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10245U - 레버 록의 잠금 버튼구조 - Google Patents

레버 록의 잠금 버튼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10245U
KR20090010245U KR2020080004451U KR20080004451U KR20090010245U KR 20090010245 U KR20090010245 U KR 20090010245U KR 2020080004451 U KR2020080004451 U KR 2020080004451U KR 20080004451 U KR20080004451 U KR 20080004451U KR 20090010245 U KR20090010245 U KR 20090010245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tton
lock
spring
door
lat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8000445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종영
Original Assignee
김종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종영 filed Critical 김종영
Priority to KR202008000445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10245U/ko
Publication of KR2009001024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10245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3/00Fastening knobs or handles to lock or latch par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실내 출입문에 사용되는 레버 록에 관한 것으로, 래치에 설치되어 있는 록 핀을 눌러주기 위한 구조를 구성함에 있어서, 커버 브래킷의 소정 위치에 버튼설치구멍을 갖는 스프링 수용실을 마련하고, 이 스프링 수용실에 코일스프링을 장착하며, 선단에 수나사가 형성되고 중간에 스프링 걸림턱을 갖는 버튼의 앞쪽을 상기 스프링 수용실을 통해 버튼설치구멍을 관통시킨 다음, 버튼의 수나사에 누름자의 암나사를 결합하여서 된 특징이 있다.
도어 록, 레버 록, 잠금장치, 래치,

Description

레버 록의 잠금 버튼구조{DEVICE FOR LOCK BUTTON OF LEVER LOCK}
본 고안은 실내 출입문에 사용되는 레버 록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도어 안쪽에서 잠금장치의 버튼을 누르면 밖에서 열 수 없도록 하는 레버 록의 잠금 버튼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레버 록은 방문이나 욕실문 등 실내 출입문에 주로 사용하는 것으로, 도어 안쪽에서 잠그는 잠금장치가 있다.
종래의 레버 록 잠금장치를 보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래치(4)에 록 핀(5)이 설치되어 있고, 이 록 핀(5)은 암나사(5a)가 형성되어 있어 도어 안쪽 커버 브래킷(1)의 관통구멍(2)을 관통하는 누름 버튼(3)의 끝 부분에 형성되어 있는 수나사(3a)와 의해 결합되는 구조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기술은 누름 버튼(3)을 누르면 록 핀(5)이 들어가면서 래치(4)가 잠겨 밖에서는 도어를 열지 못하도록 되어있고 안쪽에서 누름 버튼을 잡아당기든지 아니면 도어 핸들을 돌리면 록 핀(5)이 원위치로 복귀하여 래치(4)의 잠금상태가 해제되는 것으로, 현재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은 누름 버튼이 사용자의 편의를 위해 살짝 만 눌러도 쉽게 들어가도록 만들어져 있기 때문에, 도어가 바람이나 다른 이유로 세게 닫힌다든지, 다른 물건이 스쳐지나 간다든지 할 때 본의 아니게 저절로 잠기는 경우가 발생하게 되고 이러한 때 안쪽에 사람이 없을 경우에는 밖에서 도어를 열 수 없기 때문에 난감하게 되는 경우가 발생하게 된다.
또, 록 핀(5)에 암나사(5a)를 가공하여야 하는 공정이 추가된다.
그리고 레버 록을 도어에 설치할 때 래치(4)를 먼저 설치하고 커버 브래킷(1)을 설치한 다음 누름 버튼(3)을 브래킷(1)의 관통구멍(2)에 관통시켜 그의 수나사(3a)를 암나사(5a)에 나사 결합하여야 하기 때문에 보이지않는 암나사(5a)에 수나사(3a)를 맞춰넣기도 불편하고 작업도 더디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 상기 누름 버튼(3)은 암나사와 나사 결합으로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누름 버튼을 돌리기만 하면 해체되므로 아이들에 의해 분실될 염려도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한 것으로, 도어가 세게 닫힌다거나 다른 물건이 스쳐 지나가는 정도로는 도어가 잠기지 않게 하고 버튼을 돌려도 해체되지 않게 하고 조립이 편리하게 된 레버 록의 잠금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은 레버 록의 래치에 설치되어 있는 록 핀을 눌러주기 위한 구조를 구성함에 있어서, 커버 브래킷의 소정 위치에 버튼설치구멍을 갖는 스프링 수용실을 마련하고, 이 스프링 수용실에 코일스프링을 장착하며, 선단에 수나사가 형성되고 중간에 스프링 걸림턱을 갖는 버튼의 앞쪽을 상기 스프링 수용실을 통해 버튼설치구멍을 관통시킨 다음, 버튼의 수나사에 누름자의 암나사를 결합하여서 것이다.
상기와 같은 해결수단을 가진 본 고안은, 버튼의 누름자가 록 핀과 일정간격 떨어져 있고 또 코일스프링에 의해 항상 탄력을 받고 있으므로 도어가 세게 닫힌다거나 하는 외부의 충격으로 인하여 록 핀이 눌려져 도어가 저절로 잠길 염려가 없고, 아이들이 버튼을 돌리더라도 버튼이 돌면 그 끝에 결합된 누름자도 함께 돌기 때문에 버튼이 해체되어 빠져나올 염려도 없으며, 록 핀에 암나사를 형성할 필요가 없고, 버튼을 조립할 때 종래와 같이 록 핀에 직접 나사 조립하지 않아도 되므로 조립이 간편해지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고안이 채용된 레버 록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의 주요부분의 분해도이다.
또, 도 4는 본 고안의 조립된 상태 단면도이고, 도 5는 누름 버튼이 록 핀을 누르고 있는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본 고안은 도 2의 래치(50)에 설치되어 있는 록 핀(51)을 눌러주기 위한 구조로서,
커버 브래킷(10)에 마련되고 버튼설치구멍(12)을 갖는 스프링 수용실(11)과;
선단에 수나사(21)가 형성되고 중간에 스프링 걸림턱(22)을 갖는 버튼(20)과;
상기 버튼(20)에 탄성을 부여하는 코일스프링(30)과;
상기 버튼(20)의 수나사(21)와 결합하는 암나사(41)가 형성된 누름자(40)가 구비된다.
상기와 같은 구조는 스프링 수용실(11)에 코일스프링(30)을 장착하고 버튼(20)의 앞쪽부터 스프링 수용실(11)에 넣어 그 끝이 버튼설치구멍(12)을 관통하게 한 다음 관통된 수나사(21)에 누름자(40)의 암나사(41)를 결합하면 조립이 완료된다.
상기와 같이 조립되는 본 고안은 본 고안이 채용된 레버 록이 도어에 조립된 상태에서 도 4와 같이 래치(50)의 록 핀(51)이 누름자(40)와 서로 약간의 간격을 유지하면서 대향하고 있게 되는데, 이러한 상태에서 버튼(20)을 누르면 누름자(40)가 도 5와 같이 록 핀(51)을 눌러 래치(50)를 잠가준다.
이러한 작동이 끝난 다음 눌렀던 버튼(20)을 놓으면 버튼(20)은 코일스프링(30)의 탄발력에 의하여 원위치로 복귀하게 되고 록 핀(51)과 누름자(40)도 일정간격 떨어지게 된다.
따라서 본 고안은 버튼의 누름자가 록 핀과 일정간격 떨어져 있고 또 코일스프링에 의해 항상 탄력을 받고 있으므로 도어가 세게 닫힌다거나 하는 외부의 충격으로 인하여 록 핀이 눌려져 도어가 저절로 잠길 염려가 없고, 아이들이 버튼을 돌리더라도 버튼이 돌면 그 끝에 결합된 누름자도 함께 돌기 때문에 버튼이 해체되어 빠져나올 염려도 없으며, 록 핀에 암나사를 형성할 필요가 없고, 버튼을 조립할 때 종래와 같이 록 핀에 직접 나사 조립하지 않아도 되므로 조립이 간편해지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이 채용된 레버 록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주요부분의 분해도
도 4는 본 고안의 조립된 상태 단면도
도 5는 도 4의 변화도로서, 누름 버튼이 록 핀을 누르고 있는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0; 커버 브래킷 11; 스프링 수용실 12; 버튼설치구멍
20; 버튼 21; 수나사 22; 걸림턱 30; 코일스프링
40; 누름자 41; 암나사 50; 래치 51; 록 핀

Claims (1)

  1. 래치(50)에 설치되어 있는 록 핀(51)을 눌러주기 위한 구조를 구성함에 있어서,
    커버 브래킷(10)의 소정 위치에 버튼설치구멍(12)을 갖는 스프링 수용실(11)을 마련하고, 이 스프링 수용실(11)에 코일스프링(30)을 장착하며, 선단에 수나사(21)가 형성되고 중간에 스프링 걸림턱(22)을 갖는 버튼(20)의 앞쪽을 상기 스프링 수용실(11)을 통해 버튼설치구멍(12)을 관통시킨 다음, 버튼(20)의 수나사(21)에 누름자(40)의 암나사(41)를 결합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레버 록의 잠금 버튼구조,
KR2020080004451U 2008-04-04 2008-04-04 레버 록의 잠금 버튼구조 KR20090010245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04451U KR20090010245U (ko) 2008-04-04 2008-04-04 레버 록의 잠금 버튼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04451U KR20090010245U (ko) 2008-04-04 2008-04-04 레버 록의 잠금 버튼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10245U true KR20090010245U (ko) 2009-10-08

Family

ID=415362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80004451U KR20090010245U (ko) 2008-04-04 2008-04-04 레버 록의 잠금 버튼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010245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91925B1 (ko) * 2012-03-29 2012-10-17 주식회사 넥스트 푸쉬타입의 레버형 도어록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91925B1 (ko) * 2012-03-29 2012-10-17 주식회사 넥스트 푸쉬타입의 레버형 도어록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993945B1 (en) Doorknob with a lock
US6709034B2 (en) Sliding door handle having an integral push button locking mechanism
US20110167883A1 (en) Side hung type door or window handle lock
US7849719B2 (en) Locking device
US20170175420A1 (en) Lockset assembly with selective opening and closing
JP4509142B2 (ja) 開き戸の施解錠機構
KR20090010245U (ko) 레버 록의 잠금 버튼구조
US20210071444A1 (en) Child-safe door, cabinet, and drawer locking system and apparatus
US9963918B2 (en) Humanized convenient door lock
US10480212B2 (en) Window/door securing device
KR200169262Y1 (ko) 발코니용 창의 잠금장치
KR20110006105U (ko) 회전 잠금 타입 창문용 잠금장치
KR200384262Y1 (ko) 미닫이 창문의 개폐 장치
KR20090010591U (ko) 회전 푸쉬버튼식 창문 잠금 장치
KR20120011545A (ko) 손잡이에 가압식 버튼 록킹 장치를 구비한 튜블러 록
KR200307287Y1 (ko) 미닫이 샤시문의 보조 잠금창치
KR200336384Y1 (ko) 여닫이 도어용 고정금구
KR200279071Y1 (ko) 개방이 용이한 문손잡이구조
KR20100011599U (ko) 출입문용 손잡이 조립체
CN201953161U (zh) 防盗门用侧插
KR200225309Y1 (ko) 매립형 보조 자물쇠
KR200349500Y1 (ko) 도어록의 잠금용 누름핀
KR200412306Y1 (ko) 버튼 삽입식 열쇠
KR890007252Y1 (ko) 도어 자물쇠의 보조록크 장치
KR200386046Y1 (ko) 사물함의 잠금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