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15404A - 액정표시장치 - Google Patents

액정표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15404A
KR20090015404A KR1020070079705A KR20070079705A KR20090015404A KR 20090015404 A KR20090015404 A KR 20090015404A KR 1020070079705 A KR1020070079705 A KR 1020070079705A KR 20070079705 A KR20070079705 A KR 20070079705A KR 20090015404 A KR20090015404 A KR 2009001540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quid crystal
power
crystal display
gate driver
crystal pan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797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09645B1 (ko
Inventor
김성영
Original Assignee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797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09645B1/ko
Publication of KR200900154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1540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096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096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34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 G09G3/36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using liquid crystals
    • G09G3/3611Control of matrices with row and column drivers
    • G09G3/3648Control of matrices with row and column drivers using an active matrix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6Liquid crystal cell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a semi-conducting layer or substrate, e.g. cells forming part of an integrated circuit
    • G02F1/1362Active matrix addressed cells
    • G02F1/136204Arrangements to prevent high voltage or static electricity failur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34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 G09G3/36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using liquid crystals
    • G09G3/3611Control of matrices with row and column drivers
    • G09G3/3685Details of drivers for data electrod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10/00Command of the display device
    • G09G2310/02Addressing, scanning or driving the display screen or processing steps related thereto
    • G09G2310/0243Details of the generation of driving signals
    • G09G2310/0245Clearing or presetting the whole screen independently of waveforms, e.g. on power-on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2Improving the quality of display appearance
    • G09G2320/0257Reduction of after-image effect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30/00Aspects of power supply; Aspects of display protection and defect management
    • G09G2330/02Details of power systems and of start or stop of display operation
    • G09G2330/021Power management, e.g. power saving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Control Of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 Ray Tubes (AREA)

Abstract

잔상을 제거하여 화질을 개선할 수 있는 액정표시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액정표시장치는 액정패널을 구동하는 게이트 드라이버와, 상기 액정패널과 게이트 드라이버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전압을 생성하는 전원 공급부와, 상기 게이트 드라이버를 제어하며 외부의 시스템으로부터의 정상모드/수면모드 신호에 따라 파워-온/오프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타이밍 컨트롤러와, 상기 타이밍 컨트롤러로부터의 파워-온/오프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전원 공급부로부터 상기 액정패널 및 게이트 드라이버에 공급될 구동전압을 스위칭 하는 구동전압 절환부 및 외부 전원에 의해 구동되어, 수면모드 또는 전원-오프 모드 중 어느 한 모드로의 진입시에 상기 게이트 드라이버를 구동시켜 상기 액정패널 내의 화소들에 저장된 전압을 일정기간 방전시키는 방전부를 포함한다.
방전부, EDID 전압, 입력전압(Vcc)

Description

액정표시장치{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본 발명은 액정표시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잔상을 제거하여 화질을 개선할 수 있는 액정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액정표시장치는 비디오 신호에 따라 액정셀들의 광투과율을 조절하여 화상을 표시하며, 그리고 액정셀마다 스위칭소자가 형성된 액티브 매트릭스(active matrix) 타입의 액정표시장치는 스위칭소자의 능동적인 제어가 가능하기 때문에 동영상 구현에 유리하다. 이러한 액정표시장치는 영상이 표시되는 액정패널과 상기 액정패널을 구동하기 위한 구동부로 크게 이루어진다. 상기 액정패널은 도 1에 도시된 구조와 같은 다수의 화소들로 이루어진다.
도 1을 참조하면, 각 화소는 게이트라인(GL)과, 상기 게이트라인(GL)과 교차하도록 배열된 데이터라인(DL)과, 상기 게이트라인(GL)과 데이터라인(DL)이 교차하는 부분에 형성된 박막트랜지스터(TFT)와 상기 박막트랜지스터(TFT)와 전기적으로 접속된 화소전극(도시하지 않음)을 포함하고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박막트랜지스터(TFT)의 게이트 전극은 상기 게이트라인(GL)에 접속되고, 소스 전극은 상기 데이터라인(DL)에 접속되며 그리고 드레인 전극은 액정셀(Clc)의 화소전극과 스토리지 캐패시터(Cst)의 일측 전극에 접속된다. 상기 스토리지 캐패시터(Cst)는 상기 박막트랜지스터(TFT)가 턴-온(turn-on) 될때 데이터라인(DL)으로부터 인가되는 데이터 전압을 충전하여 상기 액정셀(Clc)의 전압을 일정하게 유지하는 역할을 한다.
게이트 스캔신호가 상기 게이트라인(GL)에 인가되면 박막트랜지스터(TFT)가 턴-온(turn-on) 되어 소스 전극과 드레인 전극 사이의 채널을 형성하여 상기 데이터라인(DL) 상의 데이터 전압을 상기 액정셀(Clc)의 화소전극에 공급한다. 이때, 상기 액정셀(Clc)의 액정분자들은 화소전극과 공통전극 사이의 전계에 의하여 배열이 바뀌면서 입사광을 변조하게 된다.
이렇게 화소가 구동되고 있는 상태 즉, 액정표시장치에 전원이 온(on) 된 상태는 정상모드와 수면모드로 구분될 수 있다. 상기 정상모드는 액정표시장치의 타이밍 컨트롤러와 액정패널 및 상기 액정패널을 구동하는 구동부 모두 구동되고 있는 상태를 의미하고, 상기 수면모드는 상기 액정표시장치의 타이밍 컨트롤러만 구동되고 있는 상태를 의미한다. 정확히, 상기 수면모드는 액정표시장치가 정상모드일때 일정시간 동안 사용되지 않는 상태 또는 액정표시장치에 인가된 전원을 오프(off) 시킨 상태를 의미한다.
상기 액정표시장치가 정상모드에서 수면모드로 바뀌게 되는 경우에 상기 액정표시장치에 인가된 전원이 오프(off) 되므로 화소가 구동되고 있는 액정표시장치의 박막트랜지스터(TFT)가 턴-오프(turn-off) 된다. 상기 박막트랜지스터(TFT)가 턴-오프(turn-off) 되면 상기 스토리지 캐패시터(Cst)에 저장된 전압이 도 1에 도시된 디스차징 방향, 즉 박막트랜지스터(TFT)를 거쳐 데이터라인(DL)을 통해 접지 로 디스차징되는 루프인 디스차징 루프(discharging loop)가 형성되지 않는다. 이러한 경우에 각 화소의 스토리지 캐패시터(Cst)에 저장된 전압이 액정패널 상에 잔상으로 표시되게 된다.
결국, 상기 액정표시장치의 정상모드에서 수면모드로 진입시에 상기 액정패널에는 정상모드일때 화소내에 저장되어 있던 전압이 잔상으로 표시되어 화질저하와 같은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본 발명은 정상모드에서 수면모드로의 진입시에 방전시간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는 액정표시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잔상을 제거할 수 있는 액정표시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화질을 개선할 수 있는 액정표시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액정표시장치는 액정패널을 구동하는 게이트 드라이버와, 상기 액정패널과 게이트 드라이버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전압을 생성하는 전원 공급부와, 상기 게이트 드라이버를 제어하며 외부의 시스템으로부터의 정상모드/수면모드 신호에 따라 파워-온/오프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타이밍 컨트롤러와, 상기 타이밍 컨트롤러로부터의 파워-온/오프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전원 공급부로부터 상기 액정패널 및 게이트 드라이버에 공급될 구동전압을 스위칭 하는 구동전압 절환부 및 외부 전원에 의해 구동되어, 수면모드 또는 전원-오프 모드 중 어느 한 모드로의 진입시에 상기 게이트 드라이버를 구동시켜 상기 액정패널 내의 화소들에 저장된 전압을 일정기간 방전시키는 방전부를 포함한다.
상기한 구성에 의하여 본 발명에 따른 액정표시장치는 수면모드 및 전원-오프 모드에 상관없이 외부의 시스템이 온(on) 상태일때 하이(High) 레벨을 유지하는 EDID 전압(V-EDID)으로 구동되는 방전부를 구비함으로써 수면모드 또는 전원-오프 모드로 변경되는 순간에 정상모드일때 화소내에 저장되어 있던 전압을 충분히 방전시킬 수 있다. 이로인해, 액정표시장치가 정상모드에서 수면모드 또는 전원-오프 모드로 바뀌는 경우에 잔상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액정표시장치는 잔상을 방지하여 화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목적들 외에 본 발명의 다른 목적들, 다른 특징들 및 다른 이점들은 첨부한 도면과 결부된 실시예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명백하게 드러나게 될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가 첨부된 도면들과 결부되어 상세하게 설명될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액정표시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액정표시장치는 다수의 게이트라인(GL1 ~ GLn)과 다수의 데이터라인(DL1 ~ DLm)이 배열되어 영상을 표시하는 액정패널(102)과, 상기 다수의 게이트라인(GL1 ~ GLn)을 구동하기 위한 게이트 드라이버(104)와, 상기 다수의 데이터라인(DL1 ~ DLm)을 구동하기 위한 데이터 드라이버(106)와, 상기 게이트 드라이버(104) 및 데이터 드라이버(106)를 제어하기 위한 타이밍 컨트롤러(108)와, 영상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액정표시장치의 전반적인 운용 프로그램 및 기본정보가 저장되어 있는 EDID IC(110)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액정표시장치는 수면모드 또는 전원-오프 모드로 바뀌는 경우에 상기 액정패널(102)의 화소들에 충전된 전압을 방전시키기 위하여 외부 의 시스템으로부터 상기 EDID(Extended Display Identification Data) IC(110)로 입력되는 EDID 전압(V-EDID)에 의해 구동되는 방전부(114)와, 상기 타이밍 컨트롤러(108)와 방전부(114)를 구동하기 위한 입력전압(Vcc)을 생성하는 DC/DC 컨버터(112) 및 상기 타이밍 컨트롤러(108)의 제어에 따라 상기 입력전압(Vcc)을 상기 방전부(114)와 게이트 및 데이터 드라이버(104, 106)와 액정패널(102)에 공급하는 입력전압 절환부(113)를 더 포함한다.
상기 액정패널(102)은 다수의 게이트라인(GL1 ~ GLn)과 다수의 데이터라인(DL1 ~ DLm)에 의하여 구분된 영역들에 각각 형성된 화소들을 구비한다. 이들 화소들 각각은, 대응하는 게이트라인(GL)과 대응하는 데이터라인(DL) 간의 교차부에 형성된 박막트랜지스터(TFT) 및 상기 박막트랜지스터(TFT)와 공통전극(Vcom) 사이에 접속된 액정 셀(Clc)을 구비한다.
상기 박막트랜지스터(TFT)는 대응하는 게이트라인(GL) 상의 게이트 스캔신호에 응답하여 대응하는 데이터라인(DL)으로부터 대응하는 액정 셀(Clc)에 공급될 화소 데이터 전압을 절환한다. 상기 액정 셀(Clc)은 액정층을 사이에 두고 대면하는 공통전극과 박막트랜지스터(TFT)에 접속된 화소 전극으로 구성된다. 이러한 액정 셀(Clc)은 대응하는 박막트랜지스터(TFT)를 경유하여 공급되는 화소 데이터 전압을 충전한다. 또한, 상기 액정 셀(Clc)에 충전된 전압은 대응하는 박막트랜지스터(TFT)가 턴-온(turn-on) 될 때마다 갱신되게 된다.
이에 더하여, 상기 액정패널(102) 상의 화소들 각각은 상기 박막트랜지스터(TFT)와 이전 게이트라인 사이에 접속된 스토리지 캐패시터(Cst)를 구비한다. 상 기 스토리지 캐패시터(Cst)는 상기 액정 셀(Clc)에 충전된 전압의 자연적인 감소를 최소화 한다.
상기 게이트 드라이버(104)는 상기 타이밍 컨트롤러(110)로부터의 게이트 제어신호(GCS)들에 응답하여, 다수의 게이트 스캔신호들을 다수의 게이트라인(GL1 ~ GLn)에 순차적으로 공급한다. 이들 다수의 게이트 스캔신호들은 다수의 게이트라인(GL1 ~ GLn)을 순차적으로 1 수평동기신호의 구간씩 인에이블(Enable) 되게 한다. 상기 게이트 드라이버(104)는 액정표시장치가 수면모드 또는 전원-오프 모드로 바뀌는 경우에 상기 방전부(114)로부터 공급된 하이(High) 펄스에 의해 상기 다수의 게이트라인(GL1 ~ GLn)을 구동(on)하게 된다.
상기 데이터 드라이버(106)는 상기 타이밍 컨트롤러(110)로부터의 데이터 제어신호(DCS)들에 응답하여, 다수의 게이트라인(DL1 ~ DLm) 중 어느 하나가 인에이블 될 때마다 다수의 화소 데이터 전압들을 발생시켜 상기 액정패널(102) 상의 다수의 데이터라인(DL1 ~ DLm)에 각각 공급한다. 이를 위하여, 상기 데이터 드라이버(106)는 외부의 시스템으로부터 화소 데이터(Data)를 1 라인분 씩 입력하고, 감마전압 세트를 이용하여 입력된 1 라인분의 화소 데이터(Data)를 아날로그 형태의 화소 데이터 전압들로 변환한다.
상기 타이밍 컨트롤러(108)는 도시하지 않은 외부의 시스템(예를 들면, 컴퓨터 시스템의 그래픽 모듈 또는 텔레비전 수신 시스템의 영상 복조 모듈)으로부터의 데이터 클럭(DCLK), 수평동기신호(Hsync), 수직동기신호(Vsync) 및 데이터 인에이블(Data Enable) 신호(DE)를 이용하여 상기 게이트 제어신호들(GCS), 데이터 제어 신호들(DCS)을 생성한다. 상기 게이트 제어신호들(GCS)은 상기 게이트 드라이버(104)에 공급되고, 상기 데이터 제어신호들(DCS)은 상기 데이터 드라이버(106)에 공급된다.
상기 타이밍 컨트롤러(108)는 외부의 시스템으로부터 공급된 정상모드/수면모드 신호에 따라 상기 입력전압 절환부(113)를 제어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타이밍 컨트롤러(108)는 외부의 시스템으로부터 정상모드를 나타내는 신호가 공급되면 상기 입력전압 절환부(113)로 파워-온(ON) 제어신호를 공급한다. 상기 입력전압 절환부(113)는 상기 파워-온(ON)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DC/DC 컨터버(112)로부터 공급된 입력전압(Vcc)을 상기 방전부(114)와, 게이트 및 데이터 드라이버(104, 106)와, 액정패널(102)로 각각 공급한다. 또한, 외부의 시스템으로부터 수면모드를 나타내는 신호가 공급되면 상기 타이밍 컨트롤러(108)는 상기 입력전압 절환부(113)로 파워-오프(OFF) 제어신호를 공급한다. 상기 입력전압 절환부(113)는 상기 파워-오프(OFF)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DC/DC 컨버터(112)로부터 공급된 입력전압(Vcc)을 상기 방전부(113)와, 게이트 및 데이터 드라이버(104, 106)와, 액정패널(102)로 공급하지 않는다.
상기 EDID IC(110)에는 미리 영상을 디스플레이 하기 위한 액정표시장치의 전반적인 운용 프로그램 및 기본정보가 저장된다. 이때, 상기 운용 프로그램과 상기 기본정보는 롬 라이터(Rom Writer)(도시하지 않음) 등에 의해 상기 EDID IC(110)에 기록(Writing)된다. 상기 기본정보에는 디스플레이 되고 있는 영상의 휘도(Brightnees), 명암(Contrast), 색온도(Color Temperature) 및 화면의 포지 션(Position)과, 파워 업 로고(Power-Up Logo), 온 스크린 표시 시간(OSD timeout), 언어(Language) 및 디브이아이 설정(DVI Enable) 메뉴 항목 등에 대하여 미리 설정된 디폴트 값이다.
상기 외부의 시스템은 상기 EDID IC(110)로부터 공급받은 운용 프로그램과 기본정보에 맞는 동기신호(Vsync, Hsync)와, 데이터 이네이블(DE) 신호 및 클럭신호(DCLK) 등을 설정하여 상기 설정된 신호들을 상기 타이밍 컨트롤러(108)로 공급한다. 이때, 상기 EDID 전압(V-EDID)은 외부의 시스템이 온(on) 되자마자 처음으로 액정표시장치에 공급되는 전압이다.
상기 DC/DC 컨버터(112)는 상기 액정패널(102)을 구동하는 구동부(예를 들어, 게이트 드라이버(104)와 데이터 드라이버(106)와 방전부(114) 및 타이밍 컨트롤러(108))의 구동전압인, 입력전압(Vcc)을 생성한다. 상기 DC/DC 컨버터(112)에서 생성된 입력전압(Vcc)은 상기 타이밍 컨트롤러(108)와 입력전압 절환부(113)로 각각 공급된다. 상기 타이밍 컨트롤러(108)로 공급된 입력전압(Vcc)으로 인해 상기 타이밍 컨트롤러(108)가 구동된다. 상기 입력전압 절환부(113)로 공급된 입력전압(Vcc)은 앞서 서술한 바와 같이, 상기 타이밍 컨트롤러(108)로부터 공급된 파워-온/오프(ON/OFF) 제어신호에 의해 제어된다.
상기 입력전압 절환부(113)는 상기 타이밍 컨트롤러(108)로부터 공급된 파워-온/오프(ON/OFF) 제어신호에 따라 제어된다. 상기 타이밍 컨트롤러(108)로부터 파워-온(ON) 제어신호가 공급되면 상기 입력전압 절환부(113)는 상기 DC/DC 컨버터(112)로부터 제공받은 입력전압(Vcc)을 상기 액정패널(102)과 상기 액정패 널(102)을 구동하는 게이트 및 데이터 드라이버(104, 106)로 공급한다. 이와 동시에 상기 입력전압 절환부(113)는 상기 입력전압(Vcc)을 상기 방전부(114)로도 공급한다. 또한, 상기 타이밍 컨트롤러(108)로부터 파워-오프(OFF) 제어신호가 공급되면 상기 입력전압 절환부(113)는 상기 입력전압(Vcc)을 상기 액정패널(102)과 상기 액정패널(102)을 구동하는 게이트 및 데이터 드라이버(104, 106)로 공급하지 않는다. 마찬가지로 상기 입력전압 절환부(113)는 상기 입력전압(Vcc)을 상기 방전부(114)로도 공급하지 않는다.
상기 방전부(114)는 본 발명에 따른 액정표시장치가 수면모드 또는 전원-오프 모드로 바뀌는 경우 상기 액정패널(102) 내의 화소들에 저장되어 있는 전압을 방전시키기 위해 상기 EDID 전압(V-EDID)에 의해 구동된다. 상기 방전부(114)는 도 3에 도시된 바와같이, 상기 입력전압 절환부(113)로부터 공급된 입력전압(Vcc)의 레벨 상태를 감지하여 그 감지 결과에 따른 비교신호를 생성하는 입력전압(Vcc) 감지부(116)와, 상기 입력전압(Vcc) 감지부(116)로부터 공급된 비교신호를 반전시켜 출력하는 인버터(118) 및 상기 인버터(118)에서 출력된 신호중 논리값이 변하는 시점을 기준으로 일정 구간 동안 하이(High) 펄스를 생성하는 단안정 멀티 바이브레이터(120)를 포함한다.
상기 입력전압(Vcc) 감지부(116)는 상기 입력전압 절환부(113)로부터 공급된 입력전압(Vcc)이 일정 전압(기준값) 이하로 감소하는 것을 감지하여 감지 결과에 따라 상이한 논리값을 갖는 비교신호를 생성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입력전압 절환부(113)로부터 공급된 입력전압(Vcc)의 레벨이 상기 기준값보다 큰 경우에 상기 입 력전압(Vcc) 감지부(116)는 특정논리(예를 들어, High)의 비교신호를 생성한다. 또한, 상기 입력전압 절환부(113)로부터 공급된 입력전압(Vcc)의 레벨이 상기 기준값보다 작은 경우에 상기 입력전압(Vcc) 감지부(116)는 기저논리(예를 들어, Low)의 비교신호를 생성한다. 상기 입력전압 절환부(113)부터 공급된 입력전압(Vcc)의 레벨이 상기 기준값보다 작아지는 경우는 액정표시장치가 수면모드 또는 전원-오프 모드로 진입되는 경우가 이에 해당된다. 따라서, 상기 입력전압(Vcc) 감지부(116)에서 생성된 비교신호의 논리값에 따라 액정표시장치가 수면모드 또는 전원-오프 모드로 진입되었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입력전압(Vcc) 감지부(116)에서 생성된 비교신호는 상기 인버터(118)로 공급된다. 이때, 상기 입력전압(Vcc) 감지부(116)는 상기 EDID 전압(V-EDID)에 의해 구동된다.
상기 인버터(118)는 상기 EDID 전압(V-EDID)에 의해 구동되며 상기 입력전압(Vcc) 감지부(116)로부터 공급된 기저논리(Low) 및 특정논리(High) 비교신호를 반전시켜 출력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인버터(118)는 상기 입력전압(Vcc) 감지부(116)로부터 특정논리(High)의 비교신호가 공급되면 상기 특정논리(High)의 비교신호를 로우(Low) 상태로 반전시켜 상기 반전된 로우(Low) 신호를 출력한다. 상기 인버터(118)는 상기 입력전압(Vcc) 감지부(116)로부터 기저논리(Low)의 비교신호가 공급되면 상기 기저논리(Low)의 비교신호를 하이(High) 상태로 반전시켜 상기 반전된 하이(High) 신호를 출력한다. 상기 인버터(118)에서 출력된 하이(High) 또는 로우(Low) 신호는 단안정 멀티 바이브레이터(120)로 공급된다.
상기 단안정 멀티 바이브레이터(120)는 상기 인버터(118)로부터 출력된 신호 중 논리값이 변하는 시점을 기준으로 일정한 구간 동안 하이(High) 펄스를 생성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단안정 멀티 바이브레이터(120)는 상기 인버터(118)로부터 출력된 신호가 로우(Low) 상태에서 하이(High) 상태로 바뀌는 시점(예를 들어, 라이징 에지)을 기준으로 일정 구간 동안 하이(High) 펄스를 생성하여 도 2에 도시된 게이트 드라이버(도 2의 104)로 공급한다. 이때, 상기 일정 구간은 상기 액정패널(102) 내의 화소에 충전된 전압들이 수면모드 또는 전원-오프 모드로 바뀌는 경우에 충분히 방전될 수 있는 시간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상기 일정 구간은 대략 2 내지 4 프레임 정도의 시간일 수 있다.
상기 단안정 멀티 바이브레이터(120)로부터 생성된 하이(High) 펄스는 상기 일정 구간이 경과되면 소멸되며, 상기 단안정 멀티 바이브레이터(120)는 안정상태가 된다. 상기 단안정 멀티 바이브레이터(120)는 새로운 입력 신호가 입력되기 전까지 안정상태를 유지한다.
상기 단안정 멀티 바이브레이터(120)로부터 하이(High) 펄스가 공급되면, 상기 게이트 드라이버(104)는 상기 하이(High) 펄스에 대응된 하이(High) 레벨의 전압을 상기 게이트 드라이버(104)와 전기적으로 접속된 다수의 게이트라인(도 2의 GL1 ~ GLn)으로 공급하여 상기 다수의 게이트라인(GL1 ~ GLn)이 구동(on) 되도록 한다. 상기 다수의 게이트라인(GL1 ~ GLn)이 구동(on) 되면 상기 다수의 게이트라인(GL1 ~ GLn)과 접속된 박막트랜지스터(TFT)가 턴-온(turn-on) 된다. 상기 다수의 게이트라인(GL1 ~ GLn)이 구동(on) 되어 상기 다수의 게이트라인(GL1 ~ GLn)과 전기적으로 접속된 박막트랜지스터(TFT)가 턴-온(turn-on) 된다.
상기 액정표시장치가 정상모드에서 수면모드 또는 전원-오프 모드로 바뀌는 순간에 상기 박막트랜지스터(TFT)가 온(on) 됨으로써 액정표시장치의 정상모드시에 도 2에 도시된 액정패널(도 2의 102) 내의 화소들에 저장되어 있는 전압은 방전된다. 상기 박막트랜지스터(TFT)가 턴-온(turn-on) 됨으로써 상기 박막트랜지스터(TFT)를 거쳐 데이터라인(DL)을 통해 접지로의 방전 루프(discharging loop)가 형성되어 상기 액정패널(102) 내의 화소들에 저장되어 있던 전압은 상기 방전루프(discharging loop)를 통해 방전된다. 액정표시장치가 수면모드 또는 전원-오프 모드로 바뀌는 경우에 상기 액정패널(102) 내의 화소들에 저장되어 있던 전압은 상기 EDID 전압(V-EDID)으로 구동되는 방전부(114)에 의해 충분히 방전될 수 있다.
상기 방전부(114)는 액정표시장치가 수면모드 또는 전원-오프 모드임에 상관없이 외부의 시스템에 온(on) 되어 있기만 하면 항상 하이(High) 레벨을 유지하는 EDID 전압(V-EDID)에 의해 구동되기 때문에 액정표시장치가 수면모드 또는 전원-오프 모드로 바뀌는 경우에 상기 액정패널(102) 내의 화소들에 저장되어 있던 전압을 충분히 방전시킬 수 있다.
이로인해, 본 발명에 따른 액정표시장치는 정상모드에서 수면모드 또는 전원-오프 모드로 바뀌는 경우에 잔상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여 화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4는 도 2의 액정표시장치가 정상모드에서 수면모드 또는 전원-오프 모드로 상태가 변경될때의 구동전압을 나타낸 파형도이다.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액정표시장치가 정상모 드 일 때 EDID 전압(V-EDID) 및 입력전압(Vcc)은 하이(High) 레벨을 유지하고 도 3에 도시된 입력전압(Vcc) 감지부(도 3의 116) 또한 특정논리(High)의 비교신호를 출력한다. 상기 입력전압(Vcc) 감지부(116)가 특정논리(High)의 비교신호를 출력함으로써 도 3에 도시된 인버터(도 3의 118)는 상기 특정논리(High)의 비교신호를 로우(Low) 상태로 반전시켜 상기 반전된 로우(Low) 신호를 출력한다.
도 3에 도시된 단안정 멀티 바이브레이터(도 3의 120)는 상기 정상모드 상태에서는 어떠한 펄스도 생성하지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른 액정표시장치가 정상모드에서 수면모드 또는 전원-오프 모드 상태로 바뀌는 경우에 상기 EDID 전압(V-EDID)은 정상모드와 마찬가지로 하이(High) 레벨을 유지하는 반면 상기 입력전압(Vcc)은 점점 로우(Low) 레벨로 바뀌게 되어 오프(off) 상태가 된다. 상기 입력전압(Vcc) 감지부(116)는 상기 입력전압(Vcc)의 레벨 변화에 따른 비교신호를 출력하게 되는데, 상기 입력전압(Vcc)의 레벨이 일정전압(예를 들어, 2.3V)보다 떨어지는 시점부터 기저논리(Low)의 비교신호를 출력한다.
상기 입력전압(Vcc) 감지부(116)가 기저논리(Low)의 비교신호를 출력함으로써 도 3에 도시된 인버터(118)는 상기 기저논리(Low)의 비교신호를 하이(High) 상태로 반전시켜 상기 반전된 하이(High) 신호를 출력한다.
상기 단안정 멀티 바이브레이터(120)는 상기 인버터(118)로부터 출력된 신호 가 로우(Low)에서 하이(High)로 바뀌는 순간(라이징 에지)을 기준으로 일정 구간 동안 하이(High) 펄스를 생성한다. 상기 단안정 멀티 바이브레이터(120)에서 출력 된 하이(High) 펄스는 도 2에 도시된 게이트 드라이버(도 2의 104)로 공급된다. 상기 게이트 드라이버(104)는 상기 하이(High) 펄스에 대응된 게이트 신호를 상기 다수의 게이트라인(GL1 ~ GLn)으로 공급하여 상기 다수의 게이트라인(GL1 ~ GLn)을 구동(on)시킨다. 상기 다수의 게이트라인(GL1 ~ GLn)이 구동(on) 됨에 따라 상기 다수의 게이트라인(GL1 ~ GLn)과 전기적으로 접속된 박막트랜지스터(TFT)가 턴-온(turn-on) 된다.
상기 박막트랜지스터(TFT)가 턴-온(turn-on) 됨으로써 상기 박막트랜지스터(TFT)를 거쳐 데이터라인(DL)을 통해 접지로의 방전 루프(discharging loop)가 형성되어 상기 액정패널(102) 내의 화소들에 저장되어 있던 전압은 상기 방전루프(discharging loop)를 통해 방전된다. 이때, 상기 단안정 멀티 바이브레이터(120)에서 하이(High) 펄스를 생성하는 구간이 상기 액정패널(102) 내의 화소들에 저장되어 있는 전압이 방전되는 방전 구간이 된다.
상기 입력전압(Vcc) 감지부(116)와, 상기 인버터(118) 및 단안정 멀티 바이브레이터(120)가 액정표시장치의 수면모드 또는 전원-오프 모드에 상관없이 외부의 시스템이 온(on) 되어 있는 경우에 항상 하이(High) 레벨을 유지하는 EDID 전압(V-EDID)에 의해 구동됨에 따라 인해 상기 액정패널(102) 내의 화소들에 저장되어 있던 전압은 충분히 방전될 수 있다. 이로인해, 본 발명에 따른 액정표시장치는 정상모드에서 수면모드 또는 전원-오프 모드로 바뀌는 경우에 잔상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액정표시장치는 잔상이 방지됨에 따라 화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 이외에 예를 들면, 실시예에서 입력전압 감지부 및 인버터가 제거됨과 아울러 단안정 멀티 바이브레이터가 타이밍 컨트롤러로부터의 전원-온/오프(ON/OFF) 제어신호에 응답하여 게이트 드라이버의 방전 동작을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이 경우에도 단안정 멀티 바이브레이터는 EDID 전압(V-EDID)에 의해 구동되기 때문에 액정표시장치가 수면모드 또는 전원-오프 모드로 바뀌게 되는 경우에 충분히 방전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이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들로 국한하여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 대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및 범위를 일탈하지 않으면서 다양한 변형, 변경 및 균등한 타 실시예들이 가능하다는 것을 명백하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일반적인 액정패널을 구성하는 픽셀의 구조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액정표시장치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도 2의 방전부를 상세히 나타낸 도면.
도 4는 도 2의 액정표시장치가 정상모드에서 수면모드 또는 전원-오프 모드로 상태가 변경될때의 구동전압을 나타낸 파형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간단한 설명>
102:액정패널 104:게이트 드라이버
106:데이터 드라이버 108:타이밍 컨트롤러
110:EDID IC 112:DC/DC 컨버터
113:입력전압 절환부 114:방전부
116:입력전압(Vcc) 감지부 118:인버터
120:단안정 멀티 바이브레이터

Claims (7)

  1. 액정패널을 구동하는 게이트 드라이버;
    상기 액정패널과 게이트 드라이버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전압을 생성하는 전원 공급부;
    상기 게이트 드라이버를 제어하며 외부의 시스템으로부터의 정상모드/수면모드 신호에 따라 파워-온/오프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타이밍 컨트롤러;
    상기 타이밍 컨트롤러로부터의 파워-온/오프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전원 공급부로부터 상기 액정패널 및 게이트 드라이버에 공급될 구동전압을 스위칭 하는 구동전압 절환부; 및
    외부 전원에 의해 구동되어, 수면모드 또는 전원-오프 모드 중 어느 한 모드로의 진입시에 상기 게이트 드라이버를 구동시켜 상기 액정패널 내의 화소들에 저장된 전압을 일정기간 방전시키는 방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전원은 EDID 전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방전부는 상기 구동전압 절환부에서 출력되는 구동전압의 변화에 근거 하여 수면모드 또는 전원-오프 모드 중 어느 한 모드로의 진입시점을 판단하여 상기 게이트 드라이버를 구동시켜 상기 액정패널 내의 화소들에 저장된 전압을 일정기간 방전시키는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방전부는,
    상기 구동전압의 차단 시점을 감지하여 감지된 결과에 따라 상이한 논리를 갖는 비교신호를 생성하는 전원전압 감지부;
    상기 전원전압 감지부로부터 공급된 비교신호를 반전시켜 상기 반전된 신호를 출력하는 인버터; 및
    상기 구동전압의 차단 시점을 기준으로 일정 구간 동안 특정 펄스를 생성하여 상기 특정 펄스를 상기 게이트 드라이버로 공급하는 단안정 멀티 바이브레이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방전부는 상기 타이밍 컨트롤러로부터의 전원-온/오프 제어신호에 응답하여 수면모드 또는 전원-오프 모드 중 어느 한 모드로의 진입시점을 판단하여 상기 게이트 드라이버를 구동시켜 상기 액정패널 내의 화소들에 저장된 전압을 일정기간 방전시키는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일정기간은 2 내지 4 프레임 정도의 시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전원은 액정표시장치의 수면모드 또는 전원-오프 모드에 상관없이 외부의 시스템이 구동되는 경우에는 항상 하이(High) 레벨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
KR1020070079705A 2007-08-08 2007-08-08 액정표시장치 KR1014096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79705A KR101409645B1 (ko) 2007-08-08 2007-08-08 액정표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79705A KR101409645B1 (ko) 2007-08-08 2007-08-08 액정표시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15404A true KR20090015404A (ko) 2009-02-12
KR101409645B1 KR101409645B1 (ko) 2014-06-18

Family

ID=406849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79705A KR101409645B1 (ko) 2007-08-08 2007-08-08 액정표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09645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06369A (ko) * 2009-07-14 2011-01-20 삼성전자주식회사 파워오프 디스차지 회로 및 이를 포함하는 소스 드라이버 회로
CN102662284A (zh) * 2009-12-17 2012-09-12 联咏科技股份有限公司 栅极驱动电路及相关液晶显示器
CN103165091A (zh) * 2011-12-13 2013-06-19 乐金显示有限公司 具有放电电路的液晶显示装置及其驱动方法
KR20150030541A (ko) * 2013-09-12 2015-03-20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게이트 구동부를 포함하는 액정표시장치
CN114694612A (zh) * 2022-03-23 2022-07-01 Tcl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关机放电电路及关机放电方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984391B2 (ja) * 2005-01-07 2012-07-25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表示駆動装置及び表示装置並びにその駆動制御方法
KR20070051559A (ko) * 2005-11-15 2007-05-18 삼성전자주식회사 신호 선택 회로를 포함하는 액정 표시 장치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06369A (ko) * 2009-07-14 2011-01-20 삼성전자주식회사 파워오프 디스차지 회로 및 이를 포함하는 소스 드라이버 회로
CN102662284A (zh) * 2009-12-17 2012-09-12 联咏科技股份有限公司 栅极驱动电路及相关液晶显示器
CN102662284B (zh) * 2009-12-17 2014-12-31 联咏科技股份有限公司 栅极驱动电路及相关液晶显示器
CN103165091A (zh) * 2011-12-13 2013-06-19 乐金显示有限公司 具有放电电路的液晶显示装置及其驱动方法
US8982115B2 (en) 2011-12-13 2015-03-17 Lg Display Co., Lt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having discharge circuit and method of driving thereof
CN103165091B (zh) * 2011-12-13 2015-06-24 乐金显示有限公司 具有放电电路的液晶显示装置及其驱动方法
KR20150030541A (ko) * 2013-09-12 2015-03-20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게이트 구동부를 포함하는 액정표시장치
CN114694612A (zh) * 2022-03-23 2022-07-01 Tcl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关机放电电路及关机放电方法
CN114694612B (zh) * 2022-03-23 2023-10-17 Tcl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关机放电电路及关机放电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09645B1 (ko) 2014-06-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18005B1 (ko) 패널 적응형 게이트 스캔 신호 변조 기능을 가지는 액정디스플레이 장치
KR101931335B1 (ko) 액정표시장치의 레벨 시프터
KR101373861B1 (ko) 액정표시장치
US20060114215A1 (en) LCD for speeding initial bend state, driver and method thereof
KR100486999B1 (ko) 액정표시장치의 잔상 방지 방법 및 장치
KR101957489B1 (ko) 액정표시장치의 전원 공급 장치와 그 방법
KR20150086621A (ko) 표시장치와 그 구동방법
KR101963381B1 (ko) 전기영동 표시장치
KR102374748B1 (ko) 전원공급부 및 이를 이용한 표시장치
KR101409645B1 (ko) 액정표시장치
KR20100094098A (ko) 액정표시장치 및 그의 구동방법
KR20080105672A (ko) 액정표시장치와 그 구동방법
US20080211752A1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driving the same
KR101677761B1 (ko) 액정표시장치
KR20110079038A (ko) 액정 표시장치 및 그의 구동방법
KR20150078828A (ko) 액정표시장치의 전원 공급 장치
US9508298B2 (en) Adaptive inversion control of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KR101327875B1 (ko) 액정표시장치 및 그의 구동 방법
KR101451738B1 (ko) 액정표시장치의 구동 회로 및 방법
KR20130065328A (ko) 전기영동 디스플레이 장치와 이의 구동방법
KR102556962B1 (ko) 표시 장치와 그 구동방법
KR20090073646A (ko) 액정표시장치 및 이의 구동방법
KR101177581B1 (ko) 액정표시장치 및 그의 구동 방법
KR101502163B1 (ko) 액정표시장치
KR20070115537A (ko) 액정표시장치 및 그의 구동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1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15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