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17424A - 녹화 품질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녹화 품질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17424A
KR20090017424A KR1020080077846A KR20080077846A KR20090017424A KR 20090017424 A KR20090017424 A KR 20090017424A KR 1020080077846 A KR1020080077846 A KR 1020080077846A KR 20080077846 A KR20080077846 A KR 20080077846A KR 20090017424 A KR20090017424 A KR 2009001742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cording
broadcast program
broadcast
data storage
recording qualit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778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진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Publication of KR200900174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1742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765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 H04N5/775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between a recording apparatus and a television receiv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7/00Diagnosis, testing or measuring for television systems or their details
    • H04N17/06Diagnosis, testing or measuring for television systems or their details for record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78Television signal recording using magnetic recording
    • H04N5/782Television signal recording using magnetic recording on tap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anagement Or Editing Of Information On Record Carriers (AREA)
  • Television Signal Processing For Recording (AREA)
  • Optical Recording Or Reproduction (AREA)
  • Signal Processing For Digital Recording And Reproducing (AREA)

Abstract

녹화 품질을 제어하는 방법에 대한 발명이 개시된다. 본 발명은 녹화 기능이 설정되어 있는지를 판단하는 단계와, 녹화 기능이 설정되어 있으면, 방송 프로그램의 방송 분량과 데이터저장부의 녹화 가능 용량을 분석하여, 방송 프로그램의 녹화 품질을 결정하고, 방송 프로그램을 녹화 품질에 따라 데이터저장부에 녹화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녹화 품질, EPG

Description

녹화 품질 제어 방법{METHOD OF CONTROLING QUALITY OF RECORDING}
본 발명은 녹화 기능을 가지고 있는 텔레비전에서 방송 프로그램을 녹화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녹화 품질을 제어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는, 고화질의 비디오와 고음질의 오디오를 제공하는 디지털 방송을 수신할 수 있는 셋탑 박스 또는 디지털 텔레비전 등이 널리 보급되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텔레비전 중에는 내장된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HDD : Hard Disk Drive)에 방송 프로그램을 자동적으로 녹화하였다가 재생해 주는 피브이알(PVR : Personal Video Recorder) 기능을 탑재하고 있는 텔레비전(이하, "녹화 기능 텔레비전"이라 함)도 보급되고 있다.
녹화 기능 텔레비전은, 사용자가 별도의 설정을 하지 않더라도 수십 시간 내외의 방송 프로그램 분량을 자동적으로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에 저장하여 두었다가 사용자의 요청이 있는 경우에 재생시킬 수 있으며, 사용자의 녹화 요청에 의해 방 송 프로그램을 저장하여 두었다가 재생시킬 수 있다.
즉, 녹화 기능 텔레비전은 종래의 아날로그 브이씨알(VCR : Video Cassette Recorder)용 테이프와는 달리 방송이나 사진, 음악 등을 디지털로 저장함으로써, 무한정 녹화, 재생을 하더라도 정보의 손실 없는 화질을 보장하며, 사용자가 원할 때 언제든지 재생하여 볼 수 있는 기능을 가진다.
또한, 녹화 기능 텔레비전은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를 이용하여 수신된 방송 프로그램을 저장한 후 재생하거나 재생하면서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실시간으로 방송되는 방송 프로그램을 타임시프트, 예약녹화나 즉시녹화 등의 기능을 통해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에 녹화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원할 때 언제든지 시청할 수 있다.
그러나, 종래의 녹화 기능 텔레비전은 유한한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를 사용하기 때문에, 일정량의 녹화물을 녹화하게 되면 녹화할 수 있는 용량(공간)이 부족하여 더 이상 녹화를 할 수 없게 된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사용자가 직접 녹화 전에 녹화물을 선택하고 삭제하여 녹화 용량을 마련하는 작업을 수행하여야 한다.
또는, 녹화 기능 텔레비전이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의 녹화 가능 용량을 자체적으로 분석하여 용량이 작음을 알리는 경고 메시지(안내방송 또는 안내자막)를 출력함으로써, 사용자가 녹화 여부를 선택하도록 하거나, 자체적으로 오래된 방송 프로그램들을 삭제하고 그 위에 새로운 방송 프로그램을 녹화하는 방식이 이용된다.
종래의 방법에 의하면 사용자가 원하지 않는 방송 프로그램이 삭제될 수 있으므로 사용자에게 불측의 피해를 줄 수 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필요성에 의해 창출된 것으로써 녹화기능을 제공하는 텔레비전이 저장매체의 녹화 가능 용량을 분석하고, 그 분석 결과에 따라 방송 프로그램에 대한 녹화 품질을 제어할 수 있는 녹화 품질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녹화 기능이 설정되어 있는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녹화 기능이 설정되어 있으면, 방송 프로그램의 방송 분량과 데이터저장부의 녹화 가능 용량을 분석하여, 상기 방송 프로그램의 녹화 품질을 결정하고, 상기 방송 프로그램을 상기 녹화 품질에 따라 상기 데이터저장부에 녹화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방송 프로그램의 방송 분량에 대한 상기 데이터저장부의 녹화 가능 용량에 따라 상기 녹화 품질은 다단계로 구분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방송 프로그램의 방송 분량은 전자 프로그램 가이드를 이용하여 분석된다.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방송 프로그램을 상기 데이터저장부에 녹화하는 단계 는, 상기 방송 프로그램의 방송 분량과 상기 데이터저장부의 녹화 가능 용량을 비교하여, 상기 녹화 가능 용량이 충분한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녹화 가능 용량이 충분하지 않으면, 상기 방송 프로그램의 표준 녹화 품질보다 낮은 녹화 품질로 상기 방송 프로그램을 상기 데이터저장부에 녹화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방송 프로그램의 녹화 중에, 상기 데이터저장부의 녹화 가능 용량을 분석하여, 상기 녹화 가능 용량의 변화량에 따라 상기 방송 프로그램의 녹화 품질을 변경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방송 프로그램의 녹화 품질을 변경하는 단계는, 상기 방송 프로그램의 방송 분량과 상기 데이터저장부의 녹화 가능 용량을 비교하여, 상기 녹화 가능 용량이 충분한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녹화 가능 용량이 충분하지 않으면, 상기 방송 프로그램의 현재 녹화 품질보다 낮은 녹화 품질로 상기 방송 프로그램을 상기 데이터저장부에 녹화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방송 프로그램의 녹화 품질을 변경하는 단계는, 상기 방송 프로그램의 잔여 방송 분량 또는 초과 방송 분량을 분석하는 단계; 및 상기 잔여 방송 분량 또는 초과 방송 분량과 상기 데이터저장부의 녹화 가능 용량을 비교하여, 상기 방송 프로그램의 녹화 품질을 변경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방송 프로그램의 잔여 방송 분량 또는 초과 방송 분량에 대한 상기 데이터저장부의 녹화 가능 용량에 따라 녹화 품질은 다단계로 구분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저장매체의 녹화 가능 용량을 고려하여 녹화 품질을 변경할 수 있으므로, 이미 저장되어 있는 방송 프로그램을 삭제하지 않고도 새로운 방송 프로그램을 녹화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녹화 기능 텔레비전의 내부 구성도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녹화 품질 제어 방법은 내장된 하드 디스크에 방송 프로그램을 녹화하고, 녹화된 방송 프로그램을 재생하는 피브이알(PVR : Personal Video Recorder) 기능을 탑재하고 있는 텔레비전(이하, “녹화 기능 텔레비전”이라 함)에 적용된다.
저장매체(하드 디스크 드라이브 등)의 녹화 가능 용량을 녹화 기능 텔레비전이 자체적으로 판단하여, 녹화 가능 용량이 충분하면 방송 프로그램의 표준 녹화 품질로 녹화를 수행한다. 한편, 녹화 가능 용량이 충분하지 않으면 방송 프로그램의 표준 녹화 품질보다 낮은 수준의 품질로 변경하여 녹화를 수행한다.
즉, 녹화되는 방송 프로그램의 데이터의 용량은 녹화 품질에 따라 차이가 발생하므로, 녹화 기능 텔레비전은 녹화 품질 변경을 통해 데이터의 용량을 조절함으로써, 저장매체에 이미 녹화되어 있는 방송 프로그램을 삭제하지 않으면서 새로운 방송 프로그램을 저장매체에 녹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녹화 기능 텔레비전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채널튜닝부(10), 신호처리부(20), 디스플레이부(30), 스피커(40), 데이터저장부(50), 사용자선택부(70) 및 제어부(90)를 포함한다.
채널튜닝부(10)는 안테나를 통해 수신되는 방송신호를 튜닝하는 하나 또는 복수의 튜너와, 튜닝된 신호를 복조과정 및 오류 정정과정 등을 거쳐 트랜스포트 스트림(Transport Stream) 형태로 출력하는 디모듈레이터로 구성될 수 있으며, 제어부(90)의 튜닝 제어신호에 대응하는 주파수 대역을 갖는 방송신호를 튜닝하게 된다.
신호처리부(20)는 채널튜닝부(10)를 통해 튜닝된 채널의 방송신호를 처리하여 디스플레이부(30)에 표시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신호처리부(20)는 채널튜닝부(10)를 통해 수신된 방송신호뿐만 아니라, 데이터저장부(50)에 저장되어 있는 전자 프로그램 가이드(EPG : Electronic Program Guide)(이하, “'EPG”라 함)의 영상신호를 처리하여 디스플레이부(30)에 표시할 수 있다. EPG는 방송국이나 제2 방송 서비스업체로부터 개별적으로 수신받은 방송 프로그램의 편성정보를 말하는 것으로, 데이터저장부(50)에 저장되어 관리된다.
디스플레이부(30)는 선택된 채널의 방송신호 중 신호처리부(20)에서 디코딩 처리된 영상신호를 사용자가 볼 수 있도록 출력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 DLP(Digital Light Processing), LCD(Liquid Crystal Display), PDP(Plasma Display Penal) 등과 같이 다양한 유형의 디스플레이 모듈이 적용될 수 있다.
스피커(40)는 선택된 채널의 방송신호 중 신호처리부(20)에서 디코딩 처리된 오디오 신호를 사용자가 들을 수 있도록 출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데이터저장부(50)는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 등으로 구성되는 것으로, 채널튜닝부(10)로부터 수신된 방송신호 또는 EPG를 저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사용자선택부(70)는 제어부(90)를 제어하기 위한 각종 메뉴 키를 포함하고 있으며, 메뉴 키에는 사용자가 데이터저장부에 예약 또는 실시간 녹화를 요청할 수 있도록 하는 메뉴 키들도 포함되어 있다. 사용자 선택부(70)는 텔레비전의 본체 패널에 구성되어 있을 수 있으며, 무선 리모콘의 형태로 구성될 수도 있다. 사용자 선택부(70)가 무선 리모콘의 형태로 구성되어 있는 경우에는 각종 메뉴 키 외에 텔레비전의 제어부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무선 통신기가 더 포함되며, 텔레비전에도 무선 통신기가 더 포함된다.
제어부(90)는 CPU 또는 마이컴 등으로 구현되는 것으로, 채널튜닝부(10)를 통해 전송되어온 방송신호 중 방송 프로그램을 스피커(40)와 디스플레이부(30)를 통해 출력할 뿐만 아니라, 방송신호를 데이터저장부(50)에 저장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특히, 제어부(90)는 저장매체, 즉, 데이터저장부(50)의 녹화 가능 용량을 자체적으로 판단하여, 녹화 가능 용량에 따라 녹화 품질을 제어한다.
한편, 녹화가 시작되는 초기 단계에서 방송 프로그램의 녹화 품질을 설정하여 녹화를 수행할 수 있으나, 녹화가 진행되는 중간에도 지속적으로 녹화 가능 용량을 파악한 후 수시로 녹화 품질을 변경할 수도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녹화 품질 제어 방법의 흐름도로서 특히, 녹화가 시작되는 초기단계에서 녹화 품질을 제어하는 방법을 나타낸 것이다.
먼저, 녹화 기능 텔레비전은 채널튜닝부(10)를 통해 각 방송국에서 제공하는 EPG를 수신하여 데이터저장부(50)에 저장한다(S202).
EPG의 저장과 함께 채널튜닝부(10)를 통해 방송 프로그램을 수신하여 스피커(40)와 디스플레이부(30)를 통해 방송 프로그램을 출력한다(S204).
방송 프로그램에 대한 녹화 기능이 설정되어 있는지를 판단한다(S206). 녹화 기능 텔레비전에는 실시간으로 전송되어오는 방송 프로그램을 데이터저장부(50)에 자동적으로 녹화하는 기능 및 사용자가 미리 설정해 놓은 방송 프로그램을 데이터저장부(50)에 녹화하는 기능이 기본적으로 부여되어 있으나, 상기와 같은 녹화 기능을 원하지 않는 사용자의 경우에는 녹화 기능을 차단시킬 수도 있으므로, 녹화 기능이 정상적으로 수행되도록 설정되어져 있는지를 판단한다.
판단결과 녹화 기능이 설정되어 있지 않으면, 단순히 방송 프로그램을 수신하여 방송하는 과정만을 수행하게 된다(S204).
녹화 기능이 설정되어 있으면, 방송 프로그램의 방송 분량을 분석하게 된다(S208). 방송 프로그램에 대한 방송 분량 분석에는 데이터저장부(50)에 저장되어 있는 EPG가 이용될 수 있다. 즉, EPG에는 각 방송 프로그램의 시작시간, 종료시간 및 프로그램의 종류(영화, 뉴스, 스포츠 등) 등에 대한 정보가 포함되어 있기 때문에, 방송 프로그램에 대한 EPG 정보를 분석함으로써, 방송 프로그램의 방송 분량을 분석할 수 있다.
방송 프로그램의 방송 분량과 함께 데이터저장부(50)의 녹화 가능 용량을 분석한다(S210). 즉, 데이터저장부(50)의 전체 녹화 가능 용량 및 현재까지 녹화된 용량을 분석함으로써, 데이터저장부(50)의 녹화 가능 용량을 파악할 수 있다.
방송 프로그램의 방송 분량과 데이터저장부(50)의 녹화 가능 용량을 비교하여, 방송 프로그램을 녹화하기 위한 녹화 가능 용량이 충분한지를 판단한다(S212).
녹화 가능 용량이 충분하지 않으면, 방송 프로그램의 표준 녹화 품질보다 낮은 녹화 품질로 방송 프로그램을 데이터저장부(50)에 녹화하고(S214), 녹화 가능 용량이 충분하면, 방송 프로그램의 표준 녹화 품질로 방송 프로그램을 데이터저장부(50)에 녹화한다(S216).
한편, 상기 실시예에서는 낮은 녹화 품질로 녹화하거나 또는 표준 녹화 품질로 녹화하는 두 가지 경우를 상정하였으나 이에 한정될 것은 아니며, 방송 프로그램의 방송 분량에 대한 데이터저장부(50)의 녹화 가능 용량에 따라 다단계로 구분하여 녹화 품질을 다양하게 변경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예를 들어, 녹화 가능 용량이 방송 분량을 많이 초과한다면 녹화 품질을 고화질로 하고, 녹화 가능 용량이 방송 분량과 거의 일치한다면 녹화 품질을 상화질로 하고, 녹화 가능 용량이 방송 분량의 2/3 수준이면 녹화 품질을 중화질로 하며, 녹화 가능 용량이 방송 분량의 1/3 수준이면 녹화 품질을 저화질로 하여 녹화를 실시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녹화 품질 제어 방법의 다른 실시예의 흐름도로서 특히, 녹화가 진행되고 있는 중간 단계에서 녹화 품질을 제어하는 방법을 나타낸 것이다.
도 2에 도시된 녹화 품질 제어 방법은 녹화가 시작되는 초기 단계에서 방송 프로그램의 방송 분량과 데이터저장부(50)의 녹화 가능 용량을 분석하여 녹화 품질을 제어하는 것이나, 도 3에 도시된 녹화 품질 제어 방법은 녹화 품질이 선택되어 녹화가 진행되는 중간에 지속적으로 녹화 가능 용량을 분석하여 녹화 품질을 제어하는 것이다.
대부분의 방송 프로그램은 지정된 스케줄 및 시간에 맞춰 방송되지만 스포츠 중계 또는 특별한 방송 프로그램의 경우에는 기설정되어 있는 방송 시간을 초과하여 진행되는 경우가 있다.
상기와 같은 경우에는 방송 분량이 도 2에서 설명된 방송 분량 분석 과정(S208)을 통해 분석된 방송 분량을 초과할 수 있으며, 이 경우에 데이터저장부(50)의 녹화 가능 용량을 초과할 수도 있다. 즉, 방송 분량 분석 과정(S208)에서 분석된 방송 분량이 녹화 가능 용량을 초과한다면 초과 방송에 의해 녹화 가능 용량이 부족하게 될 수도 있다. 또한, 정상적인 방송 스케줄 및 시간으로 방송이 진행되는 경우에도, 전송되는 방송 프로그램의 데이터 용량 등의 변경에 따라 분석 과정(S208)에서 분석된 방송 분량이 초과되는 경우도 있을 수 있다.
따라서, 도 3에 도시된 녹화 품질 제어 방법은 녹화 진행 중에도 지속적으로 녹화 가능 용량을 분석하여 녹화 품질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먼저, 녹화 기능 텔레비전은 결정된 녹화 품질에 따라 방송 프로그램을 녹화하는 과정을 수행하게 된다(S302).
녹화 과정 수행 중에 지속적으로 방송 프로그램의 잔여 방송 분량을 분석하거나, 또는 분석 과정(S208)에서 분석된 방송 분량이 초과된 경우에는 초과된 방송 분량을 분석한다(S304). 이를 위해 지속적으로 EPG를 전송받아 데이터저장부(50)에 업데이트 시킬 수 있다. 즉, 방송 시간이 연장된 경우에는 변경된 방송 스케줄을 알려주는 EPG가 전송될 수 있으므로, 변경된 EPG에 따라 방송 프로그램의 잔여 방송 분량을 분석한다. 또한, 이미 분석 과정(S208)에서 분석된 방송 분량이 초과된 경우에는 초과된 방송 분량을 지속적으로 분석한다.
방송 분량의 변화량 뿐만 아니라 데이터저장부(50)의 녹화 가능 용량도 지속적으로 분석한다(S306).
방송 프로그램의 잔여 방송 분량 또는 초과된 방송 분량과 데이터저장부의 녹화 가능 용량을 비교하여, 방송 프로그램을 녹화하기 위한 녹화 가능 용량이 충분한지를 판단한다(S308).
녹화 가능 용량이 충분하지 않으면, 방송 프로그램에 대하여 현재 진행되고 있는 녹화 품질보다 낮은 녹화 품질로 변경하여 방송 프로그램을 데이터저장부(50)에 녹화하고(S310), 녹화 가능 용량이 충분하면, 녹화 품질을 변경하지 않고 방송 프로그램을 데이터저장부(50)에 녹화한다(S312).
한편, 상기 실시예에서는 녹화품질을 낮추거나 또는 변경하지 않는 두 가지 경우에 대해서만 기술하였으나, 이에 한정될 것은 아니며, 도 2에 도시된 일실시예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방송 프로그램의 잔여 방송 분량 또는 초과 방송 분량에 대한 데이터저장부(50)의 녹화 가능 용량에 따라 다단계로 구분하여 녹화 품질을 다양하게 변경할 수 있음을 물론이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 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녹화 기능 텔레비전의 내부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녹화 품질 제어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녹화 품질 제어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호에 대한 설명>
10 : 채널튜닝부 20 : 신호처리부
30 : 디스플레이부 40 : 스피커
50 : 데이터저장부 70 : 사용자선택부
90 : 제어부

Claims (9)

  1. 녹화 기능이 설정되어 있는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녹화 기능이 설정되어 있으면, 방송 프로그램의 방송 분량과 데이터저장부의 녹화 가능 용량을 분석하여, 상기 방송 프로그램의 녹화 품질을 결정하고, 상기 방송 프로그램을 상기 녹화 품질에 따라 상기 데이터저장부에 녹화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녹화 품질 제어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방송 프로그램의 방송 분량에 대한 상기 데이터저장부의 녹화 가능 용량에 따라 상기 녹화 품질은 다단계로 구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녹화 품질 제어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방송 프로그램의 방송 분량은 전자 프로그램 가이드를 이용하여 분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녹화 품질 제어 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방송 프로그램을 상기 데이터저장부에 녹화하는 단계는,
    상기 방송 프로그램의 방송 분량과 상기 데이터저장부의 녹화 가능 용량을 비교하여, 상기 녹화 가능 용량이 충분한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녹화 가능 용량이 충분하지 않으면, 상기 방송 프로그램의 표준 녹화 품질보다 낮은 녹화 품질로 상기 방송 프로그램을 상기 데이터저장부에 녹화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녹화 품질 제어 방법.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방송 프로그램의 녹화 중에, 상기 데이터저장부의 녹화 가능 용량을 분석하여, 상기 녹화 가능 용량의 변화량에 따라 상기 방송 프로그램의 녹화 품질을 변경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녹화 품질 제어 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방송 프로그램의 방송 분량에 대한 상기 데이터저장부의 녹화 가능 용량에 따라 상기 녹화 품질은 다단계로 구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녹화 품질 제어 방법.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방송 프로그램의 녹화 품질을 변경하는 단계는,
    상기 방송 프로그램의 방송 분량과 상기 데이터저장부의 녹화 가능 용량을 비교하여, 상기 녹화 가능 용량이 충분한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녹화 가능 용량이 충분하지 않으면, 상기 방송 프로그램의 현재 녹화 품질보다 낮은 녹화 품질로 상기 방송 프로그램을 상기 데이터저장부에 녹화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녹화 품질 제어 방법.
  8.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방송 프로그램의 녹화 품질을 변경하는 단계는,
    상기 방송 프로그램의 잔여 방송 분량 또는 초과 방송 분량을 분석하는 단계; 및
    상기 잔여 방송 분량 또는 초과 방송 분량과 상기 데이터저장부의 녹화 가능 용량을 비교하여, 상기 방송 프로그램의 녹화 품질을 변경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녹화 품질 제어 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방송 프로그램의 잔여 방송 분량 또는 초과 방송 분량에 대한 상기 데이터저장부의 녹화 가능 용량에 따라 녹화 품질은 다단계로 구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녹화 품질 제어 방법.
KR1020080077846A 2007-08-13 2008-08-08 녹화 품질 제어 방법 KR2009001742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70081457 2007-08-13
KR1020070081457 2007-08-13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17424A true KR20090017424A (ko) 2009-02-18

Family

ID=403512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77846A KR20090017424A (ko) 2007-08-13 2008-08-08 녹화 품질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090046989A1 (ko)
KR (1) KR20090017424A (ko)
WO (1) WO2009022828A2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41738A (ko) * 2009-10-16 2011-04-22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장치 및 영상재생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355325B2 (en) 2020-05-28 2022-06-07 Applied Materials, Inc. Methods and systems for monitoring input power for process control in semiconductor process systems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16336A (ja) * 1994-10-14 1996-05-07 Canon Inc メッセージ処理システム及び情報格納装置
US20020054750A1 (en) * 2000-04-25 2002-05-09 Michael Ficco DVR functions status indicator
KR20040011064A (ko) * 2002-07-27 2004-02-05 주식회사 넥스트아이 3차원 정보 처리 장치
US20060093325A1 (en) * 2004-11-02 2006-05-04 Mitsuhiro Imai Data recording controller, method of controlling data recording controller, program, data recording system, and data recording device
KR100765773B1 (ko) * 2006-02-24 2007-10-15 삼성전자주식회사 방송 프로그램 저장 장치, 그 상태 표시 방법 및 관리 방법
KR20070005889A (ko) * 2006-11-23 2007-01-10 남선우 가장 비중이크고 가벼운 낚시찌.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41738A (ko) * 2009-10-16 2011-04-22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장치 및 영상재생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9022828A2 (en) 2009-02-19
WO2009022828A3 (en) 2009-04-16
US20090046989A1 (en) 2009-02-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546627B2 (en) Digital broadcast receiving and recording apparatus
US7783157B2 (en) Recording/reproducing apparatus
KR100602250B1 (ko) Pvr 기능이 내장된 디지털 tv에서 타임 쉬프트를이용한 채널 녹화 방법
KR20090017424A (ko) 녹화 품질 제어 방법
US20100034512A1 (en) Content recording/reproducing apparatus, method, and program
KR20040108754A (ko) 디지탈 레코딩 장치를 제어하는 방법 및 인터페이스
KR100794809B1 (ko) 영상표시기기의 재생 제어장치 및 방법
JP2012004718A (ja) 放送録画装置及び放送録画方法
KR101525484B1 (ko) 방송 수신기와 방송 프로그램 예약 시청 방법
KR100831796B1 (ko) 타임 쉬프트 기능을 내장한 영상표시기기 및 그 재생 방법
JP4735560B2 (ja) デジタル放送再生装置
KR100812620B1 (ko) Pvr 내장형 tv 방송 프로그램 녹화 방법
KR101253638B1 (ko) 방송 수신기 및 자동 예약 녹화 방법
KR20080102758A (ko) 영상표시기기의 녹화목록 표시 장치 및 방법
JP2006345133A (ja) 常時番組記録装置
KR100812042B1 (ko) 디지털 텔레비전 및 그 영상 및 음성 제어방법
KR20070114600A (ko) 영상표시기기의 녹화 제어장치 및 방법
JP2009094747A (ja) 放送記録装置
KR20070013102A (ko) 추출 이미지를 이용한 예약 녹화 방법 및 장치
KR20070105121A (ko) 방송 프로그램의 시청제한 설정방법
KR20080045883A (ko) 디지털 영상신호 녹화 및 재생장치 및 방법
JP2010166362A (ja) 録画装置
EP2085972A1 (en) Apparatus for recording digital broadcast and method of searching for final playback location
KR20090017039A (ko) 방송 프로그램 녹화 방법
JP2017059932A (ja) 録画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