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10306U - 책상용 이젤 - Google Patents

책상용 이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10306U
KR20090010306U KR2020080004546U KR20080004546U KR20090010306U KR 20090010306 U KR20090010306 U KR 20090010306U KR 2020080004546 U KR2020080004546 U KR 2020080004546U KR 20080004546 U KR20080004546 U KR 20080004546U KR 20090010306 U KR20090010306 U KR 20090010306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d
drawing board
easel
angle
des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8000454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희석
최권신
Original Assignee
최권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권신 filed Critical 최권신
Priority to KR202008000454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10306U/ko
Publication of KR2009001030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10306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7/00Furniture or accessories for furniture,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7B97/04Easels or stands for blackboard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7/00Furniture or accessories for furniture,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7B97/04Easels or stands for blackboards or the like
    • A47B97/08Easels or stands for blackboards or the like foldable

Landscapes

  • Mirrors, Picture Frames, Photograph Stands, And Related Fasten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책상용 이젤에 관한 것으로, 앵글 타입의 본체와; 상기 본체의 양 내측면에 마주보게 고정되고, 다수의 걸림턱을 갖는 각도조절구와; 상기 본체에 힌지고정되어 접어질 수 있고, 중앙에는 한쌍의 가이드가 상하로 설치된 앵글 타입의 뚜껑체와; 양단은 상기 뚜껑체에 축고정되고, 나머지 부위는 상기 걸림턱에 걸림되는 각도조절바와; 상기 뚜껑체에 안착되고, 안착되는 면상에 고정볼트를 구비한 화판과; 상기 고정볼트가 관통되고, 상기 가이드를 따라 이동가능하게 설치된 가압판과; 상기 고정볼트에 체결되면서 상기 가압판을 조이는 조절노브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고안에 따르면, 화판을 일체로 구비하거나 별개로 분리할 수 있어 사용상 편의성이 증대되고, 화판의 각도 및 높낮이 조절이 가능하여 회화작업시 편리하며, 휴대가 용이하고, 책상 등에 얹어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으며, 화판을 접을 수 있어 충분한 화폭의 그림을 그릴 수 있도록 안내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젤, 화판, 접이식, 각도조절, 높이조절, 휴대, 가방, 책상

Description

책상용 이젤{EASEL USING ON THE DESK}
본 고안은 책상용 이젤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휴대가 간편하고 높낮이 및 각도조절이 용이하여 책상 등과 같은 곳에 쉽게 설치하여 보다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개선된 책상용 이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이젤(Easel)은 그림을 그릴 때 캔버스나 화판을 안정시키기 위한 받침대로서, 도화지 등을 올려 놓고 회화 작업을 하는데에 사용된다.
이와 같은 이젤은 실내 작업실에 설치되어 사용되거나 혹은 야외에서 작업할 수 있도록 다수의 프레임들이 절첩가능하게 구성된다.
이러한 이젤의 전형적인 예가 도 1에 도시되어 있다.
도 1에 예시된 전형적인 이젤은 보통 전, 후방 한쌍으로 형성되어 길이조절이 가능한 전방다리(1) 및 후방다리(2)로 이루어진 다리부(3)와, 상기 다리부(3)의 상단을 고정하는 고정헤드(4)와, 상기 고정헤드(4)의 중앙에서 슬라이딩되는 고정대(5)와, 상기 고정대(5)의 상측으로 고정틀(6)을 형성하고 고정틀(6) 하측으로 전방다리(1)의 전방으로 걸림 고정되는 받침대(7)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전방다리(1)는 고정헤드(4)의 양측에 힌지 고정되며, 후방다 리(2)는 상기 고정헤드(4)의 후방에 고정되고, 상기 후방다리(2)의 중앙에는 후방다리를 고정하기 위하여 연결대(8)가 연결된다.
그리하여, 다리부(3)를 접어 휴대할 수 있고, 필요개소에서 펼친 후 받침대(7)에 화판이나 캔버스를 올려 놓고 회화작업을 할 수 있도록 하여 준다.
그러나, 이와 같은 통상적인 구조의 이젤은 접더라도 그 부피가 커 휴대 및 보관이 불편하고, 또한 화판과 이젤이 따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이들을 개별적으로 관리하여야 하는 불편은 물론 부피가 커 무겁다는 단점이 있었다.
이에, 이러한 불편을 해소하기 위한 많은 연구개발이 이루어졌으며, 일 예로 등록실용 제1983-2658호(1983.12.08) '휴대용 화판', 등록실용 제211123호(2000.11.10) '화판 겸용 가방', 등록실용 제348225호(2004.04.08) '절첩 가능한 이젤', 등록특허 제714803호(2007.04.27) '이젤 기능을 갖는 책상' 등이 개시된 바 있다.
하지만, 개시된 상기 '휴대용 화판'이나 '화판 겸용 가방'의 경우에는 화구들을 포함할 수 있는 구조를 갖추어야만 하고, 가방 제조용 원단으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제조가 불편하며, 화판의 크기가 작아 효용성이 지극히 떨어지는 단점이 있으며; '절첩 가능한 이젤'의 경우에는 도 1에서 예시한 일반적인 이젤을 좌우로 절첩가능하게 하여 완전히 접을 수 있도록 한 것이나 여전히 부피가 커 휴대하기 곤란한 단점이 있고; '이젤 기능을 갖는 책상'의 경우에는 이젤이 책상에 완전히 고정되어 있는 타입이어서 휴대가 거의 불가능하고 특정 장소에서만 사용가능한 불편함이 여전히 남아 있다.
본 고안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상의 제반 문제점들을 모두 감안하여 이를 해소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 화판을 이젤에 떼었다 붙였다할 수 있으면서 접은 후 가방형태로 휴대할 수 있어 간편하고, 각도조절은 물론 높낮이 조절이 가능하여 사용하기 편하며,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어디든지 설치할 수 있음과 동시에, 충분한 화판 크기를 제공하여 회화작업에 지장을 주지 않는 새로운 형태의 책상용 이젤을 제공함에 그 주된 해결 과제가 있다.
본 고안은 상기한 해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앵글 타입의 본체와; 상기 본체의 양 내측면에 마주보게 고정되고, 다수의 걸림턱을 갖는 각도조절구와; 상기 본체에 힌지고정되어 접어질 수 있고, 중앙에는 한쌍의 가이드가 상하로 설치된 앵글 타입의 뚜껑체와; 양단은 상기 뚜껑체에 축고정되고, 나머지 부위는 상기 걸림턱에 걸림되는 각도조절바와; 상기 뚜껑체에 안착되고, 안착되는 면상에 고정볼트를 구비한 화판과; 상기 고정볼트가 관통되고, 상기 가이드를 따라 이동가능하게 설치된 가압판과; 상기 고정볼트에 체결되면서 상기 가압판을 조이는 조절노브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책상용 이젤을 제공한다.
이때, 상기 뚜껑체에는 손잡이가 설치되고, 상기 본체에는 손잡이수납홈이 형성되어 접었을 때 가방 형태가 되도록 구성된 것에도 그 특징이 있다.
또한, 상기 화판은 상기 뚜껑체의 크기에 맞게 좌우로 접이선이 형성되고, 상기 접이선을 기준으로 접을 수 있도록 3절 접이형으로 형성된 것에도 그 특징이 있다.
본 고안에 따르면, 화판을 일체로 구비하거나 별개로 분리할 수 있고 접었을 때 가방 형태가 되어 휴대하기 간편하여 사용상 편의성이 증대되고, 화판의 각도 및 높낮이 조절이 가능하여 회화작업시 편리하며, 책상 등에 얹어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고, 화판을 접을 수 있어 충분한 화폭의 그림을 그릴 수 있도록 안내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고하여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몇가지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고안 일실시예에 따른 이젤의 사용상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 일실시예에 따른 이젤의 배면사시도이며, 도 4는 도 3의 요부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이젤의 접었을 때 모습을 보인 일부 사시도이다.
도 2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 일실시예에 따른 이젤은 회화작업용 종이, 이를테면 도화지, 스케치북 등을 고정시키는 화판(100)과, 상기 화판(100)을 지지하는 뚜껑체(200)와, 상기 뚜껑체(200)가 힌지고정되고 접어진 채 수납될 수 있도록 하는 본체(300)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화판(100)의 전면, 즉 회화작업용 종이가 고정되는 면에는 종이 고정을 위해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자석(미도시)이 구비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화판(100)은 자력에 의한 흡착력이 작용하도록 금속판으로 제조됨이 특히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화판(100)은 상기 뚜껑체(200)보다 상대적으로 크게 구비됨이 바람직한데, 이는 그림을 그릴 때 충분한 지지공간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며, 휴대의 편의성을 위해 도시된 접이선(110)을 중심으로 공지의 힌지(경첩 포함) 수단을 이용하여 3절 형태로 접을 수 있게 구성됨이 더욱 좋다.
이 경우, 접어진 화판(100)이 유동되지 않도록 끈, 후크, 핀 등의 다양한 수단을 이용하여 고정하도록 함이 더욱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뚜껑체(200)와 본체(300)는 앵글 타입(대략 사각틀체 형상)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한데, 이를테면 상기 뚜껑체(200)와 본체(300)는 각각 일면이 개방된 케이스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뚜껑체(200)가 상기 본체(300)에 대하여 접어지면서 그 개방된 면을 덮어 도 5에서와 같이, 대략 가방 형태를 이루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상기 뚜껑체(200)와 본체(300)의 적소에는 힌지(400)가 설치된다.
상기 힌지(400)는 예컨대, 본체(300)의 일변측 내면과, 뚜껑체(200)의 일변측 외면에 설치되어 상기 뚜껑체(200)가 상기 본체(300)에 대하여 회전가능하도록 하여 준다.
그리고, 상기 뚜껑체(200)의 전면 중앙에는 손잡이(C)가 설치된다.
상기 손잡이(C)는 본 고안 이젤을 휴대할 경우 가방을 들고 다니는 것처럼 편안하게 파지할 수 있도록 하여 준다.
아울러, 상기 뚜껑체(200)는 앵글 타입이기 때문에 그 좌우폭 중앙부에 상하방향으로 걸쳐지는 형태로 한쌍의 가이드(210)가 설치된다.
이때, 상기 한쌍의 가이드(210)는 대략 'ㄴ' 형상을 가짐이 바람직하고, 서로 마주보는 형태로 거리를 두고 슬롯(220)을 형성하도록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한쌍의 가이드(210) 사이의 공간에는 가압판(500)이 구비된다.
또한, 상기 가이드(210)의 상면, 즉 상기 가압판(500)이 얹혀진 쪽 대향면(뒷면)에는 화판(100)이 안착되는데, 상기 화판(100)을 고정하기 위해 상기 화판(100)의 배면(회화용 종이가 자석으로 고정되는 면의 반대면) 중앙에 고정판(120)이 고정되고, 상기 고정판(120)의 중앙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ㅗ' 형상을 갖는 고정볼트(미도시)가 돌출형성된다.
아울러, 상기 고정볼트는 한쌍의 가이드(210)들 사이 공간인 슬롯(220)과 상기 가압판(500)의 중앙을 관통하여 상부로 노출되고, 노출된 고정볼트에는 조절노브(600)가 체결된다.
따라서, 상기 조절노브(600)를 최대한 조이게 되면 상기 가압판(500)은 가이드(210)의 밑면과 견고히 견착되고, 또한 고정판(120)은 가이드(210)의 상면에 견고히 밀착되면서 화판(100)이 쉽게 흔들리지 않도록 앵글 타입의 뚜껑체(200)에 견고히 고정되게 된다.
이후, 필요에 따라 상기 조절노브(600)를 풀어 화판(100)의 회전각을 조절한다든지 혹은 화판(100)을 상하로 이동시킨다든지 하여 사용자에게 가장 적합한 상 태로 화판(100)을 배치한 후 회화작업을 하면 좋다.
뿐만 아니라, 경우에 따라 조절노브(600)를 완전히 풀어 고정볼트로부터 분리시킴으로써 화판(100)을 아예 떼어내어 따로 보관할 수도 있을 것이다.
한편, 상기 본체(300)도 앵글 타입으로 형성되며, 그 양 내측면에는 서로 대응되는 한쌍의 각도조절구(310)가 부착된다.
상기 각도조절구(310)는 그 길이방향으로 상단에 다수의 걸림턱(320)이 일정간격을 두고 다수 형성된 구조로서, 이 걸림턱(320)에는 각도조절바(330)가 걸림된다.
이때, 상기 각도조절바(330)는 대략 'U'형상으로 형성되며, 그 상단 양쪽이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절곡된 상태에서 상기 뚜껑체(200)의 일부를 관통하여 회전가능하게 고정되고, 나머지 부분이 상기 걸림턱(320)에 걸리도록 배치되게 된다.
따라서, 상기 각도조절바(330)가 상기 걸림턱(320)에 걸림되는 위치를 가변시킴으로써 화판(100)의 경사각, 즉 화판(100)이 눕혀지거나 세워지도록 하는 각도를 쉽게 조절할 수 있게 된다.
뿐만 아니라, 상기 본체(300)의 전면 적소에는 상기 손잡이(C)가 끼워지는 손잡이수납홈(H)이 요입형성된다.
그리하여, 본 고안 이젤을 가방 형태로 접었을 때 외관의 미려함도 함께 도모할 수 있도록 함이 더욱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고안에 따른 이젤은, 각도조절바(330)를 들어올려 각도조절구(310)의 걸림턱(320)으로부터 그 걸림상태를 해제시키면 뚜껑 체(200)가 본체(300)에 삽입되는 형태로 접어지면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은 가방 형태로 만들 수 있게 된다.
이후, 필요한 경우 화판(100)도 접어 고정함으로써 휴대에 편리한 크기로 만들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크기로 휴대 이동후 원하는 장소에서 비교적 평평한 면을 갖는 부재, 바람직하기로는 책상과 같은 것의 면상에 본체(300)의 하단면을 올려 놓는다.
이 상태에서, 접었던 뚜껑체(200)를 힌지(400)를 중심으로 회동시켜 상부로 들어올린 후 각도조절바(330)를 이용하여 뚜껑체(200)가 원하는 경사각을 이루도록 세운 후 각도조절구(310)의 걸림턱(320)에 걸어 고정하여 준다.
따라서, 화판(100)도 자연스럽게 뚜껑체(200)와 함께 동일 경사각을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이어, 화판(100)을 회전시키거나 상하이동시켜 원하는 위치를 잡고, 조절노브(600)를 체결하여 고정하게 되면 사용자는 아주 편리하게 회화작업을 할 수 있는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이후, 도화지 등의 그림 그리기용 종이를 화판(100)에 고정시킨 후 원하는 회화작업을 하면 되며, 작업후 해체는 상술한 반대로 진행하면 된다.
도 1은 종래 일반적인 이젤의 예시적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 일실시예에 따른 이젤의 사용상태도,
도 3은 본 고안 일실시예에 따른 이젤의 배면사시도,
도 4는 도 3의 요부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이젤의 접었을 때 모습을 보인 일부 사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화판 110....접이선
120....고정판 200....뚜껑체
210....가이드 220....슬롯
300....본체 310....각도조절구
320....걸림턱 330....각도조절바
400....힌지 500....가압판
600....조절노브

Claims (3)

  1. 앵글 타입의 본체와;
    상기 본체의 양 내측면에 마주보게 고정되고, 다수의 걸림턱을 갖는 각도조절구와;
    상기 본체에 힌지고정되어 접어질 수 있고, 중앙에는 한쌍의 가이드가 상하로 설치된 앵글 타입의 뚜껑체와;
    양단은 상기 뚜껑체에 축고정되고, 나머지 부위는 상기 걸림턱에 걸림되는 각도조절바와;
    상기 뚜껑체에 안착되고, 안착되는 면상에 고정볼트를 구비한 화판과;
    상기 고정볼트가 관통되고, 상기 가이드를 따라 이동가능하게 설치된 가압판과;
    상기 고정볼트에 체결되면서 상기 가압판을 조이는 조절노브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책상용 이젤.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뚜껑체에는 손잡이가 설치되고, 상기 본체에는 손잡이수납홈이 형성되어 접었을 때 가방 형태가 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책상용 이젤.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화판은 상기 뚜껑체의 크기에 맞게 좌우로 접이선이 형성되고, 상기 접이선을 기준으로 접을 수 있도록 3절 접이형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책상용 이젤.
KR2020080004546U 2008-04-07 2008-04-07 책상용 이젤 KR20090010306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04546U KR20090010306U (ko) 2008-04-07 2008-04-07 책상용 이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04546U KR20090010306U (ko) 2008-04-07 2008-04-07 책상용 이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10306U true KR20090010306U (ko) 2009-10-12

Family

ID=415373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80004546U KR20090010306U (ko) 2008-04-07 2008-04-07 책상용 이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010306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29601A (ko) 2019-05-09 2020-11-18 문성찬 다용도 이젤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29601A (ko) 2019-05-09 2020-11-18 문성찬 다용도 이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439511B2 (en) Hangable artist's easel and accessories
US7543790B2 (en) Multiple configuration portable easel
US4482185A (en) Convertible easel
US20070120034A1 (en) Xdeck laptop/book-holder
US3759482A (en) Adjustable easel construction
US6889952B2 (en) Multi-position presentation easel
WO2005018381A1 (en) A universal bookholder
US5950979A (en) Portable and foldable easel
KR101517737B1 (ko) 이젤
US9883736B2 (en) Portable deployable table
WO2006007108A2 (en) Adjustable easel
US20030080272A1 (en) Paint easel and display rack assembly
US5090434A (en) Chair assembly for releasable attachment to crutch
US4660814A (en) Needlecraft stand
US4850069A (en) Kneeling aid
KR20090010306U (ko) 책상용 이젤
US20190254417A1 (en) Collapsible Table System
KR20200007615A (ko) 높이 조절이 가능한 접이식 의자
KR20090095167A (ko) 다용도 휴대용 독서대
CN211910897U (zh) 一种油画画板固定架
KR101819860B1 (ko) 낚시받침대 장착용 꽂이대
KR101483407B1 (ko) 탁자 상판의 각도 조절장치
JP4187312B2 (ja) 読書用スタンド
KR200319401Y1 (ko) 책상용 다리
JP2000229016A (ja) 簡易テーブ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