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12944A - Multidimensional evaluation method and system considering evaluation capability information - Google Patents

Multidimensional evaluation method and system considering evaluation capability information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12944A
KR20090012944A KR1020070077200A KR20070077200A KR20090012944A KR 20090012944 A KR20090012944 A KR 20090012944A KR 1020070077200 A KR1020070077200 A KR 1020070077200A KR 20070077200 A KR20070077200 A KR 20070077200A KR 20090012944 A KR20090012944 A KR 2009001294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valuation
score
evaluator
information
surve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77200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안상일
김형주
신광호
Original Assignee
재단법인서울대학교산학협력재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재단법인서울대학교산학협력재단 filed Critical 재단법인서울대학교산학협력재단
Priority to KR10200700772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12944A/en
Publication of KR200900129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12944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9Performance analysis of employees; Performance analysis of enterprise or organisation operations
    • G06Q10/06395Quality analysis or management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conomic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Marketing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A multi-rater method and system considering evaluation ability information is provided to consider the evaluation ability information of an evaluator in a process of performing multi-rater, thereby performing equitable and efficient multi-rater. A question-response information acquisition unit(621) obtains the question-response information of an evaluator from a question information database(631). A participant information acquisition unit(622) obtains the evaluation ability information of the evaluator from a participant information database(632). A question survey score computation unit(623) calculates a question survey score based on participant information and question-response information. An office ability score updating unit(624) reflects the question survey score, which the question survey score computation unit draws, to the office ability score of an evaluated person. A promote condition determination unit(625) compares an office ability score required in each level and an office ability score updated after multi-rater performance and determines whether the evaluated person satisfies promotion conditions. A multi-rater server(620) updates the evaluation ability information of the evaluator.

Description

평가역량 정보를 고려한 다면평가 방법 및 그 시스템 {Multidimensional evaluation method and system considering evaluation capability information}Multidimensional evaluation method and system considering evaluation capability information

본 발명은 평가역량 정보를 고려한 다면평가방법 및 그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ultifaceted evaluation method and system in consideration of evaluation capability information.

조직의 구성원을 평가하는데 있어서, 전통적으로 상급자(supervisor)가 하급자(subordinate)의 업무 성과(performance) 및 역량(capability)등을 평가하는 하향식 평가 방법이 사용되었다. 그러나, 하향식 평가 방법에서, 평가점수는 상사의 주관성과 편향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어서 객관성을 확보하기가 어렵다. 이에 대한 보완책으로서 피평가자의 상급자에 의한 평가만이 아니라, 동료들 및 고객에까지 평가의 주체를 확대하는 다면평가방법이 소개되었다. 다면평가방법은 360도 평가 방법으로 불리기도 한다. 다면평가방법은 하향식 평가에서의 문제점을 보완하지만 완벽하지는 않다. 다면평가방법에서 피평가자의 평가 점수는 여러 평가 주체들로부터의 평가 점수를 단순히 합산하거나, 산술 평균함으로써 계산될 수 있었다. 이러한 평가 점수 계산 방법은 종종 잘못된 결론을 초래한다. 일 예로, 동일한 피평가 자에 대한 평가 점수가 평가 주체에 따라서 큰 차이를 보이는 경우, 피평가자가 평균적인 성과 또는 역량을 가지는 것으로 결론짓는 것은 옳지 않다. In evaluating members of an organization, a top-down evaluation method has traditionally been used by supervisors to evaluate the performance and capacity of subordinates. However, in the top-down evaluation method, it is difficult to secure objectivity because the evaluation score may vary depending on the subjectivity and bias of the boss. As a supplement to this, the multifaceted evaluation method was introduced to extend the subject of evaluation to peers and customers, as well as to the evaluation by the evaluator's superior. The multifaceted evaluation method is sometimes called the 360 degree evaluation method. The faceting method complements the problem of top-down evaluation but is not perfect. In the multi-faceted evaluation method, the evaluator's evaluation score could be calculated by simply summing or arithmetical averaging of evaluation scores from various evaluation subjects. This method of calculating scores often leads to incorrect conclusions. For example, it is not correct to conclude that an evaluator has an average performance or competency when the evaluation scores for the same evaluator differ greatly depending on the evaluator.

본 발명은 다면평가를 수행하는 과정에서 평가자의 평가역량 정보를 고려함으로써, 보다 공정하고 효율적인 다면평가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evaluation of the evaluation capability information of the evaluator is performed in the process of performing the multi-faceted evaluation, so that the fair and efficient multi-sided evaluation can be made.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다면평가 서버에 의하여 수행되는 다면평가 방법에 있어서, 평가설문에 대한 평가자의 설문응답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평가자의 평가역량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및 평가역량 정보를 고려하여 평가설문에 대한 설문조사점수를 계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다면평가 방법이 개시된다.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multi-faceted evaluation method performed by a multi-faceted evaluation server, the method comprising: obtaining questionnaire response information of the evaluator for the evaluation question; Obtaining evaluation capability information of the evaluator; And calculating a survey score for the evaluation question in consideration of the evaluation capability information.

평가점수를 계산하는 단계는 평가설문의 평가방향 정보를 더 고려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The step of calculating the evaluation score may be characterized by further considering the evaluation direction information of the evaluation questionnaire.

또한, 설문조사점수를 고려하여 상기 평가자의 상기 평가역량 정보를 갱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method may further include updating the evaluation capability information of the evaluator in consideration of a survey score.

평가역량 정보를 갱신하는 단계는, 설문조사점수를 고려하여 상기 평가설문을 포함하는 평가항목에 대한 직무역량점수를 갱신하는 단계; 및 직무역량점수를 고려하여 평가항목에 대한 평가역량 정보를 갱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The updating of the evaluation capability information may include: updating a job competency score for an evaluation item including the evaluation question in consideration of the survey score; And updating the evaluation capability information on the evaluation item in consideration of the job competency score.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평가설문에 대한 평가자의 설문응답 정보에 기초하여 다면평가를 수행하는 시스템으로서, 설문 정보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설문 응답 정보를 획득하는 설문응답 정보 획득부; 참여자 정보 데이터베이스로부터 평가자의 참여자 정보를 획득하는 참여자 정보 획득부; 설문응답 정보 및 참여자 정보를 고려하여 평가설문에 대한 설문조사점수를 계산하는 설문조사점수 계산부; 및 설문조사점수를 고려하여 평가설문을 포함하는 평가항목에 대한 피평가자의 직무역량점수를 갱신하는 직무역량점수 갱신부를 포함하는 다면평가 시스템이 개시된다.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system for performing a multi-faceted evaluation based on the questionnaire response information of the evaluator for the evaluation question, comprising: a questionnaire response information acquisition unit for obtaining the questionnaire response information from the questionnaire information database; A participant information obtaining unit obtaining participant information of the evaluator from the participant information database; A survey score calculation unit for calculating a survey score for the evaluation question in consideration of the survey response information and the participant information; And a job competency score update unit for updating an evaluator's job competency score for an evaluation item including an evaluation question in consideration of a survey score.

다면평가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참여자 정보는 평가자의 직무역량점수를 포함하고, 설문조사점수 계산부는 평가자의 직무역량점수에 상응하는 평가역량 정보를 가중치로 고려하여 설문조사점수를 계산할 수 있다. The participant information used in the multi-faceted evaluation system includes the evaluator's job competency score, and the survey score calculator can calculate the survey score by considering the evaluation competency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evaluator's job competency score as a weight.

또한, 다면평가 시스템은 직무역량점수를 고려하여 승진조건 만족여부를 판단하는 승진조건 판단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multi-faceted evaluation system may further include a promotion condition determination unit that determines whether the promotion condition is satisfied in consideration of job competency score.

한편, 다면평가 시스템은 평가자의 설문응답 정보에 기초하여 평가자의 평가성향 정보를 계산하는 평가성향 정보 계산부; 및 평가성향 정보에 기초하여 소정의 기준에 따라, 이상 평가성향을 검출하는 이상 평가성향 검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multi-faceted evaluation system includes an evaluation propensity information calculation unit for calculating the evaluation propensity information of the evaluator based on the questionnaire response information of the evaluator; And an abnormal evaluation tendency detecting unit for detecting an abnormal evaluation tendency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criterion based on the evaluation tendency information.

평가항목은 피평가자를 평가하기 위해 조사되는 피평가자의 성질(character), 기질(disposition) 및 업무분야(task field) 등을 의미한다. 일 예로, 회사의 직원을 평가하기 위한 측면으로 사용될 수 있는 의사소통능력, 리더십, 성실함 등이 평가항목이 될 수 있다.The evaluation item refers to the character, disposition, and task field of the evaluator examined for evaluating the evaluator. For example, communication items, leadership, and sincerity, which can be used as aspects for evaluating employees of a company, may be evaluation items.

평가설문은 평가항목을 파악하기 위해서 평가자에게 주어지는 질문을 의미한다. 일 예로, '성실함'을 파악하기 위해 피평가자의 출퇴근시각 준수 및 무단결근 의 빈도 등에 대한 질문이 평가설문으로서 평가자에게 제시될 수 있다.The evaluation questionnaire refers to a question given to the evaluator in order to identify the evaluation items. For example, in order to identify 'integrity', questions about the evaluator's compliance with the commute time and the frequency of unauthorized absence may be presented to the evaluator as an evaluation questionnaire.

평가역량 정보는 평가자가 응답정보를 얼마나 신뢰할 수 있는가를 나타내는 기준으로 사용되는 값이다. 평가역량 정보는 설문조사점수를 계산하는 과정에서 반영되는 평가역량 가중치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Evaluation capacity information is a value used as a criterion for how reliable the evaluator is in the response information. The evaluation capability information may include information on an evaluation capability weight reflected in calculating a survey score.

평가성향 정보는 평가자가 평가설문에 응답하는 과정에서 보여주는 설문응답 정보의 편향성을 나타내는 정보이다. The evaluation tendency information is information indicating the bias of the questionnaire response information displayed by the evaluator in response to the evaluation questionnaire.

전술한 것 외의 다른 측면, 특징, 이점이 이하의 도면, 특허청구범위 및 발명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확해질 것이다.Other aspects, features, and advantages other than those described above will become apparent from the following drawings, claims, and detailed description of the invention.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다면평가에 있어서 해당 평가항목에 대해 우수한 평가역량을 가진 평가자의 의견을 상대적으로 중요하게 고려함으로써 다면평가의 정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설문조사점수를 고려하여 피평가자의 평가역량 정보를 갱신함으로써 누가 해당 평가항목에 관해 상대적으로 큰 영향력을 가지게 될지를 자동으로 결정할 수 있다. 또한, 평가자 및 평가자가 속한 그룹의 평가성향을 파악함으로써 편향되거나 왜곡된 평가를 수행하는 평가자를 검출할 수 있으며, 특이한 설문응답정보를 가지는 평가설문을 검출하여 평가설문의 오류를 검토할 기회를 확보할 수 있다.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ccuracy of the multi-faceted evaluation can be improved by considering the opinion of the evaluator who has excellent evaluation capability with respect to the corresponding evaluation item in the multi-faceted evaluation. In addition, by updating the evaluator's evaluation capability information in consideration of the survey score, it is possible to automatically determine who will have a relatively large influence on the evaluation item. In addition, by evaluating evaluator and evaluating propensity of evaluator's group, evaluator who performs biased or distorted evaluation can be detected, and evaluating evaluating questionnaire with unusual questionnaire response information secures an opportunity to examine error of evaluating questionnaire. can do.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다면평가방법 및 시스템의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multi-faceted evaluation method and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is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o specific embodiments, it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all transformations, equivalents, and substitutes included 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related known technology ma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In addition, in the description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same or corresponding components will be given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nd redundant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평가항목과 평가설문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평가항목(100)과 그에 속하는 평가설문(200)이 예시되어 있다. 1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valuation item and an evaluation questionnai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1, an evaluation item 100 and an evaluation question 200 belonging thereto are illustrated.

피평가자를 평가하기 위한 평가항목(100)으로서 '마인드(mind)', '리더십' 및 '기획'이 예시되었다. 각 평가항목(100)에는 평가항목 아이디(ID)가 'S1', 'S2' 및 'S3'으로 부여되었다. As the evaluation item 100 for evaluating the evaluator, 'mind', 'leadership' and 'planning' were exemplified. Each evaluation item 100 is assigned an evaluation item ID (S1), 'S2' and 'S3'.

도 1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각 평가항목(100)은 하나 이상의 평가설문(200)을 포함한다. 또한, 동일한 내용의 평가설문(200)이 하나 이상의 평가항목(100)과 관련될 수 있다. As shown in FIG. 1, each evaluation item 100 includes one or more evaluation questions 200. In addition, the same evaluation questionnaire 200 may be associated with one or more evaluation items 100.

일 예로, '추진력'을 내용으로 하는 평가설문(평가설문 아이디 S2Q4, S3Q4) 은 평가항목(100) 중 리더십(평가항목 아이디 S2) 및 직무 역량(평가항목 아이디 S3) 둘 모두에 속한다.For example, evaluation questionnaires (evaluation question IDs S2Q4, S3Q4) containing 'propulsion power' belong to both leadership (evaluation item ID S2) and job competency (evaluation item ID S3) among the evaluation items 100.

평가항목(100)은 평가설문(200)에 대한 평가자의 설문응답 정보를 고려하여 판단된다. 평가항목(100)에 속하는 평가설문(200)은 동일한 위상을 가질 수 있으나, 경우에 따라서는 하나의 평가설문이 다른 평가설문에 비해서 더 중요하게 고려될 수 있다.The evaluation item 100 is determined in consideration of the questionnaire response information of the evaluator for the evaluation question 200. The evaluation question 200 belonging to the evaluation item 100 may have the same phase, but in some cases, one evaluation question may be considered more important than another evaluation question.

일 예로, '기획'을 내용으로 하는 평가항목(평가항목 아이디 S3)의 평가설문들 중에서 상품 컨셉화(평가설문 아이디 S3Q5)가 추진력(평가설문 아이디 S3Q4)에 비해 더 중요하게 고려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product conceptualization (evaluation question ID S3Q5) may be considered more important than the driving force (evaluation question ID S3Q4) among the evaluation questions of the evaluation item (evaluation item ID S3) including 'planning'.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평가설문과 그에 대한 설문응답 정보를 예시한 도면이다. 평가자는 평가설문에 대한 자신의 의견에 상응하는 설문응답을 제시한다. 2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valuation questionnaire and questionnaire response information thereof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evaluator presents a survey response corresponding to his or her opinion on the evaluation questionnaire.

도 2에서 예시하는 바와 같이, 평가자는 평가설문 '정보수집분석'에 대하여 각 평가의견에 따라서 1 에서 5 사이의 점수를 부여할 수 있다. 또한, 점수를 부여하는 것이 적절하지 않은 경우 '평가 유보'의 의사표시를 할 수 도 있다. 평가자가 부여한 점수는 평가자의 설문응답 정보에 포함된다.As illustrated in FIG. 2, the evaluator may assign a score between 1 and 5 to the evaluation question 'information collection analysis' according to each evaluation opinion. In addition, if it is not appropriate to assign a score, a decision may be made to reserve the evaluation. Scores given by the evaluator are included in the evaluator's questionnaire response information.

한편, 평가설문의 유형에 따라서 다른 종류의 응답이 요구될 수 있다. 평가설문이 피평가자가 일정한 요구조건을 만족시키는 지 여부에 대한 답변만을 요구하는 경우, 만족 가부의 표시가 설문응답 정보에 포함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different kinds of responses may be required depending on the type of evaluation questionnaire. If the evaluation question requires only an answer as to whether the evaluator satisfies certain requirements, an indication of the satisfaction of satisfaction may be included in the questionnaire response information.

평가설문에 대한 답변으로서, 평가자에 의하여 부여된 평가 점수 및 의사표시 등은 평가설문에 대한 설문응답 정보에 포함되어 설문조사점수 계산의 기초로 사용될 수 있다.As an answer to the evaluation questionnaire, evaluation scores and intentions given by the evaluator may be included in the questionnaire response information for the evaluation questionnaire and used as a basis for calculating the survey score.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평가항목별 평가방향 가중치를 예시한 도면이다.3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valuation direction weight for each evaluation i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평가방향 정보는 평가자와 피평가자 사이의 관계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 회사 내에서 다면평가가 수행되는 경우, 양자간의 직급 차이에 따라서 평가방향은 상향, 수평 및 하향으로 구분될 수 있다. Evaluation direction information refers to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evaluator and the evaluator. For example, when face-to-face evaluation is carried out in a company, the evaluation direction can be divided into upward, horizontal and downward according to the difference in rank between the two.

평가방향에 따라서 설문조사점수 계산과정에서 반영되는 평가방향 가중치가 달라질 수 있다. 일 예로, 평가항목 S1에 대해 평가자의 직급이 그룹장이고 피평가자의 직급이 임원인 경우, 평가방향은 상향이 되고 평가방향 가중치는 0.5가 적용된다. 피평가자의 직급이 팀장인 경우 평가방향 가중치 1이 된다.Depending on the evaluation direction, the weight of the evaluation direction reflected in the survey score calculation process may vary. For example, when the position of the evaluator is the group leader and the position of the evaluator is the executive for the evaluation item S1, the evaluation direction is upward and the evaluation direction weight is 0.5. If the position of the evaluator is the team leader, the evaluation direction weight is one.

또한, 도3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평가방향 가중치는 평가항목의 성격에 따라서 다르게 분배될 수 있다. In addition, as shown in FIG. 3, the evaluation direction weights may be distributed differently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evaluation item.

한편, 도 3에서는 동일한 평가항목에 대해서는 동일한 직급가중치가 적용되도록 하였으나, 평가항목에 속하는 각각의 평가설문 별로 직급가중치를 다르게 설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Meanwhile, in FIG. 3, the same job weighting value is applied to the same evaluation item, but the job weighting value may be set differently for each evaluation question belonging to the evaluation item.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직무역량점수와 평가역량 가중치를 예시 한 도면이다. 4 is a diagram illustrating job competency scores and evaluation capability weight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직무역량점수는 다면평가 참여자가 어떤 평가항목에 대하여 얼마나 우수한지 또는 어느 정도의 역량을 가지고 있는 나타내는 점수이다. 또한, 직무역량점수는 조직 내에서 각 직급으로 진급할 수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기준이 될 수 있다. Occupational competency scores are scores that indicate how good or how competent a participant is in a multifaceted assessment. In addition, job competency scores can be a criterion for determining whether or not an organization can be promoted to each position.

본 실시예에서, 직무역량점수는 다면평가 참여자의 직급에 따른 초기 직무역량점수로 설정되어 있으나, 같은 직급을 가진 다면평가 참여자가 반드시 동일한 직무역량점수를 가지는 것으로 한정되지는 않는다.In this embodiment, the job competency score is set to the initial job competency score according to the job title of the multi-faceted evaluation participant, but is not limited to a multi-faceted evaluation participant having the same job title necessarily having the same job competency score.

또한, 도 4에 예시된 직급별 직무역량점수는 각 직급으로의 진급을 위해 요구되는 직무역량점수이기도 하다. 즉, 그룹장인 B가 임원으로 승진하기 위해서는 25점의 추가적인 직무역량점수를 획득하여야 한다. In addition, job competency scores for each position illustrated in FIG. 4 are also job competency scores required for promotion to each position. In other words, Group B needs to earn 25 additional job competency scores to be promoted to executive.

직무역량점수는 다면평가에 대한 평가자 들의 설문응답 정보에 기초하여 계산되는 설문조사점수에 상응하여 변경될 수 있으며,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도 5에 대한 상세한 설명을 참조하여 이해될 수 있다.Job competency score can be changed to correspond to the survey score calculated based on the survey response information of the evaluator for the multi-faceted evaluation,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can be understood with reference to the detailed description of FIG.

평가역량 가중치는 평가자의 설문응답 정보에 기초하여 피평가자의 직무역량점수를 계산하는 과정에서 사용되는 가중치로서, 평가자의 설문응답 정보가 얼마나 중요하게 취급될 지를 나타내는 값이다. The evaluation capability weight is a weight used in the process of calculating the evaluator's job competency score based on the evaluator's questionnaire response information, and indicates how important the evaluator's questionnaire response information is to be treated.

특정 평가항목에서 우수한 직무역량점수를 가지는 평가자는 그 평가항목에 대한 평가를 정확하게 수행할 것으로 기대되므로, 평가역량 가중치는 평가자의 직무역량점수에 상응하는 값으로 설정될 수 있다. Since an evaluator who has a good job competency score in a particular evaluation item is expected to perform the evaluation on the evaluation item accurately, the evaluation capacity weight may be set to a value corresponding to the job competency score of the evaluator.

상응하는 값으로 설정된다는 것은 그 값에 비례 또는 반비례하여 설정되는 것만이 아니라. 동일한 값으로 설정되는 것을 포함하는 의미이며, 비례 및 반비례 관계가 선형적인 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Setting to a corresponding value is not only set proportionally or inversely to that value. Meaning that it is set to the same value, and the proportional and inverse relationship is not limited to the linear one.

본 실시예에서, 평가역량 가중치는 계산의 편의상 직무역량점수의 10배로 계산되었다. In this embodiment, the evaluation capability weight was calculated to be 10 times the job competency score for convenience of calculation.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설문조사점수 계산과정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5에 예시된 평가항목, 설문응답 정보, 평가방향 가중치 및 평가역량 가중치 등은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이해될 수 있다.5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urvey score calculation proces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Evaluation items, questionnaire response information, evaluation direction weights and evaluation capability weights illustrated in FIG. 5 may be understood with reference to FIGS. 1 to 4.

도 5에서는 피평가자 D를 대상으로 하여 평가항목 S1에 관한 설문조사점수 계산 과정이 예시된다. In FIG. 5, a survey score calculation process for evaluation item S1 is illustrated for subject D. FIG.

도 1에서와 같이 평가항목 S1은 3개의 평가설문을 포함한다. 각 평가설문에 대하여 도 2에서와 같이 1에서 5 사이의 점수가 평가자에 의해 부여될 수 있다. As shown in FIG. 1, evaluation item S1 includes three evaluation questions. For each evaluation questionnaire, a score between 1 and 5 may be given by the evaluator as shown in FIG. 2.

본 실시예에서 평가항목 S1 내의 각 평가설문은 동등한 중요도를 가진다. 따라서, 설문응답 정보로부터 평가방향 가중치 고려점수를 계산하는 과정은 각 평가설문(S1Q1, S1Q2, S1Q3)에 대하여 부여된 점수의 평균에 평가방향 가중치를 곱하는 것으로 수행될 수 있다. In the present embodiment, each evaluation questionnaire in evaluation item S1 has an equal importance. Therefore, the process of calculating the evaluation direction weight consideration score from the questionnaire response information may be performed by multiplying the evaluation direction weight by an average of scores assigned to each evaluation questionnaire S1Q1, S1Q2, and S1Q3.

평가자 C의 경우, 설문응답으로 부여한 점수의 총합이 6이므로 그 평균은 2이다. 이에 평가방향 가중치를 1을 곱하면 평가방향 가중치 고려 점수인 2가 획득된다.In the case of evaluator C, the total of the points given in the questionnaire response is 6, so the average is 2. By multiplying the evaluation direction weight by 1, the evaluation direction weight consideration score 2 is obtained.

평가방향 가중치와 관련하여 도 3에서 예시된 평가방향 가중치가 적용되었 다. 평가항목이 S1이고, 평가자 C의 직급이 피평가자 D의 직급보다 높다. 따라서, 평가자 C의 평가방향 가중치 중에서 평가방향이 하향인 경우의 평가방향 가중치인 1이 적용되었다. In relation to the evaluation direction weight, the evaluation direction weight illustrated in FIG. 3 was applied. Evaluation item is S1, and rank of evaluator C is higher than rank of evaluator D. Therefore, the evaluation direction weight of 1 when the evaluation direction is downward among the evaluation direction weights of the evaluator C was applied.

평가방향 가중치 고려 점수에 평가자의 평가역량 가중치를 곱하여 평가역량 가중치 고려 점수가 계산된다. 평가자 C의 경우, 평가방향 가중치 고려점수가 2.0이고 평가역량 가중치는 200이므로, 평가역량 가중치 고려 점수는 400이 된다. The evaluation capacity weight consideration score is calculated by multiplying the evaluation direction weight consideration score by the evaluator's evaluation capability weight. In the case of evaluator C, since the evaluation direction weight consideration score is 2.0 and the evaluation capability weight is 200, the evaluation capability weight consideration score is 400.

이와 같이 계산된 평가역량 가중치 고려점수를 평가자 5명에 대하여 합산한 값은 3600이다. 각 평가자가 부여할 수 있는 최대점수를 합산한 값은 6250이다. 따라서, 만점 대비 피평가자 획득한 점수는 0.576이 된다. 결과적으로, 피평가자 D에 대하여 평가항목 S1에 대한 설문조사점수는 0.576이다. The sum of the evaluation capacity weighting considerations calculated in this way is 3600 for the five evaluators. The maximum score that each evaluator can give is 6250. Therefore, the score obtained by the evaluator against the perfect score is 0.576. As a result, the survey score for assessment item S1 for subject D was 0.576.

또한, 도 5에서는 앞서 언급된 바와 같이 계산된 설문조사점수에 상응하는 직무역량점수의 갱신량이 예시된다.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상응한다는 의미는 반드시 선형적인 비례관계에 한정되지 않는다. In addition, FIG. 5 illustrates an update amount of job competency score corresponding to the survey score calculated as mentioned above. As mentioned above, correspondence is not necessarily limited to linear proportionality.

본 실시예에서 설문조사점수인 0.576은 피평가자 D의 직무역량점수를 1.152점만큼 향상시킨다. 즉, 설문조사점수의 2배가 직무역량점수에 반영된다. 이로써 피평가자 D의 평가항목 S1에 대한 직무역량점수가 10점에서 11.152점으로 향상된다.In this example, the survey score of 0.576 improves the job competency score of subject D by 1.152. In other words, twice the survey score is reflected in job competency score. This improves the job competency score for assessor D, S1, from 10 to 11.152.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보통의 평가점수를 받은 경우에도 직무역량점수는 1점만큼 향상될 수 있다. 이는 직급이 팀원인 다면평가 참여자가 매번 보통등급의 평가점수를 획득하는 경우 10회의 다면평가가 이루어지는 시점에서 다음 직급으로 의 승진을 위해 요구되는 직무역량점수 20점을 충족시키게 된다.In addition, in the present embodiment, even if the normal evaluation score is received, job competency score can be improved by one point. This means that if a participant who is a member of a team has a regular evaluation score each time, he / she meets the 20 job competency scores required for promotion to the next level at the time of 10 multi-faceted evaluations.

다만, 보통등급의 평가점수에 대해서는 직무역량점수가 향상되지 않도록 설정하는 것도 가능하며, 각 직급별로 설문조사점수 반영비율을 달리할 수 도 있다. However, it is possible to set the evaluation score of the average grade so that job competency score does not improve, and the survey score reflecting ratio may be different for each position.

이와 같이, 평가항목에 대한 직무역량점수는 승진을 위한 판단기준으로 사용될 수 있으므로 설문조사점수를 직무역량점수에 반영하는 방식 및/또는 그 반영비율은 다면평가가 수행되는 조직의 성격과 방침에 맞게 변화될 수 있다.As such, job competency scores for evaluation items can be used as a criterion for promotion, and the way and / or the reflecting ratio of the survey scores in job competency scores is appropriate to the characteristics and policies of the organization where the multifaceted evaluation is performed. Can be changed.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피평가자 D역시 자신에 대한 평가자의 1명으로서 다면평가에 참여하였으나, 경우에 따라서는 이러한 자기 평가를 제한하거나, 그 반영도를 축소하는 것도 가능하다.On the other hand,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subject D also participated in the multi-faceted evaluation as one of the evaluators. However, in some cases, the self-evaluation may be limited or the reflectance thereof may be reduced.

이와 같이 다면평가의 설문조사점수를 사용하여 직무역량점수를 갱신하고, 갱신된 직무역량점수는 후속되는 다면평가에 있어서 평가역량 가중치에 영향을 미친다. In this way, the job competency score is updated using the survey score of the multifaceted evaluation, and the updated job competency score affects the weight of the evaluation capability in the subsequent multifaceted evaluation.

이와 같이 재귀적인 다면평가 방법을 구성함으로써, 다면평가에서 고려되는 가중치들이 다면평가 참여자의 의사에 의하여 결정된다. 이는 소수의 편향된 평가자가 평가결과를 왜곡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기반을 제공한다. By constructing such a recursive multi-faceted evaluation method, the weights considered in the multi-faceted evaluation are determined by the participants of the multi-faceted evaluation. This provides a basis for preventing a small number of biased evaluators from distorting the evaluation results.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면평가시스템의 구성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면평가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다면평가 서버(620), 설문응답 정보 획득부(621), 참여자 정보 획득부(622), 설문조사점수 계산부(623), 직무역량점수 갱신부(624), 승진조건 판단부(625), 평가성향 정보 계산부(626), 이상 평가성향 검출부(627), 다면평가 데이터베이스(630), 설문정보 데이터베이스(631) 및 참여자 정보 데이터베이스(632)가 도시되어 있다.6 is a block diagram of a multi-faceted evalua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7 is a flow chart of a multi-faceted evaluation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6, the multi-faceted evaluation server 620, questionnaire response information acquisition unit 621, participant information acquisition unit 622, survey score calculation unit 623, job competency score update unit 624, promotion condition The determination unit 625, the evaluation tendency information calculation unit 626, the abnormal evaluation tendency detection unit 627, the multi-faceted evaluation database 630, the questionnaire information database 631, and the participant information database 632 are illustrated.

설문응답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S710)는 설문응답 정보 획득부(621)가 설문 정보 데이터 베이스(631)로부터 평가자의 설문응답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이다. 획득된 설문응답 정보는 설문조사점수 계산의 기초가 된다. 설문응답 정보는 평가설문 아이디, 각 피평가자 및 평가자와 연관된 평가점수 등을 포함할 수 있다.Acquiring the questionnaire response information (S710) is a step in which the questionnaire response information acquisition unit 621 obtains the questionnaire response information of the evaluator from the questionnaire information database 631. The acquired survey response information is the basis of the survey score calculation. The survey response information may include an evaluation question ID, an evaluation score associated with each evaluator, and an evaluator.

설문 정보 데이터 베이스(631)는 평가항목의 아이디와 내용, 평가설문의 아이디와 내용, 평가자가 평가설문에 대응하여 부여한 설문응답에 관한 정보를 저장한다. 평가설문의 유형에 따라서 설문응답 정보의 형태가 달라질 수 있음은 앞서 언급된 바와 같다. 또한, 평가항목 내에서 평가점수의 계산과정에서 더 중요하게 취급되는 평가설문이 존재하는 경우 이에 대한 정보까지 저장될 수 있다.The questionnaire information database 631 stores ID and content of the evaluation item, ID and content of the evaluation questionnaire, and information on a questionnaire response given by the evaluator in response to the evaluation questionnaire. As mentioned above, the form of the questionnaire response information may vary depending on the type of evaluation questionnaire. In addition, if there is an evaluation questionnaire that is more important in the evaluation process of the evaluation score within the evaluation item, information about it may be stored.

본 실시예에서, 다면평가 서버(620)와 다면평가 데이터베이스(630)는 독립되어 유지되며 네트워크로 연결될 수 있으나, 하나의 서버 등에서 통합되어 운용될 수도 있다. In this embodiment, the multi-faceted evaluation server 620 and the multi-faceted evaluation database 630 may be maintained independently and connected to a network, but may be integrated and operated in one server or the like.

평가자의 평가역량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S720)는 참여자 정보 획득부(622)가 참여자 정보 데이터베이스(632)로부터 평가자의 평가역량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이다. 평가역량 정보란 각 평가항목 내지 평가설문에 적용될 수 있는 평가역량 가중치에 관한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Acquiring the evaluation capability information of the evaluator (S720), the participant information obtaining unit 622 obtains the evaluation capability information of the evaluator from the participant information database 632. Evaluation capacity information may mean information on the evaluation capacity weight that can be applied to each evaluation item or evaluation questionnaire.

다만, 평가능력 가중치는 평가자의 직무역량점수에 상응하도록 설정될 수 있으므로, 평가능력 가중치를 별도의 레코드로서 저장하지 않을 수도 있다. 이 경우, 직무역량점수 및 그 상응관계를 저장하고 이를 통하여 평가역량 정보를 획득하게 된다. However, since the evaluation capability weight may be set to correspond to the evaluator's job competency score, the evaluation capability weight may not be stored as a separate record. In this case, job competency scores and their corresponding relationships are stored and evaluation capability information is obtained through this.

다면평가의 참여자는 평가자 및 피평가자를 포함한다. 참여자 정보 데이터 베이스(632)는 평가자의 평가능력, 직급 등의 정보를 저장하며, 피평가자에 대한 평가결과 정보로서 각 평가항목에 대한 직무역량점수를 저장할 수 있다.Participants in the multifaceted evaluation include the evaluator and the evaluator. The participant information database 632 may store information such as the evaluator's evaluation ability and rank, and may store job competency scores for each evaluation item as evaluation result information for the evaluator.

평가역량 정보는 평가자가 응답정보를 얼마나 신뢰할 수 있는가를 나타내는 기준을 포함한다. 즉, 평가자의 설문응답 정보는 평가역량 정보에 상응하여 설문조사점수 계산에 반영될 수 있다. Evaluation capability information includes criteria that indicate how reliable the evaluator is in response information. That is, the survey response information of the evaluator may be reflected in the survey score calculation corresponding to the evaluation capability information.

이를 통해, 신뢰할 수 있는 평가자의 의견을 더 중요하게 고려함으로써, 종래의 하향평가에서와 같이, 높은 직급을 가진 소수의 관리자의 의견 만이 중요하게 반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물론 평가역량의 초기치 부여서 있어서 직급이 높은 사람에게 더 큰 평가역량 가중치가 부여될 수 있으나, 다면평가가 여러 번 수행되어 감에 따라서 평가역량 가중치가 갱신될 수 있다. In this way, by considering the opinions of the trusted evaluators more importantly, as in the conventional downward evaluation, it is possible to prevent only the opinions of a small number of managers with high ranks being importantly reflected. Of course, in the initial value of the evaluation capacity, a higher evaluation capacity weight may be given to a person with a higher rank, but the evaluation capacity weight may be updated as multiple evaluations are performed several times.

평가역량 정보를 고려하여 설문조사점수를 계산하는 단계(S730)는 설문조사점수 계산부(623)가 참여자 정보 및 설문응답 정보에 기초하여 설문조사점수를 계산하는 과정이다.In operation S730, the survey score calculation unit 623 calculates the survey score based on the participant information and the survey response information in consideration of the evaluation capability informatio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설문조사점수 계산과정이 도 5를 참조하여 설명되었으며 본 실시예에서도 이와 유사한 계산과정이 사용될 수 있다. A survey score calculation proces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5, and a similar calculation process may be used in this embodiment.

한편, 평가결과의 계산과정에는 평가자의 평가성향 정보가 더 고려될 수 있다. 평가성향 정보란 다면평가과정에서 평가자가 보여주는 편향성 내지 경향을 의 미한다. Meanwhile, the evaluation tendency information of the evaluator may be further considered in calculating the evaluation result. Evaluation tendency information refers to the bias or tendency shown by the evaluator in the multifaceted evaluation process.

일 예로, 회사내의 부서별 업무 성격에 따라서 이러한 평가성향이 나타날 수 있다. 회사 내의 영업부서에 근무하는 직원들은 다른 부서의 직원들에 비하여 높은 추진력을 요구 받는다. 이에 상응하여 영업부서에 근무하는 직원들이 다면평가를 수행하는 경우, 그들은 추진력에 대한 평가설문에 대해 낮은 평가점수를 부여하는 경향을 보일 수 있다. For example, the evaluation tendency may appear depending on the departmental work within the company. Employees in the sales departments of the company require higher momentum than those in other departments. Correspondingly, if employees in the sales department perform multiple assessments, they may tend to give lower evaluation scores to the assessment questionnaire about the momentum.

또한, 평가자 그룹과의 관계에서도 이러한 평가성향이 분석될 필요가 있다. 일 예로 회사내의 부서들이 평가자 그룹인 경우, 우호적인 그룹에 속하는 평가자 상호간에 의도적으로 상향된 점수를 부여하는 상황이 발생할 수 있다. 이렇게 편향된 점수 부여는 다면평가의 공정한 수행을 방해하므로, 평가성향을 반영하여 평가점수를 조정하는 것도 가능하다.In addition, this evaluation tendency needs to be analyzed in relation to the evaluator group. For example, when departments in a company are evaluator groups, a situation may arise in which an evaluator who belongs to a friendly group intentionally raises a score. Since the biased scores impede the fair performance of the multi-faceted evaluation, it is possible to adjust the evaluation score to reflect the evaluation tendency.

설문조사점수를 고려하여 피평가자의 직무역량점수를 갱신하는 단계(S740)는 직무역량점수 갱신부(624)가 설문조사 계산부(623)가 도출한 설문조사점수를 피평가자의 직무역량점수로 반영하는 단계이다.In step S740, the job competency score updating unit 624 updates the questionnaire score derived by the survey calculation unit 623 as the job competency score of the evaluator in consideration of the survey score. Step.

직무역량점수는 그 평가항목에 대한 설문조사점수에 상응하여 갱신될 수 있다. 상응하여 갱신된다고 하는 것은 직무역량점수의 갱신량이 설문조사점수와 비례 또는 반비례하는 것만이 아니라. 동일한 경우를 포함한다. 이에 관해서는 도 5에서 설명된 바를 참조하여 이해될 수 있다.Job competency scores may be updated to correspond to the survey scores for the assessment items. The corresponding renewal is not only in proportion to or inversely proportional to the survey score. It includes the same case. This may be understood with reference to the bar described in FIG. 5.

본 실시예에서, 갱신된 직무역량점수는 참여자 정보 데이터베이스(632)로 전달되어 저장될 수 있다. In this embodiment, the updated job competency score may be delivered to and stored in the participant information database 632.

한편, 승진조건 판단부(625)는 다면평가 수행 후 갱신된 직무역량점수와 각 직급이 요구하는 직무역량점수를 비교하여 피평가자가 승진조건을 만족하는 지 판단한다. 승진조건 판단부(625)는 승진조건 만족여부를 참여자 정보 데이터베이스(632)에 저장할 수 있으며, 인사결정권자에게 이를 통보하는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promotion condition determination unit 625 compares the job competency score required by each position with the job competency score updated after the multi-faceted evaluation to determine whether the evaluator satisfies the promotion condition. The promotion condition determination unit 625 may store whether the promotion condition is satisfied in the participant information database 632, and may include a function of notifying the personnel decision maker.

한편, 설문조사점수에 따라서 직무역량점수가 하향 조정되는 경우, 소정의 강등조건에 해당하는 지 판단하는 것도 가능하다. On the other hand, if the job competency score is adjusted downward according to the survey score, it is also possible to determine whether the predetermined fall condition.

평가자의 평가역량 정보를 갱신하는 단계(S750)는 다면평가 서버(620)가 평가자의 평가역량 정보를 갱신하는 단계이다.The updating of the evaluation capability information of the evaluator (S750) is a step of the multi-faceted evaluation server 620 updating the evaluation capability information of the evaluator.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평가역량 정보는 평가역량 가중치로서 나타나며, 이는 평가자의 직무역량점수에 상응하여 설정되는 값이었다. 이를 통해 어떤 평가항목에서 뛰어난 역량을 가지는 평가자가 부여한 평가점수는 상대적으로 중요하게 반영되었다.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evaluation capability information is represented as an evaluation capability weight, which is a value set corresponding to the job competency score of the evaluator. As a result, the evaluation scores given by the evaluators with excellent competence in certain evaluation items were reflected relatively.

또 하나의 평가역량 정보 갱신의 기준이 사용될 수 있다. 비록 해당 평가항목에서 뛰어난 역량을 가지지는 못하지만, 공정한 내지 정확한 평가를 수행하는 평가자의 의견을 중요하게 반영하기 위한 평가역량 정보 갱신 기준이 사용될 수 잇다.Another criterion for updating assessment capacity information may be used. Although the competency does not have excellent competence, the criteria for updating the competency information may be used to reflect the opinions of evaluators who perform fair or accurate evaluations.

예로서, 피평가자에 대한 평가설문에 대응하여 평가자에 의하여 부여된 점수는 표준분포의 형태를 가지는 경우, 표준분포의 중심 값에서 멀리 떨어진 점수를 부여한 평가자의 응답은 신뢰도가 떨어지는 것으로 판단하여 그 평가자의 평가역량 정보를 갱신할 수 있다.For example, if the score given by the evaluator in response to the evaluating questionnaire has a form of a standard distribution, the evaluator's response that gives the score farther from the center value of the standard distribution is judged to be less reliable, Evaluation capacity information can be updated.

평가자의 평가점수 부여가 얼마나 신뢰할 수 있는 지를 판단하는 척도로서의 평가 신뢰도가 계산될 수 있다. 일 예로 평가 신뢰도는 평가설문에 대해 부여된 점수의 평균 및 분산을 이용하여 계산될 수 있다. Evaluation reliability can be calculated as a measure of how reliable the evaluator's evaluation score assignment can be. For example, the evaluation reliability may be calculated using an average and a variance of scores given for the evaluation questionnaire.

평가설문 k에 대한 평가점수의 분산

Figure 112007056105794-PAT00001
및 평가자 B의 평가신뢰도
Figure 112007056105794-PAT00002
는 다음 수식에 의하여 계산될 수 있다.Variance of Evaluation Score for Evaluation Question k
Figure 112007056105794-PAT00001
And assessment confidence of evaluator B
Figure 112007056105794-PAT00002
Can be calculated by the following equation.

Figure 112007056105794-PAT00003
Figure 112007056105794-PAT00003

Figure 112007056105794-PAT00004
Figure 112007056105794-PAT00004

(

Figure 112007056105794-PAT00005
: 평가설문 k에 대한 평가점수 평균,
Figure 112007056105794-PAT00006
: 평가설문 k에 대한 평가자 B의 평가점수,
Figure 112007056105794-PAT00007
: 평가자 수)(
Figure 112007056105794-PAT00005
: Mean score for the questionnaire k,
Figure 112007056105794-PAT00006
: Evaluator B's score for rating questionna
Figure 112007056105794-PAT00007
: Number of evaluators)

이상에 의하여 계산된 평가 신뢰도 수치가 작을 수록, 평가자 B의 부여점수가 전체 평가자 부여 점수 평균에 근접하는 것이므로 평가자 B의 평가역량을 긍정적인 방향으로 갱신할 수 있다. As the evaluation reliability value calculated by the above is smaller, the appraisal score of evaluator B is closer to the average appraisal appraisal score, so the appraisal capability of evaluator B can be updated in a positive direction.

한편, 다면평가서버는 평가성향 정보 계산부(626) 및 이상 평가성향 검출부(627)을 더 포함할 수 있다.Meanwhile, the multi-faceted evaluation server may further include an evaluation tendency information calculator 626 and an abnormal evaluation tendency detector 627.

평가성향 정보 계산부(626) 평가자, 피평가자 및 평가설문에 대한 평가성향 정보를 계산한다. 이상 평가성향 검출부(627)는 평가성향 정보에 기초하여, 특이한 성향을 보이는 평가자, 피평가자, 평가설문을 검출한다.Evaluation tendency information calculation unit 626 calculates evaluation tendency information on the evaluator, the evaluator, and the evaluation questionnaire. The abnormal evaluation tendency detecting unit 627 detects an evaluator, an evaluator, and an evaluation questionnaire having an unusual tendency based on the evaluation tendency information.

평가자 및 피평가자 개인의 평가성향 정보만이 아니라 다수의 평가자 및 피평가자를 포함하는 다면평가 참여자 그룹의 평가성향 정보가 계산될 수 있으며, 평가성향 정보는 각 대상에 따른 평가점수의 평균 및 분산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In addition to evaluating propensity information of evaluators and individuals, evaluating propensity information of multi-participant groups including multiple evaluators and evaluators can be calculated. It may include.

평가설문 k에 대한 평가점수의 분산

Figure 112007056105794-PAT00008
를 이용하면 평가설문 자체의 이상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다른 평가설문에 비하여 이 분산 값이 특이하게 큰 경우에는 평가설문 자체가 평가에 적합하지 않을 가능성이 있으므로 검토가 요구된다. 일 예로, 특정 평가설문에 대한 평가점수의 분산이 지나치게 큰 경우, 이는 평가설문 자체의 모호함을 의미할 수 있다. 특정 평가자의 평가점수 부여의 평균이 지나치게 높은 경우 그 평가자는 공정한 평가를 수행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될 수 있다.Variance of Evaluation Score for Evaluation Question k
Figure 112007056105794-PAT00008
Use to detect abnormality of the evaluation question itself. If this variance is unusually large compared to other evaluation questions, the evaluation question itself may not be suitable for evaluation, so a review is required. For example, if the variance of the evaluation score for a particular evaluation questionnaire is too large, this may mean that the evaluation question itself is ambiguity. If the average of the appraisal scores of a particular evaluator is too high, the evaluator may be judged not to perform a fair evaluation.

또한, 평가설문 자체에 대한 평가점수 분산이 크지 않음에도, 특정 피평가자에 대한 평가자의 의견이 '매우 우수'와 '매우 열등'으로 극명하게 대립되는 경우에는, 특정 피평가자에 대한 평가점수의 분산이 큰 값을 가지게 된다. 이러한 경우를 검출하여 추가적인 조사를 수행할 기회를 확보할 수 있다. In addition, even if the evaluation scores themselves are not very large in variance, when the opinions of a particular subject are sharply opposed to `` very good '' and `` very inferior '', the variance of the evaluation scores for a particular subject is large. It will have a value. Such cases can be detected to provide an opportunity for further investigation.

한편, 평가자 및 피평가자 개인이 아닌 다면평가 참여자가 속해 있는 그룹별로 평가성향을 파악하는 것도 가능하다. 다면평가가 회사에서 수행되는 경우, 다면평가의 참여자는 그가 속한 부서에 따라서 그룹핑(grouping)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it is possible to grasp the evaluation propensity by the group to which the multi-faceted evaluation participant belongs, not the evaluator and the individual subject. If faceted evaluation is carried out in the company, participants in the faceted evaluation can be grouped according to their department.

특정 피평가자 또는 피평가자 그룹에 그룹에 속한 평가자가 부여한 평가점수 의 분산을 합산하는 방법 등으로 평가자 그룹의 평가성향 정보가 파악될 수 있다.The evaluation tendency information of the evaluator group may be grasped by adding the variance of the evaluation scores assigned by the evaluator belonging to the specific evaluator or the evaluator group.

이와 같이 계산된 평가성향 정보를 분석함으로써 이를 통해 그룹 내부의 인원들에게만 높은 평사점수를 부여하는 등의 행위를 검출하여 공정한 다면평가가 수행될 수 있도록 한다.By analyzing the evaluation propensity information calculated as above, it is possible to detect the behavior such as giving high grade to only the members of the group and to perform the fair multi-sided evaluation.

이와 같이, 소정의 기준을 만족하는 경우, 이상 평가성향을 보이는 평가설문 또는 평가자를 후속 다면평가에서 제외하거나, 그 영향력을 축소하여 다면평가에 포함된 편향성 내지 모호함 등을 제거할 수 있다. As such, when a predetermined criterion is satisfied, an evaluation questionnaire or an evaluator showing an abnormal evaluation tendency may be excluded from subsequent multiple evaluation, or the influence thereof may be reduced to remove bias or ambiguity included in the multiple evaluation.

한편, 도 6에서 다면평가 서버(620)과 다면평가 데이터베이스(630)는 별개로 설치 운용되며, 네트워크로 연결될 수 있으나, 하나의 시스템으로 통합되어 운용될 수도 있다.Meanwhile, in FIG. 6, the multi-faceted evaluation server 620 and the multi-faceted evaluation database 630 may be separately installed and operated, and may be connected to a network, but may be integrated and operated in one system.

또한, 도 6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은 반드시 하드웨어 구성을 가질 필요는 없으며, 일부 구성요소는 동일 또는 유사한 기능을 수행하는 응용 프로그램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 구성요소들은 발명의 사상 범위 내에서 결합되거나 분리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In addition, the components shown in FIG. 6 do not necessarily have a hardware configuration, and some components may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an application program that performs the same or similar functions. In addition, each component may be combined or separated within the scope of the invention.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평가방향 가중치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평가자와 피평가자 사이의 직급 차이 별로 부여된 평가방향 가중치가 예시된다.8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valuation direction weigh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8, the evaluation direction weights given by rank differences between the evaluator and the evaluator are illustrated.

도 1에서 예시된 직급가중치는 평가자와 피평가자의 직급의 상하 여부만을 고려하여 부여되었으나, 그 직급의 차이 정도는 고려되지 않았다. The position weights illustrated in FIG. 1 were given only by considering whether the positions of the evaluators and the evaluators were raised or lower, but the degree of difference in positions was not considered.

도 8에 보여지는 바와 같이 직급의 차이에 상응하도록 평가방향 가중치가 부여될 수 있다. 이렇게 함으로써, 피평가자와 직급차이가 작은 이들의 의견을 보다 중시할 수 있다. As shown in FIG. 8, evaluation direction weights may be assigned to correspond to differences in ranks. In this way, the opinions of the evaluators and those with small differences in position can be given more importance.

또한, 도 6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은 반드시 하드웨어 구성을 가질 필요는 없으며, 일부 구성요소는 동일 또는 유사한 기능을 수행하는 응용 프로그램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 구성요소들은 발명의 사상 범위 내에서 결합되거나 분리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In addition, the components shown in FIG. 6 do not necessarily have a hardware configuration, and some components may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an application program that performs the same or similar functions. In addition, each component may be combined or separated within the scope of the invention.

한편, 다면평가 방법은 컴퓨터 프로그램으로 작성 가능하다. 상기 프로그램을 구성하는 코드들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당해 분야의 컴퓨터 프로그래머에 의하여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로그램은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정보저장매체(computer readable media)에 저장되고, 컴퓨터에 의하여 읽혀지고 실행됨으로써 다면평가 방법을 구현한다. 상기 정보저장매체는 자기 기록매체, 광 기록매체 및 캐리어 웨이브 매체를 포함한다.On the other hand, the multi-faceted evaluation method can be written in a computer program. Codes and code segments constituting the program can be easily inferred by a computer programmer in the art. In addition, the program is stored in a computer readable media, which is read and executed by a computer to implement the multifaceted evaluation method. The information storage medium includes a magnetic recording medium, an optical recording medium and a carrier wave medium.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The terminology used herein is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particular example embodiments only and is not intended to be limiting of the present invention.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indicates otherwise.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 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In this application, the terms "comprise" or "having" are intended to indicate that there is a feature, number, step, operation, component, part, or combination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one or more other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exclude the possibility of the presence or the addition of features,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a combination thereof.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Terms such as first and second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but the components should not be limited by the terms. The terms ar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그 실시예를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전술한 실시예 외의 많은 실시예들이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 내에 존재한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는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So far I looked at the center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 respect to the embodiment. Many embodiments other tha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re within the scope of the claims of the present invention.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appreciate that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mplemented in a modified form without departing from the essentia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e disclosed embodiments should be considered in descriptive sense only and not for purposes of limitatio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hown in the claims rather than the foregoing description, and all differences within the scope will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평가항목과 평가설문을 예시한 도면이다.1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valuation item and an evaluation questionnai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평가설문과 그에 대한 설문응답 정보를 예시한 도면이다.2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valuation questionnaire and questionnaire response information thereof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평가항목별 평가방향 가중치를 예시한 도면이다.3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valuation direction weight for each evaluation i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직무역량점수와 평가역량 가중치를 예시한 도면이다.4 is a diagram illustrating job competency scores and evaluation capability weight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설문조사점수 계산과정을 예시한 도면이다.5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urvey score calculation proces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면평가 시스템의 구성도이다.6 is a block diagram of a multi-faceted evalua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면평가 방법의 흐름도이다.7 is a flowchart of a multi-faceted evaluation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평가방향 가중치를 예시한 도면이다.8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valuation direction weigh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620: 다면평가 서버 621: 설문응답 정보 획득부620: multi-faceted evaluation server 621: survey response information acquisition unit

622: 참여자 정보 획득부 623: 설문조사점수 계산부622: participant information acquisition unit 623: survey score calculation unit

624: 직무역량점수 갱신부 625: 승진조건 판단부624: job competency score update unit 625: promotion condition determination unit

626: 평가성향 정보 계산부 627: 이상 평가성향 검출부626: evaluation propensity information calculation unit 627: abnormal evaluation propensity detection unit

630: 다면평가 데이터베이스 631: 설문 정보 데이터베이스630: multiple assessment database 631: survey information database

632: 참여자 정보 데이터베이스632: Participant Information Database

Claims (9)

다면평가 서버에 의하여 수행되는 다면평가 방법에 있어서,In the multiple evaluation method performed by the multiple evaluation server, 평가설문에 대한 평가자의 설문응답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Obtaining questionnaire response information of the evaluator about the evaluation questionnaire; 상기 평가자의 평가역량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및Obtaining evaluation capability information of the evaluator; And 상기 평가역량 정보를 고려하여 상기 평가설문에 대한 설문조사점수를 계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다면평가 방법.And calculating a survey score for the evaluation question in consideration of the evaluation capability information.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설문조사점수를 계산하는 단계는, 상기 평가설문의 평가방향 정보를 더 고려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면평가 방법.The step of calculating the survey score, multi-faceted evaluation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further considering the evaluation direction information of the evaluation questionnaire.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설문조사점수를 고려하여 상기 평가자의 상기 평가역량 정보를 갱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다면평가 방법.And updating the evaluation capability information of the evaluator in consideration of the survey score. 제3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3, 상기 평가역량 정보를 갱신하는 단계는,The updating of the evaluation capability information may include: 상기 설문조사점수를 고려하여 상기 평가설문을 포함하는 평가항목에 대한 직무역량점수를 갱신하는 단계; 및 Updating the job competency score for the evaluation item including the evaluation question in consideration of the survey score; And 상기 직무역량점수를 고려하여 상기 평가항목에 대한 평가역량 정보를 갱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면평가 방법.And updating the evaluation capability information on the evaluation item in consideration of the job competency score. 평가설문에 대한 평가자의 설문응답 정보에 기초하여 다면평가를 수행하는 시스템으로서,As a system for performing a multi-faceted evaluation based on the evaluator's questionnaire response information on the evaluation questionnaire, 설문 정보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상기 설문응답 정보를 획득하는 설문응답 정보 획득부;A survey response information acquisition unit for obtaining the survey response information from a survey information database; 참여자 정보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상기 평가자의 참여자 정보를 획득하는 참여자 정보 획득부;A participant information obtaining unit obtaining participant information of the evaluator from a participant information database; 상기 설문응답 정보 및 상기 참여자 정보를 고려하여 상기 평가설문에 대한 설문조사점수를 계산하는 설문조사점수 계산부; 및 A survey score calculator for calculating a survey score for the evaluation question in consideration of the survey response information and the participant information; And 상기 설문조사점수를 고려하여 상기 평가설문을 포함하는 평가항목에 대한 피평가자의 직무역량점수를 갱신하는 직무역량점수 갱신부를 포함하는 다면평가 시스템.And a job competency score updating unit for updating an evaluator's job competency score for the evaluation item including the evaluation question in consideration of the survey score. 제5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5, 상기 참여자 정보는 상기 평가자의 직무역량점수를 포함하고, The participant information includes job competency score of the evaluator, 상기 설문조사점수 계산부는 상기 평가자의 직무역량점수에 상응하는 평가역량 정보를 가중치로 고려하여 상기 설문조사점수를 계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면평가 시스템.The survey score calculator calculates the survey score by considering the evaluation capability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job competency score of the evaluator as a weight. 제5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5, 상기 직무역량점수를 고려하여 승진조건 만족여부를 판단하는 승진조건 판단부를 더 포함하는 다면평가 시스템. And a promotion condition determination unit that determines whether the promotion condition is satisfied in consideration of the job competency score. 제5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5, 상기 평가자의 설문응답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평가자의 평가성향 정보를 계산하는 평가성향 정보 계산부; 및An evaluation tendency information calculation unit configured to calculate evaluation tendency information of the evaluator based on the questionnaire response information of the evaluator; And 상기 평가성향 정보에 기초하여 소정의 기준에 따라, 이상 평가성향을 검출하는 이상 평가성향 검출부를 포함하는 다면평가 시스템.And an abnormal evaluation tendency detecting unit for detecting an abnormal evaluation tendency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criterion based on the evaluation tendency information.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 램을 기록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for recording a program for executing the method of any one of claims 1 to 4 on a computer.
KR1020070077200A 2007-07-31 2007-07-31 Multidimensional evaluation method and system considering evaluation capability information KR20090012944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77200A KR20090012944A (en) 2007-07-31 2007-07-31 Multidimensional evaluation method and system considering evaluation capability informat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77200A KR20090012944A (en) 2007-07-31 2007-07-31 Multidimensional evaluation method and system considering evaluation capability information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12944A true KR20090012944A (en) 2009-02-04

Family

ID=406836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77200A KR20090012944A (en) 2007-07-31 2007-07-31 Multidimensional evaluation method and system considering evaluation capability information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012944A (en)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35292B1 (en) * 2010-10-13 2013-02-20 (주)이투오피에스 Human resource competence evaluation system and method
WO2016011509A1 (en) * 2014-07-24 2016-01-28 Professional Passport Pty Ltd Method and system for rating entities within a peer network
KR20160101529A (en) * 2015-02-17 2016-08-25 박준현 Method for re-computing score and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WO2016208855A1 (en) * 2015-06-25 2016-12-29 서울시립대학교 산학협력단 Leisure trip survey system having position-based game scheme applied thereto and method therefor
KR102449661B1 (en) 2022-06-27 2022-10-04 주식회사 레몬베이스 Method, apparatus and system of providing recruiting service based on artificial intelligence
KR102449805B1 (en) 2022-06-27 2022-10-04 주식회사 레몬베이스 Method, apparatus and system of providing evaluating service for member based on artificial intelligence
KR102449806B1 (en) 2022-06-27 2022-10-04 주식회사 레몬베이스 Method, apparatus and system of providing feedback service for member evaluating based on artificial intelligence
KR102466623B1 (en) 2022-06-27 2022-11-15 주식회사 레몬베이스 Method, apparatus and system of recommending and managing meeting data using member information based on artificial intelligence
KR102467170B1 (en) 2022-06-27 2022-11-17 주식회사 레몬베이스 Method, apparatus and system of determining and managing status of engagement based on artificial intelligence
KR102651577B1 (en) * 2023-07-11 2024-03-26 한국전자기술연구원 Crowd worker performance evaluation device, system and method including feedback on evaluation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35292B1 (en) * 2010-10-13 2013-02-20 (주)이투오피에스 Human resource competence evaluation system and method
WO2016011509A1 (en) * 2014-07-24 2016-01-28 Professional Passport Pty Ltd Method and system for rating entities within a peer network
KR20160101529A (en) * 2015-02-17 2016-08-25 박준현 Method for re-computing score and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WO2016208855A1 (en) * 2015-06-25 2016-12-29 서울시립대학교 산학협력단 Leisure trip survey system having position-based game scheme applied thereto and method therefor
KR102449661B1 (en) 2022-06-27 2022-10-04 주식회사 레몬베이스 Method, apparatus and system of providing recruiting service based on artificial intelligence
KR102449805B1 (en) 2022-06-27 2022-10-04 주식회사 레몬베이스 Method, apparatus and system of providing evaluating service for member based on artificial intelligence
KR102449806B1 (en) 2022-06-27 2022-10-04 주식회사 레몬베이스 Method, apparatus and system of providing feedback service for member evaluating based on artificial intelligence
KR102466623B1 (en) 2022-06-27 2022-11-15 주식회사 레몬베이스 Method, apparatus and system of recommending and managing meeting data using member information based on artificial intelligence
KR102467170B1 (en) 2022-06-27 2022-11-17 주식회사 레몬베이스 Method, apparatus and system of determining and managing status of engagement based on artificial intelligence
KR102651577B1 (en) * 2023-07-11 2024-03-26 한국전자기술연구원 Crowd worker performance evaluation device, system and method including feedback on evaluatio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Hulland et al. Marketing survey research best practices: evidence and recommendations from a review of JAMS articles
KR20090012944A (en) Multidimensional evaluation method and system considering evaluation capability information
Churchill Jr et al. The determinants of salesperson performance: A meta-analysis
Artz et al. Performance-measurement system design and functional strategic decision influence: The role of performance-measure properties
Chang et al. Measuring the performance of information systems: A functional scorecard
Gruber et al. Configurations of resources and capabilities and their performance implications: an exploratory study on technology ventures
Thoms et al. The relationship between immediate turnover and employee theft in the restaurant industry
Baydoun et al. Measuring customer service orientation: An examination of the validity of the customer service profile
Bamberger et al. Wage inequality: Its impact on customer satisfaction and firm performance
US11880797B2 (en) Workforce sentiment monitoring and detection systems and methods
Avila et al. The selling situation as a moderator of the personality-sales performance relationship: An empirical investigation
Bauer et al. The relationships between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demands and extra-task behaviors.
Mortimer et al. Examining the consequences of customer-oriented deviance in retail
Hartmann et al. MENTORING'S IMPACT ON SALESPERSON JOB SATISFACTION DIMENSIONS.
Singh The impact of job engagement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on organizational performance: evidence from India
Deversi et al. Cooperation in a company: A large-scale experiment
Manoharan et al. A case of designing performance metrics for sales associates in a retail store in Coimbatore, using the BEI technique
Johnson et al. Validating synthetic validation: Comparing traditional and synthetic validity coefficients
US20210201242A1 (en) Behavior improvement system and behavior improvement method
Riley et al. The business case for equal opportunities
Malhotra et al. Comparative study of forced distribution and absolute rating performance management systems
Dolton et al. The wage effects of computer use: evidence from WERS 2004
Koslowsky The case of the missing data
US20240185160A1 (en) Workforce sentiment monitoring and detection systems and methods
PETROVA et al. THE DENISON ORGANIZATIONAL CULTURE SURVEY (DOCS): EMPIRICAL REVIEW OF A DIGITALORGANIZATIONAL CULTURES'EFFECTIVENES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