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39414Y1 - Interdental brush - Google Patents

Interdental brush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39414Y1
KR200239414Y1 KR2020010011242U KR20010011242U KR200239414Y1 KR 200239414 Y1 KR200239414 Y1 KR 200239414Y1 KR 2020010011242 U KR2020010011242 U KR 2020010011242U KR 20010011242 U KR20010011242 U KR 20010011242U KR 200239414 Y1 KR200239414 Y1 KR 20023941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othbrush
brush
interdental
toothbrush body
interdental toothbrus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11242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장지일
Original Assignee
장지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지일 filed Critical 장지일
Priority to KR202001001124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39414Y1/en
Priority to JP2001005287U priority patent/JP3084031U/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3941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39414Y1/en

Links

Landscapes

  • Brush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치간 치솔에 관한 것으로서, 종전과 같이 치솔 몸체와 일체형으로 되어 있던 솔대를 분리형으로 제작하여 사용시 솔대만 끼워 사용할 수 있고 보관시 솔대만 빼서 치솔 몸체상에 그대로 수용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 후 솔대의 보관을 용이하게 할 수 있음에 따라 치간 치솔의 사용과 관련한 편리함을 도모할 수 있는 동시에 위생적인 측면을 강화할 수 있으며, 특히 솔대의 교체가 용이하여 리필이 가능한 장점을 기대할 수 있도록 한 치간 치솔을 제공하고자 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nterdental toothbrush, which can be used by inserting the sole of the toothbrush body, which has been integrated with the toothbrush body as in the past, and can be used by inserting only the sole of the brush. The interdental toothbrush is designed to facilitate the storage of the handle, thereby enhancing convenience in using the interdental toothbrush and enhancing the hygienic aspects. It is intended to provide.

Description

치간 치솔{Interdental brush}Interdental brush

본 고안은 치간 치솔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솔대를 치솔 몸체로부터 분리형으로 제작하여 사용시에는 치솔 본체의 상단 체결구에 끼워서 사용하고 보관시에는 치솔 몸체의 하단 수납구에 끼워서 보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리필시의 편리함을 도모하고 위생적으로 보관할 수 있도록 한 치간 치솔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nterdental toothbrush, and in more detail, the handlebar is made of a detachable type from the toothbrush body, and when used, it is used by being inserted into the upper fastener of the toothbrush body and stored in the lower receptacle of the toothbrush body for storage. It relates to an interdental toothbrush for the convenience of the city and for hygienic storage.

일반적으로 치아를 청결하게 유지하기 위해서 대부분은 보통의 치솔을 사용하고 있으나, 치아와 치아 사이에 끼어있는 음식물 찌꺼기 또는 치석 등을 제거하려면 보통의 치솔로는 곤란하고 일명 치간 치솔이라고 불리는 치솔을 사용하고 있다.In general, most toothbrushes are used to keep teeth clean.However, to remove food debris or tartar between teeth and teeth, it is difficult to use a toothbrush, which is called an interdental toothbrush. have.

이러한 치간 치솔은 가정용과 휴대용이 있으며, 가정용은 특정 보관장소에 보관한 상태로 이용할 수 있으므로 어금이의 부위까지 편리하게 세척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그 길이를 비교적 길게 제작한다.These interdental toothbrushes are for home use and portable, and since the homes can be used as stored in a specific storage location, the length of the interdental toothbrush is relatively long to make it easy to clean the parts of the molars.

또한, 휴대용은 길이가 길면 휴대가 불편하므로 비교적 짧게 제작하는 것이 일반적이다.In addition, since the portable is not convenient to carry when the length is long, it is generally manufactured to be relatively short.

이와 같은 용도로 사용되는 치간 치솔은 손으로 잡을 수 있도록 비교적 가는 직경의 치솔 몸체와, 상기 치솔 몸체의 상단부 일체로 고정되는 솔과, 휴대시 솔을 위생적으로 보관하기 위해 씌워지는 캡으로 이루어져 있다.The interdental toothbrush used for this purpose is composed of a toothbrush body having a relatively small diameter so as to hold by hand, a brush fixed to the upper end of the toothbrush body integrally, and a cap that is covered to hygienically store the brush when carrying.

최근에는 치아 사이의 각도에 따라 모든 위치에서 작업이 가능하도록 치솔몸체와 솔의 연결부위에 실리콘이나 비교적 유연성을 갖는 합성수지재의 연결부재를 이용하여 그 각도를 전환시킬 수 있는 것이 많이 사용되고 있는 추세이다.Recently, it is a trend that the angle can be changed by using a connection member of a silicone or a synthetic resin material having a relatively flexible to the connection portion of the toothbrush body and the brush so that work at all positions according to the angle between the teeth.

그러나, 기존 대부분의 치간 치솔은 치솔 몸체와 솔이 일체형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일회용의 성격이 짙고 최근 많은 제품들이 리필화되는 추세에 비추어 볼 때에도 리필 개념이 없는 등 비효율적인 측면이 있으며, 휴대나 보관시 캡을 씌워 위생적으로도 안심하고 사용할 수 있도록 하고 있으나, 캡을 열고 닫는 등의 조작에 따른 많은 번거로움이 있고 캡의 분실도 잦아 치간 치솔의 사용과 관련하여 적지 않은 불편함과 치간 치솔의 보관과 관련하여 위생적으로도 양호한 상태를 유지하기 쉽지 않은 문제가 있다.However, since most of the existing interdental toothbrushes are integrated with the toothbrush body and the brush, there is an inefficient aspect such as the disposable nature is deep and there is no refilling concept even in view of the recent trend of refilling many products. It is hygienic and safe to use, but there are many inconveniences caused by opening and closing the cap and frequent loss of the cap, which is related to the use of the interdental toothbrush and the storage of the interdental toothbrush. There is a problem that is not easy to maintain a good state hygienically.

따라서, 본 고안은 이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종전과 같이 치솔 몸체와 일체형으로 되어 있던 솔대를 분리형으로 제작하여 사용시 솔대만 끼워 사용할 수 있고 보관시 솔대만 빼서 치솔 몸체상에 그대로 수용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 후 솔대의 보관을 용이하게 할 수 있음에 따라 치간 치솔의 사용과 관련한 편리함을 도모할 수 있는 동시에 위생적인 측면을 강화할 수 있으며, 특히 솔대의 교체가 용이하여 리필이 가능한 장점을 기대할 수 있도록 한 치간 치솔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vised in view of such a point, and it is possible to use the sole of the toothbrush body, which was integrated with the toothbrush body as in the past, so that it can be used by inserting only the sole of the brush, and to store it on the toothbrush body by removing the sole of the brush. By making it possible to facilitate the storage of the brush after use, it is possible to facilitate the use of the interdental toothbrush and to reinforce the hygienic aspects. The goal is to provide an interdental toothbrush that you can expect.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치간 치솔의 일 구현예에 대한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of use for one embodiment of the interdental toothbrush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치간 치솔의 일 구현예에 대한 보관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orage state for one embodiment of the interdental toothbrush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치간 치솔의 다른 구현예에 대한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Figure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of use for another embodiment of the interdental toothbrush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치간 치솔의 다른 구현예에 대한 보관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Figure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orage state for another embodiment of the interdental toothbrush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for main parts of drawing>

10 : 솔 11 : 솔대10: brush 11: brush

12 : 치솔 몸체 13 : 체결구12: toothbrush body 13: fastener

14 : 수납구 15 : 슬라이드 홈14: storage 15: slide groove

16 : 절개부 17 : 삽입부16: incision 17: insertion

18 : 걸림부18: locking part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고안은 솔(10)을 갖는 솔대(11)와 치솔 몸체(12)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치간 치솔에 있어서, 상기 솔대(11)는 치솔 몸체(12)로부터 분리형으로 구성하여 사용시에는 치솔 몸체(12)의 상단부 체결구(13)에 장착하여 사용하고, 보관시에는 치솔 몸체(12)의 하단부 수납구(14) 내에 끼워서 보관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is in the interdental toothbrush consisting of a brush head 11 and a toothbrush body 12 having a brush 10, the handle bar 11 is configured to be separated from the toothbrush body 12 when used in the toothbrush body ( It is used to install the upper end fastener 13 of 12), and during storage,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an be stored in the lower end receiving port 14 of the toothbrush body 12.

특히, 상기 치솔 몸체(12)의 상단부에 형성되는 체결구(13)는 수평방향으로 관통되는 슬라이드 홈(15)을 갖는 원통형 몸체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particular, the fastener 13 formed on the upper end of the toothbrush body 12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cylindrical body having a slide groove 15 penetrating in the horizontal direction.

또한, 상기 체결구(13)의 원통형 몸체에는 윗쪽에 길이방향으로 절개부(16)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cylindrical body of the fastener 13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incision 16 is form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n the top.

또한, 상기 솔대(11)는 치솔 몸체(12)의 하단부 수납구(14)에 삽입시 수납구(14)의 내측에 꼭맞게 끼워지는 삽입부(17)와 수납구(14)의 입구에 걸려지는 걸림부(18)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handle 11 is caught in the inlet of the insertion portion 17 and the receiving port 14 is fitted to the inside of the receiving opening 14 when inserted into the lower end receiving opening 14 of the toothbrush body 12. It is characterized by including (18).

또한, 상기 솔대(11)는 치솔 몸체(12)의 상단 체결구(14)에 장착시 뒷쪽에서 앞쪽으로 끼워지면서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sole 11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mounted while being fitted from the rear to the front when mounted on the upper fastener 14 of the toothbrush body 12.

이를 좀더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This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as follows.

도 1 및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치간 치솔의 일 구현예를 보여주는 사시도로서, 도 1은 치간 치솔의 사용상태를 나타내고 도 2는 치간 치솔의 보관상태를 나타낸다.1 and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the interdental toothbrush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 shows the state of use of the interdental toothbrush and Figure 2 shows the storage state of the interdental toothbrush.

본 고안의 치간 치솔은 치솔 몸체(12)와 솔대(11)를 분리형으로 제작한 후, 사용시에는 솔대(11)를 치솔 몸체(12)의 상단부에 끼워서 사용하고 보관시에는 솔대(11)를 치솔 몸체(12)의 하단부 내측으로 끼워서 보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기본적으로 솔대(11)의 리필을 가능하게 하고 사용 후에는 종전과 같이 캡의 필요성을 배제하면서 위생적으로 보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In the interdental toothbrush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oothbrush body 12 and the brush head 11 are manufactured separately, and when used, the brush head 11 is inserted into the upper end of the toothbrush body 12 and the brush tooth 11 is stored during storage. By allowing the inside of the lower end of the body 12 to be stored, it basically enables the refill of the handle 11 and after use, it is possible to be stored hygienically while eliminating the need for a cap as before.

이를 위하여, 상기 치솔 몸체(12)의 상단부에는 솔대(11)를 수평방향으로 끼울 수 있는 관통형의 슬라이드 홈(15)를 갖는 원통형의 체결구(13)가 일체 형성되어 있으며, 사용시에는 솔대(11)를 슬라이드 홈(15)의 뒷쪽에서 앞쪽으로 끼워 사용할 수 있게 된다.To this end, the upper end of the toothbrush body 12 is formed with a cylindrical fastener 13 having a slide groove 15 of the through-type that can be insert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in the handle bar 11, the handle bar (in use) 11) can be used by inserting from the rear of the slide groove 15 to the front.

또한, 상기 치솔 몸체(12)의 하단부에는 하단 끝에서 몸체 안쪽으로 소정의 깊이를 갖는 수납구(14)가 형성되어 있으며, 보관시에는 솔(10)을 안쪽으로 하여 솔대(11)를 수납구(14)에 직접 끼워서 보관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the lower end of the toothbrush body 12 is formed with a receiving opening 14 having a predetermined depth from the lower end to the inside of the body, when storing the brush stand 11 with the brush 10 in the storage opening 14 Can be stored directly.

또한, 통상의 솔(10)을 포함하는 상기 솔대(11)는 3단으로 된 원통형의 몸체를 갖고 있다.In addition, the sole 11 including the conventional sole 10 has a three-stage cylindrical body.

이러한 솔대(11)는 상기 슬라이드 홈(15)의 내경에 꼭 맞게 되어 있는 1단을 이용하여 치솔 몸체(12)의 체결구(13)에 끼워져 사용되고, 상기 수납구(14)의 내경에 꼭 맞게 되어 있는 2단, 즉 삽입부(17)를 이용하여 치솔 몸체(12)의 수납구(14) 내측으로 끼워져 보관되며, 이때의 3단, 즉 걸림부(18)는 수납구(14)의 내경보다 크게 되어 있어 솔대(11)가 수납구(14)의 내측으로 완전히 들어가는 것을 막아주게 된다.This brush rod 11 is used to fit the fastener 13 of the toothbrush body 12 by using the first stage that is fitted to the inner diameter of the slide groove 15, and is fitted to the inner diameter of the storage port 14 The second stage, that is, the insertion portion 17 is inserted into the storage port 14 of the toothbrush body 12 and stored, and at this time, the third stage, that is, the locking portion 18 is larger than the inner diameter of the storage port 14 This prevents the sole 11 from fully entering the inside of the storage opening 14.

상기 삽입부(17)의 외경은 대략 체결구(13)의 외경과 동일하게 하고 상기 걸림부(18)의 외경은 치솔 몸체(12)의 하단부 외경과 거의 비슷하게 하는 것이 외관적인 측면에서 바람직하다.The outer diameter of the insertion portion 17 is approximately the same as the outer diameter of the fastener 13, and the outer diameter of the locking portion 18 is preferably approximately from the outer side of the outer diameter of the lower end of the toothbrush body 12.

또한, 상기 치솔 몸체(12)의 손으로 잡고 사용하는 부분에는 그 내측의 수납구(14)를 관통하는 구멍을 형성하는 방법으로 수납구(14)에 공기가 통할 수 있도록 하여 수납구(14)에 보관되는 솔(10)을 항상 건조상태로 유지하는 것이 위생상 바람직하다 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ortion of the toothbrush body 12 that is held by the hand to be used in the storage port 14 to allow air to pass through the opening 14 by forming a hole penetrating through the inner storage opening 14. It may be desirable to keep the brush 10 dry at all times.

도 3 및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치간 치솔의 다른 구현예를 보여주는 사시도로서, 도 3은 치간 치솔의 사용상태를 나타내고 도 4는 치간 치솔의 보관상태를 나타낸다.3 and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interdental toothbrush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shows the state of use of the interdental toothbrush and Figure 4 shows the storage state of the interdental toothbrush.

여기서의 치간 치솔은 위의 일 구현예에서 보여준 치간 치솔과 기본적인 구성은 동일하며, 다만 솔대(11)를 끼우기 위한 체결구(13)의 형태에서 다소 차이를 두고 있다.The interdental toothbrush here is the same as the basic configuration of the interdental toothbrush shown in the above embodiment, but differs slightly in the form of fasteners 13 for fitting the sole 11.

즉, 치솔 몸체(10)의 상단부에 형성되는 체결구(13)는 수평방향을 관통하는 슬라이드 홈(15)을 갖고 있으며, 윗쪽에는 슬라이드 홈(15)과 나란히 길게 절개되는 절개부(16)가 갖추어져 있다.That is, the fastener 13 formed at the upper end of the toothbrush body 10 has a slide groove 15 penetrating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nd the cutout portion 16, which is cut along the length of the slide groove 15, is arranged on the upper side thereof. Equipped

이러한 절개부(16)로 인해 체결구(13)의 슬라이드 홈(15)에 끼워지는 솔대(11)가 장착상태에서 탄력적으로 지지될 수 있는 조건이 조성되므로, 솔대(11)의 삽입과 탈거를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게 된다.Since the incision 16 creates a condition that can be elastically supported in the mounting state of the stand 11 fitted in the slide groove 15 of the fastener 13, the insertion and removal of the stand 11 It can be performed easily.

한편, 상기 절개부(16)는 필요에 따라 그 절개의 폭을 확장시킬 수 있으며,절개부(16)의 폭을 슬라이드 홈(15) 내에서 솔대(11)가 윗쪽으로 빠지지 않을 정도의 걸림부분만을 제외하고 최대한 넓게 형성하게 되면, 솔대(11)의 삽입과 탈거를 절개부(16)를 통해 직접 위아래 방향으로 할 수 있게 되므로, 솔대(11)의 탈착과 관련한 조작을 간편하게 할 수 있게 된다.On the other hand, the cutout portion 16 can be expanded to the width of the cutout as necessary, the locking portion of the width of the cutout portion 16 in the slide groove 15 does not fall upwards If it is formed to be as wide as possible, except the insertion and removal of the brush rod 11 can be made directly in the up and down direction through the incision 16, it is possible to simplify the operation associated with the removal of the brush rod (11).

따라서, 본 고안의 치간 치솔은 도 1 및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치솔 몸체(12)의 상단부 체결구(13)에 솔대(11)를 끼워서 사용할 수 있고, 또 도 2 및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치솔 몸체(12)의 하단부 수납구(14)에 끼워서 보관할 수 있으므로, 종전과 같이 솔대(11) 및 솔(10)을 위생적으로 보관하기 위해 필요로 하였던 캡 없이도 솔대(11) 및 솔(10)을 편리하게 위생적으로 보관할 수 있으며, 분리형 솔대(11)을 채용함에 따라 솔대(11)만을 리필하여 다시 사용할 수 있어 경제적인 측면에서 유리한 점이 있다.Therefore, the interdental toothbrush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by inserting the lead 11 into the upper end fastener 13 of the toothbrush body 12, as shown in Figures 1 and 3, and also shown in Figures 2 and 4 As it can be stored in the lower end receiving portion 14 of the toothbrush body 12 as described above, the brush rod 11 and the brush 10 without the cap needed to hygienically store the brush rod 11 and the sole 10 as before. ) Can be conveniently and hygienically stored, and by adopting a detachable brush 11, it is possible to refill only the brush 11, which is advantageous in terms of economy.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은 치솔 몸체로부터 솔대를 분리형으로 제작하여 사용시 솔대만 끼워 사용할 수 있고 보관시 솔대만 빼서 치솔 몸체상에 그대로 수용시킬 수 있도록 한 치간 치솔을 제공함으로써, 사용 후 솔대의 보관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위생적으로도 안심할 수 있고, 솔대의 리필이 가능하여 경제적으로 유리한 장점이 있으며, 종전과 같이 캡 없이도 솔대를 치솔 몸체에 그대로 끼워 보관할 수 있으므로, 휴대하기도 편리한 장점이 있는 것이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interdental toothbrush that can be used by inserting only the brush when used in the detachable form of the brush from the toothbrush body and can be accommodated on the toothbrush body by removing only the brush when storing. Not only is it easy and hygienic and can be relieved, it is possible to refill the brush is economically advantageous, and it can be stored as it is inserted into the toothbrush body without a cap as before, it is convenient to carry.

Claims (5)

솔(10)을 갖는 솔대(11)와 치솔 몸체(12)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치간 치솔에 있어서,In the interdental toothbrush comprising a brush stand 11 having a brush 10 and a toothbrush body 12, 상기 솔대(11)는 치솔 몸체(12)로부터 분리형으로 구성하여 사용시에는 치솔 몸체(12)의 상단부 체결구(13)에 장착하여 사용하고, 보관시에는 치솔 몸체(12)의 하단부 수납구(14) 내에 끼워서 보관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간 치솔.The brush stand 11 is configured to be detached from the toothbrush body 12 when used in the upper end fasteners 13 of the toothbrush body 12 when used, and the lower storage port 14 of the toothbrush body 12 during storage. Interdental toothbrush, characterized in that it can be stored insid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치솔 몸체(12)의 상단부에 형성되는 체결구(13)는 수평방향으로 관통되는 슬라이드 홈(15)을 갖는 원통형 몸체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간 치솔.The interdental toothbrush of claim 1, wherein the fastener (13) formed at the upper end of the toothbrush body (12) is a cylindrical body having a slide groove (15) penetrating in the horizontal direction.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구(13)의 원통형 몸체에는 윗쪽에 길이방향으로 절개부(16)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간 치솔.3. The interdental toothbrush according to claim 2, wherein the cylindrical body of the fastener (13) is formed with an incision (16)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reon.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솔대(11)는 치솔 몸체(12)의 하단 수납구(14)에 삽입시 수납구(14)의 내측에 꼭맞게 끼워지는 삽입부(17)와 수납구(14)의 입구에 걸려지는 걸림부(18)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간 치솔.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handle 11 is inserted into the lower end of the receiving port 14 of the toothbrush body 12, the insertion portion 17 and the inlet of the receiving port 14 is fitted to the inside of the receiving port (14). Interdental toothbrush,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locking portion (18) to be caught. 제 1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솔대(11)는 치솔 몸체(12)의 상단 체결구(14)에 장착시 뒷쪽에서 앞쪽으로 끼워지면서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간 치솔.The interdental toothbrush according to claim 1 or 4, wherein the handle bar (11) is mounted while being fitted from the rear to the front when the upper end (14) of the toothbrush body (12) is mounted.
KR2020010011242U 2001-04-19 2001-04-19 Interdental brush KR200239414Y1 (en)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11242U KR200239414Y1 (en) 2001-04-19 2001-04-19 Interdental brush
JP2001005287U JP3084031U (en) 2001-04-19 2001-08-09 Interdental brush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11242U KR200239414Y1 (en) 2001-04-19 2001-04-19 Interdental brush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39414Y1 true KR200239414Y1 (en) 2001-10-11

Family

ID=432355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11242U KR200239414Y1 (en) 2001-04-19 2001-04-19 Interdental brush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3084031U (en)
KR (1) KR200239414Y1 (e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3084031U (en) 2002-02-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569382C (en) Disposable combination toothbrush and dental floss holder
USD443142S1 (en) Toothbrush head
JPS591544Y2 (en) brush
US20100186182A1 (en) Oral hygiene device &amp; methods of use thereof
US20040121284A1 (en) Head brush for a dental fissure cleaning device
US20130276814A1 (en) Toothpick with floss
US20040094180A1 (en) Teeth cleaning brush stick
RU188261U1 (en) DENTAL CLEANING TOOL WITH KOZYRKI ON THE HANDLE
EP2299869B1 (en) Oral hygiene device with floss storage capability
KR200239414Y1 (en) Interdental brush
US20160235507A1 (en) Interdental cleaning apparatus using both hands
KR102421574B1 (en) Versatile Oral Hygiene Device
USD445571S1 (en) Toothbrush head
KR200417701Y1 (en) Interdental toothbrush
USD455011S1 (en) Toothbrush handle
USD487350S1 (en) Bristle arrangement for the head of a tooth brush
KR200271087Y1 (en) Toothbrush with storage of interdental small toothbrush
KR200437910Y1 (en) The toothbrush where the between toothbrush of the tooth is formed
USD454698S1 (en) Toothbrush body
KR100986796B1 (en) Teeth Cleaner
KR20090010987U (en) Dental floss holder
KR101993996B1 (en) Toothbrush With Lip Cleaning Brush
KR200156506Y1 (en) Toothbrush
KR200205473Y1 (en) Teeth brush equipped a small brush
JP4274486B2 (en) Portable toothbrush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709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