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34592Y1 - 김치절단용기 - Google Patents

김치절단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34592Y1
KR200334592Y1 KR20-2003-0018025U KR20030018025U KR200334592Y1 KR 200334592 Y1 KR200334592 Y1 KR 200334592Y1 KR 20030018025 U KR20030018025 U KR 20030018025U KR 200334592 Y1 KR200334592 Y1 KR 20033459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d
container body
cutting knife
cutting
kimchi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1802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병철
Original Assignee
정병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병철 filed Critical 정병철
Priority to KR20-2003-001802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3459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3459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34592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3/00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43/02Removable lids or covers
    • B65D43/0202Removable lids or covers without integral tamper element
    • B65D43/0204Removable lids or covers without integral tamper element secured by snapping over beads or projections
    • B65D43/0212Removable lids or covers without integral tamper element secured by snapping over beads or projections only on the outside, or a part turned to the outside, of the mout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3/00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43/02Removable lids or covers
    • B65D43/0202Removable lids or covers without integral tamper element
    • B65D43/0214Removable lids or covers without integral tamper element secured only by friction or gravity
    • B65D43/0218Removable lids or covers without integral tamper element secured only by friction or gravity on both the inside and the outside of the mouth of the contain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24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 B65D51/246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provided with eating utensils or spatulas
    • B65D51/247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provided with eating utensils or spatulas located between an inner and an outer clos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43/00Lids or covers essentially for box-like containers
    • B65D2543/00009Details of 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43/00018Overall construction of the lid
    • B65D2543/00064Shape of the outer periphery
    • B65D2543/00074Shape of the outer periphery curved
    • B65D2543/00101Shape of the outer periphery curved square-like or rectangular-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43/00Lids or covers essentially for box-like containers
    • B65D2543/00009Details of 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43/00444Contact between the container and the lid
    • B65D2543/00481Contact between the container and the lid on the inside or the outside of the container
    • B65D2543/00537Contact between the container and the lid on the inside or the outside of the container on the outside, or a part turned to the outside of the mouth of the contain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43/00Lids or covers essentially for box-like containers
    • B65D2543/00009Details of 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43/00444Contact between the container and the lid
    • B65D2543/00481Contact between the container and the lid on the inside or the outside of the container
    • B65D2543/00555Contact between the container and the lid on the inside or the outside of the container on both the inside and the outsid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43/00Lids or covers essentially for box-like containers
    • B65D2543/00009Details of 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43/00444Contact between the container and the lid
    • B65D2543/00592Snapping means
    • B65D2543/00601Snapping means on the container
    • B65D2543/00611Profiles
    • B65D2543/00629Massive bea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43/00Lids or covers essentially for box-like containers
    • B65D2543/00009Details of 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43/00444Contact between the container and the lid
    • B65D2543/00592Snapping means
    • B65D2543/00601Snapping means on the container
    • B65D2543/00675Periphery concerned
    • B65D2543/00694Seg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43/00Lids or covers essentially for box-like containers
    • B65D2543/00009Details of 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43/00444Contact between the container and the lid
    • B65D2543/00592Snapping means
    • B65D2543/00712Snapping means on the lid
    • B65D2543/00722Profiles
    • B65D2543/0074Massive bea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43/00Lids or covers essentially for box-like containers
    • B65D2543/00009Details of 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43/00444Contact between the container and the lid
    • B65D2543/00592Snapping means
    • B65D2543/00712Snapping means on the lid
    • B65D2543/00787Periphery concerned
    • B65D2543/00805Seg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김치절단용기에 관한 것으로, 측벽에 측벽홈을 갖고 내부에 김치를 담을 수 있는 용기본체를 갖고, 칼날이 형성된 절단칼이 보관되는 절단칼 보관부를 갖으며, 용기본체의 상부에 잠금수단에 의해 밀폐되는 뚜껑을 갖는 김치절단기에 있어서, 용기본체 상단에 뚜껑을 밀폐시키는 잠금수단은, 용기본체 상단에서 외측 상부로 굴곡진 밀폐경사면을 갖고 용기본체 상부 측면에는 하부로 돌출된 걸림돌턱을 갖으며 걸림돌턱 내측에는 결합요부가 형성되데, 뚜껑의 선단 하부에는 용기본체 상단이 끼워지는 끼움홈이 형성되고 끼움홈 내측에는 하부로 돌출되어 하단이 용기본체의 밀폐경사면에 밀착되는 밀폐내측돌부가 형성되며 끼움홈 외측에는 하부로 돌출되어 하단이 용기본체의 외측면에 밀착되는 밀폐외측돌부가 형성되고 밀폐외측돌부의 외측면에는 미세연결부에 의해 하부로 돌출되어 내측면에는 상측으로 돌출되어 걸림돌턱에 억지끼움되는 끼움요부를 갖고 결합요부에 위치되는 끼움돌부를 갖으며 하단이 외측으로 돌출되는 손잡이부를 갖는 체결날개와, 칼날이 형성된 절단칼이 보관되는 절단칼 보관부는 뚜껑의 상단 일측에 형성시키데, 뚜껑의 상단일측 내부에는 하부로 돌출된 보관함실이 형성되고 보관함실 내측 상단에는 삽입요부가 하부로 형성되고 보관함실 외측상단에는 미세연결부에 의해 함실뚜껑이 연결되게 형성되어 보관함실을 억지끼움으로 밀폐시키데, 함실뚜껑 내측 하단에는 함실뚜껑의 내측면에 억지끼움되는 끼움돌턱이 형성되고 함실뚜껑 내측면 상단에는 삽입요부 내에서 수평으로 돌출되는 손잡이돌기가 형성됨으로써 절단칼을 뚜껑에보관할 수 있어 절단칼의 보관과 취급이 손쉽고 용기본체의 용적이 커 많은 김치를 보관할 수 있으며 칼질로 용기본체가 손상될 우려가 전혀 없고 구조적인 강도가 강해 외부충격에 의해 파손될 우려가 없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김치절단용기{cutting receptacle for cabbage pickles}
본 고안은 김치절단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절단칼을 뚜껑에 보관할 수 있어 절단칼의 보관과 취급이 손쉽고 용기본체의 용적이 커 많은 김치를 보관할 수 있으며 칼질로 용기본체가 손상될 우려가 전혀 없고 구조적인 강도가 강해 외부충격에 의해 파손될 우려가 없는 김치절단용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일반가정이나 음식점에서 김치(cabbage pickles 또는 kimchi)를취식하기 위해서는 통배추나 절반으로 쪼갠 배추를 김장독이나 김치냉장고 등에서 꺼내어 도마 위에 포기김치를 얹어 놓은 후, 부억칼로 종방향이나 횡방향으로 알맞은 크기로 수회 썰어서 반찬용기에 넣어서 필요시마다 꺼내어 조금씩 먹게 된다.
그러나, 도마위에서 포기김치를 칼로 절단할 때에는 김치국물이 도마에서 흘러내리거나 썰어진 김치가 구변으로 흩어지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고, 도마와 칼에 국물이 붙어 매번 씻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으며, 이때, 김치국물을 잘 씻기지 않아 비위생적인 뿐만 아니라, 절단된 김치를 별도의 반찬용기에 담아 저장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런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김치를 담을 수 있는 수용부가 형성된 용기본체의 일측 상부에 지지구가 형성되고 상기 지지구에 절단칼이 착탈가능하게 끼워져 수용부 내로 회동되며 상기 용기본체의 상부에는 뚜껑이 결합됨을 특징으로 하는 김치절단기"가 2002년 1월 4일자로 출원되어 2002년 4월 6일자로 실용신안 등록공고 되었으나, 절단칼의 보관과 취급이 용이하지 않아 사용이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이런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2002년 5월 26일자로 실용신안 등록공고된 " 김치를 담을 수 잇는 수용부가 형성된 용기본체의 일측에 절단칼 보관부가 형성되고, 상기 절단칼 보관부에 길이가 수용부의 전후폭보다 작고 칼날이 형성된 절단칼이 보관되며, 상기 용기본체의 상부에는 뚜껑이 결합되어 잠금수단에 의해 밀폐가 유지됨을 특징으로 하는 김치절단기"가 제안된 바 있으나, 용기본체의 일측에 절단칼 보관부가 형성되어 김치를 담아 보관되는 공간이 작아 많은 김치를 담을 수 없고,절단칼의 칼날이 반원형상일 경우에는 용기본체의 바닥면이 칼날에 의해 손상되는 문제점이 있으며, 절단칼의 형상이 사각형일 경우에도 여러 번에 걸쳐 포기김치를 절단하여야 하고, 용기본체 측벽의 측벽홈과 바닥면의 바닥홈이 동일한 연장선상에 형성되어 용기본체의 강도가 구조적으로 취약함으로 인해 용기본체를 떨어뜨리는 등의 외부 충격에 의해 파손될 우려가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절단칼을 뚜껑에 보관할 수 있어 절단칼의 보관과 취급이 손쉽고 용기본체의 용적이 커 많은 김치를 보관할 수 있으며 칼질로 용기본체가 손상될 우려가 전혀 없고 구조적인 강도가 강해 외부충격에 의해 파손될 우려가 없는 김치절단용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측벽에 측벽홈을 갖고 내부에 김치를 담을 수 있는 용기본체를 갖고, 칼날이 형성된 절단칼이 보관되는 절단칼 보관부를 갖으며, 용기본체의 상부에 잠금수단에 의해 밀폐되는 뚜껑을 갖는 김치절단기에 있어서;
용기본체 상단에 뚜껑을 밀폐시키는 잠금수단은, 용기본체 상단에서 외측 상부로 굴곡진 밀폐경사면을 갖고 용기본체 상부 측면에는 하부로 돌출된 걸림돌턱을 갖으며 걸림돌턱 내측에는 결합요부가 형성되데, 뚜껑의 선단 하부에는 용기본체 상단이 끼워지는 끼움홈이 형성되고 끼움홈 내측에는 하부로 돌출되어 하단이 용기본체의 밀폐경사면에 밀착되는 밀폐내측돌부가 형성되며 끼움홈 외측에는 하부로 돌출되어 하단이 용기본체의 외측면에 밀착되는 밀폐외측돌부가 형성되고 밀폐외측돌부의 외측면에는 미세연결부에 의해 하부로 돌출되어 내측면에는 상측으로 돌출되어 걸림돌턱에 억지끼움되는 끼움요부를 갖고 결합요부에 위치되는 끼움돌부를 갖으며 하단이 외측으로 돌출되는 손잡이부를 갖는 체결날개와;
칼날이 형성된 절단칼이 보관되는 절단칼 보관부는 뚜껑의 상단 일측에 형성시키데, 뚜껑의 상단일측 내부에는 하부로 돌출된 보관함실이 형성되고 보관함실 내측 상단에는 삽입요부가 하부로 형성되고 보관함실 외측상단에는 미세연결부에 의해 함실뚜껑이 연결되게 형성되어 보관함실을 억지끼움으로 밀폐시키데, 함실뚜껑 내측 하단에는 함실뚜껑의 내측면에 억지끼움되는 끼움돌턱이 형성되고 함실뚜껑 내측면 상단에는 삽입요부 내에서 수평으로 돌출되는 손잡이돌기가 형성된 특징을 갖는다.
칼날이 형성된 절단칼은 상부에 손가락이 끼워지는 손가락요부가 형성된 손잡이가 형성되고 손잡이 하부에 하단은 개방되고 양측단으로 칼날지지구가 형성되어 중심에 칼날이 선 날몸체가 고정되는데, 날몸체의 하단은 칼날지지구 하단보다 상측에 위치되게 고정되고, 용기몸체의 길이방향 내측양면에는 하측으로 절단칼의 칼날지지구가 승강 안내되는 측벽홈인 절단칼가이드가 서로 대향되게 형성되는데, 측벽 전면적에 걸쳐 다수개가 연속적으로 형성되고 절단칼가이드가 형성된 용기몸체의 바닥면 양측끝단에는 칼날지지구의 돌출길이만큼 하부로 절단요부가 형성된 특징을 갖는다.
용기몸체의 밀폐경사면에는 뚜껑의 밀폐내측돌부의 외측면과 하단면이 각각 밀착되는 밀폐돌기가 상측으로 돌출되어 용기몸체 내부를 완강히 밀폐시키는 특징을 갖는다.
도 1은 본 고안 실시예의 모습을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 실시예인 함실뚜껑이 폐쇄된 상태의 측단면도,
도 3은 본 고안 실시예인 용기몸체의 모습을 보인 평면도,
도 4는 도 3의 A-A'선 요부확대 단면도,
도 5는 도 3의 B-B'선 요부확대 단면도,
도 6은 본 고안 실시예인 함실뚜껑이 뚜껑에서 개방된 상태를 보인 평면도,
도 7은 본 고안 실시예인 용기몸체 밀폐돌기의 모습을 보인 요부확대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김치절단용기 10 : 용기몸체
11 : 밀폐경사면 12 : 걸림돌턱
13 : 결합요부 14 : 밀폐돌기
15 : 절단칼가이드 16 : 절단요부
18 : 측벽 19 : 바닥면
20 : 뚜껑 21 : 끼움홈
22 : 밀폐내측돌부 23 : 밀폐외측돌부
24 : 미세연결부 25 : 체결날개
26 : 끼움요부 27 : 끼움돌부
28 : 손잡이부 30 : 함실뚜껑
31 : 절단칼보관부 32 : 보관함실
33 : 미세연결부 34 : 손잡이돌기
35 : 끼움돌턱 36 : 삽입요부
40 : 절단칼 41 : 손잡이
42 : 손가락요부 43 : 칼날지지구
44 : 날몸체 45 : 칼날
이하, 본 고안을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 실시예의 모습을 보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 실시예인 함실뚜껑이 폐쇄된 상태의 측단면도이며, 도 3은 본 고안 실시예인 용기몸체의 모습을 보인 평면도이고, 도 4는 도 3의 A-A'선 요부확대 단면도이며, 도 5는 도 3의 B-B'선 요부확대 단면도이고, 도 6은 본 고안 실시예인 함실뚜껑이 뚜껑에서 개방된 상태를 보인 평면도이며, 도 7은 본 고안 실시예인 용기몸체 밀폐돌기의 모습을 보인 요부확대 단면도이다.
본 고안의 김치절단용기(1)는 측벽(18)의 절단칼가이드(15)가 다수개 연속적으로 반복되어 형성되고 그 양단 하부에 절단요부(16)가 각각 형성되며 내측에 김치를 담을 수 있는 용기본체(10)와, 칼날(45)이 형성된 절단칼(40)이 보관되는 절단칼 보관부(31)인 보관함실(32)이 함실뚜껑(30)에 의해 상단 일측에서 개폐되는 뚜껑(20)과, 뚜껑(20)의 보관함실(32)에 보관되는 칼날(45)을 갖는 절단칼(40)과, 용기본체(10)의 상부에 뚜껑(20)을 밀폐시키는 잠금수단으로 구성된다.
용기본체(10) 상단에 뚜껑(20)을 밀폐시키는 잠금수단은, 용기본체(10) 상단에서 외측 상부로 굴곡진 밀폐경사면(11)을 갖고 용기본체(10) 상부 측면에는 하부로 돌출된 걸림돌턱(12)을 갖으며 걸림돌턱(12) 내측에는 결합요부(13)가 형성되데, 뚜껑(20)의 선단 하부에는 용기본체(10) 상단이 끼워지는 끼움홈(21)이 형성되고 끼움홈(21) 내측에는 하부로 돌출되어 하단이 용기본체(10)의 밀폐경사면(11)에 밀착되는 밀폐내측돌부(22)가 형성되며 끼움홈(21) 외측에는 하부로 돌출되어 하단이 용기본체(10)의 외측면에 밀착되는 밀폐외측돌부(23)가 형성되고 밀폐외측돌부(23)의 외측면에는 미세연결부(24)에 의해 하부로 돌출되어 내측면에는 상측으로 돌출되어 걸림돌턱(12)에 억지끼움되는 끼움요부(26)를 갖고 결합요부(13)에 위치되는 끼움돌부(27)를 갖으며 하단이 외측으로 돌출되는 손잡이부(28)를 갖는 체결날개(25)로 형성된다.
칼날(45)이 형성된 절단칼(40)이 보관되는 절단칼 보관부(31)는 뚜껑(20)의 상단 일측에 형성시키데, 뚜껑(20)의 상단일측 내부에는 하부로 돌출된 보관함실(32)이 형성되고 보관함실(32) 내측 상단에는 삽입요부(36)가 하부로 형성되고 보관함실(32) 외측상단에는 미세연결부(33)에 의해 함실뚜껑(30)이 연결되게 형성되어 보관함실(32)을 억지끼움으로 밀폐시키데, 함실뚜껑(30) 내측 하단에는 함실뚜껑(30)의 내측면에 억지끼움되는 끼움돌턱(35)이 형성되고 함실뚜껑(30) 내측면 상단에는 삽입요부(36) 내에서 수평으로 돌출되는 손잡이돌기(34)가 형성된다.
칼날(45)이 형성된 절단칼(40)은 상부에 손가락이 끼워지는 손가락요부(42)가 형성된 손잡이(41)가 형성되고 손잡이(41) 하부에 하단은 개방되고 양측단으로 칼날지지구(43)가 형성되어 중심에 칼날(45)이 선 날몸체(44)가 고정되는데, 날몸체(44)의 하단은 칼날지지구(43) 하단보다 상측에 위치되게 고정되고, 용기몸체(10)의 길이방향 내측 양면에는 하측으로 절단칼(40)의 칼날지지구(43)가 승강 안내되는 측벽홈인 절단칼가이드(15)가 서로 대향되게 형성되는데, 측벽(18) 전면적에 걸쳐 다수개가 연속적으로 형성되고 절단칼가이드(15)가 형성된 용기몸체(10)의 바닥면(19) 양측끝단에는 칼날지지구(43)의 돌출길이만큼 하부로 절단요부(16)가 형성된다.
용기몸체(10)의 밀폐경사면(11)에는 뚜껑(20)의 밀폐내측돌부(22)의 외측면과 하단면이 각각 밀착되는 밀폐돌기(14)가 상측으로 돌출되어 용기몸체(10) 내부를 완강히 밀폐시킨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의 사용상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포기김치를 꺼내서 김치절단용기(1)의 용기몸체(10) 내측에 포기김치를 넣고, 뚜껑(20)의 중심측에 형성된 삽입요부(36)에 손가락을 넣어 손잡이돌기(34)를 들어 올리면, 끼움돌턱(35)은 함실뚜껑(30)의 내측면에서 분리 이탈되어 뚜껑(20)의 미세연결부(33)를 중심으로 회동되어 보관함실(32)을 개방시킨다.
사용자는 뚜껑(20) 체결날개(25)의 손잡이부(28)를 잡고 상측으로 들어올리면, 체결날개(25) 내측의 끼움요부(26)와 끼움돌부(27)는 용기몸체(10) 상단의 걸림돌턱(12)과 결합요부(13)에서 각각 이탈되어 분리되고, 사용자가 뚜껑(20)을 용기몸체(10)의 상단에서 들어 올리면, 뚜껑(20)의 밀폐내측돌부(22)와 밀폐외측돌부(23) 사이의 끼움홈(21)은 뚜껑(20)의 상단에서 분리된다. 뚜껑(20)의체결날개(25)는 미세연결부(24)에 의해 밀폐외측돌부(23)와 연결된다.
사용자는 뚜껑(20) 일측의 보관함실(32) 내부에 안착된 절단칼(40)의 손잡이(41)를 잡고, 용기몸체(10) 내측에 포기김치를 놓은 다음, 절단칼(40)의 칼날지지구(43)를 용기몸체(10) 측벽(18)에 연속적으로 형성된 다수개의 절단칼가이드(15) 중에서 먹기 원하는 크기에 위치된 절단칼가이드(15)에 절단칼(40)의 양측 칼날지지구(43)를 끼운 후, 서서히 하강시키면 포기김치와 면접되는 절단칼(40) 날몸체(44)의 칼날(45)은 포기김치를 절단시킨다.
이때, 절단칼(40)의 날몸체(44) 양측단에 형성된 칼날지지구(43) 하단은 용기몸체(10)의 측벽(18) 내측 양끝단에서 바닥면(19)보다 하부로 형성된 절단요부(에 위치되는데, 이때 칼날(45) 하단은 용기몸체(10)의 바닥면(19)과 접촉되어 포기배추를 절단하게 된다.
이렇게 원하는 길이로 포기김치를 적당히 썬 후에는, 절단칼(40)을 흐르는 물에 닦고 뚜껑(20) 일측의 보관함실(32) 내측에 안착시킨 후, 함실뚜껑(30)을 닫으면, 함실뚜껑(30)의 선단 하부의 끼움돌턱(35)은 보관함실(32) 내측면에 억지끼움되어 함실뚜껑(30)을 폐쇄 고정시킨다.
함실뚜껑(30)을 닫은 뚜껑(20)의 끼움홈(21)을 용기몸체(10)의 상단에 안착시킨 후, 뚜껑(20)의 길이방향 양측면에서 좌우측으로 돌출된 체결날개(25)의 손잡이부(28)를 뚜껑(20)의 측벽(18)방향으로 밀착시키면, 체결날개(25)의 끼움요부(26)와 끼움돌부(27)는 용기몸체(10)의 걸림돌턱(12)과 결합요부(13)에 각각 억지끼움되고 뚜껑(20)은 용기몸체(10)의 상단에 완강히 고정되게 밀착된다.
이때, 용기몸체(10) 상단 내측면의 밀폐경사면(11)에는 뚜껑(20)의 끼움홈(21) 내측면과 밀폐내측돌부(22)의 하단이 접촉되어 용기몸체(10) 내부를 완강히 밀폐시키게 된다.
이 때 도 7과 같이, 용기몸체(10)의 밀폐경사면(11)에 밀폐돌기(14)를 형성시켜서 뚜껑(20)의 밀폐내측돌기(22)의 끼움홈(21)측 외측면과, 그 저면이 용기몸체(10)의 상단부와 각각 밀착되게 구성시킴으로써 용기몸체(10)를 이중으로 밀폐시킬 수도 있다.
또한, 뚜껑(20)의 끼움홈(21)과 용기몸체(10)의 상단면사이에는 고무재질과 같은 탄성력을 갖는 별도의 밀폐부재를 구성시켜 밀폐력을 보다 강화시킬 수도 있다.
이런 상태로 포기김치를 적당한 크기로 절단한 다음에는 김치절단요기(1)를 냉장고 등에 보관하였다가 필요시마다 꺼내서 절단된 김치를 시식하면 된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은 절단칼을 뚜껑에 보관할 수 있어 절단칼의 보관과 취급이 손쉽고 용기본체의 용적이 커 많은 김치를 보관할 수 있으며 칼질로 용기본체가 손상될 우려가 전혀 없고 구조적인 강도가 강해 외부충격에 의해 파손될 우려가 없는 효과가 있다.
본 고안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Claims (3)

  1. 측벽의 측벽홈을 갖고 김치를 담을 수 있는 용기본체를 갖고, 칼날이 형성된 절단칼이 보관되는 절단칼 보관부를 갖으며, 용기본체의 상부에 잠금수단에 의해 밀폐되는 뚜껑을 갖는 김치절단기에 있어서;
    용기본체(10) 상단에 뚜껑(20)을 밀폐시키는 잠금수단은, 용기본체(10) 상단에서 외측 상부로 굴곡진 밀폐경사면(11)을 갖고 용기본체(10) 상부 측면에는 하부로 돌출된 걸림돌턱(12)을 갖으며 걸림돌턱(12) 내측에는 결합요부(13)가 형성되데, 뚜껑(20)의 선단 하부에는 용기본체(10) 상단이 끼워지는 끼움홈(21)이 형성되고 끼움홈(21) 내측에는 하부로 돌출되어 하단이 용기본체(10)의 밀폐경사면(11)에 밀착되는 밀폐내측돌부(22)가 형성되며 끼움홈(21) 외측에는 하부로 돌출되어 하단이 용기본체(10)의 외측면에 밀착되는 밀폐외측돌부(23)가 형성되고 밀폐외측돌부(23)의 외측면에는 미세연결부(24)에 의해 하부로 돌출되어 내측면에는 상측으로 돌출되어 걸림돌턱(12)에 억지끼움되는 끼움요부(26)를 갖고 결합요부(13)에 위치되는 끼움돌부(27)를 갖으며 하단이 외측으로 돌출되는 손잡이부(28)를 갖는 체결날개(25)와;
    칼날(45)이 형성된 절단칼(40)이 보관되는 절단칼 보관부(31)는 뚜껑(20)의 상단 일측에 형성시키데, 뚜껑(20)의 상단일측 내부에는 하부로 돌출된 보관함실(32)이 형성되고 보관함실(32) 내측 상단에는 삽입요부(36)가 하부로 형성되고 보관함실(32) 외측상단에는 미세연결부(33)에 의해 함실뚜껑(30)이 연결되게형성되어 보관함실(32)을 억지끼움으로 밀폐시키데, 함실뚜껑(30) 내측 하단에는 함실뚜껑(30)의 내측면에 억지끼움되는 끼움돌턱(35)이 형성되고 함실뚜껑(30) 내측면 상단에는 삽입요부(36) 내에서 수평으로 돌출되는 손잡이돌기(34)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김치절단용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칼날(45)이 형성된 절단칼(40)은 상부에 손가락이 끼워지는 손가락요부(42)가 형성된 손잡이(41)가 형성되고 손잡이(41) 하부에 하단은 개방되고 양측단으로 칼날지지구(43)가 형성되어 중심에 칼날(45)이 선 날몸체(44)가 고정되는데, 날몸체(44)의 하단은 칼날지지구(43) 하단보다 상측에 위치되게 고정되고, 용기몸체(10)의 길이방향 내측 양면에는 하측으로 절단칼(40)의 칼날지지구(43)가 승강 안내되는 측벽홈인 절단칼가이드(15)가 서로 대향되게 형성되는데, 측벽(18) 전면적에 걸쳐 다수개가 연속적으로 형성되고 절단칼가이드(15)가 형성된 용기몸체(10)의 바닥면(19) 양측끝단에는 칼날지지구(43)의 돌출길이만큼 하부로 절단요부(16)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김치절단용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용기몸체(10)의 밀폐경사면(11)에는 뚜껑(20)의 밀폐내측돌부(22)의 외측면과 하단면이 각각 밀착되는 밀폐돌기(14)가 상측으로 돌출되어 용기몸체(10) 내부를 완강히 밀폐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김치절단용기.
KR20-2003-0018025U 2003-06-09 2003-06-09 김치절단용기 KR20033459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18025U KR200334592Y1 (ko) 2003-06-09 2003-06-09 김치절단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18025U KR200334592Y1 (ko) 2003-06-09 2003-06-09 김치절단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34592Y1 true KR200334592Y1 (ko) 2003-11-28

Family

ID=493408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18025U KR200334592Y1 (ko) 2003-06-09 2003-06-09 김치절단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34592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33324B1 (ko) 2007-02-09 2008-05-28 위니아만도 주식회사 음식물용기뚜껑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33324B1 (ko) 2007-02-09 2008-05-28 위니아만도 주식회사 음식물용기뚜껑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397934B2 (en) Padlock container assembly having a locking closure with sliding cover
KR200301897Y1 (ko) 밀폐용기
US8091709B2 (en) Child-resistant package
KR200442003Y1 (ko) 다단적층이 가능한 음식물 보관용기
KR200334592Y1 (ko) 김치절단용기
JP5786039B2 (ja) 密閉容器の取っ手組立体
KR100556608B1 (ko) 용량가변 밀폐용기
KR101636752B1 (ko) 일회용 도시락 용기
KR20060126002A (ko) 실링누름판이 구비된 김치용기
KR20050081348A (ko) 용량가변 밀폐용기
KR200365929Y1 (ko) 밀폐 저장 용기 뚜껑 및 몸체의 원터치 체결 구조
KR200253323Y1 (ko) 식품 저장용기
KR200270693Y1 (ko) 김치냉장고용 김치저장용기
KR200487921Y1 (ko) 식품 포장용기
KR100935641B1 (ko) 밀폐 용기의 손잡이 조립체
KR102579461B1 (ko) 탈빙의 용이성을 제공하는 얼음트레이
CN212678894U (zh) 一种收纳箱的箱盖
CN216970577U (zh) 一种保鲜收纳盒
KR200316999Y1 (ko) 다수의 수용 내용물에 대한 독립적 밀폐 및 사용이용이한 식품보관용기
KR20040054462A (ko) 다수의 수용 내용물에 대한 독립적 밀폐 및 사용이 용이한식품보관용기
KR200335713Y1 (ko) 김치냉장고용 보관용기의 손잡이 형상구조
CN210028501U (zh) 一种可自动解锁盒盖的保鲜盒
CN211093603U (zh) 一种食用品存储盒
KR100548819B1 (ko) 야채용기의 손잡이 구조
KR200443702Y1 (ko) 이중 잠금식 밀폐 용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O032 Opposition [utility model]: request for opposition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O131 Decision on opposition [utility model]
O072 Maintenance of registration after opposition [utility model]: final registration of opposi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1118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