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08225U - 경사진 면도날이 구비된 면도기 - Google Patents

경사진 면도날이 구비된 면도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08225U
KR20090008225U KR2020080001857U KR20080001857U KR20090008225U KR 20090008225 U KR20090008225 U KR 20090008225U KR 2020080001857 U KR2020080001857 U KR 2020080001857U KR 20080001857 U KR20080001857 U KR 20080001857U KR 20090008225 U KR20090008225 U KR 20090008225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zor
blade
razor blade
angle
hand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8000185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길성
Original Assignee
황길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황길성 filed Critical 황길성
Priority to KR202008000185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08225U/ko
Publication of KR2009000822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08225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BHAND-HELD CUTTING TOO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6B21/00Razors of the open or knife type; Safety razors or other shaving implements of the planing type; Hair-trimming devices involving a razor-blade; Equipment therefor
    • B26B21/08Razors of the open or knife type; Safety razors or other shaving implements of the planing type; Hair-trimming devices involving a razor-blade; Equipment therefor involving changeable blades
    • B26B21/14Safety razors with one or more blades arranged transversely to the handle
    • B26B21/28Safety razors with one or more blades arranged transversely to the handle of the drawing cut type, i.e. with the cutting edge of the blade arranged obliquely or curved to the handl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ry Shavers And Clipp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경사진 면도날이 구비된 면도기에 관한 것으로서, 면도날이 고정되는 면도날수장부가 손잡이의 수직방향에서 15~25°의 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됨으로써 수염 등의 털을 힘들이지 않고 쉽게 깎을 수 있으며, 또한 깎는 도중에 면도날에 살이 베어지지 않도록 한 경사진 면도날이 구비된 면도기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면도기는 손잡이(120)와, 상기 손잡이(120)의 일단부에 형성된 면도날 수장부(110)로 구성되어 있는 면도기에 있어서, 상기 면도날 수장부(110)가 손잡이(120)에 대한 수직각도에서 15°내지 25°사이의 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다.
면도기, 경사진 면도날 수장부, 면도날

Description

경사진 면도날이 구비된 면도기{A SHAVER WITH RAZOR-EDGE INCLINED}
본 고안은 면도날이 경사지게 구성된 면도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면도날이 고정되는 면도날수장부가 손잡이의 수직방향에서 15~25°의 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됨으로써 수염 등의 털을 힘들이지 않고 쉽게 깎을 수 있으며, 또한 깎는 도중에 면도날에 살이 베어지지 않도록 한 경사진 면도날이 구비된 면도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수염 등의 털을 깎기 위해서 사용되는 면도기는 일회용 면도기, 면도날만 갈아 끼우는 면도기 및 회전되는 면도날이 내장된 전기면도기로 구분된다.
상기 면도기 중 전기면도기를 사용하게 되면 대체적으로 수염 등의 털의 깎여진 상태가 양호하지 않기 때문에 근래에는 일회용 면도기나 면도날만 갈아 끼우는 면도기를 사용하는 사람들이 증가하고 있다.
상기, 일회용 면도기나 면도날만 갈아 끼우는 면도기를 사용할 때에는 한손에 젖은 비누나 비누거품이 묻은 비누거품 솔을 잡고 다른 한손으로 면도기를 잡은 후, 면도할 피부영역에 비누막을 형성하거나 또는 비누거품을 도포하여 이 부분을 면도하고 또 다른 영역에 비누막을 형성하거나 비누거품을 도포하여 계속해서 면도해 나가는 것이며, 이러한 과정을 면도가 끝날 때까지 반복하게 된다.
상기 종래의 일회용 면도기는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손잡이(10)의 일단부인 연결부(11)에 한개 또는 한쌍의 면도날(21)이 고정된 면도날 수장부(20)가 손잡이(10)에 대하여 직각이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면도기는 면도날(21)이 털(30)에 직각으로 접한 상태에서 손잡이(10)를 당기는 동작에 의해서 수염 등의 털(30)을 깎는 것이므로 면도날(21)이 털(30)에 의하여 큰 저항력을 받게 된다.
따라서, 힘을 크게 주지 않으면 털(30)이 잘 깎여지기가 어렵고 반면에, 힘을 크게 주어서 수염 등의 털(30)을 깎게 되면 상처가 종종 발생됨에 따라 피부가 손상되는 문제가 발생되므로 면도할 때마다 여간 신경이 쓰이는 것이 아니다.
한편, 털(30)에 의하여 큰 저항력을 받으면서 면도를 하여야 하므로 면도날(21)의 수명까지도 단축되게 되는 문제점도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 종래의 면도기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수염 등의 털을 힘들이지 않고 쉽게 깎을 수 있고, 그럼에도 불구하고 면도날에 의하여 피부가 베어지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경사진 면도날이 구비된 면도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면도날의 수명단축을 방지할 수 있는 경사진 면도날 이 구비된 면도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경사진 면도날이 구비된 면도기는 손잡이와, 상기 손잡이의 일단부에 형성된 면도날 수장부로 구성되어 있는 면도기에 있어서, 상기 면도날 수장부가 손잡이의 일단부에 특정한 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경사진 면도날이 구비된 면도기는 또한, 상기 면도날 수장부의 특정한 각도는 5°내지 45°사이의 각도 중 어느 한 각도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경사진 면도날이 구비된 면도기는 또한, 상기 면도날 수장부의 특정한 각도는 15°내지 25°사이의 각도 중 어느 한 각도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른 경사진 면도날이 구비된 면도기는 면도날이 고정된 면도날 수장부가 손잡이에 대하여 직각 방향에서 특정한 각도를 이루도록 경사지게 구성됨으로써 수염 등의 털에 면도날이 특정한 각도로 경사지게 접한 상태에서 이동하게 되어 힘들이지 않고 용이하게 면도를 할 수 있으며, 또한 면도하는 도중에 면도날에 의하여 살이 베어지는 현상을 방지하게 된다.
또한, 면도를 무리하게 힘들이지 않고 쉽게 할 수 있게 됨에 따라 피부에 상처가 발생할 우려가 없게 되고, 면도날의 수명단축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 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경사진 면도날이 구비된 면도기의 정면도이고, 도 4는 수염 등의 털에 경사진 면도날이 접하는 위치 및 이동방향을 나타낸 설명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경사진 면도날이 구비된 면도기는 면도날(111)이 고정되는 면도날 수장부(110), 일측 단부의 연결부(121)에 상기 면도날 수장부(110)가 경사지게 형성되어지는 손잡이(120)로 구성되어 있다.
도끼로 나무를 자를 때나 무를 칼로 자를 경우, 도끼나 칼을 나무 또는 무에 수직방향으로 내리치거나 자를 때에는 나무 또는 무로부터 가장 큰 저항력을 받게 되지만 도끼나 칼을 나무 또는 무에 각각 경사 각도방향으로 자르게 되면 수월하게 잘라지게 된다. 이는 절단 날이 절단도구의 진행방향과 경사방향으로 진행하면서 절단하기 때문이다. 본 고안은 이와 같은 원리에 착안하여 안출된 것이다.
상기 면도날 수장부(110)는 후술하는 손잡이(120)의 일단부에 대한 수평방향에서 특정한 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다.
상기 면도날 수장부(110)의 특정한 각도로는 5°내지 45°사이의 범위 내의 여러 각도 중 선택된 임의의 각도가 해당되나, 면도날 수장부(110)의 각도가 클수록 절단성능은 증가하지만 면도날에 의하여 살이 베일 우려가 있으며, 면도날 수장부(110)의 각도가 작을수록 절단성능은 떨어지지만 면도날에 살이 베일 염려가 없다.
본 고안자는 면도날 수장부(110)의 경사각도가 15°로부터 25° 사이의 경우 가 절단성능도 좋으면서 면도날에 수염이 베일 염려가 없다는 것을 시험결과 알게 되었다.
상기 손잡이(120)는 그 일측 단부인 연결부(121)에 상기 면도날 수장부(110)가 5° 내지 45° 사이의 범위내의 여러 각도 중 선택되어진 특정한 각도로 굴곡되어서 경사지게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경사진 면도날이 구비된 면도기는 다음과 같이 작용한다.
도 4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수염 등의 털(30)에 면도날(111)이 15° 내지 25° 사이의 범위내의 여러 각도 중 선택되어진 특정한 각도로 접한 상태에서 면도날(111)이 털(30)을 자르면서 이동하게 되는 데, 이때 털(30)에 대하여 면도날(111)이 특정의 경사 각도를 유지하면서 이동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경사각도에 의하여 털(30)로부터의 저항력을 덜 받게 되어 털(30)을 용이하게 힘들이지 않고 자를 수 있으며, 면도날에 의하여 살이 베이지 않는다.
경사각도는 15°내지 25°사이의 각도 중에 취향에 맞는 특정한 각도로 면도날 수장부(110)가 형성된 면도기를 사용함으로써 면도기 사용자가 최소한의 적은 힘으로도 말끔히 면도를 할 수 있게 되어 피부에 손상을 주지 않게 되고, 안심하고 면도를 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면도기에 힘을 크게 가하지 않고 면도를 할 수 있게 됨으로써 면도날의 수명단축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본 고안은 기재된 구체예에 대해서만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고안의 사상과 범위내에서 다양하게 변경 또는 변형할수 있음은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에게는 명백한 것이며, 따라서 그러한 변경 또는 변형은 첨부된 실용신안등록청구의 범위에 속한다 해야 할 것이다.
도1은 종래의 면도기의 정면도,
도2는 종래의 면도기에 있어서, 수염 등의 털에 면도날이 접하는 위치 및 이동방향을 나타낸 설명도,
도3은 본 고안에 따른 경사진 면도날이 구비된 면도기의 정면도,
도4는 본 고안의 경사진 면도날이 구비된 면도기에 있어서, 수염 등의 털에 경사진 면도날이 접하는 위치 및 이동방향을 나타낸 설명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0 : 면도날 수장부 111 : 면도날
120 : 손잡이 121 : 연결부

Claims (2)

  1. 손잡이(120)와, 상기 손잡이(120)의 일단부에 형성된 면도날 수장부(110)로 구성되어 있는 면도기에 있어서,
    상기 면도날 수장부(110)가 손잡이(120)에 대한 수직각도에서 특정한 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사진 면도날이 구비된 면도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면도날 수장부(110)의 특정한 각도는 15°내지 25°사이의 각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사진 면도날이 구비된 면도기.
KR2020080001857U 2008-02-12 2008-02-12 경사진 면도날이 구비된 면도기 KR20090008225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01857U KR20090008225U (ko) 2008-02-12 2008-02-12 경사진 면도날이 구비된 면도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01857U KR20090008225U (ko) 2008-02-12 2008-02-12 경사진 면도날이 구비된 면도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8225U true KR20090008225U (ko) 2009-08-17

Family

ID=413006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80001857U KR20090008225U (ko) 2008-02-12 2008-02-12 경사진 면도날이 구비된 면도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008225U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761999B2 (en) Razor having separate blade groups for shaving and trimming/sculpting
US20190077034A1 (en) Spacer for razor blade for creating and maintaining a stubble shave appearance
KR101082303B1 (ko) 면도기
JP4966979B2 (ja) 多目的シェービング装置
CN103112018B (zh) 内弧形理发刀头组合
JP2011019789A (ja) 電気シェーバー
US20060277760A1 (en) Razor blades and assemblies therefor
DE602005026979D1 (de) Rasierapparat
KR200405136Y1 (ko) 볼록면도날을 구비한 면도기
KR20090008225U (ko) 경사진 면도날이 구비된 면도기
CN105690431A (zh) 一种指套式刮胡刀
CN210704938U (zh) 一种防刮伤护网刀头及刀片
CN205129920U (zh) 剃须刀的网罩
CN209566150U (zh) 一种便于清洗的手动剃须刀
US1825795A (en) Safety razor
KR20110028072A (ko) 좌우 경사진 면도날을 갖는 면도기
KR20100067774A (ko) 면도기 유닛 및 그것을 사용한 면도기
WO2015131496A1 (zh) 剃须刀刀头
CN209615587U (zh) 一种可涂抹剃须膏式刮胡刀
CN202895268U (zh) 旋转式电动剃须刀用内置活动刀具
CN205685362U (zh) 一种新型剃毛梳具
JP3113274U (ja) 安全かみそり
JP3111833U (ja) イの字型安全カミソリ
CN205394627U (zh) 一种刀片单元及应用有该刀片单元的剃须刀
KR200405137Y1 (ko) 오목면도날을 구비한 면도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