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15266A - 비디오 식별을 통한 유해 동영상 검열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비디오 식별을 통한 유해 동영상 검열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15266A
KR20090015266A KR1020070079455A KR20070079455A KR20090015266A KR 20090015266 A KR20090015266 A KR 20090015266A KR 1020070079455 A KR1020070079455 A KR 1020070079455A KR 20070079455 A KR20070079455 A KR 20070079455A KR 20090015266 A KR20090015266 A KR 2009001526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ideo
harmful
file
fingerprint
index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794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30529B1 (ko
Inventor
박만수
양승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코난테크놀로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코난테크놀로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코난테크놀로지
Priority to KR10200700794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30529B1/ko
Publication of KR200900152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152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305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305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7/00Digital computing or data processing equipment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func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7/00Image analysi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levision Signal Processing For Record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비디오 식별을 통한 유해 동영상 검열 시스템 및 방법을 개시한다.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은, 유해 동영상 파일의 비디오 핑거프린트가 색인화되어 있는 유해 동영상 색인 DB; 검열 대상 동영상 파일을 입력 받는 파일 입력부; 상기 입력된 동영상 파일에 포함된 비디오 데이터를 분석하여 비디오 핑거프린트를 추출하는 비디오 특징 추출부; 및 상기 추출된 비디오 핑거프린트와 임계치 이상의 유사도를 갖는 비디오 핑거프린트가 상기 유해 동영상 색인 DB에 색인화되어 있는지 조회하여 상기 동영상 파일이 색인화된 유해 동영상에 해당하는지 여부를 검열하는 유해 동영상 검사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비디오의 내용을 기반으로 유해 동영상을 검열하므로 유해 동영상을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또한, 비디오 데이터의 내용만 동일하면 동영상 파일의 인코딩 환경이 달라지거나 동영상 파일이 2차적으로 편집되더라도 유해 동영상의 검열이 가능하다. 또한, 유해 동영상 검열과 파일 중복 검열을 통합시킴으로써 스토리지 공간의 효율적 사용이 가능해진다.
비디오 핑거프린트, 유해 동영상 검열, 파일 중복 검사, 동영상 색인

Description

비디오 식별을 통한 유해 동영상 검열 시스템 및 방법{System and Method for inspection of noxious moving video by video identification}
본 발명은 유해 동영상 검열 시스템에 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동영상 내에 포함된 비디오를 식별하여 유해 동영상 여부를 검열할 수 있는 시스템 및 그 방법에 대한 것이다.
정보 통신 기술의 급속한 발달로 인터넷을 통한 데이터 전송 속도가 하루가 다르게 빨라지고 있다. 이에 따라, 실시간 교육, 방송, 영화, 쇼핑 등을 위한 동영상 스트리밍 서비스와 함께 대용량 동영상 파일의 다운로드 서비스도 가능해졌다.
각종 동영상 서비스의 등장으로 양적 질적으로 인터넷 서비스가 향상되었다는 긍정적 측면도 있지만, 다른 한편으로는 웹 하드 서비스와 연계한 파일공유 서비스나 메신저 프로그램 등을 이용한 유해 동영상의 불법 배포가 또 다른 사회적 이슈로 부각되고 있다.
현재 유해 동영상 중 가장 문제가 되는 것은 음란물 동영상이다. 음란물 동영상은 합법적으로 제작된 것도 있지만, 대개는 외국에서 불법으로 제작되거나 화상 채팅 사이트나 사생활 공간 등에서 상대방의 동의 없이 불법으로 촬영된 것들이 대부분이다. 특히, 후자의 경우는 동영상 촬영 행위 자체가 불법일 뿐만 아니라, 동영상 파일이 인터넷을 통해 배포되었을 경우 피 촬영자에게 심대한 정신적 충격을 줄 수 있고 피 촬영자가 유명인인 경우는 사회적 파장까지 불러일으키는 문제가 있다.
또한, 최근에는 동영상 촬영이 가능한 디지털 카메라, 디지털 캠코더. 카메라 휴대폰 등이 보급됨에 따라, UCC(User Created Contents) 형태의 음란물 동영상까지 가세하고 있어 음란물 동영상 문제가 더욱 심각해지고 있는 실정이다.
음란물 동영상을 비롯한 각종 유해 동영상은 미성년자인 청소년들의 정신건강에 악영향을 미친다는 점은 아무리 강조해도 지나치지 않다. 또한, 인터넷 포탈과 같이 공공성을 갖는 웹사이트를 통해 유해 동영상이 배포될 경우, 웹사이트 운영자의 신뢰성과 도덕성에 심대한 타격을 준다. 따라서, 인터넷을 통해 배포되는 동영상이 유해 동영상에 해당하는지 여부를 효과적으로 검열할 수 있는 기술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종래의 음란물 동영상 검열 기술로는, 동영상 검열자가 동영상의 내용을 일일이 검사하여 음란물 동영상 여부를 판별하는 수동 검열 방식, 동영상의 색상(황색, 검은색, 백색 등)을 분석하여 특정 색상의 비중이 임계치를 넘어서면 음란물 동영상으로 판정하는 색상 검열 방식(한국공개특허 제2004-46537호), 각종 음란물 동영상의 해쉬값에 대한 DB를 구축한 후 검열 대상 동영상의 해쉬값과 DB에 기록된 해쉬값을 서로 비교하여 유사도가 임계치를 넘으면 음란물 동영상으로 판정하는 해쉬값 검열 방식(한국등록특허 제10-517645호) 등이 있다.
그런데, 수동 검열 방식은 동영상 검열을 수행하는데 많은 시간이 소요되므로 다량의 동영상 파일을 검열하는데 효과적이지 않다. 그리고, 색상 검열 방식은 동영상 촬영장소의 조명이나 연기자의 복장 등에 따라 검열 오차가 발생되어 신뢰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또한, 해쉬값 검열 방식은 음란물 동영상의 일부 클립을 따로 추출하여 2차적으로 편집하거나, 동영상 파일의 인코딩 환경, 예컨대 인코딩 알고리즘의 종류, 파일에 삽입되는 태그, 샘플링 비율, 비트율 등이 달라지면 검열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동영상 파일의 인코딩 환경에 의존하지 않으면서 동영상의 비디오 내용을 기반으로 한 신뢰성 높은 유해 동영상 검열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복사된 유해 동영상뿐만 아니라 동일한 비디오 스트림으로 제작된 다양한 포맷의 유해 동영상에 대해서도 검열이 가능한 유해 동영상 검열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2차적으로 편집된 유해 동영상에 대해서도 검열이 가능한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다양한 동영상 서비스의 제공을 위한 동영상 데이터베이스의 구축 시 동영상 검열자의 부담을 저감시킬 수 있는 유해 동영상 검열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비디오 식별을 통한 유해 동영상 검열 시스템은, 유해 동영상 파일의 비디오 핑거프린트가 색인화되어 있는 유해 동영상 색인 DB; 검열 대상 동영상 파일을 입력 받는 파일 입력부; 상기 입력된 동영상 파일에 포함된 비디오 데이터를 분석하여 비디오 핑거프린트를 추출하는 비디오 특징 추출부; 및 상기 추출된 비디오 핑거프린트와 임계치 이상의 유사도를 갖는 비디오 핑거프린트가 상기 유해 동영상 색인 DB에 색인화되어 있는지 조회하여 상기 동영상 파일이 색인화된 유해 동영상에 해당하는지 여부를 검열하는 유해 동영상 검사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은, 상기 검열 결과 동영상 파일이 색인화된 유해 동영상이 아닌 것으로 판단되면, 동영상 파일 내에 포함된 영상을 시각적으로 검열 관리자에게 표시하고, 검열 관리자로부터 동영상의 종류를 지정 받는 관리자 검열부; 및 상기 관리자 검열부를 통해 동영상 파일이 유해 동영상인 것으로 지정되면 추출된 비디오 핑거프린트를 유해 동영상 색인 DB에 신규로 색인화하는 동영상 색인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비유해 동영상 파일의 비디오 핑거프린트가 색인화되어 있는 비유해 동영상 색인 DB; 및 상기 관리자 검열부를 통해 동영상 파일이 비유해 동영상인 것으로 지정되면, 추출된 비디오 핑거프린트와 임계치 이상의 유사도를 갖는 비디오 핑거프린트가 상기 비유해 동영상 색인 DB에 색인화되어 있는지 조회하여 상기 동영상 파일이 색인화된 다른 비유해 동영상과 중복되는지 여 부를 검열하는 비유해 동영상 검사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검열 결과, 동영상 파일이 색인화된 비유해 동영상이 아닌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동영상 색인부는 추출된 비디오 핑거프린트를 비유해 동영상 색인 DB에 신규로 색인화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비유해 동영상 파일의 비디오 핑거프린트가 색인화되어 있는 비유해 동영상 색인 DB; 및 추출된 비디오 핑거프린트와 임계치 이상의 유사도를 갖는 비디오 핑거프린트가 상기 비유해 동영상 색인 DB에 색인화되어 있는지 여부를 검열하는 비유해 동영상 검사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유해 동영상 검사부는 동영상 파일이 비유해 동영상으로 판별되면 비유해 동영상 검열 요청을 상기 비유해 동영상 검사부로 출력하고, 상기 비유해 동영상 검사부는 상기 검열 요청에 따라 비유해 동영상 검열을 수행할 수 있다.
이런 경우, 상기 비유해 동영상 검열 결과, 동영상 파일이 색인화된 비유해 동영상이 아닌 것으로 판단되면, 동영상 파일 내에 포함된 영상을 시각적으로 검열 관리자에게 표시하고, 검열 관리자로부터 동영상의 종류를 지정 받는 관리자 검열부; 및 상기 관리자 검열부를 통해, 동영상 파일이 유해 동영상인 것으로 지정되면 유해 동영상 색인 DB에, 비유해 동영상인 것으로 지정되면 비유해 동영상 색인 DB에 추출된 비디오 핑거프린트를 신규로 색인화하는 동영상 색인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동영상 색인부는 추출된 비디오 핑거프린트의 신규 색인화 시 동영상 파일의 헤더 및 메타 정보도 함께 색인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기술적 과제는 상술한 비디오 식별을 통한 유해 동영상 검열 시스템의 동작 방법과 이 방법을 프로그램화하여 수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의해서도 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비디오의 내용을 기반으로 유해 동영상을 검열하므로 유해 동영상을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또한, 비디오 데이터의 내용만 동일하면 동영상 파일의 인코딩 환경이 달라지거나 동영상 파일이 2차적으로 편집되더라도 유해 동영상의 검열이 가능하다. 나아가, 유해 동영상의 색인화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지므로, 동영상 서비스 제공을 위한 동영상 데이터베이스의 구축 시 색인화된 유해 동영상의 수에 비례하여 검열 관리자의 부담을 지속적으로 줄여나갈 수 있다. 또한, 유해 동영상 검열과 파일 중복 검열을 통합시킴으로써 스토리지 공간의 효율적 사용이 가능해진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 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비디오 식별을 통한 유해 동영상 검열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제1실시예에 따른 유해 동영상 검열 시스템은, 파일 입력부(100), 비디오 특징 추출부(110), 유해 동영상 검사부(120), 관리자 검열부(130), 동영상 색인부(140), 비유해 동영상 검사부(150), 유해 동영상 색인 DB(160), 유해 동영상 스토리지(170), 비유해 동영상 색인 DB(180) 및 비유해 동영상 스토리지(190)를 포함한다.
상기 파일 입력부(100)는 검열 대상이 되는 동영상 파일을 입력 받아 비디오 특징 추출부(110)로 전달한다. 여기서, 검열은 동영상 파일이 유해 동영상에 해당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말한다. 유해 동영상은 청소년에게 유해한 영향을 미치는 음란물, 폭력물, 잔혹물 등을 의미한다. 동영상 파일은 mpeg, avi, mov 등의 동영상 전용 포맷을 가진다. 동영상 파일은 네트워크를 통해 전송된 파일이다. 일 예로, 동영상 파일은 유무선 인터넷을 통해 전송된 파일, 메일 수신을 통해 전송된 파일 또는 P2P 통신을 통해 전송된 파일이다. 대안적으로, 동영상 파일은 컴퓨터 스토리지 내에 저장된 파일이다. 후자의 경우, 상기 파일 입력부(100)는 검열 관리자가 적어도 하나 이상의 동영상 파일을 선택할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선택된 동영상 파일은 검열 대상 파일로 선정된다.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이 설치될 수 있는 컴퓨터는 퍼스널 컴퓨터 또는 서버 컴퓨터이다. 서버 컴퓨터는 유무선 인터넷서비스가 가능한 콘텐츠 서 버, 검색 포탈 서버, 메일 서버 등이다.
상기 비디오 특징 추출부(110)는 동영상 파일에 포함된 비디오 데이터를 분석하여 비디오 핑거프린트를 추출한다. 여기서, 비디오 핑거프린트는 비디오 데이터를 배타적이고도 고유하게 식별할 수 있는 일종의 비디오 지문을 지칭한다. 상기 비디오 특징 추출부(110)는 비디오 핑거프린트를 추출하기에 앞서 동영상 파일로부터 비디오 데이터만을 선택적으로 분리하는 과정을 선행할 수 있다.
상기 비디오 특징 추출부(110)는 비디오 핑거프린트를 추출하기 위해 동영상 파일에서 비디오 스트림을 선택적으로 분리하고, 분리된 비디오 스트림을 디코딩하여 raw 포맷의 영상 데이터로 변환한다. 여기서, raw 포맷은 YUV(YCbCr) 포맷 또는 RGB 포맷을 의미한다. 하지만, 본 발명은 raw 포맷의 종류에 의해 한정되지 않는다. 이어서, 상기 비디오 특징 추출부(110)는 디코딩된 영상 데이터를 구성하는 각 프레임 이미지별로 서브 비디오 핑거프린트를 추출한다.
상기 비디오 특징 추출부(110)가 각 프레임 이미지별로 서브 비디오 핑거프린트를 추출하는 과정은 다음과 같다. 먼저, 비디오 특징 추출부(110)는 프레임 이미지를 블록 단위로 분할한다. 일 예로서, 이미지의 세로축을 n 등분하고 가로축을 m 등분하여 프레임 이미지를 n×m 개의 블록으로 분할한다. 다른 예로서, 이미지의 세로축을 n 등분하여 프레임 이미지를 n 개의 블록으로 분할하고 다시 가로축을 m 등분하여 프레임 이미지를 m 개의 블록으로 분할하여 프레임 이미지를 n+m 개의 블록으로 분할한다.
이어서, 비디오 특징 추출부(110)는 분할된 블록 단위별로 각 픽셀의 영상 밝기 데이터인 Y값의 평균을 산출한 후 인접한 블록 간의 영상 밝기 평균값의 차이를 기준으로 소정 비트수(예컨대, 32비트)의 서브 비디오 핑거프린트를 생성한다.
다음 수학식 1은 하나의 프레임 이미지에 대한 서브 비디오 핑거프린트를 생성하는데 사용될 수 있는 비트 할당 함수 'B(r, c, p)'를 예시한 것이다. 참고로, 하기 수학식 1은 하나의 프레임 이미지를 n×m 개의 블록으로 분할하였을 때를 가정한 것이다.
Figure 112007057488047-PAT00001
Figure 112007057488047-PAT00002
여기서, B(r, c, p)는 p번째 프레임 이미지의 가로축 및 세로축을 기준으로 각각 r번째 및 c번째에 위치한 블록에 대해 비트를 할당하는 함수이다. 그리고, F(r, c, p)는 p번째 프레임 이미지의 가로축 및 세로축을 기준으로 각각 r번째 및 c번째에 위치한 블록의 영상 밝기값 평균을 나타낸다.
상기 수학식 1의 F(r, c, p)에서, r은 1부터 n까지의 정수값을 갖고, c는 1부터 m-1까지의 정수값을 갖는다. 따라서 프레임 이미지가 '4×9=36'개의 블록으로 분할되면 서브 비디오 핑거프린트는 '4×8=32'비트의 코드열을 갖게 된다. 한편, α는 1보다 작은 수로서 적절하게 선택 가능한 상수이다. 예컨대 α는 0.95이다.
한편, 상기 비디오 특징 추출부(110)는 영상의 밝기 데이터인 Y값 이외에도 각 픽셀의 색차 데이터인 Cb 또는 Cr값을 활용하여 서브 비디오 핑거프린트를 생성 할 수 있다. Cb 또는 Cr값을 활용하여 서브 비디오 핑거프린트를 생성하는 방법은 상술한 바와 실질적으로 동일할 것임은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상기 비디오 특징 추출부(110)는 동영상을 구성하는 각 프레임 이미지에 대한 서브 비디오 핑거프린트를 추출하고 나면, 추출된 각 서브 비디오 핑거프린트를 그룹핑함으로써 동영상 파일에 대한 비디오 핑거프린트의 생성을 완료한다.
상술한 비디오 핑거프린트 추출 기법은 Job Oostveen, Ton Kalker, Jaap Haitsma의 논문 "Feature Extraction and a Database Strategy for Video Fingerprinting"(Lecture Notes in Computer Science 2314 Springer 2002, pp.117-128) 에 개시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논문의 모든 내용은 본 발명의 구성의 일부로 통합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비디오 핑거프린트를 추출하는 구체적인 방식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므로, 비디오 핑거프린트를 추출할 수 있는 알고리즘이라면 어떠한 것이라도 채용 가능하다.
상기 유해 동영상 검사부(120)는 비디오 특징 추출부(110)로부터 추출된 비디오 핑거프린트를 입력 받는다. 그런 다음, 추출된 비디오 핑거프린트와 대응되는 비디오 핑거프린트가 유해 동영상 색인 DB(160)에 색인화되어 있는지 조회함으로써 동영상 파일이 유해 동영상에 해당하는지 여부를 검열한다.
만약, 추출된 비디오 핑거프린트와 대응되는 비디오 핑거프린트가 존재하면 동영상 파일은 유해 동영상에 해당하고, 반대로 추출된 비디오 핑거프린트와 대응되는 비디오 핑거프린트가 존재하지 않으면 동영상 파일은 적어도 색인화된 유해 동영상에 해당하지 않는다. 비디오 핑거프린트가 상호 대응되는 경우란 비디오 핑거프린트 사이의 유사도가 임계치를 초과하는 경우를 말한다. 따라서, 동영상 파일이 유해 동영상으로 판별된 경우는 추출된 비디오 핑거프린트와의 유사도가 임계치를 초과하는 비디오 핑거프린트가 상기 유해 동영상 색인 DB(160)에 이미 색인화되어 있음을 의미한다.
유해 동영상 검사부(120)가 비디오 특징 추출부(110)에 의해 추출된 비디오 핑거프린트와 유해 동영상 색인 DB(160)에 색인화되어 있는 비디오 핑거프린트 사이의 유사도를 계산하는 과정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유해 동영상 검사부(120)는 비디오 특징 추출부(110)에 의해 추출된 비디오 핑거프린트를 쿼리 핑거프린트로 지정하고, 유해 동영상 색인 DB(160)에 색인화된 비디오 핑거프린트를 비교 대상 핑거프린트로 지정한다. 그런 다음, 쿼리 핑거프린트에 포함된 서브 비디오 핑거프린트를 프레임 순서대로 순차적으로 추출하면서 추출된 서브 비디오 핑거프린트와 동일한 서브 비디오 핑거프린트가 비교 대상 핑거프린트에 존재하는지 판별한다. 그 결과, 동일한 서브 비디오 핑거프린트가 존재하는 것으로 판별되면, 상기 유해 동영상 검사부(120)는 쿼리 핑거프린트와 비교 대상 핑거프린트로부터 서브 비디오 핑거프린트가 일치하는 프레임을 전후로 하여 미리 정해진 수(예컨대, 100개)의 프레임에 대한 복수의 서브 비디오 핑거프린트를 추출한다. 그러고 나서, 추출된 서브 비디오 핑거프린트 그룹을 상호 대비하여 쿼리 핑거프린트와 비교 대상 핑거프린트 간의 유사도를 판별한다.
일 예로, 상기 유해 동영상 검사부(120)는 쿼리 핑거프린트 및 비교대상 핑 거프린트로부터 추출된 서브 비디오 핑거프린트 그룹을 상호 대비하여 일치하는 서브 비디오 핑거프린트 쌍의 비율을 계산한 후 그 값을 미리 설정한 임계치와 비교하여 쿼리 핑거프린트 및 비교대상 핑거프린트 간의 유사도를 판별한다.
다른 예로, 상기 파일중복 검사부(30)는 쿼리 핑거프린트 및 비교대상 핑거프린트부터 추출된 서브 비디오 핑거프린트 그룹의 상호 대응되는 서브 비디오 핑거프린트 간의 비트 에러율(Bit Error Rate)을 근거로 전체 평균 비트 에러율을 계산한 후 그 크기를 미리 설정한 임계치와 비교하여 쿼리 핑거프린트와 비교대상 핑거프린트 간의 유사도를 판별한다.
한편, 상술한 방식 이외에도 상기 유해 동영상 검사부(120)는 단순히 쿼리 핑거프린트 내에 포함된 서브 비디오 핑거프린트 중 비교대상 핑거프린트 내에 포함된 서브 비디오 핑거프린트의 비율을 계산한 후 그 크기를 미리 설정한 임계치와 비교하여 쿼리 핑거프린트와 비교대상 핑거프린트 간의 유사도를 판별할 수도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비디오 핑거프린트를 이용하여 동영상 파일의 유해 동영상 여부를 판별하면 효과적인 유해 동영상 검열이 가능해진다. 동영상 파일로부터 추출된 비디오 핑거프린트가 이미 색인화되어 있는 비디오 핑거프린트와 임계치 이상의 유사도를 가지면 동영상 파일의 비디오 내용이 이미 유해 동영상으로 판별된 동영상 파일의 비디오 내용과 서로 동일하다는 것이고, 비디오 내용이 서로 동일하면 검열 대상 동영상 파일을 유해 동영상이라고 간주할 수 있기 때문이다.
상기 유해 동영상 검사부(120)는 파일 입력부(100)를 통해 입력된 동영상 파 일이 기 색인화된 유해 동영상으로 판별되면 동영상 파일의 색인화 작업을 생략한다. 대신, 유해 동영상 색인 DB(160) 및 유해 동영상 스토리지(170)의 별도 저장 공간에 추출된 비디오 핑거프린트와 동영상 파일을 각각 저장할 수 있다. 상기 별도 저장 공간은 유해 동영상 색인 DB(160) 및 유해 동영상 스토리지(170)와는 별도의 DB 및 스토리지에 설정될 수도 있음은 자명하다.
상기 유해 동영상 검사부(120)는 비디오 핑거프린트를 기반으로 한 동영상 파일의 검열 결과, 동영상 파일이 기 색인화된 유해 동영상이 아닌 것으로 판단되면, 관리자 검열부(130)와 연동하여 검열 관리자에 의한 수동 검열 과정을 선택적으로 진행할 수 있다.
즉, 관리자 검열부(130)는 유해 동영상 검사부(120)로부터 동영상 파일에 대한 수동 검열을 요청 받는다. 그러면, 관리자 검열부(130)는 색인화된 유해 동영상이 아닌 것으로 판단된 동영상 파일을 검열 관리자에게 시각적으로 표시한 후 검열 관리자로부터 동영상의 종류를 지정 받는다.
동영상 파일의 시각적 표시는 동영상 파일을 재생하거나 동영상 파일로부터 일정한 프레임 간격으로 동영상의 정지 영상을 캡쳐하여 연속적으로 나열하는 방식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후자의 표시 방식은 동영상의 전체 내용을 한눈에 확인할 수 있으므로 소요되는 동영상 검열 시간이 작다는 이점이 있다. 하지만, 본 발명은 동영상 파일의 시각적 표시 방식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관리자 검열부(130)는 검열 관리자가 동영상 파일의 종류를 어떻게 지정하느냐에 따라 다음과 같은 프로세스를 진행할 수 있다. 즉, 검열 관리자가 동영 상 파일을 유해 동영상으로 지정하면, 관리자 검열부(130)는 동영상 색인부(140)로 동영상 파일의 신규 색인화를 요청한다. 그러면, 동영상 색인부(140)는 동영상 파일로부터 추출된 비디오 핑거프린트를 유해 동영상 색인 DB(160)에 신규로 색인화한다. 나아가, 유해 동영상 스토리지(170)에 색인화된 동영상 파일을 저장한다. 한편, 필수적인 것은 아니지만, 동영상 색인부(140)는 비디오 핑거프린트의 색인화 시 동영상 파일로부터 추출된 헤더 및 메타 정보도 함께 색인화할 수 있다.
반대로, 검열 관리자가 동영상 파일을 비유해 동영상으로 지정하면, 관리자 검열부(130)는 동영상 색인부(140)로 비유해 동영상으로서의 신규 색인화를 요청한다. 그러면, 동영상 색인부(140)는 동영상 파일로부터 추출된 비디오 핑거프린트를 비유해 동영상 색인 DB(180)에 신규로 색인화한다. 나아가, 비유해 동영상 스토리지(190)에 색인화된 동영상 파일을 저장한다. 한편, 필수적인 것은 아니지만, 동영상 색인부(140)는 비디오 핑거프린트의 색인화 시 동영상 파일로부터 추출된 헤더 및 메타 정보도 함께 색인화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달리, 상기 관리자 검열부(130)는 동영상 파일이 비유해 동영상으로 지정된 경우, 동영상 파일의 DB 색인화 및 스토리지 저장에 앞서 파일 중복 검열 절차를 진행할 수 있다. 즉, 관리자 검열부(130)는 검열 관리자가 동영상 파일을 비유해 동영상으로 지정하면, 비유해 동영상 검사부(150)로 파일 중복 검열을 요청한다. 그러면, 비유해 동영상 검사부(150)는 동영상 파일로부터 추출된 비디오 핑거프린트와 대응되는 비디오 핑거프린트가 비유해 동영상 색인 DB(180)에 색인화되어 있는지 여부를 조회하여 파일 중복 검열을 수행한다. 여기서, 비디오 핑거프 린트 간의 대응 개념은 이미 상술하였으며, 파일 중복 검열은 유해 동영상 검열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원리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파일 중복 검열 결과, 추출된 비디오 핑거프린트와의 유사도가 임계치 이상인 비디오 핑거프린트가 비유해 동영상 색인 DB(180)에 색인화되어 있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비유해 동영상 검사부(150)는 동영상 색인부(140)로 동영상 파일의 신규 색인화를 요청한다. 이에 따라, 동영상 색인부(140)는 추출된 비디오 핑거프린트를 비유해 동영상 색인 DB(180)에 신규로 색인화하고 동영상 파일을 비유해 동영상 스토리지(190)에 저장한다.
반대로, 추출된 비디오 핑거프린트와의 유사도가 임계치 이상인 비디오 핑거프린트가 비유해 동영상 색인 DB(180)에 이미 색인화되어 있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비유해 동영상 검사부(150)는 동영상 파일과 비디오 내용이 실질적으로 중복되는 동영상 파일이 비유해 동영상 스토리지(190)에 이미 저장되어 있는 것으로 간주한다. 이런 경우, 비디오 핑거프린트의 DB 색인화 및 비유해 동영상 스토리지 저장을 생략한다. 대신, 비유해 동영상 색인 DB(180) 및 비유해 동영상 스토리지(190)의 별도 저장 공간에 추출된 비디오 핑거프린트와 동영상 파일을 각각 저장할 수 있다. 상기 별도 저장 공간은 비유해 동영상 색인DB(180) 및 비유해 동영상 스토리지(190)와는 별도의 DB 및 스토리지에 설정될 수도 있음은 자명하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비디오 식별을 통한 유해 동영상 검열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제2실시예예 따른 유해 동영상 검열 시스템은 상술한 제1실시예에 따른 시스 템과 동일한 구성을 포함하되, 유해 동영상 검사부(120), 관리자 검열부(130) 및 비유해 동영상 검사부(150)의 배치 순서가 서로 다르다.
즉, 제1실시예에서는 유해 동영상 검사부(120), 관리자 검열부(130) 및 비유해 동영상 검사부(150)의 순으로 구성요소가 배치되었지만, 제2실시예에서는 유해 동영상 검사부(120), 비유해 동영상 검사부(150) 및 관리자 검열부(130)의 순으로 구성요소가 배치된다. 따라서, 제2실시예에 따른 유해 동영상 검열 시스템은 유해 동영상 검열과 파일 중복 검열을 연속적으로 실시하고 검열 관리자에 의한 수동 검열을 마지막으로 수행한다. 한편 비디오 핑거프린트 간의 유사도를 계산하여 유해 동영상 검열 및 파일 중복 검열을 수행하는 발명의 구성 자체는 전술한 제1실시예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는 점을 미리 밝혀둔다.
구체적으로, 상기 유해 동영상 검사부(120)는 유해 동영상 색인DB(160)를 조회한 결과 동영상 파일로부터 추출된 비디오 핑거프린트와 대응되는 비디오 핑거프린트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되면, 비유해 동영상 검사부(150) 측에 비유해 동영상을 기준으로 한 파일 중복 검열을 요청한다.
그러면, 비유해 동영상 검사부(150)는 비유해 동영상 색인 DB(180)에 저장된 각 동영상 파일의 비디오 핑거프린트(즉, 비교대상 핑거프린트)와 비디오 특징 추출부(110)가 추출한 비디오 핑거프린트(즉, 쿼리 핑거프린트)를 상호 비교하여 쿼리 핑거프린트와 대응되는 비교대상 핑거프린트가 비유해 동영상 색인 DB(180) 내에 색인화되어 있는지 여부를 조회하여 파일 중복 검열을 수행한다.
파일 중복 검열 결과, 추출된 비디오 핑거프린트와 대응되는 비디오 핑거프 린트가 비유해 동영상 색인 DB(180)에 이미 색인화되어 있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비유해 동영상 검사부(150)는 동영상 파일과 비디오의 내용이 실질적으로 중복되는 동영상 파일이 비유해 동영상 스토리지(190)에 저장되어 있는 것으로 간주한다. 이런 경우, 비디오 핑거프린트의 DB 색인화 및 동영상 파일의 스토리지 저장을 생략한다. 대신, 비유해 동영상 색인 DB(180) 및 비유해 동영상 스토리지(190)의 별도 저장 공간에 추출된 비디오 핑거프린트와 동영상 파일을 각각 저장할 수 있다. 상기 별도 저장 공간은 비유해 동영상 색인 DB(180) 및 비유해 동영상 스토리지(190)와는 별도의 DB 및 스토리지에 설정될 수도 있음은 자명하다.
반면, 추출된 비디오 핑거프린트와 대응되는 비디오 핑거프린트가 비유해 동영상 색인 DB(180)에 색인화되어 있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비유해 동영상 검사부(150)는 관리자 검열부(130) 측에 검열 관리자에 의한 수동 검열을 요청한다. 그러면, 관리자 검열부(130)는 동영상 파일을 검열 관리자에게 시각적으로 표시한 후 검열 관리자로부터 동영상 종류를 지정 받는다. 여기서, 동영상 파일의 시각적 표시 방식은 이미 상술한 바 있다.
검열 관리자가 동영상 파일을 유해 동영상으로 지정하면, 관리자 검열부(130)는 동영상 색인부(140)로 동영상 파일의 신규 색인화를 요청한다. 그러면, 동영상 색인부(140)는 동영상 파일로부터 추출된 비디오 핑거프린트를 유해 동영상 색인 DB(160)에 신규로 색인화한다. 나아가, 유해 동영상 스토리지(170)에 색인화된 동영상 파일을 저장한다. 한편, 필수적인 것은 아니지만, 동영상 색인부(140)는 비디오 핑거프린트의 색인화 시 동영상 파일로부터 추출된 헤더 및 메타 정보도 함 께 색인화할 수 있다.
반대로, 검열 관리자가 동영상 파일을 비유해 동영상으로 지정하면, 관리자 검열부(130)는 동영상 색인부(140) 측에 비유해 동영상으로서의 신규 색인화를 요청한다. 그러면, 동영상 색인부(140)는 동영상 파일로부터 추출된 비디오 핑거프린트를 비유해 동영상 색인 DB(180)에 신규로 색인화한다. 나아가, 비유해 동영상 스토리지(190)에 색인화된 동영상 파일을 저장한다. 한편, 필수적인 것은 아니지만, 동영상 색인부(140)는 비디오 핑거프린트의 색인화 시 동영상 파일로부터 추출된 헤더 및 메타 정보도 함께 색인화할 수 있다.
상술한 제2실시예에 따른 유해 동영상 검열 시스템은 유해 동영상 검열과 파일 중복 검열을 연속적으로 실시한 후 검열 관리자에 의한 수동 검열을 수행하므로, 제1실시예에 비해 검열 관리자의 부담을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비디오 식별을 통한 유해 동영상 검열 시스템의 동작 방법을 도시한 절차 흐름도이다. 각 단계의 실행 주체는 도 1에 도시된 유해 동영상 검열 시스템이다.
먼저, 단계(S101)에서, 다수의 유해 동영상 파일의 비디오 핑거프린트가 색인화되어 있는 유해 동영상 색인 DB와 다수의 비유해 동영상 파일의 비디오 핑거프린트가 색인화되어 있는 비유해 동영상 색인 DB를 제공한다.
단계(S102)에서, 유해 동영상 색인 DB가 제공된 상태에서 검열 대상이 되는 동영상 파일을 입력 받는다. 여기서, 동영상 파일은 네트워크를 통하여 입력받거나 컴퓨터 내부의 스토리지로부터 입력 받는다.
단계(S103)에서, 입력된 동영상 파일에서 비디오 스트림을 분리한다. 그러고 나서, 단계(S104)에서, 상기 분리된 비디오 스트림을 분석하여 비디오 핑거프린트를 추출한다. 비디오 핑거프린트의 추출 방법은 이미 상술하였다.
단계(S105)에서, 유해 동영상 색인 DB를 조회하여 추출된 비디오 핑거프린트와 임계치 이상의 유사도를 갖는 비디오 핑거프린트가 상기 유해 동영상 색인 DB에 색인화되어 있는지 판단한다.
단계(S106)은, 단계(S105)에서의 판단 결과, 유해 동영상 색인 DB에 추출된 비디오 핑거프린트와 임계치 이상의 유사도를 갖는 비디오 핑거프린트가 색인화되어 있을 때 진행되는 단계로서, 동영상 파일을 유해 동영상으로 판별하여 추출된 비디오 핑거프린트의 신규 색인화와 동영상 파일의 스토리지 저장을 생략한다.
반대로, 단계(S107)은, 단계(S105)에서의 판단 결과, 유해 동영상 색인 DB에 추출된 비디오 핑거프린트와 임계치 이상의 유사도를 갖는 비디오 핑거프린트가 색인화되어 있지 않을 때 진행되는 단계로서, 동영상 파일에 포함된 영상을 검열 관리자에게 표시한다. 여기서, 영상의 표시는 동영상 파일을 재생하는 방식 또는 일정한 프레임 간격으로 동영상의 정지 영상을 캡쳐하여 연속적으로 나열하는 방식에 의한다.
단계(S108)에서, 검열 관리자는 시각적으로 표시된 영상을 검열한 후 동영상의 종류를 판단한다.
단계(S109)는, 단계(S108)에서의 판단 결과, 동영상의 종류가 유해 동영상일 때 진행되는 단계로서, 추출된 비디오 핑거프린트를 유해 동영상 색인 DB에 신규로 색인화하고 동영상 파일을 스토리지에 신규로 저장한다. 여기서, 비디오 핑거프린트의 신규 색인화 시 동영상 파일의 헤더와 메타 정보도 함께 색인화할 수 있다.
반대로, 단계(S110)은, 단계(S108)에서의 판단 결과, 동영상의 종류가 유해 동영상이 아닐 때 진행되는 단계로서, 비유해 동영상 색인 DB를 조회하여 추출된 비디오 핑거프린트와 임계치 이상의 유사도를 갖는 비디오 핑거프린트가 상기 비유해 동영상 색인 DB에 색인화되어 있는지 판단하여 중복 파일 검열을 수행한다.
단계(S111)은, 단계(S110)에서의 중복 파일 검열 결과, 비유해 동영상 색인 DB에 추출된 비디오 핑거프린트와 임계치 이상의 유사도를 갖는 비디오 핑거프린트가 색인화되어 있을 때 진행되는 단계로서, 동영상 파일을 중복된 비유해 동영상으로 판별하여 추출된 비디오 핑거프린트의 신규 색인화와 동영상 파일의 스토리지 저장을 생략한다. 그런 다음, 중복 파일 검열 프로세스를 종료한다. 대안적으로, 추출된 비디오 핑거프린트와 동영상 파일을 비유해 동영상 색인 DB 및 비유해 동영상 스토리지에 할당된 별도의 저장 공간으로 이동시킨 후 중복 파일 검열 프로세스를 종료할 수 있다.
반대로, 단계(S112)는, 단계(S110)에서의 중복 파일 검열 결과, 비유해 동영상 색인 DB에 추출된 비디오 핑거프린트와 임계치 이상의 유사도를 갖는 비디오 핑거프린트가 색인화되어 있지 않을 때 진행되는 단계로서, 동영상 파일을 새로운 비유해 동영상으로 판별하여 추출된 비디오 핑거프린트를 비유해 동영상 색인 DB에 신규로 색인화하고 동영상 파일을 비유해 동영상 스토리지에 신규 저장한다. 여기서, 비디오 핑거프린트의 신규 색인화 시 동영상 파일의 헤더와 메타 정보도 함께 색인화할 수 있다.
위와 같이, 유해 동영상 검열, 검열 관리자에 의한 수동 검열 및 비유해 동영상을 기준으로 한 파일 중복 검열 과정이 종료되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유해 동영상 검열 방법의 전 과정이 완료된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비디오 식별을 통한 유해 동영상 검열 시스템의 동작 방법을 도시한 절차 흐름도이다. 각 단계의 실행 주체는 도 2에 도시된 유해 동영상 검열 시스템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해 동영상 색인 DB와 비유해 동영상 색인 DB를 제공하는 단계(S101 단계), 검열 대상 동영상 파일을 입력 받는 단계(S102 단계), 동영상 파일로부터 비디오 스트림을 분리하는 단계(S103 단계), 분리된 비디오 스트림으로부터 비디오 핑거프린트를 추출하는 단계(S104 단계), 유해 동영상 색인 DB를 이용하여 동영상을 검열하는 단계(S105 단계), 및 동영상 파일이 유해 동영상으로 판별되었을 때 추출된 비디오 핑거프린트의 신규 색인화와 동영상 파일의 스토리지 저장을 생략하는 단계(S106 단계)는 상술한 제1실시예에 따른 유해 동영상 검열 방법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하지만, 동영상 파일이 유해 동영상으로 판별되지 않은 경우 진행되는 후속 프로세스는 제1실시예와 상이하다.
즉, 단계(S105)에서, 동영상 파일이 유해 동영상으로 판별되지 않았을 경우 프로세스를 단계(S113)으로 이행시킨다. 그리고, 단계(S113)에서는, 비유해 동영상 색인 DB를 조회하여 추출된 비디오 핑거프린트와 임계치 이상의 유사도를 갖는 비디오 핑거프린트가 상기 비유해 동영상 색인 DB에 색인화되어 있는지 판단하여 중 복 파일 검열을 수행한다.
단계(S114)는, 단계(S113)에서의 중복 파일 검열 결과, 비유해 동영상 색인 DB에 추출된 비디오 핑거프린트와 임계치 이상의 유사도를 갖는 비디오 핑거프린트가 색인화되어 있을 경우 진행되는 단계로서, 동영상 파일을 중복된 비유해 동영상으로 판별하여 추출된 비디오 핑거프린트의 신규 색인화와 동영상 파일의 스토리지 저장을 생략한다. 대안적으로 추출된 비디오 핑거프린트와 동영상 파일을 비유해 동영상 색인 DB 및 비유해 동영상 스토리지에 할당된 별도의 저장 공간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반대로, 단계(S115)는, 단계(S113)에서의 중복 파일 검열 결과, 비유해 동영상 색인 DB에 추출된 비디오 핑거프린트와 임계치 이상의 유사도를 갖는 비디오 핑거프린트가 색인화되어 있지 않을 경우 진행되는 단계로서, 동영상 파일에 포함된 영상을 검열 관리자에게 표시한다. 여기서, 영상의 표시는 동영상 파일을 재생하는 방식 또는 일정한 프레임 간격으로 동영상의 정지 영상을 캡쳐하여 연속적으로 나열하는 방식에 의한다.
단계(S116)에서, 검열 관리자는 시각적으로 표시된 영상을 검열한 후 동영상의 종류를 판단한다.
단계(S117)은, 단계(S116)에서의 판단 결과, 동영상의 종류가 유해 동영상일 경우 진행되는 단계로서, 추출된 비디오 핑거프린트를 유해 동영상 색인 DB에 신규로 색인화하고 동영상 파일을 유해 동영상 스토리지에 신규로 저장한다.
반대로, 단계(S118)은, 단계(S116)에서의 판단 결과, 동영상의 종류가 비유 해 동영상일 경우 진행되는 단계로서, 추출된 비디오 핑거프린트를 비유해 동영상 색인 DB에 신규로 색인화하고 동영상 파일을 비유해 동영상 스토리지에 신규 저장한다. 여기서, 비디오 핑거프린트의 신규 색인화 시 동영상 파일의 헤더와 메타 정보도 함께 색인화할 수 있다.
위와 같이, 유해 동영상 검열, 비유해 동영상을 기준으로 한 파일 중복 검열 및 검열 관리자에 의한 수동 검열 과정이 종료되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유해 동영상 검열 방법의 전 과정이 완료된다.
본 발명에 따른 유해 동영상 검열 시스템의 동작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에 의해 판독 가능한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으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프로그램 분야의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로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상기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구조 등을 지정하는 신호를 전송하는 반송파를 포함하는 광 또는 금속선, 도파관 등의 전송 매체일 수도 있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한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동작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유해 동영상 검열 시스템의 동작 방법을 수행하는데 채용될 수 있는 범용 컴퓨터 시스템의 내부 블록도이다.
상기 범용 컴퓨터 시스템(400)은 램(RAM: 420)과 롬(ROM: 430)을 포함하는 주기억장치와 연결되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410)를 포함한다. 프로세서(410)는 중앙처리장치(CPU)로 불리기도 한다. 본 기술분야에서 널리 알려진 바와 같이, 롬(430)은 데이터와 명령을 단방향성으로 프로세서(410)에 전송하는 역할을 하며, 램(420)은 통상적으로 데이터와 명령을 양방향성으로 프로세서(410)로 전송하는데 사용된다. 램(420) 및 롬(430)은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의 어떠한 적절한 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 대용량 기억장치(440)는 양방향성으로 프로세서(410)와 연결되어 추가적인 데이터 저장 능력을 제공하며, 상기된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 중 어떠한 것일 수 있다. 대용량 기억장치(440)는 프로그램, 데이터 등을 저장하는데 사용되며, 통상적으로 주기억장치보다 속도가 느린 하드 디스크와 같은 보조기억장치이다. CD롬(460)과 같은 특정 대용량 기억장치가 사용될 수도 있다. 프로세서(410)는 비디오 모니터, 트랙볼 마우스, 키보드, 마이크로폰, 터치스크린 형 디스플레이, 카드 판독기, 자기 또는 종이 테이프 판독기, 음성 또는 필기 인식기, 조이스틱 또는 기타 공지된 컴퓨터 입출력 장치와 같은 하나 이상의 입출력 인터페이 스(450)와 연결된다. 마지막으로, 프로세서(410)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470)를 통하여 유선 또는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네트워크 연결을 통하여 상기된 방법의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상기된 장치 및 도구는 컴퓨터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기술 분야의 당업자에게 잘 알려져 있다. 한편,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동작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전술된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비디오 식별을 통한 유해 동영상 검열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비디오 식별을 통한 유해 동영상 검열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비디오 식별을 통한 유해 동영상 검열 시스템의 동작 방법을 도시한 절차 흐름도이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비디오 식별을 통한 유해 동영상 검열 시스템의 동작 방법을 도시한 절차 흐름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유해 동영상 검열 시스템의 동작 방법을 수행하는데 채용될 수 있는 범용 컴퓨터 시스템의 내부 블록도이다.
<도면의 주요 참조 번호>
100: 파일입력부 110: 비디오 특징 추출부
120: 유해 동영상 검사부 130: 관리자 검열부
140: 동영상 색인부 150: 비유해 동영상 검사부
160: 유해 동영상 색인 DB 170: 유해 동영상 스토리지
180: 비유해 동영상 색인 DB 190: 비유해 동영상 스토리지

Claims (16)

  1. 유해 동영상 파일의 비디오 핑거프린트가 색인화되어 있는 유해 동영상 색인 DB;
    검열 대상 동영상 파일을 입력 받는 파일 입력부;
    상기 입력된 동영상 파일에 포함된 비디오 데이터를 분석하여 비디오 핑거프린트를 추출하는 비디오 특징 추출부; 및
    상기 추출된 비디오 핑거프린트와 임계치 이상의 유사도를 갖는 비디오 핑거프린트가 상기 유해 동영상 색인 DB에 색인화되어 있는지 조회하여 상기 동영상 파일이 색인화된 유해 동영상에 해당하는지 여부를 검열하는 유해 동영상 검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디오 식별을 통한 유해 동영상의 검열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해 동영상 검사부는, 동영상 파일이 기 색인화된 유해 동영상으로 판별되면 동영상 파일의 색인화 작업을 생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디오 식별을 통한 유해 동영상의 검열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검열 결과, 동영상 파일이 색인화된 유해 동영상이 아닌 것으로 판단되면, 동영상 파일 내에 포함된 영상을 시각적으로 검열 관리자에게 표시하고, 검열 관리자로부터 동영상의 종류를 지정 받는 관리자 검열부; 및
    상기 관리자 검열부를 통해 동영상 파일이 유해 동영상인 것으로 지정되면 추출된 비디오 핑거프린트를 유해 동영상 색인 DB에 신규로 색인화하는 동영상 색인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디오 식별을 통한 유해 동영상 검열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비유해 동영상 파일의 비디오 핑거프린트가 색인화되어 있는 비유해 동영상 색인 DB;
    상기 관리자 검열부를 통해 동영상 파일이 비유해 동영상인 것으로 지정되면, 추출된 비디오 핑거프린트와 임계치 이상의 유사도를 갖는 비디오 핑거프린트가 상기 비유해 동영상 색인 DB에 색인화되어 있는지 조회하여 상기 동영상 파일이 색인화된 다른 비유해 동영상과 중복되는지 여부를 검열하는 비유해 동영상 검사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디오 식별을 통한 유해 동영상의 검열 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검열 결과, 동영상 파일이 색인화된 비유해 동영상이 아닌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동영상 색인부는 추출된 비디오 핑거프린트를 비유해 동영상 색인 DB에 신규로 색인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디오 식별을 통한 유해 동영상 검열 시스 템.
  6. 제1항에 있어서,
    비유해 동영상 파일의 비디오 핑거프린트가 색인화되어 있는 비유해 동영상 색인 DB; 및
    추출된 비디오 핑거프린트와 임계치 이상의 유사도를 갖는 비디오 핑거프린트가 상기 비유해 동영상 색인 DB에 색인화되어 있는지 여부를 검열하는 비유해 동영상 검사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유해 동영상 검사부는 동영상 파일이 비유해 동영상으로 판별되면 비유해 동영상 검열 요청을 상기 비유해 동영상 검사부로 출력하고,
    상기 비유해 동영상 검사부는 상기 검열 요청에 따라 비유해 동영상 검열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디오 식별을 통한 유해 동영상 검열 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비유해 동영상 검사부는, 동영상 파일이 기 색인화된 비유해 동영상인 것으로 판별되면 동영상 파일의 색인화 작업을 생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디오 식별을 통한 유해 동영상의 검열 시스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비유해 동영상 검열 결과, 동영상 파일이 색인화된 비유해 동영상이 아 닌 것으로 판단되면, 동영상 파일 내에 포함된 영상을 시각적으로 검열 관리자에게 표시하고, 검열 관리자로부터 동영상의 종류를 지정 받는 관리자 검열부; 및
    상기 관리자 검열부를 통해, 동영상 파일이 유해 동영상인 것으로 지정되면 유해 동영상 색인 DB에, 비유해 동영상인 것으로 지정되면 비유해 동영상 색인 DB에 추출된 비디오 핑거프린트를 신규로 색인화하는 동영상 색인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디오 식별을 통한 유해 동영상 검열 시스템.
  9. (a) 유해 동영상 파일의 비디오 핑거프린트가 색인화되어 있는 유해 동영상 색인 DB를 제공하는 단계;
    (b) 검열 대상 동영상 파일을 입력 받는 단계;
    (c) 상기 입력된 동영상 파일에 포함된 비디오 데이터를 분석하여 비디오 핑거프린트를 추출하는 단계; 및
    (d) 상기 추출된 비디오 핑거프린트와 임계치 이상의 유사도를 갖는 비디오 핑거프린트가 상기 유해 동영상 색인 DB에 색인화되어 있는지 조회하여 상기 동영상 파일이 유해 동영상에 해당하는지 여부를 검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디오 식별을 통한 유해 동영상의 검열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d) 단계에서, 동영상 파일이 기 색인화된 유해 동영상으로 판별되면 동영상 파일의 색인화 작업을 생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디오 식별을 통한 유 해 동영상의 검열 방법.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유해 동영상 검열 결과, 동영상 파일이 색인화된 유해 동영상이 아닌 것으로 판단되면, 동영상 파일 내에 포함된 영상을 시각적으로 검열 관리자에게 표시하는 단계;
    상기 검열 관리자로부터 동영상의 종류를 지정 받는 단계; 및
    상기 지정된 동영상의 종류가 유해 동영상이면 추출된 비디오 핑거프린트를 유해 동영상 색인 DB에 신규로 색인화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디오 식별을 통한 유해 동영상 검열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비유해 동영상 파일의 비디오 핑거프린트가 색인화되어 있는 비유해 동영상 색인DB를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관리자 검열 결과, 동영상 파일이 비유해 동영상인 것으로 지정되면, 추출된 비디오 핑거프린트와 임계치 이상의 유사도를 갖는 비디오 핑거프린트가 상기 비유해 동영상 색인 DB에 색인화되어 있는지 조회하여 상기 동영상 파일이 색인화된 다른 비유해 동영상과 중복되는지 여부를 검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디오 식별을 통한 유해 동영상의 검열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비유해 동영상 검열 결과, 동영상 파일이 색인화된 비유해 동영상이 아닌 것으로 판단되면, 추출된 비디오 핑거프린트를 비유해 동영상 색인 DB에 신규로 색인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디오 식별을 통한 유해 동영상 검열 방법.
  14. 제9항에 있어서,
    비유해 동영상 파일의 비디오 핑거프린트가 색인화되어 있는 비유해 동영상 색인 DB를 제공하는 단계;
    상기 유해 동영상 검열 결과 동영상 파일이 비유해 동영상으로 판별되면, 비유해 동영상 검열 과정으로 이행하는 단계;
    상기 추출된 비디오 핑거프린트와 임계치 이상의 유사도를 갖는 비디오 핑거프린트가 상기 비유해 동영상 색인 DB에 색인화되어 있는지 여부를 검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디오 식별을 통한 유해 동영상 검열 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비유해 동영상 검열 결과, 동영상 파일이 기 색인화된 비유해 동영상인 것으로 판별되면, 동영상 파일의 색인화 작업을 생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디오 식별을 통한 유해 동영상의 검열 방법.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비유해 동영상 검열 결과, 동영상 파일이 색인화된 비유해 동영상이 아닌 것으로 판단되면, 동영상 파일 내에 포함된 영상을 시각적으로 검열 관리자에게 표시하는 단계;
    검열 관리자로부터 동영상의 종류를 지정 받는 단계; 및
    상기 동영상 파일이 유해 동영상인 것으로 지정되면 유해 동영상 색인 DB에, 비유해 동영상인 것으로 지정되면 비유해 동영상 색인 DB에 추출된 비디오 핑거프린트를 신규로 색인화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디오 식별을 통한 유해 동영상 검열 방법.
KR1020070079455A 2007-08-08 2007-08-08 비디오 식별을 통한 유해 동영상 검열 시스템 및 방법 KR1009305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79455A KR100930529B1 (ko) 2007-08-08 2007-08-08 비디오 식별을 통한 유해 동영상 검열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79455A KR100930529B1 (ko) 2007-08-08 2007-08-08 비디오 식별을 통한 유해 동영상 검열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15266A true KR20090015266A (ko) 2009-02-12
KR100930529B1 KR100930529B1 (ko) 2009-12-09

Family

ID=406848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79455A KR100930529B1 (ko) 2007-08-08 2007-08-08 비디오 식별을 통한 유해 동영상 검열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3052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06911B1 (ko) * 2012-03-07 2013-09-10 주식회사 다음커뮤니케이션 동영상 데이터 관리 방법 및 동영상 데이터 관리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35778B1 (ko) 2011-03-16 2014-08-29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비디오 기반 시각적 특징과 다단계 통계적 결합을 이용한 유해 동영상 분류 방법 및 장치
KR101155465B1 (ko) 2011-12-09 2012-06-15 주식회사 코난테크놀로지 방송의 광고를 모니터링하는 방송 광고 모니터링 시스템 및 방송 광고 모니터링 방법
KR102454230B1 (ko) 2021-01-28 2022-10-14 김민석 영상 컨텐츠 실시간 유해성 검사 장치 및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98927B1 (ko) * 2000-08-22 2003-09-19 문종웅 음란물 시청 방지장치
KR100418446B1 (ko) * 2001-03-20 2004-02-14 (주) 세이프아이 유해사이트 접속 차단 방법과 장치 그리고 그를 위한 랜카드
JP4803780B2 (ja) 2002-03-07 2011-10-26 淳 西澤 動画店頭配布システム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06911B1 (ko) * 2012-03-07 2013-09-10 주식회사 다음커뮤니케이션 동영상 데이터 관리 방법 및 동영상 데이터 관리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30529B1 (ko) 2009-12-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hen et al. Automatic detection of object-based forgery in advanced video
EP2301246B1 (en) Video fingerprint systems and methods
US9508011B2 (en) Video visual and audio query
US8498487B2 (en) Content-based matching of videos using local spatio-temporal fingerprints
RU2677368C1 (ru) Способ и система для автоматического определения нечетких дубликатов видеоконтента
TWI443535B (zh) 視訊搜尋方法、系統及建立視訊資料庫的方法
Teyssou et al. The InVID plug-in: web video verification on the browser
US11526586B2 (en) Copyright detection in videos based on channel context
CN111651636A (zh) 视频相似片段搜索方法及装置
KR100944903B1 (ko) 비디오 신호의 특징 추출 장치 및 그 추출 방법, 비디오인식 시스템 및 그 인식 방법
KR100896336B1 (ko) 영상 정보 기반의 동영상 연관 검색 시스템 및 방법
Singh et al. Detection of frame duplication type of forgery in digital video using sub-block based features
RU2413990C2 (ru)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обнаружения границ элемента контента
JP2013080482A (ja) 動画像検索サービス提供方法およびその装置
CN111314732A (zh) 确定视频标签的方法、服务器及存储介质
KR100946694B1 (ko) 영상 정보 기반의 동영상 파일 중복 검사와 관리를 위한시스템 및 방법
CN111339368B (zh) 基于视频指纹的视频检索方法、装置和电子设备
KR100930529B1 (ko) 비디오 식별을 통한 유해 동영상 검열 시스템 및 방법
CN111914649A (zh) 人脸识别的方法及装置、电子设备、存储介质
KR101373176B1 (ko) 복제 동영상정보 검출방법 및 장치, 저장매체
JP2008217701A (ja) メタデータ付与装置,メタデータ付与方法,メタデータ付与プログラム,及びメタデータ付与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
CN105989063B (zh) 视频检索方法和装置
KR101033296B1 (ko) 방송통신시스템에서 시공간적 특징정보 추출 및 비교판별 장치 및 방법
CN113569719B (zh) 视频侵权判定方法、装置、存储介质及电子设备
Chittapur et al. Exposing digital forgery in video by mean frame comparison techniqu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0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0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0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0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0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0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01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22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