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10380U - 계수기를 구비한 화장품 용기 - Google Patents

계수기를 구비한 화장품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10380U
KR20090010380U KR2020080004646U KR20080004646U KR20090010380U KR 20090010380 U KR20090010380 U KR 20090010380U KR 2020080004646 U KR2020080004646 U KR 2020080004646U KR 20080004646 U KR20080004646 U KR 20080004646U KR 20090010380 U KR20090010380 U KR 20090010380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unter
push button
contents
container
cosmetic contai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8000464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49168Y1 (ko
Inventor
신은숙
Original Assignee
(주)아모레퍼시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아모레퍼시픽 filed Critical (주)아모레퍼시픽
Priority to KR202008000464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49168Y1/ko
Publication of KR2009001038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10380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4916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49168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4/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liquid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perfum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3/00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 B65D83/0005Containers or packages provided with a piston or with a movable bottom or partition having approximately the same section as the contain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206/00Special receptacle or package
    • Y10S206/823Cosmetic, toilet, powder puf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tainers And Packaging Bodies Having A Special Means To Remove Cont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계수기를 구비한 화장품 용기에 관한 것으로, 누름 버튼(120)을 눌러 용기 본체(110)의 수납부(112)에 위치한 펌프(130)를 펌핑시키면 펌프 실린더(132) 내부에 압력이 발생함과 동시에 피스톤 로드(134)의 내용물 이송유로가 개방되어져 펌프 실린더(132) 내부로 충전되어 있던 내용물이 누름 버튼(120)의 배출관(136)을 거쳐 토출공(122)을 통해 토출되는 화장품 용기를 포함하고, 상기 누름 버튼(120)의 하강에 따라 전기 시그널을 발생시키는 터치바(142)가 누름 버튼(120)의 직하부에 설치되고, 상기 터치바(142)는 화장품 용기 전면으로 노출된 계수기(140)와 연결되어 상기 터치바(142)의 작동에 따라 계수기의 숫자가 누적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수기가 구비된 화장품 용기가 제공된다. 따라서, 용기 본체(110)에 담긴 내용물의 사용 횟수를 알 수 있고, 이로부터 화장품 용기(100)에 남은 내용물의 잔량을 파악할 수 있다.
펌프, 계수기, 적산, 사용 횟수

Description

계수기를 구비한 화장품 용기{COSMETIC CASE HAVING COUNTER}
본 고안은 계수기를 구비한 화장품 용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펌핑형 화장품 용기에 계수기를 설치함으로써, 용기에 담겨진 내용물을 토출시키기 위해 누름 버튼을 가압할 때마다 계수기가 작동하여 누적 사용량을 확인할 수 있고, 사용자 이외에 다른 누가 사용했는지 알 수 있는 계수기를 구비한 화장품 용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용기 내에 수용된 내용물을 적당량 씩 토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수단 중의 하나로 화장품 용기에는 에어리스 배출펌프(Airless outlet Pump)를 장착하여 사용된다. 상기 에어리스 배출펌프는 용기 내에 수용된 내용물을 일정량씩 토출시켜 사용할 수 있도록 설계되고, 이러한 에어리스 배출펌프가 설치된 용기에는 기능성 화장품과 같은 고가의 화장품이 수용된다.
상기 에어리스 배출펌프가 설치된 용기는 용기에 담긴 내용물을 토출시켜 사용할 때 마다 용기의 내부에 장착된 피스톤이 상승하면서 용기에 수용된 내용물 수위가 에어리스 배출펌프의 토출구와 근접되는 구조를 갖는다. 상기와 같이 용기 내의 내용물을 위로 밀어 올려주는 피스톤의 특성상 피스톤이 활동하는 용기의 내 면은 매끄럽고 피스톤의 외경에 대하여 균일한 내경을 갖는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에어리스 배출펌프를 갖는 화장품 용기는 용기 표면에 화장품의 품명이나 제조사와 같은 제품 정보 내지 다양한 색상 및 디자인의 표현을 통해 미려한 심미감을 얻고자 그 용기 전체를 불투명한 소재로 제작되므로 용기에 남은 잔량을 확인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특히, 화학성분이 함유된 내용물이 합성수지로 이루어진 용기에 담기거나 직사광선에 직접 노출되는 경우 내용물이 변질될 우려가 있으므로 이를 방지하고자, 화학성분이 함유된 내용물은 유리와 같은 성분 반응을 일으키지 않는 재질의 내부 용기에 담기고, 상기 내부 용기는 합성수지와 같은 외부 용기에 감싸여 보호되는 이중 용기로 제작됨으로써 여전히 내용물의 잔량 확인이 불가능하고 고비용의 생산원가가 소요된다.
상기와 같이 용기에 담긴 내용물의 잔량을 확인하지 못하는 경우에는 내용물을 모두 소진하여도 새로운 화장품을 미처 구매하지 못해 사용할 수 없게 되고, 다른 사람이 사용하여도 이를 알 수가 없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용기에 담긴 내용물의 사용량을 확인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용기에 남은 내용물의 잔량을 파악할 수 있는 계수기를 구비한 화장품 용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사용자 이외에 다른 누가 사용했는지의 여부를 알 수 있는 계수기를 구비한 화장품 용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으로는, 누름 버튼(120)을 눌러 용기 본체(110)의 수납부(112)에 위치한 펌프(130)를 펌핑시키면 펌프 실린더(132) 내부에 압력이 발생함과 동시에 피스톤 로드(134)의 내용물 이송유로가 개방되어져 펌프 실린더(132) 내부로 충전되어 있던 내용물이 누름 버튼(120)의 배출관(136)을 거쳐 토출공(122)을 통해 토출되는 화장품 용기를 포함하고, 상기 누름 버튼(120)의 하강에 따라 전기 시그널을 발생시키는 터치바(142)가 누름 버튼(120)의 직하부에 설치되고, 상기 터치바(142)는 화장품 용기 전면으로 노출된 계수기(140)와 연결되어 상기 터치바(142)의 작동에 따라 계수기의 숫자가 누적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수기가 구비된 화장품 용기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누름 버튼(120)이 가압될 때 누름 버튼(120)의 수직이동을 안내하도록 용기 본체(110)에 설치되는 상부 커버(150)에 관통홀(152)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홀(152)을 통해 계수기(140) 배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된 터치바(142)가 누 름 버튼(120)의 직하부로 연장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에 의한 계수기를 구비한 화장품 용기는, 펌핑형 화장품 용기에 계수기가 설치되어 용기에 담겨진 내용물을 토출시키기 위해 누름버튼을 가압할 때마다 계수기가 작동하여 누적 사용량을 확인할 수 있고, 이로부터 용기에 남은 내용물의 잔량을 파악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마지막으로 사용한 화장품 용기의 계수기에 표시된 숫자를 기억하면 사용자 이외에 다른 누군가가 화장품을 사용했는지 여부를 파악할 수 있어 화장품을 보호할 수 있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따라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은 본 고안에 따른 계수기를 구비한 화장품 용기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 는 본 고안에 따른 화장품 용기에서 계수기를 분리하여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고안에 따른 계수기를 구비한 화장품 용기(100)는, 내용물이 수용되는 용기 본체(110)와, 상기 용기 본체(110)에 수용된 내용물을 배출시키는 펌프(130)와, 상기 펌프(130)를 작동시키는 누름 버튼(120)과, 상기 누름 버튼(120)의 작동에 따라 누름 버튼(120)의 가압 횟수 즉, 용기 본체(110)에 담긴 내용물의 사용 횟수를 표시하는 계수기(140)로 구성된다.
상기 용기 본체(110)는, 그 내부에 액상 또는 크림 타입의 화장료와 같은 내 용물을 수용할 수 있도록 소정의 용적을 갖는 수납부(112)가 형성되고, 상기 수납부(112)의 상부 즉, 본체 용기(110)에는 개구부가 형성되어 펌프(130)가 장착된다.
상기 펌프(130)는, 개폐볼(139)에 의해 내용물 유입구(133)가 선택적으로 개폐되면서 내용물의 유입과 배출이 연속적으로 반복되는 펌프 실린더(132)와 상기 펌프 실린더(132) 내부에 압력을 가해 내용물을 누름 버튼(120)의 배출관(136)으로 이동시켜 토출공(122)으로 내용물이 배출되도록 함과 동시에 펌프 실린더(132) 내부를 진공상태로 만들어 수납부(112)에 수납된 내용물이 충전되도록 펌핑하는 피스톤 로드(134)로 구성된다.
상기 펌프 실린더(132)의 하단에 형성된 내용물 유입구(133)와 상기 펌프 실린더(132)의 상부에서 인입 설치된 피스톤 로드(134)의 저면 사이에는 상기 개폐볼(139)과 피스톤 로드(134)를 탄성지지하기 위한 스프링(137)이 개재된다.
또한, 상기 펌프(130)와 연결되는 누름 버튼(120)은, 상기 피스톤 로드(134)와 연결되는 배출관(136)을 형성하고, 상기 배출관(136)과 연통되어 내용물이 토출되는 토출공(122)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누름 버튼(120)이 외력에 의해 가압될 때 상기 누름 버튼(120)이 직하강할 수 있도록 안내하는 상부 커버(150)가 본체 용기(110)의 상부에 설치된다.
특히, 상기 상부 커버(110)에는 누름 버튼(120)이 가압될 때의 횟수를 표시하기 위한 계수기(140)가 설치되는 바, 상기 계수기(140)는 물품이나 사람의 수 또는 어떤 동작이 반복되는 횟수를 조사할 때 사용하는 계기로써, 이러한 계수기(140)는 그 구조에 따라 전자식과 기계식으로 구분될 수 있다.
여기서, 본 고안에 설명되는 계수기(140)는, 누름 버튼(120)의 하강에 따라 전기 시그널을 발생시켜 그 누적된 전기 시그널을 적산하여 디스플레이하는 전자식 계수기(140)가 설치된다. 상기와 같은 전자식 계수기는 그 두께가 슬림하고 구조가 간단하기 때문에 화장품 용기의 외측면에 설치하기 용이하기 때문이다.
상기와 같은 계수기(140)는 누름 버튼(120)의 작동에 의해 전기 시그널을 발생시키는 압전 센서(미도시)와, 상기 압전 센서에서 발생된 전기 시그널을 적산하는 제어부(미도시)와 상기 제어부에 의해 적산된 전기 시그널을 숫자로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146)로 구성되며, 상기 압전 센서와 제어부 및 디스플레이부(146)는 액상 및 크림 타입의 화장료 내지 물 등이 그 내부로 침입되지 않도록 몰딩된 구조를 갖는 하우징(144)에 내설된다.
여기서, 상기 압전 센서는 하우징(144) 배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되어 누름 버튼(120)의 직하방으로 연장되는 터치바(142)를 포함를 하며, 경우에 따라서는 상기 압전 센서를 대신하여 리미트 스위치를 포함하고, 상기 리미트 스위치에 터치바(142)가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은 계수기(140)는, 용기 본체(110)의 상부에 설치된 상부 커버(150)에 마련되는 바, 상기 상부 커버(150)의 외측면에는 계수기(140)를 매립시켜 설치할 수 있도록 다단으로 형성된 관통홀(152)이 형성되고, 상기 계수기(140)의 하우징(144) 배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된 터치바(142)가 상기 관통홀(152)을 통해 누름 버튼(120)의 직하방로 연장되도록 설치되어, 누름 버튼(120)의 하단에 의해 터치바(142)가 작동할 수 있게 된다.
상기 터치바(142)는 계수기(140) 내부에 설치된 압전 센서와 연동되도록 설치되는데, 상기 압전 센서는 누름 버튼(120)이 가압되어 수직으로 하강할 때 누름 버튼(120)의 하단이 터치바(142)를 하방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전기 시그널을 계수기(140)의 제어부로 송출하게 된다. 이렇게 송출된 전기 시그널은, 제어부에서 적산된 시그널은 상부 커버(150)의 전면을 향하도록 노출된 계수기(140)의 디스플레이부(146)를 통해 표시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고안의 계수기가 구비된 화장품 용기의 작동을 도 3과 도 4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도 3 은 본 고안에 따른 계수기를 구비한 화장품 용기를 나타낸 측단면도이고, 도 4 는 본 고안에 따른 계수기를 구비한 화장품 용기의 작동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누름 버튼(120)을 눌러 수납부(112)에 위치한 펌프(130)를 펌핑시키면 펌프 실린더(132) 내부에 압력이 발생함과 동시에 피스톤 로드(134)의 내용물 이송유로(132a)가 개방되어 펌프 실린더(132) 내부에 충진된 내용물이 누름 버튼(120)의 배출관(136)을 거쳐 상기 배출관(136)과 연통된 토출공(122)을 통해 배출된다. 이때, 내용물이 토출될 때 펌프 실린더(132)의 개폐볼(139)은 내용물 유입구(133)를 폐쇄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누름 버튼(120)을 눌러 내용물을 배출하고난 후 누름 버튼(120)에 가해졌던 외력을 제거하게 되면 스프링(137)의 반발력을 받고 있던 피스톤 로드(134)가 원래의 위치로 상승하게 된다.
이때, 상기 펌프 실린더(132) 내부에 진공압이 발생하면서 내용물 유입 구(133)를 차단하고 있던 개폐볼(139)이 이격되면서 내용물이 유입될 수 있는 유로를 확보하여 수납부(112)의 내용물이 펌프 실린더(132) 내부로 충전되어 다음번 누름 버튼의 가압에 따른 내용물 배출을 준비하게 된다.
특히, 상기 누름 버튼(120)이 외력에 의해 가압될 때 마다 상기 누름 버튼(120)의 하단이 상부 커버(150)에 매립된 계수기(140)의 터치바(142)와 접촉하면서 상기 터치바(142)를 하방으로 이동시켜 압전 센서로부터 전기 시그널을 제어부로 송출하게 된다.
그리고, 제어부에서 적산된 전기 시그널은 상부 커버(150)의 전면을 향해 노출된 계수기(140)의 디스플레이부(146)를 통해 표시됨으로써, 용기 본체(110)에 담긴 내용물의 사용 횟수를 알 수 있고, 이로부터 화장품 용기(100)에 남은 내용물의 잔량을 파악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계수기(140)에 표시된 사용 횟수를 사용자가 기억하였다가 일정기간이 지난 후 계수기(140)에 표시된 횟수를 비교하면 사용자 이외에 다른 누가 화장품을 사용했는지 여부를 알 수 있다.
한편, 본 고안은 상술한 실시예로서만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수정 및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고, 그러한 수정 및 변형이 가해진 것도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한다.
예를 들어, 상기 설명에서는 누름 버튼의 가압에 따라 그 누적 횟수를 표시하는 계수기를 전자식 계수기로 설명하고 있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계수기가 설치되는 상부 커버에 0부터 9까지의 숫자가 기입된 다수의 링이 십진법에 의해 연동되도 록 내설된 기계식 계수기가 설치될 수도 있을 것이다.
도 1 은 본 고안에 따른 계수기를 구비한 화장품 용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 는 본 고안에 따른 화장품 용기에서 계수기를 분리하여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3 은 본 고안에 따른 계수기를 구비한 화장품 용기를 나타낸 측단면도이다.
도 4 는 본 고안에 따른 계수기를 구비한 화장품 용기의 작동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화장품 용기 110 : 용기 본체
112 : 수납부 120 : 누름 버튼
122 : 토출공 130 : 펌프
132 : 펌프 실린더 133 : 내용물 유입구
134 : 피스톤 로드 136 : 배출관
137 : 스프링 139 : 개폐볼
140 : 계수기 142 : 터치바
144 : 하우징 146 : 디스플레이부
150 : 상부 커버 152 : 관통홀

Claims (2)

  1. 누름 버튼(120)을 눌러 용기 본체(110)의 수납부(112)에 위치한 펌프(130)를 펌핑시키면 펌프 실린더(132) 내부에 압력이 발생함과 동시에 피스톤 로드(134)의 내용물 이송유로가 개방되어져 펌프 실린더(132) 내부로 충전되어 있던 내용물이 누름 버튼(120)의 배출관(136)을 거쳐 토출공(122)을 통해 토출되는 화장품 용기에 있어서,
    상기 누름 버튼(120)의 하강에 따라 전기 시그널을 발생시키는 터치바(142)가 누름 버튼(120)의 직하부에 설치되고, 상기 터치바(142)는 화장품 용기 외측면으로 노출된 계수기(140)와 연결되어 상기 터치바(142)의 작동에 따라 계수기의 숫자가 누적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수기가 구비된 화장품 용기.
  2. 청구항 1 에 있어서,
    상기 누름 버튼(120)이 가압될 때 누름 버튼(120)의 수직이동을 안내하도록 용기 본체(110)에 설치되는 상부 커버(150)에 관통홀(152)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홀(152)을 통해 계수기(140) 배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된 터치바(142)가 누름 버튼(120)의 직하부로 연장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수기가 구비된 화장품 용기.
KR2020080004646U 2008-04-08 2008-04-08 계수기를 구비한 화장품 용기 KR20044916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04646U KR200449168Y1 (ko) 2008-04-08 2008-04-08 계수기를 구비한 화장품 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04646U KR200449168Y1 (ko) 2008-04-08 2008-04-08 계수기를 구비한 화장품 용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10380U true KR20090010380U (ko) 2009-10-13
KR200449168Y1 KR200449168Y1 (ko) 2010-06-23

Family

ID=415374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80004646U KR200449168Y1 (ko) 2008-04-08 2008-04-08 계수기를 구비한 화장품 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49168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071349A3 (ko) * 2009-12-11 2011-11-10 주식회사 아모레퍼시픽 화장품 용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59972B1 (ko) * 2019-07-19 2021-06-01 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계수기를 구비하는 자가약물주입 조절장치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397729B2 (ja) 2004-03-26 2010-01-13 株式会社資生堂 カウンター機構付きエアゾール
JP4493526B2 (ja) * 2005-03-16 2010-06-30 株式会社資生堂 エアゾール容器
KR200413175Y1 (ko) 2006-01-16 2006-04-07 (주)연우 잔류량 표시기능을 갖는 디스펜서
KR200415350Y1 (ko) 2006-02-20 2006-05-02 (주)연우 디스펜서용기의 잔류량 표시수단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071349A3 (ko) * 2009-12-11 2011-11-10 주식회사 아모레퍼시픽 화장품 용기
KR200459835Y1 (ko) * 2009-12-11 2012-04-20 (주)아모레퍼시픽 화장품 용기
US8820576B2 (en) 2009-12-11 2014-09-02 Amorepacific Corporation Cosmetics contain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49168Y1 (ko) 2010-06-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723965B2 (en) Cartridge for a water-conducting domestic appliance comprising a detergent dosing system
US9610001B2 (en) Water-conducting domestic appliance comprising a detergent dosing system and cartridge therefor
US20100071729A1 (en) Water-conducting domestic appliance comprising a detergent dosing system
US6595389B2 (en) Device for detecting the operation of a dispenser and the dispenser
US20130133705A1 (en) Water-conducting domestic appliance comprising a detergent dosing system and cartridge therefor
EP2772180A2 (en) Dispensig device, particularly for domestic appliances
GB0821672D0 (en) Dosing and dispensing device
JP2001082342A (ja) コンパクトな流体ポンプ
MX2007008295A (es) Dispositivo de dosificacion de paredes delgadas que tiene gatillo y muelle moldeados integralmente y metodo para el montaje del mismo.
WO2009131670A3 (en) Replaceable cartridge dispenser assembly
KR200449168Y1 (ko) 계수기를 구비한 화장품 용기
CN111746944A (zh) 非均质内容物混合容器
KR101420128B1 (ko) 이종 내용물 혼합용기
WO2002000524A1 (fr) Recipient de distribution
US20090014475A1 (en) Wristband-mounted dispenser for liquids and powders with an improved dispensing mechanism
KR200471800Y1 (ko) 디스펜서에 수용된 액체 자동 배출 장치
CN113279209A (zh) 一种分配器盒、洗涤剂投放装置及衣物处理设备
KR100819764B1 (ko) 디스펜서 용기
US7111762B2 (en) Reservoir product pump
WO2009028810A9 (en) Dispenser receptacle
US11766688B2 (en) Set consisting of a pump dispenser and an evaluation unit
CN1640356A (zh) 用于洗涤机的定量输送液体洗涤剂或者清洗剂的装置
KR20060010850A (ko) 손 소독액 분사장치
CN210527284U (zh) 一种自助售酒坛盖及其酒坛
CN102589636A (zh) 一种计量取液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3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2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2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30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