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08284U - 건축물의 층간소음 저감재 - Google Patents

건축물의 층간소음 저감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08284U
KR20090008284U KR2020080001943U KR20080001943U KR20090008284U KR 20090008284 U KR20090008284 U KR 20090008284U KR 2020080001943 U KR2020080001943 U KR 2020080001943U KR 20080001943 U KR20080001943 U KR 20080001943U KR 20090008284 U KR20090008284 U KR 20090008284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oise reduction
building
interlayer
floor
reduction materi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8000194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길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삼양수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삼양수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삼양수지
Priority to KR202008000194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08284U/ko
Publication of KR2009000828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08284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18Separately-laid insulating layers; Other additional insulating measures; Floating floors
    • E04F15/20Separately-laid insulating layers; Other additional insulating measures; Floating floors for sound insulation
    • E04F15/203Separately-laid layers for sound insula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02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 E04F15/10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of other materials, e.g. fibrous or chipped materials, organic plastics, magnesite tiles, hardboard, or with a top layer of other materials
    • E04F15/105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of other materials, e.g. fibrous or chipped materials, organic plastics, magnesite tiles, hardboard, or with a top layer of other materials of organic plastics with or without reinforcements or filling material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02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 E04F15/10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of other materials, e.g. fibrous or chipped materials, organic plastics, magnesite tiles, hardboard, or with a top layer of other materials
    • E04F15/107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of other materials, e.g. fibrous or chipped materials, organic plastics, magnesite tiles, hardboard, or with a top layer of other materials composed of several layers, e.g. sandwich panel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2290/00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4F2290/04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insulation or surface protection, e.g. against noise, impact or fire
    • E04F2290/041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insulation or surface protection, e.g. against noise, impact or fire against nois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2290/00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4F2290/04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insulation or surface protection, e.g. against noise, impact or fire
    • E04F2290/044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insulation or surface protection, e.g. against noise, impact or fire against impac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loor Finish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두께가 얇아 시공이 쉬움으로써, 그 생산성 및 시공이 용이하여 결국 시공비를 절감할 수 있는 건축물의 층간소음 저감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폴리에틸렌 또는 PVC 재질로 된 방습기능의 상부부재; 상기 상부부재의 아래쪽에 적층되는 것으로서, 발포폴리스틸렌 또는 발포폴리프로필렌 재질로 된 하부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파트, 건축물, 건물, 층간소음, 차음재, 소음저감재

Description

건축물의 층간소음 저감재{Plate for sound insulation}
본 고안은 건축물의 층간소음 저감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두께가 얇아 시공이 쉬움으로써, 그 생산성 및 시공이 용이하여 결국 시공비를 절감할 수 있는 건축물의 층간소음 저감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아파트나 빌라 등 공동주택의 건물 구조체에 가해지는 충격음은 사람의 보행, 문의 개폐, 기물의 이동이나 설비기기의 가동 혹은 정지 등이 충격의 원인이 되어 발생되는 고체전달음이 사방으로 전달되게 되고, 이로 인하여 건물구조체의 표면을 진동시킴은 물론 공기전달음으로 전환되어 주변의 사람들 귀에 들리게 될 때, 소음으로 인식되게 된다.
예를 들어, 물건의 낙하 등의 충격이 바닥에 가해지거나 의자를 옮기는 소리 등은 고체전달음을 발생시키고, 이 고체전달음은 바닥슬래브와 벽체를 통해 인접한 다른 방들로 전달되되, 특히 바닥슬래브를 통해 아래층으로 전달되는 것을 층간소음이라 한다.
요즘에는 이러한 층간소음 문제가 공동주택에서 심각하게 대두됨에 따라 주택건설기준 등에 관한 규정이 더욱 강화, 개정되기에 이르렀다.
상기 규정에는 각 층간의 바닥충격음이 경량충격음은 58데시벨(dB)이하이어야 하고, 중량충격음은 50데시벨(dB)이하이거나 건설교통부 장관이 정하여 고시하는 표준바닥구조로 하여야 한다고 명시되어 있다.
이와 같이, 심각하게 대두되는 층감소음을 줄여 최소화하기 위한 통상적인 층간 바닥구조들이 제시되어 있는데, 이러한 기존의 통상적인 층간 바닥구조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콘크리트슬래브(1)를 기준으로 상부에 경량기포 콘크리트층(2)이 형성되고, 그 상단으로 난방용 배관(3)과 마감용 몰탈층(4)이 형성되며, 그 위에 모노륨이나 원목, 타일 등의 장식재로 된 바닥장식층(5)으로 구성된다.
상기한 구조의 층간바닥 구조는 콘크리트슬래브(1) 상부에 형성된 경량기포 콘크리트층(2)이 충격음이나 소음을 감쇄시키는 작용을 담당하고 있으나, 그 효과가 미비한 실정이다.
이로 인해 보다 효과적으로 소음이나 충격을 차단하기 위하여, 상기 콘크리트슬래브와 경량기포콘크리트 사이에 층간충격음 완충재를 형성하는 시공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종래의 층간충격음 완충재(10)는, 다양한 구조로서 제공되고 있으며, 대표적으로는 도 2에서와 같이 상,하부에 일정두께를 갖는 하드(hard)한 스티로폼재(11,12)들을 두고, 그 사이에 공극이 큰 폴리에스터 재질의 중간차음재(3)를 샌드위치 형태로 끼워 넣은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따라서, 상기 상,하부의 스티로폼재(11,12)와 더불어 중간차음재(13)가 충격 및 진동 등을 흡수하여 층간소음을 저감시키게 된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의 층간충격음 완충재는, 상부 스티로폼과, 중간차음재, 하부 스티로폼재가 적층되어 있는 바, 그 두께가 두꺼워 시공이 어려움으로써, 결국 시공비가 많이 드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에 착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두께가 얇아 시공이 쉬움으로써, 그 생산성 및 시공이 용이하여 결국 시공비를 절감할 수 있는 건축물의 층간소음 저감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건축물의 층간소음 저감재는, 폴리에틸렌 또는 PVC 재질로 된 상부부재; 상기 상부부재의 아래쪽에 적층되는 것으로서, 발포폴리스틸렌 또는 발포폴리프로필렌 재질로 된 하부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경우, 상기 하부부재의 저면은 직선방향의 볼록부와 오목부가 연속해서 순차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건축물의 층간소음 저감재에 의하면, 그 구조가 간단하여 제조가 쉬운 구성에 의해 이루어짐으로써, 그 생산성이 향상되고, 전체적으로 그 두께가 얇아져서 시공이 용이한 바, 그 시공성이 향상됨은 물론 시공비가 줄어들게 되는 매우 유용한 효과가 있다.
또한, 충격흡수구조가 2중 구조로 이루어지면서, 최종 2단계에서는 별도의 탄성에 의해 더욱 더 충격을 흡수하는 구조로 이루어짐으로써, 더욱 향상된 층간소음의 저감효과를 가질 수 있게 되는 효과도 있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건축물의 층간소음 저감재 구성을 나타내기 위한 부분 분리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결합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건축물의 층간소음 저감재(20)는, 일정두께를 갖는 폴리에틸렌(PE) 또는 PVC재질로 된 상부부재(22)와, 발포폴리스티렌(EPS : Expandable Polystyrene) 또는 발포폴리프로필렌(EPP : Expandable Polypropylene) 재질로 된 하부부재(24)가 적층,형성되되, 상기 하부부재(24)의 저면은 직선방향의 볼록부(24a)와 오목부(24b)가 연속해서 순차적으로 형성됨으로써, 그 종단면 형상이 파형으로 이루어져 있다.
따라서, 상기 층간소음 저감재(20)에서 하부부재(24)의 볼록부(24a)가 콘크리트슬래브의 상면과 면접촉을 하게 되고, 상기 오목부(24b)에는 공기층이 존재하게 됨으로써, 충격이 가해질 경우 상기 볼록부(24a)가 압축되면서 볼록부(24b) 사이로 퍼지는 탄성을 발휘하여 보다 확실하게 충격을 흡수하게 된다.
즉, 1차적으로 폴리에틸렌(PE) 또는 PVC재질로 된 상부부재(22)가 충격을 흡수하고, 2차로 발포폴리프로필렌(EPP : Expandable Polypropylene) 재질로 된 하부 부재(24)가 충격을 흡수하는 2중 충격흡수 구조로 이루어지되, 상기 하부부재(24)는 그 재질특성에 의한 충격을 흡수함은 물론 그 저면의 파형구조로 인하여 탄성을 발휘함으로써, 보다 더욱 확실하게 충격을 흡수하게 되어 결국 층간소음을 보다 효과적으로 차단시키게 된다.
이와 같은 구조로 된 층간소음 저감재(20)를 이용하여 시공한 후, 경량충격음과 중량충격음을 시험한 결과, 실험마다 다소의 오차범위가 있기는 하였으나, 대체적으로 주택건설기준에 고나한 규정(dB) 이하로 측정되었다.
도 1은 종래 건축물의 층간구조를 나타낸 개략 단면도.
도 2는 종래 층간소음 저감재의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건축물의 층간소음 저감재 구성을 나타내기 위한 부분 분리사시도.
도 4는 도 3의 결합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관한 부호의 설명>
20 : 층간소음 저감재 22 : 상부부재
24 : 하부부재 24a : 볼록부
24b : 오목부

Claims (2)

  1. 폴리에틸렌 또는 PVC 재질로 된 상부부재;
    상기 상부부재의 아래쪽에 적층되는 것으로서, 발포폴리스틸렌 또는 발포폴리프로필렌 재질로 된 하부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의 층간소음 저감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부재의 저면은 직선방향의 볼록부와 오목부가 연속해서 순차적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의 층간소음 저감재.
KR2020080001943U 2008-02-13 2008-02-13 건축물의 층간소음 저감재 KR20090008284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01943U KR20090008284U (ko) 2008-02-13 2008-02-13 건축물의 층간소음 저감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01943U KR20090008284U (ko) 2008-02-13 2008-02-13 건축물의 층간소음 저감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8284U true KR20090008284U (ko) 2009-08-18

Family

ID=413007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80001943U KR20090008284U (ko) 2008-02-13 2008-02-13 건축물의 층간소음 저감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008284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085940A (zh) * 2013-01-04 2013-05-08 太仓锦阳宝船建造有限公司 一种舱壁隔音板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085940A (zh) * 2013-01-04 2013-05-08 太仓锦阳宝船建造有限公司 一种舱壁隔音板
CN103085940B (zh) * 2013-01-04 2015-12-02 太仓锦阳宝船建造有限公司 一种舱壁隔音板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63097B1 (ko) 건물의 층간소음 저감재 및 그 시공방법
TWI791780B (zh) 隔間壁構造及其施工方法
KR100718701B1 (ko) 건축물의 층간 소음저감재
KR100624357B1 (ko) 띄움바닥 구조를 이루는 공동주택의 층간 바닥충격음완충재
KR101477783B1 (ko) 복합자재를 이용한 뜬바닥구조용 층간차음재
KR100762925B1 (ko) 건축물의 층간 소음 저감재
KR20090087772A (ko) 건축물의 층간소음 저감재
KR100718698B1 (ko) 건축물의 층간소음 저감재
KR200433766Y1 (ko) 건축물의 층간소음 저감재
KR20060021933A (ko) 층간 소음 방지를 위한 플로팅 플로어 시스템
KR20100046842A (ko) 건축물의 층간소음 저감재
KR101479167B1 (ko) 건축물의 경량층격음 및 중량충격음을 저감시키기 위한 층간소음 저감방법
KR100995303B1 (ko) 방진매트를 이용한 공동주택 층간 바닥충격음 완충재
KR100763410B1 (ko) 층간 소음방지체의 적층구조
KR101070306B1 (ko) 건축물의 층간소음 저감재
KR200421085Y1 (ko) 건축물의 층간 소음 저감재
KR101092992B1 (ko) 공기층을 가진 바닥 충격음 차음 구조체
KR200423540Y1 (ko) 건축물의 층간소음 저감재
KR100718700B1 (ko) 건축물의 층간소음 저감재
KR20090008284U (ko) 건축물의 층간소음 저감재
KR20100000224U (ko) 건축물의 층간소음 저감재
KR100546445B1 (ko) 건축물의 층간바닥구조
KR20150111176A (ko) 건축용 층간 차음재
KR200409719Y1 (ko) 건축물의 층간 소음저감재
KR200409721Y1 (ko) 건축물의 층간 소음저감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