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11136A - 통화 가능 알림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시스템 - Google Patents

통화 가능 알림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11136A
KR20090011136A KR1020070074425A KR20070074425A KR20090011136A KR 20090011136 A KR20090011136 A KR 20090011136A KR 1020070074425 A KR1020070074425 A KR 1020070074425A KR 20070074425 A KR20070074425 A KR 20070074425A KR 20090011136 A KR20090011136 A KR 2009001113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ller
called party
called
virtual
c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744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류종운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Priority to KR10200700744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11136A/ko
Publication of KR200900111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1113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42Systems providing special services or facilities to subscribers
    • H04M3/42025Calling or Called party identification service
    • H04M3/42085Called party identification service
    • H04M3/42093Notifying the calling party of information on the called or connected par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2Messaging; Mailboxes; Announc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상번호에 대한 통화 가능 알림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통화 가능 알림 방법은, (a) 착신자의 실제번호 및 발신자가 착신자의 가상번호로 발신하였는지를 나타내는 변수인 번호판단변수를 수신하는 단계; (b) 상기 번호판단변수를 기초로 발신자가 착신자의 가상번호로 발신하였는지를 판단하는 단계; (c) 상기 (b)단계에서 발신자가 착신자의 가상번호로 발신하였다고 판단된 경우, 상기 실제번호에 매핑되는 가상번호를 검색하는 단계; 및 (d) 착신번호가 상기 검색된 가상번호로 기재된 통화 가능 알림 메시지를 상기 발신자에게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동통신망, 가상번호, 통화 가능 알림

Description

통화 가능 알림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시스템 {METHOD FOR ALARMING CALL POSSIBILITY AND SYSTEM THEREOF}
본 발명은 가상번호에 대한 통화 가능 알림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발신자가 가상번호 서비스에 가입한 착신자의 가상번호로 발신하고 착신자가 통화 불가능한 경우, 착신 단말이 통화 가능 상황이 된 후, 발신 단말로 착신번호가 착신자의 가상번호로 기재된 통화 가능 알림 메시지를 제공하는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가상번호(FreeNumber)는 한 이동국에서 가입자의 실제 번호 외에 사용할 수 있는 추가적인 번호로서, 가상번호 서비스에 가입한 가입자는 자신의 실제번호 또는 가상번호로 전화를 걸고 받을 수 있다.
통화 가능 알림 서비스는 착신 단말이 통화 불가능한 경우, 착신 단말이 통화 가능 상황이 된 후 발신 단말로 '착신 단말이 통화 가능함'을 단문메시지로 알려주는 기법으로, 발신자가 가입하는 서비스이다.
그런데, 발신자가 가상번호 서비스에 가입한 착신자의 가상번호로 발신하고 착신자가 통화 불가능한 경우, 통화 가능 알림 서비스는 발신 단말로 착신번호가 착신자의 실제번호로 기재된 통화 가능 알림 메시지를 제공하였다. 즉, 발신자가 착신자의 가상번호로 발신한 경우에도, 발신자의 단말에는 착신자의 가상번호가 아닌 실제번호가 기재된 통화 가능 알림 메시지를 전송 받는다.
이는 발신자가 착신자의 가상번호로 발신한 경우에도, 착신자가 통화 불가능한 경우에는 발신자는 착신자의 실제번호가 기재된 통화 가능 메시지를 전송 받는다. 즉, 발신자가 착신자의 가상번호로 발신한 경우에도 발신자는 착신자의 실제번호가 기재된 메시지를 전송 받으므로 착신자의 실제번호가 나타나게 된다. 이는 가상번호 서비스의 신뢰성을 떨어뜨릴 수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발신자가 착신자의 가상번호로 발신하고 착신자가 통화 불가능한 경우에, 착신 단말이 통화 가능 상황이 된 후 발신자에게 착신번호가 가상번호로 기재된 통화 가능 알림 메시지를 제공하는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한 특징에 의하면 이동통신망에서 착신자의 통화 불가시 발신자에게 통화 가능 알림 메시지를 제공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통화 가능 알림 방법은, (a) 착신자의 실제번호 및 발신자가 착신자의 가상번호로 발신하였는지를 나타내는 변수인 번호판단변수를 수신하는 단계; (b) 상기 번호판단변수를 기초로 발신자가 착신자의 가상번호로 발신하였는지를 판단하는 단계; (c) 상기 (b)단계에서 발신자가 착신자의 가상번호로 발신하였다고 판단된 경우, 상기 실제번호에 매핑되는 가상번호를 검색하는 단계; 및 (d) 착신번호가 상기 검색된 가상번호로 기재된 통화 가능 알림 메시지를 상기 발신자에게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의하면 이동통신망에서 착신자의 통화 불가시 발신자에게 통화 가능 알림 메시지를 제공하는 시스템이 제공된다. 통화 가능 알림 시스템은, 착신자의 실제번호 및 발신자가 착신자의 가상번호로 발신하였는지를 나타내는 변수인 번호판단변수를 수신하는 수신부; 상기 번호판단변수를 기초로 발신자가 착신자의 가상번호로 발신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번호판단부; 상기 실제번호 에 매핑되는 가상번호를 검색하는 검색부; 착신번호가 기재된 통화 가능 알림 메시지를 전송하는 송신부; 및 상기 번호판단부에 의해 상기 발신자가 착신자의 가상번호로 발신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에, 상기 검색부에 의해 검색된 가상번호를 착신번호로 하여 상기 송신부를 통해 통화 가능 알림 메시지를 상기 발신자에게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의하면 이동통신망에서 착신자의 통화 불가시 발신자에게 통화 가능 알림 메시지를 제공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통화 가능 알림 방법은, (a) 수신된 발신 호의 착신번호가 착신자의 가상번호인지 판단하는 단계; (b) 상기 착신번호가 상기 착신자의 가상번호인 경우, 상기 착신자의 실제번호를 검색하고 발신자가 상기 착신자의 가상번호로 발신하였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번호판단변수를 설정하는 단계; 및 (c) 상기 착신자의 통화 불가시에, 상기 번호판단변수에 기초하여 상기 발신자가 상기 착신자의 가상번호로 발신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착신번호가 가상번호로 기재된 통화 가능 알림 메시지를 상기 발신자에게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의하면 이동통신망에서 착신자의 통화 불가시 발신자에게 통화 가능 알림 메시지를 제공하는 시스템이 제공된다. 통화 가능 알림 시스템은, 착신자의 실제번호 및 발신자가 상기 착신자의 가상번호로 발신하였는지를 나타내는 변수인 번호판단변수를 생성하는 지능망교환기; 상기 착신자의 통화 가능 여부를 판단하고, 통화 불가시 상기 실제번호 및 상기 번호판단변수를 출력하는 홈위치등록기; 및 상기 번호판단변수를 기초로 상기 발신자가 상기 착신자의 가상번 호로 발신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에 착신번호가 상기 실제번호와 매핑되는 가상번호로 기재된 통화 가능 알림 메시지를 상기 발신자에게 전송하는 단문메시지서비스센터를 포함한다.
발신자가 착신자의 가상번호로 발신하고 착신자가 통화 불가능한 경우에 착신 단말이 통화 가능 상황이 된 후, 발신자에게 착신번호가 가상번호로 기재된 통화 가능 알림 메시지를 제공함으로써, 가상번호 서비스의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기",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 다.
본 명세서에서 이동국(Mobile Station, MS)은 단말(terminal), 이동 단말(Mobile Terminal, MT), 가입자국(Subscriber Station, SS), 휴대 가입자국(Portable Subscriber Station, PSS), 사용자 장치(User Equipment, UE), 접근 단말(Access Terminal, AT) 등을 지칭할 수도 있고, 이동 단말, 가입자국, 휴대 가입자 국, 사용자 장치 등의 전부 또는 일부의 기능을 포함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서 기지국(Base Station, BS)은 접근점(Access Point, AP), 무선 접근국(Radio Access Station, RAS), 노드B(Node B), 송수신 기지국(Base Transceiver Station, BTS), MMR(Mobile Multihop Relay)-BS 등을 지칭할 수도 있고, 접근점, 무선 접근국, 노드B, 송수신 기지국, MMR-BS 등의 전부 또는 일부의 기능을 포함할 수도 있다.
이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상번호에 대한 통화 가능 알림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장치에 대하여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상번호에 대한 통화 가능 알림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네트워크 구성도이다.
도 1에 따르면, 가상번호에 대한 통화 가능 알림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네트워크의 구성은 기지국(BS)(200a, 200b), 이동전화교환국(Mobile Switching Center, MSC)(300a, 300b), 지능망교환기(Service Switching Point, SSP)(400), 지능망서비스제어기(Service Control Point, SCP)(500), 홈위치등록기(Home Location Register, HLR)(600), 및 단문메시지서비스센터(Short Message Service Center, SMSC)(700)를 포함한다.
여기서, 기지국(200a, 200b), 이동전화교환국(300a, 300b)은 각각 발신측(200a, 300a)과 착신측(200b, 300b)으로 구분되어 있다. 이때, 각 구성에 대해 간략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기지국(BS)(200a, 200b)은 기저대역 신호처리, 유무선 변환 및 무선 신호의 송/수신 등을 수행하며 이동국(100a, 100b)과 무선 채널을 통해 직접 결합되는 망 종단 장치이다. 기지국(200a, 200b)은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기지국제어기에 의해 관리 및 제어가 이루어진다. 이러한 기지국제어기는 하나 이상의 기지국을 제어하고 관리하며, 호 처리 관련된 트래픽과 신호 방식 및 이동성 관리 등을 수행한다.
이동국(MS)(100a, 100b)은 사용자가 소지하고 이동하면서 통신할 수 있는 단말기로서, 이동통신망을 통해 음성통화 및 메시지 송/수신이 가능하다. 여기서 메시지는 단문 메시지 서비스(SMS, Short Message Service)를 통해 제공되는 메시지를 포함한다.
이동전화교환국(Mobile Switching Center, MSC)(300a, 300b)은 이동국(100a)로부터 호 처리가 시도되면 착신번호에 기초하여 착신번호의 가상번호 여부를 판단하고 그에 따라 일반 호 처리를 수행하거나 지능망으로 라우팅을 수행한다. 즉, 착신 번호가 가상번호가 아니라고 판단된 경우, 호 처리 시도된 착신번호를 관리하는 이동전화교환국(300a)과 호 설정을 수행한다. 그러나, 착신번호가 가상번호라 고 판단되는 경우, 지능망교환기(400)로 호 설정 메시지(Initiate Address Message, IAM)을 전달한다.
지능망교환기(Service Switching Point, SSP)(400)는 이동전화교환국(300a)로부터 수신한 호 설정 메시지(IAM)의 라우팅 정보에 따라 해당 지능망으로 라우팅을 수행하여 호 처리 시도된 착신번호의 가상번호에 매핑된 실제번호를 수신한다. 이후, 지능망 교환기(400)는 발신자가 착신자의 가상번호로 통화를 요청했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변수 (이하, '발신자가 착신자의 가상번호로 통화를 요청했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변수'를 '번호판단변수'라 함)를 설정하고, 번호판단변수 및 착신단말의 실제번호가 포함된 착신단말의 위치 요청을 홈위치등록기(600)로 전달한다.
지능망서비스제어기(Service Control Point, SCP)(500)는 지능망교환기(400)로부터 호 처리를 위한 라우팅이 수행되면 수신된 가상번호에 매핑된 실제번호를 검색하여 추출한다. 그리고 추출된 실제번호를 다시 지능망교환기(400)로 전달한다.
홈위치등록기(Home Location Register, HLR)(600)는 가입자의 발신, 착신 상태, 부가서비스 등 각종 정보와 가입자 위치 정보를 제공한다. 홈위치등록기(600)는 지능망교환기(400)로부터 발신자의 실제번호, 착신자의 실제번호 및 번호판단변수가 포함된 위치 요청을 수신하여 착신 이동국(100b)의 통화 가능 여부를 판단한다. 통화가 가능한 경우에는 착신 이동국(100b)으로 호 전달을 수행하며, 통화가 불가능한 경우에는 단문메시지서비스센터(700)로 발신 이동국(100a)로의 통화 가능 알림 메시지 전송 요청을 수행한다. 이때, 통화 가능 알림 메시지 전송 요청은 발 신자의 실제번호, 착신자의 실제번호, 번호판단변수가 포함하고 있다.
단문메시지서비스센터(Short Message Service Center, SMSC)(700)는 착신 단말이 통화 가능 상황이 된 후, 발신 단말에 통화 가능 알림 메시지를 제공한다. 이때, 통화 가능 알림 메시지는 발신자가 착신자의 가상번호와 실제번호 중 어떤 번호로 발신하였는지에 기초하여 생성된다. 단문메시지서비스센터(700)는 발신자가 착신자의 가상번호로 발신한 경우, 착신번호가 착신자의 가상번호로 기재된 통화 가능 알림 메시지를 발신 단말로 제공한다. 즉, 발신자가 착신자의 가상번호와 실제번호 중 어떤 번호로 발신하였는지에 기초하여 발신 단말로 통화 가능 알림 메시지 전송시 착신번호에 대한 정보를 제공한다.
또한, 단문메시지서비스센터(700)는 착신자의 통화 불가시 홈위치등록기(600)로부터 착신자의 실제번호 및 번호판단변수를 수신하고, 번호판단변수를 분석한다. 번호판단변수를 분석하여 발신자가 착신자의 가상번호로 발신한 경우에는 착신자의 실제번호에 매핑되는 가상번호를 추출하고, 추출한 가상번호가 기재된 통화 가능 알림 메시지를 발신 이동국(100a)에 전달한다. 이에 대한 보다 구체적인 구성은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상번호에 대한 통화 가능 알림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단문메시지서비스센터(SMSC)의 세부적인 구성을 보인 블록도이다.
도 2에 따르면, 단문메시지서비스센터(700)는 수신부(710), 번호판단부(720), 검색부(730), 실제번호 및 가상번호 매핑 데이터베이스(740), 메시지생성부(750), 송신부(760) 및 제어부(770)를 포함한다.
수신부(710)는 홈위치등록기(600)로부터 발신자의 실제번호, 착신자의 실제번호 및 번호판단변수를 수신하고, 번호판단부로 전달한다.
번호판단부(720)는 번호판단변수를 분석하여 발신자가 착신자의 실제번호와 가상번호 중 어느 번호로 발신하였는지 확인한다. 발신자가 착신자의 실제번호로 발신한 경우에는 메시지생성부(750)로 착신자의 실제번호 및 발신자의 실제번호를 전달한다. 반면에, 발신자가 착신자의 가상번호로 발신한 경우에는 검색부(730)로 착신자의 실제번호 및 발신자의 실제번호를 전달한다.
검색부(730)는 수신한 착신자의 실제번호에 기초하여 실제번호 및 가상번호 매핑 데이터베이스(740)를 검색하여 실제번호에 매핑되는 가상번호를 추출하고, 추출된 가상번호 및 발신자의 실제번호를 메시지생성부(750)로 전달한다.
실제번호 및 가상번호 매핑 데이터베이스(740)는 가상번호 서비스에 따라 부여된 가상번호를 실제번호와 매핑시킨 테이블 정보를 보관한다.
메시지생성부(750)는 번호판단부(720)로부터 착신자 실제번호 및 발신자의 실제번호를 수신하거나 검색부(730)로부터 착신자의 가상번호 및 발신자의 실제번호를 수신하여, 착신자의 실제번호 또는 가상번호가 기재된 통화 가능 알림 메시지를 생성한다.
송신부(760)는 베시지생성부(750)로부터 수신한 발신자의 실제번호와 착신자의 번호에 기초하여, 착신 단말의 실제번호 또는 가상번호가 기재된 통화 가능 알림 메시지를 발신 이동국(100a)에 송신한다.
제어부(770)는 수신부(710), 번호판단부(720), 검색부(730), 메시지생성부(750) 및 송신부(760)의 동작을 제어한다.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상번호에 대한 통화 가능 알림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제어 흐름을 보인 도면이다. 도 3a 및 도 3b는 발신자가 가상번호 서비스에 가입한 착신자의 가상번호로 발신하고 착신자의 통화가 불가능한 경우에, 가상번호에 대한 통화 가능 알림 메시지를 제공하는 제어 흐름을 나타낸다.
도 3a에 따르면, 발신 이동국(100a)이 발신측 이동전화교환국(300a)에 착신자의 가상번호에 의한 호 처리 시도를 한다(S101). 즉, 착신번호가 착신자의 가상번호인 경우의 호 처리에 해당한다.
호 처리를 요청 받은 발신측 이동전화교환국(300a)은 호 처리 시도된 착신번호를 이용하여 착신번호가 가상번호 인지를 판단한다(S103). 이때, 착신번호가 가상번호인지에 대한 판단은 가상번호의 국번대역을 미리 지정하고, 착신번호가 해당 가상번호 국번대역에 해당하는 경우에 가상번호로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010-6831-xxxx ~ 010-6837-xxxx 는 가상번호만 사용하는 대역으로 지정하고, 착신번호가 위의 대역에 해당하면 무조건 가상번호로 판단한다. 그러나, 가상번호에 대한 판단은 다른 방법에 의해 수행될 수도 있다.
가상번호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103)에서, 가상번호라고 판단된 경우 지능망교환기(400)로 발신자의 실제번호 및 착신번호가 포함된 호 설정 메시지(IAM)를 전달한다(S105). 이때, 착신번호는 착신자의 가상번호로 표시되어 있다.
호 설정 메시지(IAM)를 수신한 지능망교환기(400)는 해당 지능망의 지능망서 비스제어기(500)에게 착신자의 실제번호를 문의하는 정보분석 요청 메시지(Analized Information, ANAINFO)를 전달한다(S107). 이때, 착신번호는 착신자의 가상번호로 표시되어 있다.
지능망서비스제어기(500)는 수신한 착신번호가 등록된 것인지를 확인하고, 등록된 경우 가상번호에 매핑된 실제번호를 검색(S109)하여 이를 정보분석 응답 메시지(anainfo)에 부가하여 지능망교환기(400)에 전송(S111)한다.
실제번호를 수신한 지능망교환기(400)는 번호판단변수를 설정한다(S113). 번호판단변수는 착신자가 발신자의 가상번호로 발신하였음을 나타내는 변수로, 지능망교환기(400)가 홈위치등록기(600)로 전달하는 정보필드의 일정부분에 특정숫자를 설정하는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번호판단변수는 '1' 또는 '0'의 값을 가질 수 있으며, 발신자가 착신자의 가상번호로 발신한 경우는 '1'을가지고, 발신자가 착신자의 실제번호로 발신한 경우는 '0'의 값을 가진다. 그러나, 번호판단변수의 설정은 시스템에서 발신자가 착신자의 가상번호로 발신하였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다른 방법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이때, 번호판단변수의 설정은 지능망서비스제어기(500)로 정보분석 요청 메시지(ANAINFO)를 전달하는 것(S107)과 동시에 수행될 수 있다.
이후, 도 3b를 참조하면, 지능망교환기(400)는 홈위치등록기(600)로 착신단말의 위치를 요청하며, 발신자의 실제번호, 착신자의 실제번호 및 번호판단변수를 전달한다(S115). 이때, 번호판단변수는 발신자가 착신자의 가상번호로 발신하였음을 나타내기 위해 '1'로 설정되어 있다.
발신자의 실제번호, 착신자의 실제번호 및 번호판단변수를 수신한 홈위치등록기(600)는 착신 이동국의 위치정보를 파악하여 통화 가능여부를 판단한다(S117). 착신자의 통화가 가능한 경우는 착신 이동국(100b)으로 호 처리를 수행한다(S119).
착신자의 통화가 불가능한 경우에, 홈위치등록기(600)는 단문메시지서비스센터(700)로 통화 가능 알림 메시지 전송을 요청한다(S121). 이때, 홈위치등록기(600)는 통화 가능 알림 메시지 전송을 요청할 때, 발신자의 실제번호, 착신자의 실제번호 및 번호판단변수를 함께 전달한다.
통화 가능 알림 메시지 전송을 요청 받은 단문메시지서비스센터(700)는 번호판단변수를 분석한다(S123). 번호판단변수가 '1'로 설정되어 발신자가 착신자의 가상번호로 통화를 요청한 경우에는 수신 받은 착신자의 실제번호와 매핑되는 착신자의 가상번호를 검색한다(S123).
착신자의 가상번호에 매핑되는 착신자의 실제번호를 검색한 후, 단문메시지서비스센터(700)는 착신 이동국의 통화 가능 여부를 판단한다(S127). 이후, 착신 이동국(100b)이 통화 가능 상황이 되었을 때, 단문메시지서비스센터(700)는 발신 이동국(100a)으로 착신번호가 착신자의 가상번호로 기재된 통화 가능 알림 메시지를 전달한다(S129).
본 실시예는 발신자가 착신자의 가상번호로 발신하고 착신자가 통화 불가능한 경우에 착신 단말이 통화 가능 상황이 된 후, 발신자에게 착신번호가 착신자의 가상번호로 기재된 통화 가능 알림 메시지를 제공한다. 이를 통해, 발신자의 단말에 착신번호가 착신자의 가상번호로 기재된 통화 가능 메시지를 제공함으로써, 착 신자의 가상번호가 나타나지 않아 가상번호 서비스의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다.
단문메시지서비스센터(700)에서 수행하는 과정은 도 4에 구체적으로 나타내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상번호에 대한 통화 가능 알림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단문메시지서비스센터(700)의 제어 흐름을 보인 도면이다.
단문메시지서비스센터(700)는 홈위치등록기(600)로부터 발신자의 실제번호, 착신자의 실제번호, 번호판단변수 및 위치정보가 포함된 통화 가능 알림 메시지 전송 요청을 수신한다(S301).
그리고, 번호판단부(720)에서 번호판단변수를 분석하여 발신자가 착신자의 가상번호로 발신하였는지 여부를 확인한다(S303). 발신자가 착신자의 실제번호로 발신한 경우, 메시지생성부(750)에서 착신번호가 착신자의 실제번호로 기재된 통화 가능 메시지를 생성한다(S305).
발신자가 착신자의 가상번호로 발신한 경우, 검색부(730)로 착신자의 실제번호를 전달한다(S307). 검색부(730)는 착신자의 실제번호에 매핑되는 가상번호를 실제번호 및 가상번호 매핑 데이터베이스(740)에서 검색한다(S309).
메시지생성부(750)는 착신번호가 착신자의 가상번호로 기재된 통화 가능 메시지를 생성한다(S311).
이후, 단문메시지서비스센터(700)는 착신 이동국(100b)의 통화 가능 여부를 판단한다(S313). 착신 이동국(100b)의 통화 가능시 단문메시지서비스센터(700)는 수신한 발신자의 실제번호 및 메시지생성부(750)에서 생성한 통화 가능 메시지에 기초하여, 발신 이동국(100a)에 생성된 통화 가능 메시지를 전송한다(S315).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상번호에 대한 통화 가능 알림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네트워크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상번호에 대한 통화 가능 알림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단문메시지서비스센터(SMSC)의 세부적인 구성을 보인 블록도이다.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상번호에 대한 통화 가능 알림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제어 흐름을 보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상번호에 대한 통화 가능 알림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단문메시지서비스센터(700)의 제어 흐름을 보인 도면이다.

Claims (13)

  1. 이동통신망에서 착신자의 통화 불가시 발신자에게 통화 가능 알림 메시지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a) 착신자의 실제번호 및 발신자가 착신자의 가상번호로 발신하였는지를 나타내는 변수인 번호판단변수를 수신하는 단계;
    (b) 상기 번호판단변수를 기초로 발신자가 착신자의 가상번호로 발신하였는지를 판단하는 단계;
    (c) 상기 (b)단계에서 발신자가 착신자의 가상번호로 발신하였다고 판단된 경우, 상기 실제번호에 매핑되는 가상번호를 검색하는 단계; 및
    (d) 착신번호가 상기 검색된 가상번호로 기재된 통화 가능 알림 메시지를 상기 발신자에게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통화 가능 알림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c)단계는,
    가입자의 실제번호와 매핑되는 가상번호가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여 검색하는 통화 가능 알림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d)단계는,
    상기 착신자의 단말이 통화 가능시에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화 가능 알림 방법.
  4. 이동통신망에서 착신자의 통화 불가시 발신자에게 통화 가능 알림 메시지를 제공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착신자의 실제번호 및 발신자가 착신자의 가상번호로 발신하였는지를 나타내는 변수인 번호판단변수를 수신하는 수신부;
    상기 번호판단변수를 기초로 발신자가 착신자의 가상번호로 발신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번호판단부;
    상기 실제번호에 매핑되는 가상번호를 검색하는 검색부;
    착신번호가 기재된 통화 가능 알림 메시지를 전송하는 송신부; 및
    상기 번호판단부에 의해 상기 발신자가 착신자의 가상번호로 발신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에, 상기 검색부에 의해 검색된 가상번호를 착신번호로 하여 상기 송신부를 통해 통화 가능 알림 메시지를 상기 발신자에게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통화 가능 알림 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가입자의 실제번호와 매핑된 가상번호가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베이스; 및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착신번호가 상기 실제번호 또는 상기 검색된 가상번호로 기재된 통화 가능 알림 메시지를 생성하며, 상기 송신부로 제공하는 메시지생성부를 더 포함하는
    통화 가능 알림 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부는 상기 착신 단말이 통화 가능시에 통화 가능 알림 메시지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화 가능 알림 시스템.
  7. 이동통신망에서 착신자의 통화 불가시 발신자에게 통화 가능 알림 메시지를 제공하는 방법으로서,
    (a) 수신된 발신 호의 착신번호가 착신자의 가상번호인지 판단하는 단계;
    (b) 상기 착신번호가 상기 착신자의 가상번호인 경우, 상기 착신자의 실제번호를 검색하고 발신자가 상기 착신자의 가상번호로 발신하였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번호판단변수를 설정하는 단계; 및
    (c) 상기 착신자의 통화 불가시에, 상기 번호판단변수에 기초하여 상기 발신자가 상기 착신자의 가상번호로 발신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착신번호가 가상번호로 기재된 통화 가능 알림 메시지를 상기 발신자에게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통화 가능 알림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c)단계는,
    (i) 상기 번호판단변수를 기초로 상기 발신자가 상기 착신자의 가상번호로 발신하였는지를 판단하는 단계;
    (ii) 상기 (i)단계에서 상기 발신자가 상기 착신자의 가상번호로 발신하였다고 판단된 경우, 상기 실제번호에 매핑되는 가상번호를 검색하는 단계; 및
    (iii) 착신번호가 상기 검색된 가상번호로 기재된 통화 요구 알림 메시지를 생성하여 상기 발신자에게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통화 가능 알림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b)단계에서 상기 착신자의 실제번호 검색은
    지능망을 이용하여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화 가능 알림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b)단계는,
    상기 착신번호의 국번 대역에 의해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화 가능 알림 방법.
  11. 이동통신망에서 착신자의 통화 불가시 발신자에게 통화 가능 알림 메시지를 제공하는 시스템으로서,
    착신자의 실제번호 및 발신자가 상기 착신자의 가상번호로 발신하였는지를 나타내는 변수인 번호판단변수를 생성하는 지능망교환기;
    상기 착신자의 통화 가능 여부를 판단하고, 통화 불가시 상기 실제번호 및 상기 번호판단변수를 출력하는 홈위치등록기; 및
    상기 번호판단변수를 기초로 상기 발신자가 상기 착신자의 가상번호로 발신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에 착신번호가 상기 실제번호와 매핑되는 가상번호로 기재된 통화 가능 알림 메시지를 상기 발신자에게 전송하는 단문메시지서비스센터를 포함하는
    통화 가능 알림 시스템.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단문메시지서비스센터는
    상기 착신자의 실제번호 및 상기 발신자가 상기 착신자의 가상번호로 발신하였는지를 나타내는 변수인 번호판단변수를 수신하는 수신부;
    상기 번호판단변수를 기초로 상기 발신자가 상기 착신자의 가상번호로 발신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번호판단부;
    상기 실제번호에 매핑되는 가상번호를 검색하는 검색부;
    착신번호가 상기 검색된 가상번호로 기재된 통화 가능 알림 메시지를 전송하는 송신부; 및
    상기 번호판단부에 의해 상기 발신자가 착신자의 가상번호로 발신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에, 상기 검색부에 의해 검색된 가상번호를 착신번호로 하여 상기 송신부를 통해 통화 가능 알림 메시지를 상기 발신자에게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통화 가능 알림 시스템.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단문메시지서비스센터는,
    가입자의 실제번호와 매핑된 가상번호가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베이스를 더 포함하는 통화 가능 알림 시스템.
KR1020070074425A 2007-07-25 2007-07-25 통화 가능 알림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시스템 KR2009001113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74425A KR20090011136A (ko) 2007-07-25 2007-07-25 통화 가능 알림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74425A KR20090011136A (ko) 2007-07-25 2007-07-25 통화 가능 알림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11136A true KR20090011136A (ko) 2009-02-02

Family

ID=406823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74425A KR20090011136A (ko) 2007-07-25 2007-07-25 통화 가능 알림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011136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257509A (zh) * 2017-07-14 2019-01-22 中国移动通信集团浙江有限公司 基于虚拟号码的通信方法、系统、服务器和存储介质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257509A (zh) * 2017-07-14 2019-01-22 中国移动通信集团浙江有限公司 基于虚拟号码的通信方法、系统、服务器和存储介质
CN109257509B (zh) * 2017-07-14 2020-12-22 中国移动通信集团浙江有限公司 基于虚拟号码的通信方法、系统、服务器和存储介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10058736A (ko) 단문메시지 라우팅 제어장치
JP3119627B2 (ja) 携帯電話における着信側所在通知方法
US7711378B2 (en) Method and a system for transmitting a short message
KR20090011136A (ko) 통화 가능 알림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시스템
US20040242211A1 (en) Mobile subscriber station with low frequency call alerting capability
KR20090010368A (ko) 통화 요구 알림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시스템
KR20050027332A (ko) 지능망을 이용한 휴대폰 위치확인 시스템
KR101006332B1 (ko) 메시지 변환 장치 및 이를 사용한 통화 방법 및 시스템
KR101054081B1 (ko) 해외 로밍 단말을 위한 사서함 서비스 장치 및 그 방법
KR20070091719A (ko) 국제 음성 메시지 전송 시스템 및 방법
US20090215437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overriding a call forwarding service of a mobile device
KR100378088B1 (ko) 가입자 기반 링백톤 서비스에서의 음원 확인 방법
KR100478256B1 (ko) 착신 전환 방식을 이용한 번호 이동성 제공 방법
KR100621723B1 (ko) 유,무선망에서 개인 추적호 전달 서비스 방법
KR100565822B1 (ko) 이동 통신망을 통한 음성 안내 링백톤 제공 방법
KR100995477B1 (ko) 식별번호 통합 환경에서의 발신 지역명 표시 서비스 방법및 시스템
KR20090097421A (ko) 이동통신망에서의 미수신 통화내역제공 서비스 시스템 및방법, 이를 구현하기 위한 미수신 통화내역제공 서비스서버
KR20060120723A (ko) 통신 상태 실시간 정보 제공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KR20050106379A (ko) 이동통신망에서 단문메시지전송서버를 이용한 불완료호정보의 수집과 선택적 통지 방식 변경에 대한 방법 및시스템
KR100849694B1 (ko) 근거리 무선통신방법
KR100822855B1 (ko) 국제 로밍 통화 연결음 제공 방법과 이를 위한 이동통신시스템
KR200335607Y1 (ko) 식별번호 통합 환경에서의 발신 지역명 표시 서비스 시스템
KR20070009856A (ko) 이동통신망에서의 후불제 통화 서비스 방법
KR20100122370A (ko) 우선 착신자 연결 시스템 및 방법
KR20110013732A (ko) 착신 전환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