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11810U - 운동용 헤드기어 - Google Patents

운동용 헤드기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11810U
KR20090011810U KR2020080006422U KR20080006422U KR20090011810U KR 20090011810 U KR20090011810 U KR 20090011810U KR 2020080006422 U KR2020080006422 U KR 2020080006422U KR 20080006422 U KR20080006422 U KR 20080006422U KR 20090011810 U KR20090011810 U KR 20090011810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d
tightening means
main body
tightening
headge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8000642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승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컬처메이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컬처메이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컬처메이커
Priority to KR202008000642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11810U/ko
Publication of KR2009001181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11810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8Body-protectors for players or sportsmen, i.e. body-protecting accessories affording protection of body parts against blows or collisions
    • A63B71/10Body-protectors for players or sportsmen, i.e. body-protecting accessories affording protection of body parts against blows or collisions for the head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09/00Characteristics of used materials
    • A63B2209/10Characteristics of used materials with adhesive type surfaces, i.e. hook and loop-type fastener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44/00Sports without balls
    • A63B2244/10Combat spor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Helmets And Other Head Covering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태권도 등 각종 운동에서 착용자의 두부(頭部)를 보호하기 위한 헤드기어에 관한 것으로, 인체의 머리가 삽입되어 머리 및 안면을 보호하도록 머리 및 안면의 굴곡에 대응되게 형성된 운동용 헤드기어에 있어서, 머리의 전두부, 두정부 및 후두부가 커버될 수 있도록 일체로 형성되는 중앙부와, 상기 중앙부에서 머리의 전두부 및 두정부에 대응되는 부분으로부터 좌우로 분기되어 머리의 측두부, 귀, 뺨 및 턱을 연속적으로 커버할 수 있도록 일체로 형성되는 좌측면부 및 우측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본체와; 상기 본체 중앙부에서 머리의 후두부에 대응되는 부분의 좌·우측 단부와, 상기 좌측면부 및 우측면부에서 귀에 대응되는 부분의 후방에서 각각 본체를 수직으로 관통하여 삽입고정되는 조임수단 지지구와; 상기 조임수단 지지구들의 내측면을 관통하며 한 쌍의 조임수단 지지구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는 조임수단과; 상기 조임수단의 말단부에 구비되어 조임수단의 말단부를 결합고정하는 결착수단;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구성된다.
운동, 헤드기어, 조임수단, 조임수단 지지구,

Description

운동용 헤드기어{HEAD GEAR FOR SPORTS}
본 고안은 태권도 등 각종 운동에서 착용자의 두부(頭部)를 보호하기 위한 헤드기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두부의 치명적 손상을 피하기 위한 최소한의 부위만을 보호할 수 있도록 하여 착용감을 향상시키는 동시에, 착탈이 용이한 운동용 헤드기어에 관련된다.
일반적으로 헤드기어는 착용자의 두부 및 안면부를 충격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어야 하는 동시에, 착용자의 활동이 헤드기어에 의하여 제약을 받는 것이 최소화 될 수 있도록 가벼우면서도 편안한 착용감을 제공하고 가능한 한 넓은 시야를 확보할 수 있어야 한다. 뿐만 아니라, 운동시 착용자가 흘리는 땀을 신속하게 흡수하고, 발산되는 열기를 외부로 원활하게 배출해야 하며, 착탈이 용이해야 한다.
상기와 같은 헤드기어의 조건을 충족시키기 위하여 오래전부터 부단한 노력이 이루어져 왔으며, 다양한 종류의 제품이 출시되고 있다.
종래의 일반적인 헤드기어는 충격을 흡수할 수 있는 재질들 가운데 비교적 무게가 가벼운 재질들로 제작되고 있는데, 그러한 재질로서 니트릴 부타디엔 고무(NBR ; Nitril Butadiene Rubber) 등의 합성수지가 널리 적용되고 있었으나, 니 트릴 부타디엔 고무는 제조과정 중 오염물질을 배출하거나 착용자의 인체에 유해한 화학물질을 전달하여 착용자에게 좋지 못한 영향을 미칠 수 있었고, 뿐만 아니라, 제조공정이 복잡하여 제조효율이 낮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고안자에 의한 대한민국 등록 실용신안 제420576호에서는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EVA)를 사출발포성형시켜 제작되는 헤드기어가 소개된 바 있다.
한편, 종래 헤드기어의 착용방식은 하방이 개방되어 머리에 착용한 후 턱 부분을 조여주는 방식과, 후방의 중앙이 개방되어 머리에 착용한 후 후두부를 조여주는 방식이 각각 적용되거나 함께 적용된 방식이 주류를 이루고 있다.
이러한 조임방식은 조임이 느슨한 경우 시합 중 타격에 의하여 쉽게 벗겨질 수 있으며, 조임이 강한 경우 착용감이 좋지 못하고 경기력에 나쁜 영향을 미칠 수 있으므로 헤드기어의 효율성에 중대한 영향을 미치게 된다.
또한, 후방의 중앙이 개방되어 머리에 착용한 후 후두부를 조여주는 방식은 다수개의 체결공을 관통하는 끈을 이용하여 신발끈을 조이는 듯한 방식으로 착용되므로 착용하거나 벗는 과정이 불편하며 장시간이 소요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헤드기어들은 헬멧과 유사한 방식으로 안면의 일부분을 제외한 머리 전체를 덮어씌우는 형태를 이루고 있었는데, 이렇게 머리 전체를 덮어씌울 경우 헤드기어 자체의 무게가 증가할 뿐만 아니라, 착용자의 두부에서 발생하는 열기 및 땀 등이 외부로 쉽게 배출되지 못하고, 착용감도 좋지 못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사람의 머리는 전체적으로 구형을 이루고 있으며, 사람마다 머리의 크 기 및 형상이 다양한데, 특히 후두부의 경우 돌출되는 정도가 매우 상이하다. 이러한 다양한 머리의 형상과 크기에도 불구하고 운동용 헤드기어의 경우 적절한 압력보다 작은 압력으로 머리에 밀착되면 타격에서 유발되는 충격에 의하여 헤드기어가 정위치를 이탈하거나 벗겨질 수 있으며, 반대로 너무 강한 압력으로 밀착되면 착용자가 불쾌감을 느끼는 동시에 경기력의 저하를 초래할 우려도 있기 때문에 적절한 압력으로 머리 전체에 밀착될 필요가 있다.
상기와 같이 다양한 크기 및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머리에 최적의 상태로 밀착되기 위해서는 머리의 형태나 크기별로 헤드기어가 제작되어야 하는데, 종래의 일반적인 헤드기어들은 헬멧 형상으로 머리 전체를 둘러쌓는 형상으로 이루어졌기 때문에 평균적인 형태의 두상을 기준으로 소정의 단위로 크기를 달리하여 제작될 수밖에 없었고, 이러한 경우 두상이 평균적인 형태와 큰 차이가 있는 짱구머리나 민자머리를 갖고 있는 사용자가 착용할 경우에는 완벽한 밀착감을 얻기가 어려웠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본 고안은 착탈이 용이하고, 직접타격을 받을 경우 치명적인 손상을 초래하는 부분만을 보호할 수 있도록 하여 착용감을 향상시키는 동시에 열기 및 땀의 배출을 촉진하고 경량화를 구현할 수 있는 헤드기어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안출된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의한 운동용 헤드기어는, 인체의 머리가 삽입되어 머리 및 안면을 보호하도록 머리 및 안면의 굴곡에 대응되게 형성된 운동용 헤드기어에 있어서, 머리의 전두부, 두정부 및 후두부가 커버될 수 있도록 일체로 형성되는 중앙부와, 상기 중앙부에서 머리의 전두부 및 두정부에 대응되는 부분으로부터 좌우로 분기되어 머리의 측두부, 귀, 뺨 및 턱을 연속적으로 커버할 수 있도록 일체로 형성되는 좌측면부 및 우측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본체와; 상기 본체 중앙부에서 머리의 후두부에 대응되는 부분의 좌·우측 단부와, 상기 좌측면부 및 우측면부에서 귀에 대응되는 부분의 후방에서 각각 본체를 수직으로 관통하여 삽입고정되는 조임수단 지지구와; 상기 조임수단 지지구들의 내측면을 관통하며 한 쌍의 조임수단 지지구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는 조임수단과; 상기 조임수단의 말단부에 구비되어 조임수단의 말단부를 결합고정하는 결착수단;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운동 중 타격으로 인한 충격이 인체에 치명적인 손상을 입히지 않도록 하는 범주에서 충격에 매우 민감한 전두부, 두정부, 후두부, 측두부, 뺨 등의 한정된 부분만을 보호할 수 있도록 구성되므로 착용자를 보호하는 동시에 최대한 경량화되고 열기 및 땀의 배출이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다는 유용한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좌측면부 및 우측면부와 중앙부 사이의 간격을 손쉽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착용이 간편하고, 헤드기어 착용시 두부에 견고하게 밀착되므로 경기중 정위치를 벗어나거나 벗겨지지 않는다는 유용한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다양한 형태의 두상을 갖는 사용자들이 최적의 착용감을 느낄 수 있도록 밀착압력을 조절할 수 있다는 유용한 효과를 제공한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구성 및 기능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의한 구성(a)과 조임수단(300)의 확장상태(b)를 보인 측면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의한 구성을 보인 배면도로서,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의한 운동용 헤드기어가 중앙부(110) 및 좌·우측면부(120,130)로 이루어지는 본체(100)와 조임수단 지지구(200) 및 조임수단(300)으로 구성되는 모습을 예시하고 있다.
상기 중앙부(110)는 머리의 전두부, 두정부 및 후두부를 커버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데, 이때, 급소에 해당하는 전두부, 두정부 및 후두부의 직상방을 제외한 부분들에는 빈공간이 형성되도록 하여 불필요한 무게를 감소시키는 동시에 이러한 빈공간을 통해 머리에서 발생하는 열기가 외부로 원활하게 배출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좌측면부(120)와 우측면부(130)는 머리의 측두부, 귀, 뺨 및 턱을 연속적으로 커버할 수 있도록 형성되며, 상기 중앙부(110)에서 머리의 전두부 및 두정부에 대응되는 부분으로부터 좌우로 분기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상기 좌우측부의 상단부만이 중앙부(110)에 연결되게 되며, 상기 중앙부(110)에서 후두부에 대응되는 부분과 좌·우측면부(120,130) 사이의 간격은 자유롭게 변화될 수 있다. 이러한 본 고안의 특징으로 인하여 후두부가 평균적인 두상에 비하여 납작한 사람이나 돌출된 사람도 헤드기어를 착용했을 때 후두부가 적절하게 조여지는 밀착감을 느낄 수 있도록 착용될 수 있는 것이며, 도 3에서 예시한 바와 같이 조임수단(300)의 체결을 해제한 상태에서 헤드기어를 머리 위에 씌운 후 조임수단(300)을 조여 체결함으로써 손쉽게 헤드기어를 착용하거나 벗을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좌측면부(120) 및 우측면부(130)의 하단부는 일체로 연결되어 턱부를 보호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도 있으며, 별도의 턱부 결합수단(400) 및 턱보호부를 구비하여 헤드기어가 보다 손쉽고 견고하게 착용될 수 있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본체(100)는 충격흡수력이 뛰어나고 인체에 무해한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EVA ; Ethylen Vinyl Acetate)를 사출발포성형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중앙부(110)에서 머리의 후두부에 대응되는 부분의 좌우측단부 와, 상기 좌측면부(120) 및 우측면부(130)에서 귀에 대응되는 부분의 후방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며 적절한 조임력을 제공할 수 있도록 조임수단(300)이 구비된다.
상기 조임수단(300)은 일종의 끈 형상을 이루는 것으로 본체(100)를 관통하고 있는데 EVA등 합성수지로 이루어지는 본체(100)를 직접 관통하여 조임력을 제공할 경우 관통부위 부근이 강한 조임력이나 마찰로 인하여 파손되거나 변형될 우려가 있으므로 조임수단(300)이 관통하는 부분에 경질의 합성수지재질로 이루어지는 조임수단 지지구(200)를 결합한 후 상기 조임수단 지지구(200)의 내부를 통해 조임수단(300)이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4에서는 조임수단(300)과 조임수단 지지구(200)의 형상 및 결합관계를 보다 상세하게 예시하고 있는데, 이하에서는 본 도면을 참조하여 조임수단(300) 및 조임수단 지지구(200)의 구성 및 기능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면에서 예시한 바와 같이 상기 조임수단 지지구(200)는 본체(100)를 관통하여 삽입된 이후에 본체(100)로부터 쉽게 이탈되지 않도록 좌·우 단부에 걸림턱(202)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내부로 조임수단(300)이 관통할 수 있도록 통공(201)이 구비된다.
한편, 조임수단(300)은 상기 조임수단 지지구(200) 내부를 관통하며 양단면에 암·수 결착수단(301,302)을 구비하게 되는데, 이때 결착수단으로는 매직테이프 등이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도 5에서는 상기와 같은 본체(100), 조임수단 지지구(200) 및 조임수단(300)의 결합관계를 보다 상세하게 예시하고 있다. 도면에서는 조임수단 지지구(200)가 삽입되어 고정되는 본체(100)의 조임수단 지지구 삽입홈(101)에 소정의 높이로 돌출부(102)를 형성하고 상기 조임수단 지지구(200)의 걸림턱(202) 안쪽이 상기 돌출부에 밀착되게 결합되며, 조임수단 지지구(200)의 폭이 본체(100)의 두께보다 작게 구성되어 결합상태에서 조임수단 지지구(200)가 본체(100) 외부로 돌출되지 않도록 이루어진 형상을 예시하고 있는데, 이렇게 결합될 경우 착용자의 상대방이 조임수단 지지구(200)가 위치하는 부위를 타격하더라도 조임수단 지지구(200)에 직접 접촉되지 않으므로 본체(100)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경도가 높을 수밖에 없는 조임수단 지지구(200)에 의하여 별도의 상해를 입지 않을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체(100)와 조임수단(300)에 의하여 좌·우측면부(130)와 중앙부(110)의 후두부 대응부분 사이의 간격이 조절될 수 있으므로 착용시에는 상기 간격을 최대로 벌려 머리에 쓴 후 원하는 수준의 압력으로 밀착될 수 있도록 간격을 조정한 후 결착시키면 착용이 완료되고, 벗고자 할 경우에는 조임수단(300)의 결착을 해제하기만 하면 손쉽게 벗겨질 수 있게 된다.
또한, 도 1 (b)에서 예시한 바와 같이 후두부가 많이 돌출된 사람이 착용하는 경우에도 적절한 압력으로 후두부에 헤드기어가 밀착되도록 조절할 수 있게 되므로 다양한 두상을 갖는 사용자들이 효율적으로 헤드기어를 사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도면과 명세서에 기재된 내용은 본 고안의 예시적인 설명으로서, 이는 단지 본 고안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한정이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고안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의한 구성과 조임수단의 확장상태를 보인 측면도,
도 2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의한 구성을 보인 배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의한 조임수단의 미체결상태를 보인 측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의한 요부의 구성을 보인 요부확대발췌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의한 요부의 결합상태를 보인 요부확대발췌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호에 대한 설명>
100 : 본체
101 : 조임수단 지지구 삽입홈 102 : 돌출부
110 : 중앙부
120 : 좌측면부
130 : 우측면부
200 : 조임수단 지지구
201 : 통공
102 : 걸림턱
300 : 조임수단
301, 302 : 암·수 결착수단
400 : 턱부 결합수단

Claims (1)

  1. 인체의 머리가 삽입되어 머리 및 안면을 보호하도록 머리 및 안면의 굴곡에 대응되게 형성된 운동용 헤드기어에 있어서,
    머리의 전두부, 두정부 및 후두부가 커버될 수 있도록 일체로 형성되는 중앙부와, 상기 중앙부에서 머리의 전두부 및 두정부에 대응되는 부분으로부터 좌우로 분기되어 머리의 측두부, 귀, 뺨 및 턱을 연속적으로 커버할 수 있도록 일체로 형성되는 좌측면부 및 우측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본체와;
    상기 본체 중앙부에서 머리의 후두부에 대응되는 부분의 좌·우측 단부와, 상기 좌측면부 및 우측면부에서 귀에 대응되는 부분의 후방에서 각각 본체를 수직으로 관통하여 삽입 고정되는 조임수단 지지구와;
    상기 조임수단 지지구들의 내측면을 관통하며 한 쌍의 조임수단 지지구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는 조임수단과;
    상기 조임수단의 말단부에 구비되어 조임수단의 말단부를 결합고정하는 결착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동용 헤드기어.
KR2020080006422U 2008-05-16 2008-05-16 운동용 헤드기어 KR20090011810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06422U KR20090011810U (ko) 2008-05-16 2008-05-16 운동용 헤드기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06422U KR20090011810U (ko) 2008-05-16 2008-05-16 운동용 헤드기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11810U true KR20090011810U (ko) 2009-11-19

Family

ID=492985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80006422U KR20090011810U (ko) 2008-05-16 2008-05-16 운동용 헤드기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011810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233146B1 (ja) * 2022-09-16 2023-03-06 株式会社 RAMPA master product 顎位矯正装置及び顎位矯正装置の製造方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233146B1 (ja) * 2022-09-16 2023-03-06 株式会社 RAMPA master product 顎位矯正装置及び顎位矯正装置の製造方法
WO2024057668A1 (ja) * 2022-09-16 2024-03-21 株式会社 RAMPA master product 顎位矯正装置及び顎位矯正装置の製造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376011B2 (en) Football helmet with raised plateau
US10292448B2 (en) Catcher&#39;s helmet with face guard having raised eyebrow areas
US20090044316A1 (en) Sports helmet with removable facemask
US3577562A (en) Athletes{3 {0 protective helmet particularly football
US8656520B2 (en) Athletic helmet
US6349416B1 (en) Headguard-protective sports headband
EP2800492B1 (en) Helmet provided with an adjustable device for the helmet comfort liner
US9307800B2 (en) Headgear safety apparatus
US11291264B2 (en) Football helmet shell
US20190357622A1 (en) Head protector
US20120047636A1 (en) Sports helmet
US20120279506A1 (en) Mouthguard with impact gap
EP3834645A2 (en) Soft shell helmet
CA2965321C (en) Football helmet with cheek supports
US11291906B2 (en) Headgear including force absorbing features
US11744312B2 (en) Helmet padding system
US7051379B2 (en) Protective head gear
KR20090011810U (ko) 운동용 헤드기어
JP2008121143A (ja) プロテクター
JP4672051B2 (ja) 球技用レッグガード
RU71556U1 (ru) Приспособление для защиты от травм
US20040181860A1 (en) Clothing with protective qualities
US20180084857A1 (en) Adapter for attaching a chin strap to a helmet and an assembly including the same
KR20190000294U (ko) 자해방지용 헬멧
US20110283430A1 (en) Blunt force protection ball cap technolog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