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10610U - 먹물 내장형 서예붓 - Google Patents

먹물 내장형 서예붓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10610U
KR20090010610U KR2020080004930U KR20080004930U KR20090010610U KR 20090010610 U KR20090010610 U KR 20090010610U KR 2020080004930 U KR2020080004930 U KR 2020080004930U KR 20080004930 U KR20080004930 U KR 20080004930U KR 20090010610 U KR20090010610 U KR 20090010610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ush
ink
calligraphy
embedded
upper ca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8000493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48951Y1 (ko
Inventor
안영세
Original Assignee
안영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영세 filed Critical 안영세
Priority to KR202008000493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48951Y1/ko
Publication of KR2009001061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10610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4895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48951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8/00Pens with writing-points other than nibs or balls
    • B43K8/02Pens with writing-points other than nibs or balls with writing-points comprising fibres, felt, or similar porous or capillary material
    • B43K8/04Arrangements for feeding ink to writing-points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11/00Brushes with reservoir or other means for applying substances, e.g. paints, pastes, water
    • A46B11/001Brushes with reservoir or other means for applying substances, e.g. paints, pastes, water with integral reservoirs
    • A46B11/002Brushes with reservoir or other means for applying substances, e.g. paints, pastes, water with integral reservoirs pressurised at moment of use manually or by powered means
    • A46B11/0024Brushes with reservoir or other means for applying substances, e.g. paints, pastes, water with integral reservoirs pressurised at moment of use manually or by powered means with a permanently displaceable pressurising member that remain in position unless actuated, e.g. lead-screw or ratchet mechanisms, toothpaste tube twisting or rolling devices
    • A46B11/0027Lead-screw mechanisms
    • A46B11/0031Means for influencing rotation of the knob, e.g. ratchet, click mechanisms, one way clutches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11/00Brushes with reservoir or other means for applying substances, e.g. paints, pastes, water
    • A46B11/0072Details
    • A46B11/0079Arrangements for preventing undesired leakage or dispensing
    • A46B11/0086Means for closing or sealing, e.g. toothpaste outlet when brush not in use thereby preventing leakage or drying out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15/00Other brushes; Brushes with additional arrangements
    • A46B15/0002Arrangements for enhancing monitoring or controlling the brushing process
    • A46B15/0016Arrangements for enhancing monitoring or controlling the brushing process with enhancing means
    • A46B15/0026Arrangements for enhancing monitoring or controlling the brushing process with enhancing means with a magnetic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2200/00Brushes characterized by their functions, uses or applications
    • A46B2200/20Brushes for applying products to surfaces in general

Landscapes

  • Pens And Brush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먹물 내장형 서예붓에 관한 것으로서, 붓글씨를 쓰는 과정에서 붓촉이 장착된 붓체에 먹물이 내장되도록 함으로써, 사용시 먹물을 제작하는 데 필요한 서예도구(먹, 벼루, 물 등)가 불필요할 뿐만 아니라, 직접 붓에 먹물을 묻히지 않고도 장시간 사용할 수 있는 서예붓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상기 서예붓은 먹물주입대가 내장되는 붓촉과, 상, 하부에 수나사부가 형성되는 붓체와, 상기 붓체의 수나사부와 나사결합되는 상부캡과, 상기 붓체의 수나사부 및 상부캡의 수나사부와 각각 나사결합되는 나사조절부와, 상기 나사조절부의 회동에 의하여 상, 하 이동되는 자석볼로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본 고안인 먹물 내장형 서예붓은, 붓글씨를 쓰기 위한 도구를 구비하지 않고도 간편하게 붓글씨를 쓸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휴대하기에 간편하며 옷이나 주변을 오염시키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가 있어 학생들의 연습용이나 일반인 누구나가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붓체, 붓촉, 상부캡, 자석볼, 나사조절부

Description

먹물 내장형 서예붓 {A writing brush with a built-in meokmul}
본 고안은 먹물 내장형 서예붓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붓글씨를 쓰는 과정에서 붓촉이 장착된 붓체에 먹물이 내장되도록 함으로써, 직접 붓에 먹물을 묻히지 않아도 사용가능한 서예붓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붓글씨를 쓰기 위해서는 붓, 벼루, 먹, 물 등의 서예도구를 준비하여 벼루에 먹을 갈아서 붓에 묻혀서 쓰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따라서, 먹을 생성하는 작업에 장시간의 시간과 노력이 필요할 뿐만 아니라, 이를 제작할 때 주의하지 않으면 옷이나 주위에 먹물을 묻히게 되는 경우가 빈번히 발생하고, 임의의 장소에 이동시에는 서예도구의 부피가 커서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었다.
최근에는 먹물이 들어있는 먹물통을 별도로 구입하여 벼루에 주입하여 쓸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으나, 이것 또한 사용시에 수분이 증발되어 먹물의 농도가 변화하는 문제점이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후의 정리(먹물의 제거와 벼루 등의 세척)에 많은 불편함이 수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를 개선하기 위하여,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붓체(1)와 붓솔협지관(7) 및 덮개(3)로 구성된 붓에 있어서, 상기 붓체의 상, 하단부에는 각각 먹물주입구 및 유출구(4, 5)를 형성하되, 상기 먹물유출구(5)에는 연질의 튜브(8)와 유출되는 먹물량을 조절하는 조절볼트(6)를 장착하고 그 하단부에는 먹물유출봉(6)이 다수 형성되도록 하는 고안이 개시되어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고안은 덮개(3)에 의해 붓체(1)가 밀폐되어있는 관계로 공기의 유입량을 조절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따라서, 필요한 양의 먹물이 제때에 유출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 후에도 세워서 보관하지 않는 경우에는 붓체(1)의 내부에 저장된 먹물이 외부로 누설되어 사용자의 신체와 의복 등을 오염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붓글씨를 쓸 때 필요한 공기량을 다단계로 조절하여 글씨의 굵기와 먹물의 색도를 조절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어린이나 일반인들이 부주의로 붓을 방치하는 경우에도 일단 주입된 먹물은 누설되지 않도록 하는 서예붓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본 고안인 공기조절이 가능한 개량 붓은, 먹물주입대가 내장되는 붓촉과, 상, 하부에 수나사부가 형성되는 붓체와, 상기 붓체의 수나사부와 나사결합되는 상부캡과, 상기 붓체와 상부캡의 수나사부와 각각 나사결합되는 나사조절부와, 상기 나사조절부의 회동에 의하여 상, 하 이동되는 자석볼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본 고안인 먹물 내장형 서예붓은, 붓글씨를 쓰기 위한 도구(벼루, 먹 등)를 구비하지 않고도 간편하게 붓글씨를 쓸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휴대하기에 간편하고 옷이나 주변을 오염시키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가 있어 학생은 물론 일반인 누구나가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고안인 먹물 내장형 서예붓은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서, 종래 기술사상과 동일한 기술구성에 대해서는 동일명칭을 그대로 부여하여 설명한다.
도 2는 본 고안인 먹물 내장형 서예붓의 단면사시도 이고, 도 3은 본 고안인 먹물 내장형 서예붓의 분해도 이며, 도 4는 본 고안인 먹물 내장형 서예붓의 단면도 및 중요부분에 대한 상세도와 단계별 유입량 조절상태도이다.
도 2 내지 도 3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상기 서예붓은 먹물주입대(60) 가 내장되는 붓촉(10)과, 상, 하부에 수나사부(24, 25)가 형성되는 붓체(20)와, 상기 붓체(20)의 수나사부(25)와 나사결합되는 상부캡(30)과, 상기 붓체(20)의 수나사부(24) 및 상부캡(30)의 수나사부(33)와 각각 나사결합되는 나사조절부(40, 40')와, 상기 나사조절부(40, 40')의 회동에 의하여 상, 하 이동되는 자석볼(50, 50')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붓체(20)와 상부캡(30)은 비자성체인 비철금속으로 하되, 상기 나사조절부(40, 40')는 자석볼(50, 50')의 자성에 반응하는 자성체(강철재 등)의 재질이 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자석볼(50, 50')의 내부는 중공형상의 강철재질로 형성하고, 그 외부표면은 도금(스텐리스 스틸, 크롬, 닉켈) 또는 코팅(pvc)처리 함으로써, 녹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함과 아울러, 자석볼(50, 50')의 중량이 감소되도록 하여 나사조절부(40, 40')의 회전에 따라 상기 자석볼이 신속하게 상, 하 작동되도록 한다.
한편,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먹물 내장형 서예붓의 먹물주입 방법은, 먼저, 붓촉(10)이 장착된 비철금속재질(PVC 계통)의 원통형 붓체(20)의 내부에 도금 또는 코팅(pvc)된 자석볼(50)을 투입하여 상기 자석볼(50)이 먹물대(21)를 폐쇄하여 먹물유출구(22)로 먹물이 유입되지 않도록 한 후, 적당한 양의 먹물을 먹물주입구(23)에 주입한다.
그 후, 상기 붓체(20)의 수나사부(25)와 상부캡(30)의 실링(고무패킹 : 35)처리된 암나사부(34)를 회전시켜 체결되도록 하되, 상기 상부캡(30)의 내측에 내장되는 공기유입구(31)는 상기 상부캡(30)과 일체로 형성되도록 하여 먹물이 붓체의 외부로 누설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와 같이 먹물이 붓체(20)에 내장된 상태에서 붓글씨를 쓰는 경우에는 도 2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캡(30)의 붓걸이(70)는 삽입된 상태에서 공기주입구(71)로부터 공기가 인입되는 구조로 되어있다.
한편, 상기 공기주입구(71)를 통해 주입된 공기량의 조절방법은, 도 3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상기 상부캡(30)의 수나사부(33)와 나사결합되고 자성체로 형성되는 나사조절부(40')를 단계별(0 ~ 5)로 회전시킨다.
이때, 공기유입구(31)의 하단에 장착되는 공기유출구(32)를 폐쇄하고 있던 자석볼(50')이 나사조절부(40')와 함께 상부로 이동되면서 공기유출구(32)의 단면적을 단계별로 변화(확대)시켜 붓체(20)의 내부로 필요한 공기를 적정량 유입시킨다.
따라서, 상기 붓체(20) 내부로 유입된 공기는 붓체내의 공기압의 상태를 양압이 유지하도록 함으로써, 먹물이 하부로 원활하게 유동 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먹물량의 조절도 공기량의 조절과 같이 자성체인 나사조절부(40)를 회전시켜 조절한다.
그러므로, 먹물이 단계별로 유입되는 구성은 도 4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먹물대(21)와 밀착되어 먹물의 유출을 폐쇄하고 있던 상기 자석볼(50)을 상부로 이동시키면, 상기 먹물대(21)의 유로 단면적이 단계별(0 ~5)로 변화(확대)되어 먹물주입대(60)에 고정되는 먹물유출구(22)로 붓체(20)의 내부에 필요한 먹물이 적정량 공급된다.
이는, 상기 붓체의 외측면의 수나사부(24)와 나사 결합되고, 자성체의 성질을 갖는 나사조절부(40)의 단계별(0 ~ 5) 회전으로 인하여 먹물대(21)를 폐쇄하고 있던 자성을 갖는 자석볼(50)이 나사조절부(40)와 함께 상,하부로 이동하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적정량으로 조절된 먹물이 먹물주입대(60)의 내부로 흘러내려 붓촉(10)을 적시게 되므로 원하는 글씨의 크기와 굵기를 임의로 선택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아교와 향료의 배합에 의해 만들어지는 먹물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상기 먹물은 일정수준의 점도를 갖고 있어서, 붓글씨를 장시간 쓰지 않는 경우에도, 잘 건조되거나 또는 외부(붓체)로 쉽게 유출되지 않아 필요할 때에 편리하게 서예작업을 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한편, 도 4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상기 조절나사부(40')를 회전에 의해 0 단계로 조절하게 되면 자석볼(50')과 함께 하향하므로 공기유출구(32)를 폐쇄하게 되고, 공기가 붓체(20)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막음과 동시에 붓체 내부는 진공상태를 유지하게 되어 먹물이 먹물주입구(60)로 유출되는 것이 방지된다.
본 고안인 공기조절 및 먹물량의 조절이 가능한 개량 붓은 도시하고 설명한 것 이외에 다양하게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범위를 일탈하지 않은 한, 변형 예들은 모두 본 고안의 권리범위에 포함되어 해석되어야 한다.
예를 들면 공기의 주입량 조절과 먹물의 유출량 조절이 가능한 나사조절부(40,40')는 단계별 조절의 범위를 변경하여 적용할 수 있고, 먹물이 내장된 붓체(20)의 재질 또한 먹물에 의해 변질이 되지않는 범위 내에서 변경이 가능하다.
도 1은 종래에 먹물이 수장된 붓에 관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인 먹물 내장형 서예붓의 단면사시도 이며,
도 3은 본 고안인 먹물 내장형 서예붓의 분해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인 먹물 내장형 서예붓의 단면도 및 중요부분에 대한 상세도와 단계별 유입량 조절상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붓촉 20 : 붓체 21 : 먹물대
30 : 상부캡 31 : 공기유입구 40, 40' : 나사조절부
50, 50' : 자석볼 60: 먹물주입대

Claims (3)

  1. 먹물 내장형 서예붓에 있어서,
    상기 서예붓은 먹물주입대(60)가 내장되는 붓촉(10)과, 상, 하부에 수나사부(24, 25)가 형성되는 붓체(20)와, 상기 붓체(20)의 수나사부(25)와 나사결합되는 상부캡(30)과, 상기 붓체(20)의 수나사부(24) 및 상부캡(30)의 수나사부(33)와 각각 나사결합되는 나사조절부(40, 40')와, 상기 나사조절부(40, 40')의 회동에 의하여 상, 하 이동되는 자석볼(50, 50')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먹물 내장형 서예붓.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캡(30)은 공기주입구(71)가 형성되는 붓걸이(70)와, 붓체(20)의 수나사부(25)와 나사결합되는 암나사부(34)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먹물 내장형 서예붓.
  3. 제 1항 있어서,
    상기 자석볼(50, 50')의 내부는 중공형상의 강철재질로 형성되되, 그 외표면은 도금(스텐리스 스틸, 크롬, 닉켈) 또는 코팅(pvc)처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먹물 내장형 서예붓.
KR2020080004930U 2008-04-15 2008-04-15 먹물 내장형 서예붓 KR20044895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04930U KR200448951Y1 (ko) 2008-04-15 2008-04-15 먹물 내장형 서예붓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04930U KR200448951Y1 (ko) 2008-04-15 2008-04-15 먹물 내장형 서예붓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10610U true KR20090010610U (ko) 2009-10-20
KR200448951Y1 KR200448951Y1 (ko) 2010-06-09

Family

ID=415530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80004930U KR200448951Y1 (ko) 2008-04-15 2008-04-15 먹물 내장형 서예붓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48951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5075Y1 (ko) * 2011-11-29 2013-02-01 이은성 기능성 붓
CN104290493A (zh) * 2014-09-15 2015-01-21 南浔善琏松柏湖笔厂 一种笔帽与笔杆一体式的毛笔
CN111301028A (zh) * 2020-04-07 2020-06-19 喻建宏 一种自动毛笔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75220B1 (ko) 2012-08-14 2014-03-20 나현아 탈부착 가능한 필기구 보관 걸이 및 이를 보관하기 위한 필기구 거치대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133382U (ko) 1985-02-05 1986-08-20
KR100849129B1 (ko) 2007-07-09 2008-07-30 변영광 토출형 액상 화장품용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5075Y1 (ko) * 2011-11-29 2013-02-01 이은성 기능성 붓
CN104290493A (zh) * 2014-09-15 2015-01-21 南浔善琏松柏湖笔厂 一种笔帽与笔杆一体式的毛笔
CN111301028A (zh) * 2020-04-07 2020-06-19 喻建宏 一种自动毛笔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48951Y1 (ko) 2010-06-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48951Y1 (ko) 먹물 내장형 서예붓
TWI275366B (en) Water refill pouring structure for water pouch
CN106824943A (zh) 烧瓶清洗毛刷、清洗装置及清洗方法
CN205498409U (zh) 一种阀门式迷你板书笔
CN201913925U (zh) 一种自动供墨毛笔
WO2017101797A1 (zh) 一种墨水笔
CN106915190B (zh) 一种毛笔专用储墨盒
JP6018412B2 (ja) 化粧水噴霧器及び化粧水噴霧装置
CN208865024U (zh) 祛斑美容笔
JP2010051774A (ja) 美顔器
CN206716243U (zh) 一种带开关可调节温度的淋浴头
JP2013165976A (ja) 美顔器
CN208714743U (zh) 一种人力资源管理用标记笔
CN103448417A (zh) 可以调节墨水流量的储水毛笔
CN206427483U (zh) 一种喷雾式泵芯
ATE305901T1 (de) Füllvorrichtung für weinfässer
CN202764494U (zh) 可自动供墨的毛笔
CN206157844U (zh) 一种智能座便器
CN101863178A (zh) 自动供墨毛笔
CN206212881U (zh) 一种自动浇花装置
CN206641984U (zh) 一种咽喉刺激器
CN204955815U (zh) 一种新型钢笔
CN208676502U (zh) 一种液体化妆笔
CN204432065U (zh) 一种多用蓄水水彩画笔
CN206856354U (zh) 一种英语书写练习用的水写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