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12931U - 음성 안내장치 - Google Patents

음성 안내장치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12931U
KR20090012931U KR2020090014722U KR20090014722U KR20090012931U KR 20090012931 U KR20090012931 U KR 20090012931U KR 2020090014722 U KR2020090014722 U KR 2020090014722U KR 20090014722 U KR20090014722 U KR 20090014722U KR 20090012931 U KR20090012931 U KR 20090012931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oice
signal
control unit
case
sens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9001472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승열
Original Assignee
(주)엠에스 엔지니어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엠에스 엔지니어링 filed Critical (주)엠에스 엔지니어링
Priority to KR202009001472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12931U/ko
Publication of KR2009001293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12931U/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3/0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 G08B3/1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5/00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 G08B5/22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Audible And Visible Signal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사용자가 필요에 따라 반복 녹음·재생할 수 있는 안전사고 방지를 위한 음성 안내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음성 안내장치는, 센서와, 센서로부터 신호를 입력받아 전기적 신호를 발생시키는 제어부와, 전원부와, 제어부의 신호를 받아 점멸하는 경광등과, 제어부의 신호를 음성 신호로 변환해주고 음성 녹음 기능을 갖는 음성 제어부와, 음성 제어부의 신호를 송출하는 스피커와, 음성 제어부에 음성 신호를 입력하기 위한 마이크와, 경광등 및 음성 제어부를 컨트롤하기 위한 각종 버튼과, 이들을 포함하는 케이스로 구성된다. 본 고안의 음성 안내장치는, 안전사고를 방지하고자 하는 곳이라면 어디든 간편하게 설치 및 이동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사용자가 직접 안내 음성을 녹음할 수 있어 환경에 알맞은 내용으로 변경 녹음이 가능한 이점이 있으며, 안내 음성과 경광등을 통한 시·청각적 안내가 가능한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음성 안내장치{Apparatus of Voice Guidance}
본 고안은 사고가 발생할 수 있는 위험한 작업장 또는 위험물 보관장소 등에서 작업자의 안전한 업무를 돕기 위한 보조 수단으로, 작업 환경에 맞는 내용을 사용자가 필요에 따라 반복 녹음·재생할 수 있으며, 이동형으로 제작되어 사용자가 설치하고자 하는 장소에 편리하게 이동·설치할 수 있는 것은 물론, 자체 배터리를 내장함으로써 어디서나 사용이 가능하여 사용 장소의 제한이 없는 음성 안내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음성 안내장치는 횡단보도, 엘리베이터, 에스컬레이터, 지하철등의 차량 또는 사람의 유동이 많은 곳에 설치되는 것으로, 횡단보도에서는 보행자에게 현재 신호 상태를 알려주며, 엘리베이터, 에스컬레이터에서는 기기의 작동유무 및 사용시 안전수칙 등을 알려주고, 지하철 등에서는 차량의 위치 및 이동 상태 등을 알려주어 보행자가 현재의 환경을 미리 숙지할 수 있도록 하여 안전사고를 방지해주며, 특히, 현재의 상황을 눈으로 확인할 수 없는 시각 장애인들에게는 눈과 같은 역할을 하여 큰 도움을 주는 장치이다.
상기와 같은 음성 안내장치는 주로 보행자인 사람들을 위한 안내장치이나, 최근에는 건설현장, 도로시설현장, 지하터널공사장 등의 공사 현장 또는 대형 시설물이나 공공장소의 출입구에 설치되어 출입구를 통과하는 사람은 물론 차량에 대해서도 안내 음성을 송출하여 보행자와 차량의 운전자에게 안내를 해주기 위한 용도로도 많이 사용되고 있다.
그리고, 위험장소나 위험물 보관장소의 주위에 설치되어 사람 및 차량의 접근을 방지하기 위한 용도로도 사용되고 있다.
상기와 같은 역할을 하는 음성 안내장치는, 안내하고자 하는 내용이 미리 녹음된 상태로, 설치하고자 하는 장소에 고정식 또는 내장식으로 설치하는 것이 일반적인 것으로, 일정한 시간 간격 또는 물체의 움직임을 감지하여 녹음된 안내 음성이 지속적으로 반복 재생되도록 한 것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 일반적인 음성 안내장치는, 설치하고자 하는 목적에 맞도록 정해진 내용을 녹음실 등에서 전문 성우가 녹음한 후 사용하기 때문에 각각의 용도가 명확히 구분될 수밖에 없는 바, 정해진 장소 외에서는 사용이 불가능할 뿐 아니라, 녹음 내용을 변경할 수 없어 다른 용도로서 사용이 불가능하고, 동일한 용도로 사용하더라도 필요에 따라 녹음 내용을 변경할 수 없기 때문에 안내 내용이 상황에 맞지 않는 경우가 종종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음성 안내장치는 정해진 장소에 고정식으로 설치하거나, 또는 벽면 또는 기기 내에 내장되도록 설치하기 때문에 한번 설치한 후에는 분리가 힘들고, 고장 등에 의해 수리가 필요할 경우에도 설치된 상태에서 수리해야 하기 때문에 작업이 번거로운 단점이 있다.
본 고안은, 종래 음성 안내장치가 가지고 있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 사용자가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손쉽게 설치 및 이동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녹음 내용을 여러 번 변경할 수 있는 것은 물론, 자체 배터리를 내장하기 때문에 외부 전원 공급 없이도 사용할 수 있도록 한 음성 안내장치를 제공함에 본 고안의 목적이 있다.
그리고, 음성 안내 외에도 센서에 의해 작동하는 경광등을 구비하여 청각과 함께 시각적으로도 경고 메세지를 보낼 수 있도록 한 음성 안내장치를 제공함에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의 음성 안내장치는, 전원부를 내장하며 센서에 의해 구동되는 반복 녹음·재생 가능한 본체와, 본체의 저면에 결합되어 지면으로부터 본체를 지지해주는 받침대에 의해 달성된다.
본 고안의 음성 안내장치는, 센서에 의한 신호를 전달받은 제어부에서 경광등과 스피커를 통해 빛과 음성을 송출하여 안전사고 방지에 도움을 주는 장치로, 센서와 제어부는 음성 안내 본체에 내장된 전원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기 때문에 외부의 전원이 따로 필요하지 않으며, 음성 안내 본체를 지면으로부터 지지해주는 받침대를 이용하여 설치하고자 하는 장소 어디에든 간편하게 설치할 수 있는 구조이다.
즉, 본 고안의 음성 안내장치는, 외부의 환경을 감지하는 센서와, 센서로부터 신호를 입력받아 전기적 신호를 발생시키는 제어부와, 센서와 제어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와, 제어부의 신호를 받아 점멸하는 경광등과, 제어부의 전기적 신호를 음성 신호로 변환해주고 음성 녹음 기능을 갖는 음성 제어부와, 음성 제어부의 신호를 송출하는 스피커와, 음성 제어부에 음성 신호를 입력하기 위한 마이크와, 경광등 및 음성 제어부를 컨트롤하기 위한 각종 버튼과, 이들을 포함하는 케이스로 이루어진 안내장치 본체와;
상기 안내장치 본체의 케이스 저면에 상단부가 결합되는 지지대와, 지지대의 하단부에 결합되어 지면으로부터 지지대를 비롯한 안내장치 본체를 지지해주는 바닥판으로 이루어진 받침대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음성 안내장치는, 안내장치 본체 내부에 전원부를 내장할 뿐 아니라 음성 제어부를 통해 사용자가 원하는 음성 내용을 녹음할 수 있어 안전사고 발생지 어디든 설치가 가능하며, 위험시 경광등과 안내 음성을 통해 시각과 청각적으로 경고를 할 수 있어 더욱 효과적인 특징이 있다.
본 고안의 음성 안내장치는, 안전사고를 방지하고자 하는 곳이라면 어디든 간편하게 설치 및 이동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사용자가 직접 안내 음성을 녹음할 수 있어 환경에 알맞은 내용으로 변경 녹음이 가능한 이점이 있다.
그리고, 스피커를 통한 음성 안내 즉 청각적 안내와 동시에 경광등을 이용한 시각적 안내를 할 수 있어 작업자나 차량 운전자 등에게 더욱 확실한 안내를 할 수 있는 장점도 있다.
도 1은 본 고안 음성 안내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 음성 안내장치의 케이스를 연 상태에 대한 사시도.
도 3는 본 고안 음성 안내장치의 구성 블록도.
도 4은 본 고안 음성 안내장치의 실시예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 음성 안내장치의 일부분에 대한 실시예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센서 20: 제어부
30: 전원부 40: 경광등
50: 음성 제어부 51: 음량 제어부
52: 저주파 증폭부 60: 스피커
70: 마이크 80: 케이스
100: 본체 200: 받침대
210: 지지대 220: 바닥판
230: 형광띠 B: 작동 버튼
상기 본 고안의 목적과 기술적 구성을 비롯한 그에 따른 작용 효과에 관한 자세한 사항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는 도면을 참조한 아래의 설명에 의해 명확하게 이해될 것이다.
도 1에 본 고안 음성 안내장치의 사시도를, 도 2에 본 고안 음성 안내장치의 케이스를 연 상태의 사시도를, 도 3에 본 고안 음성 안내장치의 회로 구성 블록도를, 도 4에 본 고안 음성 안내장치의 실시예 사시도를, 도 5에 본 고안 음성 안내장치의 일부분에 대한 실시예 사시도를 도시하였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음성 안내장치는, 외부의 환경을 감지하는 센서(10)와, 센서(10)로부터 신호를 입력받아 전기적 신호를 발생시키는 제어부(20)와, 센서(10)와 제어부(20)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30)와, 제어부(20)의 신호를 받아 점멸하는 경광등(40)과, 제어부(20)의 전기적 신호를 음성 신호로 변환해주고 음성 녹음 기능을 갖는 음성 제어부(50)와, 음성 제어부(50)의 신호를 송출하는 스피커(60)와, 음성 제어부(50)에 음성 신호를 입력하기 위한 마이크(70)와, 경광등(40) 및 음성 제어부(50)를 컨트롤하기 위한 각종 버튼(B)과, 이들을 포함하는 케이스(80)로 이루어지는바, 각 구성요소에 대해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의 음성 안내장치는, 케이스(80) 내부에 제어부(20)를 포함한 전원부(30) 등이 내장된 것으로, 케이스(80)는 각 구성부품들을 안전하게 보호해주어야 하는바, 내구성이 뛰어나며 우천시에도 외부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방수, 방습 가능한 재질로 제작된다.
상기 센서(10)는 안내장치를 기준으로 일정 거리 내에 물체가 접근하면 검출신호를 제어부(20)로 전송하는 것으로, 그 종류로는 초음파, 적외선, 인체 감지, 조도 등을 감지하는 센서 등 환경에 따라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20)는, 각 구성요소가 구현되어 있는 회로기판(PCB)으로, 소정 프로그램이 저장된 메모리 등을 갖는 통상의 마이크로 컴퓨터 칩이 결합되어 있어 본 고안 안내장치 전체를 제어하는 역할을 하며, 센서(10)로부터 신호를 입력받은 후 경광등(40)과 음성 제어부(50)로 신호를 전송해주며, 제어부(20)에 연결된 마이크(70)와 스피커(60)의 작동을 조절해주게 된다.
상기 제어부(20)로부터 신호를 입력받은 경광등(40)은, 점등되면서 외부로 빛을 발산하게 되는바, 작업자 등에게 시각적인 안내 지시를 하게 되는데, 이때, 시각적인 효과를 증대시키기 위하여 경광등(40)이 회전되도록 구성함으로써, 작업자에게 경광등(40)이 반복적으로 점멸되어 보이도록 하는 것이 좋다.
이때, 상기 경광등(40)은, 필요에 따라 탈부착 가능하게 구비할 수 있는바, 아파트의 경비실과 같이 보행자들이 많은 곳 등 불빛이 불필요한 곳에서는 경광등(40)을 분리하여 음성 신호만이 재생되도록 할 수도 있다.
상기 음성 제어부(50)는, 제어부(20)에 연결되어 제어부(20)로부터 전해지는 전기적 신호를 음성신호로 변환하여 스피커(60)로 송출해주고, 마이크(70)를 통해 전달되는 음성을 녹음 저장해주는 것으로, 녹음된 음성 내용이 스피커(60)를 통해 송출될 때 소리의 크기를 증폭시키고 제어하기 위한 음량 제어부(51)와 저주파 증폭부(52) 등이 더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케이스(80) 내에 내장되는 전원부(30)는, 센서(10)와 제어부(20)에 연결되어 본 고안 안내장치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하는 것으로, 충전식 배터리를 이용함으로써 배터리의 소모시 재충전 또는 교체하여 계속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전원부(30)가 배터리로 구성됨에 따라, 설치 장소의 제한이 없음은 물론, 정전시에도 정상적으로 작동 가능한 것이다.
그러나, 필요에 따라 외부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도록 케이스(80)의 외부로 연장된 전선 및 소켓을 구비하여 설치 장소에 따라 외부전원을 공급받아 본 고안의 음성 안내장치를 구동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본 고안의 음성 안내장치에는, 경광등(40)를 조작할 수 있는 경광등용 온/오프 버튼와 스피커를 통해 송출되는 음향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는 볼륨 조절 버튼, 사용자가 원하는 내용을 반복하여 녹음할 수 있는 녹음버튼, 녹음된 내용을 재생하기 위한 재생버튼 등의 각종 작동 버튼(B)들이 구비되는데, 이는 케이스(80)의 내부에 구비될 수 있으며, 케이스(80) 상에 구비되어 외부에서도 조작할 수 있도록 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음성 안내장치는 소형으로 제작되기 때문에 장소에 상관없이 설치가 용이한바, 특정 장소에 거치하거나 고정 결합시켜도 무방하나 거치할 곳이 마땅치 않은 곳에서는 별도의 받침대를 구비하여 설치를 용이하게 함과 동시에 이동도 편리하게 할 수 있다.
즉, 본 고안의 음성 안내장치는, 외부의 환경을 감지하는 센서(10)와, 센서(10)로부터 신호를 입력받아 전기적 신호를 발생시키는 제어부(20)와, 센서(10)와 제어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30)와, 제어부(20)의 신호를 받아 점멸하는 경광등(40)과, 제어부(20)의 전기적 신호를 음성 신호로 변환해주고 음성 녹음 기능을 갖는 음성 제어부(50)와, 음성 제어부(50)의 신호를 송출하는 스피커(60)와, 음성 제어부(50)에 음성 신호를 입력하기 위한 마이크(70)와, 경광등(40) 및 음성 제어부(50)를 컨트롤하기 위한 각종 버튼(B)과, 이들을 포함하는 케이스(80)로 이루어진 음성 안내 본체(100)와;
상기 안내장치 본체(100)의 케이스(80) 저면에 상단부가 결합되는 지지대(210)와, 지지대(210)의 하단부에 결합되어 지면으로부터 지지대(210)를 비롯한 안내장치 본체(100)를 지지해주는 바닥판(220)으로 이루어진 받침대(200)로 구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때, 상기 바형 지지대의 표면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형광물질이 도포된 형광띠(230)를 나선형으로 결합시킴으로써, 작업자에게 시각적인 효과를 더 줄 수도 있다.

Claims (2)

  1. 케이스(80);
    상기 케이스(80) 상에 구비되어, 일정 거리 내에 물체가 접근하는 것을 감지하는 센서(10);
    상기 케이스(80)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센서(10)로부터 신호를 입력받아 전기적 신호를 발생시키는 제어부(20);
    상기 센서(10) 및 상기 제어부(20)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30);
    상기 케이스(80)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제어부(20)의 전기적 신호를 음성 신호로 변환하고, 음성 녹음 기능을 갖는 음성 제어부(50);
    상기 음성 제어부(50)의 음성 신호를 송출하는 스피커(60);
    상기 음성 제어부(50)에 사용자가 원하는 음성 신호를 입력하기 위한 마이크(70);
    상기 케이스(80)의 외부에 탈착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제어부(20)의 전기적 신호를 입력받아 외부로 빛을 발산하는 경광등(40); 및
    상기 음성 제어부(50) 및 상기 경광등(40)의 작동을 조작하기 위한 조작버튼(B);
    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음성 안내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80) 저면에 상단부가 결합되며, 표면에 형광물질이 도포된 형광띠(230)가 나선형으로 결합되는 지지대(210); 및
    상기 지지대(210)의 하단부에 결합되어 지면으로부터 상기 지지대(210)를 비롯한 상기 케이스(80)를 지지하는 바닥판(220)으로 이루어진 받침대(200);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 안내장치.
KR2020090014722U 2009-11-12 2009-11-12 음성 안내장치 KR20090012931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14722U KR20090012931U (ko) 2009-11-12 2009-11-12 음성 안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14722U KR20090012931U (ko) 2009-11-12 2009-11-12 음성 안내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14073A Division KR20090047944A (ko) 2007-11-09 2007-11-09 음성 안내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12931U true KR20090012931U (ko) 2009-12-18

Family

ID=461242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90014722U KR20090012931U (ko) 2009-11-12 2009-11-12 음성 안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012931U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59379B1 (ko) * 2011-09-06 2013-04-30 에스티엑스조선해양 주식회사 베터리가 내장된 이동식 경고등
KR102080500B1 (ko) * 2019-09-16 2020-05-27 (주)클라우드랩 위험 알림 장치 및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59379B1 (ko) * 2011-09-06 2013-04-30 에스티엑스조선해양 주식회사 베터리가 내장된 이동식 경고등
KR102080500B1 (ko) * 2019-09-16 2020-05-27 (주)클라우드랩 위험 알림 장치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636049B2 (en) Emergency notification and directional signaling apparatus
KR101516879B1 (ko) 비상상황 안내기능이 구비된 휴대용 비상조명 등기구
RU97103570A (ru) Схема регулирования электропитания монитора для вычислительной системы и вычислительная система (варианты)
KR200425930Y1 (ko) 비상구 무인유도 장치
KR100789262B1 (ko) 비상구 무인유도 장치
KR20090047944A (ko) 음성 안내장치
KR20090012931U (ko) 음성 안내장치
KR101503381B1 (ko) 복합 기능을 갖는 지팡이
CN102737461A (zh) 一种吸附式多功能红外电子围栏
KR20150093000A (ko) 능동형 rfid를 이용한 시각장애인용 음향신호안내장치
KR102116678B1 (ko) 건설현장 및 산업현장용 위험경고장치
US6127920A (en) Car location indicating and burglarproof alarm device
JP2004311067A (ja) 屋外用照明装置
KR19990047360A (ko) 건설현장내 위험지역의 안전사고 방지방법 및 그 자동경보장치
JP3168921U (ja) 音声警報器
KR101797310B1 (ko) 2차 교통사고 방지용 안전 표시장치
KR20080090871A (ko) 시청각 복합형 피난유도 시스템
KR100971376B1 (ko) 비상조명등
KR100907954B1 (ko) 시각장애인 안내장치
KR20150018082A (ko) 횡단보도의 적색신호횡단 제어장치 및 제어방법
JP5208475B2 (ja) 視覚障害者歩行誘導システム
JP3157973B2 (ja) 防犯装置
KR200495397Y1 (ko) 칼라콘용 안전 경보 장치
KR101272324B1 (ko) 소등 알람장치
KR200376939Y1 (ko) 센서 감지형 자동 점등 및 자동 음향 발생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