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11392A - 차량용 블루투스 시스템의 연결방법 - Google Patents

차량용 블루투스 시스템의 연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11392A
KR20090011392A KR1020070074914A KR20070074914A KR20090011392A KR 20090011392 A KR20090011392 A KR 20090011392A KR 1020070074914 A KR1020070074914 A KR 1020070074914A KR 20070074914 A KR20070074914 A KR 20070074914A KR 20090011392 A KR20090011392 A KR 2009001139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uetooth
integrated unit
master
piconet
communi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749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지상우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749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11392A/ko
Publication of KR200900113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1139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0Communication routing or communication path finding
    • H04W40/24Connectivity information management, e.g. connectivity discovery or connectivity update
    • H04W40/244Connectivity information management, e.g. connectivity discovery or connectivity update using a network of reference devices, e.g. beacon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18Self-organising networks, e.g. ad-hoc networks or sensor networks
    • H04W84/20Master-slave selection or change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18Self-organising networks, e.g. ad-hoc networks or sensor networks
    • H04W84/22Self-organising networks, e.g. ad-hoc networks or sensor networks with access to wired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블루투스 시스템의 연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핸즈프리와 데이터 통신을 동시에 구현할 수 있도록 차량 외부의 통신 시스템인 AP와 연결을 하기 위해서 차량내 데이터 송수신 유닛이 피코넷을 형성하고, 핸즈프리 유닛이 핸드폰을 연결하는 연쇄 통신 구조인 스캐터넷을 형성하는 연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블루투스 시스템의 연결방법은, 블루투스 통합 유닛이 AP와 연결을 하기 위해서 피코넷을 형성한 후 핸드폰과 연결을 하기 위해서 임시 피코넷을 형성하여 전체적으로 연쇄 통신 구조인 스캐터넷을 형성하되, AP가 연속적인 조회/등록(Inquiry/Paging)으로 블루투스 통신의 마스터 역할을 수행하고, 상기 블루투스 통합 유닛이 스캐터넷을 연결할 경우 마스터 역할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블루투스, 스캐터넷, 핸즈프리, 데이터통신

Description

차량용 블루투스 시스템의 연결방법{System of the Vehicle Wireless Communication Units with a Bluetooth Scatter Net}
본 발명은 차량용 블루투스 시스템의 연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핸즈프리와 데이터 통신을 동시에 구현할 수 있도록 차량 외부의 통신 시스템인 AP와 연결을 하기 위해서 차량내 데이터 송수신 유닛이 피코넷을 형성하고, 핸즈프리 유닛이 핸드폰을 연결하는 연쇄 통신 구조인 스캐터넷을 형성하는 연결방법에 관한 것이다.
기존의 블루투스 통신 기술은 1:1 근거리 통신을 위하여 피코넷(Piconet)을 구성하여 블루투스 통신을 수행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피코넷(10)은 1을 마스터(Master)로 하고 7을 슬레이브(Slave)로 하는 1:7 통신 시스템으로 1:7로 통신할 수 있으나 현실적으로 1:1만을 지원하도록 설계되어 있다.
도 2는 종래 블루투스 핸즈프리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종래 차량내 핸즈프리 시스템이 피코넷(10)을 형성하여 차량 핸즈프리 유닛(20)이 핸드폰(BT폰)(30)과 연결이 되어 음성 통화 또는 MP3 파일 재생 등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그러나 현재 피코넷(10) 통신 기술만으로는 차량 외부의 통신 시스템인 AP(Access Point)의 접속 영역에 있는 블루투스 통신 시스템과 추가적인 연동 통신을 구현할 경우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도 3은 종래 블루투스 데이터통신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차량 외부의 통신 시스템은 AP(50)와 연결을 하기 위해서 차량 데이터 송수신 유닛(40)이 탑재된 경우에 AP(50)는 피코넷(10)을 형성하고 있는 최대 동시에 7개의 데이터 송수신 유닛(40a,…,40g)과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AP(50)는 유선 랜을 통해 미도시된 원격지 센터와 연결되고 상기 원격지 센터는 사용자 DB를 관리한다.
그러나 상기한 시스템에서 데이터 송수신 유닛(40)이 다른 블루투스 기기와 추가로 통신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종래의 피코넷(10) 통신 구조로는 지원이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1:다수의 통신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도 1b와 같은 스캐터넷(Scatternet)(70)을 형성하여 통신을 수행하게 된다.
블루투스는 개인용 기기로서 1개의 마스터를 중심으로 다수의 슬레이브와 통신을 하는 피코넷을 형성하는 기술을 중심으로 여러 기술이 개발되어 왔고 스캐터넷을 형성하는 기술에 대해서는 많은 연구가 진행되고 있지 않은 실정이다.
왜냐하면, 이제까지 개인이 다수의 기기를 차량 내에서 복수로 사용하는 경우가 없었기 때문이다.
그러나 차량내 블루투스 기기들이 증가함에 따라 종래 피코넷을 이용하여 블루투스 기기를 연결하는 과정에 대해서는 불가능한 특수한 통신 연결과정이 필요하게 되었고, 이를 극복하기 위해서 스캐터넷을 형성하여 차량 통신시스템을 구성하는 기술이 필요하게 되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필요성에 의해 안출된 것으로서, 차량 외부의 통신 시스템인 AP와 연결을 하기 위해서 차량내 데이터 송수신 유닛이 피코넷을 형성하고, 핸즈프리 유닛이 핸드폰을 연결하는 연쇄 통신 구조인 스캐터넷을 형성하여 핸즈프리와 데이터 통신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는 차량용 블루투스 시스템의 연결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블루투스 시스템의 연결방법은, 블루투스 통합 유닛이 AP와 연결을 하기 위해서 피코넷을 형성한 후 핸드폰과 연결을 하기 위해서 임시 피코넷을 형성하여 전체적으로 연쇄 통신 구조인 스캐터넷을 형성하되, AP가 연속적인 조회/등록(Inquiry/Paging)으로 블루투스 통신의 마스터 역할을 수행하고, 상기 블루투스 통합 유닛이 스캐터넷을 연결할 경우 마스터 역할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에 의하면, 차량 외부의 통신 시스템인 AP와 연결을 하기 위해서 차량내 데이터 송수신 유닛이 피코넷을 형성하고, 핸즈프리 유닛이 핸드폰을 연결하는 연쇄 통신 구조인 스캐터넷을 형성하여 핸즈프리와 데이터 통신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그 구성 및 작용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4a와 도 4b는 블루투스 통합 유닛을 이용한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핸즈프리 유닛과 데이터 송수신 유닛을 하나로 통합한 블루투스 통합 유닛(120)을 이용하여 외부의 AP(150) 또는 핸드폰(130)과 같은 별도 통신기기와 블루투스를 통하여 연속적으로 2개의 통신이 연결되어 데이터 통신과 핸즈 프림 음성 통화 기능을 통시에 구현할 수 있다.
상기 블루투스 통합 유닛(120)은 AP(150)와 접속하는 도중에 핸드폰(130)을 통한 핸즈프리 기능이 필요한 경우 핸즈프리 기능과 AP 접속 기능을 모두 지원한다.
차량 외부의 통신 시스템인 AP(150)와 연결을 하기 위해서 블루투스 통합 유닛(120)의 데이터 송수신 유닛이 피코넷(110)을 형성하고, 블루투스 통합 유닛(120)의 핸즈프리 유닛이 핸드폰(130)을 연결하는 피코넷(110)을 형성하여 전체적으로 연쇄 통신 구조인 스캐터넷을 형성함으로써 추가 기기에 대하여 통신을 수행한다.
상기 AP(150)가 먼저 블루투스 통신의 마스터 역할을 수행하며, 이후 스캐터넷을 구현할 경우 마스터 역할을 블루투스 통합 유닛(120)이 수행한다.
이때 상기 블루투스 통합 유닛(120)은 피코넷을 연속적으로 형성하여 스캐터넷을 형성하는 경우에 마스터/슬레이브 모드를 제어하여 안정적인 통신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AP(110)는 최대 동시에 7개의 DATA 송수신 유닛과 통신을 수행할 수 있으며, 블루투스 통합 유닛(120)은 1개의 핸드폰(130)을 더 추가로 하는 스캐터넷을 형성하여 외부 통신 시스템인 AP 통신과 핸즈프리 시스템을 통신에 구현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캐터넷 연결방법의 개념도이고, 도 6은 도 5에 따른 스캐터넷 연결방법의 순서도이다.
AP(150)는 기본적으로 전원의 제한이 없으므로 AP(150)가 마스터가 되어서 연속적인 조회/등록(Inquiry/Paging) 기능을 수행하고, 핸드폰(130)은 기본적으로 슬레이브가 되어 임시 피코넷 연결된 후 전력 소모를 줄이기 위하여 마스터가 되도록 역할 변환(Role Change)을 수행하며, 블루투스 통합 유닛(120)은 마스터/슬레이브 역할을 교대로 수행하는 역할 변환을 통해 마스터가 되기도 하고 슬레이브가 되기도 한다.
먼저, 제1단계는 피코넷을 연결하는 단계로 AP(150)가 마스터가 되고 블루투스 통합 유닛(120)이 슬레이브가 되어 AP(150)와 블루투스 통합 유닛(120) 간에 피코넷을 연결하는 단계이다.
이때 블루투스 통합 유닛(120)과 핸드폰(130)은 슬레이브가 되어 연결되지 않는다.
제2단계는 임시 피코넷을 연결하는 단계로 블루투스 통합 유닛(120)이 마스터/슬레이브 역할을 교대로 수행하는 역할 변환을 통해 마스터가 되고 핸드폰(130)이 슬레이브가 되어 블루투스 통합 유닛(120)과 핸드폰(130) 간에 임시 피코넷을 연결하는 단계이다.
제3단계는 스캐터넷을 연결하는 단계로 핸드폰(130)이 역할 변환을 통해 마스터가 되고 블루투스 통합 유닛(120)이 슬레이브가 되어 AP(150)와 블루투스 통합 유닛(120)과 핸드폰(130) 간에 스캐터넷을 연결하는 단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스캐터넷 연결방법의 순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블루투스 통신이 작동되면(S602) 외부 통신 시스템인 AP(150)가 마스터가 되고 블루투스 통합 유닛(120)이 슬레이브가 되어 AP 통신을 시작하고(S604), AP(150)와 블루투스 통합 유닛(120) 간에 AP 통신(피코넷)이 연결되면(S606) AP 통신을 수행한다(S608).
상기 블루투스 통합 유닛(120)이 마스터/슬레이브 역할을 교대로 수행하는 역할 변환을 통해 마스터가 되어 슬레이브인 핸드폰(130)을 탐색하고(S610), 핸드폰(130)과 연결을 시도하여 블루투스 통합 유닛(120)과 핸드폰(130)간에 임시 피코넷이 연결되면(S612), 임시 피코넷 연결후 상기 핸드폰(130)이 슬레이브에서 마스터로 역할 변환을 수행하여 스캐터넷이 연결되어 통신을 수행한다(S614).
이와 같이 블루투스 통합 유닛(120)이 스캐터넷을 통해 핸드폰(130) 및 AP(150)와 연결되어 핸즈프리와 데이터 통신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스캐터넷을 통해 핸드폰 및 외부의 AP와 연결되어 핸즈프리와 데이터 통신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차량내 블루투스 통신 시스템에 적용할 수 있다.
도 1a와 도 1b는 피코넷과 스캐터넷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종래 블루투스 핸즈프리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종래 블루투스 데이터통신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 4a와 도 4b는 블루투스 통합 유닛을 이용한 시스템의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캐터넷 연결방법의 개념도,
도 6은 도 5에 따른 스캐터넷 연결방법의 순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0: 피코넷 120: 블루투스 통합 유닛
130: 핸드폰 150: AP

Claims (5)

  1. 차량내 구비된 블루투스 통합 유닛을 이용해 핸드폰과 같은 통신기기와 외부 통신 시스템인 AP(Access Pint)를 블루투스를 통하여 연속적으로 2개의 통신을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블루투스 시스템의 연결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블루투스 통합 유닛은 AP와 접속하는 도중에 핸드폰을 통한 핸즈프리 기능이 필요한 경우, AP 접속 기능과 핸즈프리 기능을 동시에 지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블루투스 시스템의 연결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블루투스 통합 유닛이 AP와 연결을 하기 위해서 피코넷을 형성한 후 핸드폰과 연결을 하기 위해서 임시 피코넷을 형성하여 전체적으로 연쇄 통신 구조인 스캐터넷을 형성하되, AP가 연속적인 조회/등록(Inquiry/Paging)으로 블루투스 통신의 마스터 역할을 수행하고, 이후 상기 블루투스 통합 유닛이 스캐터넷을 연결할 경우 마스터 역할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블루투스 시스템의 연결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블루투스 통합 유닛이 피코넷을 연속적으로 연결하여 스캐터넷을 형성하는 경우에 마스터/슬레이브의 역할 변환을 통해 안정적인 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블루투스 시스템의 연결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AP가 블루투스 통신의 마스터가 되고 블루투스 통합 유닛이 슬레이브가 되어 AP와 블루투스 통합 유닛 간에 피코넷을 연결하는 단계와;
    상기 블루투스 통합 유닛이 마스터/슬레이브 역할을 교대로 수행하는 역할 변환을 통해 마스터가 되고 핸드폰이 슬레이브가 되어 블루투스 통합 유닛과 핸드폰 간에 임시 피코넷을 연결하는 단계와;
    상기 핸드폰이 역할 변환을 통해 마스터가 되고 블루투스 통합 유닛이 마스터/슬레이브 역할을 교대로 수행하는 역할 변환을 통해 슬레이브가 되어 AP와 블루투스 통합 유닛과 핸드폰 간에 스캐터넷을 연결하는 단계를 수행하여 데이터 통신과 핸즈프리 음성 통화 기능이 동시에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블루투스 시스템의 연결방법.
KR1020070074914A 2007-07-26 2007-07-26 차량용 블루투스 시스템의 연결방법 KR2009001139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74914A KR20090011392A (ko) 2007-07-26 2007-07-26 차량용 블루투스 시스템의 연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74914A KR20090011392A (ko) 2007-07-26 2007-07-26 차량용 블루투스 시스템의 연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11392A true KR20090011392A (ko) 2009-02-02

Family

ID=406825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74914A KR20090011392A (ko) 2007-07-26 2007-07-26 차량용 블루투스 시스템의 연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011392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09821B1 (ko) * 2009-12-03 2015-04-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무선 다중접속 통신 시스템
KR101678794B1 (ko) * 2015-10-15 2016-11-22 주식회사 가린시스템 블루투스 기반의 차량 원격 시동 제어 방법 및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09821B1 (ko) * 2009-12-03 2015-04-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무선 다중접속 통신 시스템
KR101678794B1 (ko) * 2015-10-15 2016-11-22 주식회사 가린시스템 블루투스 기반의 차량 원격 시동 제어 방법 및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331721B (zh) 分布式蓝牙系统
JP2017204859A (ja) ジェスチャーコントロールモジュール化システム
US20070140272A1 (en)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US20140113615A1 (en) Remote Controlled Headset with Built-In Cellular/Mobile Telephone Module
JP2006512013A5 (ko)
CN104199071A (zh) 一种穿戴式设备获取定位信息的方法与装置
EP1887770A1 (en) Automatic pairing method for building up a connection between a Bluetooth-enabled headset and a master unit
JP2022554365A (ja) 中継接続確立方法及び機器
CN102237897A (zh) 利用一个蓝牙终端监听多个通信终端
KR20050002475A (ko) 블루투스 무선 통신을 이용한 통화 시스템 및 방법
KR101047518B1 (ko) 블루투스를 이용한 무선 쇼울더 마이크 및 이를 이용한 무선 쇼울더 마이크 통신시스템
KR20090011392A (ko) 차량용 블루투스 시스템의 연결방법
CN101179302B (zh) 蓝牙电话终端设备实现蓝牙耳机应用的方法
JP2003174676A (ja) ハンズフリー通話システム及び携帯電話機
ATE467306T1 (de) Freihand-einheit für ein fahrzeug mit justierbarem mikrophon
US20050124380A1 (en) Method of controling a communications session
JP5527383B2 (ja) 携帯電話システム、および携帯電話
KR101653656B1 (ko) 와이파이-블루투스 브릿지 시스템 및 그 시스템을 이용한 와이파이-블루투스 연결 방법
JP2002291044A (ja) 通信システムおよび通信端末
KR20040058592A (ko) 오디오 게이트웨이 겸용 블루투스방식의 무선 헤드셋
CN101127539A (zh) 蓝牙网络电话及其无线装置
KR20040039562A (ko) 블루투스를 이용한 단말기간 음성 통신 방법
JP3968284B2 (ja) 音声通話システム
KR20060071907A (ko) 휴대용 단말기 간의 블루투스 메시지 서비스 제공 방법
JP2003224511A (ja) 近距離無線機能付き携帯情報端末とその通信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