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08967A - 저전력 환자 모니터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저전력 환자 모니터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08967A
KR20090008967A KR1020070072352A KR20070072352A KR20090008967A KR 20090008967 A KR20090008967 A KR 20090008967A KR 1020070072352 A KR1020070072352 A KR 1020070072352A KR 20070072352 A KR20070072352 A KR 20070072352A KR 20090008967 A KR20090008967 A KR 2009000896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tient
health
unit
emergency
measu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723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종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멕 아이씨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멕 아이씨에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멕 아이씨에스
Priority to KR10200700723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08967A/ko
Publication of KR200900089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0896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002Remote monitoring of patients using telemetry, e.g. transmission of vital signals via a communication network
    • A61B5/0015Remote monitoring of patients using telemetry, e.g. transmission of vital signals via a communication network characterised by features of the telemetry system
    • A61B5/0022Monitoring a patient using a global network, e.g. telephone networks, interne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03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devices for testing the shape, pattern, colour, size or movement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for diagnostic purposes
    • A61B5/11Measuring movement of the entire body or parts thereof, e.g. head or hand tremor, mobility of a limb
    • A61B5/1116Determining posture transi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74Details of notification to user or communication with user or patient ; user input means
    • A61B5/7465Arrangements for interactive communication between patient and care services, e.g. by using a telephone network
    • A61B5/747Arrangements for interactive communication between patient and care services, e.g. by using a telephone network in case of emergency, i.e. alerting emergency service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6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for patient-specific data, e.g. for electronic patient record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50/0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 G16H50/2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for computer-aided diagnosis, e.g. based on medical expert system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80/00ICT specially adapted for facilitating communication between medical practitioners or patients, e.g. for collaborative diagnosis, therapy or health monitor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ublic Health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athology (AREA)
  • Surgery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Biophys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Nursing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Critical Car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hysiology (AREA)
  • Dentistr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Measuring And Recording Apparatus For Diagnosi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저전력 환자 모니터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저전력 환자 모니터 시스템에 있어서, 저전력 환자 모니터 시스템에 있어서, 환자의 생체신호를 측정하는 생체신호 측정장치 및 상기 환자의 자세를 감지하는 자세 감지장치를 포함하는 건강 측정부; 및 상기 건강 측정부의 측정 및 감지 결과를 이용하여 환자가 응급상황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응급 판단장치 및 상기 판단에 따라 상기 건강 측정부의 작동을 제어하는 콘트롤러를 포함하는 중앙 환자 관리부를 포함한다.
이에 의해, 환자의 건강상태에 따라 선택적으로 생체신호 측정장치 및 자세 감지장치가 작동하도록 제어함으로써 저전력 및 저통신 트래픽의 환자 모니터 시스템을 실현할 수 있다.
저전력, 응급상황, 콘트롤러

Description

저전력 환자 모니터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Low Electric Power Monitor System and Control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저전력 환자 모니터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환자의 건강상태가 응급상황인지 여부에 따라 환자의 생체신호를 선택적으로 측정하도록 제어하는 저전력 환자 모니터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이다.
현재, 대형 병원의 병동에서는 환자 모니터 시스템이 도입되고 있다. 가령, 환자에 각종 측정장치를 부착하고, 이와 연동할 수 있는 중앙제어장치를 통해 실시간 환자의 건강상태를 측정하는 것이다. 이는 기존의 간호사 수작업에 의존하던 환자 관리 방법과 비교할 경우에는 인력 감소 및 측정 데이터에 대한 신뢰도 면에서 우수한 면이 있다.
그러나, 현재의 환자 모니터 시스템의 경우, 환자에 부착된 각종 측정장치 들이 환자의 건강상태에 무관하게 계속적으로 또는 정해진 주기대로만 작동한다. 더욱이 중앙제어장치의 경우에는 측정장치들과 실시간 계속적으로 통신해야 함으로 써 통신 트래픽이 과도하게 증가하고 있다. 이에 따라, 측정장치가 무선방식일 경우에는 전력 소모량이 과도하여 배터리를 너무 자주 갈아끼워야 하는 문제가 발생하고, 중앙제어장치와 측정장치들 간의 통신 트래픽 증가로 통신망을 환자수에 비례하여 계속적으로 증설하여야 하는 부담이 있다. 더욱 심각한 것은 통신망을 증설한다 하더라도 지나친 통신 트래픽 증가로 인해 통신교란이 발생할 경우 환자들 간의 측정 데이터에 오류가 발생할 여지가 많아지는 등 문제가 있다.
한편, 이러한 통신 트래픽에 대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시도들도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통신 트래픽 문제의 해결을 위한 종래의 발명들은 하드웨어적인 접근방법(예컨대, 소비전력 및 통신 트래픽이 낮게 발생하는 측정장치 등) 또는 새로운 통신 프로토콜 개발 등을 시도하였다. 그러나, 하드웨어 및 통신 프로토콜의 개발은 단시간에 이루어질 수 없고, 고비용 투자가 필요하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어떠한 하드웨어 또는 통신 프로토콜 방식을 이용한다 하더라도 통신 트래픽 문제는 발생할 수 있는 원천적인 문제이므로 새로운 접근 방법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환자가 응급상황인지 여부에 따라 환자에 부착된 측정장치들이 선택적으로 작동하도록 제어하는 저전력 환자 모니터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측정장치들의 작동상태, 잔존 배터리 양 등의 관리상황을 표시하는 저전력 환자 모니터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저전력 환자 모니터 시스템에 있어서, 환자의 생체신호를 측정하는 생체신호 측정장치 및 상기 환자의 자세를 감지하는 자세 감지장치를 포함하는 건강 측정부; 및 상기 건강 측정부의 측정 및 감지 결과를 이용하여 환자가 응급상황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응급 판단장치 및 상기 판단에 따라 상기 건강 측정부의 작동을 제어하는 콘트롤러를 포함하는 중앙 환자 관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전력 환자 모니터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상기 건강 측정부는 무선통신 모듈 및 배터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생체신호 측정장치 및 상기 자세 감지장치가 상기 무선통신 모듈을 이용하여 상기 응급 판단장치와 통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응급 판단장치가 상기 환자를 응급상황으로 판단하는 경우, 상기 중앙 환자 관리부는 상기 건강 측정부가 계속적으로 작동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 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응급 판단장치가 상기 환자를 정상으로 판단하는 경우, 상기 중앙 환자 관리부는 상기 건강 측정부가 소정의 주기에 따라 작동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게다가, 상기 응급 판단장치는, 상기 건강 측정부의 측정 및 감지 데이터가 환자별 임계치를 넘는 경우 상기 환자를 응급상황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콘트롤러는, 상기 건강 측정부가 작동가능한지 여부에 대한 관리상황을 체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중앙 환자 관리부는, 상기 건강 측정부의 상기 측정 및 감지 데이터, 상기 응급 판단장치의 판단 결과, 및 상기 콘트롤러가 체크한 상기 건강 측정부의 관리상황을 표시하는 결과 표시장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건강 측정부 및 중앙 환자 관리부를 포함하는 저전력 환자 모니터 시스템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중앙 환자 관리부가 상기 건강 측정부에 측정명령을 하는 단계; 상기 측정명령에 따라, 상기 건강 측정부에 전원이 공급되는 단계; 상기 건강 측정부가 작동가능한 경우, 상기 중앙 환자 관리부가 상기 건강 측정부의 작동을 허가하는 단계; 상기 건강 측정부에서 환자의 생체신호 측정 및 자세 감지를 하는 단계; 상기 측정 및 감지 데이터를 상기 중앙 환자 관리부에 전송하는 단계; 상기 전송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환자가 응급상황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응급상황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건강 측정부가 계속적으로 작동하도록 제어하는 단계; 및 정상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건강 측정부가 소정의 주기에 따라 작동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도록 하는 저전력 환자 모니터 시스템의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상기 건강 측정부에 전원이 공급되는 경우, 상기 건강 측정부가 작동가능한지 여부에 대한 관리상황을 체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게다가, 상기 중앙 환자 관리부로 전송된 상기 측정 및 감지 데이터, 상기 건강 측정부의 관리 상황, 및 상기 응급상황인지 여부에 대한 판단 결과를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중앙 환자 관리부가 상기 측정 및 감지 데이터를 전송받는 경우, 상기 중앙 환자 관리부는 상기 건강 측정부에 전원 차단 신호를 송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도 있다.
이상의 수단에 의한, 본 발명에 따르면, 환자의 건강상태가 응급상황인지 여부에 따라 선택적으로 생체신호 측정장치 및 자세 감지장치가 작동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자 모니터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저전력 환자 모니터 시스템은 유/무선 겸용이 가능하여 유선 또는 무선 운용 방식에 따라 생체신호 측정장치 및 자세 감지장치의 작 동을 제어할 수 있는 저전력 환자 모니터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저전력 및 저통신 트래픽의 환자 모니터 시스템을 실현할 수 있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저전력 환자 모니터 시스템에 대한 블럭도이다.
도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저전력 환자 모니터 시스템은, 건강 측정부(100) 및 중앙 환자 관리부(300)를 포함한다.
건강 측정부(100)는 환자의 각종 건강상태를 측정하는 것이고, 중앙 환자 관리부(300)는 건강 측정부(100)의 작동을 제어하는 것이다.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건강 측정부(100)는 생체신호 측정장치(110), 자세 감지장치(130), 무선통신 모듈(150), 및 배터리(170)를 포함한다.
생체신호 측정장치(110)는 환자의 각종 생체신호를 측정하는 것으로, 심전도, 체온, 혈압, 혈당량 등의 각종 생체신호를 측정하는 기능이 있는 적어도 하나의 모듈로 구현될 수 있다.
자세 감지장치(130)는 환자의 자세를 감지하는 것으로, 환자의 걸음걸이의 평형도, 환자가 갑자기 쓰러지는 경우 등의 자세를 감지할 수 있는 센서로 구현될 수 있다. 예컨대, 환자의 걸음걸이의 평형도에 대한 평균값과 자세 감지장치(130)가 감지한 평형도를 비교하여 어떤 특정값 이하일 경우, 환자가 쓰러졌다고 판단할 수 있다. 여기서, 걸음걸이의 평형도는 어깨, 척추 등의 각도를 기준으로 산출되는 값으로, 환자의 건강상태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무선통신모듈(150)은 생체신호 측정장치(110) 및 자세 감지장치(130)와 중앙 환자 관리부(300)간의 무선통신을 하기 위한 것으로, 휴대 가능한 장치에 장착될 수 있는 모든 무선통신모듈로 구현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는, 병원 규모에 적합한 근거리용 무선통신모듈로 구현될 수도 있다.
배터리(170)는 생체신호 측정장치(110) 및 자세 감지장치(130)에 전원을 공급하는 것으로서, 휴대 가능한 건강 측정부(100)에 적절한 어떤 형식으로도 구현가능하다. 바람직하게, 배터리(170)는 충전식 배터리 또는 건전지로 구현될 수 있다.
중앙 환자 관리부(300)는 응급 판단장치(310), 콘트롤러(330), 및 결과 표시장치(350)를 포함한다. 여기서, 먼저 중앙 환자 관리부(300)에 대해 개략적으로 설명하면, 다수의 환자를 관리·통제함으로써 특정 환자가 응급상황인 경우 그 환자에 대한 정보 및 건강 측정부(100)에 의해 측정된 각종 결과를 표시해 주는 시스템을 의미한다.
응급 판단장치(310)는 환자의 건강상태가 응급상황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것으로 건강 측정부(100)의 측정 및 감지 데이터를 기초로 판단하는 논리회로로 구현 될 수 있다.
예컨대, 어떤 환자의 건강상태가 정상일 경우, 생체신호 측정장치(110)가 심전도, 혈압, 체온 등을 측정한 데이터들의 평균값이 '7'이고, 자세 감지장치(130)가 감지한 데이터들의 평균값이 '6'이라고 가정한다. 여기서, 자세 감지장치(130)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환자의 걸음걸이의 평형도의 평균값 만을 측정하는 것으로 한다. 즉, 생체신호의 측정 및 자세 감지 데이터의 총합이 '13'점이 되므로, 응급 판단장치(100)는 데이터 평균값의 총합 '13'을 기준으로 환자의 건강상태가 응급상황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여기서, 평균값이란, 일정시간에 대한 측정 데이터값들의 평균으로, 일시적으로 등락하는 데이터에 의해 응급 판단장치(310)가 구동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판단 기초 데이터들을 평균값으로 하는 것이다.
더 상세히 설명하면, 정상상태 데이터 평균값의 총합 '13'인 사람의 응급상황을 데이터 평균값 총합 '10' 미만으로 설정하는 경우에는, 가령 현재 생체신호 측정장치(110)가 측정한 데이터들의 평균값이 '5.5'이고, 자세 감지장치(130)가 감지한 데이터들의 평균값이 '3'인 경우, 총합이 '8.5'가 되어 응급 판단장치(310)는 이 환자의 건강상태가 응급상황이라는 판단을 할 것이다. 여기서, 환자를 응급상황으로 판단하는 데이터 평균값의 총합은 환자의 건강상태마다 다를 수 있다. 또한 동일한 데이터 평균값을 가진 환자의 경우에도, 각 환자의 진료기록 등에 비추어 응급상황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기준이 되는 데이터 평균값의 총합은 다르게 조절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이러한 응급상황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기준값을 '임계치'라 한다.
콘트롤러(330)는 응급 판단장치(310)의 판단 결과에 따라 건강 측정부(100)의 작동을 제어하는 것으로, MCU(Micro Controller Unit), 마이컴(Micom) 등으로 구현할 수 있다.
즉, 전술한 바와 같이, 응급 판단장치(310)가 특정 환자의 데이터 평균값의 총합이 임계치 미만일 경우 응급상황으로 판단하면, 콘트롤러(330)은 무선통신 모듈(350)을 통해 건강 측정부(100)가 계속적으로 작동하도록 작동신호를 송출한다. 이 작동신호는 무선 통신망, 무선통신모듈(150)을 거쳐 생체신호 측정장치(110) 및 자세 감지장치(130)에 전달되어 계속적으로 작동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응급 판단장치(310)가 환자의 건강상태를 정상으로 판단하는 경우, 콘트롤러(330)는 건강 측정부(100)가 소정의 주기에 따라 작동하도록 제어한다. 여기서, 소정의 주기는 각 환자별 건강상태에 따른 건강 측정부(100)의 작동 주기로서, 환자의 진료 기록, 나이, 건강 상태 등에 따라 미리 정해진 값이다. 예컨대, 경환자의 주기보다는 중환자의 주기가 짧게 정해질 것이다.
또한, 콘트롤러(330)는 생체신호 측정장치(110) 및 자세 감지장치(130)가 작동가능한지 여부에 대한 관리상황을 체크할 수 있다. 사용자의 측정명령 또는 응급 판단장치(310)의 응급상황 판단에 의해서 건강 측정부(100)를 작동하려고 하는 경우, 먼저 콘트롤러(330)가 건강 측정부(100)에 포함된 생체신호 측정장치(110) 및 자세 감지장치(130)의 관리상황을 체크한다. 여기서, 관리상황은 전원 온/오프 상태, 잔존 배터리량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체크 결과 생체신호 측정장치(110) 및 자세 감지장치(130)가 작동될 준비가 되어 있는 경우, 콘트롤러(330)는 작동 허가 신 호를 송출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콘트롤러(330)는 건강 측정부(100)의 작동 제어 및 작동가능 여부에 대한 관리상황 체크를 하기 위하여, 경우에 따라 별도의 무선통신모듈을 포함할 수도 있다.
결과 표시장치(350)는 각종 측정 및 감지 결과, 응급 상황, 건강 측정부(100)의 관리상황을 표시하는 곳으로, 각종 디스플레이 장치 및 알람장치를 포함하는 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
즉, 생체신호 측정장치(110) 및 자세 감지장치(130)의 측정 및 감지 데이터를 기초로 응급 판단장치(310)가 판단한 응급상황, 및 콘트롤러(330)에 의해 체크된 생체신호 측정장치(110) 및 자세 감지장치(130)의 작동준비 여부에 대한 관리상황을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면에 표시할 수 있고, 바람직하게, 응급상황 또는 건강 측정부(100) 정지상황에는 알람이 울릴 수도 있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저전력 환자 모니터 시스템이 유선 방식으로 운용되는 경우, 생체신호 측정장치(110) 및 자세 감지장치(130)에 유선으로 전원이 공급되고, 유선 케이블에 의해 중앙 환자 관리부(300)의 응급 판단장치(310)와 연결되어 실시간 계속적으로 생체신호를 측정한다(도3을 참조하여 후술함).
전술한 바와 같이, 생체신호 측정장치(110) 및 자세 감지장치(130)를 포함하는 건강 측정부(100)와 응급 판단장치(310) 및 콘트롤러(330)를 포함하는 중앙 환자 관리부(300)가 연동함으로써 응급상황 및 유/무선 운용인지 여부에 따라 환자의 생체신호 측정 횟수를 차별화함으로써, 저전력 및 저통신 트래픽 통제를 실현할 수 있다. 한편, 일정기간 이상 응급상태인 환자의 경우에는 환자 모니터 시스템을 유선으로 운용함으로써, 환자 모니터 시스템의 통신 트래픽 문제 해결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도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저전력 환자 모니터링 시스템의 무선운용에 대한 설명도이다.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환자에 생체신호 측정장치(110) 및 자세 감지장치(130)를 포함하는 건강 측정부(100)가 부착되어 있다. 건강 측정부(100)는 배터리를 통한 무선 전원 공급이 가능하고, 중앙 환자 관리부(300)와 무선통신이 가능하므로, 통신가능 지역 내에서 환자가 어디에서 무엇을 하든 생체신호 측정 및 자세 감지를 통해 환자의 건강상태가 응급상황인지 여부를 알 수 있고, 응급상황 여부에 따라 선택적으로 건강 측정부(100)의 작동을 제어하여 저전력 및 저통신 트래픽의 환자 모니터 시스템을 구현할 수 있다.
도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저전력 환자 모니터 시스템의 유선 운용에 대한 설명도이다.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환자의 건강상태 등의 이유로 환자가 병상에 고정되는 경우 건강 측정부(100)는 환자 관리 본체(200)에 유선으로 연결됨으로써 생체신호 측정장치(110) 및 자세 감지장치(130)에 유선으로 전원이 공급되어 실시간 계속적인 생체신호 측정 및 자세 감지가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에서는 건강 측정부(100)와 중앙 환자 관리부(300)의 연결이 필수적이지 않다(따라서, 점선으로 표 시).
상기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유/무선 운용 방식에 따라 다른 실시예인 것처럼 기재하였으나, 본 발명에 따른 저전력 환자 모니터 시스템은 유/무선 겸용이며, 본 시스템 운용자의 선택에 따라 유선 또는 무선 방식으로 작동가능하다. 따라서, 환자별 상황에 따라 선택하여 본 발명을 유선 또는 무선 방식으로 운용함으로써 유선 방식에 의한 실시간 환자 관리 및 무선 방식에 의한 환자의 자유로운 이동을 동시에 실현할 수 있다.
생체신호 측정장치(110) 및 자세 감지장치(130)에 유선으로 전원이 공급되고, 유선 케이블에 의해 중앙 환자 관리부(300)의 응급 판단장치(310)와 연결되어 실시간 계속적으로 생체신호를 측정한다.
도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저전력 환자 모니터 시스템의 제어방법에 대한 순서도이다. 이하, 도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저전력 환자 모니터 시스템의 제어방법에 관한 동작순서를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중앙 환자 관리부(300)이 건강 측정부(100)에 측정명령을 전송한다(S101).
측정명령에 따라 건강 측정부(100)에 전원이 공급되는 경우, 건강 측정부(100)에 포함된 생체신호 측정장치(110) 및 자세 감지장치(130)의 작동가능여부에 대한 관리상황을 체크한다(S102).
체크 결과 건강 측정부(100)가 작동할 준비가 된 경우, 중앙 환자 관리부(300)의 콘트롤러(330)는 건강 측정부(100)에 작동 허가 신호를 송출한다(S103).
송출된 작동 허가 신호가 건강 측정부(100)에 수신되는 경우, 생체신호 측정 장치(110) 및 자세 감지장치(130)는 환자의 생체신호 측정 및 자세 감지를 한다(S104).
측정 및 감지 데이터가 중앙 환자 관리부(300)에 전송된다(S105).
응급 판단장치(310)는 전송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환자가 응급상황인지 여부를 판단한다(S106).
판단 결과, 응급상황인 경우 콘트롤러(330)에 의해 (S104)로 회귀하여 건강 측정부(100)가 계속적으로 작동하도록 제어한다.
판단 결과, 정상인 경우 콘트롤러(330)에 의해 건강 측정부(100)가 소정의 주기에 따라 작동하도록 제어한다(S107).
건강 측정부(100)의 관리 상황, 건강 측정부(100)가 측정하여 중앙 환자 관리부(300)로 전송한 측정 및 감지 데이터, 및 응급상황에 대한 판단 결과를 결과 표시장치(300)에 표시한다(S108).
한편, 저전력 환자 모니터 시스템이 유선 방식으로 운용되는 경우에는, 환자가 응급상황인지 여부에 따른 제어가 필요 없으므로, 실시간 계속적으로 건강 측정부(100)가 작동하도록 제어된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저전력 환자 모니터 시스템에 대한 블럭도이다.
도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저전력 환자 모니터 시스템의 무선 운용에 대한 설명도이다.
도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저전력 환자 모니터 시스템의 유선 운용에 대한 설명도이다.
도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저전력 환자 모니터 시스템의 제어방법에 대한 순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00: 건강 측정부 110: 생체신호 측정장치
130: 자세 감지장치 150: 무선통신모듈
200: 환자 관리 본체 300: 중앙 환자 관리부
310: 응급 판단장치 330: 콘트롤러
350: 결과 표시 장치

Claims (11)

  1. 저전력 환자 모니터 시스템에 있어서,
    환자의 생체신호를 측정하는 생체신호 측정장치 및 상기 환자의 자세를 감지하는 자세 감지장치를 포함하는 건강 측정부; 및
    상기 건강 측정부의 측정 및 감지 결과를 이용하여 환자가 응급상황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응급 판단장치 및 상기 판단에 따라 상기 건강 측정부의 작동을 제어하는 콘트롤러를 포함하는 중앙 환자 관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전력 환자 모니터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건강 측정부는 무선통신 모듈 및 배터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생체신호 측정장치 및 상기 자세 감지장치가 상기 무선통신 모듈을 이용하여 상기 응급 판단장치와 통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전력 환자 모니터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응급 판단장치가 상기 환자를 응급상황으로 판단하는 경우, 상기 중앙 환자 관리부는 상기 건강 측정부가 계속적으로 작동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전력 환자 모니터 시스템.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응급 판단장치가 상기 환자를 정상으로 판단하는 경우, 상기 중앙 환자 관리부는 상기 건강 측정부가 소정의 주기에 따라 작동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전력 환자 모니터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응급 판단장치는, 상기 건강 측정부의 측정 및 감지 데이터가 환자별 임계치를 넘는 경우 상기 환자를 응급상황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전력 환자 모니터 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콘트롤러는, 상기 건강 측정부가 작동가능한지 여부에 대한 관리상황을 체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전력 환자 모니터 시스템.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 환자 관리부는, 상기 건강 측정부의 상기 측정 및 감지 데이터, 상기 응급 판단장치의 판단 결과, 및 상기 콘트롤러가 체크한 상기 건강 측정부의 관리상황을 표시하는 결과 표시장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전력 환자 모니터 시스템.
  8. 건강 측정부 및 중앙 환자 관리부를 포함하는 저전력 환자 모니터 시스템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중앙 환자 관리부가 상기 건강 측정부에 측정명령을 하는 단계;
    상기 측정명령에 따라, 상기 건강 측정부에 전원이 공급되는 단계;
    상기 건강 측정부가 작동가능한 경우, 상기 중앙 환자 관리부가 상기 건강 측정부의 작동을 허가하는 단계;
    상기 건강 측정부에서 환자의 생체신호 측정 및 자세 감지를 하는 단계;
    상기 측정 및 감지 데이터를 상기 중앙 환자 관리부에 전송하는 단계;
    상기 전송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환자가 응급상황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응급상황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건강 측정부가 계속적으로 작동하도록 제어하는 단계; 및
    정상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건강 측정부가 소정의 주기에 따라 작동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도록 하는 저전력 환자 모니터 시스템의 제어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건강 측정부에 전원이 공급되는 경우, 상기 건강 측정부가 작동가능한지 여부에 대한 관리상황을 체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전력 환자 모니터 시스템의 제어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 환자 관리부로 전송된 상기 측정 및 감지 데이터, 상기 건강 측정부의 관리 상황, 및 상기 응급상황인지 여부에 대한 판단 결과를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전력 환자 모니터 시스템의 제어방법.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 환자 관리부가 상기 측정 및 감지 데이터를 전송받는 경우, 상기 중앙 환자 관리부는 상기 건강 측정부에 전원 차단 신호를 송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전력 환자 모니터 시스템의 제어방법
KR1020070072352A 2007-07-19 2007-07-19 저전력 환자 모니터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2009000896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72352A KR20090008967A (ko) 2007-07-19 2007-07-19 저전력 환자 모니터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72352A KR20090008967A (ko) 2007-07-19 2007-07-19 저전력 환자 모니터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8967A true KR20090008967A (ko) 2009-01-22

Family

ID=404889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72352A KR20090008967A (ko) 2007-07-19 2007-07-19 저전력 환자 모니터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008967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22579A (ko) 2015-08-21 2017-03-02 (주)볼트마이크로 저전력 기반의 바이오 데이터 수집 및 관리 시스템
KR20210004408A (ko) * 2019-07-04 2021-01-13 주식회사 필로시스 건강 정보 공유 방법, 장치, 및 시스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22579A (ko) 2015-08-21 2017-03-02 (주)볼트마이크로 저전력 기반의 바이오 데이터 수집 및 관리 시스템
KR20210004408A (ko) * 2019-07-04 2021-01-13 주식회사 필로시스 건강 정보 공유 방법, 장치, 및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049132B2 (ja) 音声インジケータを有する移動式医療用遠隔測定装置
AU2006204886B2 (en) Vital signs monitor
JP4993156B2 (ja) 監視ネットワークのインタフェース装置及び方法
CN109717852A (zh) 一种术后康复监护系统及方法
US20090259138A1 (en) Automatic bio-signal supervising system for medical care
JP2012161614A (ja) 医療機器の無線バッテリー状態管理
EP3375350A1 (en) Biological information monitor, biological information measurement system, program used in biological information monitor, and nontemporary computer readable medium storing program used in biological information monitor
US20070271115A1 (en) Medical Device Which Can Be Operated With Various Operating Settings, In Particular Patient Monitor
KR100723655B1 (ko) 휴대폰을 이용한 원격 모니터링 시스템
KR20160105440A (ko) 알람 이벤트의 임상적 관련성을 결정하는 방법 및 시스템
KR101264171B1 (ko) 무선 근거리 통신 방식 지능형 생체신호 전송장치
EP3189774A1 (en) Medical sensor as well as using method therefor and operating device thereof
US9905105B1 (en) Method of increasing sensing device noticeability upon low battery level
KR101192848B1 (ko) 절전형 생체신호 모니터링 시스템
KR20090065869A (ko) 생체 신호 검출을 기반으로 하는 건강 관리 서비스 시스템및 이의 모니터링 방법
KR20090008967A (ko) 저전력 환자 모니터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CN110115571A (zh) 无线体征监测设备及其无线连接建立方法
KR20110085816A (ko) 건강 진단장치
KR20040027495A (ko) 맥박산소포화도 측정기시스템
KR20020075846A (ko) 무선이동통신과 맥박감시장치를 이용한 돌연사경보 및건강정보제공 방법
JP2000333918A (ja) 連続血圧測定方法と連続健康管理システム
KR20110073205A (ko) 유비쿼터스 환경에서 유무선 네트워크를 통한 헬스 케어 시스템
KR101459651B1 (ko) 심장박동 감시 시스템 및 그 방법
CN111489836A (zh) 一种远程医疗一体化管理系统
KR20200044323A (ko) 생체신호 측정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501 Disposition of invalidation of tri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