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11382U - 인쇄회로기판에 연결 가능한 커넥터 - Google Patents

인쇄회로기판에 연결 가능한 커넥터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11382U
KR20090011382U KR2020090011107U KR20090011107U KR20090011382U KR 20090011382 U KR20090011382 U KR 20090011382U KR 2020090011107 U KR2020090011107 U KR 2020090011107U KR 20090011107 U KR20090011107 U KR 20090011107U KR 20090011382 U KR20090011382 U KR 20090011382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transmission
housing
contact terminal
transmission plate
printed circu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9001110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50297Y1 (ko
Inventor
이용구
강경일
Original Assignee
(주)기가레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기가레인 filed Critical (주)기가레인
Priority to KR202009001110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50297Y1/ko
Publication of KR2009001138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11382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5029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50297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6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specially adapted for high-frequency, e.g. structures providing an impedance match or phase match
    • H01R13/6473Impedance matching
    • H01R13/6477Impedance matching by variation of dielectric properti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50Fixed connections
    • H01R12/51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515Terminal blocks providing connections to wires or cabl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12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operating with the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or with a coupling device exclusively provided on the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 H01R12/716Coupling device provided on the PCB

Abstract

인쇄회로기판에 연결 가능한 커넥터가 개시된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는, 플러그의 신호핀이 삽입되는 삽입공간을 형성하는 적어도 두 개의 삽입판으로 이루어지는 접촉단자와, 상기 접촉단자의 하단부에 상기 접촉단자와 수직으로 연결되며 인쇄회로기판(printed circuit board: PCB)의 신호전송라인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신호 전송판이 일체로 형성되는 중심도체; 상기 중심도체와 전기적으로 절연되고, 상기 접촉단자를 둘러싸는 통 형상의 몸통과, 상기 몸통의 하단부에 수직하게 외측으로 연결되는 하우징 테일이 일체로 형성되는 하우징; 및 상기 중심도체를 상기 하우징으로부터 절연시키는 유전체를 구비한다. 상기 하우징 테일은, 상기 하우징 테일의 끝단의 일부분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의 상면과 하면 전체가, 상기 유전체에 둘러싸여 있다.

Description

인쇄회로기판에 연결 가능한 커넥터{Connector capable of coupling to printed circuit board}
본 고안은 커텍터에 관한 것으로써, 하우징 테일이 유전체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며 신호 전송판이 유전체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고, 신호 전송판과 인쇄회로기판의 그라운드 레이어 사이의 캐패시턴스를 작게함으로써 임피던스를 매칭시킬 수 있는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유무선 통신기기들 간에는 다양한 신호들이 전송된다. 신호가 전송되는 유무선 통신기기들은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되는데,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연결 방법으로 플러그와 커넥터를 이용하는 방법이 있으며, 플러그와 커넥터는 동축 케이블(coaxial cable)에 연결될 수 있는 구조로 제작된다.
예를 들어 무선 신호를 효율적으로 송수신하기 위해서 무선 통신기기에는 안테나가 부착될 수 있는데, 이 경우 안테나에는 플러그가 설치되고, 무선 통신기기에는 커넥터가 설치되는 것이 일반적이다(그 반대의 경우도 가능함). 이 때 안테나 회로로의/로부터의 신호 전송을 위한 동축 케이블은 플러그에 연결되고, 무선 통신기기 내부 회로로의/로부터의 신호 전송을 위한 동축 케이블은 커넥터에 연결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플러그와 커넥터를 이용하여 유무선 통신기기들이 연결되는 종래의 방법에서는, 플러그와 통신기기들의 내부 회로, 또는 커넥터와 통신기기들의 내부 회로를 연결하기 위해서, 별도의 동축 케이블이 사용되어야 한다. 즉 종래의 방법은, 플러그 또는 커넥터가 내부 회로에 직접 연결되지 않고 동축 케이블을 통해 연결되어야 하므로, 무선 통신기기들의 소형화 추세에 적합하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
한편 무선 통신기기들의 내부회로는 일반적으로 인쇄회로기판(printed circuit board: PCB)에 구현된다. 이러한 인쇄회로기판 기술은 비약적으로 발전하고 있으며, 현재에는 종래의 딱딱한 성질의 인쇄회로기판뿐만 아니라 자유로운 움직임이 가능한 연성회로기판(flexible PCB: FPCB)도 널리 사용되고 있다.
본 고안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하우징 테일이 유전체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고, 신호 전송판이 유전체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커넥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신호 전송판과 인쇄회로기판의 그라운드 레이어 사이의 캐패시턴스를 작게함으로써, 임피던스 매칭을 시킬 수 있는 커넥터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는, 플러그의 신호핀이 삽입되는 삽입공간을 형성하는 적어도 두 개의 삽입판으로 이루어지는 접촉단자와, 상기 접촉단자의 하단부에 상기 접촉단자와 수직으로 연결되며 인쇄회로기판(printed circuit board: PCB)의 신호전송라인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신호 전송판이 일체로 형성되는 중심도체; 상기 중심도체와 전기적으로 절연되고, 상기 접촉단자를 둘러싸는 통 형상의 몸통과, 상기 몸통의 하단부에 수직하게 외측으로 연결되는 하우징 테일이 일체로 형성되는 하우징; 및 상기 중심도체를 상기 하우징으로부터 절연시키는 유전체를 구비한다. 상기 하우징 테일은, 상기 하우징 테일의 끝단의 일부분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의 상면과 하면 전체가, 상기 유전체에 둘러싸여 있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는, 하우징 테일이 유전체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고, 신호 전송판이 유전체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는, 신호 전송판과 인쇄회로기판의 그라운드 레이어 사이의 캐패시턴스를 작게함으로써, 임피던스를 매칭시킬 수 있다.
본 고안의 상세한 설명에서 인용되는 도면을 보다 충분히 이해하기 위하여 각 도면의 간단한 설명이 제공된다.
도 1(a)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가 사용되는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b)는 인쇄회로기판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c)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의 투영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들과 비교할 목적으로 제공되는 비교예에 따른 커넥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커넥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커넥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제3실시예에 따른 커넥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고안과 본 고안의 동작상의 이점 및 본 고안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첨부 도면 및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참조하여야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고안을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도 1(a)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가 사용되는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a)에는 인쇄회로기판(160)에 커넥터(200)가 연결된 모습이 도시된다. 커넥터(200)는 인쇄회로기판(160)에 연결되는 형태로 구현되어 서로 결합하여, 신호를 전송한다.
도 1(b)는 인쇄회로기판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b)에 도시된 인쇄회로기판(160)은, 제1그라운드 레이어(164), 제1유전체 레이어(166), 및 신호전송라인(162)를 구비한다. 제1그라운드 레이어(164), 제1유전체 레이어(166), 신호전송라인(162)는 순차적으로 적층되고, 동일한 방향으로 신장된다.
제1그라운드 레이어(164)는 금속성 물질(예를 들어, 구리)로 이루어지고, 접지에 연결된다. 제1유전체 레이어(166)는 유전 물질(예를 들어, 폴리-이미드)로 이루어진다. 신호전송라인(162)는 금속성 물질(예를 들어, 구리)로 이루어진다.
도 1(c)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의 투영 사시도이다.
도 1(c)에는 인쇄회로기판(미도시)에 연결되는 중심도체(210) 부분의 모습이도시된다. 도 1(c)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200)는 중심도체(210), 하우징 몸통(220), 하우징 테일(225), 및 유전체(230)를 포함한다.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들과 비교할 목적으로 제공되는 비교예에 따른 커넥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커넥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와 도 3에는 비교예에 따른 커넥터 이외에, 인쇄회로기판(260, 360)이 함께 도시된다. 이하에서 도 2와 도 3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커넥터와 비교예에 따른 커넥터를 비교 설명한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커넥터는 중심도체(310, 315), 하우징(320, 325), 및 유전체(330)를 구비한다.
중심도체(310, 315)는 접촉단자(310)와 신호 전송판(315)이 일체로 형성된다. 접촉단자(310)는 플러그의 신호핀이 삽입되는 삽입공간을 형성하는 적어도 두 개의 삽입판으로 이루어진다. 신호 전송판(315)은 접촉단자(310)의 하부에 눕혀진 상태로 연결되며, 인쇄회로기판(printed circuit board: PCB)(360)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신호 전송판(315)은 인쇄회로기판(360)의 신호전송라인(262)에 연결될 수 있다. 신호전송라인(262), 유전체 레이어(264)와 그라운드 레이어(266)에 대해서는, 도 1(b)에 도시된 그것들과 동일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유전체(330)는 중심도체(310, 315)를 하우징(320, 325)로부터 절연시킨다.
하우징(320, 325)은 몸통(320)과 하우징 테일(325)이 일체로 형성된다. 몸통(320)은 중심도체(310, 315)와 전기적으로 절연되고, 접촉단자(310)를 둘러싸는 통 형상을 가진다.
하우징 테일(325)은 몸통(320)의 하부에 눕혀진 상태로 연결되고, 하우징 테일(325)의 끝단의 일부는 유전체(330)의 밖으로 돌출되어 있고, 나머지 일부는 유전체(330)에 묻혀 있다. 즉, 하우징 테일(325)의 묻혀 있는 부분의 상면과 하면 전체는 유전체(330)에 둘러싸여 있다. 그에 따라, 하우징 테일(325)이 유전체(330)로부터 이탈되는 것이 방지된다.
반면에, 비교예에 따른 커넥터에서는, 하우징 테일(325)의 묻혀 있는 부분의 하면은 유전체(330)에 둘러싸여 있지 않다. 그에 따라, 비교예에 따른 커넥터에서는, 하우징 테일(225)이 유전체(230)로부터 이탈되기 쉽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커넥터에서, 하우징 테일(325)은 신호 전송판(315)보다 높은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그럼으로써, 하우징 테일(325)의 묻혀 있는 부분의 상면과 하면 전체가 유전체(330)에 둘러싸여 있을 수 있다.
도 4는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커넥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커넥터에서는, 신호 전송판(415)의 끝단의 일부는 유전체(430)의 밖으로 돌출되어 있고, 나머지 일부는 유전체(430)에 묻혀 있다. 즉, 신호 전송판(415)의 묻혀 있는 부분의 상면과 하면 전체는 유전체(430)에 둘러싸여 있다. 그에 따라, 신호 전송판(415)이 유전체(430)로부터 이탈되는 것이 방지된다.
반면에, 도 2에 도시된 비교예에 따른 커넥터에서는, 신호 전송판(215)의 묻혀 있는 부분의 하면은 유전체(230)에 둘러싸여 있지 않다. 그에 따라, 비교예에 따른 커넥터에서는, 신호 전송판(215)이 유전체(230)로부터 이탈되기 쉽다.
도 4를 참조하면, 신호 전송판(415)은 인쇄회로기판(460)보다 소정 거리 만큼 높게 배치되고, 신호 전송판(415)의 끝부분은 아래쪽으로 구부러져 있다. 그에 따라, 신호 전송판(415)은 인쇄회로기판(460)의 신호전송라인(462)와 전기적으로 접촉된다.
신호 전송판(415)이 인쇄회로기판(460)보다 소정 거리 만큼 높게 배치되면, 신호 전송판(415)과 인쇄회로기판(460)의 그라운드 레이어(466) 사이의 거리가 멀어진다. 이 경우, 신호 전송판(415)과 그라운드 레이어(466) 사이의 캐패시턴스가 작아지고, 그에 따라 임피던스가 커진다. 그러므로, 임피던스를 매칭 시킬 수 있다.
신호 전송판(415)은 하우징 테일(425)보다 높은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그럼으로써, 신호 전송판(415)의 묻혀 있는 부분의 상면과 하면 전체는 유전체(430)에 둘러싸이게 할 수 있고, 신호 전송판(415)과 인쇄회로기판(460)의 그라운드 레이어(466) 사이의 거리를 멀게 할 수 있다.
도 5는 본 고안의 제3실시예에 따른 커넥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하우징 테일(525)의 묻혀 있는 부분의 상면과 하면 전체는 유전체(530)에 둘러싸여 있다. 그에 따라, 하우징 테일(525)이 유전체(530)로부터 이탈되는 것이 방지된다.
또한, 신호 전송판(515)의 묻혀 있는 부분의 상면과 하면 전체는 유전체(530)에 둘러싸여 있다. 그에 따라, 신호 전송판(515)이 유전체(530)로부터 이탈되는 것이 방지된다.
또한, 신호 전송판(515)은 인쇄회로기판(560)보다 소정 거리 만큼 높게 배치된다. 이 경우, 신호 전송판(515)과 인쇄회로기판(460)의 그라운드 레이어(466) 사이의 거리가 멀어진다. 그에 따라, 신호 전송판(415)과 그라운드 레이어(466) 사이의 캐패시턴스가 작아지고, 임피던스가 커진다. 그러므로, 임피던스를 매칭 시킬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제3실시예에 따른 커넥터에서, 신호 전송판(515)은 하우징 테일(525)과 같은 높이에 배치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도면과 명세서에서 최적 실시예가 개시되었다. 여기서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고안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고안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7)

  1. 플러그의 신호핀이 삽입되는 삽입공간을 형성하는 적어도 두 개의 삽입판으로 이루어지는 접촉단자와, 상기 접촉단자의 하단부에 상기 접촉단자와 수직으로 연결되며 인쇄회로기판(printed circuit board: PCB)의 신호전송라인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신호 전송판이 일체로 형성되는 중심도체;
    상기 중심도체와 전기적으로 절연되고, 상기 접촉단자를 둘러싸는 통 형상의 몸통과, 상기 몸통의 하단부에 수직하게 외측으로 연결되는 하우징 테일이 일체로 형성되는 하우징; 및
    상기 중심도체를 상기 하우징으로부터 절연시키는 유전체를 구비하고,
    상기 하우징 테일은, 상기 하우징 테일의 끝단의 일부분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의 상면과 하면 전체가, 상기 유전체에 둘러싸여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테일이 상기 하우징의 몸통의 하단부에 수직으로 연결되는 지점은,
    상기 신호 전송판이 상기 접촉단자에 수직으로 연결되는 지점보다 높게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3. 플러그의 신호핀이 삽입되는 삽입공간을 형성하는 적어도 두 개의 삽입판으로 이루어지는 접촉단자와, 상기 접촉단자의 하단부에 상기 접촉단자와 수직으로 연결되며 인쇄회로기판(printed circuit board: PCB)의 신호전송라인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신호 전송판이 일체로 형성되는 중심도체;
    상기 중심도체와 전기적으로 절연되고, 상기 접촉단자를 둘러싸는 통 형상의 몸통과, 상기 몸통의 하단부에 수직하게 외측으로 연결되는 하우징 테일이 일체로 형성되는 하우징; 및
    상기 중심도체를 상기 하우징으로부터 절연시키는 유전체를 구비하고,
    상기 신호 전송판은, 상기 신호 전송판의 끝단의 일부분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의 상면과 하면 전체가, 상기 유전체에 둘러싸여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전송판이 상기 접촉단자에 수직으로 연결되는 지점은,
    상기 하우징 테일이 상기 하우징의 몸통의 하단부에 수직으로 연결되는 지점보다 높게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전송판은,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신호전송라인보다 소정 거리 만큼 떨어져서 높게 배치되고,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신호전송라인과 접촉되기 위하여, 상기 신호 전송판의 끝부분은 아래쪽으로 구부러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6. 플러그의 신호핀이 삽입되는 삽입공간을 형성하는 적어도 두 개의 삽입판으로 이루어지는 접촉단자와, 상기 접촉단자의 하단부에 상기 접촉단자와 수직으로 연결되며 인쇄회로기판(printed circuit board: PCB)의 신호전송라인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신호 전송판이 일체로 형성되는 중심도체;
    상기 중심도체와 전기적으로 절연되고, 상기 접촉단자를 둘러싸는 통 형상의 몸통과, 상기 몸통의 하단부에 수직하게 외측으로 연결되는 하우징 테일이 일체로 형성되는 하우징; 및
    상기 중심도체를 상기 하우징으로부터 절연시키는 유전체를 구비하고,
    상기 하우징 테일은, 상기 하우징 테일의 끝단의 일부분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의 상면과 하면 전체가, 상기 유전체에 둘러싸여 있고,
    상기 신호 전송판은, 상기 신호 전송판의 끝단의 일부분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의 상면과 하면 전체가, 상기 유전체에 둘러싸여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전송판이 상기 접촉단자에 수직으로 연결되는 지점은,
    상기 하우징 테일이 상기 하우징의 몸통의 하단부에 수직으로 연결되는 지점과 동일한 높이에 위치하고,
    상기 신호 전송판은,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신호전송라인보다 소정 거리 만큼 떨어져서 높게 배치되고,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신호전송라인과 접촉되기 위하여, 상기 신호 전송판의 끝부분은 아래쪽으로 구부러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KR2020090011107U 2009-08-26 2009-08-26 인쇄회로기판에 연결 가능한 커넥터 KR20045029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11107U KR200450297Y1 (ko) 2009-08-26 2009-08-26 인쇄회로기판에 연결 가능한 커넥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11107U KR200450297Y1 (ko) 2009-08-26 2009-08-26 인쇄회로기판에 연결 가능한 커넥터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14164A Division KR20090088717A (ko) 2008-02-15 2008-02-15 인쇄회로기판에 연결 가능한 커넥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11382U true KR20090011382U (ko) 2009-11-05
KR200450297Y1 KR200450297Y1 (ko) 2010-09-17

Family

ID=415572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90011107U KR200450297Y1 (ko) 2009-08-26 2009-08-26 인쇄회로기판에 연결 가능한 커넥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50297Y1 (ko)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4096Y1 (ko) * 2005-09-29 2005-12-19 (주)애드컴 스위치 기능을 갖는 안테나 연결용 커넥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50297Y1 (ko) 2010-09-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400248B2 (en) Wireless power transfer device
US8414306B2 (en) Coaxial connector with an insulating base with grooves between grounding and signal contacting conductors
US8298007B2 (en) RF plug connector, RF receptacle connector, and RF connector
CN112086784B (zh) 用于传输超高频信号的同轴线缆阳连接器
EP3751672A1 (en) Compact coaxial cable connector for transmitting super high frequency signals
WO2007009549A1 (en) Coaxial connector
US20120040540A1 (en) Electrical Connector And Circuit Board Assembly
KR20090130631A (ko) 전자 기기의 접지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인쇄회로기판
KR101162659B1 (ko) 동축 케이블 결합 커넥터
US20180175497A1 (en) Receptacle connector having antenna function
CN101938075B (zh) 自动化装置
US20220294136A1 (en) Multiple coaxial cable connector
US9455511B1 (en) Circuit board connecting device
KR20090088717A (ko) 인쇄회로기판에 연결 가능한 커넥터
KR200450297Y1 (ko) 인쇄회로기판에 연결 가능한 커넥터
EP3751670A1 (en) Compact connector for transmitting super high frequency signal
US20150118912A1 (en) Connector for flat conductor
TWI734515B (zh) 用於傳輸超高頻訊號之緊湊式同軸纜線連接器
US20090109114A1 (en) Antenna structure
KR102587784B1 (ko) Rf 커넥터 및 이를 이용하는 디바이스 연결 방법
CN215934000U (zh) 射频同轴线和电子设备
KR20130088563A (ko) 쉘 구조가 개선된 커넥터 장치
US20100123550A1 (en) Coaxial Antenna Connection
WO2009061099A2 (en) Connector capable of coupling to printed circuit board
KR100921223B1 (ko) 전선 연결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0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2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0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0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21

Year of fee payment: 8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