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11959U - 천정등의 반사판 - Google Patents

천정등의 반사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11959U
KR20090011959U KR2020080006606U KR20080006606U KR20090011959U KR 20090011959 U KR20090011959 U KR 20090011959U KR 2020080006606 U KR2020080006606 U KR 2020080006606U KR 20080006606 U KR20080006606 U KR 20080006606U KR 20090011959 U KR20090011959 U KR 20090011959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flector
ceiling lamp
ceiling
reflecting plate
l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8000660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영수
Original Assignee
김영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수 filed Critical 김영수
Priority to KR202008000660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11959U/ko
Publication of KR2009001195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11959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7/00Reflectors for light sources
    • F21V7/22Reflectors for light sources characterised by materials, surface treatments or coatings, e.g. dichroic reflectors
    • F21V7/24Reflectors for light sources characterised by materials, surface treatments or coatings, e.g. dichroic reflector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8/00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 F21S8/04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intended only for mounting on a ceiling or the like overhead structur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1/00Supporting, suspending, or attaching arrangements for lighting devices; Hand grips
    • F21V21/02Wall, ceiling, or floor bases; Fixing pendants or arms to the bases
    • F21V21/03Ceiling bases, e.g. ceiling ro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천정등 반사판에 관한 것으로서, 종래의 천정등 반사판은 단순히 조사되는 빛을 주위에 반사할 수 있는 금속재인 박판을 사용하거나, 유리재 또는 수지재로 하여 그 표면에 반사필름을 씌워 조사되는 빛을 반사시키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천정등 반사판은 단순히 조사되는 빛을 반사시키는 효과만 있을 뿐, 요즘과 같이 개성을 중요시하는 사용자 또는 수요자로부터 천정등의 구매욕구를 충족시키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은 첨부된 예시도에 표현된 바와 같이, 천정등본체와 반사판과 커버로 이루어진 천정등에 있어서, 상기 반사판은 아크릴소재와 유리소재 중 하나의 소재로 형성하되, 상기 반사판은 투명성을 지니게 하고 그 두께는 5㎜이상 10㎜이하로 하며, 그 이면에 체크무늬층·줄무늬층·방사무늬증 중 하나를 선택하여 실크인쇄를 함으로서 반사판의 무늬층은 사용자의 보는 시각에 따라 시각적으로 입체감을 일으키게 되어 사용자로 하여금 시각적인 심미감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천정등, 반사판, 커버, 체크무늬, 줄무늬

Description

천정등의 반사판{Reflecting plate for ceiling lamp}
본 고안은 천정등의 반사판에 관한 것으로서, 이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천정등의 구성요소인 반사판을 일정한 두께를 이루고 있는 투명의 아크릴로 하여 그 이면에 특정한 무늬를 갖추게 함으로써, 시각적으로 반사판의 이면에 형성된 무늬가 입체감을 일으켜 사용자로 하여금 보다 심미감을 느낄 수 있도록 한 천정등의 반사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천정등은 천정에 설치되어 실내의 밝히는 조명기구로서, 상기와 같은 조명기구는 백열등이나 형광등(이하 "전구"라고 함)이 외부에 노출되는지 여부에 따라 크게 내장형과 외장형으로 구분된다.
여기서, 본 고안에 따른 천정등의 반사판은 전구가 외부에 노출되는 않는 내장형 천정등에 관한 것으로, 그 구조는 천정에 부착되는 케이스과 상기 케이스의 내부가 외부에 노출되지 않도록 하는 커버로 이루어져 있으며, 최근 들어서는 천정등의 디자인을 보다 돋보이게 하기 위하여 케이스과 커버 사이에 반사판을 설치하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케이스에는 전구에 안정적으로 전기를 공급하기 위한 안전기가 설치되 며, 실내등인 전구와 취침등을 점등 또는 소등시키기 위한 다단 점멸스위치가 설치되고, 반사판은 케이스을 부분적으로 덮으면서 설치된 전구의 빛을 보다 미려하게 조사시키기 위해 설치되며, 상기 커버는 반사판과 결합을 이루어 케이스의 내부가 외부와 차단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천정등과 관련된 기술은 십수년 전부터 다양하게 개발되어 실생활에 폭넓게 활용되고 있으며, 최근 들어서는 천정등을 설치하여 사용하는 수요자들이 독특한 분위기를 연출할 수 있는 천정등을 선호하고 있어 생산자들은 천정등의 구성 요소중 반사판을 다양하게 개발하여 조사되는 빛의 심미감을 향상시키면서 반사판이 독특한 형상을 이루게 하여 소비자들의 욕구를 충족시키고 있다.
상기와 같은 반사판은 등록특허 제6820745호(이하 "종래발명" 이라 함)외 수십 건, 등록실용신안 제320079호(이하 "종래고안" 이라 함)외 수십 건이 개발되어 있으며, 이러한 반사판들은 천정등을 이루는 구성요소로서 조립성을 좋게 한다든지 설치하는데 설치 작업성을 좋게 하기 위한 목적과, 반사판의 표면에 홀로그램문양층을 증착시켜 조사되는 전구의 빛에 의해 보는 각도에 따라 독특한 모양이 나타나보다 심미감을 향상시킬 목적으로 개발되어 왔다.
상기와 같은 목적으로 개발된 반사판에 대해 예를 들어 설명하면 상기 종래발명은 하면에 곡면부를 갖는 본체와; 상기 곡면부의 양단에 이격되게 각각 장착되는 한 쌍의 등결합부와; 상기 등결합부의 내측에 끼워지는 전등과; 상기 곡면부에 밀착된 상태로 상기 등결합부에 양단이 각각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면서 상기 전등의 둘레에 구비는 회전반사판으로 천정등을 구성함으로써, 분해 및 재설치 작업을 하지 않고도 조명각도를 용이하게 조정할 수 있으며, 조립이 간편하고, 회전반사판에 의해 필요에 따라 천정등의 내부를 손쉽게 청소할 수 있어 청결유지를 할 수 있으며, 특히 임의적으로 간단하게 회전할 수 있는 회전반사판을 설치함으로서 전구에서 발생하는 열이 외부로 쉽게 발산됨으로 등커버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또한, 상기 종래고안은 형광등이나 기타 조명등과 같은 조명기구의 일측으로 설치되어 조명등의 빛을 반사시키는 조명등의 빛을 반사시키는 조명등 반사판의 표면으로 홀로그램문양층을 형성하여 조명등 반사판으로 발산되는 빛을 효과적으로 반사되도록 함에 따라, 실내의 조도를 일층 향상시킴은 물론 외관상으로도 보다 수려하게 변화되도록 한 것이다.
그러나, 종래발명은 전구의 조명을 필요한 방향으로 조사되도록 반사판을 회전식으로 함으로 전구의 조명을 원하는 방향으로 조정을 할 수 있으나, 그 구조가 복잡하고 반사판 자체의 심미감을 향상시키기에는 미흡한 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고안은 반사판의 표면에 홀로그램문양층을 증착시킴으로서, 전구로 부터 발산되는 빛을 현란한 빛으로 반사시키는 효과는 있으나, 반사판의 표면에 홀로그램문양층을 증착시키는 공정은 매우 까다로울 뿐만 아니라 공정상 과다한 제작비용으로 인해 비경제적인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은 종래의 발명과 고안이 지닌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천정등의 구성요소인 반사판을 일정한 두께이상의 투명체로 하여 그 이면에 특정한 무늬를 각인함으로서 시각적으로 각인된 무늬가 입체감을 일으키게 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보다 미감을 느낄 수 있도록 한 천정등의 반사판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천정등의 구성요소인 케이스과 커버 사이에 반사판을 설치하되, 상기 반사판은 두께가 5㎜ 내지 10㎜인 투명의 아크릴 소재로 형성하고, 그 이면에 체크무늬·줄무늬·방사형무늬 중 하나의 무늬를 실크인쇄함으로서, 전구에서 발산된 빛이 반사판에 조사되면 일정 두께를 이루고 있는 투명아크릴로 형성된 반사판의 이면에 인쇄된 무늬가 시각적으로 입체적으로 보이게 되어 전체적인 천정판의 심미감이 향상되도록 한 것이다.
이상과 같이 천정등에 설치되어 있는 반사판을 두께가 5㎜ 내지 10㎜인 투명의 아크릴 소재로 형성하고, 그 이면에 체크무늬·줄무늬·방사형무늬 중 하나의 무늬를 갖추게 함으로서, 시각적으로 반사판의 이면에 형성된 무늬가 투명의 아크릴을 통해 보이게 되어 입체감을 일으키게 되면서 전구의 조사되는 빛이 반사됨으로 독특한 분위기의 심미감을 느낄 수 있어 각 개인의 개성을 중요시하는 소비자들의 욕구를 충족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고안에 대하여 첨부된 예시도를 참고로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예시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반사판이 설치된 천정등의 일 예를 들은 사시도 이고, 예시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반사판이 설치된 천정등의 분해 사시도 이며, 예시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반사판이 설치된 천정등의 종 단면도이고, 예시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반사판이 설치된 천정등의 다른 일 예의 분해 사시도 이며, 예시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반사판이 설치된 천정등의 또 다른 일 예의 분해 사시도 이다.
상기 도면에 표현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천정에 부착되는 케이스와, 전구의 빛을 반사시키는 반사판과, 케이스와 결합되어 케이스의 내부가 외부에 노출되지 않도록 하는 커버로 이루어진 공지의 천정등에 있어서, 상기 반사판(100)은 아크릴소재와 유리소재 중 하나의 소재로 형성하되, 상기 반사판(100)은 투명성을 지니게 하고, 그 두께는 5㎜이상 10㎜이하로 하며, 그 이면에 체크무늬층·줄무늬층·방사 무늬층 중 하나로 이루어진 무늬층(110)을 갖추게 하여 시각적으로 각인된 무늬층(110)이 입체감을 일으키도록 한 것이다.
상기 도면 중 미 설명부호 1은 천정에 부착되는 천정등의 케이스이고, 2는 천정에 부착된 케이스(1)를 덮어주는 커버이며, 3은 커버(2)를 결합시키기 위해 케이스(1)에 설치되어 있는 결합 보울트 이고, 4는 케이스(1)의 내부에 설치되어 전구가 결합되는 소켓이며, 5는 케이스(1)에 설치된 소켓(4)에 결합되는 전구이고, 6은 반사판(100)을 일정위치에 고정시키는 위한 박판형의 텐션스프링이며, 7는 너트홈이 형성되어 케이스(1)와 결합을 이루는 커버(2)를 고정시키는 고정캡 이다.
예시도 1 내지 예시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반사판이 설치된 천정등의 일 예를 나타내기 위한 사시도와 분해사시도 그리고 종 단면도로서, 상기 도면에 표현된 바와 같이, 천정에 케이스(1)가 보울트에 의해 결합되어 일체를 이루고, 케이스(1)의 내부에는 소켓(4)이 설치되어 빛을 발산하는 전구(5)가 설치된다.
상기 케이스(1)의 중앙에는 커버(2)를 결합시키기 위한 결합보울트(3)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결합보울트(3)에 커버(2)가 끼워지고 내측으로 너트홈이 형성된 고정캡(7)에 의해 일체를 이루게 되는데, 이때 케이스(1)와 커버(2) 사이에 반사판(100)이 설치된다.
상기 반사판(100)에는 박판형의 텐션스프링(6)이 설치되어 지되, 상기 텐션스프링(6)은 커버(2)의 외주연과 일치하는 위치에 설치되어 있어 커버(2)가 고정캡(7)에 의해 케이스(1)와 일체를 이루게 되면 커버의 외주연이 반사판(100)의 텐션스프링(6)과 밀착되며 일체를 이루게 되어 반사판은 일정 위치에서 안정된 상태 를 이루게 되며, 특히 텐션스프링(6)에 의해 반사판(100)과 커버(2) 사이에 일정 간격을 이루게 된다.
상기와 같이 케이스(1)와 커버(2) 사이에 설치된 반사판(100)은 5㎜에서 10㎜의 두께를 갖춘 투명의 아크릴소재 또는 유리소재 중 하나의 소재로 이루어져 있으며, 그 이면에 무늬층(110)이 갖춰지되, 상기 무늬층(110)은 체크무늬층·줄무늬층·방사무늬층 중 하나인 체크무늬로 무늬층(110)이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반사판(100)의 소재는 작업성과 설치 후 사용상의 안전성을 고려할 때, 투명의 아크릴소재로 할 경우에 작업성 면에서는 중량이 다른 소재에 비해 경량이므로 조립작업을 하거나 천정에 설치하는데 용이하며, 사용상의 안전성 면에서는 천정등에 설치되어 있는 전구(5)를 교환하고자 할 때, 취급 부주의로 반사판이 떨어지더라도 파손되지 않는 등의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어 반사판(100)의 소재는 투명의 아크릴소재가 바람직하다.
예시도 4 내지 예시도 6은 천정등에 설치되는 본 고안에 따른 반사판의 또 다른 예들을 표현한 것으로서, 반사판의 이면에 체크무늬와 줄무늬 또는 방사무늬를 실크인쇄방식을 통해 무늬층을 형성함으로써, 무늬층(110) 형성을 위한 작업공정과 그에 따른 제작비용을 절감할 수 있으며, 특히 필요에 따라 다양한 무늬층(110)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반사판(100)의 이면에 형성된 무늬층(110)은 사용자가 반사판(100)의 표면을 통해 이면에 인쇄된 무늬층(110)이 투시됨으로 사용자가 바라보는 시각에 따라 시각적으로 무늬층(100)이 입체적으로 나타나게 되어 전체적으로 천정에 설치된 천정등의 심미감이 향상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반사판이 설치된 천정등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반사판이 설치된 천정등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반사판이 설치된 천정등의 종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반사판이 설치된 천정등의 다른 예의 분해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반사판이 설치된 천정등의 또 다른 예의 분해사시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반사판이 설치된 천정등의 또 다른 예의 분해사시도 이다.
<도면 중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반사판,
110 - 무늬층.

Claims (1)

  1. 천정에 부착되는 케이스와, 전구의 빛을 반사시키는 반사판과, 케이스와 결합되어 케이스의 내부가 외부에 노출되지 않도록 하는 커버로 이루어진 공지의 천정등에 있어서, 상기 반사판(100)은 아크릴소재와 유리소재 중 하나의 소재로 형성하되, 상기 반사판(100)은 투명성을 지니게 하고, 그 두께는 5㎜이상 10㎜이하로 하며, 그 이면에 체크무늬층·줄무늬층·방사무늬층 중 하나로 이루어진 무늬층(110)을 갖추게 하여 시각적으로 각인된 무늬층(110)이 입체감을 일으키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정등의 반사판.
KR2020080006606U 2008-05-21 2008-05-21 천정등의 반사판 KR20090011959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06606U KR20090011959U (ko) 2008-05-21 2008-05-21 천정등의 반사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06606U KR20090011959U (ko) 2008-05-21 2008-05-21 천정등의 반사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11959U true KR20090011959U (ko) 2009-11-25

Family

ID=492987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80006606U KR20090011959U (ko) 2008-05-21 2008-05-21 천정등의 반사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011959U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5844Y1 (ko) * 2010-04-01 2011-09-27 성낙봉 반사판이 구비된 조명등용 장식커버
KR20160116974A (ko) 2015-03-31 2016-10-10 강석환 엣지형 조명등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5844Y1 (ko) * 2010-04-01 2011-09-27 성낙봉 반사판이 구비된 조명등용 장식커버
KR20160116974A (ko) 2015-03-31 2016-10-10 강석환 엣지형 조명등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D556349S1 (en) Vehicle headlight
CN104848135A (zh) 一种汽车前组合灯
KR20110113432A (ko) 장식용 조명거울
US9328893B2 (en) Luminaire with a lampshade
KR20090011959U (ko) 천정등의 반사판
CN203363718U (zh) 照明器具及保护罩
KR200408793Y1 (ko) 매입등 기구의 본체와 유니트 하우징 연결구조
JP4599283B2 (ja) 照明灯器
KR200382687Y1 (ko) 램프가 구비된 거울
WO2012088703A1 (zh) 组合式灯具
JP3161168U (ja) Ledモジュールの集光構造およびそれを応用した灯具
JP2005205855A (ja) 装飾ランプ
CN218583043U (zh) 一种灯具
KR20110008600U (ko) 엘이디 크리스탈 전구
CN207962336U (zh) 一种led灯体
CN215112321U (zh) 氛围吊灯
KR200337410Y1 (ko) 실내 조명등의 조립구조
CN208282026U (zh) 一种灯罩结构
CN2921574Y (zh) 带立体双层反光杯的组合式摩托车转向灯
KR200346278Y1 (ko) 조명기구 장식판
KR20080003589U (ko) 장식부재가 구비된 조명등커버
TWI629432B (zh)
KR200402510Y1 (ko) 입체 반사각을 갖는 조명등의 반사판
KR200358913Y1 (ko) 탈착식 고조도 반사기
KR200318220Y1 (ko) 장식조명기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