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17212A - Image compensation device of hud system for a car - Google Patents

Image compensation device of hud system for a ca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17212A
KR20090017212A KR1020070081793A KR20070081793A KR20090017212A KR 20090017212 A KR20090017212 A KR 20090017212A KR 1020070081793 A KR1020070081793 A KR 1020070081793A KR 20070081793 A KR20070081793 A KR 20070081793A KR 20090017212 A KR20090017212 A KR 2009001721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display panel
lens unit
driver
combi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81793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424257B1 (en
Inventor
신성철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817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24257B1/en
Publication of KR200900172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17212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242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24257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1Head-up displays
    • G02B27/0101Head-up displays characterised by optical fea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1Arrangements for interaction with the human body, e.g. for user immersion in virtual reality
    • G06F3/013Eye tracking input arrang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300/00Details of viewing arrangements using cameras and display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a vehicle
    • B60R2300/20Details of viewing arrangements using cameras and display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a vehicle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display used
    • B60R2300/205Details of viewing arrangements using cameras and display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a vehicle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display used using a head-up display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1Head-up displays
    • G02B27/0101Head-up displays characterised by optical features
    • G02B2027/011Head-up displays characterised by optical features comprising device for correcting geometrical aberrations, distortion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1Head-up displays
    • G02B27/0101Head-up displays characterised by optical features
    • G02B2027/0123Head-up displays characterised by optical features comprising devices increasing the field of view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1Head-up displays
    • G02B27/0179Display position adjusting means not related to the information to be displayed
    • G02B2027/0181Adaptation to the pilot/driv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Instrument Panels (AREA)

Abstract

An image compensation device of an HUD system for a car is provided to compensate for distortion caused by difference of figure of a driver and facilitate use of a device by being freely attached and detached. A display panel(11) in which image including driving information of a vehicles is indicated is formed. A lens unit(12) refracts image coming out in a display panel as a predetermined angle. A combiner(13) reflects the image refracted with a lens unit so that a driver looks at the image. A controller adjusts the location of the display panel or the lens unit in order to compensate for the distortion of image reflected with the combiner or regulate magnification.

Description

차량용 HUD 시스템의 이미지 보정 장치{IMAGE COMPENSATION DEVICE OF HUD SYSTEM FOR A CAR }IMAGE COMPENSATION DEVICE OF HUD SYSTEM FOR A CAR}

본 발명은 차량용 HUD 시스템에서 발생하는 이미지의 왜곡을 보상하거나 또는 이미지의 배율을 조정하기 위한 이미지 보정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mage correction device for compensating for distortion of an image generated in a vehicle HUD system or adjusting an image magnification.

일반적으로 HUD(Head Up Display) 시스템은 전투기용으로 개발한 것으로서, 표시광은 조종석 전방에 놓여진 반투명 반사판(컴바이너)에서 반사되고 파일럿의 눈에 입사되어 파일럿이 각종 정보를 식별하게 된다. 파일럿은 컴바이너를 통해서 전방의 경치와 2중으로 겹쳐지는 표시상으로 이루어진 쌍방의 정보를 동시에 인지할 수 있다.In general, a head up display (HUD) system is developed for a fighter jet. The display light is reflected from a semi-transparent reflector (combiner) placed in front of the cockpit, and is incident on the pilot's eye, so that the pilot identifies various information. Through the combiner, the pilot can simultaneously recognize both information consisting of the landscape in front of the display and the overlapping display.

상기 표시상은 렌즈 계통에 의해 무한 원점에서 결상할 수 있기 때문에 시선의 이동과 초점 조절에 필요한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최근에는 이러한 HUD 시스템이 차량에도 적용되어 운전 중 운전자의 안전을 제공하고 차량 주행 정보와 주변 상황 정보 등을 효과적으로 전달해주기 위한 시스템이 개발되어 보급되고 있다.Since the display image can be imaged at an infinite origin by the lens system, it is possible to shorten the time required for movement of the eye and focus adjustment. Recently, such a HUD system is applied to a vehicle, and a system for providing a driver's safety while driving and effectively transmitting vehicle driving information and surrounding situation information has been developed and spread.

고속으로 운행하는 차량에서 운전자의 시야가 전방이 아닌 다른 부분에 오랜 시간동안 머무르는 것은 매우 위험한 일이므로, 차량에 적합한 HUD 시스템이 보급되고 있다. 차량용 HUD는 앞 유리창의 운전자의 주 시야 선에 계기판의 정보(속력, 주행거리, RPM등)를 나타나게 하여 운전자가 운전 중에도 쉽게 주행정보를 파악할 수 있도록 한다. 이로서 운전자가 안전 운행을 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In a high-speed vehicle, it is very dangerous to stay in the driver's field of vision for a long time other than the front, so a HUD system suitable for a vehicle is becoming popular. The vehicle HUD displays information on the instrument cluster (speed, mileage, RPM, etc.) on the driver's main line of sight on the windshield, allowing the driver to easily identify driving information while driving. This helps the driver to drive safely.

HUD 시스템은, 우선 자동차의 내부 시스템에서 전달되는 주행 정보를 디스플레이가 가능한 데이터로 변환되는 프로세스 과정을 거치고 그 데이터는 거울에 반사되고 윈드 쉴드에 투영되어 운전자의 주시야선 안에서 가상 이미지를 형성하여 운전자에게 주행 정보를 제공한다.The HUD system first undergoes a process of converting driving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vehicle's internal system into displayable data, which is reflected on a mirror and projected onto a windshield to form a virtual image within the driver's field of view. Provides driving information.

그러나, 이러한 차량용 HUD 시스템은 주로 빌트-인(built-in) 방식으로 제작되어왔기 때문에, 운전자 취향대로 착탈이 가능한 HUD 시스템에 대한 필요가 요구되어 왔다. 또한, 윈드실드와 계기판 사이의 공간이 협소하여 HUD 시스템을 모든 차량에 적용하는데 한계가 있으며, 게다가 운전자의 체형이 각각 다름으로 인해 컴바인더에 의해 반사되는 이미지가 운전자의 입장에서는 왜곡되어 보일 수 있다.However, since such a vehicle HUD system has been mainly manufactured in a built-in method, there is a need for a HUD system that can be detached and detached according to a driver's preference. In addition, the space between the windshield and the instrument panel is limited to apply the HUD system to all vehicles. Moreover, the image reflected by the combiner may appear distorted from the driver's point of view due to the different driver's body shape. .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서, 운전자의 체형이 다름으로 인해 발생하는 이미지의 왜곡을 보상하는 장치를 제안하고, 또한 착탈이 자유롭고 구성이 콤팩트한 HUD 시스템 장치를 제안함을 목적으로 한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pose an apparatus for compensating for distortion of an image caused by a different body shape of a driver, and also to propose a HUD system apparatus having a detachable and compact structure. do.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광학계의 렌즈부 또는 디스플레이 패널을 앞뒤 또는 위아래로 이동시키거나 소정의 각도만큼 기울임으로써 이미지의 왜곡을 보상하거나 또는 이미지의 배율을 운전자가 원하는 정도로 조정할 수 있다.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it is possible to compensate for the distortion of the image or to adjust the magnification of the image as desired by the driver by moving the lens unit or the display panel of the optical system back and forth or up and down or tilting by a predetermined angle.

또한, 디스플레이 패널에서 출사되는 이미지가 렌즈의 중심축에서 소정의 간격만큼 떨어진 축을 이용하여 경로를 형성함으로써, 종래의 광학계보다 간단한 구조의 광학계를 구현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image emitted from the display panel forms a path using an axis spaced apart from the central axis of the lens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n optical system having a simpler structure than a conventional optical system can be realized.

따라서, 운전자의 체형이나 원하는 이미지의 배율을 사용자가 임의로 조정하거나 또는 사용자의 눈동자 위치에 따라 자동으로 조절함으로써 이미지의 왜곡을 보상할 수 있고, 렌즈의 중심축이 아닌 축으로 이미지 광의 경로를 형성함으로써 간단한 구조를 갖는 장치를 설계할 수 있다.Therefore, the user can arbitrarily adjust the driver's body shape or the desired image magnification or automatically adjust it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the user's eyes to compensate for the distortion of the image. It is possible to design a device having a simple structure.

본 발명은 차량용 HUD 시스템에서 발생하는 이미지의 왜곡을 보상하거나 이미지의 배율을 조정하고, 더욱 간단한 시스템을 구현하기 위한 차량용 HUD 시스템의 이미지 보정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mage correction apparatus of a vehicle HUD system for compensating for the distortion of an image generated in the vehicle HUD system or adjusting the magnification of the image, and implementing a simpler system.

보다 구체적으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HUD 시스템의 이미지 보정 장치는, 차량의 운행정보를 포함하는 이미지가 표시되는 디스플레이 채널; 상기 디스플레이 채널에서 출사된 이미지를 소정의 각도만큼 굴절시키는 렌즈부; 상기 렌즈부에 의해 굴절된 이미지를 반사시켜 운전자가 상기 이미지를 볼 수 있도록 하는 컴바이너; 및 상기 컴바이너에 의해 반사된 이미지의 왜곡을 보상하거나 배율을 조정하기 위해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 또는 상기 렌즈부의 위치를 조정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More specifically, the image correction apparatus of a vehicle HUD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isplay channel for displaying an image including the driving information of the vehicle; A lens unit refracting the image emitted from the display channel by a predetermined angle; A combiner for reflecting the image refracted by the lens unit so that the driver can see the image; And a control unit for adjusting the position of the display panel or the lens unit to compensate for the distortion or adjust the magnification of the image reflected by the combiner.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 또는 상기 렌즈부를 앞뒤 또는 위아래로 이동시켜 이미지를 보정하거나 또는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 또는 상기 렌즈부를 소정 각도만큼 기울여서 이미지를 보정한다.Preferably, the controller corrects an image by moving the display panel or the lens unit back and forth or up and down, or corrects the image by tilting the display panel or the lens unit by a predetermined angle.

바람직하게는, 상기 컴바이너는 앞면과 뒷면 모두가 소정의 곡률을 갖고,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은 마이크로 디스플레이 패널이다.Preferably, the combiner has a predetermined curvature on both the front side and the rear side, and the display panel is a micro display panel.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어부는 운전자의 눈동자 위치를 기반으로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 또는 상기 렌즈부의 위치를 자동으로 조절하며, 상기 운전자의 눈동자 위치를 파악하는 센서를 더 포함한다.Preferably, the control unit further includes a sensor for automatically adjusting the position of the display panel or the lens unit based on the position of the driver's pupil, and for identifying the pupil position of the driver.

바람직하게는,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 또는 상기 렌즈부의 위치를 조정하도록 조작하는 버튼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가 상기 버튼부를 조작함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 또는 상기 렌즈부의 위치를 조정한다.Preferably, the apparatus further includes a button unit configured to adjust the position of the display panel or the lens unit, and the controller adjusts the position of the display panel or the lens unit as the user manipulates the button unit.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 있어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이해하고 실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DETAILED DESCRIPTION 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may easily understand and implement the present invention.

도1a 및 도1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HUD 시스템의 이미지 보정 장치(10)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1A and 1B are block diagrams illustrating an image correcting apparatus 10 of a vehicle HUD system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1a는 운전자의 눈동자 위치를 기반으로 디스플레이 패널(11) 또는 렌즈부(12)의 위치를 자동으로 조정하는 실시예를 나타낸 것이며, 도1b는 운전자의 버튼부(16) 조작에 대응하여 디스플레이 패널(11) 또는 렌즈부(12)의 위치를 조정하는 실시예를 나타낸 것이다.FIG. 1A illustrates an embodiment in which the position of the display panel 11 or the lens unit 12 is automatically adjusted based on the pupil position of the driver, and FIG. 1B illustrates the display panel in response to the manipulation of the button unit 16 of the driver. An embodiment of adjusting the position of the lens 11 or 11 is shown.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11)은 차량의 운행정보를 포함하는 이미지가 표시되는 영역으로서,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11)에 디스플레이되는 정보는 차량의 운행정보뿐만 아니라, 네비게이션, 비디오파일, DMB, PC, 인터넷, 게임등의 다양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The display panel 11 is an area where an image including driving information of a vehicle is displayed, and the information displayed on the display panel 11 is not only vehicle driving information but also navigation, video files, DMB, PC, Internet, It can contain various information such as games.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11)의 후면에는 발광다이오드(LED) 또는 백라이트유닛(BLU)과 같은 광원(미도시)이 구비되어 있어서 디스플레이 정보 이미지가 사용자의 시야에 진입할 수 있도록 한다.In addition, a rear surface of the display panel 11 is provided with a light source (not shown) such as a light emitting diode (LED) or a backlight unit (BLU) to allow the display information image to enter the user's field of view.

상기 렌즈부(12)는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11)에서 출사된 이미지를 소정의 각도만큼 굴절시킨다. 상기 렌즈부(12)는 다수 개의 렌즈를 포함할 수 있으며, 렌 즈의 종류 및 사양은 구체적인 실시예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The lens unit 12 refracts the image emitted from the display panel 11 by a predetermined angle. The lens unit 12 may include a plurality of lenses, and the type and specification of the lens may vary according to specific embodiments.

상기 컴바이너(13)는 상기 렌즈부(12)에 의해 굴절된 이미지를 반사시켜 운전자가 상기 이미지를 볼 수 있도록 한다.The combiner 13 reflects the image refracted by the lens unit 12 so that the driver can see the image.

상기 렌즈부(12)와 상기 컴바이너(13) 사이에는 하나 이상의 거울(미도시)이 구비되어 디스플레이에서 표시된 각종 이미지가 운전자의 시야각에 진입할 수 있도록 이미지의 경로를 적절히 변경시켜준다.One or more mirrors (not shown) are provided between the lens unit 12 and the combiner 13 to appropriately change an image path so that various images displayed on the display may enter the driver's viewing angle.

상기 제어부(14)는 상기 컴바이너(13)에 의해 반사된 이미지의 왜곡을 보상하거나 배율을 조정하기 위해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11) 또는 상기 렌즈부(12)의 위치를 조정한다.The control unit 14 adjusts the position of the display panel 11 or the lens unit 12 to compensate for or adjust the magnification of the image reflected by the combiner 13.

또한, 도1a에서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로서 운전자의 눈동자 위치를 기반으로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11) 또는 상기 렌즈부(12)의 위치를 자동으로 조절하기 위해서 운전자의 눈동자 위치를 파악하는 센서(15)를 포함한다.In addition, in FIG. 1A, as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sensor for detecting a pupil position of a driver to automatically adjust the position of the display panel 11 or the lens unit 12 based on the pupil position of the driver ( 15).

상기 센서(15)가 운전석에 앉아 있는 운전자의 눈동자 위치를 파악하여 운전자의 눈동자 위치 정보를 상기 제어부(14)에 전송하면, 이를 수신받은 제어부(14)는 운전자의 눈동자가 위치하는 곳에 이미지의 왜곡 없이 최적으로 도달할 수 있도록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11) 또는 상기 렌즈부(12)의 위치를 조정한다.When the sensor 15 detects the pupil position of the driver sitting in the driver's seat and transmits the pupil position information of the driver to the controller 14, the received controller 14 distorts the image where the pupil of the driver is located. Adjust the position of the display panel 11 or the lens unit 12 so as to reach optimally without.

이때,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11) 또는 상기 렌즈부(12)의 위치를 조정하는 방법은 여러 가지가 있을 수 있으며, 그 예로서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11) 또는 상기 렌즈부(12)를 앞뒤 또는 위아래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 경우, 렌즈계에서의 작은 이동이 운전자가 관측하는 허상 이미지에는 큰 변화가 있을 수 있으므로,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11) 또는 상기 렌즈부(12)를 미세한 간격으로 이동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is case, the display panel 11 or the lens unit 12 may be adjusted in various ways. For example, the display panel 11 or the lens unit 12 may be moved back and forth or up and down. You can move it. In this case, since small movement in the lens system may cause a large change in the virtual image observed by the driver, it is preferable to move the display panel 11 or the lens unit 12 at minute intervals.

다른 예로서,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11) 또는 상기 렌즈부(12)를 소정 각도만큼 기울여서 이미지를 보정할 수 있다.As another example, the image may be corrected by tilting the display panel 11 or the lens unit 12 by a predetermined angle.

상기한 바와 같이, 운전자의 눈동자 위치를 기반으로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11) 또는 상기 렌즈부(12)를 앞뒤 또는 위아래로 이동시키거나 소정의 각도만큼 기울이면 운전자의 체형에 따른 이미지의 왜곡을 보상할 수 있게 된다.As described above, when the display panel 11 or the lens unit 12 is moved back and forth or up and down or tilted by a predetermined angle based on the pupil position of the driver, distortion of the image according to the body shape of the driver may be compensated. It becomes possible.

도1b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로서,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11) 또는 상기 렌즈부(12)의 위치를 조정하도록 조작하는 버튼부(16)를 포함한다. 상기 버튼부(16)를 사용자가 조작하면, 상기 제어부(14)는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11) 또는 상기 렌즈부(12)를 일정 방향으로 이동시키거나 또는 소정 기울기로 기울여서 이미지를 보정할 수 있다.FIG. 1B shows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includes a button portion 16 that is manipulated to adjust the position of the display panel 11 or the lens portion 12. As shown in FIG. When the user manipulates the button unit 16, the controller 14 may correct the image by moving the display panel 11 or the lens unit 12 in a predetermined direction or by tilting the lens panel 12 in a predetermined inclination.

상기 렌즈부(12)는 다수개의 렌즈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렌즈부(12)와 상기 컴바이더(13) 사이에는 하나 이상의 거울(미도시)이 포함되어 패널에서 발생된 이미지의 경로를 적절하게 변경시킬 수 있다.The lens unit 12 may include a plurality of lenses, and one or more mirrors (not shown) may be included between the lens unit 12 and the combiner 13 to properly route the image generated from the panel. Can be changed.

도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HUD 시스템의 이미지 보정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개략도이다.Figure 2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n image correction apparatus of a vehicle HUD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발광다이오드나 백라이트유닛과 같은 광원(20)에서 출사된 광은 다양한 이미지가 표시되는 디스플레이 패널(11)을 통과하여 이미지 영상으로 렌즈부(12)로 입사한다. 상기 렌즈부(12)는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11)에서 출사된 이미지를 소정의 각도만큼 굴절시키고, 상기 렌즈부(12)에 의해 굴절된 이미지는 하나 이상의 거울에 반사되어 운전자가 이미지를 볼 수 있도록 하는 컴바이너(13)에서 반사된다.The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source 20 such as a light emitting diode or a backlight unit passes through the display panel 11 displaying various images and enters the lens unit 12 as an image image. The lens unit 12 refracts the image emitted from the display panel 11 by a predetermined angle, and the image refracted by the lens unit 12 is reflected by one or more mirrors so that the driver can see the image. Reflected by the combiner 13.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HUD 시스템의 이미지 보정 장치에서는 이미지가 렌즈부(12)의 중심축(18)에서 소정의 간격만큼 떨어진 축(17)을 이용하여 이동 경로를 형성한다.As shown in FIG. 2, in the image correcting apparatus of the HUD system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 image is separated by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central axis 18 of the lens unit 12 by a predetermined distance. Form a travel path.

종래 렌즈의 광축을 이용하면 렌즈의 크기가 커지고 렌즈의 개수가 많아지는 것을 피할 수 없다. 따라서, 렌즈부(12)의 중심에서 벗어난 축을 사용하여 렌즈의 일부만을 사용함으로써 종래의 장치에 비해 더 콤팩트한 장치의 구성이 가능하게 된다.When the optical axis of the conventional lens is used, the size of the lens is increased and the number of lenses cannot be avoided. Therefore, by using only a part of the lens by using an axis out of the center of the lens portion 12, a more compact device can be constructed than the conventional device.

또한, 상기 컴바이너(13)는 앞면과 뒷면 모두가 소정의 곡률을 갖게 하여, 외부로부터 입사되는 빛에 의한 디스플레이 이미지의 왜곡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컴바이너(13)의 반사 각도 또는 반사 코팅율을 기반으로 상기 컴바이너(13)의 반사율 조정이 가능하다.In addition, the combiner 13 may have both a front surface and a rear surface having a predetermined curvature, thereby minimizing distortion of the display image due to light incident from the outside.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adjust the reflectance of the combiner 13 based on the reflection angle or the reflection coating rate of the combiner 13.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11)은 마이크로 디스플레이 패널일 수 있고, 상기 마이크로 디스플레이 패널은 반사형 마이크로 디스플레이 유형 또는 투과형 마이크로 디스플레이 유형일 수 있다. 특히, 반사형 마이크로 디스플레이 유형에서는 편광빔스플리터(Polarization Beam Spiltter : PBS)를 이용하여 단판형, 2판형에 모두 적용이 가능하다.The display panel 11 may be a micro display panel, and the micro display panel may be a reflective micro display type or a transmissive micro display type. In particular, in the reflective type micro display type, the polarizing beam splitter (PBS) can be used for a single plate type and a two plate type.

도3a 내지 도3d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HUD 시스템의 이미지 보정 장치에서 디스플레이 패널(11) 또는 렌즈부(12)를 이동시키거나 기울임 으로써 이미지를 보정하는 개념을 나타낸 개략도이다.3A to 3D are schematic views illustrating a concept of correcting an image by moving or tilting the display panel 11 or the lens unit 12 in the image correction apparatus of the vehicle HUD system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도3a 내지 도3c는 그 실시예로서, 렌즈부(12)만을 조정하는 경우(도3a), 디스플레이 패널(11)만을 조정하는 경우(도3b) 및 상기 렌즈부(12) 및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11) 모두를 조정하는 경우를(도3c) 각각 도시한다.3A to 3C are examples of the case where only the lens unit 12 is adjusted (Fig. 3A), only the display panel 11 is adjusted (Fig. 3B), and the lens unit 12 and the display panel ( 11) The case where all are adjusted (FIG. 3C) is shown, respectively.

도3c에서와 같이 상기 렌즈부(12) 및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11)을 모두 사용하여 위치를 조정하면 도3a 및 도3b에서와 같이 한 가지의 소자를 조정하는 경우보다 정밀한 조정이 가능하다.If the position is adjusted by using both the lens unit 12 and the display panel 11 as shown in FIG. 3C, more precise adjustment is possible than when adjusting one element as shown in FIGS. 3A and 3B.

또한, 도3d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서 렌즈부(12)가 없이 디스플레이 패널(11)의 조정만으로 이미지를 보상할 수 있다. 렌즈부(12)가 없이도 이미지를 보상할 수 있으려면 표시하고자하는 이미지의 확대 배율이 낮아야 한다. 이는 시스템 구성 요소들의 치수나 기타 환경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일반적으로 그 배율이 1:10 즉, 10배 이하인 경우에는 렌즈부(12)가 없이도 이미지 보정이 가능하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 3D, the image may be compensated only by adjusting the display panel 11 without the lens unit 12. In order to compensate an image without the lens unit 12, the magnification of the image to be displayed must be low. This may vary depending on the dimensions of the system components or other environments. In general, when the magnification is 1:10, that is, 10 times or less, image correction may be performed without the lens unit 12.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HUD 시스템의 이미지 보정 장치는 차량에 착탈이 가능하게 제작되어 풀 컬러의 구현이 가능하여 네비게이션, 야간용, 후면 방식(rearview), 측면 방식(sideview)등의 디스플레이뿐만 아니라, 차량 외에서는 개인적인 용도로 사용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image correction device of the vehicle HUD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anufactured to be detachable to the vehicle to implement a full color navigation, night vision, rear view (rearview), side view (sideview), etc. In addition to the display, it can be used for personal use outside the vehicle.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해서 그 바람직한 실시예를 중심으로 살펴보았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본질적 기술 범위내에서 상기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다른 형태의 실시예들을 구현할 수 있을 것이다.So far,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preferred embodiments,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to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other forms of embodiments within the essential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Could be implemented.

여기서 본 발명의 본질적 기술 범위는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Here, the essential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hown in the claims, and all differences within the equivalent range will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present invention.

도1a 및 도1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HUD 시스템의 이미지 보정 장치를 나타내는 블록도.1A and 1B are block diagrams illustrating an image correction apparatus of a vehicle HUD system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2 및 도3a 내지 도3d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HUD 시스템에서 이미지 보정을 위해 패널 또는 렌즈의 위치가 조정되는 모습을 나타내는 개략도.2 and 3a to 3d are schematic views showing a state in which a position of a panel or a lens is adjusted for image correction in a vehicle HUD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설명 ※    ※ Description of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 ※

10 : 차량용 HUD 시스템의 이미지 보정 장치10: Image correction device of the vehicle HUD system

11 : 디스플레이 패널 12 : 렌즈부11 display panel 12 lens unit

13 : 컴바이어 14 : 제어부13: combine 14: control unit

15 : 센서 16 : 버튼부15 sensor 16 button part

Claims (10)

차량의 운행정보를 포함하는 이미지가 표시되는 디스플레이 패널;A display panel displaying an image including driving information of the vehicle;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에서 출사된 이미지를 소정의 각도만큼 굴절시키는 렌즈부; A lens unit refracting the image emitted from the display panel by a predetermined angle; 상기 렌즈부에 의해 굴절된 이미지를 반사시켜 운전자가 상기 이미지를 볼 수 있도록 하는 컴바이너; 및A combiner for reflecting the image refracted by the lens unit so that the driver can see the image; And 상기 컴바이너에 의해 반사된 이미지의 왜곡을 보상하거나 배율을 조정하기 위해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 또는 상기 렌즈부의 위치를 조정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HUD 시스템의 이미지 보정 장치.And a control unit for adjusting the position of the display panel or the lens unit to compensate for the distortion of the image reflected by the combiner or adjust the magnification.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이미지는 렌즈의 중심축에서 소정의 간격만큼 떨어진 축을 이용하여 이동 경로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HUD 시스템의 이미지 보정 장치.And the image forms a movement path using an axis spaced apart from the center axis of the lens by a predetermined distance.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 또는 상기 렌즈부를 앞뒤 또는 위아래로 이동시켜 이미지를 보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HUD 시스템의 이미지 보정 장치.The control unit corrects an image by moving the display panel or the lens unit back and forth or up and down, characterized in that the vehicle HUD system.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 또는 상기 렌즈부를 소정 각도만큼 기울여서 이미지를 보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HUD 시스템의 이미지 보정 장치.The control unit corrects an image by tilting the display panel or the lens unit by a predetermined angle.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컴바이너는 앞면과 뒷면이 소정의 곡률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HUD 시스템의 이미지 보정 장치.The combiner is an image correction apparatus for a vehicle HUD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the front and rear has a predetermined curvature.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은 마이크로 디스플레이 패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HUD 시스템의 이미지 보정 장치.The display panel is an image correction device of a vehicle HUD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the micro display panel.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제어부는 운전자의 눈동자 위치를 기반으로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 또는 상기 렌즈부의 위치를 자동으로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HUD 시스템의 이미지 보정 장치.And the control unit automatically adjusts the position of the display panel or the lens unit based on the pupil position of the driver. 제1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7, 상기 운전자의 눈동자 위치를 파악하는 센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HUD 시스템의 이미지 보정 장치.And a sensor for detecting a pupil position of the driver.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 또는 상기 렌즈부의 위치를 조정하기 위한 버튼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HUD 시스템의 이미지 보정 장치.And a button unit for adjusting the position of the display panel or the lens unit. 제9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9,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가 상기 버튼부를 조작함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 또는 상기 렌즈부의 위치를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HUD 시스템의 이미지 보정 장치.And the control unit adjusts the position of the display panel or the lens unit as a user manipulates the button unit.
KR1020070081793A 2007-08-14 2007-08-14 Image compensation device of hud system for a car KR101424257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81793A KR101424257B1 (en) 2007-08-14 2007-08-14 Image compensation device of hud system for a ca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81793A KR101424257B1 (en) 2007-08-14 2007-08-14 Image compensation device of hud system for a ca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17212A true KR20090017212A (en) 2009-02-18
KR101424257B1 KR101424257B1 (en) 2014-07-31

Family

ID=406860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81793A KR101424257B1 (en) 2007-08-14 2007-08-14 Image compensation device of hud system for a ca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24257B1 (en)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046514A1 (en) * 2012-09-24 2014-03-27 네오뷰코오롱 주식회사 Organic light-emitting display device
KR101470737B1 (en) * 2013-05-24 2014-12-08 제주대학교 산학협력단 Method and apparatus for compensating image distortion in hud system for vehicle
CN104685404A (en) * 2012-09-24 2015-06-03 娜我比可隆股份有限公司 Organic light-emitting display device
US9823471B2 (en) 2015-08-05 2017-11-21 Lg Electronics Inc. Display device
KR20180050811A (en) * 2016-11-07 2018-05-16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Head up display apparatus for vehicl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reof
KR20190049052A (en) * 2017-11-01 2019-05-09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Head-up display device
CN109841182A (en) * 2017-11-28 2019-06-04 乐金显示有限公司 Personal immersion display device and its driving method
WO2022050568A1 (en) * 2020-09-03 2022-03-10 에스엘 주식회사 Optical device for vehicl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97666B1 (en) 2018-07-27 2020-04-06 (주)한교홀로그램 Head up display
KR102518661B1 (en) 2018-10-16 2023-04-0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Method for correction image distortion of hud system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094394A (en) * 2005-08-31 2007-04-12 Nidec Sankyo Corp Optical system for head-up display
KR100673833B1 (en) 2005-10-10 2007-01-24 고덕용 Head up display
KR100787121B1 (en) * 2006-02-15 2007-12-20 파워옵틱스 주식회사 Head-up display for a vehicles
KR20080007772A (en) * 2006-07-18 2008-01-23 자동차부품연구원 Head up display system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046514A1 (en) * 2012-09-24 2014-03-27 네오뷰코오롱 주식회사 Organic light-emitting display device
CN104685404A (en) * 2012-09-24 2015-06-03 娜我比可隆股份有限公司 Organic light-emitting display device
KR101470737B1 (en) * 2013-05-24 2014-12-08 제주대학교 산학협력단 Method and apparatus for compensating image distortion in hud system for vehicle
US9823471B2 (en) 2015-08-05 2017-11-21 Lg Electronics Inc. Display device
KR20180050811A (en) * 2016-11-07 2018-05-16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Head up display apparatus for vehicl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reof
KR20190049052A (en) * 2017-11-01 2019-05-09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Head-up display device
CN109841182A (en) * 2017-11-28 2019-06-04 乐金显示有限公司 Personal immersion display device and its driving method
WO2022050568A1 (en) * 2020-09-03 2022-03-10 에스엘 주식회사 Optical device for vehic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24257B1 (en) 2014-07-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24257B1 (en) Image compensation device of hud system for a car
US7830607B2 (en) Display device, display method and head-up display
KR101759945B1 (en) Display Device
JP5990998B2 (en) Virtual image display device
JP4155343B2 (en) An optical system for guiding light from two scenes to the viewer's eye alternatively or simultaneously
US20170315352A1 (en) Dual head-up display apparatus
US10873742B2 (en) Head mounted display and image formation optical system
US20110012874A1 (en) Scanning image display apparatus, goggle-shaped head-mounted display, and automobile
JP2009008722A (en) Three-dimensional head up display device
JP6987341B2 (en) Information display device and its spatial sensing device
US11029517B2 (en) Virtual image display device
TWI494603B (en) Portable head-up display device
CN113661432A (en) Head-up display device
US11360303B2 (en) Head up display system and display method of head up display system
US20040239583A1 (en) Display unit for a vehicle
JP2009506948A (en) Vehicle display system having partially transparent elements and method for operating a vehicle display system
JP7372618B2 (en) In-vehicle display device
EP3534202B1 (en) Virtual image display device
JP2019045605A (en) Head-up display device
WO2019240230A1 (en) Virtual image display device
CN118043723A (en) Head-up display for a vehicle with a flat image plane having an optimized display adjustment angle
JP2020129056A (en) Head-up display device
KR20230018786A (en) Method and system for manufacturing sun visor type holographic head-up display
CN117460983A (en) Head-up display with a virtual image plane orientation that remains unchanged when the eye movement ranges match
CN115390268A (en) Display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2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24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