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11262U - 경사면을 갖는 힌지축에 의한 잠금날개의 용이 체결구조를갖는 진공용기 - Google Patents

경사면을 갖는 힌지축에 의한 잠금날개의 용이 체결구조를갖는 진공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11262U
KR20090011262U KR2020080005753U KR20080005753U KR20090011262U KR 20090011262 U KR20090011262 U KR 20090011262U KR 2020080005753 U KR2020080005753 U KR 2020080005753U KR 20080005753 U KR20080005753 U KR 20080005753U KR 20090011262 U KR20090011262 U KR 20090011262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inge
lid
container
vacuum container
lock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8000575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우경
Original Assignee
김우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우경 filed Critical 김우경
Priority to KR202008000575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11262U/ko
Publication of KR2009001126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11262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18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providing specific environment for contents, e.g. temperature above or below ambient
    • B65D81/2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providing specific environment for contents, e.g. temperature above or below ambient under vacuum or superatmospheric pressure, or in a special atmosphere, e.g. of inert gas
    • B65D81/2007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providing specific environment for contents, e.g. temperature above or below ambient under vacuum or superatmospheric pressure, or in a special atmosphere, e.g. of inert gas under vacuum
    • B65D81/2015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providing specific environment for contents, e.g. temperature above or below ambient under vacuum or superatmospheric pressure, or in a special atmosphere, e.g. of inert gas under vacuum in an at least partially rigid contain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3/00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43/02Removable lids or cov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43/00Lids or covers essentially for box-like containers
    • B65D2543/00009Details of 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43/00018Overall construction of the lid
    • B65D2543/00064Shape of the outer periphery
    • B65D2543/00074Shape of the outer periphery curved
    • B65D2543/00101Shape of the outer periphery curved square-like or rectangular-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43/00Lids or covers essentially for box-like containers
    • B65D2543/00009Details of 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43/00444Contact between the container and the lid
    • B65D2543/00592Snapp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다양한 음식물을 장시간 보관하기 위한 진공용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진공용기의 뚜껑에는 잠금날개가 힌지 결합되어 상기의 잠금날개의 하향 회전에 의해 뚜껑과 용기가 수밀 결합되게 한 진공용기에 있어서, 상기의 뚜껑 테두리에는 힌지부를 돌출 형성하고, 상기 힌지부의 양단에는 힌지축을 돌출 형성하되, 상기의 힌지축에는 저면으로부터 외측단을 향하는 상향의 경사면을 형성하여, 상기 힌지축의 경사면을 따라 잠금날개에 형성된 삽입부를 가압하여 상기 삽입부 내의 삽입홈으로 상기의 힌지축이 삽입되어 서로 힌지 체결되게 구성함으로써, 뚜껑으로부터 돌출 형성된 힌지부의 힌지축 경사면을 통해 잠금날개를 강제적으로 압박하여 잠금날개 자체의 탄성에 의해 체결하므로 상호 간의 체결력이 매우 우수한 것이며, 잠금날개를 힌지축에 결합하기 위한 체결부가 외측으로 전혀 노출되지 아니하므로 체결부의 외관이 매우 간결한 것이며, 틈새나 홈부를 최소화하므로 음식물이나 찌꺼기, 이물질 등이 누적되거나 끼이는 것을 방지하여 외관은 물론 위생상으로도 매우 청결한 것이며, 쉽게 분리되지 아니하므로 분실 위험이 거의 없어 진공용기의 사용수명을 더욱 연장시킬 수 있는 특징을 갖는 것이다.
진공용기, 뚜껑, 용기, 잠금날개, 힌지축, 경사면

Description

경사면을 갖는 힌지축에 의한 잠금날개의 용이 체결구조를 갖는 진공용기 {Vacuum container with easy-locking flap using inclined hinge}
본 고안은 다양한 음식물을 장시간 보관하기 위한 진공용기에 있어, 상기 진공용기의 뚜껑에 체결되는 잠금날개의 체결구조를 개선함에 따라, 뚜껑의 힌지축과 잠금날개의 체결부가 외부로 드러나지 않아 외관상 미려한 것은 물론 상기의 잠금날개가 뚜껑의 힌지축으로부터 쉽게 이탈하지 아니하므로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특징의 진공용기에 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음식물을 보관하기 위한 목적으로 만들어진 보관용기는 용기와 뚜껑의 기본적인 구성으로 된 것들 이외에 근자에 들어서 밀폐용기나 진공용기 등이 개발되어 종래의 보관시간에 비하여 더욱 오랜 시간 동안 음식물의 부패나 변질없이 보관할 수 있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한 밀폐용기는 용기 본체와 뚜껑의 완전 밀착 결합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외부의 공기가 용기 내부로 유입되지 않게 함에 따라 공기의 소통이나 순환이 이루어지지 아니하므로 종래의 일반 용기에 비하여 음식물의 보관 시간을 연장시킬 수 있는 특징을 갖는 것이며,
진공용기의 경우에는 용기 내부의 공기를 강제로 제거하면서도 용기와 뚜껑의 완전 밀착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음식물과 공기와의 접촉을 원천적으로 차단함에 따라 음식물의 부패나 변질 방지 효과가 더욱 우수하므로 음식물의 보관 기간을 더욱 연장시킬 수 있는 특징을 갖게 된다.
이때, 상기한 진공용기는 음식물의 보관시간이 크게 연장됨에 따라 널리 사용되고 있는데, 상기한 진공용기의 뚜껑에는 용기 내부의 공기를 제거하기 위한 에어밸브가 장착되어 있고, 상기의 에어밸브는 일종의 체크밸브의 역할을 수행함에 따라 별도의 진공흡입수단을 이용하여 에어밸브 내의 승강밸브를 상승시켜 용기의 내부가 개방되면 흡입압력에 의해 용기 내부의 공기가 제거되는 것이며, 용기 내부의 공기가 완전히 제거된 상태에서 상기의 진공흡입수단을 에어밸브로부터 제거하면 용기 내의 저압력에 의해 상승상태의 승강밸브가 급속하게 하강하여 뚜껑과 밀착되므로 용기 내부의 진공 상태가 그대로 유지되게 하는 구성을 갖고 있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한 진공용기에 결합되는 뚜껑은 상기의 진공용기에 밀착 체결되어야 용기 내부의 진공 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되는 것인데, 상기의 뚜껑에는 힌지 결합 형태의 잠금날개가 형성되어 있어 잠금날개의 하향 회전에 의해 잠금날개의 내측에 돌출된 걸림부가 용기의 플랜지부에 강제적으로 체결되면서 뚜껑과 용기의 밀착력을 크게 강화시키므로 결국 상기한 용기와 뚜껑의 수밀 결합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이다.
이때, 상기한 잠금날개는 전기한 바와 같이 뚜껑의 외측부에 힌지 결합되어 있는 것으로서, 일반적인 잠금날개의 체결구조를 살펴보면 도 1의 도시와 같이 뚜껑(100)의 외측부에 힌지부(101)를 돌출 형성하고, 상기의 힌지부(101) 양단에는 돌출의 힌지축(102)(102')을 형성하여 이루어지고, 상기한 잠금날개(110)(110')의 양측에는 상기의 힌지축(102)(102')에 결합되는 삽입부(111)(111')를 형성하되, 상기의 삽입부(111)(111')에는 상기의 힌지축(102)(102')이 결합되는 삽입홈(112)(112')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특히, 상기한 삽입부(111)(111')에는 상기의 힌지축(102)(102')이 유도 결합되기 위한 절개부(113)가 형성되어 있어, 일측의 삽입부(111)를 일측의 힌지축(102)에 우선 삽입한 상태에서 타측의 삽입부(111')에 형성된 절개부(113)를 통해 타측의 힌지축(102')이 상기의 삽입부(111') 내측으로 끼워지게 함으로서 상기의 잠금날개(110)(110')를 뚜껑(100)에 힌지 결합할 수 있는 것이다.
이에 따라 상기한 잠금날개(110)(110')를 이용하여 뚜껑과 용기의 긴밀한 수밀 결합이 이루어지게 된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진공용기의 잠금날개 체결구조는 잠금날개의 삽입부에 형성된 절개부를 통해 뚜껑의 힌지축을 삽입하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으므로, 상기의 절개부가 잠금날개의 회전 각도에 따라 외부로 드러나므로 외관상 보기 좋지 못한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와 같은 절개부는 음식물을 취급하는 용기의 특성상 미세한 틈새로 작용하게 되므로 음식물 찌거기 등이 상기의 절개부로 침투하거나 유입되는 경우에는 용기의 청결에도 좋지 못할 뿐만 아니라 소제가 용이하지 못하여 외관으로 드러나는 절개부의 음식물 찌꺼기가 미간을 찌푸리게 하는 등의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특히, 상기와 같이 절개부를 이용한 뚜껑과 잠금날개의 체결구조는 손쉬운 조립이 이루어지는 동시에 잠금날개의 손쉬운 분리가 이루어져 사용자가 의도하지 않은 상태에서도 잠금날개가 뚜껑으로부터 분리되므로 용기를 떨어트려 파손되거나 부상을 당할 위험성을 갖고 있으면서도, 상기의 분리가 쉬운 잠금날개는 분실의 위험도가 매우 높아 주의를 요구하게 된다.
본 고안은 전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한 것으로서, 뚜껑에 형성된 힌지부 양측단의 힌지축에 경사면을 형성하여 상기의 경사면을 통해 잠금날개의 삽입부를 밀어 체결할 수 있게 함으로서, 상기 잠금날개와 힌지부의 체결부가 외부로 드러나지 아니하므로 미려한 외관은 물론 매끄러운 외관을 갖추게 되며 쉽게 분리되지 아니하므로 종래의 체결구조가 내포하고 있는 제반의 문제점을 합리적으로 극복한 진공용기를 제공함에 본 고안의 목적이 있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에어밸브를 갖는 뚜껑과 상부가 개방된 용기로 이루어지고, 상기의 뚜껑에는 잠금날개가 힌지 결합되어 상기의 잠금날개의 하향 회전에 의해 뚜껑과 용기가 수밀 결합되게 한 진공용기에 있어서, 상기의 뚜껑의 테두리에는 힌지부를 돌출 형성하고, 상기 힌지부의 양단에는 힌지축을 돌출 형성하되, 상기의 힌지축에는 저면으로부터 외측단을 향하는 상향의 경사면을 형성하여, 상기 힌지축의 경사면을 따라 잠금날개에 형성된 삽입부를 가압하여 상기 삽입부 내의 삽입홈으로 상기의 힌지축이 삽입되어 서로 힌지 체결되게 구성하여 이루어진 것이다.
본 고안은, 뚜껑으로부터 돌출 형성된 힌지부의 힌지축 경사면을 통해 잠금날개를 강제적으로 압박하여 탄성에 의해 체결하므로 상호 간의 체결력이 매우 우수한 것이며, 잠금날개를 힌지축에 결합하기 위한 체결부가 외측으로 전혀 노출되지 아니하므로 체결부의 외관이 매우 간결한 것이며, 틈새나 홈부를 최소화하므로 음식물이나 찌꺼기, 이물질 등이 누적되거나 끼이는 것을 방지하여 외관은 물론 위생상으로도 매우 청결한 것이며, 쉽게 분리되지 아니하므로 분실 위험이 거의 없어 진공용기의 사용수명을 더욱 연장시킬 수 있는 특징을 갖는 것이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고안자는 자신의 고안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진공용기의 전체 분리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진공용기의 잠금날개 체결부의 확대 사시도이다.
도시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진공용기는 상부가 개방된 상태의 용기(20)와 용기(20)의 상측에 체결되는 뚜껑(10)으로 이루어져 있는 것으로서, 상기의 뚜껑(10)에는 용기(20)와 체결하기 위한 잠금날개(30)(30')가 사방으로 힌지 결합되어 있는 것이다.
이에 따라 상기한 잠금날개(30)(30')를 이용하여 뚜껑(10)과 용기(20)를 수밀 체결한 상태에서 뚜껑(10)에 형성된 에어밸브(14)를 이용하여 용기(20)의 내부 공기를 제거하면 상기한 진공용기는 내부가 진공상태가 되므로 용기의 내부에 수용된 음식물을 장기간 보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의 뚜껑(10)은 평면상 사각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어 상기의 각 테두리마다 힌지부(11)(11')가 돌출 형성되어 있고 상기의 각 힌지부(11)(11') 양단에는 힌지축(12)(12')이 돌출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이에 따라 상기의 힌지축(12)(12')에 잠금날개(30)(30')를 체결하면 되는 것인데, 상기의 잠금날개(30)(30')의 상측에는 상향 돌출된 삽입부(31)(31')가 이격 형성되어 있고 상기의 삽입부(31)(31') 내측에는 삽입홈(32)(32')이 각각 형성되어 있어 상기의 힌지축(12)(12')이 삽입홈(32)(32')으로 끼워지면서 이들의 힌지 결합이 이루어지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한 힌지축(12)(12')의 저면에는 외측단을 향하는 상향의 경사면(13)이 형성되어 있어 경사면(13)을 이용하여 상기의 잠금날개(30)(30')를 강제로 밀어 체결할 수 있는 것인데, 상기한 힌지축(12)(12')의 저면에 잠금날개(30)(30')의 삽입부(31)(31')를 밀착한 상태에서 상기한 경사면(13)을 향하여 삽입부(31)(31')를 밀어올리면 상기한 삽입부(31)(31')가 경사면(13)을 따라 탄력적으로 벌어지면서 밀려 올라가게 되는 것이며 결국 상기의 힌지축(12)(12')이 삽입홈(32)(32')의 내측으로 끼워지게 되는 것이다.
이를 다시 설명하면, 도 4의 도시와 같이 분리 상태의 잠금날개(30)(30')를 뚜껑(10)의 힌지부(11)(11') 하단에 위치시킨 상태에서, 잠금날개(30)(30')의 삽입부(31)(31')를 힌지축(12)(12')의 하단에 밀착시키거나 일측의 삽입부(31)(31')를 상기의 힌지축(12)(13')에 우선 체결한 상태에서 타측의 삽입부(31)(31')를 상측으로 밀어올리게 되면 타측의 삽입부(31)(31')는 힌지축(12)(12')의 경사면(13)을 따라 강제적으로 벌어지게 되므로 경사면(13)을 통해 벌어지던 삽입부(31)(31')는 상기의 힌지축(12)(12')이 삽입홈(32)(32')에 위치하는 동시에 벌어져 있던 삽입부(31)(31')가 탄력적으로 복원되면서 상기의 삽입홈(32)(32') 내측으로 힌지축(12)(12')이 자동 삽입되므로 이들의 견고한 상호 체결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때 상기의 경사면(13)은 양측의 힌지축(12)(12')에 모두 형성할 수도 있고, 일측의 힌지축(12)(12')에만 형성할 수도 있는 것으로서, 일측에만 경사면(13)을 형성하는 경우에는 일측을 우선 삽입한 상태에서 타측을 강제적으로 밀어 체결하면 되는 것이며, 상기의 경사면(13)을 양측 힌지축(12)(12')에 모두 형성하는 경우에는 양측 삽입부(31)(31')를 동시에 상측으로 밀어 강제적으로 체결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한 경사면(13)은 힌지축(12)(12')의 저면에 형성된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상면 및 측면에 형성하여도 동일한 역할과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체결된 잠금날개(30)(30')의 삽입부(31)(31')는 뚜껑(10)의 힌지 축(12)(12')이 완전히 삽입홈(32)(32') 내에 위치하여 은폐되므로 종래와 같은 틈새나 홈부가 전혀 생성되지 아니하므로 음식물 찌꺼기나 이물질이 누적되거나 끼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며, 매끄러운 외관을 형성하여 더욱 고급스러운 외관을 형성하게 된다.
특히, 상기와 같은 체결구조는 소비자의 입장에서는 확인할 수 없으므로 임의로 잠금날개(30)(30')를 분해할 수 없어 분실 위험이 크게 감소하므로 잠금날개(30)(30')의 불필요한 분리나 분실에 따른 수명 단축의 원인을 제거하게 되는 것이며, 의도하지 않은 상태에서 잠금날개(30)(30')가 뚜껑(10)으로부터 분리되어 용기의 파손 또는 용기의 낙하에 의한 부상 등의 위험이 발생하지 않게 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은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고안의 가장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은 일반적인 진공용기의 잠금날개 체결부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진공용기의 전체 분리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진공용기의 잠금날개 체결부의 확대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진공용기의 잠금날개 체결 과정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뚜껑 11,11' : 힌지부
12,12' : 힌지축 13 : 경사면
14 : 에어밸브
20 : 용기
30,30' : 잠금날개 31,31' : 삽입부
32,32' : 삽입홈

Claims (3)

  1. 에어밸브(14)를 갖는 뚜껑(10)과 상부가 개방된 용기(20)로 이루어지고, 상기의 뚜껑(10)에는 잠금날개(30)(30')가 힌지 결합되어 상기의 잠금날개(30)(30')의 하향 회전에 의해 뚜껑(10)과 용기(20)가 수밀 결합되게 한 진공용기에 있어서,
    상기의 뚜껑(10)의 테두리에는 힌지부(11)(11')를 돌출 형성하고, 상기 힌지부(11)(11')의 양단에는 힌지축(12)(12')을 돌출 형성하되, 상기의 힌지축(12)(12')에는 경사면(13)을 형성하여, 상기 힌지축(12)(12')의 경사면(13)을 따라 잠금날개(30)(30')에 형성된 삽입부(31)(31')를 가압하여 상기 삽입부(31)(31') 내의 삽입홈(32)(32')으로 상기의 힌지축(12)(12')이 삽입되어 서로 힌지 체결되게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경사면을 갖는 힌지축에 의한 잠금날개의 용이 체결구조를 갖는 진공용기.
  2. 제 1항에 있어서,
    힌지부(11)(11')의 양단에 형성된 힌지축(12)(12') 중 어느 하나의 힌지축에만 경사면(13)을 형성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경사면을 갖는 힌지축에 의한 잠금날개의 용이 체결구조를 갖는 진공용기.
  3. 제 1항에 있어서,
    힌지축(12)(12')의 경사면(13)은, 힌지축(12)(12')의 저면이나 상면 또는 측면 중 어느 하나의 위치에 형성되게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경사면을 갖는 힌지축에 의한 잠금날개의 용이 체결구조를 갖는 진공용기.
KR2020080005753U 2008-04-30 2008-04-30 경사면을 갖는 힌지축에 의한 잠금날개의 용이 체결구조를갖는 진공용기 KR20090011262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05753U KR20090011262U (ko) 2008-04-30 2008-04-30 경사면을 갖는 힌지축에 의한 잠금날개의 용이 체결구조를갖는 진공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05753U KR20090011262U (ko) 2008-04-30 2008-04-30 경사면을 갖는 힌지축에 의한 잠금날개의 용이 체결구조를갖는 진공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11262U true KR20090011262U (ko) 2009-11-04

Family

ID=415571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80005753U KR20090011262U (ko) 2008-04-30 2008-04-30 경사면을 갖는 힌지축에 의한 잠금날개의 용이 체결구조를갖는 진공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011262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9104Y1 (ko) * 2011-12-02 2013-09-25 김진란 밀폐용기의 락요소의 조립구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9104Y1 (ko) * 2011-12-02 2013-09-25 김진란 밀폐용기의 락요소의 조립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301897Y1 (ko) 밀폐용기
US20180265263A1 (en) Touch and seal self-closing container
US20080116215A1 (en) Container
CA2472978A1 (en) Container with double lids
KR20090096058A (ko) 적층형 보관용기
DE602004000422D1 (de) Nahrungsmittelbehälter
WO2008048258A1 (en) Trash container with retractable weatherproof cover
KR200442003Y1 (ko) 다단적층이 가능한 음식물 보관용기
KR20090011262U (ko) 경사면을 갖는 힌지축에 의한 잠금날개의 용이 체결구조를갖는 진공용기
CN105383790B (zh) 系链
US20200339310A1 (en) Food container system
JP5786039B2 (ja) 密閉容器の取っ手組立体
KR101367326B1 (ko) 식품 저장용기의 뚜껑 개폐각도 조절구조
KR20120007211U (ko) 밀폐 용기
KR20140036578A (ko) 저장용기
KR200451988Y1 (ko) 플라스틱재 음식용기
CN202080530U (zh) 一种食物保鲜盒
KR100935641B1 (ko) 밀폐 용기의 손잡이 조립체
KR200189775Y1 (ko) 위생덮개가 설치된 개량 수저통
KR100601400B1 (ko) 상하 개폐용기
KR200334592Y1 (ko) 김치절단용기
CN216970577U (zh) 一种保鲜收纳盒
KR200491952Y1 (ko) 물티슈 포장팩용 캡
KR20140109029A (ko) 저장용기
CN209988357U (zh) 一种保鲜盒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