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12638A - 휴대 단말기용 커넥터 유닛 및 이를 이용한 휴대 단말기 - Google Patents

휴대 단말기용 커넥터 유닛 및 이를 이용한 휴대 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12638A
KR20090012638A KR1020070076631A KR20070076631A KR20090012638A KR 20090012638 A KR20090012638 A KR 20090012638A KR 1020070076631 A KR1020070076631 A KR 1020070076631A KR 20070076631 A KR20070076631 A KR 20070076631A KR 20090012638 A KR20090012638 A KR 2009001263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connector
signal
pin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766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민준
Original Assignee
(주)케이티에프테크놀로지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케이티에프테크놀로지스 filed Critical (주)케이티에프테크놀로지스
Priority to KR10200700766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12638A/ko
Publication of KR200900126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1263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2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upling with the edge of the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22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upling with the edge of the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upling devices mounted on the edge of the printed circuits
    • H01R12/727Coupling devices presenting arrays of contac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2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upling with the edge of the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22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upling with the edge of the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upling devices mounted on the edge of the printed circuits
    • H01R12/728Coupling devices without an insulating housing provided on the edge of the PCB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33/00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apparatus and having one part acting as a holder providing support and electrical connection via a counterpart which i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apparatus, e.g. lamp holders; Separate parts thereof
    • H01R33/74Devices having four or more poles, e.g. holders for compact fluorescent lamps
    • H01R33/76Holders with sockets, clips, or analogous contacts adapted for axially-sliding engagement with parallely-arranged pins, blades, or analogous contacts on counterpart, e.g. electronic tube socket
    • H01R33/765Holders with sockets, clips, or analogous contacts adapted for axially-sliding engagement with parallely-arranged pins, blades, or analogous contacts on counterpart, e.g. electronic tube socket the terminal pins having a non-circular disposition

Landscapes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전기적인 신호를 전달하는 전원 단자, 접지 단자, D+ 단자, 및 D- 단자로 구성된 제 1 단자부; 및 상기 전원 단자, 상기 접지 단자, 상기 D+ 단자, 및 상기 D- 단자들과 전기적으로 독립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단자를 포함하는 제 2 단자부를 포함하여, 휴대 단말기에 여러 가지 외부장치를 연결하여 사용하고자 할 때 휴대 단말기의 하나의 외부장치 연결 포트에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또한, 디지털 데이터 및 아날로그 데이터의 전달을 수행할 수 있는 휴대 단말기용 커넥터 유닛을 제공할 수 있다.
커넥터, USB, 연결 단자

Description

휴대 단말기용 커넥터 유닛 및 이를 이용한 휴대 단말기{Connector Unit for Mobile Terminal and Mobile Terminla by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휴대 단말기용 커넥터 유닛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외부장치에 범용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커넥터 유닛에 관한 것이다.
휴대 단말기는 노트북, 휴대 미디어 플레이어, 및 휴대 이동통신 단말기등 다양한 제품들을 통칭한다.
점차 휴대 단말기가 다기능화됨에 따라 휴대 단말기와 다양한 외부전자 장치와 정보를 송/수신할 필요성이 높아지고 있다.
국내표준 규격에 의하여 일반적으로 휴대 단말기는 개인용 컴퓨터(PC : Personal Computer)와 정보에 교신하기 위해 휴대 단말기측의 4핀 USB 단자와 컴퓨터측의 24핀 단자로 구성된 커넥터를 사용하고 있다.
이어폰 및 마이크등과 연결하기 위해서는 직경 3.5 mm 스테레오 플러그(3.5Φ ST Plug) 또는 직경 2.5 mm 미니 스테레오 플러그(2.5Φ ST Plug)를 사용하며, 최근에는 7핀 단자 플러그를 사용하여 이어폰, 마이크 및 제어신호를 송/수신하고 있다.
또한, 가정용 전자장치에 대한 리모콘 제어를 위한 적외선 통신부를 연결하기 위한 플러그등 다양한 장비 및 전자기기를 휴대 단말기에 연결을 하여 사용하고 있다.
이에 따라 휴대 단말기에 여러 가지 외부장치를 연결하여 사용하고자 할 때 외부장치에 따른 각각의 연결 포트를 휴대 단말기에 구성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국내에서는 TTA 표준 규격에 의하여 24핀 단자 커넥터를 아래 [표 1]과 같이 구성하여 다양한 외부장치와의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도록 제공하고 있다.
핀번호 신호명 입출력 구분 비 고
1 BATTERY ID 입력신호 충전
2 HANDS-FREE MODE 입력신호 3.3V 이하 신호
3 DSR 출력신호 테이터 통신
4 POWER(+5.0V) 전원 충전
5 POWER(+5.0V) 전원 충전
6 ON SWITCH 입력신호 제조사 기판 시험용
7 AUDIO IN / PCM RX 입력신호 평균 100mV / 1kHz / PCM수신
8 OPTION / PCM CLOCK 출력신호 선택 / 디지털 핸즈프리
9 OPTION / PCM SYNC 출력신호 선택 / 디지털 핸즈프리
10 OPTION / USB D- 입력신호 선택 / USB 데이터
11 AUDIIO OUT / PCM TX 출력신호 평균 100mV / 1kHz / PCM송신
12 POWER GROUND 전원 충전
13 RXD 입력신호 데이터 통신
14 TXD 출력신호 데이터 통신
15 OPTION / USB D+ 출력신호 선택 / USB 데이터
16 USB POWER(+5.0V) 전원 USB 전원 입력(T/R 내장)
17 DCD 출력신호 데이터 통신
18 RI 출력신호 데이터 통신
19 POWER GROUND 전원 충전
20 RFR : RTS 출력신호 데이터 통신
21 POWER(+4.2V) / SWB+ 전원 충전 / 단말기로부터 전원 공급
22 POWER(+4.2V) / SWB+ 전원 충전 / 단말기로부터 전원 공급
23 CTS 입력신호 데이터 통신
24 DTR 입력신호 데이터 통신
그러나, 상기 TTA 표준 규격 24핀 단자 커넥터에 대응되는 외부장치 연결을 위한 표준 규격 4핀 USB 커넥터는 개인용 컴퓨터(PC)와의 데이터 교환을 주 목적으로 하고 있으므로 [표 1]의 24핀 중 10번, 15번, 16번 및 19번만을 사용하고 있다.
이에 따라, 표준 규격 4핀 USB 커넥터를 사용하는 경우는 디지털 데이터의 교환을 목적으로 하는 외부장치외에 이어폰 또는 마이크와 같은 아날로그 신호의 교환이 필요한 경우에는 사용할 수가 없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 표준 규격 4핀 USB 커넥터의 단자 구성은 아래 [표 2]와 같다.
핀번호 신호명 비고(대응되는 24핀 단자 핀번호)
1 VBUS VDD(전원) (16번)
2 D- 데이터 신호 (10번)
3 D+ 데이터 신호 (15번)
4 GND GROUND (19번)
따라서, 표준 규격 24핀 단자 커넥터와 표준 규격 4핀 단자 커넥터로 구성된 커넥터 케이블을 개인용 컴퓨터(PC)외에 범용적으로 외부장치와 연결하는데 사용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이어폰 또는 마이크와 같은 외부장치의 휴대 단말기용 연결단자를 표준 규격 24핀 단자 커넥터의 형상으로 구성하여, 상기 [표 1]의 핀번호 7번 및 11번에 연결하여 사용할 수도 있으나, 커넥터의 크기가 커지는 문제점이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종래의 커넥터 케이블의 문제점을 설명한다.
도 1은 종래기술에 의한 커넥터 및 그 단자에 대한 사시도와 단자부를 확대한 도면이며, 도 2는 도 1에 의한 커넥터를 사용한 휴대 단말기와 외부 장치를 연결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휴대단말기(1100)와 개인용 컴퓨터(1200)의 신호 전달을 위한 커넥터 유닛(100)은 표준 규격에 의한 4핀 USB 커넥터(110), 표준 규격에 의한 24핀 커넥터(120) 및 각 커넥터를 연결하는 커넥터 케이블(130)로 구성된다.
표준 규격에 의한 4핀 USB 커넥터(110)는 일반적으로 개인용 컴퓨터(1200)의 USB용 포트(1210)에 연결되며, 표준 규격에 의한 24핀 커넥터(120)는 일반적으로 휴대 단말기(1100)의 24핀용 포트(1110)에 연결된다.
4핀 USB 커넥터(120)는 핀번호 1번에 대응되어 VDD 전원을 전달하는 단자(111a), 2번에 대응되어 D- 데이터 신호를 전달하는 단자(111b), 3번에 대응되어 D+ 데이터 신호를 전달하는 단자(111c), 및 4번에 대응되어 GROUND 신호를 전달하는 단자(111d)로 구성된 단자부(111)와 단자 보호부(112) 및 커넥터 케이스(113)로 구성된다.
24핀 커넥터(110)의 단자는 4핀 USB 커넥터(120)의 핀번호 2번(111b)에 대응되어 D- 데이터 신호를 입력받는 10번 단자 및 4핀 USB 커넥터(120)의 핀번호 3번(111c)에 대응되어 D+ 데이터 신호를 출력하는 15번 단자를 포함하여, 개인용 컴퓨터(1200)와 휴대단말기(1100) 간의 디지털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한편, 이어폰(1300) 또는 마이크등 외부장치(미도시)와의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연결방법이 필요하다.
이어폰(1300)의 경우 휴대단말기(1100)에서 처리된 디지털 데이터를 외부로 출력함에 있어 내장된 D/A 변환기에 의해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여 이어폰용 연결 포트(1120)를 통하여 외부로 전송을 하게 되며, 이어폰(1300)에 구비된 직경 3.5 mm 스테레오 플러그(3.5Φ ST Plug), 직경 2.5 mm 미니 스테레오 플러그(2.5Φ ST Plug), 또는 7핀 단자 플러그로 구성된 이어폰용 커넥터(1310)를 통하여 휴대단말기(1100)의 이어폰용 연결포트(1120)에 체결되어 휴대단말기에서 전송되는 아날로그 신호를 스피커를 통하여 음성정보로 외부에 송출하게 된다.
따라서, 이어폰용 커넥터(1310)를 개인용 컴퓨터(1200)에 주로 사용되는 4핀 USB 커넥터(110)에 대응되게 구성하여 휴대단말기(1100)와 연결하면, 휴대단말기(1100)에서 출력된 디지탈 신호를 수신한 이어폰(1300)에 D/A 변환기를 내장하지 않는 경우에는 스피커를 통한 음성정보를 외부에 송출할 수 없게 되며, 만약 D/A 변환기를 이어폰(1300)에 내장하게 되면, 이어폰(1300)의 비용이 높아지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휴대 단말기에 여러 가지 외부장치를 연결하여 사용하고자 할 때 외부장치에 따른 각각의 연결 포트를 휴대 단말기에 구성하여야 하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4핀 USB 커넥터를 사용하는 경우는 디지털 데이터의 교환을 목적으로 하는 외부장치외에 이어폰 또는 마이크와 같은 아날로그 신호의 교환이 필요한 경우에는 사용할 수가 없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이어폰 또는 마이크와 같은 외부장치의 휴대 단말기용 커넥터의 크기가 커지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용 커넥터 유닛은, 전기적인 신호를 전달하는 전원 단자, 접지 단자, D+ 단자, 및 D- 단자로 구성된 제 1 단자부; 및 상기 전원 단자, 상기 접지 단자, 상기 D+ 단자, 및 상기 D- 단자들과 전기적으로 독립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단자를 포함하는 제 2 단자부를 포함한다.
상기 제 2 단자부는 적어도 5개의 단자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 2 단자부에 포함되는 단자는 상기 제 1 단자부의 외곽에 각각 적어도 하나의 단자들과 상기 전원단자, 상기 D+ 단자, 및 상기 D- 단자들 사이에 각각 적어도 하나의 단자들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 2 단자부는 컴퓨터의 USB 포트에 체결될 경우 상기 USB 포트에 포함된 단자와 전기적으로 독립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 2 단자부는 적어도 하나의 아날로그 신호를 전달하는 단자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용 커넷터 유닛은, 전기적인 신호를 전달하는 전원 단자, 접지 단자, D+ 단자, 및 D- 단자를 포함하는 4핀 USB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전원 단자, 상기 접지 단자, 상기 D+ 단자, 및 상기 D- 단자들과 전기적으로 독립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추가 단자를 포함한다.
상기 추가 단자는 적어도 2개 이상으로 구성되고, 적어도 하나는 아날로그 신호를 전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은, 상기 휴대 단말기용 커넥터 유닛을 이용하여 외부장치와 전기적 신호를 전달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휴대 단말기에 여러 가지 외부장치를 연결하여 사용하고자 할 때 휴대 단말기의 하나의 외부장치 연결 포트에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휴대 단말기의 하나의 외부장치 연결 포트를 사용하여 디지털 데이터 및 아날로그 데이터의 전달을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휴대 단말기에 연결하는 외부장치의 휴대 단말기용 커넥터의 크기를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 및 그 단자에 대한 사시도를 도시한 것으로, 커넥터 유닛(도 4의 200)의 외부장치 연결 커넥터(210)는 제 1 단자부(211)와 제 2 단자부(214)로 구성된 단자부와 이를 외부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단자보호부(212) 및 커넥터 케이스(213)로 구성된다.
도 3의 좌측 상단의 단면도는 좌측 하단에 도시된 외부장치 연결 커넥터(210)의 평면도에서 B-B' 절단선에 따른 단면을 도시한 것으로, 제 1 단자부(211)과 제 2 단자부(214)의 배치를 보여주고 있다.
도 3의 우측 분해도는 좌측 하단에 도시된 외부장치 연결 커넥터(210)의 평면도에서 단자보호부(212)의 일부를 제거한 모습을 도시한 것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 1 단자부(211)에 포함되는 단자들(211a, 211b, 2llc, 211d)과 제 2 단자부(214)에 포함되는 단자들(214a, 214b, 214c, 214d, 214e)의 배치를 보여주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4핀 USB 커넥터의 경우, 제 2 단자부(214)를 포함하지 않고, 제 1 단자부(211), 단자보호부(212) 및 커넥터 케이스(213)로만 구성되며, 제 1 단자부(211)는 아래 [표 3]에서와 같이 VDD 전원을 전달하는 단자(211a), D- 데이터 신호를 전달하는 단자(211b), D+ 데이터 신호를 전달하는 단자(211c), 및 GROUND 신호를 전달하는 단자(211d)로 구성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는 상기 4핀 USB 커넥터의 제 1 단자부(211)의 각 단자들 사이의 공간을 이용하여 추가 단자를 구성함으로써 4핀 USB 커넥터가 디지털 신호의 전달만을 제공하는 것에 추가적인 디지털 신호 또는 아날로그 신호를 휴대 단말기와 외부장치간에 전달할 수 있도록 구성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 단자(핀번호)에 대한 활용방법은 아래 [표 3]과 같이 구분하여 사용할 수 있다.
도면부호 신호명 비고
211a VBUS 표준규격에 의한 VDD(전원) 라인
211b D- 표준규격에 의한 데이터 신호 라인
211c D+ 표준규격에 의한 데이터 신호 라인
211d GND 표준규격에 의한 GROUND 라인
214a ST-R+ 출력 RIGHT STEREO 신호 라인
214b ST-L+ 출력 LEFT STEREO 신호 라인
214c ST-R- 입력 RIGHT STEREO 신호 라인
214d ST-L- 입력 LEFT STEREO 신호 라인
214e CTL 입력 휴대단말기 제어신호 라인
도 4와 도 5는 도 3에 의한 커넥터 유닛을 사용한 휴대 단말기와 외부 장치를 연결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커넥터 유닛(200)은 외부장치 연결 커넥터(210), 단말기 연결 커넥터(220) 및 각 커넥터를 상호 연결하기 위한 커넥터 케이블(230)로 구성된다.
표준 규격에 의한 4핀 USB 커넥터는 일반적으로 개인용 컴퓨터(2200)의 USB용 포트(2210)에 연결되며, 표준 규격에 의한 24핀 커넥터는 일반적으로 휴대 단말기(2100)의 24핀용 포트(2110)에 연결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 단말기 연결 커넥터(220)를 표준 규격에 의한 24핀 커넥터로 사용하는 경우, 배경기술에서 설명한 [표 1]의 24핀 커넥터 단자 구성도를 참고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단말기 연결 커넥터(220)에 해당하는 24핀 커넥터의 D- 데이터 신호를 입력받는 핀번호 10번 단자는 외부장치 연결 커넥터(210)의 신호명 D-단자(111b)에 대응되게 연결하고, D+ 데이터 신호를 출력하는 핀번호 15번 단자는 외부장치 연결 커넥터(210)의 신호명 D+단자(111c)에 대응되게 연결한다.
또한, 외부장치 연결 커넥터(210)의 신호명 VBUS 단자(211a) 및 신호명 GND 단자(211d)는 단말기 연결 커넥터(220)에 해당하는 24핀 커넥터의 핀번호 16번 및 12번에 대응되게 연결된다.
상기 설명에 의한 제 1 단자부의 구성 및 연결은 종래 기술의 4핀 USB 커넥터와 24핀 커넥터간의 연결 방법을 사용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하여 휴대 단말기(2100)와 개인용 컴퓨터(2200)를 4핀 USB 포트(2210)를 통하여 종래의 방법과 동일하게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제 1 단자부(211)의 구성외에 [표 3]에서와 같이 제 2 단자부(214)를 구성하여 추가 단자를 형성함으로써, 개인용 컴퓨터(2200)와의 디지털 데이터 전달이 아닌 이어폰(2300) 또는 마이크(미도시)와 같은 외부장치와의 신호 전달을 할 수 있다.
이어폰(2300)은 휴대 단말기(2100) 내에서 디지털 전기 신호를 D/A 변환기를 통하여 변환된 아날로그 신호를 전달받아 이어폰(2300)에 내장된 스피커를 통하여 외부로 음성 출력하며, 마이크(미도시)는 외부의 음성을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여 휴대 단말기(2100)로 입력하게 되면, 휴대 단말기(2100) 내에서 A/D 변환기를 통하여 변환된 디지털 신호를 처리하여 통신 또는 저장등의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따라서, [표 3]의 외부장치 연결 커넥터(210)의 제 2 단자부(214)에 대한 구성은 다음과 같이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변형된 구성도 가능할 것이다.
신호명 ST-R+(214a)는 외부장치가 이어폰(2300)인 경우 제 1 음성신호 출력을, 신호명 ST-L+(214b)는 외부장치가 이어폰(2300)인 경우 제 2 음성신호 출력을, 신호명 ST-R-(214c)는 외부장치가 마이크(미도시)인 경우 제 1 음성신호 입력을, 신호명 ST-L-(214d)는 외부장치가 마이크(미도시)인 경우 제 2 음성신호 입력을, 신호명 CTL(214e)는 외부장치로부터 휴대 단말기(2100)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의 입력을 담당하도록 구성한다.
이렇게 구성된 외부장치 연결 커넥터(210)는 외부장치가 이어폰(2300)인 경우 도 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이어폰(2300)의 플러그(2310)의 형상이 직경 3.5 mm 스테레오 플러그(3.5Φ ST Plug), 직경 2.5 mm 미니 스테레오 플러그(2.5Φ ST Plug), 또는 7핀 단자 플러그인 경우 추가 커넥터 유닛(300)을 통하여 연결할 수 있으며, 또한, 도 5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이어폰(2300)의 플러그(2320)를 외부장치 연결 커넥터(210)에 대응되는 형상 및 단자 구성을 통하여 연결할 수 있다.
추가 커넥터 유닛(300)은 외부장치 연결 커넥터(210)를 삽입하고 단자가 연결되도록 구성된 제 1 삽입부(310), 이어폰(2300)의 플러그(2310)를 삽입하고 단자가 연결되도록 구성된 제 2 삽입부(320) 및 각 삽입부의 단자를 연결하는 케이블(330)로 구성한다.
단말기 연결 커넥터(220)는 도 4 및 도 5에서는 발명에 대한 설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표준 규격 24핀 커넥터를 도시하였으나, 어떠한 형태의 구성이어도 가능하며, 또한, 휴대 단말기(2100)의 단말기 연결 커넥터(220)를 삽입할 연결 포트(2110) 역시 24핀용 포트로 도시하였으나, 단말기 연결 커넥터(220)의 형상 및 단자 구성에 대응되도록 변형이 가능하다.
제 2 단자부(214)의 구성은 일 실시예로써 [표 3]과 같이 구성할 수 있으며, 또한, 변형된 다른 형태의 구성도 가능하다.
도 1은 종래기술에 의한 커넥터 및 그 단자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의한 커넥터 유닛을 사용한 휴대 단말기와 외부 장치를 연결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 및 그 단자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에 의한 커넥터 유닛을 사용한 휴대 단말기와 외부 장치를 연결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도 3에 의한 커넥터 유닛을 사용한 휴대 단말기와 외부장치를 연결하는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0 : 커넥터 유닛, 210 : 외부장치 연결 커넥터,
211 : 제 1 단자부, 214 : 제 2 단자부,
220 : 단말기 연결 커넥터, 230 : 커넥터 케이블.

Claims (8)

  1. 전기적인 신호를 전달하는 전원 단자, 접지 단자, D+ 단자, 및 D- 단자로 구성된 제 1 단자부; 및
    상기 전원 단자, 상기 접지 단자, 상기 D+ 단자, 및 상기 D- 단자들과 전기적으로 독립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단자를 포함하는 제 2 단자부를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용 커넥터 유닛.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단자부는 적어도 5개의 단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용 커넥터 유닛.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단자부에 포함되는 단자는 상기 제 1 단자부의 외곽에 각각 적어도 하나의 단자들과 상기 전원단자, 상기 D+ 단자, 및 상기 D- 단자들 사이에 각각 적어도 하나의 단자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용 커넥터 유닛.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단자부는 컴퓨터의 USB 포트에 체결될 경우 상기 USB 포트에 포함된 단자와 전기적으로 독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용 커넥터 유닛.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단자부는 적어도 하나의 아날로그 신호를 절달하는 단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용 커넥터 유닛.
  6. 전기적인 신호를 전달하는 전원 단자, 접지 단자, D+ 단자, 및 D- 단자를 포함하는 4핀 USB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전원 단자, 상기 접지 단자, 상기 D+ 단자, 및 상기 D- 단자들과 전기적으로 독립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추가 단자를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용 커넥터 유닛.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추가 단자는 적어도 2개 이상으로 구성되고, 적어도 하나는 아날로그 신호를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용 커넥터 유닛.
  8. 제 1항 내지 제 7항의 휴대 단말기용 커넥터 유닛을 이용하여 외부장치와 전기적 신호를 전달하는 휴대 단말기.
KR1020070076631A 2007-07-31 2007-07-31 휴대 단말기용 커넥터 유닛 및 이를 이용한 휴대 단말기 KR2009001263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76631A KR20090012638A (ko) 2007-07-31 2007-07-31 휴대 단말기용 커넥터 유닛 및 이를 이용한 휴대 단말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76631A KR20090012638A (ko) 2007-07-31 2007-07-31 휴대 단말기용 커넥터 유닛 및 이를 이용한 휴대 단말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12638A true KR20090012638A (ko) 2009-02-04

Family

ID=406833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76631A KR20090012638A (ko) 2007-07-31 2007-07-31 휴대 단말기용 커넥터 유닛 및 이를 이용한 휴대 단말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012638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39639B1 (ko) * 2011-11-07 2014-09-11 애플 인크. 외부 콘택트를 갖는 듀얼 오리엔테이션 전자 커넥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39639B1 (ko) * 2011-11-07 2014-09-11 애플 인크. 외부 콘택트를 갖는 듀얼 오리엔테이션 전자 커넥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723390B2 (en) Earbud charging case for mobile device
EP2089805B1 (en) Enhanced communication via a serial interface
US8762605B2 (en) Adapter for electronic devices
EP1908327B1 (en) Electronic interfacing with a head-mounted device
EP2597844B1 (en) Method and device for sharing micro-usb interface between earphone and usb
US7663805B2 (en) Eyewear display and media device interconnection system
US20150245126A1 (en) Earbud charging case for mobile device
TWM550006U (zh) 無線耳機組
WO2016037576A1 (zh) 一种多功能耳机
WO2016135481A1 (en) Connectors for audio data transfer
EP1519620A2 (en) Digital audio player
KR101745898B1 (ko) 사용자단말기와의 일체형 충전구조를 갖는 유무선 겸용 블루투스 이어폰
CN109218892A (zh) 一种头带式充电设备及头戴式无线耳机系统
WO2015126611A1 (en) Earbud charging case for mobile device
CN204244456U (zh) 耳机
EP4224327A2 (en) Cable chip system
EP3804352B1 (en) A headset system with a headset and a control box
US20170111724A1 (en) Dual Purpose Power and Headset Interface System
EP3541091A1 (en) Headset
KR20090012638A (ko) 휴대 단말기용 커넥터 유닛 및 이를 이용한 휴대 단말기
CN103369419A (zh) 带线绳音频装置
US20080181286A1 (en) Hand-held wireless device with a PCIE interface
US20050131560A1 (en) Connection for audio transfer
KR101006160B1 (ko) 유에스비 커넥터를 위한 멀티 젠더
KR102536143B1 (ko) 안테나 연결이 가능한 커넥터 및 이를 구비한 전자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