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11886U - 우산형 낙하기구 - Google Patents

우산형 낙하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11886U
KR20090011886U KR2020080006569U KR20080006569U KR20090011886U KR 20090011886 U KR20090011886 U KR 20090011886U KR 2020080006569 U KR2020080006569 U KR 2020080006569U KR 20080006569 U KR20080006569 U KR 20080006569U KR 20090011886 U KR20090011886 U KR 20090011886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mbrella
parachute
pocket
unfolded
st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8000656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류장욱
Original Assignee
류장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류장욱 filed Critical 류장욱
Priority to KR202008000656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11886U/ko
Publication of KR2009001188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11886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DEQUIPMENT FOR FITTING IN OR TO AIRCRAFT; FLIGHT SUITS; PARACHUT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OWER PLANTS OR PROPULSION TRANSMISSIONS IN AIRCRAFT
    • B64D17/00Parachutes
    • B64D17/62Deployment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00Devices for lowering persons from buildings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DEQUIPMENT FOR FITTING IN OR TO AIRCRAFT; FLIGHT SUITS; PARACHUT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OWER PLANTS OR PROPULSION TRANSMISSIONS IN AIRCRAFT
    • B64D17/00Parachutes
    • B64D17/02Canopy arrangement or construction
    • B64D17/04Canopy arrangement or construction formed with two or more canopies arranged about a common axi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DEQUIPMENT FOR FITTING IN OR TO AIRCRAFT; FLIGHT SUITS; PARACHUT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OWER PLANTS OR PROPULSION TRANSMISSIONS IN AIRCRAFT
    • B64D17/00Parachutes
    • B64D17/40Pac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mergency Lowering Mean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우산형 낙하기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각종 긴급한 재난시 고층에서 종래의 우산처럼 간단히 펼쳐서 펼친 상태로 휴대하고 낙하할수 있어 일차적으로 낙하하속도를 늦출 수있고 또, 낙하중 별다른 조치를 취하거나 장치를 이용하지 않아도 상부에서 자동으로 낙하산이 사출되어 나와 펼쳐져 이중으로 낙하속도를 늦춰줄 수 있는 우산형 낙하기구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고안은 대체적으로 종래의 우산과 유사한 형태와 구조를 갖되, 고층에서 펼친 상태로 휴대하고 낙하하더라도 뒤집히거나 손상될 우려가 없으면서 또한, 낙하중 내측에 형성되는 강한 바람의 압력을 상부로 유도 및 빠져나가게 한 우산형 보조기구(20)에 전술한 바람의 압력에 의해 내장된 낙하산(10)이 자동으로 사출 및 펼쳐질 수 있도록 상기 우산형 보조기구 외측에 포켓(24)을 형성시켜 그 속에 낙하산을 내장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며, 일단 펼친 상태로 휴대하고 낙하할 수있어 낙하자가 어느 정도 심리적 안정감을 가지고 사용할 수 있는 것과 낙하중 낙하산이 자동으로 펼쳐지는 것 또한, 낙하산과 우산형 보조기구가 이중적으로 낙하속도를 늦춰주는 등의 효과를 기대할 수있다.
낙하기구, 우산형, 보조기구, 낙하산, 포켓, 내장, 자동 사출

Description

우산형 낙하기구{Umbrella Type Falling Down Device}
본 고안은 우산형 낙하기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각종 긴급한 재난시 고층에서 종래의 우산처럼 간단히 펼쳐 펼친 상태로 휴대하고 낙하하면 낙하중 내장되어 있는 낙하산이 자동으로 사출 및 펼쳐지게한 우산형 낙하기구에 관한 것이다.
근래들어 수십층이상 심지어는 백층 이상의 각종 초고층 건물들이 경쟁적으로 급속히 늘어 나고 있는 추세이다.
하지만, 이러한 고층건물들에 화재가 발생하거나 방화나 테러 또는, 극심한 지진이나 태풍과 같은 자연재난으로 건물붕괴나 개스누출등의 각종 사고가 발생하여 고층에 있는 사람들의 인명이 위태로울 때 아직 까지는 별다른 유용한 대피나 탈출을 위한 도구가 없어 구조대가 도착하여 구조해 줄 때까지 화염이나 연기, 유독개스등에 노출된 채로 자신의 구조차례가 올 때까지 무작정 기다릴 수 밖에 없는 실정이어서 여지껏 고층건물들에서의 각종 화재사고들에서 보아왔듯이 구조작업이 진행중인 동안에도 화염이나 유독개스를 더 이상 견디지 못해 고층에서 무방비로 투신하여 사망하는 안타까운 경우가 많았다. 게다가 16층이상의 고층건물을 위한 고가사다리차 자체도 드물 뿐 아니라 구조헬기 또한 고층건물 옥상에서의 강한 기류 및 도심 고층 건물들의 옥상에 설치한 각종 송수신탑 등의 장애물들로 인해 그 활동이 여의치 못한 경우가 많아 고층건물에서 각종 재난사고가 발생할 경우 고층에 있는 사람들의 위험은 보다 치명적일 수 밖에 없게되어있다.
상기의 경우 낙하산을 이용하는 것도 생각할 수있겠으나 낙하산의 경우는 대다수가 알고있듯이 일단 낙하산을 펼치지 않은 상태에서 뛰어 내리면서 낙하중에 줄을 당겨 펼치게 되어있어 그 공포심으로 인해 사전에 충분히 훈련을 받지 않은 사람들에게는 무용지물이 될 가능성이 높고 또, 아주 고층이 아닐 경우에는 낙하산이 제대로 펼쳐지기도 전에 지상에 추락할 우려도 높다.
그래서, 이러한 낙하산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고자 낙하산 자체를 우산처럼 펼칠 수있게 낙하산 내측에 살과 지주 등을 구비시키거나 아니면 펼치거나 접을 수있게한 큰 우산체를 낙하산처럼 사용하게 하는 등 낙하기구에 대한 여러 고안들이 있으나 일반적으로 낙하산의 경우 낙하산이 제 기능을 하려면 그 직경이 최소 6,7 m이상은 되어야 하므로 상기 고안들(실용등록20-0439945, 공개특허10-2008-0038810, 실용공고1986-0000204,실용등록20-0324647등)에 의한 낙하기구들은 그에 맞추어 제작할 경우 우산처럼 접었다 하더라도 그 길이가 최소 3,4m 정도가 되어 제작과 운반 및 보관 뿐아니라 휴대하고 사용하는 것 자체가 곤란하고 또, 만약 낙하전에 미리 펼칠 수 있게 되더라도 그 크기나 부피에 의해 주위로부터 많은 장애를 받게 되어있어 결국 비록 휴대나 사용이 곤란하더라도 억지로 나마 접은 상태로 휴대하고 뛰어 내리다가 낙하도중에 펼쳐지게 하는 수 밖에 없어 역시 종래의 낙하산처럼 고 층에서 낙하하고자 하는 사람에게 공포심을 갖게 하는 등의 실용성이 낮은 문제점들이 있다.
본 고안은 고층건물에서의 화재를 비롯한 각종 긴급재난사고시 구조대의 도움 없이도 지상으로 신속히 탈출하고자 할 때 종래의 우산처럼 아주 간단히 펼칠 수있고 또 펼친 상태에서도 그 부피나 크기가 그다지 크지않아 휴대나 사용이 아주 용이할 뿐만아니라 일차적으로 어느정도 낙하산의 역할을 기대할 수있는 우산형 낙하기구(30)를 일단 펼친 상태로 휴대하고 뛰어 내릴 수 있음으로써 그 가시적 효과로 인해 낙하자가 어느 정도 정신적으로 의지할 수 있어 별도로 훈련을 받지 않은 사람일지라도 보다 용이하게 이용할 수 있고 또, 낙하중 내장된 큰 낙하산(10)이 별다른 조치없이도 자동으로 펼쳐지게 되어있는 편리하고 안전하며 실용적인 우산형 낙하기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대략적으로 종래의 우산과 그 크기와 형태 및 구조가 유사하여 간단히 펼치거나 접을 수 있되 고층에서 휴대하고 뛰어 내리더라도 뒤집히거나 손상되지 않을 뿐 아니라 낙하시 내측에 형성되는 강한 바람을 중앙 상부로 빠져나갈수 있게 하여 내측의 압력을 줄일 수 있는 우산형 보조기구(20)를 준비하고 또, 상기의 중앙상부로 빠져나가는 강한 바람의 힘으로 큰 낙하산(10)이 우산형 보조기구 상부로 자동으로 펼쳐질수있도록 우산형 보조기구 외측에 포켓(24)을 형성시켜서 적절히 접은 상태의 낙하산을 우산형 보조기구 외측을 덧씌우듯이 감싸 포켓에 내장시킨 것에 특징이 있다.
본 고안은 종래의 우산처럼 아주 간단히 펼칠 수 있을 뿐 아니라 펼친 상태에서도 그 크기나 부피가 그다지 크지않아 휴대와 사용이 용이하고 또, 펼친 상태로 휴대하고 낙하할 수 있어 낙하자에게 어느 정도 심리적 안정감을 줄 수 있다. 게다가 우산형 보조기구(20)가 일차적으로 낙하속도를 늦추어 주는 한편 내장시킨 큰 낙하산을 별다른 조치 없이도 낙하중에 자동으로 펼쳐지게 하여 이중으로 낙하속도를 늦춰주어 보다 안전할뿐 아니라 재사용이 가능하고 또,접을 수 있어 보관 또는 비치와 휴대 또한 용이하다.
본 고안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1은 본 고안에 따른 우산형 낙하기구가 작동된 상태를 예시한 것으로, 도7에서 도시한 바와같이 낙하산이 접혀서 포켓에 내장된 상태에서의 우산형 낙하기구(30)을 고층에서 펼친상태로 휴대하고 낙하할 때 우산형 보조기구의 내측에서 천(29)부분의 곡면을 따라 형성되는 강한 바람을 중앙상부의 개구부(26)로 유도되게하여 그 압력으로 포켓(24)에 내장시킨 낙하산(10)이 자동으로 사출 및 펼쳐진 것을 나타낸다.
도2는 상기 우산형 보조기구의 개략적 형태와 구조를 도시한 것으로, 종래의 우산처럼 펼쳤을 때 반구형에 가까운 형태를 가지면서 또한 접을 수 있고 또 자동으로 펼칠 수도있는 구조를 갖되 다른 점들은 a. 낙하시 바람의 압력에 의해 뒤집 히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대(21)의 하부쪽에 스트링 지지구(27)를 부착·고정시키고, 각 살(22)들의 끝을 부드럽고 질긴 가느다란 강선의 스트링(23)들로 결속하여 스트링 지지구에 연결 및 고정시킨 것; 이 경우 대(21)와 각 스트링(23)들이 이루는 각도는 약 30~45°중 일정 각도로 유지할 수 있도록 스트링지지구를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b. 천(29)부분은 낙하중 형성되는 강한 압력의 바람을 중앙상부로 유도및 빠져나가게 하기위해 꼭지부(25)를 중심으로 하여 적절한 크기로 개방된 개구부(26)를 갖는 것 ; 이 경우 꼭지부를 중심으로 하여 약 10~15cm 크기의 원형으로 하는 것이 좋다.
c. 대(21)와 살(22) 및 보조살(22-1) 그리고, 각 연결부들을 낙하시의 압력에 의해 부러지거나 서로 분리·이탈하지 않도록 종래의 우산에 비해 강도가 높은 소재들을 사용하여 보다 튼튼하게 제작하되 특히, 천(29)이 살들로부터 분리·이탈되거나 찢어지지 않도록 보다 질긴 천을 사용하여 튼튼하게 만든것 ; 보다 튼튼히 하기위해 도2에서 도시하는 바처럼 각 살들의 여러 부분에 각 살들을 감싸 천(29)에 견고히 부착시켜 주는 보강밴드(14)들을 부착시키는 것이 좋다.
d. 낙하중 우산형 보조기구를 놓치는 일이 없도록 손잡이부(28)에 손목을 끼운 상태로 그 길이를 조절하여 손목을 조아 고정할 수 있는 손목밴드(28-2)를 부착시킨 것.
e. 외측에 낙하산 내장용 포켓(24)을 형성시킨 것 ; 이러한 포켓은 우산형 보조기구 천의 크기와 형태 및 내장시킬 낙하산의 크기등을 상호 고려하여 형성시 키되 도3에서 예시하는 바와 같이 가운데 부분이 원형으로 비어있는 적정폭의 천(24-1)을 준비하여 그 외측 가장자리와 우산형 보조기구 천(29)의 가장자리를 접합시킴으로써 형성시킬 수 있으며 포켓 형성용 천의 폭은 우산형 보조기구 반경의 약 1/2 ~ 2/3 정도 되게하는 것이 무난하며 재질은 신축성이 좋은 천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상기와 같이 함으로써 본 고안에 따른 우산형 낙하기구를 도7에서와 같이 펼친상태로 휴대하고 낙하할 때 바람의 압력에 의해 손상되거나 뒤집히지 않게 되며 낙하중에 내측에 형성되는 강한 압력의 바람을 개구부로 유도시켜 중앙상부로 빠져나가게 함으로써 그 힘으로 포켓에 내장시킨 낙하산이 자동으로 사출 및 펼쳐지게 된다.
그리고, 우산형 보조기구(20)의 크기는 우산형 보조기구 자체가 일차적으로 낙하산의 역할을 하게되어 있으므로 가능하면 크게 하는 것이 좋으나 너무 클 경우 보관과 휴대가 곤란하고 또 펼친 상태에서 주위에 걸리적거리든지 또는 고층에서의 강한 기류에 의해 보다 영향을 많이 받게 되어 운신을 힘들게 할 수 있으므로 펼쳤을때의 반경 즉, 대(21)를 중심으로 하여 각 살(22) 끝 까지의 거리를 약 75~85cm 정도 되는 크기로 하는 것이 무난하다.
도5(A)(B)는 도7에서 도시한 바와같이 낙하산을 우산형 보조기구 외측의 포켓에 내장시키기 위해 접는 것과 접힌 상태의 낙하산을 예시한 것으로, 먼저 낙하산을 낙하산줄들이 아래로 향한 상태로 바닥에 평평하게 고루 편 후 가운데 부분은 그대로 둔채 가장자리를 돌아가면서 안쪽으로 수차례 고루 접어 포켓에 집어넣기 적합한 형태와 크기로 만든 것을 나타낸다. 이 경우 낙하산이 포켓속에서 쉽게 사출되고 또, 고루 펼쳐지게 하는 것이 필요하며 이를 위해서는 낙하산의 가운데 부분에 우산형 보조기구의 꼭지부(25)에 가볍게 끼일 수 있는 크기의 아이렛(13)을 형성시켜 도5(B)에서와 같이 적절히 접은 상태의 낙하산을 도6에서 예시하는 바와 같이 우산형 보조기구의 위쪽에 위치시켜 먼저 아이렛 부분을 꼭지부에 끼운 상태에서 낙하산 줄(11)들을 결속시킨 연결구(40)와 꼭지부 또는 꼭지부에서 가까운 대 부위에 고정된 연결구(40-1)를 서로 결합시킨 후 낙하산의 가장자리를 포켓속으로 밀어넣는 것이 좋다. 이와같이 낙하산의 중앙부를 아이렛을 통해 우산형 보조기구의 꼭지부에 끼워 놓음으로써 낙하산을 포켓에 내장시키는 것도 용이하고 내장된 상태에서 낙하산이 포켓속에서 어느 한쪽으로 치우치거나 쏠려서 뭉쳐지지 않게 되며 또한 포켓속에서 사출되어 나올 때도 중앙부부터 먼저 사출되어 나와 고루 잘 펼쳐지게 된다.
그리고, 낙하산의 크기는 우산형 보조기구 자체가 일차적으로 낙하속도를 늦춰주는 낙하산의 역할을 수행하게 되므로 종래의 낙하산보다는 어느 정도 작게하는 것이 가능하며 우산형 보조기구 직경의 약 3배정도의 직경을 갖는 크기로 하는 것이 무난하다.
도8은 도7상태에서의 본 고안에 따른 우산형 낙하기구를 우산처럼 접은 상태를 도시한 것으로, 이와 같이 함으로써 보관과 운반 및 휴대성이 더욱 좋아지게 된다. 필요에 따라서는 접은상태에서 다시 한번 묶어줄 수 있는 밴드(24-2)를 부착시키는 것도 고려할 수 있다. 또한 도7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낙하중 낙하자가 본 고 안에 따른 우산형 낙하기구에서 이탈될 우려를 좀더 줄이기 위해 낙하자가 배나 가슴등에 별도로 준비하여 매는 안전벨트(미도시)에 연결할 수 있는 걸고리가 연결된 벨트(50)를 부착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우산형 낙하기구에서 내장된 낙하산이 펼쳐진 상태를 도시한 예시도.
도2는 상기 실시예의 우산형 보조기구의 개략적 형태와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
도3 및 도4는 우산형 보조기구에 낙하산 내장용 포켓을 형성시키는 것을 도시한 예시도 및 포켓이 형성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5(A)(B)는 도4에서의 포켓에 내장시키기 위해 낙하산을 접는것을 도시한 예시도
도6은 우산형 보조기구의 포켓에 낙하산을 내장시키는 방법을 도시한 예시도
도7 및 도8은 낙하산이 내장된 상태의 본 고안에 따른 우산형 낙하기구의 펼친 상태 및 접은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Claims (3)

  1. 긴급한 재난시 고층에서 지상으로 신속한 탈출을 위해 휴대하고 낙하할 수 있는 낙하기구에 있어서, 상기 낙하기구는 펼친 상태로 휴대하고 낙하할 때 뒤집힘을 방지하기 위해 각 살(22)들의 끝을 결속 및 지지·고정시켜 주기 위한 스트링(23)과 스트링 지지구(27)가 설치된 우산형 보조기구에 낙하중 우산형 보조기구 상부로 낙하산이 자동으로 사출되면서 펼쳐지도록 꼭지부(25)를 중심으로 개구부(26)를 형성시킨 것, 낙하산(10)의 내장을 위해 외측에 포켓(24)을 형성시킨 것. 그리고, 상기 포켓에는 낙하산을 접어 내장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산형 낙하기구·
  2. 제 1항에 있어서 낙하산 내장용 포켓은 가운데 부분이 빈 천(24-1)의 바깥쪽 가장자리를 우산형 보조기구 천(29)의 가장자리를 따라 접합시켜 형성시킨 것을 특징으로 우산형 낙하기구.
  3. 제 1항에 있어서 포켓에 내장되는 낙하산은 중앙부에 우산형 보조기구의 꼭지부(25)에 끼울 수 있는 아이렛(13)을 형성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산형 낙하기구
KR2020080006569U 2008-05-19 2008-05-19 우산형 낙하기구 KR20090011886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06569U KR20090011886U (ko) 2008-05-19 2008-05-19 우산형 낙하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06569U KR20090011886U (ko) 2008-05-19 2008-05-19 우산형 낙하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11886U true KR20090011886U (ko) 2009-11-24

Family

ID=492986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80006569U KR20090011886U (ko) 2008-05-19 2008-05-19 우산형 낙하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011886U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30014792A1 (en) Hoop shifter, parachute tent and flop clip
US6899583B2 (en) Inflatable buoy
KR100783075B1 (ko) 인명구조용 낙하산
KR101546006B1 (ko) 해난 구조 시스템
CN103007454B (zh) 高空逃生舱
US9656758B2 (en) Emergency parachute
KR101039763B1 (ko) 고소 비상 탈출용 구명장비
US20090159364A1 (en) Fireman's safety apparatus and methods of use
JPH02305578A (ja) 緊急脱出装置
KR20100044130A (ko) 우산형 낙하산
US20070278263A1 (en) Emergency egress carrier for child or pet
JP5500473B1 (ja) 折りたたみ式津波シェルター
KR20120077503A (ko) 기구(氣球)가 부착된 비상탈출용 낙하산
CN105536164B (zh) 一种防跳楼救援网
US9072920B2 (en) Portable personal descending escape system
KR20090011886U (ko) 우산형 낙하기구
ES2796424A1 (es) Dispositivo de unión de conectores mecánicos para la escalada
KR100874891B1 (ko) 인명구조기구
WO2010047534A2 (ko) 우산형 낙하산
KR200452882Y1 (ko) 구조 겸용 배낭
KR20080038810A (ko) 비상탈출용 우산형 낙하산
JPH0663167A (ja) 気球型救命装置
GB2510408A (en) An inflatable safety gauntlet device
WO2015113189A1 (zh) 低空应急救生伞
CN106563213A (zh) 高层救生跳伞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