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10987U - Dental floss holder - Google Patents

Dental floss hold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10987U
KR20090010987U KR2020080005435U KR20080005435U KR20090010987U KR 20090010987 U KR20090010987 U KR 20090010987U KR 2020080005435 U KR2020080005435 U KR 2020080005435U KR 20080005435 U KR20080005435 U KR 20080005435U KR 20090010987 U KR20090010987 U KR 20090010987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ntal floss
floss
coupling
dental
stor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80005435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병훈 전
Original Assignee
병훈 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병훈 전 filed Critical 병훈 전
Priority to KR202008000543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10987U/en
Publication of KR2009001098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10987U/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5/00Devices for cleaning between the teeth
    • A61C15/04Dental floss; Floss holders
    • A61C15/043Containers, dispensers, or the like, e.g. with cutt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5/00Devices for cleaning between the teeth
    • A61C15/02Toothpick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5/00Devices for cleaning between the teeth
    • A61C15/04Dental floss; Floss holders
    • A61C15/041Dental flos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ent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rush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치실 고정구에 관한 것으로, 치실과 일측에 상기 치실의 일단이 고정되는 치실 보관부 및 치실 보관부의 일측에 탈착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치실의 타단이 고정되는 치실 결합부를 포함한다. 본 고안에 따른 치실 고정구를 사용함으로써, 사용자는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구강을 청결하게 할 수 있고 음식을 판매하는 음식점에서 손님들에게 간편하게 제공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가 별도로 치실 및 이쑤시개를 구매하여 휴대하지 않아도 선택적으로 치실 및 이쑤시개를 사용할 수 있으며 이쑤시개를 더욱 구비하여 치실 사용이 익숙하지 않은 사용자는 치실 대신 이쑤시개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도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ental floss fixture, and the dental floss storage unit is fixed to one side of the floss and one side of the dental floss storage unit is detachably coupled, and includes a dental floss coupling portion is fixed to the other end of the dental floss. By using the dental floss fix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user can clean the mouth regardless of the place and can easily provide it to the customers in the restaurant that sells food, so the user does not have to purchase and carry dental floss and toothpick separately. Dental floss and toothpicks can be used, and the toothpick is equipped with more toothpick users who are not used to using dental floss.

이쑤시개, 치실, 치실 결합부, 치실 보관부, 치아 Toothpicks, floss, floss joint, dental floss storage, teeth

Description

치실 고정구{DENTAL FLOSS HOLDER}Dental floss fixture {DENTAL FLOSS HOLDER}

본 고안은 치실 고정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자가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어디에서나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는 치실 고정구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ental floss fixture, and more particularly, to a dental floss fixture that can be conveniently used anywhere by a user.

음식물을 섭취한 후에는 치아 사이에 음식물 찌꺼기와 같은 이물질이 끼어있을 수 있다. 치아 사이에 낀 이물질은 치아에 부착되어 치석이 되기도 하며, 각종 구강 질환을 유발하는 세균의 온상이 되기도 한다. 또한 음식물 찌꺼기에서 번식하는 세균은 심한 악취를 유발하므로 이 악취로 인해 타인에게 불쾌감을 줄 수도 있다.After eating, there may be a foreign object, such as food debris, between your teeth. Foreign substances caught between the teeth attached to the teeth may be tartar, or a breeding ground of bacteria causing various oral diseases. In addition, germs that grow on food waste cause a bad odor, which can be unpleasant to others.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양치질로 치아 사이의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으나 양치질을 할 수 있는 상황이 아닌 경우 음식점이나 식당에 구비된 일회용 이쑤시개를 이용하거나 치실을 이용하여 치아 사이의 음식물 찌꺼기를 제거한다.To solve this problem, you can remove foreign substances between teeth by brushing teeth.If you are not in a situation where you can brush your teeth, use a disposable toothpick or a dental floss to remove food debris between teeth. .

치실은 가는 실로 형성되며 일반적으로 치실의 양측 끝단을 고정하고 고정된 치실을 치아 사이로 삽입한 후 임의의 방향으로 왕복시켜 치아 사이의 이물질을 제거한다. 이러한 치실은 치아에서 칫솔과 이쑤시개가 닿지 않는 부분의 이물질까지 깨끗하게 제거할 수 있으므로 대다수의 치과의사들이 권장하는 구강 청결 보조도구 이다.The floss is formed of a thin thread, and in general, both ends of the floss are fixed, a fixed floss is inserted between the teeth, and then reciprocated in an arbitrary direction to remove foreign substances between the teeth. This floss can cleanly remove any foreign matter from the teeth where the toothbrush and toothpick can't reach, so most dentists recommend oral cleaning aids.

그러나 일반적인 음식점과 식당에서는 치실을 제공하지 않으므로 치실을 사용하려는 사용자는 별도로 치실을 구매하여 휴대하고 다녀야 한다는 불편함이 있었다.However, since restaurants and restaurants do not provide dental floss, the user who wants to use dental floss has the inconvenience of having to buy and carry the dental floss separately.

또한 음식점이나 식당등에서 음식을 섭취한 손님들에게 치실을 제공하고자 하더라도 치실을 일정길이만큼 절단하여 제공하는 것은 손님에게 실례가 될 수도 있으며, 이쑤시개 통과 치실을 모두 구비해 두는 것은 경비 문제상 쉽게 실천할 수 없다는 문제도 있었다.Also, even if you want to provide dental floss to customers who have eaten food at restaurants or restaurants, cutting off the dental floss by a certain length may be an excuse for the guests. There was a problem.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의 제 1 목적은 사용자가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사용할 수 있는 치실 고정구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A first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 problems is to provide a dental floss fixture that the user can use anywhere.

또한 본 고안의 제 2 목적은 사용자가 취향에 따라 이쑤시개 또는 치실을 이용할 수 있도록 사용자에게 이쑤시개와 치실이 구비된 치실 고정구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In addition, a second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dental floss fixture with a toothpick and floss so that the user can use a toothpick or floss according to taste.

한편 본 고안의 제 3 목적은 음식점이나 식당에서 손님들에게 간편하게 이쑤시개 및 치실을 공급할 수 있는 치실 고정구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On the other hand, a third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dental floss fixture that can easily supply toothpicks and dental floss to customers in a restaurant or a restaurant.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치실과, 일측에 상기 치실의 일단이 고정되는 치실 보관부 및 치실 보관부의 일측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치 실의 타단이 고정되는 치실 결합부를 포함하는 치실 고정구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a dental floss, the dental floss storage unit is fixed to one side of the dental floss and one side of the dental floss storage unit is detachably coupled, including the dental floss coupling portion is fixed to the other end of the dental floss Provide dental floss fixtures.

본 고안에 따른 치실 고정구는 한번 사용하고 버릴 수 있는 치실을 제공하여 사용자가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치실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The dental floss fix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effect of allowing the user to use the dental floss regardless of the location by providing the dental floss that can be used and discarded once.

본 고안에 따른 치실 고정구는 이쑤시개를 더욱 구비하여 사용자가 취향에 따라 이쑤시개 또는 치실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거나 둘 다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도 있다.The dental floss fix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further provided with toothpicks, so that the user can select either toothpicks or dental floss or both according to taste.

본 고안에 따른 치실 고정구는 별도의 이쑤시개 통이나 치실을 구비하지 않아도 음식점이나 식당에서 손님들에게 간편하게 이쑤시개 및 치실을 공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Dental floss fix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effect that can easily supply toothpicks and floss to customers in restaurants or restaurants even without a separate toothpick bucket or floss.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치실 고정구는 치실의 양단이 고정된 부위가 손잡이와 같이 사용자의 양손에 파지하여 사용할 수 있으므로 치실의 사용이 익숙하지 않은 사용자도 용이하게 치실을 사용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In addition, the dental floss fix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by both users of the floss is fixed to both hands of the user, such as a handle, so that the user can easily use the dental floss.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다만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 잘 알려져 있고 본 고안과 직접적으로 관련이 없는 기술 내용에 대해서는 가급적 설명을 생략한다. 이는 불필요한 설명을 생략하여 본 고안의 핵심을 흐리지 않고 더욱 명확하게 전달하기 위함이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in describing the embodiments, descriptions of technical contents that are well known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and are not directly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are omitted. This is to more clearly communicate without obscure the core of the present invention by omitting unnecessary explanation.

한편, 첨부 도면에 있어서 일부 구성요소는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개 략적으로 도시되며,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 크기를 전적으로 반영하는 것이 아니다. 첨부 도면을 통틀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요소에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한다.On the other hand,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some components are exaggerated, omitted, or schematically illustrated, and the size of each component does not entirely reflect the actual size. Lik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like or corresponding elements throughout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로서 치실 고정구의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치실 고정구는 치실(10), 치실 보관부(20) 및 치실 결합부(30)로 구성될 수 있다.1 is a perspective view of a dental floss fixture as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1, the dental floss fixture may include a dental floss 10, a dental floss storage unit 20, and a dental floss coupling unit 30.

치실(10)은 치아 사이에 삽입하여 치아 사이의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것으로 일반적으로 치실을 사용하는 경우 40cm ~ 60cm의 치실을 절단하여 사용한다. 그러나 치아 사이로 삽입되어 실재로 사용되는 치실의 길이는 3cm ~ 10cm로써 치실의 나머지 부분은 손가락등에 감아 치실을 고정하기 위하여 사용된다.The dental floss 10 is inserted between the teeth to remove foreign matter between the teeth. In general, when the dental floss is used, a dental floss of 40 cm to 60 cm is used. However, the length of the dental floss inserted between the teeth is actually 3cm ~ 10cm, and the rest of the dental floss is wound around the fingers and used to fix the dental floss.

본 고안에서는 후술하겠지만 치실(10)의 일단과 타단이 각각 치실 보관부(20)와 치실 결합부(30)에 고정되므로 40cm ~ 60cm나 되는 길이의 치실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 따라서 본 고안에 적용되는 치실의 길이는 실재로 치아 사이에 삽입되어 사용되는 치실의 길이와 동일하게 3cm ~ 10cm의 길이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는 단지 이해를 돕기위한 하나의 실시예이므로 상술한 길이에 한정되지 않고 당업자의 소용에 따라 변경이 가능하다.In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later, but one end and the other end of the dental floss 10 is fixed to the dental floss storage portion 20 and the dental floss coupling portion 30, respectively, does not require a dental floss of about 40cm ~ 60cm. Therefore, the length of the dental floss applied to the present invention is preferably to use a length of 3cm ~ 10cm the same as the length of the dental floss is inserted between the teeth actually used, but this is only one embodiment for the purpose of understanding the above-mentioned length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is and can be changed according to the use of those skilled in the art.

치실(10)의 일단은 치실 보관부(20)에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치실 보관부(20)는 치실(10)의 일단이 고정된 일측에 돌출되어 체결 돌기(21)가 형성될 수 있다. 치실 보관부(20) 일측에 치실 결합부(30)가 탈착되는데, 이 탈착을 지지하기 위해 치실 보관부(20)는 체결 돌기(21)가 형성되고 치실 결합부(30)는 결합 홈(32)이 형성된다. 체결 돌기(21)는 이 결합 홈(32)에 삽입 또는 분리되어 치실 보관 부(20)와 치실 결합부(30)의 탈착을 지지한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체결 돌기(21)에는 치실(10)의 일단이 고정되어 있으므로 체결 돌기(21)와 탈착되는 결합 홈(32)은 그 내부에 치실(10)이 수납될 수 있다.One end of the dental floss 10 may be fixed to the dental floss storage unit 20. In addition, the dental floss storage unit 20 may protrude to one side to which one end of the dental floss 10 is fixed, and a fastening protrusion 21 may be formed. The dental floss storage portion 20 is detached from the dental floss coupling portion 30, in order to support the detachment of the dental floss storage portion 20 is formed with a fastening protrusion 21 and the dental floss coupling portion 30 is the coupling groove 32 ) Is formed. The fastening protrusion 21 is inserted into or separated from the coupling groove 32 to support the detachment of the dental floss storage portion 20 and the dental floss coupling portion 30. In addition, as described above, since one end of the dental floss 10 is fixed to the fastening protrusion 21, the dental floss 10 may be accommodated in the coupling groove 32 detachable from the fastening protrusion 21.

한편 치실 보관부(20)는 치실의 일단을 고정하기 위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치실 보관부(20) 내부에 빈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치실 보관부(20)의 일측에 내부 빈 공간과 외부가 연결되는 홀을 형성하고 치실(10)의 일단을 묶어 매듭을 만든 후 치실 보관부(20)의 일측에 형성된 홀을 통해 치실 보관부(20)의 내부 공간에 매듭진 치실(10)을 삽입한다. 홀을 통해 치실(10)의 매듭이 삽입된 것을 확인한 후 치실(10)이 삽입된 홀을 일부 메우면 치실(10)을 외부에서 잡아당겨도 매듭에 의해 치실(10)이 홀에 걸려 치실 보관부(20)의 외부로 빠져나오지 못하도록 형성할 수 있다.Meanwhile, the dental floss storage unit 20 may have an empty space inside the dental floss storage unit 20 as shown in FIG. 2 to fix one end of the dental floss. In this case, the inner empty space and the outside forming a hole in one side of the dental floss storage unit 20 and tie one end of the dental floss 10 to make a knot, and the dental floss storage through the hole formed on one side of the dental floss storage unit 20 The knotted dental floss 10 is inserted into the internal space of the part 20. After confirming that the knot of the dental floss 10 has been inserted through the hole, if the dental floss 10 is partially filled, the dental floss 10 is caught in the hole by the knot even when the dental floss 10 is pulled from the outside. It may be formed so as not to escape to the outside of the portion 20.

또한 치실(10)의 일단에 적당한 길이의 물체를 묶은 후 물체와 함께 치실(10)의 일부를 치실 보관부(20)의 내부 공간에 삽입하고 치실(10)이 삽입된 홀을 일부 메워 외부에서 치실(10)을 잡아당긴다 하더라도 치실(10)의 일단에 묶인 물체에 의해 치실(10)이 치실 보관부(20)의 외부로 빠져나오지 못하도록 형성할 수 있다.In addition, after tying an object of a suitable length to one end of the dental floss 10, a portion of the dental floss 10 is inserted together with the object into the internal space of the dental floss storage unit 20, and a part of the hole where the dental floss 10 is inserted is partially filled from the outside. Even if the dental floss 10 is pulled out, the dental floss 10 may be prevented from escaping to the outside of the dental floss storage unit 20 by an object tied to one end of the dental floss 10.

한편 치실 보관부(20)에 체결 돌기(21)가 돌출형성되었을 경우, 체결 돌기(21)에 치실(10)을 고정하기 위해 체결 돌기(21)의 양측을 관통하여 홀을 형성할 수 있다. 이 경우 체결 돌기(21)를 관통한 홀에 치실(10)의 일부를 삽입한 후 삽입된 치실(10)의 일단을 묶어 매듭을 형성하면 외부에서 치실(10)을 잡아당긴다 하더 라도 치실(10)이 매듭에 의해 홀을 통과하지 못하므로 체결 돌기(21)에 치실(10)의 일단이 고정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fastening protrusions 21 protrude from the dental floss storage part 20, holes may be formed through both sides of the fastening protrusions 21 to fix the dental floss 10 to the fastening protrusions 21. In this case, after inserting a part of the dental floss 10 into the hole penetrating the fastening protrusion 21 and tying one end of the inserted dental floss 10 to form a knot, the dental floss 10 may be pulled from the outside. ) Does not pass through the hole by the knot, one end of the dental floss 10 may be fixed to the fastening protrusion 21.

또한 치실(10)의 일단이 치실 결합부(30)에 고정된 상태에서 치실 보관부(20)를 수직으로 관통하는 홀을 형성하고 이 홀에 치실(10)의 타단을 삽입하여 치실 보관부(20)의 내부를 거쳐 외부로 빠져나오도록 한다. 그리고 치실 보관부(20)의 외부로 빠져나온 치실(10)의 타단을 묶어 매듭을 형성하되, 매듭의 크기를 홀의 직경보다 굵게 형성하여 치실(10)의 타단이 매듭에 의해 치실 보관부(20)에 형성된 홀을 빠져나가지 못하도록 형성하여 치실(10)을 치실 보관부(20)와 치실 결합부(30)에 고정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one end of the dental floss 10 is formed in the dental floss coupling portion 30 in the form of a hole vertically penetrating through the dental floss storage portion 20 and inserts the other end of the dental floss 10 into the dental floss storage portion ( Go through the inside of 20) to the outside. And the other end of the dental floss (10) exited to the outside of the dental floss storage unit 20 to form a knot, the size of the knot is formed thicker than the diameter of the hole 10 the other end of the dental floss 10 by the knot The dental floss 10 may be fixed to the dental floss storage portion 20 and the dental floss coupling portion 30 by preventing the hole formed in the opening.

한편 치실(10)의 타단이 고정되는 치실 결합부(30)는 치실 보관부(20)에서 치실(10)이 고정된 부위가 탈착 가능하도록 결합 홈(32)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치실(10)의 일단이 고정된 부위가 원통형으로 돌출 형성된 체결 돌기(21)인 경우 결합 홈(32)은 체결 돌기(21)의 외주면과 동일한 형상으로 함몰되어 체결 돌기(21)가 결합 홈(32)에 용이하게 탈착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Meanwhile, the dental floss coupling part 30 to which the other end of the dental floss 10 is fixed may have a coupling groove 32 to be detachable from the dental floss storage part 20 where the dental floss 10 is fixed. For example, in the case where the one end of the dental floss 10 is fixed to the fastening protrusion 21 formed to protrude in a cylindrical shape, the coupling groove 32 is recessed in the same shape as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astening protrusion 21 so that the fastening protrusion 21 is formed. It is formed to be easily detachable to the coupling groove (32).

또한 치실 결합부도 치실(10)의 타단을 고정하기 위해 치실 보관부와 유사하게 내부에 빈 공간을 형성하고 외부와 빈 공간을 연결하는 홀을 형성한 후, 홀을 통해 매듭진 치실(10)의 타단을 치실 결합부(30)의 내부 공간으로 삽입하고 홀을 일부 메워 치실(10)의 매듭에 의해 치실(10)이 외부로 빠져나오지 못하도록 하여 치실(10)을 치실 결합부(30)에 고정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dental floss coupling part also forms an empty space therein and forms a hole connecting the outside and the empty space similarly to the dental floss storage part to fix the other end of the dental floss 10, and then through the hole of the dental floss 10 The other end is inserted into the internal space of the dental floss coupling part 30 and the hole is partially filled to prevent the dental floss 10 from escaping to the outside by the knot of the dental floss 10 to fix the dental floss 10 to the dental floss coupling part 30. can do.

또한 치실(10)의 일단이 치실 보관부(20)에 고정된 상태에서 치실 결합 부(30)를 수직으로 관통하는 홀을 형성하고 이 홀에 치실(10)의 타단을 삽입하여 치실 결합부(30)의 내부를 거쳐 외부로 빠져나오도록 한다. 그리고 치실 결합부(30)의 외부로 빠져나온 치실(10)의 타단을 묶어 매듭을 형성하되, 매듭의 크기를 홀의 직경보다 굵게 형성하여 치실(10)의 타단이 매듭에 의해 치실 결합부(30)에 형성된 홀을 빠져나가지 못하도록 형성하여 치실(10)을 치실 결합부(30)와 치실 보관부(20)에 고정할 수도 있다.In addition, one end of the dental floss 10 is formed in the dental floss storage unit 20 to form a hole vertically penetrating through the dental floss coupling portion 30, and the other end of the dental floss 10 is inserted into the dental floss coupling portion ( Pass out through the inside of 30). And the other end of the dental floss (10) exited to the outside of the dental floss coupling portion 30 to form a knot, the size of the knot is formed thicker than the diameter of the hole 10 the other end of the dental floss 10 by the knot The dental floss 10 may be fixed to the dental floss coupling part 30 and the dental floss storage part 20 by preventing the hole formed in the opening.

치실 보관부 및 치실 결합부에 치실의 일단과 타단이 고정되는 방법은 매우 다양하여 상술된 방법외에 당업자의 소용에 따라 변경하여 실시 할 수 있으므로 더 이상의 설명은 생략한다.The method of fixing one end and the other end of the dental floss to the dental floss storage unit and the dental floss coupling unit is very versatile, so that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changed and used according to the use of those skilled in the art.

또한 본 고안에서 치실 보관부(20) 및 치실 결합부(30)는 원통형의 바(Bar)와 같은 형상으로 상정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다양한 입체적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dental floss storage portion 20 and the dental floss coupling portion 30 in the present invention is assumed to have a shape such as a cylindrical bar,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be formed in various three-dimensional shapes.

한편 치실 결합부(20)에서 치실(10)의 타측이 고정되는 반대쪽에, 즉 치실 결합부(20)에서 결합 홈(32)이 형성되는 경우 결합 홈(32)의 타측에 탈착가능하게 결합되는 이쑤시개(4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이쑤시개(40)의 탈착을 위해 치실 결합부(30)는 이쑤시개 홈(33)이 더 형성될 수 있으며, 이 이쑤시개 홈(33)은 통상적인 이쑤시개(33)가 탈착 가능한 형상, 즉 이쑤시개(40)의 원주면과 동일한 형상으로 그 일면이 함몰되어 형성될 수 있다. 본 고안에서의 이쑤시개(40)는 그 길이를 따라 일측에 손잡이가 형성되어 있고 타측이 뾰족하게 돌출된 형상으로 상정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다양한 길이와 형상을 가지는 이쑤시개(40)를 사용할 수 있 다.On the other hand, the other side of the dental floss 10 is fixed to the other side of the dental floss coupling portion 20, that is, when the coupling groove 32 is formed in the dental floss coupling portion 20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other side of the coupling groove 32 Toothpick 40 may be further provided. In order to detach the toothpick 40, the dental floss coupling part 30 may be further formed with a toothpick groove 33, and the toothpick groove 33 has a shape in which a conventional toothpick 33 is detachable, that is, a toothpick 40. One surface may be formed in the same shape as the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recess. Toothpick 40 in the present invention is a handle is formed on one side along its length and the other side is assumed to be a sharp protruding shape, but is not limited to this can use a toothpick 40 having a variety of lengths and shapes.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본 고안의 일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3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로 치실 보관부(20)로부터 탈착되는 치실 결합부(30)가 도시되어 있다. 도 3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체로 결합되어 있던 치실 보관부(20)와 치실 결합부(30)에 각각 반대 방향으로 힘을 가압하면 결합 홈(32)에서 체결 돌기(21)가 빠져나오면서 도 3의 (b)와 같이 치실 보관부(20)와 치실 결합부(30)가 분리되고 그 내부에 있던 치실(10)이 외부로 표출된다. 사용자는 치실 보관부(20)와 치실 결합부(30)를 양 손에 파지하고 치실(10)이 팽팽해질 때까지 치실 보관부(20)와 치실 결합부(30)를 잡아당겨서 팽팽해진 치실(10)을 치아 사이에 삽입한다. 그리고 치실 보관부(20) 및 치실 결합부(30)를 임의의 방향으로 왕복시키면 치실이 치실 보관부및 치실 결합부와 연동하여 치아 사이를 왕복하며 치아 사이의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다.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3 and 4. Figure 3 shows the dental floss coupling portion 30 that is detached from the dental floss storage portion 20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3A, when the force is applied to the dental floss storage portion 20 and the dental floss coupling portion 30 in opposite directions, respectively, the fastening protrusion 21 is engaged in the coupling groove 32. While exiting, the dental floss storage unit 20 and the dental floss coupling unit 30 are separated as shown in FIG. 3 (b), and the dental floss 10 inside the dental floss 10 is exposed to the outside. The user grips the dental floss storage portion 20 and the dental floss coupling portion 30 in both hands and pulls the dental floss storage portion 20 and the dental floss coupling portion 30 until the dental floss 10 is taut. 10) is inserted between the teeth. When the dental floss storage unit 20 and the dental floss coupling unit 30 are reciprocated in an arbitrary direction, the dental floss interlocks with the dental floss storage unit and the dental floss coupling unit to remove the foreign matter between the teeth.

또한 도 4에는 치실 결합부(30)로부터 탈착되는 이쑤시개(40)가 도시되어 있다. 이쑤시개(40)는 치실 결합부(30)의 타측에 형성된 이쑤시개 홈(33)에 일부를 삽입 및 분리시켜 사용할 수 있다. 한편 이쑤시개(40)나 치실(10) 중 하나만을 사용하기 위해 치실 결합부(30)에서 이쑤시개(40)를 분리하고 분리된 이쑤시개(40) 및 치실(10)을 사용하여 치아 사이의 이물질을 제거할 수도 있다.4 also shows a toothpick 40 detachable from the dental floss coupling portion 30. The toothpick 40 may be used by inserting and separating a part of the toothpick groove 33 formed on the other side of the dental floss coupling part 30. Meanwhile, in order to use only one of the toothpick 40 or the dental floss 10, the toothpick 40 is separated from the dental floss coupling part 30, and the foreign body between the teeth is removed using the separated toothpick 40 and the dental floss 10. You may.

한편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가 도 5에 도시되어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치실 보관부(20)에는 체결 돌기(21)가 아닌 보관 홈(22)이 형성되어 있으며 치실 결합부(30)에는 결합 홈(32)이 아닌 결합 돌기(31)가 형성되어 있다. 보관 홈(22) 은 결합 돌기(31)가 탈착 가능하도록 결합 돌기(31)의 형상과 동일한 형상으로 함몰되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결합 돌기(31)와 보관 홈(22)은 서로 대향되는 방향으로 형성되어 각각 치실(10)의 일단과 타단이 고정되어 있으므로 결합 돌기(31)를 보관 홈(22)에 삽입시 보관홈(22)에 치실(10)이 수납될 수 있다.Meanwhile,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hown in FIG. 5. Referring to FIG. 5, the dental floss storage unit 20 has a storage groove 22 instead of the fastening protrusion 21, and the dental floss coupling unit 30 has a coupling protrusion 31 instead of the coupling groove 32. have. The storage groove 22 may be formed by recessing in the same shape as the shape of the coupling protrusion 31 so that the coupling protrusion 31 is detachable. In addition, the coupling protrusion 31 and the storage groove 22 are formed in a direction opposite to each other, so that one end and the other end of the dental floss 10 are fixed, respectively, when the coupling protrusion 31 is inserted into the storage groove 22, the storage groove ( The dental floss 10 may be stored in the 22.

또한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가 도 6에 도시되어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치실 보관부(20)의 체결 돌기(21)는 그 일단에 보관 돌기(23)가 더 돌출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보관 돌기(23)는 그 외주면에 치실(10)이 감겨진 상태로 결합 홈(32)에 삽입하여 결합 홈(32)에 치실(10)을 보관할 수 있다.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lso shown in FIG. 6. As shown in FIG. 6, the fastening protrusion 21 of the dental floss storage part 20 may further have a storage protrusion 23 protruding from one end thereof. The storage protrusion 23 may be inserted into the coupling groove 32 in a state in which the dental floss 10 is wound around its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to store the dental floss 10 in the coupling groove 32.

이 경우, 치실 결합부(30)에는 결합 홈(32)에 보관 돌기(23)가 삽입되는 돌기 홈(33)이 더 형성되어 치실 결합부(30)와 치실 보관부(20)의 탈착을 지지할 수 있다. 또한 결합 홈(32) 내부에 보관 돌기(23) 및 체결 돌기(21)가 모두 삽입되도록 보관 돌기(23) 및 체결 돌기(21)의 돌출된 길이를 결합 홈(32)이 함몰된 길이보다 약간 작게 형성하여 치실 결합부(30)와 치실 보관부(20)의 탈착을 지지할 수도 있다.In this case, the dental floss coupling portion 30 is further provided with a projection groove 33 into which the storage protrusion 23 is inserted into the coupling groove 32 to support the detachment of the dental floss coupling portion 30 and the dental floss storage portion 20. can do. In addition, the protruding lengths of the storage protrusion 23 and the fastening protrusion 21 are slightly smaller than the length of the recessed groove 32 so that both the storage protrusion 23 and the fastening protrusion 21 are inserted into the coupling groove 32. It may be formed small to support the detachment of the dental floss coupling portion 30 and the dental floss storage portion 20.

지금까지 실시예를 통하여 본 고안에 따른 치실 고정구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본 명세서와 도면에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개시하였으며, 비록 특정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고안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고안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반적인 의미에서 사용된 것이지, 본 고안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 외에도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 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So far, the dental floss fix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drawings,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isclosed, and although specific terms have been used, these are merely used in a general sense to easily explain the technical cont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o help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scope.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other modifications based on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mplemented in addition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herein.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로서 치실 고정구의 사시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dental floss fixture as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로서 체결 돌기와 보관 홈이 형성된 치실 고정구의 단면도이다.Figure 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dental floss fixture formed with a fastening protrusion and a storage groove as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로서 치실 보관부로부터 치실 결합부가 탈착되는 과정이 도시된 치실 고정구의 사시도이다.Figure 3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dental floss fixture showing the process of detachment of the dental floss coupling portion from the dental floss storage as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로서 치실 결합부로부터 탈착되는 이쑤시개가 도시된 치실 고정구의 사시도이다.Figure 4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dental floss fixture showing the toothpick detachable from the dental floss coupling portion as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로서 결합 돌기와 결합 홈이 형성된 치실 고정구의 단면도이다.5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dental floss fixture formed with a coupling protrusion and a coupling groove as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로서 보관 돌기와 돌기 홈이 형성된 치실 고정구의 사시도이다.Figure 6 is a perspective view of a dental floss fixture formed with a storage protrusion and a projection groove as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laims (6)

치실;dental floss; 일측에 상기 치실의 일단이 고정되는 치실 보관부;A dental floss storage unit on which one end of the dental floss is fixed; 상기 치실 보관부의 일측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치실의 타단이 고정되는 치실 결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실 고정구.A dental floss fixture comprising: a dental floss coupling portion detachably coupled to one side of the dental floss storage portion and having the other end of the dental floss fixed thereto. 청구항 1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상기 치실 보관부는,The dental floss storage unit, 상기 치실이 수납되는 보관 홈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실고정구.Dental floss fixture, characterized in that the storage groove for storing the dental floss is formed. 청구항 1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상기 치실 결합부의 일측에, 상기 치실 보관부의 일측 부분에서 상기 치실이 고정된 부위가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결합 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실고정구.Dental floss fixture, characterized in that the coupling groove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dental floss coupling portion, the detachable coupling portion of the dental floss fixed portion in one side of the dental floss storage unit.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상기 치실 결합부는, 상기 보관 홈에 탈착 가능한 결합 돌기가 일측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실 고정구.The dental floss coupling portion, a dental floss fastener, characterized in that the engaging projection detachable to the storage groove is formed on one side.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3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3, 상기 치실 보관부는, 상기 결합 홈에 탈착 가능한 체결 돌기가 일측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포함하는 치실 고정구.The dental floss storage unit, the dental floss fastener comprising a fastening protrusion detachable to the coupling groove is formed on one side. 청구항 1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상기 치실 결합부는,The dental floss coupling portion, 상기 치실 결합부의 타측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이쑤시개를 더 포함하는 치실고정구.Dental floss fixture further comprises a toothpick detachably coupled to the other side of the dental floss coupling.
KR2020080005435U 2008-04-24 2008-04-24 Dental floss holder KR20090010987U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05435U KR20090010987U (en) 2008-04-24 2008-04-24 Dental floss hold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05435U KR20090010987U (en) 2008-04-24 2008-04-24 Dental floss holde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10987U true KR20090010987U (en) 2009-10-28

Family

ID=415545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80005435U KR20090010987U (en) 2008-04-24 2008-04-24 Dental floss hold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010987U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66592B1 (en) * 2018-07-25 2019-04-05 박형태 Dental floss assembly
KR20240014140A (en) * 2022-07-25 2024-02-01 대전보건대학교 산학협력단 Interdental toothbrush with built-in dental floss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66592B1 (en) * 2018-07-25 2019-04-05 박형태 Dental floss assembly
KR20240014140A (en) * 2022-07-25 2024-02-01 대전보건대학교 산학협력단 Interdental toothbrush with built-in dental flos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762234B2 (en) Disposable toothbrush and dental floss holder combination
JP3742611B2 (en) Interdental toothbrush
US20100186182A1 (en) Oral hygiene device & methods of use thereof
WO2006041637A2 (en) Toothpick device
RU2462972C2 (en) Device for oral health capable of storing dental floss
KR20090010987U (en) Dental floss holder
US10143297B2 (en) Portable interdental toothbrush
KR200407689Y1 (en) Toothbrush having a interdental brush
US20160235507A1 (en) Interdental cleaning apparatus using both hands
AU2003245055B2 (en) Interproximal brush with gargle and disinfectant
EP1455677B1 (en) Tooth-cleaning paper combined with dental floss
KR200417701Y1 (en) Interdental toothbrush
KR101020097B1 (en) Disposable apparatus for dental cleaning
RU75279U1 (en) DENTAL BRUSH (OPTIONS)
AU2002356449A1 (en) Tooth-cleaning paper combined with dental floss
US20160235191A1 (en) One in one dental floss toothbrush
KR100462903B1 (en) proxa brush including gargle fluid and disinfectant
JP3226939U (en) Replacement structure for fall prevention oral washer (1)
KR20090009112A (en) A multifunctional toothbrush
KR200388505Y1 (en) proxa brush including gargle fluid or disinfectant
KR100960718B1 (en) Disposable apparatus for dental cleaning
KR20170041041A (en) Available interdental cleaner with both hands
JP2645353B2 (en) Dental floss holder
KR20110000632U (en) Portable toothbrush
KR200239414Y1 (en) Interdental brush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