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09402U - 무접합 패스트푸드 포장용 박스 - Google Patents

무접합 패스트푸드 포장용 박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09402U
KR20090009402U KR2020080003395U KR20080003395U KR20090009402U KR 20090009402 U KR20090009402 U KR 20090009402U KR 2020080003395 U KR2020080003395 U KR 2020080003395U KR 20080003395 U KR20080003395 U KR 20080003395U KR 20090009402 U KR20090009402 U KR 20090009402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x
present
height
portions
b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8000339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경남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한선팩키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한선팩키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한선팩키지
Priority to KR202008000339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09402U/ko
Publication of KR2009000940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09402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42Details of containers or of foldable or erectable container blanks
    • B65D5/44Integral, inserted or attached portions forming internal or external fittings
    • B65D5/48Partitions
    • B65D5/48002Partitions integral
    • B65D5/48004Squaring, i.e. at least four not aligned compartments
    • B65D5/4801Squaring, i.e. at least four not aligned compartments formed by folding extensions of side panels of a "cross-like" body blan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02Internal fittings
    • B65D25/04Parti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42Details of containers or of foldable or erectable container blanks
    • B65D5/44Integral, inserted or attached portions forming internal or external fittings
    • B65D5/46Handles
    • B65D5/46072Handles integral with the container
    • B65D5/46088Handles integral with the container formed by extensions of closure flaps, by closure flaps or by extensions of side flaps of a container formed by folding a blank to form a tubular body
    • B65D5/46096Handles integral with the container formed by extensions of closure flaps, by closure flaps or by extensions of side flaps of a container formed by folding a blank to form a tubular body two opposite closure flaps being provided with handle elements which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 B65D5/46112Handles integral with the container formed by extensions of closure flaps, by closure flaps or by extensions of side flaps of a container formed by folding a blank to form a tubular body two opposite closure flaps being provided with handle elements which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either the handle elements being formed with lugs which engage with the other side walls or closure flaps, or the other closure flaps folding over a part of the handle to maintain the handle in posi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arton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무접합 패스트푸드 포장용 박스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하나의 하드보드(Hard-board)를 절단 성형하고 풀칠을 하지 않고 조립하며, 포장과 운반 시에는 박스로 사용하고, 내용물을 먹을 경우에는 박스 전체면을 오픈시켜 바닥에 펼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필요한 경우에는 이등분이 가능한 무접합 패스트푸드 포장용 박스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바닥면(30)의 상측과 하측으로 측면 높이부(11, 11a)에 양쪽으로 연결부(12, 12a, 13, 13a)를 형성하여 연결홈(15, 15a, 16, 16a)를 각각 연결하는 측면 성형부(10)와; 상기 바닥면(30)의 양측면으로 바닥 높이부(21, 22)와 손잡이(25)와 손잡이홈(26)을 형성한 덮개부(23, 24)를 갖는 덮개 성형부(20)로 이루어진 포장용 박스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12a, 13)의 한쪽 선단에 선택 돌출부(14, 14a)를 형성하여 연결홈(15a, 15b)에서 절곡하여 바닥면(30)을 이등분하거나 바닥 높이부(21, 22)에 겹치게 형성되어 바닥면(30)을 하나의 공간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무접합, 패스트푸드, 포장용 박스

Description

무접합 패스트푸드 포장용 박스{Non-joining a packaging box of fastfood}
본 고안은 무접합 패스트푸드 포장용 박스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하나의 하드보드(Hard-board)를 절단 성형하고 풀칠을 하지 않고 조립하며, 포장과 운반 시에는 박스로 사용하고, 내용물을 먹을 경우에는 박스 전체면을 오픈시켜 바닥에 펼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필요한 경우에는 이등분이 가능한 무접합 패스트푸드 포장용 박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후라이드 치킨 또는 햄버거 등과 같은 패스트푸드는 매장에서 바로 먹기도 하나, 포장하여 원하는 장소로 이동하여 먹기도 한다.
이와 같이, 패스트푸드를 포장하여 이동 시, 패스트푸드 포장용 박스를 이용하게 되는데, 종래의 패스트푸드 포장용 박스는 특별히 제작된 것이 아니라, 하드보드(Hard-board)를 절단하여 만들어진 일반적인 사각 박스와 유사한 것이다.
이러한 사각 박스는 바닥면에 대해 높이부가 형성되며, 그 높이부 중 어느 한 면이 연장되어 덮개를 구성함으로써, 전술한 덮개가 반대쪽 높이부와 끼워져 닫 히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 패스트푸드 포장용 박스는 주된 음식물을 포장하는데 이용되며, 별도의 소스 및 기타 음식물은 독립되게 각각 포장하여 봉투에 담아서 포장한다.
이럴 경우, 포장에 소용되는 시간이 많으며, 포장용품 또한 과다하게 투입되어, 쓰레기 배출량이 과다할 뿐 아니라, 박스라는 협소한 공간에서 내용물 즉, 음식물을 집어서 먹기란 여간 불편한 것이 아니었다.
특히, 여러 사람이 동시다발적으로 집어 먹을 경우, 번잡스럽고 음식물이 더럽혀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고려하여 최근에 선출원한 바 있는 패스트푸드 포장용 박스(국내실용신안등록출원 제 2006-3645호)는, 바닥면의 4면으로부터 연장 형성되어, 수직 절곡 되면서 박스의 두께를 형성하는 높이 형성부와; 전술한 높이 형성부의 가로 높이면 양단으로부터 연장 형성되어, 절곡을 통해 박스의 내측 공간을 분할하는 분할면 1ㆍ2와; 전술한 높이 형성부의 세로 높이면 선단으로부터 연장 형성되어 박스의 상부를 개폐시키되, 연장되는 면의 중앙 부분이 각각 절결되어, 절곡을 통해 손잡이와 증기 배출공이 형성되는 덮개 형성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러한, 선출원 기술은 전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보완하였으나, 덮개형성부인 덮개면 1ㆍ2가 내용물의 하중에 의해 쳐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가로 높이면이 바닥면으로부터 돌출된 상태에서 포장은 완료하는 경 우 가로 높이면의 상측부가 덮개부로부터 외측으로 벌어지게 되므로 내용물이 육안으로 보이게 되므로 미관 및 위생상 좋지 못한 단점이 있으며, 익혀진 상태가 그대로 보존되어야 하지만 공기에 노출되므로 쉽게 식어 맛이 저하되고, 제품의 신뢰성을 상실하는 원인이 되었다.
아울러, 포장물의 종류에 따라서 이등분해야 하는 경우가 발생하면 외부에서 별도로 이등분할 수 있는 판넬 또는 용기 등을 준비하고 있다가 사용하게 되므로 보관과 사용의 어려움이 있게 되었다.
본 고안은 이러한 종래의 결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전체면을 하나의 하드보드를 절단 성형하여 풀칠을 하지 않고 조립식으로 박스를 성형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고안은 바닥면을 하나로 사용하거나, 조립상태에서 분할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고안은 사각형의 박스와 같이 조립하여 사용하거나, 손잡이를 성형하여 포장상태로 박스를 성형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고안은 내용물을 먹거나 사용하는 경우에는 전체면을 펼친 상태로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고안은 전체면을 하나의 하드보드로 절단 성형하여 풀칠을 한 부분도 하지 않고 조립식으로 박스를 성형할 수 있도록 하는 위생적인 박스를 제공함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본 고안은 측면 높이부에 연결된 연결부의 한 방향으로 선택 돌출부를 형성하여 바닥면을 하나로 사용하거나, 조립한 상태에서 분할하여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고안은 사각형의 박스로 조립하여 외부로 돌출되는 부분이 없이 사용할 수 있도록 하거나, 결합 돌출부를 돌출시켜 손잡이가 형성되면서 운반이 편리하도록 조립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고안은 풀칠을 하지 않고 조립식으로 성형하는 것이어서, 내용물을 사용하거나 먹는 경우에는 박스를 바닥에 모두 펼친 상태를 제공하여 넓은 면적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은 본 고안은 전체면을 하나의 하드보드로 절단 성형하여 풀칠을 한 부분도 하지 않아 위생적으로 박스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하며, 조립식으로 박스를 성형할 수 있도록 하되, 조립하는 부분과 그 외측으로 견고하게 조립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내용물을 안정되게 보관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고안은 측면 높이부에 연결된 연결부의 한 방향으로 선택 돌출부를 형성하여 바닥면을 하나로 사용하거나, 조립한 상태에서 2칸으로 분할하여 사용자가 필요에 따라서 선택적으로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고안은 사각형의 박스로 조립하여 외부로 돌출되는 부분이 없이 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적층이 용이하고, 결합 돌출부를 돌출시켜 손잡이가 형성되면손잡이를 통하여 운반이 편리하도록 조립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고안은 풀칠을 하지 않고 조립식으로 성형하는 것이어서, 펼친 상태에서 보관이 용이하고 박스로 간편하게 조립하며, 내용물을 사용하거나 먹는 경우에는 박스를 바닥에 모두 펼친 상태를 제공하여 넓은 면적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하에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시킨 도면에 따라서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하나의 하드보드를 절단 및 절곡하여 성형하는 것이며, 패스트푸드가 닿는 면은 위생적으로 코팅이 이루어지며, 표면에는 인쇄에 의해 사용자의 홍보 및 식별력을 갖도록 하는 것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바닥면(30)은 소정의 크기로 이루어지며 바람직하게는 직사각형으로 이루어지는 것이며, 바닥면(30)의 상측과 하측에는 측면 성형부(10)를, 바닥면(30)의 양쪽 측면에는 덮개 성형부(20)를 형성하여 이들을 조립하는 것이다.
상기 측면 성형부(10)는 바닥면(30)의 상측과 하측에서 연장되고 소정의 높이를 갖는 측면 높이부(11, 12)를 각각 형성한다.
상기 측면 높이부(11, 12)의 외측 선단에는 결합 돌출부(16, 16a)를 돌출되도록 형성하여 내부에 절개홈(17, 17a)을 천공하는 것이다.
상기 측면 높이부(11, 12)의 양쪽 측면에는 연결부(12, 12a, 13, 13a)를 각각 형성하되, 선단에는 연결홈(15, 15a, 15b, 15c)를 형성하여 바닥면(30)의 양 측면에서 결합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연결부(12a, 13)의 외측에는 각각 선택 돌출부(14, 14a)를 형성하여 연결부(12, 12a, 13, 13a)와 동일한 방향으로 설치되어 바닥면(30)을 하나로 사용하 거나, 바닥면(30)의 중앙 방향으로 연결홈(15, 15a, 15b, 15c)에서 절곡되어 바닥면(30)을 분할(이등분)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덮개 성형부(20)는 바닥면(30)의 양 측면에는 동일한 크기로 연장하여 바닥 높이부(21, 22)를 형성하여 측면 높이부(11, 111a)와 같은 높이로 돌출시키고, 바닥 높이부(21, 22)에는 계속하여 덮개부(23, 24)를 형성한다.
덮개부(23)의 내부에는 손잡이(25)를 형성하고, 덮개부(24)에는 손잡이(25)와 일치되는 위치에 손잡이홈(26)을 형성하며, 바닥 높이부(22)와 덮개부(24)의 절곡부에는 결합홈(27a)을 형성하는 것이다.
상기 덮개부(23, 24)의 외측 양측면에는 홈(28, 28a)을 형성하여 이동식으로 사용하는 경우 절개홈(17, 17a)에 결합되도록 하는 것이다.
이러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은 도 1과 같이 하나의 하드보드를 이용하여 성형하는 것이며 펼쳐진 상태에서,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바닥면(30)의 상측과 하측에 형성한 측면 높이부(11, 11a)를 절곡하여 직립상태로 세운다.
그러면 측면 높이부(11, 11a)를 따라 연결부(12, 12a, 13, 13a)가 따라서 직립상태로 세워진다.
측면 높이부(11, 11a)를 절곡하여 직립상태로 세운 다음,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연결부(12, 13a)를 바닥면(30)과 바닥 높이부(21, 22)의 사이로 90°절곡 시킨 후,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연결부(12a, 13)를 90°절곡시켜 연결홈(15, 15b)과 연결홈(15a, 15c)를 각각 결합하여 세워지도록 한다.
여기서 측면 높이부(11, 11a)를 절곡하여 직립상태로 세운 다음, 또는 덮개 성형부(20)를 포장하기 이전에 선택 돌출부(14, 14a)를 안으로 절곡하면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선택 돌출부(14, 14a)가 바닥면(30)을 이등분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결합 돌출부(16, 16a)를 안으로 절곡하고, 바닥 높이부(22)를 직립되게 세운 후, 덮개부(24)가 바닥면(30)의 상측에서 안으로 절곡하고, 바닥 높이부(21)를 절곡하여 직립되게 세운 후 덮개부(23)를 바닥면(30)의 상측에서 안으로 절곡하여 결합 돌기(27)를 결합홈(27a)에 결합 고정함으로써 도 7과 같이 조립한다.
그러면 사각형의 박스와 같이 조립되면서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여러 층으로 적층하여 보관하거나 운반이 용이하게 된다.
다음으로, 도 4와 같이 절곡한 상태에서,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바닥 높이부(21, 22)를 직립되게 세우고 덮개부(23, 24)를 바닥면(30)이 있는 방향으로 절곡하여 손잡이(25)와 손잡이홈(26)을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일치시킨 후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결합 돌출부(16, 16a)를 안으로 절곡하여 홈(28, 28a)을 절개홈(17, 17a)에 결합하여 운반이 용이한 박스로 조립하는 것이다.
상기 선택 돌출부(14, 14a)는 도 4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패스트푸드 중 치킨을 포장하는 경우, 양념과 후라이드 2종류를 포장하거나 치킨 이외에 단무지 또는 다른 것을 포장하는 경우, 선택 돌출부(14, 14a)가 연결홈(15a, 15b)를 기준으로 절곡시켜 바닥면(30)의 상측에 위치하면서 이등분되도록 함으로써 구획하여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바닥면(30)을 구획하지 않고 그대로 사용하는 경우에는 연결홈(15, 15a, 15b, 15c)을 상호 조립하면서 선택 돌출부(14, 14a)가 연결부(12, 13a) 및 바닥 높이부(21, 22)와 겹치게 설치되므로 이중으로 세워진 역할을 통하여 견고하고 안정된 박스를 제공하게 되고, 하나로 사용하거나 구획하는 것을 자유롭게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조립되는 본 고안은 도 11 도시한 바와 같이, 조립이 완성되며, 손잡이(25)와 손잡이홈(26)을 결합하여 배달 및 운반할 수 있는 것이다.
바닥면(30)에 보관된 내용물을 먹기 위해서는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덮개 성형부(20)를 양쪽으로 펼친 후 측면 성형부(10)를 분리하여 상, 하측으로 펼치는 것이며, 이와 같이 펼치는 경우 전체면이 바닥에 펼쳐지게 되므로 내용물을 용이하게 먹을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도 12 내지 도 1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 측면 성 형부(10)는 결합 돌출부(16, 16a)를 대신하여 측면 돌출부(19, 19a)를 형성하고 바닥 높이부(22)의 우측으로 바닥 돌출부(29)를 성형한 것이다.
이러한 본 고안은 측면 성형부(10)는 상기에서 설명한 것과 동일하게 절곡하여 조립하고, 덮개 성형부(20)에서 바닥 높이부(22)를 절곡한 후에 바닥 돌출부(29)를 절곡하고, 덮개부(23)의 결합 돌기(27)를 결합홈(27a)에 결합시켜 사각박스 전용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고안은 하나의 하드보드를 이용하여 절곡 및 절단함으로써 다양한 패스트푸드를 포장할 수 있는 박스를 제공하는 것이며, 바닥면을 필요에 따라서 하나의 공간으로 사용하거나 이등분에 의한 구획을 통하여 분할상태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도 1 은 본 발명의 펼친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
도 2 는 본 발명의 측면 성형부를 절곡한 상태의 사시도
도 3 은 본 발명의 연결부를 절곡한 상태의 사시도
도 4 는 본 발명의 측면 성형부를 결합한 상태의 사시도
도 5 는 본 발명의 바닥 높이부를 절곡한 상태의 사시도
도 6 은 본 발명의 덮개부를 절곡한 상태의 사시도
도 7 은 본 발명을 박스형으로 결합한 상태의 사시도
도 8 은 본 발명을 박스형으로 적층하는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9 는 본 발명을 운반용으로 포장하는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10 은 본 발명의 덮개부를 결합하는 상태의 사시도
도 11 은 본 발명을 운반용으로 포장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12 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대한 평면도
도 13 은 본 발명의 측면 성형부를 절곡한 상태의 사시도
도 14 는 본 발명의 바닥 높이부를 결합한 상태의 사시도
도 15 는 본 발명의 연결부를 절곡한 상태의 사시도
도 16 은 본 발명의 바닥 높이부를 절곡한 상태의 사시도
도 17 은 본 발명의 바닥 돌출부를 절곡한 상태의 사시도
도 18 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박스형으로 결합한 상태의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측면 성형부 11, 11a : 측면 높이부
12, 12a, 13, 13a : 연결부 14, 14a : 선택 돌출부
15, 15a, 15b, 15c : 연결홈 16, 16a : 결합 돌출부
17, 17a : 절개홈 19 : 측면 돌출부
20 : 덮개 성형부 21, 22 : 바닥 높이부
23, 24 : 덮개부 25 : 손잡이
26 : 손잡이홈 27 : 결합 돌기
27a : 결합홈 28, 28a : 홈
29 : 바닥 돌출부 30 : 바닥면

Claims (2)

  1. 바닥면(30)의 상측과 하측으로 측면 높이부(11, 11a)에 양쪽으로 연결부(12, 12a, 13, 13a)를 형성하여 연결홈(15, 15a, 16, 16a)를 각각 연결하는 측면 성형부(10)와; 상기 바닥면(30)의 양측면으로 바닥 높이부(21, 22)와 손잡이(25)와 손잡이홈(26)을 형성한 덮개부(23, 24)를 갖는 덮개 성형부(20)로 이루어진 포장용 박스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12a, 13)의 한쪽 선단에 선택 돌출부(14, 14a)를 형성하여 연결홈(15a, 15b)에서 절곡하여 바닥면(30)을 이등분하거나 바닥 높이부(21, 22)에 겹치게 형성되어 바닥면(30)을 하나의 공간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무접합 패스트푸드 포장용 박스.
  2. 제 1항에 있어서,
    선택 돌출부(14, 14a)는 바닥 높이부(22)의 우측으로 바닥 돌출부(29)를 형성하여 박스 전용으로 사용함을 특징으로 하는 무접합 패스트푸드 포장용 박스.
KR2020080003395U 2008-03-14 2008-03-14 무접합 패스트푸드 포장용 박스 KR20090009402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03395U KR20090009402U (ko) 2008-03-14 2008-03-14 무접합 패스트푸드 포장용 박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03395U KR20090009402U (ko) 2008-03-14 2008-03-14 무접합 패스트푸드 포장용 박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9402U true KR20090009402U (ko) 2009-09-17

Family

ID=415321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80003395U KR20090009402U (ko) 2008-03-14 2008-03-14 무접합 패스트푸드 포장용 박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009402U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607986B2 (en) Wraparound packaging sleeve with stand-up feature
RU2606573C9 (ru) Коробка и упаковка, содержащая коробку, помещенную между четырьмя стаканчиками
JP2009508765A (ja) 容器及びその製造のための素材
KR100934457B1 (ko) 부피가 절반으로 축소되는 케익 포장 상자
JP2019531232A (ja) カップホルダーとハンドホールとを備えたトレイ
AU2006294068B2 (en) Container
KR20120004177U (ko) 음식물 포장용 박스
EP2307284A1 (en) Transport cover for containers
KR20090009402U (ko) 무접합 패스트푸드 포장용 박스
JP3633834B2 (ja) 包装容器
KR200253232Y1 (ko) 음식물 배달용 조립상자
KR20100002803U (ko) 무접합 패스트푸드 포장용 박스
KR200458043Y1 (ko) 음료용기용 포장상자
KR20080005089U (ko) 칸막이판이 구비된 통닭용 종이 포장용기
KR20100002806U (ko) 무접합 패스트푸드 포장용 박스
KR20100002802U (ko) 무접합 패스트푸드 포장용 박스
KR20090009403U (ko) 무접합 패스트푸드 포장용 박스
KR200381438Y1 (ko) 식품포장용 종이상자
KR200445319Y1 (ko) 치킨 포장용 상자
JP2009280240A (ja) 紙製容器
KR200406261Y1 (ko) 패스트푸드 포장용 박스
JP7360677B2 (ja) 紙製重箱
RU2762461C1 (ru) Упаковка для фастфуда, короб для этой упаковки и вкладыш для этого короба
KR20090009401U (ko) 패스트푸드 포장용 박스
KR200420846Y1 (ko) 패스트푸드 포장용 박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