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09757A - 변환키를 이용한 한글 입력 장치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변환키를 이용한 한글 입력 장치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09757A
KR20090009757A KR1020080070813A KR20080070813A KR20090009757A KR 20090009757 A KR20090009757 A KR 20090009757A KR 1020080070813 A KR1020080070813 A KR 1020080070813A KR 20080070813 A KR20080070813 A KR 20080070813A KR 20090009757 A KR20090009757 A KR 2009000975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sonant
key
vowel
input
conversion ke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708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71280B1 (ko
Inventor
이기현
Original Assignee
미디어코러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디어코러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미디어코러스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0900097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0975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712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712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3Arrangements for converting discrete items of information into a coded form, e.g. arrangements for interpreting keyboard generated codes as alphanumeric codes, operand codes or instruction codes
    • G06F3/0233Character input metho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8Input/output arrangements for oriental charact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02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input device
    • G06F3/0219Special purpose keyboard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23Construction or mounting of dials or of equivalent devices; Means for facilitating the use thereo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Input From Keyboard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변환키를 이용한 한글 입력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휴대용 단말기의 키패드에서 자음과 모음을 좌/우측으로 분리 배치하고, 자음/모음 변환키를 이용하여 확장 자음(거센소리, 된소리 등)이나 이중 모음(ㅑ, ㅕ, ㅛ, ㅠ, ㅐ, ㅒ, ㅔ, ㅖ)을 입력함으로써, 양손을 통하여 신속/용이하게 한글을 입력/수정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한글 입력 장치에 있어서, 기본 자음이 할당된 복수의 기본자음 키와, 상기 기본자음 키를 통하여 선택된 기본 자음을 확장 자음으로 변환하기 위한 자음 변환키로 이루어진 자음 키입력 수단; 기본 모음자소가 할당된 복수의 기본모음 키와, 이중 모음자소가 할당된 모음 변환키로 이루어진 모음 키입력 수단; 및 상기 자음 키입력 수단을 통하여 입력된 자음과 상기 모음 키입력 수단을 통하여 입력된 모음을 조합하여 한글 문자를 형성하는 문자조합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글 입력, 키패드, 자판, 변환키, 자음 변환키, 모음 변환키, 반 세벌식

Description

변환키를 이용한 한글 입력 장치 및 그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HANGUL INPUT USING TRANSFORMATION KEYS}
본 발명은 휴대용 단말기에서의 한글 입력 기술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키패드에서 자음과 모음을 좌/우측으로 분리 배치하고, 자음/모음 변환키를 이용하여 확장 자음(거센소리, 된소리)이나 이중 모음을 입력함으로써, 양손을 통하여 신속/용이하게 한글을 입력/수정할 수 있는, 변환키를 이용한 한글 입력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휴대용 디지털 단말기의 급속한 개발 환경 속에서 이들 소형 단말기에서의 한글 입력 방식에 대한 연구는 계속되고 있으며, 이에 따라 다양한 방식의 한글 입력 방식들이 개발되고 있는 추세이다.
통상적인 휴대폰이나 휴대폰 기능을 함께 구비하는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폰(Phone)과 같은 휴대용 디지털 단말기에서 한글 입력 장치로는 한정된 수의 키를 특정한 방식으로 배열한 키패드 형태의 입력 장치가 사용된다.
일반적인 키패드는 10개의 숫자가 각각 배열될 수 있는 10개의 키와 그 외 2개 정도의 기능키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러한 한정된 수의 키를 구비하는 키패드를 이용한 한글 입력 방법에 있어서는, 키패드에 한글의 자음, 모음, 또는 기능키를 할당하는 방식이나, 하나의 키에 복수의 자음 또는 모음을 할당하고 이들 복수의 자/모음 중에서 하나를 선택하는 방식 등이 있으며, 이러한 방식은 한글 입력의 속도나 입력을 위해 필요한 키 조작 횟수, 입력 방식의 편의성 측면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현재까지 개발된 키패드를 이용한 한글 입력 방법 중에서 대표적인 것으로는 (주) 삼성 전자에서 제작/판매하는 휴대폰에 사용된 "천지인" 입력 방법(도 1a)과, LG 전자에서 제작/판매하는 휴대폰에 사용되는 "나랏글" 입력 방법(도 1b)이 있다. 이하, 각각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먼저,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은 "천지인" 입력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천지인" 입력 방법은 한글 제자 원리인 천지인(ㅣ, ㅡ, ㆍ) 방식을 차용한 입력 방법으로서, 한글의 모음을 직접 키패드의 키에 할당하는 것이 아니라, "ㅣ", "ㅡ", "ㆍ"를 3개의 키에 할당하여 이를 조합하여 모음을 입력하고, 나머지 키들에 자음을 할당하는 방식을 사용한다.
이러한 "천지인" 방식을 채용한 키패드의 구조를 살펴보면, 자음과 모음이 좌/우로 분리되어 있지 않아 양손을 사용하는 것이 불편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예를 들어, "기"를 입력하는 경우, 해당 글자 키가 모두 왼쪽에 있어서 양손을 사용 하는 것이 곤란하다.
또한, 종래의 "천지인" 입력방식에서는 연속적으로 자음을 입력하는 것이 불편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예를 들어, 5번 버튼에 「ㄴ」과 「ㄹ」이 함께 배치되어 있어 5번 버튼을 한번 누르면 「ㄴ」 두 번 누르면「ㄹ」이 입력되는 자판 구조이기 때문에, "난난"을 입력하고자 하는 경우, 연속된 「ㄴ」을 입력하기 위해 5번 버튼을 연속하여 2번 누르면 「ㄴ」이 두 번 입력되는 것이 아니라 「ㄹ」이 입력되는 문제가 있다. 즉, 동일한 버튼에 있은 두 개의 자음을 연속적으로 입력하는 경우에는 동일 버튼 내의 다른 자음이 입력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천지인" 입력방식에서는 한글의 모음이 그대로 사용되는 것이 아니라, 사용자가 입력하고자 하는 모음의 형태를 일차적으로 고려한 후 이에 따라 'ㅣ, ㅡ, ㆍ'를 적절히 조합해야 한다는 점에서 이중 모음을 입력하는데 필요한 키의 조작 횟수가 증가하여 불편하다는 문제점도 있다.
다음은,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은 "나랏글" 입력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종래의 "나랏글" 입력 방법은 기본 자음들을 각각 하나의 키에, 단모음들은 나머지 키에 할당하고 획추가 키(*) 또는 쌍자음키(#)와 같은 기능키를 이용하여 확장 자음이나 이중 모음 등을 형성한다. 이러한 종래의 "나랏글" 입력 방법은, 한글의 경우 기본이 되는 음소면에서 자음이 모음보다 많다는 점과, 모음의 경우 획추가 키와 같은 기능키를 이용하여 용이하게 변환시킬 수 있다는 점에서 키패드 상에서 모음에 할당되는 키보다 자음에 할당되는 키의 수가 많다. 여기서, 종래의 휴 대용 단말기의 자판배열에서 변환키는 대부분 「*」키나 「#」키에 배치된다.
종래의 "나랏글" 입력 방법은 자음 또는 모음의 입력을 위해 획추가 키와 같은 기능키를 사용하는 횟수가 필연적으로 많으며, 이로 인하여 키 조작 횟수가 증가하고, 결국에는 입력 속도나 입력의 편리성이 저하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획추가 키와 함께 자주 사용되는 자음 또는 모음들이 획추가 키와 상대적으로 멀리 떨어져 있기 때문에, 입력의 용이성과 신속성이 저하되고, 특히 한 손으로 키패드를 조작하는 경우에는 운지 거리(손의 동선)가 길다는 문제점이 있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자판 배치 구조에서는 최대 운지거리가
Figure 112008052313657-PAT00001
이 된다. 예를 들어, 우측 최상단의 숫자 3번 버튼을 누른 후 좌측 최하단의 획추가 키(*)를 누르는 경우, 자판 1칸을 "1"로 가정하여 대각선 끝의 버튼 간의 거리를 구하면 가로 "2", 세로 "3"인 직각 삼각형의 대각선의 길이에 해당하는 바, 피타고라스의 정리에 의하면 L2=22+32=13이 된다. 따라서, 획 추가키 「*」등과 같은 변환 키로부터의 최대 운지 거리가 커서, 한글 입력시 비효율적이라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은 휴대용 단말기에서 한글을 입력하는 경우, 양손을 사용하는 것이 불편하고, 변환키 이용시 운지 거리가 커서 비효율적이며, 두 개의 자음을 연속적으로 입력하는 것이 불편하다는 문제점이 있으며,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하는 것이 본 발명의 과제이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알게 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 청구 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목적을 해결하기 위하여, 휴대용 단말기에서 자음과 모음을 좌/우측으로 분리 배치하고, 자음/모음 변환키를 이용하여 확장 자음(거센소리, 된소리 등)이나 이중 모음(ㅑ, ㅕ, ㅛ, ㅠ, ㅐ, ㅒ, ㅔ, ㅖ)을 입력/수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욱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한글 입력 장치에 있어서, 기본 자음이 할당된 복수의 기본자음 키와, 상기 기본자음 키를 통하여 선택된 기본 자음을 확장 자음으로 변환하기 위한 자음 변환키로 이루어진 자음 키입력 수단; 기본 모음자소가 할당된 복수의 기본모음 키와, 이중 모음자소가 할당된 모음 변환키로 이루어진 모음 키입력 수단; 및 상기 자음 키입력 수단을 통하여 입력된 자음과 상기 모음 키입력 수단을 통하여 입력된 모음을 조합하여 한글 문자를 형성하는 문자조합 수단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은, 한글 입력 장치에 있어서, 각각의 기본 자음과 해당 확장 자음이 하나의 자음 그룹이 되어 하나의 키에 할당된 복수의 자음 키로 이루어진 자음 키입력 수단; 기본 모음자소가 할당된 복수의 기본모음 키와, 이중 모음자소가 할당된 모음 변환키로 이루어진 모음 키입력 수단; 및 상기 자음 키입력 수단을 통하여 입력된 자음과 상기 모음 키입력 수단을 통하여 입력된 모음을 조합하여 한글 문자를 형성하는 문자조합 수단을 포함한다.
또한, 한글 입력 장치에 적용되는 한글 자음 입력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에 의하여 선택된 기본자음 키에 해당하는 기본 자음을 입력 자음으로 인식하는 기본자음 입력 단계; 및 상기 사용자에 의하여 자음 변환키가 선택되면, 상기 인식된 기본 자음과 해당 확장 자음으로 이루어진 자음 그룹 내에서 상기 자음 변환키의 선택 횟수에 따라 어느 하나의 자음을 선정하여 상기 입력 자음을 변경하는 자음 변환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은, 기본 모음자소("ㅣ, ㅡ, ㆍ")에 할당된 복수의 기본모음 키와 이중 모음자소에 할당된 모음 변환키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한글 입력 장치에 적용되는 한글 모음 입력 방법에 있어서, 상기 기본모음 키와 상기 모음 변환키가 연속적으로 선택되면, 상기 선택된 기본모음 키에 해당하는 기본 모음자소를 확인하는 확인 단계; 상기 확인된 기본 모음자소가 "ㅣ" 또는 "ㅡ"이면, 상기 모음 변환키를 「ㆍ 중복입력 기능키」로 인식하여 제1 입력 모음을 생성하는 제1 입력 단계; 및 상기 확인된 기본 모음자소가 하나 또는 두 개의 "ㆍ"이면, 상기 모음 변환키를 「ㅣ 중복입력 기능키」로 인식하여 제2 입력 모음을 생성하는 제2 입력 단계 를 포함한다.
상기와 같은 발명은, 휴대용 단말기에서 자음과 모음을 좌/우측으로 분리 배치함으로써, 양손을 번갈아 사용하여 입력할 수 있으며, 또한 이로 인하여 타자 속도(한글 입력 속도)를 현저히 증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모음/자음 변환키를 통하여 다양한 모음/자음을 신속하게 입력할 수 있으며, 또한 잘못 입력된 한글(오타)을 변환키를 통하여 신속/용이하게 수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만약 실수로 초성을 잘못 입력하고 중성으로 넘어간 경우에도, 자음 변환키를 이용하여 자음(초성)을 용이하게 고칠 수 있다. 예를 들어, "ㅋ"을 입력해야 하는데, "ㄱ"을 입력하고 "ㅏ"로 넘어간 경우, 자음 변환키를 한번 누르면 "가"가 "카"로 변경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변환키 우선순위를 고려하여 변환키를 배치함으로써, 변환키의 운지 거리를 최소화할 수 있으며, 또한 이로 인하여 한글 입력의 효율성/편리성을 증대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동일한 키(버튼)에 있는 복수의 자음(예를 들면, ㄱ, ㅋ, ㄲ)에 대해서는 자음 변환키를 통해서만 변환(전환)되게 함으로써, 두 개의 자음을 연속적으로 신속/용이하게 입력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즉, 기존의 "천지인" 입력 방식에서의 문제를 해결하는 효과가 있다.
상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 질 것이며, 그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에서 변환키를 이용한 한글 입력 방법에 대한 제1 실시예 설명도로서, 자음 변환키 및/또는 모음 변환키가 포함된 반세벌식 자판 배열을 나타낸다.
개인용 컴퓨터(PC)의 세벌식 자판은 초성과 중성과 종성을 동시에 칠 수 있는 자판이다. 하지만, 휴대용 단말기는 자판의 크기 한계로 인하여 초성과 중성을 동시에 칠 수 있는 반세벌식 자판이다.
통상적으로 개인용 컴퓨터(PC)는 자판수를 많이 가질 수 있기 때문에, 초성, 중성, 종성을 모두 표시하지만, 휴대폰의 키패드는 12 키패드로 한정되어 있기 때문에 특정 자소는 변환과 조립을 통해서 입력하게 된다. 즉, 휴대용 단말기에서는 초성과 중성을 동시에 칠 수는 없기 때문에 본 발명에서는 자음과 모음의 조합 순서를 수정(변경)하여 양손으로 입력할 수 있는 반 세벌식 자판(키패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사용자 편리성을 고려한 자판 배열로서, 사용자로 하여금 양쪽 엄지로 자판을 칠 수 있게 하고 또한 자음-모음의 교차 입력을 유리하게 하기 위해서 자음 자판(기본자음 키)(20)은 좌측에 배치하고, 기본 모음자소(천지인 자소) 자판(21)은 우측에 배치한다. 그리고, 자음 변환키(22)와 모음 변환키(23)를 좌측 하단과 우측 하단에 배치한다.
본 발명에서 한글 입력 모드의 경우, 숫자 1번 키("ㄱㅋㄲ" 버튼)를 누르면 "ㄱ"이 되고, 이어서 "자음 변환키"(자음 변환 버튼)(22)를 한 번 누르면 "ㅋ"이 되고, 다시 자음 변환키(22)를 누르면 "ㄲ"이 된다. 즉, 동일한 버튼에 있는 "ㄱ", "ㅋ", "ㄲ"이 자음 변환키(22)에 의하여 「ㄱ→ㅋ→ㄲ→ㄱ」순서대로 반복적으로 변환된다. 즉, 자음 변환키(22)의 선택 횟수(버튼 누름 횟수)에 따라, 「기본 자음과 확장 자음으로 이루어진 자음 그룹("ㄱㅋㄲ" 등) 내에서 일정한 순서대로(기본 자음→ 거센소리→된소리(쌍자음), 또는 ㄴ→ㄹ, 또는 ㅍ→ㅎ) 어느 하나의 자음이 입력 자음으로 결정된다.
이는 기존의 "천지인" 입력 방식이 가지는 2개의 자음의 연속적 입력시에 발생하는 문제를 해결한다. 즉, 본 발명은 연속된 자음 입력이 불가능한 특수 상황을 제거하기 위해서 자음 변환키(22)를 사용한다.
본 발명에서, 예를 들어 숫자 1번 키를 여러 번 누르면, 해당 기본 자음("ㄱ")만이 그 횟수만큼 입력되는 것이지, 동일한 버튼(키)에 있는 해당 거센소리("ㅋ")나 된소리("ㄲ")로 변경(변환)되지 않는다. 즉, 도 2의 자판 배열에서 동일한 키(버튼) 내에 기본 자음과 함께 표시된 거센소리(ㅋ, ㅌ, ㅊ 등), 된소리(ㄲ, ㄸ, ㅃ, ㅆ, ㅉ 등), 관련 자음(ㄹ, ㅎ) 등의 확장 자음은 자음 변환키(22)에 의해서 순서대로 변환된다.
그리고, 도 2의 키패드 상에서는 기본 자음과 확장 자음이 함께 표시되어 있으나, 이는 하나의 키에 기본 자음과 해당 확장 자음이 할당되어 있다는 것(이것은 기존의 "천지인" 입력방식의 키패드의 구조임)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자음 변환키(22)에 의하여 확장될 수 있는 자음을 해당 기본 자음과 함께 표시한 것에 불과하며, 이는 도 3도 마찬가지이다.
도 2의 자판 배열에서는 자음 입력시의 운지 거리를 특별히 고려하지 않았기 때문에 다소 비효율적인 면이 있다. 따라서, 운지 거리를 고려한 효율적인 "자음" 배열에 대해서는 도 3에서 설명하기로 한다.
다음은, 본 발명에 따른 "모음" 배치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기존의 천지인 모음 입력 방식에서 3타 이상이 필요한 모음을 조사해보면, 「ㅑ」「ㅕ」「ㅛ」「ㅠ」「ㅐ」「ㅒ」「ㅔ」「ㅖ」가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들의 공통점은 「ㅑ」「ㅕ」「ㅛ」「ㅠ」와 같이 「ㆍ」을 두 번 누르거나, 「ㅐ」「ㅒ」「ㅔ」「ㅖ」와 같이 「ㅣ」를 두 번 눌러야 한다는 점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키패드에서 3개의 버튼은 천지인의 모음자소(모음 조각)인 「ㅡ」 「ㅣ」 「ㆍ」으로 배치(할당)하고, 나머지 한 키는 일종의 특수키(모음 변환키)로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본 발명에서 이중 모음은 기본모음 키(21)를 누른 후, 모음 변환키(23) 의 조작을 통하여 입력할 수 있다. 여기서, 모음 변환키(23)는 이중 모음 입력시의 조작 횟수의 감소를 위하여 고안된 것으로서, 「ㅣ」를 두 번 누르거나 또는 「ㆍ」를 두 번 누르는 것과 같은 기능을 수행하는 것인데, 모음 변환키를 누르기 직전에 입력된 기본 모음자소(모음조각)나, 모음 변환키를 누른 직후에 입력된 기본 모음자소(모음 조각)의 유형에 따라 자동으로 결정된다. 즉, 모음 변환키(23)는 "ㅣ" 중복 입력 기능키 또는 "ㆍ" 중복 입력 기능키에 해당한다.
예를 들어, 「ㅣ」키를 누른 후 모음 변환키(23)를 누르면, 「ㆍ」두 개를 입력한 것과 같이 「ㅑ」가 된다. 「ㆍ」키를 누른 후 모음 변환키(23)를 누르면, 「ㅣ」두 개를 입력한 것과 같이 「ㅔ」가 된다. 모음 변환 키(23)를 누른 후, 「ㆍ」키를 두 번 누르면 「ㅒ」가 된다. 구체적인 예는 아래의 [표 1]과 같다. 그리고, [표 1]에서 "변"은 모음 변환키(23)를 의미한다.
아래의 [표 1]을 상세히 살펴보면, 대부분의 모음이 2타임을 알 수 있다. 특히,「ㅒ」나 「ㅖ」의 경우, 모음 변환키의 역할인 "「ㆍ」 두 번"과 "「ㅣ」두 번"이 한 버튼에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모음 변환키(23)를 통해서는 「ㅣ」를 두 번 누르는 일을 하고, 여기에 사용자가 「ㆍ」 을 두 번 눌러 주도록 한다.
Figure 112008052313657-PAT00002
한편, 기존의 모음입력 방식과 본 발명의 모음입력 방식을 비교하면, 아래의 [표 2]와 같다. 그리고, [표 2]에서 "천지인"은 (주)삼성전자에서 사용하고 있는 휴대단말기의 한글(특히, 모음) 입력방식이고, "나랏글"은 LG 전자에서 사용하고 있는 휴대 단말기의 모음 입력방식이다.
Figure 112008052313657-PAT00003
기존의 "천지인" 입력 방식은 「ㅡ」 「ㅣ」 「ㆍ」 과 같은 기본 모음자소(모음 조각)를 사용하여 직관적으로 모음을 입력할 수 있다. 하지만, 모음 타수가 획순에 비례하기 때문에 전체적으로 타수가 많아진다는 문제가 있다.
이와 달리, "나랏글" 입력 방식의 경우는 기본모음인 「ㅏㅓ」, 「ㅗㅜ」, 「ㅡ」,「ㅣ」과 「*」(획추가 키)를 사용하여 「ㅑ」「ㅕ」「ㅛ」「ㅠ」를 만들거나, 기본 모음들의 조합을 통하여 다른 모음을 만들 수 있는 데, 이를 위해서는 일정한 학습(사용법 학습)이 필요하다는 문제가 있지만, 기존의 자음 분리 자판 중에서는 그래도 양호한 모음타수와 운지 거리를 가진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모음 입력 방식은 "천지인" 입력방식과 같은 직관성을 지니면서도 "나랏글" 입력 방식에서의 모음부 수준의 타수와 운지 거리를 갖고자 한다. 본 발명에서는 자음부에서 자음 변환키(22)를 포함하여 8개의 버튼을 사용했기 때문에 남은 버튼 4개를 이용하여 모음 입력 구조를 제공한다.
위의 [표 3]을 통하여 본 발명과 종래 기술을 비교하면, 본 발명은 타건 수 측면에서 장점이 있는 LG 전자의 "나랏글" 방식보다도 타건수가 더욱 감소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에서 변환키를 이용한 한글 입력 방법에 대한 제2 실시예 설명도로서, 도 2와 달리 자음 변환키(22)의 위치를 손가락의 동선을 고려하여 효율적으로 배치한 것이다.
본 발명은 변환키 우선순위를 고려한 자판 배열 방식에 관한 것으로서, 그 구체적인 자판 배열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다. 여기서, 변환키 우선순위란 숨겨진 글(예를 들면, 드러난 글자는 "ㄱ"이고, 숨겨진 글자는 "ㅋ", [표 3] 참조) 중에서 발생 확률이 높은 숨겨진 글자를 자음 변환키에 가깝게 배치하기 위한 우선 순위를 의미한다.
「ㄱ, ㄷ, ㅂ, ㅅ, ㅈ」과 같이, 쌍 자음(된 소리)「ㄲ, ㄸ, ㅃ, ㅆ, ㅉ」이 있는 버튼에는 3개의 글자를 배치한다. 예를 들어, 숫자 1 버튼에 "ㄱㅋㄲ"을 배치하는 것이다.
그리고, 초성의 자판을 배열함에 있어서, 1,547개 한글 음절의 빈도 수로부터 초성과 종성의 발생 확률을 기본으로 하여 우선순위가 높은 자음이 한 번에 검색되도록 배치한다.
우선순위가「ㄱ,ㅇ,ㄹ,ㅈ,ㄷ,ㅅ,ㅂ,ㅁ,ㅎ,ㄴ,ㅊ,ㅌ,ㅍ,ㅋ」와 같은 자음 중에 우선 순위가 높은 7개(ㄱ,ㅇ,ㄴ,ㅈ,ㄷ,ㅅ,ㅁ)를 우선 배치하고, 남은 7개의 자음(ㅂ,ㅎ,ㄷ,ㅊ,ㅌ,ㅍ,ㅋ)은 사용자의 인식 가능성에 맞추어 배치한다. 또한, 각각의 자음 쌍은 14개의 자음을 연관된 자음으로 짝을 지어보는 설문 조사를 통해 나온 결과를 기초로 배치하였다. 구체적으로, 아래의 [표 3]과 같이 나타낸다.
드러난 글자 숨겨진 글자 변환키 우선순위
7
3
1
4
5
6
2
기존의 휴대 단말기에서 변환키가 좌/우측 최하단에 있는 「*」키나 「#」키에 배치하는 경우(예를 들면, "나랏글" 입력 방법)가 많은데, 이렇게 배치하면 최대 운지거리가
Figure 112008052313657-PAT00004
으로 길게 된다.
그러나, 숫자 5나 8에 해당하는 버튼 위치에 자음 변환키(22)를 배치하면 최대 운지 거리가
Figure 112008052313657-PAT00005
가 되기 때문에 운지 거리 측면에서는 더욱 효율적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서는 변환키 우선순위를 고려하여 변환키(21)를 키패드 「5」에 배치한다. 만약, 키패드 「5」에 특수키, 즉 자음 변환키를 배치한 경우, 가장 멀리 있는 버튼은 "ㅅㅍㅆ" 버튼으로, 피타고라스 정리를 통하여 최대 운지 거리를 구하면
Figure 112008052313657-PAT00006
이다.
자음 변환키(22)를 키패드 「7」에 배치하지 않은 이유는 우선순위에서 첫 번째인 「ㄴ-ㄹ」쌍을 변환키에 가까우면서도 키패드「2」에 배치하기 위함이다.
위에서 도 2 및 도 3을 참조해서 자음 변환키(22)와 모음 변환키(23)가 함께 있는 경우를 설명하였으나, 실시예에 따라서는 본 발명은 "자음 변환키를 사용한 자음 변환 방식"과 기존의 "천지인 모음 입력 방식"이 결합할 수 있고, 또는 기존의 "천지인 자음 입력 방식(각각의 키에 기본 자음과 해당 확장 자음을 할당하고 해당 키의 선택 횟수에 따라 반복순환적으로 입력 자음을 변경하는 방식)"과 "모음 변환키를 사용하는 모음 입력 방식"이 결합할 수도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자음 변환키의 수정 기능에 대한 설명도이다.
"박"을 치기 위해서 "ㅁ→ㅂ→비→바→박"이나,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ㅁ(101)→미(102)→비(103)→바(104)→박(105)"와 같은 과정이 가능하다.
여기서, "ㅁ→ㅂ→비→바→박"에서 "ㅁ→ㅂ"는 자음 변환키(22)에 의해서 가능한 것이다. 그리고, "ㅁ→미→비→바→박"에서 "미(102)→비(103)"는 본 발명의 자음 변환키(32)를 이용한 오타의 수정의 예로서 "ㅁ", "ㅣ"을 누른 후, 자음 변환키(22)를 누르면 "ㅁ"만이 "ㅂ"으로 변경된다.
위와 같이 초성과 중성의 상태 변화가 가능하다는 점은, 자음 버튼을 키패드의 좌측에 배치하고 모음 버튼을 우측에 배치를 하여, 양손 타자의 최적화를 유도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밥"을 써야 하는데, "밤"을 쓴 경우, 자음 변환키(22)를 통하여 "밥"으로 수정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문자입력 장치의 일실시예 구성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문자입력 장치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음 키입력부(50), 모음 키입력부(51), 문자 조합부(52), 및 디스플레이부(53)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하, 각각의 구성요소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자음 키입력부(50)는 기본 자음이 할당된 7개의 "기본자음 키"(501, 도 2의 "20" 참조)와 기본자음 키를 통하여 선택된 기본 자음을 확장 자음으로 변환하기 위한 "자음 변환키"(502, 22)로 이루어진다(도 2, 도 3 참조). 실시예에 따라서는, 자음 키입력부(50)는 기존의 천지인 자음 입력방식(도 1a 참조)을 사용할 수도 있다.
모음 키입력부(51)는 기본 모음자소("ㅣ", "ㆍ", "ㅡ")가 할당된 3개의 기본모음 키(511, 도 2의 "21")와 이중 모음자소(예를 들면, "ㅣㅣ" 또는 "ㆍㆍ")가 할당된 모음 변환키(512, 23)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실시예에 따라서는 기존의 천지인 입력방식과 같이 "모음 변환키"가 제외될 수 있다.
문자 조합부(52)는 자음 키입력부(50)를 통하여 입력된 자음과 모음 키입력부(51)를 통하여 입력된 모음을 조합하여 한글 문자를 형성한다. 이렇게 형성된 문자는 디스플레이부(53)를 통하여 디스플레이된다.
먼저, 자음 변환키(502)를 이용한 자음 입력과 관련하여 문자 조합부(52)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문자 조합부(52)는 자음 변환키(502)의 선택 횟수(버튼 눌림 횟수)에 따라, 기본 자음과 확장 자음으로 이루어진 자음 그룹 내에서 기설정된 자음 순서대로 어느 하나의 자음을 입력 자음으로 인식한다. 특히, 문자 조합부(52)는 하나의 문자를 형성하는 중에 자음 변환키(502)의 선택(버튼 눌림)이 감지되면, 해당 문자에서 후(後) 입력된 자음을 해당 자음 그룹 내의 다른 자음으로 변경한다(도 4 참조).
예를 들어, 초성과 중성이 입력된 후에(즉, "가" 입력상태에서) 자음 변환키(502)가 선택된 경우에는 초성("ㄱ")을 변경하고("가"를 "카"로 변경), 초성과 중성과 종성이 입력된 후에(즉, "감" 입력상태에서) 자음 변환키(502)가 선택된 경우에는 종성("ㅁ")을 변경("감"을 "갑"으로 변경)한다.
다음은, 모음 변환키(512)를 이용한 모음 입력과 관련하여 문자 조합부(52)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기본모음 키(511)와 모음 변환키(512)가 연속적으로 선택되면, 문자 조합부(52)는 그 선택된 기본모음 키에 해당하는 기본 모음자소의 종류를 확인한다.
확인 결과, 선택된 기본 모음자소가 "ㅣ" 또는 "ㅡ"이면, 모음 변환키(512)를 「ㆍ 중복입력 기능키」로 인식하여 입력 모음을 생성한다. 즉, ① "ㅣ" 키가 선택된 후 모음 변환키가 선택되면 "ㅑ", ②모음 변환키가 선택된 후 "ㅣ" 키가 선택되면, "ㅕ", ③"ㅡ" 키가 선택된 후 모음 변환키가 선택되면, "ㅠ", ④모음 변환키가 선택된 후 "ㅡ" 키가 선택되면, "ㅛ"를 입력 모음으로 생성한다([표 1 ] 참조). 이렇게 함으로써, 사용자는 타수를 줄일 수 있게 된다.
확인 결과, 선택된 기본 모음자소가 하나 또는 두 개의 "ㆍ"이면, 모음 변환키를 「ㅣ 중복입력 기능키」로 인식하여 입력 모음을 생성한다. 즉, ①"ㆍ" 키가 선택된 후 모음 변환키가 선택되면, "ㅔ", ②모음 변환키가 선택된 후 "ㆍ" 키가 선택되면, "ㅐ", ③"ㆍ" 키가 두 개 선택된 후 모음 변환키가 선택되면, "ㅖ", ④모음 변환키가 선택된 후 "ㆍ" 키가 두 개 선택되면, "ㅒ"를 입력 모음으로 생성한다.
위와 같이, 모음 변환키(512)에 의하여 "ㅑ, ㅕ, ㅛ, ㅠ, ㅔ, ㅐ, ㅖ"를 효과적으로 입력할 수 있지만, 기존의 "천지인" 입력 방식과 같이 기본모음 키(511)를 이용해서도 입력하는 것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방법은 컴퓨터 프로그램으로 작성이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프로그램을 구성하는 코드 및 코드 세그먼트는 당해 분야의 컴퓨터 프로그래머에 의하여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작성된 프로그램은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정보저장매체)에 저장되고, 컴퓨터에 의하여 판독되고 실행됨으로써 본 발명의 방법을 구현한다. 그리고 상기 기록매체는 컴퓨터가 판독할 수 있는 모든 형태의 기록매체를 포함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도 1a 및 도 1b는 종래의 휴대용 단말기의 자판 배열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에서 변환키를 이용한 한글 입력 방법에 대한 제1 실시예 설명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에서 변환키를 이용한 한글 입력 방법에 대한 제2 실시예 설명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자음 변환키의 수정 기능에 대한 설명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문자입력 장치의 일실시예 구성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22: 자음 변환키 23: 모음 변환키
50: 자음 키입력부 51: 모음 키입력부
52: 문자 조합부 53: 디스플레이부

Claims (26)

  1. 한글 입력 장치에 있어서,
    기본 자음이 할당된 복수의 기본자음 키와, 상기 기본자음 키를 통하여 선택된 기본 자음을 확장 자음으로 변환하기 위한 자음 변환키로 이루어진 자음 키입력 수단;
    기본 모음자소가 할당된 복수의 기본모음 키와, 이중 모음자소가 할당된 모음 변환키로 이루어진 모음 키입력 수단; 및
    상기 자음 키입력 수단을 통하여 입력된 자음과 상기 모음 키입력 수단을 통하여 입력된 모음을 조합하여 한글 문자를 형성하는 문자조합 수단
    을 포함하는 변환키를 이용한 한글 입력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자음 키입력 수단은,
    키패드의 좌측 두 열에 배치되고;
    상기 모음 키입력 수단은,
    상기 키패드의 우측 한 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환키를 이용한 한글 입력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자음 변환키는,
    상기 키패드의 좌측 제1 열의 최하단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환키를 이용한 한글 입력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자음 키입력 수단은,
    "ㄱ", "ㄴ", "ㄷ", "ㅁ", "ㅇ", "ㅈ", "ㅍ"이 각각 할당된 7개의 기본자음 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환키를 이용한 한글 입력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자음 키입력 수단에서,
    상기 키패드의 좌측 제1 열의 자음 키에는 "ㄱ", "ㄷ", "ㅇ" 이 순서대로 할당되고, 좌측 제2 열의 자음 키에는 "ㄴ", "ㅁ", "ㅈ", "ㅍ"이 순서대로 할당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환키를 이용한 한글 입력 장치.
  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자음 변환키는,
    상기 키패드의 좌측 제2 열의 제2 행 또는 제3 행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환키를 이용한 한글 입력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자음 키입력 수단은,
    "ㄱ", "ㄷ", "ㅇ", "ㅅ", "ㄴ", "ㅁ", "ㅈ"이 각각 할당된 7개의 기본자음 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환키를 이용한 한글 입력 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자음 키입력 수단에서,
    상기 키패드의 좌측 제1 열의 자음 키에는 "ㄱ", "ㄷ", "ㅇ", "ㅅ" 순서대로 할당되고, 좌측 제2 열의 자음 키에는 "ㄴ", "ㅁ", "ㅈ" 순서대로 할당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환키를 이용한 한글 입력 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문자조합 수단은,
    상기 자음 변환키의 선택 횟수에 따라, 기본 자음과 확장 자음으로 이루어진 자음 그룹 내에서 소정의 자음 순서대로 어느 하나의 자음을 입력 자음으로 인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환키를 이용한 한글 입력 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문자조합 수단은,
    하나의 문자를 형성하는 중에 상기 자음 변환키의 선택이 감지되면, 해당 문자에서 후(後) 입력된 자음을 해당 자음 그룹 내의 다른 자음으로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환키를 이용한 한글 입력 장치.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자음 그룹은,
    「ㄱ,ㅋ, ㄲ」, 「ㄷ, ㅌ, ㄸ」, 「ㅇ, ㅅ, ㅆ」, 「ㄴ, ㄹ」, 「ㅁ, ㅂ, ㅃ」, 「ㅈ, ㅊ, ㅉ」, 「ㅍ, ㅎ」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환키를 이용한 한글 입력 장치.
  12.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자음 그룹은,
    「ㄱ,ㅋ, ㄲ」, 「ㄷ, ㅌ, ㄸ」, 「ㅇ, ㅎ」, 「ㅅ, ㅍ, ㅆ」, 「ㄴ, ㄹ」, 「ㅁ, ㅂ, ㅃ」, 「ㅈ, ㅊ, 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환키를 이용한 한글 입력 장치.
  13. 한글 입력 장치에 있어서,
    각각의 기본 자음과 해당 확장 자음이 하나의 자음 그룹이 되어 하나의 키에 할당된 복수의 자음 키로 이루어진 자음 키입력 수단;
    기본 모음자소가 할당된 복수의 기본모음 키와, 이중 모음자소가 할당된 모음 변환키로 이루어진 모음 키입력 수단; 및
    상기 자음 키입력 수단을 통하여 입력된 자음과 상기 모음 키입력 수단을 통하여 입력된 모음을 조합하여 한글 문자를 형성하는 문자조합 수단
    을 포함하는 변환키를 이용한 한글 입력 장치.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자음 키입력 수단은,
    키패드의 좌측 두 열에 배치되고;
    상기 모음 키입력 수단은,
    상기 키패드의 우측 한 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환키를 이용한 한글 입력 장치.
  15.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문자조합 수단은,
    상기 자음 키의 선택 횟수에 따라, 해당 자음 키에 할당된 자음 그룹 내에서 소정의 자음 순서대로 어느 하나의 자음을 입력 자음으로 인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환키를 이용한 한글 입력 장치.
  16. 제 2 항 또는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모음 키입력 수단은,
    "ㅣ", "ㆍ", "ㅡ"이 각각 할당된 3개의 기본모음 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환키를 이용한 한글 입력 장치.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모음 변환키는,
    "ㅣ" 중복입력 기능키 또는 "ㆍ" 중복입력 기능키에 해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환키를 이용한 한글 입력 장치.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문자조합 수단은,
    상기 모음 변환키가 선택되기 직전에 선택된 기본모음 키의 유형 또는 상기 모음 변환키가 선택된 직후에 선택된 기본모음 키의 유형에 따라, 중복입력 기능키의 종류를 결정하여 문자 조합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환키를 이용한 한글 입력 장치.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문자조합 수단은,
    "ㅣ" 또는 "ㅡ" 전후에 상기 모음 변환키가 선택된 경우에는 "ㆍ" 중복 입력 기능키로 결정하고, "ㆍ" 또는 "ㆍㆍ" 전후에 상기 모음 변환키가 선택된 경우에는 "ㅣ" 중복입력 기능키로 결정하여 문자 조합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환키를 이용한 한글 입력 장치.
  20. 한글 입력 장치에 적용되는 한글 자음 입력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에 의하여 선택된 기본자음 키에 해당하는 기본 자음을 입력 자음으로 인식하는 기본자음 입력 단계; 및
    상기 사용자에 의하여 자음 변환키가 선택되면, 상기 인식된 기본 자음과 해당 확장 자음으로 이루어진 자음 그룹 내에서 상기 자음 변환키의 선택 횟수에 따라 어느 하나의 자음을 선정하여 상기 입력 자음을 변경하는 자음 변환 단계
    를 포함하는 변환키를 이용한 한글 자음 입력 방법.
  21.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자음 그룹은,
    「ㄱ,ㅋ, ㄲ」, 「ㄷ, ㅌ, ㄸ」, 「ㅇ, ㅅ, ㅆ」, 「ㄴ, ㄹ」, 「ㅁ, ㅂ, ㅃ」, 「ㅈ, ㅊ, ㅉ」, 및 「ㅍ, ㅎ」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환키를 이용한 한글 자음 입력 방법.
  22.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자음 그룹은,
    「ㄱ,ㅋ, ㄲ」, 「ㄷ, ㅌ, ㄸ」, 「ㅇ, ㅎ」, 「ㅅ, ㅍ, ㅆ」, 「ㄴ, ㄹ」, 「ㅁ, ㅂ, ㅃ」, 및 「ㅈ, ㅊ, ㅉ」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환키를 이용한 한글 자음 입력 방법.
  23.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자음 변환 단계는,
    초성과 중성이 입력된 후에 상기 자음 변환키가 선택된 경우에는 상기 초성을 변경하고, 초성과 중성과 종성이 입력된 후에 상기 자음 변환 키가 선택된 경우에는 상기 종성을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환키를 이용한 한글 자음 입력 방법.
  24. 기본 모음자소("ㅣ, ㅡ, ㆍ")에 할당된 복수의 기본모음 키와 이중 모음자소에 할당된 모음 변환키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한글 입력 장치에 적용되는 한글 모음 입력 방법에 있어서,
    상기 기본모음 키와 상기 모음 변환키가 연속적으로 선택되면, 상기 선택된 기본모음 키에 해당하는 기본 모음자소를 확인하는 확인 단계;
    상기 확인된 기본 모음자소가 "ㅣ" 또는 "ㅡ"이면, 상기 모음 변환키를 「ㆍ 중복입력 기능키」로 인식하여 제1 입력 모음을 생성하는 제1 입력 단계; 및
    상기 확인된 기본 모음자소가 하나 또는 두 개의 "ㆍ"이면, 상기 모음 변환 키를 「ㅣ 중복입력 기능키」로 인식하여 제2 입력 모음을 생성하는 제2 입력 단계
    를 포함하는 변환키를 이용한 한글 모음 입력 방법.
  25. 제 2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입력 단계는,
    "ㅣ" 키가 선택된 후 상기 모음 변환키가 선택되면, "ㅑ";
    상기 모음 변환키가 선택된 후 "ㅣ" 키가 선택되면, "ㅕ";
    "ㅡ" 키가 선택된 후 상기 모음 변환키가 선택되면, "ㅠ";
    상기 모음 변환키가 선택된 후 "ㅡ" 키가 선택되면, "ㅛ"를
    상기 제1 입력 모음으로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환키를 이용한 한글 모음 입력 방법.
  26. 제 24 항 또는 제 25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입력 단계는,
    "ㆍ" 키가 선택된 후 상기 모음 변환키가 선택되면, "ㅔ";
    상기 모음 변환키가 선택된 후 "ㆍ" 키가 선택되면, "ㅐ";
    "ㆍ" 키가 두 개 선택된 후 상기 모음 변환키가 선택되면, "ㅖ";
    상기 모음 변환키가 선택된 후 "ㆍ" 키가 두 개 선택되면, "ㅒ"를
    상기 제2 입력 모음으로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환키를 이용한 한글 모음 입력 방법.
KR1020080070813A 2007-07-20 2008-07-21 변환키를 이용한 한글 입력 장치 및 그 방법 KR10097128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73072 2007-07-20
KR20070073072 2007-07-2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9757A true KR20090009757A (ko) 2009-01-23
KR100971280B1 KR100971280B1 (ko) 2010-07-20

Family

ID=404893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70813A KR100971280B1 (ko) 2007-07-20 2008-07-21 변환키를 이용한 한글 입력 장치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7128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43104A (ko) * 2019-06-14 2020-12-23 주식회사 엔씨소프트 문자 입력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54288A (ko) * 1999-12-04 2001-07-02 김용숙 기본문형을 조합하여 한글, 영어를 입력하는 문자입력장치
KR100437405B1 (ko) * 2002-04-03 2004-06-25 엘지전자 주식회사 전자레인지의 컨트롤러 장착구조
KR200379362Y1 (ko) * 2004-12-07 2005-03-17 서영환 가로세로 막대한글에 의한 개선된 유무선전화기 한글입력장치
KR100628381B1 (ko) * 2005-02-23 2006-09-27 와이더댄 주식회사 한글 입력 방법 및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43104A (ko) * 2019-06-14 2020-12-23 주식회사 엔씨소프트 문자 입력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71280B1 (ko) 2010-07-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02400B1 (ko) 통신용 단말기의 문자/숫자 입력장치 및 입력방법
KR20080034110A (ko)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버튼 확장형 문자입력방법
US6799914B2 (en) Arabic-persian alphabeth input apparatus
KR100579814B1 (ko) 이동 단말기용 문자 입력 시스템과 이를 이용한 이동 단말기
KR100641448B1 (ko) 단말기의 한글 자음 및 모음 입력방법
KR100971280B1 (ko) 변환키를 이용한 한글 입력 장치 및 그 방법
EP1875620B1 (en) Hangeul input keypad and methods using the same
KR101249329B1 (ko) 키조합 방식의 자판 및 이를 이용한 문자 입력 방법
KR100790550B1 (ko) 터치패널의 문자입력장치
KR100766717B1 (ko) 문자입력방법
KR100609287B1 (ko) 5행3열 플러스 키패드의 자/모음 배열과정과 그 한글 코드 발생 장치 및 방법
KR100616225B1 (ko) 휴대용 단말기에 있어서 문자 입력 장치 및 방법
KR100373332B1 (ko)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한글문자 입력 방법
KR101271352B1 (ko) 5버튼 키보드
KR100428691B1 (ko) 한글 입력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457191B1 (ko) 휴대용 단말기에 있어서 문자 입력 장치 및 방법
KR100823307B1 (ko) 문자입력방법
KR100373330B1 (ko)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한글문자 입력 방법
KR200318329Y1 (ko) 숫자 키패드를 통한 한글입력 장치 및 방법
KR20020012823A (ko) 1개의 문자전환 버튼을 이용한 문자 입력 방법
KR101040610B1 (ko) 전자기기에 사용되는 한글 입력 키패드 및 한글 입력 방법
KR200407401Y1 (ko) 한글입력장치
JP4227891B2 (ja) キーボードを用いた文書入力システムと該システムを備えた電子機器
KR100741639B1 (ko) 기본자를 이용한 문자 표시방법
KR101228079B1 (ko) 터치스크린 단말기의 문자입력방법 및 이를 이용한 터치스크린 단말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