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09856A - 이동통신망에서의 후불제 통화 서비스 방법 - Google Patents

이동통신망에서의 후불제 통화 서비스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09856A
KR20070009856A KR1020050063777A KR20050063777A KR20070009856A KR 20070009856 A KR20070009856 A KR 20070009856A KR 1020050063777 A KR1020050063777 A KR 1020050063777A KR 20050063777 A KR20050063777 A KR 20050063777A KR 20070009856 A KR20070009856 A KR 2007000985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ll
mobile communication
communication terminal
originating
switching cen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637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진식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637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70009856A/ko
Publication of KR200700098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0985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24Accounting or bill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90Services for handling of emergency or hazardous situations, e.g. earthquake and tsunami warning systems [ETW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50Connection management for emergency connec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Public Health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통신망에서의 후불제 통화 서비스 방법에 관한 것으로, 발신 금지된 이동통신 단말에서 특정 FC(Feature Code)를 입력한 상태에서 착신 이동통신 단말(또는 착신 단말)의 번호를 입력하여 통화 서비스를 요청하고, 특정 FC가 기 등록되어 있으면 발신 금지 이동통신 단말과 착신 이동통신 단말(또는 착신 단말)간의 호를 설정하며, 통화 연결 과정이 수행되고 난 후 호가 해제되면 발신 금지된 이동통신 단말의 사용자에게 발신 과금을 책정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발신 금지된 이동통신 단말이라 하더라도 재해지역으로 선정된 곳에서는 특정 FC(Feature Code)를 누리고 통화를 가능하게 하고 추후 통화 내역에 대해서는 후불제로 사용자에게 청구하도록 함으로써, 이동통신 서비스의 유연성을 제공할 수 있다.
MSC, BSC, BTS

Description

이동통신망에서의 후불제 통화 서비스 방법{METHOD FOR PROVIDING LATER PAYMENT SERVICE IN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도 1은 전형적인 이동통신망 시스템의 구성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이동통신망에서의 후불제 통화 서비스 과정의 타이밍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a, 100b : MS(Mobile Station)
102a, 102b : BTS(Base station Transceiver System)
104a, 104b : BSC(Base Station Controller)
106a, 106b : MSC(Mobile Switching Center)
108 : HLR(Home Location Register)
110 : 이동통신망
112 : PSTN(Public Switching Telephone Network)
114 : 착신 단말
본 발명은 이동통신망, 예를 들면 코드분할 다중접속 통신(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 이하 CDMA라 칭함)망에서의 통화서비스 기술에 관한 것으로, 특히 발신 금지된 단말에서 착신 단말로 호를 설정하는데 적합한 이동통신망에서의 후불제 통화 서비스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동통신망, 특히 3세대 이동통신 방식인 CDMA2000 망은 하나의 채널로 한 번에 한 통화밖에 하지 못하는 한계가 있는 아날로그 방식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개발된 디지털 방식의 이동통신 서비스의 일 형태로서, 아날로그 신호인 음성을 디지털 신호로 전환한 후 여기에 난수를 부가하고 여러 개의 디지털 코드로 변환해 통신을 하는 것으로, 이동통신 단말에서 통화자의 채널에 고유하게 부여된 코드만을 인식하기 때문에 통화품질이 우수하고 통신비밀이 보장된다는 장점이 있다.
한편, 이동통신 단말과, 이들 이동통신 단말에 대한 통신 서비스를 지원하고 있는 기지국 사이에서 무선 회선을 거쳐서 통신을 행하는 이동통신 기술에 있어서, 이동통신 단말의 사용을 금지 또는 제한시키는 경우, 이동통신 단말에 그들 동작을 록(lock)시키는 제어부를 갖도록 하여, 외부, 예컨대 CDMA망의 서비스 서버에서 이 제어부에 대해서 제어 신호를 보냄으로써 그 사용을 금지 또는 제한시킬 수가 있다. 여기서 '사용제한'이라 함은 이동통신 단말의 발신이 금지된 것을 의미한다.
그런데 종래에는, 이와 같이 발신 금지된 상태의 이동통신 단말에 대해 다시 통화를 허용하기가 용이하지 않기 때문에 이동통신 서비스 기능에 유연성이 없다는 문제가 제기되었다.
즉, 발신 금지된 상태의 이동통신 단말이라 하더라도, 위급한 상황, 예를 들 면 산불 재해 지역과 같은 장소에서는 외부와 긴급히 연락을 취하여야 하나, 발신 금지를 해제하기 위해서는 많은 시간이 소요될 뿐만 아니라, 과금 문제 등을 고려해야만 하기 때문에 별도의 가입 정보 갱신 처리가 필수적이다.
실질적으로, 종래의 이동통신망에서는 발신 금지된 이동통신 단말로 그 자리에서 즉시 통화를 재개하기란 불가능하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 기술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한 것으로, 발신 금지된 이동통신 단말이라 하더라도 재해지역으로 선정된 곳에서는 특정 FC(Feature Code)를 누리고 통화를 가능하게 하고 추후 통화 내역에 대해서는 후불제로 사용자에게 청구하도록 함으로써, 이동통신 서비스의 유연성을 제공할 수 있는 이동통신망에서의 후불제 통화 서비스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발신 기지국 제어부와 발신 이동 스위칭 센터를 경유하여 착신 이동 스위칭 센터와 착신 기지국 제어부를 연결함으로써 발신 금지된 이동통신 단말과 착신 이동통신 단말간의 호를 설정하는 이동통신망에서의 통화 서비스 방법으로서, 상기 발신 금지 이동통신 단말에서 특정 FC를 입력한 상태에서 상기 착신 이동통신 단말의 번호를 입력하여 상기 발신 이동 스위칭 센터로 통화 서비스를 요청하는 단계와, 상기 특정 FC에 의한 통화 서비스 요청에 따라 상기 발신 금지 이동통신 단말과 상기 착신 이동통신 단말간의 호를 설정하는 단계와, 상기 발신 금지 이동통신 단말과 상기 착신 이동통신 단말간의 통화 연결 과정이 수행되고 난 후 호가 해제되면, 상기 발신 금지 이 동통신 단말측으로 발신 과금을 책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이동통신망에서의 후불제 통화 서비스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발신 기지국 제어부와 발신 이동 스위칭 센터를 경유하여 발신 금지된 이동통신 단말과 공중전화 교환망을 통해 착신 단말간의 호를 설정하는 이동통신망에서의 통화 서비스 방법으로서, 상기 발신 금지 이동통신 단말에서 특정 FC를 입력한 상태에서 상기 착신 단말의 번호를 입력하여 상기 발신 이동 스위칭 센터로 통화 서비스를 요청하는 단계와, 상기 특정 FC에 의한 통화 서비스 요청에 따라 상기 발신 금지 이동통신 단말과 상기 착신 단말간의 호를 설정하는 단계와, 상기 발신 금지 이동통신 단말과 상기 착신 단말간의 통화 연결 과정이 수행되고 난 후 호가 해제되면, 상기 발신 금지 이동통신 단말측으로 발신 과금을 책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이동통신망에서의 후불제 통화 서비스 방법을 제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이동통신망, 예컨대 CDMA 시스템의 망 구성도를 나타낸 것으로, 이동통신 단말(이하, MS(Mobile Station)라 약칭함)(100a, 100b), 기지국 전송 시스템(이하, BTS(Base station Transceiver System)라 약칭함)(102a, 102b), 기지국 제어부(이하, BSC(Base Station Controller)라 약칭함)(104a, 104b), 이동 스위칭 센터(이하, MSC(Mobile Switching Center)라 약칭함)(106a, 106b), 홈 위치 등록기(이하, HLR(Home Location Register)이라 약칭함)(108), 이동통신망(110), 공중전화 교환망(이하, PSTN(Public Switching Telephone Network)망이라 약칭함)(112), 착신 단말(114)을 포함한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발신 MS(100a) 및 착신 MS(100b)는 후술하는 BTS(102a, 102b)와 IS-2000 규격에 따른 무선접속으로 인터페이스하여 가입자에게 무선통신 서비스를 제공한다.
BSC(104a, 104b)는 MSC(106a, 106b)와 BTS(102a, 102b) 사이에 각각 위치하여 PSTN망(112)을 통해 인터넷망 정합기능을 수행하며 음성에 대한 보코딩(Vocoding) 기능을 수행한다. 이와 같은 BSC(104a, 104b)는 본 실시예에 따라, 재해지역으로 선포된 지역에서 운용자의 명령에 의해 재해지역 후불제 통화서비스를 턴-온(turn-on)시킨다.
MSC(106a, 106b)는 예를 들면, CDMA 2000망에서 교환기능을 수행하고 가입자를 망내의 각종부가장비(SMS, VMS)와 연결시켜 부가서비스를 제공하거나, 타 망, 즉 PSTN망(112)과 연결하여 서비스를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은 MSC(106a, 106b)는 해당 ASS(Access Switching System)(도시 생략됨)에 의해 재해지역 후불제 통화서비스를 턴-온할 수 있다. 즉, MSC(106a, 106b) 내에는 ASS가 포함되며, 이 ASS는 가입자 및 중계선 정합장치, 타임스위치, 각종 신호장치 등으로 호처리 기능을 수행하는 서브시스템으로서, 본 실시예에 따라 재해지역 후불제 통화서비스를 턴-온할 수 있다. 단, 상술한 BSC(102a, 102b)가 MSC(106a, 106b)쪽으로 메시지를 전달하여 자동 턴-온이 될 경우에는 MSC(106a, 106b)에서 수동으로 입력할 필요가 없다.
HLR(108)은 CDMA 이동통신 가입자의 정보를 보관하는 데이터베이스이다. 이러한 HLR(108)은 완벽한 고장 감내와 실시간 데이터베이스 처리가 가능한 구조로 되어 있으며, MSC(106a, 106b), 단문 메시지 서비스 센터(SMS), 망 관리 센터, 고객 센터와 연동하여 기능을 수행한다.
이동통신망(110)은 발신 MSC(106a)와 착신 MSC(106b)를 연결하는 수단으로서, 발신 BSC(104a) 또는 발신 MSC(106a)를 통해 후불제 통화서비스가 턴-온되면 발신 MSC(106a)와 착신 MSC(106b)간의 호가 설정된다.
PSTN(112)은 발신 MSC(106a)와 착신 단말(114), 예컨대 유선 단말 간의 호를 설정하기 위한 연결 수단으로서, PSTN(112) 내의 대국 교환기(도시 생략됨)를 통해 발신 MS(100a)와 착신 단말(114)을 통화 연결해 준다. 즉, 본 실시예에서는, 발신 MS(100a)가 발신 금지 단말일 경우에, 이동통신망(110)을 통해 발신 MS(100a)와 착신 MS(100b)간의 호를 설정하거나, PSTN(112)을 통해 발신 MS(100a)와 착신 단말(114)간의 호를 설정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상술한 구성과 함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망에서의 후불제 통화 서비스 과정을 첨부한 도 2의 타이밍도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설명에 앞서, 본 실시예에서는 발신 MS(100a)가 최초 발신 금지된 상태인 것으로 가정하며, 각 과정에서의 BTS(102a, 102b), BSC(104a, 104b) 등의 상세 신호 흐름에 대해서는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설명의 편의를 위해 생 략될 수도 있음을 전제로 한다.
먼저, 단계(S200)에서 발신 금지된 발신 MS(100a)는 발신 MSC(106a)로 재해지역 후불제 통화 서비스를 요청한다. 이러한 통화 서비스 요청에는, 발신 MS(100a)를 통해 사용자가 특정 FC(Feature Code)를 입력한 상태에서 해당 착신 번호를 입력하는 과정이 포함된다.
이와 같은 재해지역 후불제 통화 서비스가 요청되면, 발신 MSC(106a)는 단계(S202)로 진행하여 HLR(108)을 통해 사용자의 특정 FC가 등록되어 있는지 여부를 요청한다.
이후, HLR(108)에서 발신 MSC(106a)로 특정 FC 등록 응답 메시지가 수신되면(S204), 발신 MSC(106a)는 단계(S206)로 진행하여 발신 MSC(106a)와 착신 MSC(106b)간의 호를 설정한다. 즉, 발신 MSC(106a)를 통해 재해지역 후불제 통화 서비스가 턴-온됨으로써, 발신 MS(100a)와 착신 MS(100b)간의 통화가 연결된다. 단, 본 실시예에서는 이러한 턴-온 과정이 발신 MSC(106a)측에서 수행되는 것으로 한정하였으나, 반드시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며, 발신 BSC(104a)에서 운용자가 명령어로 재해지역 후불제 통화 서비스를 턴-온시키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 예컨대, 발신 BSC(104a)에서 발신 MSC(106a)로 메시지를 전달하면 발신 MSC(106a)측에서 자동 턴-온 되도록 구현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이때, 통화 연결시 발신 MS(100a)측으로는 통화 연결 안내 메시지, 예를 들면 "재해지역이므로 발신자 요청에 의해 후불제로 통화가 연결됩니다."라는 안내 메시지가 송출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발신 MS(100a)와 착신 MS(100b)간의 통화 연결 과정이 수행되고 난 후 호가 해제되면, 발신 MS(100a)측으로 발신 과금이 이루어진다.
즉,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르면, 발신 MS에서 특정 FC를 입력하고 전화번호를 누르면 우선 통화가 가능하며, 통화가 종료되면 발신 MS측으로 발신 과금을 책정하도록 하였기 때문에, 발신이 금지된 MS에서도 긴급 통화가 용이하다는 이점이 있다.
한편,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발신 MS(100a)와 착신 MS(100b)간의 통화 연결 과정에 대해 기술하였으나, PSTN(112)을 통한 발신 MS(100a)와 유선 단말, 즉 착신 단말(114)간의 통화 연결 시에도 동일한 과정이 적용될 수 있으며, 중복되는 설명에 대해서는 생략하기로 한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기술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러한 실시예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며, 후술하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범주 내에서 당업자로부터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발신 금지된 이동통신 단말이라 하더라도 재해지역으로 선정된 곳에서는 특정 FC(Feature Code)를 누리고 통화를 가능하게 하고 추후 통화 내역에 대해서는 후불제로 사용자에게 청구하도록 함으로써, 이동통신 서비스의 유연성을 제공할 수 있다.

Claims (10)

  1. 발신 기지국 제어부와 발신 이동 스위칭 센터를 경유하여 착신 이동 스위칭 센터와 착신 기지국 제어부를 연결함으로써 발신 금지된 이동통신 단말과 착신 이동통신 단말간의 호를 설정하는 이동통신망에서의 통화 서비스 방법으로서,
    상기 발신 금지 이동통신 단말에서 특정 FC를 입력한 상태에서 상기 착신 이동통신 단말의 번호를 입력하여 상기 발신 이동 스위칭 센터로 통화 서비스를 요청하는 단계와,
    상기 특정 FC에 의한 통화 서비스 요청에 따라 상기 발신 금지 이동통신 단말과 상기 착신 이동통신 단말간의 호를 설정하는 단계와,
    상기 발신 금지 이동통신 단말과 상기 착신 이동통신 단말간의 통화 연결 과정이 수행되고 난 후 호가 해제되면, 상기 발신 금지 이동통신 단말측으로 발신 과금을 책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이동통신망에서의 후불제 통화 서비스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통화 서비스가 요청되면 상기 발신 이동 스위칭 센터에서 홈 위치 등록기를 통해 상기 발신 금지 이동통신 단말의 사용자 특정 FC가 등록되어 있는지 여부를 요청하는 단계와,
    상기 홈 위치 등록기에 상기 발신 금지 이동통신 단말의 사용자 특정 FC가 등록되어 있으면 상기 발신 금지 이동통신 단말과 상기 착신 이동통신 단말간의 호를 설정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망에서의 후불제 통화 서비스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호 설정 단계는, 상기 발신 이동 스위칭 센터를 통해 통화 서비스가 턴-온됨으로써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망에서의 후불제 통화 서비스 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발신 이동 스위칭 센터 내에는 액세스 스위칭 시스템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망에서의 후불제 통화 서비스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호 설정 단계는, 상기 발신 기지국 제어부에서 상기 발신 이동 스위칭 센터 측으로 서비스 요청 메시지를 전달하여 상기 발신 이동 스위칭 센터가 자동 턴-온되어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망에서의 후불제 통화 서비스 방법.
  6. 발신 기지국 제어부와 발신 이동 스위칭 센터를 경유하여 발신 금지된 이동통신 단말과 공중전화 교환망을 통해 착신 단말간의 호를 설정하는 이동통신망에서의 통화 서비스 방법으로서,
    상기 발신 금지 이동통신 단말에서 특정 FC를 입력한 상태에서 상기 착신 단말의 번호를 입력하여 상기 발신 이동 스위칭 센터로 통화 서비스를 요청하는 단계와,
    상기 특정 FC에 의한 통화 서비스 요청에 따라 상기 발신 금지 이동통신 단말과 상기 착신 단말간의 호를 설정하는 단계와,
    상기 발신 금지 이동통신 단말과 상기 착신 단말간의 통화 연결 과정이 수행되고 난 후 호가 해제되면, 상기 발신 금지 이동통신 단말측으로 발신 과금을 책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이동통신망에서의 후불제 통화 서비스 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통화 서비스가 요청되면 상기 발신 이동 스위칭 센터에서 홈 위치 등록기를 통해 상기 발신 금지 이동통신 단말의 사용자 특정 FC가 등록되어 있는지 여부를 요청하는 단계와,
    상기 홈 위치 등록기에 상기 발신 금지 이동통신 단말의 사용자 특정 FC가 등록되어 있으면 상기 발신 금지 이동통신 단말과 상기 착신 단말간의 호를 설정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망에서의 후불제 통화 서비스 방법.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발신 금지 이동통신 단말과 상기 착신 단말간의 통화 연결시에 상기 발신 금지 이동통신 단말 측으로 통화 연결 안내 메시지를 송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망에서의 후불제 통화 서비스 방법.
  9.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호 설정 단계는, 상기 발신 이동 스위칭 센터를 통해 통화 서비스가 턴-온됨으로써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망에서의 후불제 통화 서비스 방법.
  10.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호 설정 단계는, 상기 발신 기지국 제어부에서 상기 발신 이동 스위칭 센터 측으로 서비스 요청 메시지를 전달하여 상기 발신 이동 스위칭 센터가 자동 턴-온되어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망에서의 후불제 통화 서비스 방 법.
KR1020050063777A 2005-07-14 2005-07-14 이동통신망에서의 후불제 통화 서비스 방법 KR2007000985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63777A KR20070009856A (ko) 2005-07-14 2005-07-14 이동통신망에서의 후불제 통화 서비스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63777A KR20070009856A (ko) 2005-07-14 2005-07-14 이동통신망에서의 후불제 통화 서비스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09856A true KR20070009856A (ko) 2007-01-19

Family

ID=380113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63777A KR20070009856A (ko) 2005-07-14 2005-07-14 이동통신망에서의 후불제 통화 서비스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70009856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3032B1 (ko) * 2007-08-29 2009-04-15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Wcdma망에서 지정 지역 발신시 대표 과금 방법 및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3032B1 (ko) * 2007-08-29 2009-04-15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Wcdma망에서 지정 지역 발신시 대표 과금 방법 및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70843B1 (ko)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서로간 동시 통화 시도시 통화성공률 향상 방법
USRE40331E1 (en) Method for constructing WVPN (wireless virtual private network) for CDMA
EP1560456B1 (en) Mobile communication device call barge-in
WO1998052337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onitoring of telephone calls
KR20010056307A (ko) 국제 자동 로밍 서비스 방법
CN100455057C (zh) 实现移动电话号码保密的系统和方法
CA2454886A1 (en) Short text messaging-based incoming call termination control
EP2637429A1 (en) Call establishment to an active SIM card identifier in a mobile communications network
KR20070009856A (ko) 이동통신망에서의 후불제 통화 서비스 방법
EP3745694B1 (en) Method and telecommunication system for establishing a call via at least one telecommunication network using multiple call numbers
CN101027917A (zh) 智能网方式中个性化回铃音呼叫保护的方法及装置
AU2002306000B9 (en) Services in a telephony system
KR100285328B1 (ko)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호 전환 방법
KR100238719B1 (ko) 개인통신 교환시스템에서의 3인통화호 처리방법
US20080014885A1 (en) System and method for delivering mobile services
KR20010032899A (ko) 고정 셀룰러 통신 시스템에서 호출자 인터페이스에 대역외다이얼 숫자 신호 제공 방법 및 장치
KR100641331B1 (ko) 이동통신망에 있어 일반 착신번호와 착신전환에 의한 착신번호 구별 서비스 제공 방법
KR100478256B1 (ko) 착신 전환 방식을 이용한 번호 이동성 제공 방법
KR100995477B1 (ko) 식별번호 통합 환경에서의 발신 지역명 표시 서비스 방법및 시스템
KR100234833B1 (ko) 호 전환 실패 호의 음성 사서함 서비스 전환 방법
KR200335607Y1 (ko) 식별번호 통합 환경에서의 발신 지역명 표시 서비스 시스템
KR20000059443A (ko) 이동통신 교환기의 발신 제한 방법
KR100561672B1 (ko) 비동기 imt-2000 망에서의 발신 제어 방법
KR20000039628A (ko) 이동 비동기 전달방식 가상채널 교환기에서의 보류 호 처리방법
KR100256947B1 (ko) 호 전환 번호의 음성 사서함 서비스 오 접속 방지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