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18618A - 역방향-호환 가능한 이동 유닛의 핸드오버 - Google Patents

역방향-호환 가능한 이동 유닛의 핸드오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18618A
KR20090018618A KR1020087029299A KR20087029299A KR20090018618A KR 20090018618 A KR20090018618 A KR 20090018618A KR 1020087029299 A KR1020087029299 A KR 1020087029299A KR 20087029299 A KR20087029299 A KR 20087029299A KR 20090018618 A KR20090018618 A KR 2009001861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rier
mobile unit
determining
carriers
accordan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70292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애쇽 엔. 루드라파트나
지알린 조우
Original Assignee
루센트 테크놀러지스 인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루센트 테크놀러지스 인크 filed Critical 루센트 테크놀러지스 인크
Publication of KR200900186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1861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16Performing reselection for specific purposes
    • H04W36/18Performing reselection for specific purposes for allowing seamless reselection, e.g. soft resele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16Performing reselection for specific purposes
    • H04W36/22Performing reselection for specific purposes for handling the traffic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24Reselection being triggered by specific parameters
    • H04W36/30Reselection being triggered by specific parameters by measured or perceived connection quality data
    • H04W36/302Reselection being triggered by specific parameters by measured or perceived connection quality data due to low signal strength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14Reselecting a network or an air interfa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04W88/06Terminal devices adapted for operation in multiple networks or having at least two operational modes, e.g. multi-mode termin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제 1 시스템 유형에 따라 동작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 1 캐리어 및 제 2 시스템 유형에 따라 동작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 2 캐리어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용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방법은 이동 유닛이 상기 제 1 및 제 2 캐리어들 중 적어도 하나의 로딩에 기초하여 상기 제 1 시스템 유형에 따라 동작하는 제 1 캐리어 및 상기 제 2 시스템 유형에 따라 동작하는 제 2 캐리어 사이에서 핸드오버되는 것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Figure P1020087029299
이동 유닛, 시스템 유형, 캐리어, 핸드오버, 프로토콜

Description

역방향-호환 가능한 이동 유닛의 핸드오버{HANDOVER OF A BACKWARD-COMPATIBLE MOBILE UNIT}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통신 시스템들에 관한 것이며, 특히 무선 통신 시스템들에 관한 것이다.
무선 통신 시스템의 커버리지 영역(coverage area)은 전형적으로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들로 그룹화될 수 있는 다수의 셀(cell)들로 분할된다. 셀들과 연관된 기지국들은 셀 내의 또는 셀의 섹터 내의 이동 유닛들로 무선 접속성(wireless connectivity)을 제공한다. 이동 유닛들은 이동 전화들, 개인 휴대 정보 단말기들, 스마트 폰들(smart phones),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디바이스들, 무선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카드들(wireless network interface cards), 데스크탑 또는 랩탑 컴퓨터들 등과 같은 디바이스들을 포함할 수 있다. 각각의 셀 내에 위치된 이동 유닛들은 셀과 연관된 기지국과 종종 무선 인터페이스(air interface)라 칭해지는 무선 통신 링크를 설정함으로써 무선 통신 시스템에 액세스할 수 있다. 정보는 캐리어(carrier)에 의해 송신될 정보에 기초하여 변조되는 고주파수 무선 사인 파형과 같이, 캐리어를 사용하여 무선 인터페이스를 통해 송신될 수 있다. 각각의 기지국은 하나 이상의 캐리어를 지원할 수 있고, 특정 위치에 위치된 이동 유닛들 은 하나 이상의 기지국에 의해 제공된 캐리어들에 액세스할 수 있다.
이동 유닛들은 하나의 기지국으로부터 다른 기지국으로 및/또는 하나의 캐리어로부터 또 다른 캐리어로 자주 핸드오프된다. 예를 들면, 이동 유닛은 여러 셀들의 커버리지 영역들을 통해 로밍할 수 있으므로, 이동 유닛이 연관된 셀들 또는 섹터들을 통해 이동할 때 하나의 기지국으로부터 다른 기지국으로 핸드오프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면, 기지국 및/또는 캐리어와 연관된 커버리지 영역는 변화하는 환경적 조건들, 변화하는 네트워크 구성들 등으로 인하여 가변할 수 있다. 따라서, 고정식 이동 유닛조차도 예를 들면, 현재 서비스하는 기지국에 의해 제공되는 채널 품질이 열화되는 경우에 다른 기지국으로 핸드오프될 수 있다. 핸드오버들은 하드(hard), 즉, 타겟 기지국(target base station)으로의 새로운 접속이 행해지기 전에 서비스하는 기지국으로의 오래된 접속이 중단되는 것이거나, 또는 소프트(soft), 즉, 서비스하는 기지국으로의 오래된 접속이 중단되기 전에 타겟 기지국으로의 새로운 접속이 행해지는 것일 수 있다. 그러므로, 소프트 핸드오버 시의 이동국은 핸드오버 동안 하나 이상의 기지국과의 동시적인 접속들을 유지한다.
진화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들은 관련 무선 통신 표준들의 상이한 리비전들(revisions) 또는 버전들(versions)에 따라 동작하는 캐리어들을 이용하여 무선 접속성을 제공하는 셀들을 종종 포함한다. 예를 들면, 종래의 무선 통신 시스템은 CDMA2000 EVDO 표준들의 리비전-B 및/또는 리비전-C에 따라 동작하는 일부의 기지국들을 포함할 수 있다. 리비전-C는 리비전-B보다 더 늦은 리비전이어서, 리비전-B를 지원하는 이동 유닛들은 또한 리비전-C를 지원할 수 있거나 지원할 수 없고, 그 역도 또한 마찬가지이다. 이동 유닛이 종래의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핸드오프될 때, 이동 유닛은 상기 이동 유닛에 의해 지원되는 가장 최근의 리비전에 따라 동작하는 캐리어로 핸드오프되도록 시도할 것이다. 예를 들면, 리비전-C를 지원하는 이동 유닛은 또한 리비전-C에 따라 동작하는 캐리어로 핸드오프되도록 항상 시도할 것이다.
가장 최근의 리비전에 따라 동작하는 캐리어들로의 핸드오프는 이동 유닛이 가장 최근의 리비전에 의해 제공되는 개선된 서비스들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과 같은 다수의 장점들을 갖는다. 그러나, 이 방법은 또한 다수의 단점들을 갖는다. 예를 들면, 많은 이동 유닛들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이러한 캐리어들을 이용하는 상술된 장점들 때문에, 가장 최근의 리비전에 따라 동작하는 캐리어들로 핸드오프되도록 시도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이러한 캐리어들은 오버로딩(overloading)되거나 이용 불가능할 수 있다. 가장 최근의 리비전에 따라 동작하는 캐리어들을 통해 송신하는 이동 유닛에 제공된 서비스의 전체 품질은 이러한 캐리어들이 오버로딩될 때 열화될 수 있다. 더구나, 부가적인 이동 유닛들이 오버로딩되거나 이용 불가능한 캐리어들로 핸드오프되도록 시도할 때, 부족한 무선 리소스들이 낭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술된 문제점들 중 하나 이상의 영향들을 처리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다음은 본 발명의 일부 양태들의 기본적인 이해를 제공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간소화된 요약을 제공한다. 이 요약은 본 발명의 구체적인 개요가 아니다. 이 요약은 본 발명의 핵심적 또는 결정적 요소들을 식별하거나 본 발명의 범위를 나타내고자 하는 것이 아니다. 이 요약의 유일한 목적은 이하에 논의되는 더 상세한 설명에 대한 서문으로서 일부 개념들을 간소화된 형태로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 1 시스템 유형에 따라 동작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 1 캐리어 및 제 2 시스템 유형에 따라 동작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 2 캐리어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용 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방법은 이동 유닛이 상기 제 1 및 제 2 캐리어들 중 적어도 하나의 로딩(loading)에 기초하여 상기 제 1 시스템 유형에 따라 동작하는 제 1 캐리어 및 상기 제 2 시스템 유형에 따라 동작하는 제 2 캐리어 사이에서 핸드오버되어야 하는지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동일한 요소들에는 동일한 참조 번호들이 병기되어 있는 첨부 도면들과 함께 다음의 설명을 참조함으로써 이해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의 일 예시적인 실시예를 개념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오버헤드 메시지의 일 예시적인 실시예를 개념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 유닛에 대한 핸드오버 방법의 일 예시적인 실시예를 개념적으로 도시한 도면.
본 발명이 다양한 변경들 및 대안적인 형태들을 허용하지만, 본 발명의 특정 실시예들이 도면들에서 예로서 도시되고 본원에 상세히 설명된다. 그러나, 특정 실시예들의 본원의 설명이 본 발명을 개시된 특정 형태들로 국한하고자 하는 것이 아니며, 그 반대로, 첨부된 청구항들에 의해 규정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정신과 범위 내에 존재하는 모든 변경들, 등가물들, 및 대안들을 커버하게 된다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설명적인 실시예들이 이하에 설명된다. 명확화를 위하여, 실제 구현예의 모든 특징들이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지는 않는다. 임의의 이와 같은 실제 실시예의 개발에서, 구현예마다 변화될 시스템-관련 및 비즈니스-관련 제약들과의 컴플라이언스(compliance)와 같은 개발자의 특정 목적들을 성취하기 위하여 다수의 구현예-특정 판정들이 행해져야 한다는 것이 물론 인식될 것이다. 더구나, 이와 같은 개발 노력이 복잡하고 시간을 소비할 수 있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본 명세서의 이점을 갖는 당업자들이 맡은 업무라는 것이 인식될 것이다.
본 발명의 부분들 및 대응하는 상세한 설명은 컴퓨터 메모리 내에서의 데이터 비트들 상의 동작들의 기호적 표현들과 알고리즘들, 또는 소프트웨어에 의하여 제공된다. 이러한 설명들 및 표현들은 당업자들이 다른 당업자들에게 자신들의 작업의 요지를 효율적으로 전달하는 것들이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용어이며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바와 같은 알고리즘은 희망하는 결과를 발생시키는 단계들의 일관성 있는 시퀀스라고 간주된다. 상기 단계들은 물리적 양들의 물리적인 조종들을 필요로 하는 것들이다. 반드시는 아니지만 통상적으로, 이러한 량들은 저장, 전달, 결합, 비교, 및 조정될 수 있는 광학적, 전기적, 또는 자기적 신호들의 형태를 취한 다. 이러한 신호들을 비트들, 값들, 요소들, 심벌들, 문자들, 용어들, 수들, 등으로서 칭하는 것이 주로 통상적인 용도의 이유들 때문에, 종종 편리하다는 것이 판명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용어들 및 유사한 용어들 모두가 적절한 물리적 량들과 관련될 것이며 이러한 량들에 적용된 단지 편리한 라벨(label)들이라는 것을 기억해야 한다. 특별히 달리 언급되지 않는다면, 또는 논의로부터 명백해지는 바와 같이, "프로세싱" 또는 "컴퓨팅" 또는 "계산" 또는 "결정" 또는 "디스플레잉" 등과 같은 용어들은 컴퓨터 시스템의 레지스터(register)들 및 메모리들 내의 물리적, 전자적 량들로서 표현된 데이터를 컴퓨터 시스템 메모리들 또는 레지스터들 또는 다른 이와 같은 정보 저장, 송신 및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들 내의 물리적 량들로서 유사하게 표현된 다른 데이터로 조종 및 변환하는 컴퓨터 시스템, 또는 유사한 전자 컴퓨팅 디바이스의 동작 및 프로세스들과 관련된다.
본 발명의 소프트웨어 구현된 양태들이 전형적으로 어떤 형태의 프로그램 저장 매체 상에서 인코딩되거나 어떤 유형의 송신 매체를 통하여 구현된다는 점에 또한 주의하라. 프로그램 저장 매체는 자기적(예를 들면, 플로피 디스크 또는 하드 드라이브) 또는 광학적(예를 들면, 콤팩트 디스크 판독 전용 메모리, 즉, "CD ROM")일 수 있고, 판독 전용 또는 랜덤 액세스일 수 있다. 유사하게, 송신 매체는 연선, 동축 케이블, 광섬유, 또는 종래 기술에 공지된 어떤 다른 적절한 송신 매체일 수 있다. 본 발명은 임의의 소정 구현예의 이러한 양태들에 의해 국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은 이제 첨부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다양한 구조들, 시스템들 및 디바이스들이 단지 설명을 위하여, 그리고 당업자들에게 널리 공지되어 있는 세부사항들로 본 발명을 모호하지 않게 하기 위하여 도면들에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첨부 도면들은 본 발명의 설명적인 예들을 기술 및 설명하기 위하여 포함된다. 본원에 사용된 단어들 및 구들은 당업자들이 이러한 단어들 및 구들을 이해하는 것과 일관된 의미를 갖는 것으로 이해 및 해석되어야 한다. 용어 또는 구의 특정한 정의, 즉, 당업자들이 이해하는 것과 같은 통상적이며 통례적인 의미와 상이한 정의가 본원의 용어 또는 구의 일관된 용도에 의해 내포되지는 않는다. 용어 또는 구가 특정 의미, 즉, 당업자들이 이해하는 것 이외의 의미를 갖게 된다는 점에서, 이와 같은 특정 정의는 상기 용어 또는 구에 대한 특정 정의를 직접적이고 명백하게 제공하는 정의형 방식으로 명세서에서 명백하게 설명될 것이다.
도 1은 무선 통신 시스템(100)의 제 1 예시적인 실시예를 개념적으로 도시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무선 통신 시스템(100)은 복수의 지리적인 영역들 또는 셀들(105(1-2), 110(1-4))에 무선 통신을 제공한다. 수적인 인덱스(index)들은 셀들(105, 110)을 총괄하여 칭할 때 사용되지 않을 수 있다. 그러나, 수적인 인덱스들((1-2), (1-4))은 개별적인 셀들(105, 110) 및/또는 셀들(105, 110)의 서브셋(subset)들을 나타내는데 사용될 수 있다. 이 넘버링 규정(numbering convention)은 다른 도면들에 도시되고 상이한 수적인 인덱스들에 의해 구별되는 요소들에 적용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이점을 갖는 당업자들은 무선 접속성이 이 러한 엔티티(entity)들 및/또는 디바이스들이 도 1에 도시되어 있지 않을지라도, 하나 이상의 기지국들, 기지국 라우터들, 액세스 포인트들 등 뿐만 아니라, 무선 네트워크 제어기들과 같은 제어기들을 사용하여 셀들(105, 110)에 제공될 수 있다는 점을 인식해야 한다. 본 명세서의 이점을 갖는 당업자들은 또한 도 1에 도시된 셀들(105, 110)의 수가 설명적이며 본 발명을 국한하고자 하는 것이 아니라는 점을 인식해야 한다.
셀들(105, 110)은 상이한 시스템 유형들을 구현하는 계층들(115, 120)로 분리된다. 일 실시예에서, 계층들(115, 120)에서 구현된 시스템 유형들은 계층들(115, 120) 내의 셀들에 의해 지원되는 캐리어들을 통하여 무선 접속성을 제공하는데 사용되는 표준 또는 프로토콜 리비전에 의해 구별된다. 예를 들면, 계층(115)은 EVDO 표준의 리비전-C에 따라 동작할 수 있고, 계층(120)은 EVDO 표준의 리비전-B에 따라 동작할 수 있다. 본원에 사용되는 바와 같이, 용어들 "표준 및 프로토콜 리비전"은 연속적인 세대들의 무선 통신 장비에서 구현되는(또는 연속적인 세대들의 무선 통신 장비에 의해 지원되는) 무선 통신 표준 또는 프로토콜의 리비전들을 칭하는 것으로 이해될 것이다. 표준 또는 프로토콜 리비전들의 하나의 특성은 원래 단지 이전의, 즉, 레거시(legacy) 리비전을 지원하도록 설계되었던 무선 통신 장비가 전형적으로 표준 또는 프로토콜의 이후의(또는 가장 최근의) 리비전들을 사용하여 통신할 수 없다는 것이다. 대조적으로, 이후의 리비전들을 지원하도록 설계되는 무선 통신 장비는 또한 표준 또는 프로토콜의 레거시 리비전들을 지원할 수 있는데, 예를 들면, 무선 통신 장비는 표준들 또는 프로토콜들의 레거시 리비전들과 역방향 호환 가능할 수 있다.
계층들(115, 120)에서 구현된 시스템 유형들은 또한 무선 접속성을 제공하는데 사용되는 캐리어들의 주파수들 및/또는 무선 접속성을 제공하는데 사용되는 무선 액세스 기술에 의해 구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EVDO Rev-B 표준들 및/또는 프로토콜들에 따라 동작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100)에서, 무선 접속성은 제 1 캐리어 주파수를 사용하여 셀들(105)에 제공되고 제 2 캐리어 주파수를 사용하여 셀들(110)에 제공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면, 무선 접속성은 UMTS 표준들 및/또는 프로토콜들에 따라 셀들(105)에 제공될 수 있고, 무선 접속성은 EVDO Rev-C 표준들 및/또는 프로토콜들에 따라 셀들(110)에 제공될 수 있다.
무선 통신 시스템(100)은 하나 이상의 이동 유닛들(125)에 무선 접속성을 제공한다. 단지 하나의 이동 유닛(125)만이 도시된 실시예에 도시되어 있지만, 본 명세서의 이점을 갖는 당업자들은 임의의 수의 이동 유닛들(125)이 무선 통신 시스템(100) 내에서 동작할 수 있다는 점을 인식해야 한다. 본 명세서의 이점을 갖는 당업자들은 이동 유닛들(125)이 "사용자 장비", "이동국들", "가입자 유닛들", "가입자국들" 등과 같은 다른 기술 용어들을 사용하여 칭해질 수 있다는 점을 또한 인식해야 한다. 예시적인 이동 유닛들(125)은 이동 전화들, 개인 휴대 정보 단말기들, 스마트 폰들, GPS 디바이스들, 무선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카드들, 데스크탑 또는 랩탑 컴퓨터들 등과 같은 디바이스들을 포함할 수 있지만, 이에 국한되지 않는다.
이동 유닛(125)은 계층들(115, 120) 중 하나 또는 둘 모두에서 셀들(105, 110)과 통신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이동 유닛(125)은 EVDO 표준의 리비전-C에 따라 셀들(105)에 의해 제공된 캐리어들 및 EVDO 표준의 리비전-B에 따라 셀들(110)에 의해 제공된 캐리어들을 사용하여 통신할 수 있는 역방향-호환 가능한 Rev-C-EVDO 디바이스일 수 있다. 다른 예를 들면, 이동 유닛(125)은 EVDO 표준의 리비전-C에 따라 셀들(105)에 의해 제공된 캐리어들을 사용하여 통신할 수 없지만, EVDO 표준의 리비전-B에 따라 셀들(110)에 의해 제공된 캐리어들을 사용하여 통신할 수 있는 Rev-B-EVDO 디바이스일 수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이동 유닛(125)은 셀들(105(1), 110(3))의 중첩하는 커버리지 영역들과 연관되는 위치에 도시된다. 그러므로, 이동 유닛(125)은 셀들(105(1), 110(3))에 의해 제공된 캐리어들 사이에서 핸드오프될 수 있다.
무선 네트워크 제어기(도시되지 않음)와 같은 제어기는 셀들(105(1), 110(3))에 의해 제공된 캐리어들과 연관된 로드(load)들에 기초하여 이동 유닛(125)을 핸드오프시킬지 또는 아닌지의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핸드오프 결정은 무선 통신 시스템(100)에서 서비스의 등급(GoS)을 지원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셀들(105)은 리비전-C와 같은 표준 또는 프로토콜의 가장 최근의 리비전을 지원할 수 있고, 셀들(110)은 리비전-B와 같은 표준 또는 프로토콜의 레거시 리비전을 지원할 수 있다. 셀(105(1)) 내의 캐리어들이 과도하게 로딩되거나 오버로딩되지만, 부가적인 긴급 호출들 및/또는 높은-우선순위 호출들이 이러한 캐리어들에 액세스하도록 시도하고 있는 경우, 현재 이러한 캐리어들을 사용하여 통신하고 있는 비-긴급 및/또는 보다 낮은 우선순위 호출들은 셀(110(3)) 내의 캐리어들로 핸드오프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보다 낮은 우선순위 호출들을 강등시키는 결정은 또한 긴급 호출들 및/또는 높은-우선순위 호출들에 필요로 되는 서비스의 품질, 뿐만 아니라, 상기 우선순위 호출들의 승인 이후의 캐리어들의 계획된 로딩에 기초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이동 유닛(125)이 셀(110(3)) 내의 캐리어를 사용하여 접속을 갖지만, 셀(105(1)) 내의 캐리어들의 로딩이 비교적 낮은 경우, 상기 이동 유닛(125)은 셀(110(3))로부터 셀(105(1))로 핸드오프될 수 있다.
표준 또는 프로토콜의 상이한 리비전들과 같이, 상이한 시스템 유형들에 따라 동작하는 캐리어들 사이에서의 이동 유닛(125)의 핸드오버는 이동 유닛(125)이 퍼스널리티(personality) 또는 프로파일을 변화시키는 것을 필요로 할 수 있다. 본원에 사용되는 바와 같이, 그리고 종래 기술에서의 용도에 따르면, 용어 "퍼스널리티"는 캐리어에 의해 구현되는 표준들 및/또는 프로토콜들에 따라 캐리어를 통해 통신들을 설정하기 위하여 이동 유닛(125)에 저장되고/되거나 이동 유닛(125)에 의해 사용되는 정보 및/또는 알고리즘들을 칭하는 것으로 이해될 것이다. 예를 들면, 이동 유닛(125)의 퍼스널리티는 이동 유닛(125)을 리비전-B 및/또는 리비전-C와 같이, 캐리어에 의해 구현되는 표준들 및/또는 프로토콜에 따라 통신하도록 구성하는데 사용되는 구성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퍼스널리티는 하드웨어, 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셀(110(3))로부터 셀(105(1))로의 핸드오버는 셀(110(2))로부터 셀(110(3))로의 핸드오버에 의해 트리거링(triggering)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이동 유닛(125)은 초기에 셀(110(2))과 연관될 수 있다. 그러므로, 이동 유 닛(125)은 가령, EVDO 표준의 리비전-B에 따라서, 셀(110(2))을 통하여 무선 통신 시스템(100)에 액세스하고, 셀(110(2))을 통하여 무선 통신 시스템(100)으로부터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그 후, 이동 유닛(125)은 중첩된 캐리어들(105(1), 110(3))에 의해 서비스되는 지리적인 영역 또는 섹터 내로 이동할 수 있다. 제 1 시스템 유형에 따라 동작하는 셀(110(2))로부터 제 2 시스템 유형에 따라 동작하는 셀(105(1))로 하드 핸드오버를 수행하는 것은 소프트 핸드오버를 수행하는 것에 비하여, 성능 저하를 초래할 수 있다. 따라서, 이동 유닛(125)을 셀(110(2))로부터 셀(110(3))로 핸드오버하는데 있어서 소프트 핸드오버가 먼저 사용될 수 있다. 소프트 핸드오버는 이동 유닛(125)이 셀(110(3))의 중심 쪽으로 이동한 후에 발생하는 셀(110(3))로부터 셀(105(1))로의 이동 유닛(125)의 핸드오버보다 선행하여, 성능 저하가 감소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이동 유닛(125)은 핸드오버 이전에(또는 동안에) 디폴트 캐리어(default carrier)(110(3))(즉, 현재 이동 유닛(125)을 서비스하고 있는 캐리어)에 의해 제공되는 하나 이상의 오버헤드 메시지들을 수신할 수 있다. 오버헤드 메시지(들)는 캐리어들의 목록 및 이러한 캐리어들과 연관된 시스템 유형들을 포함한다. 예를 들면, 오버헤드 메시지는 하나 이상의 Rev-C 호환 가능한 캐리어들 및 하나 이상의 Rev-B 호환 가능한 캐리어들의 목록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오버헤드 메시지는 또한 목록화된 캐리어들이 소정 우선순위 등급들의 이동 유닛들에 이용 가능한지 또는 아닌지의 여부를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는데, 예를 들면, 상기 목록은 캐리어들이 현재 오버로딩되는지의 여부를 나타낼 수 있 다.
도 2는 오버헤드 메시지(200)의 일 예시적인 실시예를 개념적으로 도시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오버헤드 메시지(200)는 상기 오버헤드 메시지(200)를 수신하는 섹터에서의 캐리어들의 총수를 나타내는 필드(field)(205)를 포함한다. 오버헤드 메시지(200)는 또한 현존 캐리어들 각각에 대한 한 세트의 필드들(210, 215, 220)을 포함한다. 필드들(215, 220)은 각각 캐리어의 대역 등급(band class) 및 캐리어의 CDMA 채널 또는 캐리어 수를 나타낸다. 필드(210)는 연관된 캐리어의 시스템 유형을 나타낸다. 예를 들면, 필드(210)는 연관된 캐리어가 EVDO 표준의 리비전-B 또는 리비전-C 중 하나에 따라 동작한다는 것을 나타낼 수 있다. 그러나, 상술된 바와 같이, 필드들(210)은 또한 캐리어와 연관된 다른 시스템 유형들을 나타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오버헤드 메시지(200)는 연관된 캐리어의 가용성을 나타내는 필드(225)를 포함한다. 예를 들면, 필드(225)는 캐리어가 오버로딩되는지의 여부를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필드(225)는 상이한 우선순위 등급들의 이동 유닛들과 연관된 상이한 가용성 레벨들을 갖는 캐리어의 현재 로딩을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필드(225) 대신에, 캐리어 가용성 정보를 이동 유닛들에 전달하는 다른 가능한 방법은 이 목적을 위해 DO 오버헤드 메시지 내에 액세스해싱채널마스크(AccessHashingChannelMask) 필드와 같은 필드를 규정하는 것이다.
도 3은 이동 유닛에 대한 핸드오버 방법(300)의 일 예시적인 실시예를 개념적으로 도시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하나 이상의 액세스 네트워크들(AN)(또는 이의 구성요소가 되는 기지국들)은 (305에서) 중첩된 무선 통신 시스템들과 연관된 캐리어들의 로딩을 모니터링(monitoring)한다. 예를 들면, 액세스 네트워크들은 (305에서) 표준 또는 프로토콜의 가장 최근의 리비전과 같은 제 1 시스템 유형에 따라 동작하는 셀들의 제 1 계층과 연관된 캐리어들, 및 표준 또는 프로토콜의 레거시 리비전과 같은 제 2 시스템 유형에 따라 동작하는 셀들의 제 2 계층과 연관된 캐리어들을 모니터링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셀들의 제 1 계층 및 제 2 계층은 동일한 지리적인 영역을 커버할 수 있다. 액세스 네트워크가 (310에서) 셀들의 제 1 계층 내의 캐리어, 예를 들면, 리비전-C 캐리어가 오버로딩된다고 결정하는 경우, 액세스 네트워크는 (315에서) 셀들의 제 1 계층 내의 임의의 다른 캐리어들이 동일한 지리적인 커버리지 영역에서 이용가능한지의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이동 유닛들은 액세스 네트워크가 (315에서) 다른(비교적 약하게 로딩된) 캐리어들이 이용 가능하다고 결정하는 경우, (320에서) 셀들의 제 1 계층 내의 다른 캐리어들로 핸드오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현재 소프트 핸드오프 중이 아니며 상대적으로 강한 파일럿 신호-대-잡음비(pilot signal-to-noise ratio)들을 측정하였던 상대적으로 낮은 우선순위 사용자들은 다른 캐리어들로 핸드오프되도록 지시받을 수 있다. 그러나, 액세스 네트워크가 (315에서) 셀들의 제 1 계층 내의 다른 캐리어들이 이용가능하지 않다고 결정하는 경우, 하나 이상의 이동 유닛들은 (325에서) 리비전-B와 같은 레거시 표준들 또는 프로토콜들에 따라 동작하는 캐리어들과 같은, 셀들의 제 2 계층 내의 캐리어들로 핸드오프되도록 지시받을 수 있다. 이동 유닛들은 또한 (325에서) 셀들의 제 2 계층 내의 캐리어들 중 하나로 핸드오프되는 것에 응답하여 (325에서) 퍼스널리티 강등을 행할 수 있다.
액세스 네트워크가 (310에서) 셀들의 제 1 계층 내의 캐리어, 예를 들면, 리비전-C 캐리어가 오버로딩되지 않는다고 결정하는 경우, 다른 캐리어들 상의 이동 유닛들은 셀들의 제 1 계층 내의 캐리어로 핸드오프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액세스 네트워크는 (330에서) 임의의 다른 역방향-호환 가능한 이동 유닛들(또는 액세스 단말기들, 즉, AT들)이 현재 셀들의 제 2 계층과 연관된 캐리어, 예를 들어, 리비전-B 캐리어를 통한 통신 링크를 갖는지의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액세스 네트워크가 (330에서) 적격의 역방향-호환 가능한 이동 유닛을 식별하는 경우, 액세스 네트워크는 (335에서) 적격의 이동 유닛이 현재 소프트 핸드오버 중인지 및 상대적으로 강한 파일럿 신호-대-잡음비를 측정하였는지의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이동 유닛이 현재 소프트 핸드오버 중이고/이거나 상대적으로 약한 파일럿 신호-대-잡음비를 측정하였던 경우, 액세스 네트워크는 (330에서) 다른 적격의 역방향-호환 가능한 이동 유닛들을 지속적으로 탐색할 수 있다.
현재 소프트 핸드오버 중이 아니고 상대적으로 강한 파일럿 신호-대-잡음비를 측정하였던 적격의 역방향-호환 가능한 이동 유닛들은 (340에서) 셀들의 제 1 계층 내의 캐리어로 핸드오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적격의 역방향-호환 가능한 이동 유닛들은 (340에서) 리비전-B와 같은 레거시 표준들 또는 프로토콜들에 따라 동작하는 캐리어들과 같이, 셀들의 제 2 계층 내의 캐리어들로부터 셀들의 제 1 계층 내의 리비전-C 캐리어로 핸드오프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적격의 역방향- 호환 가능한 이동 유닛의 퍼스널리티는 (340에서) 셀들의 제 1 계층 내의 캐리어로 이동 유닛을 핸드오프하는 것에 응답하여 (340에서) 변경될 수 있다.
상술된 특정 실시예들은 본 발명이 상이하지만 본원의 내용들의 이점을 갖는 당업자들에게 명백한 등가의 방식들로 변경 및 실행될 수 있기 때문이 단지 설명적인 것이다. 더구나, 이하의 청구항들에서 설명된 것 이외에, 본원에 제시된 구성 또는 설계의 세부사항들이 제한되지 않는다. 그러므로, 상술된 특정 실시예들이 변화 및 변경될 수 있고, 모든 이와 같은 변화들이 본 발명의 정신과 범위 내에서 고려된다는 것이 명백하다. 따라서, 본원에서 추구되는 보호범위는 이하의 청구항들에서 설명된 바와 같다.

Claims (10)

  1. 제 1 시스템 유형에 따라 동작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 1 캐리어 및 제 2 시스템 유형에 따라 동작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 2 캐리어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방법에 있어서:
    이동 유닛이 제 1 및 제 2 캐리어들 중 적어도 하나의 로딩에 기초하여 상기 제 1 시스템 유형에 따라 동작하는 상기 제 1 캐리어 및 상기 제 2 시스템 유형에 따라 동작하는 상기 제 2 캐리어 사이에서 핸드오버되는 것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유닛이 핸드오버되는 것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이동 유닛이 제 1 표준 또는 프로토콜 리비전(protocol revision)에 따라 동작하는 제 1 캐리어 및 제 2 표준 또는 프로토콜 리비전에 따라 동작하는 제 2 캐리어 사이에서 핸드오버되는 것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유닛이 상기 제 1 표준 또는 프로토콜 리비전에 따라 동작하는 상기 제 1 캐리어 및 상기 제 2 표준 또는 프로토콜 리비전에 따라 동작하는 상기 제 2 캐리어 사이에서 핸드오버되는 것을 결정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이동 유닛에 대한 퍼스널리티 변경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방법.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유닛이 핸드오버되는 것을 결정하는 단계는 소정의 이동 유닛 우선순위 등급에 대해 상기 제 1 캐리어가 오버로딩되는지의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캐리어가 오버로딩된다고 결정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제 1 표준 또는 프로토콜 리비전에 따라 동작하는 제 3 캐리어가 이용 가능한지의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캐리어가 이용 가능하지 않다고 결정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이동 유닛이 상기 제 1 캐리어로부터 상기 제 2 캐리어로 핸드오버되어야 하는지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방법.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유닛이 소프트 핸드오버 중이 아니라는 것을 결정하는 것 및 신호-대-잡음비가 미리 결정된 임계값 이상이라고 결정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이동 유닛이 핸드오버되는 것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방법.
  8.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캐리어가 오버로딩되지 않는다고 결정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이동 유닛이 상기 제 2 표준 또는 프로토콜 리비전에 따라 동작하는 상기 제 2 캐리어와의 통신 링크를 갖는지의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이동 유닛이 핸드오버되는 것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제 1 캐리어가 오버로딩되지 않는다고 결정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이동 유닛이 레거시 표준(legacy standard) 또는 프로토콜 리비전에 따라 동작하는 상기 제 2 캐리어로부터 가장 최근의 표준 또는 프로토콜 리비전에 따라 동작하는 상기 제 1 캐리어로 핸드오버되는 것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이동 유닛이 소프트 핸드오버중이 아니라고 결정하는 것 및 신호-대-잡음비가 미리 결정된 임계값 이상이라고 결정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이동 유닛이 핸드오버되는 것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이동 유닛이 제 4 캐리어로부터 상기 제 2 캐리어로 핸드오버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이동 유닛이 상기 제 2 캐리어와의 통신 링크를 가지는지의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방법.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유닛이 핸드오버되는 것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이동 유닛이 상 기 이동 유닛과 연관된 우선순위에 기초하여 핸드오버되는 것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방법.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유닛을 상기 제 1 캐리어 및 상기 제 2 캐리어 사이에서 핸드오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방법.
KR1020087029299A 2006-06-02 2007-05-25 역방향-호환 가능한 이동 유닛의 핸드오버 KR2009001861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1/421,874 US20070280161A1 (en) 2006-06-02 2006-06-02 Handover of a backward-compatible mobile unit
US11/421,874 2006-06-02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18618A true KR20090018618A (ko) 2009-02-20

Family

ID=387401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7029299A KR20090018618A (ko) 2006-06-02 2007-05-25 역방향-호환 가능한 이동 유닛의 핸드오버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US (1) US20070280161A1 (ko)
EP (1) EP2030472A2 (ko)
KR (1) KR20090018618A (ko)
CN (1) CN101461276A (ko)
AU (1) AU2007255598A1 (ko)
BR (1) BRPI0711787A2 (ko)
IL (1) IL195523A0 (ko)
MX (1) MX2008014981A (ko)
RU (1) RU2008151514A (ko)
TW (1) TW200812408A (ko)
WO (1) WO2007142892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491689B2 (en) * 2008-06-03 2016-11-08 Nokia Corporation Cell search for flexible spectrum use
US9014137B2 (en) * 2008-06-13 2015-04-21 Qualcomm Incorporated Apparatus and method for personality modification during handoff
US8660086B2 (en) * 2010-05-04 2014-02-25 Nokia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admission control and forced handover in a multi-layer network configuration
US8923808B2 (en) * 2010-05-27 2014-12-30 Motorola Solution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policy and charging control decisions based on radio spectrum blocks
US8797875B2 (en) 2011-09-16 2014-08-05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Policy controlled offloading among neighboring networks
US9320049B2 (en) * 2012-10-22 2016-04-19 Qualcomm Incorporated User admission for co-existence wireless systems
WO2014086898A1 (en) * 2012-12-05 2014-06-12 Nokia Solutions And Networks Oy Method for traffic steering and network element
US8937861B1 (en) 2013-01-23 2015-01-20 Sprint Communications Company L.P. Adding different channel pseudo-noise codes of different carriers for a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122513A (en) * 1997-11-06 2000-09-19 Nortel Networks Corporation Method for extending hard-handoff boundaries within a mobile telephone communications network
DE60129474T2 (de) * 2001-04-26 2008-04-17 Nokia Corp. Verfahren und netzelement zur weiterreichungssteuerung
US20030125039A1 (en) * 2001-12-27 2003-07-03 Nortel Networks Limited Multi-carrier traffic allocation enhancements to reduce access failures and to work across bands
DE60210628D1 (de) * 2002-11-06 2006-05-24 Siemens Mobile Comm Spa Auf Dienstgüte (QoS) basierendes Verfahren für Verkehrslastmanagement in einem mobilen Kommunikationsnetzwerk mit mehreren Funkzugangstechnologien
DE60336813D1 (de) * 2003-09-23 2011-06-01 Panasonic Corp Protokolkontextübertragung in einem Mobilfunkkommunikationsystem
US20070238460A1 (en) * 2003-12-12 2007-10-11 Soner Yamen Method and Device for Handling User Equipment in a Communications Network
US7787421B2 (en) * 2004-11-22 2010-08-31 Motorola, Inc. Method and system for inter-technology active handoff of a hybrid communication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461276A (zh) 2009-06-17
AU2007255598A1 (en) 2007-12-13
US20070280161A1 (en) 2007-12-06
RU2008151514A (ru) 2010-07-20
WO2007142892A3 (en) 2008-02-07
EP2030472A2 (en) 2009-03-04
BRPI0711787A2 (pt) 2011-12-27
WO2007142892A2 (en) 2007-12-13
IL195523A0 (en) 2009-09-22
MX2008014981A (es) 2008-12-05
TW200812408A (en) 2008-03-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90018618A (ko) 역방향-호환 가능한 이동 유닛의 핸드오버
KR101406769B1 (ko) 위치 업데이트 빈도에 기초하여 트랙킹 영역에 모바일 유닛을 할당하는 방법
US7768976B2 (en) Method for selecting an inter-subnet idle hand-off technique
US8812050B1 (en) Handoff management in a multi-layer wireless network
US20080102834A1 (en) Selecting a target cell for a blind handover
US8311007B2 (en) Radio resource management
US6026301A (en) Method for hard handoff in a CDMA cellular environment
US20080101311A1 (en) Selecting a handover algorithm
US20030064727A1 (en) System and method for channel allocation in a multi-band wireless network
US20150230141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dle user equipment redistribution in a hetnet for load balance
US8270988B1 (en) Dynamic addition of carrier frequency to a wireless coverage area in response to low load
JP5361379B2 (ja) ユニバーサル移動電話システムにおけるターゲット加入者を識別し、追跡するための方法および装置
US20060135161A1 (en) Method for detecting reverse link collisions on an air interface
US20080081607A1 (en) Method for managing calls in a communication network
KR20090009281A (ko) 이동 유닛에 다수의 캐리어들의 표시를 제공하는 방법
KR100671180B1 (ko) Cdma 시스템의 용량 감소를 검출하는 방법 및 장치
US20230180085A1 (en) Communication system
US20140045501A1 (en) Manifold network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20130064087A1 (en) Cross-Frequency Network Load Balancing
US20070232317A1 (en) Method of assigning a tracking area to mobile unit based on a location update frequency
WO2008022069A1 (en) Switching between circuit-switched and packet switched network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