상기 대상물(9)을 상기 전사 위치에 있어서의 상기 환상 부재(251, 312)의 부위와 동일한 속도로 상기 환상 부재(251, 312)의 상기 부위의 진행 방향과 같은 방향이며 상기 피전사면(91)을 따르는 이동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공정과,b) holding the object 9 which has the plate-shaped or film-shaped insulating base 93 and the conductive layer 94 whose specific resistance formed in one main surface of the said insulating base 93 is 10 3 ohm * cm or less, and said The object 9 is at the same speed as that of the annular members 251 and 312 at the transfer position, while the transfer surface 91 of the conductive layer 94 is closest to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at a predetermined transfer position. A process of moving in the direction of movement of the portions of the annular members 251, 312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travel direction along the transfer surface 91; c) 상기 b) 공정과 병행하여, 상기 전사 위치에 있어서 상기 환상 부재(251, 312)와 상기 대상물(9)의 상기 피전사면(91)의 사이에 소정의 전사 전압을 작용시 켜 상기 토너 화상을 상기 대상물(9)의 상기 피전사면(91)에 전사하는 공정과,c) in parallel with the step b), a predetermined transfer voltage is applied between the annular members 251, 312 and the transfer surface 91 of the object 9 at the transfer position, to produce the toner image. Transferring the to the transfer surface 91 of the object 9, d) 상기 c) 공정보다도 후에, 상기 피전사면(91)에 전사된 상기 토너 화상을 정착시키는 공정과,d) fixing the toner image transferred to the transfer surface 91 after the step c); e) 상기 d) 공정보다도 후에, 상기 도전층(94)의 상기 토너 화상으로부터 노출되어 있는 부위에 에칭을 실시하는 공정을 구비하는 패턴 형성 방법.e) A pattern forming method comprising a step of etching the portion exposed from the toner image of the conductive layer 94 after the step d). 청구항 22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22, f) 상기 e) 공정보다도 후에, 상기 토너 화상을 상기 대상물(9) 상에서 제거하는 공정을 더 구비하는 패턴 형성 방법.and f) removing said toner image on said object (9) after said step e).
KR1020087024596A 2007-04-18 2008-03-13 Image forming apparatus, image forming method, pattern forming system and pattern forming method KR100966953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7109017A JP4834597B2 (en) 2007-04-18 2007-04-18 Image forming apparatus and image forming method
JPJP-P-2007-109017 2007-04-18
JPJP-P-2007-109018 2007-04-18
JP2007109018A JP4876015B2 (en) 2007-04-18 2007-04-18 Image forming apparatus, pattern forming system, image forming method, and pattern forming method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18881A true KR20090018881A (en) 2009-02-24
KR100966953B1 KR100966953B1 (en) 2010-06-30

Family

ID=398754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7024596A KR100966953B1 (en) 2007-04-18 2008-03-13 Image forming apparatus, image forming method, pattern forming system and pattern forming method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0966953B1 (en)
WO (1) WO2008129911A1 (en)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274977A (en) * 1987-05-06 1988-11-11 Ricoh Co Ltd Wet digital recording method
JPH07273427A (en) * 1994-03-28 1995-10-20 Mitsubishi Paper Mills Ltd Manufacture of printed wiring board
JPH0888456A (en) * 1994-09-14 1996-04-02 Nikon Corp Method and device for manufacturing substrate wire device
JPH09244425A (en) * 1996-03-13 1997-09-19 Mitsubishi Heavy Ind Ltd Device and method for image forming
JPH10280170A (en) * 1997-04-11 1998-10-20 Omron Corp Formation of etching mask and apparatus theref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8129911A1 (en) 2008-10-30
KR100966953B1 (en) 2010-06-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73183B1 (en) Image forming apparatus and image forming method
JP3251950B2 (en) Electrophotographic printing machine
JP3083907B2 (en) Image forming device
JPH0888456A (en) Method and device for manufacturing substrate wire device
KR100966953B1 (en) Image forming apparatus, image forming method, pattern forming system and pattern forming method
EP0921444B1 (en) Electrophotographic printer with liquid developer
JP4876015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pattern forming system, image forming method, and pattern forming method
JP4834597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and image forming method
KR101221759B1 (en) Image data generating apparatus, Image data generating method, Image forming apparatus and Image forming method
JP2004219635A (en) Image carrier of electrostatic recording system and recording apparatus using same
JPH1039694A (en) Toner image forming device
KR20020073398A (en) Wet image forming device
JP5283452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and image forming method
JP2010076270A (en) Pattern drawing apparatus and image forming apparatus
JP5280395B2 (en) Image data creation device, pattern drawing device, image forming device, and image forming method
JP5582712B2 (en) Pattern drawing apparatus and image forming apparatus
JP4804929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and image forming method
US20100196060A1 (en) Developer unit for an electrophotographic printing device for printing on glass or ceramic material
JPH1039705A (en) Cleaner for electrophotographic device
JP2011070077A (en) Fixing unit, image forming system, and fixing method
JP4782511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and image forming method
JP4343033B2 (en) Electronic circuit manufacturing equipment
JP4803622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JPH0846330A (en) Manufacture of printed wiring board
JP2007003880A (en) Image forming apparatus and meth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3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0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1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17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