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10261U - 화분을 이용한 테이블 - Google Patents

화분을 이용한 테이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10261U
KR20090010261U KR2020080004480U KR20080004480U KR20090010261U KR 20090010261 U KR20090010261 U KR 20090010261U KR 2020080004480 U KR2020080004480 U KR 2020080004480U KR 20080004480 U KR20080004480 U KR 20080004480U KR 20090010261 U KR20090010261 U KR 20090010261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pper plate
leg
hole
plate portion
coup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8000448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영현
Original Assignee
윤영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영현 filed Critical 윤영현
Priority to KR202008000448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10261U/ko
Publication of KR2009001026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10261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13/00Details of tables or desk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13/00Details of tables or desks
    • A47B13/003Connecting table tops to underfram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13/00Details of tables or desks
    • A47B13/08Table tops; Rims therefor
    • A47B13/088Sectional table tops

Landscapes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화분을 이용한 테이블에 관한 것으로, 좌우로 상호 분리되는 상판부(100); 상기 상판부(100)의 하부에 결합되며, 상기 상판부(100)에 인접한 위치에서 측방향으로 관통형성된 힌지결합공(210)과, 상기 힌지결합공(210)을 중심으로 일정한 거리를 두고 원호형상으로 관통형성되는 활주레일공(220)이 구비되는 다리결합부(200); 상기 다리결합부의 힌지결합공(210)에 대응되는 위치에 관통형성되는 힌지결합공 연통홀(310)과, 상기 다리결합부의 활주레일공(220)에 대응되는 위치에 관통형성되는 활주레일공 연통홀(320)과, 상기 화분의 테두리(11)에 걸리는 걸림턱(330)을 구비한 다수의 다리부(300); 및 상기 다리결합부의 힌지결합공(210)과 다리부의 힌지결합공 연통홀(310)을 관통하여 힌지결합되는 힌지볼트(410)와, 상기 다리결합부의 활주레일공(220)을 관통하여 상기 다리부의 활주레일공 연통홀(320)에 고정결합되는 걸림볼트(420)를 구비한 다리간격조정부(400);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기술적 요지로 하여, 한정된 실내공간을 효율성있게 활용할 수 있으며, 테이블이 제공하는 휴식공간이나 작업공간상에 화초나 수목의 유익함을 조화롭게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화분을 이용한 테이블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화분을 이용한 테이블{table using flowerpot}
본 고안은 화분을 이용한 테이블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화초나 수목을 심어가꾸는 화분과 결합되어 일반적인 테이블의 기능을 하게되는 화분을 이용한 테이블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테이블은 서랍 없는 책상, 식탁, 작업대 등을 뜻하며, 용기 등을 올려놓을 수 있는 평탄한 받침면을 제공하는 테이블 상판과, 상기 테이블 상판의 하부에 결합되어 상기 테이블 상판을 지지하는 다리로 구성되어, 음식이나 기타 물건 등을 올려놓아 실내의 공간을 식사, 업무, 휴식 등의 용도로 활용할 수 있도록 이용되고 있다.
그리고, 실내에 화초나 수목을 두면 실내 공기순환 부족과 건축 자재 등에서 나오는 오염물질에 의해 혼탁해진 공기를 청정하게 유지할 수 있으며, 유해전자파와 공기 중 오염물질까지도 제거해주어 신체적으로 건강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할 뿐 아니라, 정서적인 여유를 주거나 생명체를 가꾸는 즐거움을 주어 정신적으로 건강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함에 따라, 실내에서 화분을 이용하여 화초나 수목을 재배하는 경우가 점차 증가하고 있다.
화분이 테이블 상면에 올려놓을 수 있는 소형 사이즈를 가지는 경우에는 테이블 위에 올려놓고 키우는 것이 일반적이나, 화분이 테이블의 상면에 올려놓기 부담스러운 부피나 무게를 가지는 경우에는 화초나 수목을 재배하기 위해 화분이 설치되는 수목재배공간과, 테이블이 설치되는 휴식공간 내지 작업공간이 별도로 분리되어 있는 것이 일반적이다.
종래에는 상기와 같이 대형의 화초나 수목을 구비하는 경우 화분을 설치가능한 공간과 테이블을 설치가능한 공간을 별도로 구비하여야 함에 따라, 한정된 실내공간을 효율성있게 활용할 수 없었으며, 테이블은 현대인에게 단순히 음식이나 물건 등을 올려놓기 위한 가구로써만 인식되고 있어 화초나 수목의 유익함을 테이블이 제공하는 휴식공간이나 작업공간상에 조화롭게 이용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본 고안은, 대형의 화초나 수목을 구비하는 경우에도 화분을 설치가능한 공간과 테이블을 설치가능한 공간을 별도로 구비할 필요가 없어 한정된 실내공간을 효율성있게 활용할 수 있으며, 테이블이 제공하는 휴식공간이나 작업공간상에 화초나 수목의 유익함을 조화롭게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화분을 이용한 테이블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 달성을 위한 본 고안은, 음식이나 다른 물체를 받쳐지지하는 받침면을 제공하며, 화분(10)에 심겨진 화초나 수목(20)의 줄기를 기준으 로 좌우로 상호 분리되는 좌측상판부(100a)와 우측상판부(100b)로 이루어지고, 중앙부에 수목(20)이 상하로 통과가능한 수목통과홀(110)이 관통형성된 상판부(100); 상기 좌측상판부(100a)와 우측상판부(100b)간의 접속단부에 설치되며, 상기 상판부의 좌측상판부(100a)와 우측상판부(100b)를 상호 연결하도록 상기 좌측상판부(100a)에 일측부가 상기 우측상판부(100b)에 타측부가 접속되는 상판접속구(161)와, 상기 상판접속구(161)에 형성된 관통홀을 이용하여 상기 상판접속구(161)의 일측부와 타측부를 상기 좌측상판부(100a)와 우측상판부(100b)상에 각각 고정시키는 고정볼트(162)가 구비되는 상판연결부(160); 상기 상판부(100)의 하부에 상기 상판부(110)의 중앙부를 기준으로 3개 이상이 방사형으로 배치, 결합되며, 상기 상판부(100)의 하부에 볼트에 의해 접속, 고정되는 상판고정부와, 상기 상판고정부 하부에 연속형성되며 상기 상판부(100)에 인접한 위치에서 측방향으로 관통형성된 힌지결합공(210)과, 상기 힌지결합공(210) 하측에 상기 힌지결합공(210)을 중심으로 일정한 거리를 두고 원호형상으로 관통형성되는 활주레일공(220)이 형성된 다리고정부가 구비되는 다리결합부(200); 상하방으로의 연장길이를 가지고 상기 다리결합부(200)의 다리고정부에 각각 결합되어 상기 상판부(110)의 중앙부를 기준으로 방사형으로 배치되며, 상기 다리결합부의 힌지결합공(210)에 대응되는 위치에 관통형성되는 힌지결합공 연통홀(310)과, 상기 다리결합부의 활주레일공(220)에 대응되는 위치에 관통형성되는 활주레일공 연통홀(320)이 형성되고, 상기 화분의 테두리(11)와 접속되는 하부 또는 중간부에 상기 화분의 테두리(11)의 내측부 또는 외측부에 걸리는 걸림턱(330)이 형성된 다수의 다리부(300); 및 상기 다리결합부의 힌지결합 공(210)과 다리부의 힌지결합공 연통홀(310)을 관통하여 힌지결합되며 상기 다리부(300)의 하부가 상기 상판부(100)의 중앙부측 또는 가장자리측으로 회동가능한 회동중심을 제공하게 되는 힌지볼트(410)와, 상기 힌지볼트(410)를 중심으로 상기 다리부(300)를 회동조정시킨 후 상기 다리부(300)를 상기 다리결합부(200)의 정위치에 고정가능하도록 상기 다리결합부의 활주레일공(220)을 관통하여 상기 다리부의 활주레일공 연통홀(320)에 고정결합되는 걸림볼트(420)를 구비하여, 상기 화분의 테두리(11)의 사이즈에 맞춰 상기 다리부(300)의 하부의 위치를 회동조정가능하도록 하는 다리간격조정부(40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화분을 이용한 테이블을 기술적 요지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한 본 고안은, 화분의 상측에 형성되는 여유공간부를 활용하여 테이블의 설치가 이루어지게 됨에 따라, 대형의 화초나 수목을 구비하는 경우에도 화분을 설치가능한 공간과 테이블을 설치가능한 공간을 별도로 구비할 필요가 없어 한정된 실내공간을 효율성있게 활용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화분에 심겨진 화초나 수목의 생장상태를 저해시키지 않으면서 테이블을 설치할 수 있으며, 테이블 상측에 수목의 꽃, 잎사귀나 줄기가 자연히 위치하게 되어 테이블이 제공하는 휴식공간이나 작업공간상에 화초나 수목의 유익함을 조화롭게 이용할 수 있다는 다른 효과가 있다.
그리고, 테이블의 다리부를 회동조정시킴으로써 테두리 사이즈나 형태가 다른 다양한 화분에 광범위하게 설치하여 사용가능하다는 다른 효과가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고안에 따른 화분을 이용한 테이블을 다음의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화분을 이용한 테이블의 실시 예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분해사시도이며, 도 3은 다리부의 회동조정을 보이고자 도시한 측면개략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화분을 이용한 테이블의 설치 및 사용상태를 보이고자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화분을 이용한 테이블의 다른 사용상태를 보이고자 도시한 사시도이다.
본 고안에 따른 화분을 이용한 테이블은, 도 1,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게 상판부(100), 상판연결부(160), 다리결합부(200), 다리부(300), 다리간격조정부(400)로 이루어지며, 좌우로 분리형성된 상기 상판부(100)를 상기 상판연결부(160)로 연결조립하고 상기 상판부(100) 하부에 다수의 상기 다리결합부(200)가 방사형으로 결합되며 상기 다리부(300)가 상기 다리간격조정부(400)에 의해 상기 다리결합부(200)상에 하부가 회동조정가능하게 힌지결합되는 구조를 가진다.
상기 상판부(100)는, 음식이나 다른 물체 등을 받쳐지지하는 받침면을 제공하는 일반적인 테이블의 상판의 기능을 하는 구성요소로, 화분(10)에 심겨진 수목(20)의 줄기를 기준으로 좌우로 상호 분리가능한 좌측상판부(100a)와 우측상판부(100b)로 이루어진다.
상기 좌측상판부(100a)를 수목(20)의 줄기를 기준으로 일측부에 두고 상기 우측상판부(100b)를 상기 수목(20)의 줄기를 기준으로 타측부에서 상기 좌측상판 부(100a)에 접속되도록 위치시킨 상태에서 서로 연결함으로써, 중앙부에 수목(20)의 줄기가 상하로 관통된 상태로 상기 수목(20)의 줄기의 둘레에 지정면적의 받침면을 제공하도록 설치된다.
상기 좌측상판부(100a)와 우측상판부(100b)의 상호간의 인접단부상에는, 상기 좌측상판부(100a)와 우측상판부(100b)가 상호접속된 상태에서 상기 상판부(100)의 중앙부에 상기 화분(10)에 심겨진 수목(20)이 상하로 통과가능한 수목통과홀(110)이 관통형성되도록, 홈 또는 홀이 상호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다.
상기 상판연결부(160)는 상기 상판부의 좌측상판부(100a)와 우측상판부(100b)를 상호 접속시킨 상태에서 견고하게 연결, 고정하도록 상기 좌측상판부(100a)와 우측상판부(100b)간의 접속단부에 설치되며,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상기 상판연결부(160)는 상판접속구(161)와 상판연결부(160)로 이루어진 구조를 가진다.
상기 상판접속구(161)는 볼트부재가 관통가능한 다수의 관통홀이 형성된 판부재 형상으로, 상기 좌측상판부(100a)의 하부에 일측부가 상기 우측상판부(100b)의 하부에 타측부가 접속되도록 설치되어, 상기 상판부의 좌측상판부(100a)와 우측상판부(100b)를 상호 연결하는 연결부재의 기능을 하게 된다.
상기 고정볼트(162)는 상기 상판접속구(161)에 형성된 관통홀을 이용하여 상기 상판접속구(161)의 일측부를 상기 좌측상판부(100a)에 고정시키며, 상기 상판접속구(161)의 타측부를 상기 우측상판부(100b)상에 고정시키게 된다.
상기 좌측상판부(100a) 또는 우측상판부(100b) 중 일측에 상기 상판잡속 구(161)의 일측부 또는 타측부를 미리 상기 고정볼트(162)로 고정시킨 상태로, 상기 화분(10)에 심겨진 수목(20)을 사이에 두고 상기 좌측상판부(100a)와 우측상판부(100b)를 접속시킨 후, 상기 상판부(100)상에 고정되지 않은 상기 상판접속구(161)의 나머지 부분을 상기 고정볼트(162)로 고정함으로써 상기 좌측상판부(100a)와 우측상판부(100b)를 간단하게 연결 및 결합시킬 수 있다.
상기 다리결합부(200)는, 상기 다리부(300)를 상기 다리부(300) 하부의 회동이 가능하도록 상기 상판부(100)상에 결합시키면서도 구성요소로, 상기 상판부(100)의 하부에 상기 상판부(110)의 중앙부를 기준으로 바람직하게는 3개 또는 4개가 방사형으로 배치, 결합되고, 상판고정부와 다리고정부로 이루어진다.
상기 다리결합부(200)의 상판고정부는 상기 상판부(100)의 하부에 볼트에 의해 접속, 고정되며, 상기 다리고정부는 상기 상판고정부 하부에 연속형성되고 상기 상판부(100)에 인접한 위치에서 측방향으로 관통형성된 힌지결합공(210)과, 상기 힌지결합공(210) 하측에 상기 힌지결합공(210)을 중심으로 일정한 거리를 두고 원호형상으로 관통형성되는 활주레일공(220)이 형성된 구조를 가진다.
상기 다리부(300)는, 상하방으로의 연장길이를 가지고 상기 다리결합부(300)의 다리고정부 각각에 결합되어 상기 상판부(110)의 중앙부를 기준으로 다수가 방사형으로 배치되는 구조를 가지게 되며, 상기 다리결합부(300)에 상부가 결합된 상태로 하부가 상기 상판부(100)의 중앙부측 또는 가장자리측으로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 다수의 상기 다리부(300) 상호간의 간격을 상기 다리결합부(300)와의 결합부를 중심으로 임의로 조정가능한 구조를 가진다.
상기 다리부(300)에는 상기 다리결합부의 힌지결합공(210)에 대응되는 위치에 관통형성되는 힌지결합공 연통홀(310)과, 상기 다리결합부의 활주레일공(220)에 대응되는 위치에 관통형성되는 활주레일공 연통홀(320)이 구비되고, 상기 화분의 테두리(11)에 접속되는 상기 다리부(300)의 하단부 또는 중간부에는 상기 화분의 테두리(11)의 내측부 또는 외측부에 걸리는 걸림턱(330)이 형성된다.
본 고안의 실시 예에서 상기 걸림턱(330)은 상기 화분의 테두리(11)의 내측부에 접속가능하도록 상기 다리부(300)의 하부 외측부에 형성된 것과 상기 화분의 테두리(11)의 외측부에 접속가능하도록 상기 다리부(300)의 하부 내측부에 형성된 것을 함께 구비하여, 다수의 상기 다리결합부(200)간의 연결선상과 비교하여 상기 화분의 테두리(11)가 보다 확장된 직경을 가지면 상기 다리부(300)의 하부 내측부에 형성된 걸림턱(330)이 상기 화분의 테두리(11)의 내측부에 접속되어 본 고안의 측방향으로의 이동을 저지하게 되며, 상기 화분의 테두리(11)가 보다 축소된 직경을 가지면 상기 다리부(300)의 하부 외측부에 형성된 걸림턱(330)이 상기 화분의 테두리(11)의 외측부에 접속되어 본 고안의 측방향으로의 이동을 저지하게 된다.
상기 다리간격조정부(400)는, 상기 다리부(300)의 하부가 상기 상판부(100)의 중앙부측 또는 가장자리측으로 회동가능한 회동중심을 제공하는 힌지볼트(410)와 상기 힌지볼트(410)를 중심으로 상기 다리부(300)를 회동조정시킨 후 상기 다리부(300)를 상기 다리결합부(200)의 정위치에 고정시키는 걸림볼트(420)로 이루어진다.
상기 힌지볼트(410)는 상기 다리결합부의 힌지결합공(210)과 다리부의 힌지 결합공 연통홀(310)을 관통하여 힌지결합되어 상기 다리부(300)의 하부가 상기 상판부(100)의 중앙부측 또는 가장자리측으로 회동가능한 회동중심을 제공하게 되며, 상기 걸림볼트(420)는 상기 다리결합부의 활주레일공(220)을 관통하여 상기 다리부의 활주레일공 연통홀(320)에 고정결합된다.
상기 다리간격조정부(40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화분의 테두리(11)의 사이즈에 맞춰 상기 힌지볼트(410)를 중심으로 상기 다리부(300)를 회동시킨 후에, 상기 걸림볼트(420)를 조임으로써 상기 걸림볼트(420)의 볼트머리가 상기 다리결합부의 활주레일공(220)의 가장자리를 기밀하게 압박시켜 상기 다리부(300)를 정위치에 고정시키게 되며, 다른 위치로 상기 다리부(300)를 회동조정시키는 경우 상기 걸림볼트(420) 상기 걸림볼(420)의 볼트머리가 상기 다리결합부의 활주레일공(220)과 미세한 이격간격을 가질 정도로만 반대방향으로 수회 회전시켜 푼 상태로 상기 다리부(300)의 위치를 자유롭게 조정시킨 후 상기 걸림볼트(420)를 다시 원방향으로 수회 회전시켜 조임으로써 상기 다리부(300)의 회동조정 및 고정이 간단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화분을 이용한 테이블에 의하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분(10)의 상측에 형성되는 여유공간부를 활용하여 테이블의 설치가 이루어지게 됨에 따라, 대형의 화초나 수목을 구비하는 경우에도 화분(10)을 설치가능한 공간과 테이블을 설치가능한 공간을 별도로 구비할 필요가 없어 한정된 실내공간을 효율성있게 활용할 수 있다.
그리고,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테이블의 상판에 다수의 소형 화분을 둘 수 있어 수목을 키우는 일정한 공간을 구성함에 있어서도, 공간의 추가 확장없이 다단구조로 화분을 배열시켜 보다 공간효율적으로 실내공간을 구성할 수 있으며, 다수의 화분을 보다 용이하게 관리, 재배할 수 있다.
또한, 화분(10)에 심겨진 화초나 수목의 생장상태를 저해시키지 않으면서 테이블을 설치할 수 있으며, 테이블 상측에 수목의 꽃, 잎사귀나 줄기가 자연히 위치하게 되어 테이블이 제공하는 휴식공간이나 작업공간상에 화초나 수목의 유익함을 조화롭게 이용할 수 있고, 상기 테이블의 다리부(300)를 회동조정시킴으로써 테두리 사이즈나 형태가 다른 다양한 화분(10)에 광범위하게 설치하여 사용가능하다.
도 1 - 본 고안에 따른 화분을 이용한 테이블의 실시 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2 - 도 1의 분해사시도
도 3 - 다리부의 회동조정을 보이고자 도시한 측면개략도
도 4 - 본 고안에 따른 화분을 이용한 테이블의 설치 및 사용상태를 보이고자 도시한 사시도
도 5 - 본 고안에 따른 화분을 이용한 테이블의 다른 사용상태를 보이고자 도시한 사시도
<도면에 사용된 주요 부호에 대한 설명>
10 : 화분 11 : 화분의 테두리
20 : 수목 100 : 상판부
100a : 좌측상판부 100b : 우측상판부
110 : 수목통과홀 160 : 상판연결부
161 : 상판접속구 162 : 고정볼트
200 : 다리결합부 210 : 힌지결합공
220 : 활주레일공 300 : 다리부
310 : 힌지결합공 연통홀 320 : 활주레일공 연통홀
330 : 걸림턱 400 : 다리간격조정부
410 : 힌지볼트 420 : 걸림볼트

Claims (1)

  1. 음식이나 다른 물체를 받쳐지지하는 받침면을 제공하며, 화분(10)에 심겨진 화초나 수목(20)의 줄기를 기준으로 좌우로 상호 분리되는 좌측상판부(100a)와 우측상판부(100b)로 이루어지고, 중앙부에 수목(20)이 상하로 통과가능한 수목통과홀(110)이 관통형성된 상판부(100);
    상기 좌측상판부(100a)와 우측상판부(100b)간의 접속단부에 설치되며, 상기 상판부의 좌측상판부(100a)와 우측상판부(100b)를 상호 연결하도록 상기 좌측상판부(100a)에 일측부가 상기 우측상판부(100b)에 타측부가 접속되는 상판접속구(161)와, 상기 상판접속구(161)에 형성된 관통홀을 이용하여 상기 상판접속구(161)의 일측부와 타측부를 상기 좌측상판부(100a)와 우측상판부(100b)상에 각각 고정시키는 고정볼트(162)가 구비되는 상판연결부(160);
    상기 상판부(100)의 하부에 상기 상판부(110)의 중앙부를 기준으로 3개 이상이 방사형으로 배치, 결합되며, 상기 상판부(100)의 하부에 볼트에 의해 접속, 고정되는 상판고정부와, 상기 상판고정부 하부에 연속형성되며 상기 상판부(100)에 인접한 위치에서 측방향으로 관통형성된 힌지결합공(210)과, 상기 힌지결합공(210) 하측에 상기 힌지결합공(210)을 중심으로 일정한 거리를 두고 원호형상으로 관통형성되는 활주레일공(220)이 형성된 다리고정부가 구비되는 다리결합부(200);
    상하방으로의 연장길이를 가지고 상기 다리결합부(200)의 다리고정부에 각각 결합되어 상기 상판부(110)의 중앙부를 기준으로 방사형으로 배치되며, 상기 다리 결합부의 힌지결합공(210)에 대응되는 위치에 관통형성되는 힌지결합공 연통홀(310)과, 상기 다리결합부의 활주레일공(220)에 대응되는 위치에 관통형성되는 활주레일공 연통홀(320)이 형성되고, 상기 화분의 테두리(11)와 접속되는 하부에 상기 화분의 테두리(11)의 내측부 또는 외측부에 걸리는 걸림턱(330)이 형성된 다리부(300); 및
    상기 다리결합부의 힌지결합공(210)과 다리부의 힌지결합공 연통홀(310)을 관통하여 힌지결합되며 상기 다리부(300)의 하부가 상기 상판부(100)의 중앙부측 또는 가장자리측으로 회동가능한 회동중심을 제공하게 되는 힌지볼트(410)와, 상기 힌지볼트(410)를 중심으로 상기 다리부(300)를 회동조정시킨 후 상기 다리부(300)를 상기 다리결합부(200)의 정위치에 고정가능하도록 상기 다리결합부의 활주레일공(220)을 관통하여 상기 다리부의 활주레일공 연통홀(320)에 고정결합되는 걸림볼트(420)를 구비하여, 상기 화분의 테두리(11)의 사이즈에 맞춰 상기 다리부(300)의 하부의 위치를 회동조정가능하도록 하는 다리간격조정부(400);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분을 이용한 테이블.
KR2020080004480U 2008-04-04 2008-04-04 화분을 이용한 테이블 KR20090010261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04480U KR20090010261U (ko) 2008-04-04 2008-04-04 화분을 이용한 테이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04480U KR20090010261U (ko) 2008-04-04 2008-04-04 화분을 이용한 테이블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10261U true KR20090010261U (ko) 2009-10-08

Family

ID=415362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80004480U KR20090010261U (ko) 2008-04-04 2008-04-04 화분을 이용한 테이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010261U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72296B1 (ko) * 2012-06-12 2014-03-10 (주)가이디 회전형 화분 테이블
CN108618374A (zh) * 2018-06-15 2018-10-09 成都帝兰朵家居有限公司 一种变形桌面的升降式联动机构及支撑底板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72296B1 (ko) * 2012-06-12 2014-03-10 (주)가이디 회전형 화분 테이블
CN108618374A (zh) * 2018-06-15 2018-10-09 成都帝兰朵家居有限公司 一种变形桌面的升降式联动机构及支撑底板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40981B1 (ko) 화분 고정용 받침대
KR102117368B1 (ko) 이동식 화분 진열대
CN106069331A (zh) 机械化立体修剪苗床及修剪方法
KR20090010261U (ko) 화분을 이용한 테이블
KR200444397Y1 (ko) 통기성이 우수한 난 재배용 화분
KR20140140223A (ko) 과채류 재배 및 육묘가 가능한 고설 베드 장치
KR101279133B1 (ko) 채소 재배기
KR101140959B1 (ko) 후렌지부에 지주 고정수단을 설치한 화분
KR20080090617A (ko) 난 재배를 위한 다기능 복합화분
KR102095126B1 (ko) 배수 물받이 설치기능을 갖는 딸기 수경재배를 위한 고설베드용 화분
KR102025352B1 (ko) 고설재배장치에 부설하는 제자리육묘를 위한 육묘포트 안착장치
CN201674830U (zh) 一种家居阳台环保蔬菜的种植装置
KR20120052109A (ko) 농작물 지지장치
KR20070119940A (ko) 화분 받침대
CN208387389U (zh) 一种具有高度调节装置的花卉种植用花盆
KR20140017395A (ko) 화분 테이블
KR100905800B1 (ko) 연결프레임을 이용한 관상용 유실수 재배방법
JP3806375B2 (ja) 鉢植え植物の育成台
WO2013040566A2 (en) Universal plant support system
CN207135693U (zh) 一种花卉可调节遮阳装置
CN213784333U (zh) 一种玫瑰花培育架
KR200425404Y1 (ko) 멜론 받침대
CN209628182U (zh) 一种家用蔬菜种植架
KR20110119923A (ko) 베란다 행거 화분
KR101555671B1 (ko) 식물 재배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