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07998A - 감시 카메라 시스템 - Google Patents

감시 카메라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07998A
KR20090007998A KR1020070071270A KR20070071270A KR20090007998A KR 20090007998 A KR20090007998 A KR 20090007998A KR 1020070071270 A KR1020070071270 A KR 1020070071270A KR 20070071270 A KR20070071270 A KR 20070071270A KR 20090007998 A KR20090007998 A KR 2009000799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mera
unit
operating
surveillance
operating syste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712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87905B1 (ko
Inventor
정동렬
Original Assignee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712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87905B1/ko
Publication of KR200900079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0799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879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879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3/00Burglar, theft or intruder alarms
    • G08B13/18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 G08B13/189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 G08B13/194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using image scanning and comparing systems
    • G08B13/196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using image scanning and comparing systems using television camera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6Remote control of cameras or camera parts, e.g. by remote control devices
    • H04N23/661Transmitting camera control signals through networks, e.g. control via the Interne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각각의 구성요소들을 연결하는 연결구조를 단순하게 함으로써, 시스템이 안정적으로 동작할 수 있는 감시 카메라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외부로부터 영상을 입력받는 카메라부; 상기 카메라부가 적어도 1축에 대하여 작동 가능하도록 상기 카메라부와 결합되고,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작동신호에 의하여 구동되는 카메라 작동부; 및 상기 카메라 작동부와 연결되어, 상기 카메라 작동부를 제어하는 상기 작동신호를 생성하는 운영 시스템을 구비하고, 상기 카메라부, 상기 카메라 작동부, 및 상기 운영 시스템 중의 적어도 2 이상이 근거리 통신망(LAN)으로 연결되는 감시 카메라 시스템을 제공한다.

Description

감시 카메라 시스템{Surveillance camera system}
본 발명은 감시 카메라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영상을 입력받는 카메라를 패닝(panning) 및/또는 틸팅(tilting)시킴으로써, 카메라를 좌우 및/또는 상하로 회전시키면서 감시 대상 영역을 감시할 수 있도록 제어 및/또는 구동하여 작동시키는 감시 카메라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감시 카메라 시스템은 특정 장소 또는 이동식으로 설치된 카메라를 통하여 입력되는 영상을 처리하여 대상을 인식하여 특정 지역을 감시하는 시스템이다. 이러한 감시 카메라 시스템은 지능형 감시 경계 로봇, GOP(Gerenal OutPost) 과학화 시스템, 사회안전 로봇 시스템과 같이 영상을 이용한 시큐러티 시스템(security system) 전반에 걸쳐 사용될 수 있다.
감시 카메라 시스템은 감시 카메라를 이용하여 장/단 거리 및 주/야간 원격 제어에 의하여 침입자를 탐지 및 추적할 수 있다. 이러한 기능을 갖는 감시 카메라 시스템은 위험 영역의 감시 및 추적 또는 불법 주정차 단속 시스템 등에 사용될 수 있다.
감시 카메라 시스템에 의하여 감시 대상 영역을 감시하는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감시 카메라 시스템이 패닝(panning), 틸팅(tilting), 및 줌(zoom) 등의 기능을 갖출 필요가 있다. 또한, 감시 카메라 시스템이 이러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여러 가지 구성 요소들을 포함하고, 각각의 구성 요소들 사이에 전원, 제어 신호, 및 구동 신호를 주고받을 필요가 있다.
한편, 감시 카메라 시스템에서는 카메라가 카메라 작동부 위에 장착되고, 카메라 작동부를 패닝(panning) 및/또는 틸팅(tilting)시킴으로써, 카메라를 좌우 및/또는 상하로 회전시키면서 영상을 입력받을 수 있다. 이때, 외부의 운영 시스템으로부터 카메라를 패닝 및/또는 틸팅 작동시키기 위한 작동 신호가 카메라 작동부에 입력될 수 있다.
이때, 카메라 작동부의 패닝 및/또는 틸팅 구동을 위한 구동 신호 및 카메라 작동부의 위치 정보를 주고받기 위하여, 외부의 운영 시스템과 연결되어 상호 통신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하여, 카메라 작동부와 운영 시스템 사이를 포함한 구성 요소들이 여러 가지 통신 프로토콜 중의 어느 하나의 방식에 의하여 상호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은, 각각의 구성요소들을 연결하는 연결구조를 단순하게 함으로써, 시스템이 안정적으로 동작할 수 있는 감시 카메라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외부로부터 영상을 입력받는 카메라부; 상기 카메라부가 적어도 1축에 대하여 작동 가능하도록 상기 카메라부와 결합되고,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작동신호에 의하여 구동되는 카메라 작동부; 및 상기 카메라 작동부와 연결되어, 상기 카메라 작동부를 제어하는 상기 작동신호를 생성하는 운영 시스템을 구비하고, 상기 카메라부, 상기 카메라 작동부, 및 상기 운영 시스템 중의 적어도 2 이상이 근거리 통신망(LAN)으로 연결되는 감시 카메라 시스템을 제공한다.
상기 카메라 작동부와 상기 운영 시스템 사이에 연결되어, 상기 작동 신호를 중계하는 리시버 박스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카메라 작동부가, 상기 카메라부를 패닝 및/또는 틸팅 구동하는 구동부, 상기 작동신호를 입력받는 통신부, 및 상기 작동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카메라부가, 영상을 입력받는 카메라, 및 상기 카메라와 결합되는 줌 렌즈를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감시 카메라 시스템에 의하면, 각각의 구성요소들을 연결하는 연결구조를 단순하게 함으로써, 시스템이 안정적으로 동작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에는 본 발명에 따른 감시 카메라 시스템(100)에서 패닝(panning) 및/또 는 틸팅(tilting)이 가능한 감시 카메라(110, 120)가 도시되어 있다. 도 2에는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일 실시예인 감시 카메라 시스템(100)에서 구성 요소들이 이더넷을 통하여 상호 연결되는 것이 도시되어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감시 카메라 시스템(100)에서는 운영 시스템(140), 카메라 작동부(120), 및 카메라부(110)의 적어도 일부가 근거리 통신망(LAN, Local Area Network) 바람직하게는 이더넷(ethernet)을 통하여 연결된다. 즉, 감시 카메라 시스템(100)에서는 그 구성 요소들이 범용의 이더넷을 통하여 상호 연결되도록 함으로써, 그 연결 구조를 단순화시켜 카메라 작동부(120)가 안정적으로 동작될 수 있도록 하고, 설치 및 유지 보수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감시 카메라 시스템(100)은 카메라부(110), 카메라 작동부(120), 리시버 박스(130) 및 운영 시스템(140)을 구비한다. 이때, 카메라부(110), 카메라 작동부(120), 리시버 박스(130), 및 운영 시스템(140) 중의 적어도 2 이상이 근거리 통신망(LAN) 바람직하게는 이더넷(ethernet)으로 연결될 수 있다.
카메라부(110)는 외부로부터 영상을 입력받는다. 카메라 작동부(120)는 카메라부(110)가 적어도 1축에 대하여 작동 가능하도록 카메라부(110)와 결합되고,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작동신호에 의하여 구동된다. 이때, 카메라부(110)와 카메라 작동부(120)가 하나의 감시 카메라가 될 수 있다.
리시버 박스(130)는 카메라 작동부(120)와 운영 시스템(140) 사이에 연결되어, 카메라 작동부(120)를 작동시키기 위한 작동신호를 중계한다. 운영 시스 템(140)은 카메라 작동부(120)와 연결되어, 카메라 작동부(120)를 제어하는 작동신호를 생성한다.
카메라부(110)는 카메라(111), 및 줌 렌즈(112)를 구비할 수 있다. 카메라(111)는 외부로부터 영상을 입력받는다. 줌 렌즈(112)는 카메라(111)의 영상이 입력되는 전면부에 결합되어, 카메라부(111)를 통하여 입력되는 영상을 줌 인(zoom in) 또는 줌 아웃(zoom out) 시킬 수 있다.
이때, 카메라(111)는 입력받는 영상으로부터 아날로그 형식의 영상 정보 또는 디지털 형식의 영상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이러한 영상 정보는 카메라 작동부(120) 바람직하게는 통신부(123)로 전송될 수 있다.
이때, 카메라(111)에서 생성되는 영상 정보가 디지털 형식의 신호가 되고, 카메라(111)와 카메라 작동부(120)의 통신부(123)가 이더넷으로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카메라 작동부(120)와 운영 시스템(140)이 이더넷으로 연결되고, 카메라(111)에서 생성된 영상 정보가 이더넷을 통하여 운영 시스템(140)으로 전송될 수 있다.
이때, 카메라 작동부(120)와 운영 시스템(140) 사이에 이더넷으로 연결되는 리시버 박스(130)가 연결될 수 있다.
한편, 카메라(111)에서 생성되는 영상 정보가 아날로그 형식의 신호가 될 수 있다. 이때, 카메라(111)와 카메라 작동부(120)의 통신부(123)가 통상의 동축케이블에 의하여 연결될 수 있다.
다만, 카메라(111)에서 생성되는 아날로그 형식의 영상 정보가 이더넷으로 연결되는 운영 시스템(140)으로 전송될 수 있도록, 카메라(111)와 운영 시스템(140) 사이에 배치되는 통신부(123) 또는 리시버 박스(130)에서 아날로그 영상 신호를 디지털 영상 신호로 변환할 수 있다.
또한, 다른 실시예로서, 다른 제어 신호들과 별개로 아날로그 또는 디지털 형식의 영상 정보가 직접 운영 시스템(140)으로 전송될 수 있다.
이처럼, 카메라(111)의 영상 정보를 이더넷을 통하여 다른 제어신호 및/또는 정보들과 함께 전송할 수 있으므로, 감시를 원하는 어느 곳에서나 영상을 전송받을 수 있다.
카메라부(110)에는 별도의 줌 구동부(미도시) 및 통신모듈(미도시)이 포함될 수 있다.
카메라(111)는 운영 시스템(140)으로부터 리시버 박스(130) 및 카메라 작동부(120)를 통하여 입력되는 제어 신호에 의하여 작동되며, 외부로부터 영상을 입력받는다. 줌 렌즈(112)는 카메라(111)와 결합되어, 근거리(near), 원거리(far), 광각(wide), 망원(tele) 등의 줌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줌 구동부(미도시)는 줌 렌즈(112)를 구동하여 줌 렌즈(112)가 근거리(near), 원거리(far), 광각(wide), 망원(tele) 등의 줌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제어할 수 있다. 통신모듈(미도시)은 카메라(111) 및/또는 줌 구동부(112)와 연결되고, 카메라부(110)가 외부와 통신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줌 구동부가 카메라부(110)의 카메라 하우징 내부에 포함되도록 하여, 카메라 작동부(120)의 팬 및/또는 틸트 구동 시에 줌 구동부가 카메라(111) 및 줌 렌즈(112)와 함께 움직일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카메라 작동부(120)는 카메라부(110)가 적어도 1축 바람직하게는 제1축에 대한 패닝 및/또는 제2축에 대한 틸팅 작동 가능하도록 구동될 수 있다. 이때, 패닝(panning)은 제1축에 대하여 좌우로 회전하는 작동이 되고, 틸팅(tilting)은 제2축에 대하여 상하로 회전하는 작동이 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카메라 작동부(120)는 구동부(121), 제어부(122), 및 통신부(123)를 구비할 수 있다. 구동부(121)는 카메라부(110)를 패닝 및/또는 틸팅 구동한다. 제어부(122) 카메라부(110)를 패닝 및/또는 틸팅 구동하도록 하는 작동신호를 입력받아 구동부(121)를 제어한다. 통신부(123)는 카메라부(110)를 패닝 및/또는 틸팅 구동하도록 하는 작동신호를 운영 시스템(140)으로부터 입력받는다.
이때, 구동부(121)는 모터 및 감속기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즉, 구동부(121)는 패닝 구동을 위한 모터 및 감속기와 틸팅 구동을 위한 모터 및 감속기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123)는 카메라부(110)를 패닝 및/또는 틸팅 구동하도록 하는 작동신호를 운영 시스템(140)으로부터 직접 또는 리시버 박스(130)를 통하여 입력받는다. 또한, 통신부(123)는 카메라부(110)의 카메라(111)로부터 영상 신호를 입력받아 리시버 박스(130)를 통하여 또는 직접 운영 시스템(140)으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통신부(123)는 운영 시스템(140)으로부터 카메라부(110)의 제어 신호를 운영 시스템(140)으로부터 직접 또는 리시버 박스(130)를 통하여 입력받아, 카메라부(110)의 카메라(111)로 전송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통신부(123)는 카메라 부(110), 리시버 박스(130), 및 운영 시스템(140)과 근거리 통신망 바람직하게는 이더넷으로 연결될 수 있다.
한편, 이더넷 방식에 의한 연결은 거리 제한이 없으며, 노이즈에 강하다. 또한, 시스템이 복잡하게 되는 경우에도 라인 구성이 간단하고, 제어가 용이하다.
따라서, 감시 카메라 시스템(100)에서는 카메라 작동부(120)가 리시버 박스(130) 및/또는 운영 시스템(140)과 이더넷을 통하여 연결되므로, 간단하고 안정적으로 카메라 작동부(120)를 작동시킬 수 있다.
리시버 박스(130)는 카메라 작동부(120)와 운영 시스템(140) 사이에 연결되어, 카메라 작동부(120)를 작동시키기 위한 작동신호를 중계한다. 또한, 리시버 박스(130)는 카메라부(110) 및 카메라 작동부(120)의 각종 신호 및/또는 정보를 운영 시스템(140)으로 이더넷을 통하여 전송할 수 있다.
한편, 카메라부(110) 및/또는 카메라 작동부(120)에는 여러개의 서로 다른 종류 및/또는 레벨의 전원이 필요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리시버 박스(130)에는 별도의 전원 모듈이 포함될 수 있다.
이 경우, 리시버 박스(130)에서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교류의 입력 전원을 변환하여 적어도 하나 이상 또는 복수개 레벨의 직류의 작동 전원들을 생성하고, 이들 작동 전원들을 카메라 작동부(120)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카메라부(110)에서 사용되는 전원이 리시버 박스(130)의 전원 모듈에서 생성되고, 카메라 작동부(120) 또는 통신부(123)를 통하여 카메라부(110)로 전송될 수 있다.
운영 시스템(140)은 카메라 작동부(120)와 연결되어, 카메라 작동부(120)를 제어하는 작동신호를 생성한다. 운영 시스템(140)은 카메라부(110) 및/또는 카메라 작동부(120)의 상태 정보를 입력 및/또는 카메라부(110) 및/또는 카메라 작동부(120)를 제어한다.
즉, 운영 시스템(140)은 카메라부(110) 및/또는 카메라 작동부(120)로부터 각각의 상태 정보를 리시버 박스(130)를 통하여 전송 받아, 카메라부(110) 및/또는 카메라 작동부(120)의 제어를 위한 제어 신호를 생성한다.
운영 시스템(140)에서 생성된 카메라부(110) 및/또는 카메라 작동부(120)의 제어 신호가 이더넷에 의하여 리시버 박스(130)로 전송되고, 그 제어 신호가 이더넷에 의하여 카메라부(110) 및/또는 카메라 작동부(120)에 전송될 수 있다.
한편, 카메라부(110)를 외부 환경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도록, 카메라부(110)가 카메라 하우징 내부에 수납될 수 있다. 카메라부(110)와 카메라 작동부(120)를 포함하여 감시 카메라(100a)가 이루어지고, 감시 카메라(100a)는 프레임(150) 위에 설치되고, 프레임(150)의 하단에 감시 카메라(100a)로부터 일정한 거리 떨어져 리시버 박스(130)가 설치될 수 있다. 리시버 박스(130)는 운영 시스템(140)과 연결될 수 있다.
이때, 감시 카메라 시스템(100)에서는 하나의 운영 시스템(140)에는 복수개의 리시버 박스들(130)이 연결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리시버 박스(130)에는 감시 카메라(110, 120)가 각각 연결될 수 있다. 즉, 하나의 운영 시스템(140)이 복수대의 감시 카메라(110, 120)를 관리할 수 있다.
특히, 감시 카메라 시스템(100)에서는 카메라 작동부(120)가 리시버 박 스(130) 및/또는 운영 시스템(140)과 이더넷을 통하여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운영 시스템(140)에 연결되는 카메라 작동부(120)의 설치 수량에 관계없이 또한 운영 시스템(140)의 설치 위치에 관계없이, 통상의 PC 등의 컴퓨터에 범용적으로 설치되는 이더넷을 이용하여 카메라 작동부(120)를 안정적으로 구동할 수 있다.
또한, 시스템이 확장되더라도 별도의 결선 작업이 필요 없이 카메라부(110) 및 카메라 작동부(120)를 추가적으로 설치할 수 있다. 또한, 별도의 결선 작업이 필요 없으므로, 공사비를 줄일 수 잇다.
도 3에는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인 감시 카메라 시스템(200)에서, 도 2의 리시버 박스(130)가 생략된 것이 도시되어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감시 카메라 시스템(200)은 도 2의 감시 카메라 시스템(100)에 대하여 도 2의 리시버 박스(130)가 생략된 것으로, 이하에서 설명되는 사항을 제외한 사항에 대해서는 도 2의 감시 카메라 시스템(100)에서와 동일하고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유사한 참조번호를 사용하고,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때, 감시 카메라 시스템(200)은 카메라부(210), 카메라 작동부(220), 및 운영 시스템(240)을 구비한다. 이때, 카메라부(210), 카메라 작동부(220), 및 운영 시스템(240) 중의 적어도 2 이상이 근거리 통신망(LAN) 바람직하게는 이더넷(ethernet)으로 연결될 수 있다.
카메라부(210)는 외부로부터 영상을 입력받는다. 카메라 작동부(220)는 카메라부(210)가 적어도 1축에 대하여 작동 가능하도록 카메라부(210)와 결합되고, 외 부로부터 입력되는 작동신호에 의하여 구동된다. 이때, 카메라부(210)와 카메라 작동부(220)가 하나의 감시 카메라가 될 수 있다.
운영 시스템(140)은 카메라 작동부(120)와 연결되어, 카메라 작동부(120)를 제어하는 작동신호를 생성한다. 카메라 작동부(220)에서 도 2의 리시버 박스(130)가 수행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카메라 작동부(220)는 구동부(221), 제어부(222), 및 통신부(223)를 구비할 수 있다. 구동부(221)는 카메라부(210)를 패닝 및/또는 틸팅 구동한다. 제어부(222) 카메라부(210)를 패닝 및/또는 틸팅 구동하도록 하는 작동신호를 입력받아 구동부(221)를 제어한다.
통신부(223)는 카메라부(210)를 패닝 및/또는 틸팅 구동하도록 하는 작동신호를 운영 시스템(240)으로부터 입력받는다. 이때, 통신부(223)에서 도 2의 리시버 박스(130)가 수행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감시 카메라 시스템(200)에서는 별도의 리시버 박스가 필요 없으므로, 시스템이 더욱 단순화될 수 있다.
도 4에는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인 감시 카메라 시스템(300)에서, 운영 시스템(340)과 카메라 작동부(320)가 POE(Power over Ethernet)에 의하여 상호 연결되어, 운영 시스템(340)으로부터 카메라 작동부(320)로 전원이 이더넷을 통하여 공급되는 것이 도시되어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감시 카메라 시스템(300)은 도 3의 감시 카메라 시스템(200)에 대하여 운영 시스템(340)과 카메라 작동부(320)가 POE(Power over Ethernet)에 의하여 연결되는 것으로, 이하에서 설명되는 사항을 제외한 사항에 대해서는 도 3의 감시 카메라 시스템(300)에서와 동일하고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유사한 참조번호를 사용하고,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때, POE(Power over Ethernet)는 통상의 이더넷에서와 같은 통신 기능과 함께 전력을 전송할 수 있다. 따라서, 별도의 전력 전송을 위한 케이블이 생략될 수 있다. 따라서, 각 구성요소들의 연결 구조을 더욱 단순하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감시 카메라 시스템에서, 패닝 및 틸팅이 가능한 감시 카메라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일 실시예로서, 구성 요소들이 이더넷을 통하여 상호 연결되는 감시 카메라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로서, 리시버 박스가 생략된 감시 카메라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로서, 구성 요소들이 POE에 의하여 상호 연결되는 감시 카메라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200, 300: 감시 카메라 시스템, 110, 210, 310: 카메라부,
120, 220, 320: 카메라 작동부, 130: 리시버 박스,
140, 240, 340: 운영 시스템.

Claims (10)

  1. 외부로부터 영상을 입력받는 카메라부;
    상기 카메라부가 적어도 1축에 대하여 작동 가능하도록 상기 카메라부와 결합되고,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작동신호에 의하여 구동되는 카메라 작동부; 및
    상기 카메라 작동부와 연결되어, 상기 카메라 작동부를 제어하는 상기 작동신호를 생성하는 운영 시스템을 구비하고,
    상기 카메라부, 상기 카메라 작동부, 및 상기 운영 시스템 중의 적어도 2 이상이 근거리 통신망(LAN)으로 연결되는 감시 카메라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 작동부가 상기 카메라부를 패닝(panning) 및/또는 틸팅(tilting) 작동 가능한 감시 카메라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 작동부와 상기 운영 시스템 사이에 연결되어, 상기 작동 신호를 중계하는 리시버 박스를 더 구비하는 감시 카메라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리시버 박스에서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교류의 입력 전원을 변환하여 적 어도 하나 레벨 이상의 직류의 작동 전원들을 생성하고, 상기 작동 전원들을 상기 카메라 작동부로 전송하는 감시 카메라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 작동부가, 상기 카메라부를 패닝 및/또는 틸팅 구동하는 구동부, 상기 작동신호를 입력받는 통신부, 및 상기 작동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하는 감시 카메라 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부가, 영상을 입력받는 카메라, 및 상기 카메라와 결합되는 줌 렌즈를 구비하는 감시 카메라 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에서 생성되는 아날로그 또는 디지털 형식의 영상 정보가 상기 통신부로 전송되고, 상기 영상 정보가 이더넷을 통하여 상기 운영 시스템으로 전송되는 감시 카메라 시스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 작동부와 상기 운영 시스템이 POE(Power over Ethernet)을 통하여 연결되는 감시 카메라 시스템.
  9.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운영 시스템에 복수개의 리시버 박스가 연결되는 감시 카메라 시스템.
  10.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가 모터 및 감속기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감시 카메라 시스템.
KR1020070071270A 2007-07-16 2007-07-16 감시 카메라 시스템 KR1011879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71270A KR101187905B1 (ko) 2007-07-16 2007-07-16 감시 카메라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71270A KR101187905B1 (ko) 2007-07-16 2007-07-16 감시 카메라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7998A true KR20090007998A (ko) 2009-01-21
KR101187905B1 KR101187905B1 (ko) 2012-10-05

Family

ID=404884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71270A KR101187905B1 (ko) 2007-07-16 2007-07-16 감시 카메라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8790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58528B1 (ko) * 2012-03-08 2013-04-30 케이에스아이 주식회사 주차장의 카메라 및 램프 구동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88526Y1 (ko) 2005-04-13 2005-06-29 용인송담대학 산학협력단 카메라를 이용한 보안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58528B1 (ko) * 2012-03-08 2013-04-30 케이에스아이 주식회사 주차장의 카메라 및 램프 구동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87905B1 (ko) 2012-10-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77252B1 (ko) 로봇 청소기를 이용한 원격 감시시스템 및 방법
KR101195703B1 (ko) 중계기능을 갖는 아이피카메라를 이용한 감시시스템
US10889372B2 (en) Follow focus devices, and remote-control follow focus systems and aerial vehicles with follow focus devices
JP5525903B2 (ja) セキュリティシステム
KR20100129125A (ko) 지능형 광역 감시 카메라, 그 제어회로 및 제어방법, 이를 이용한 영상 감시 시스템
US6400264B1 (en) Community far end intelligent image monitor
JP2021031051A (ja) 自動運転車両及び自動運転車両用のシステム
WO2006136922A1 (en) System and method for secure digital video
KR101187905B1 (ko) 감시 카메라 시스템
KR101247302B1 (ko) 감시 카메라 시스템
KR101204081B1 (ko) 감시 시스템
KR200413332Y1 (ko) 센서와 카메라를 이용한 보안 감시 시스템
KR100699332B1 (ko) 전력선통신을 이용한 무인 원격감시 보안시스템
WO2022017192A1 (zh) 边缘计算装置以及边缘计算方法和系统
CN109120894B (zh) 塔机监控设备、系统和方法及塔机
JP2005086609A (ja) カメラ装置およびカメラシステム
KR100960915B1 (ko) 조립식 보안 장치
KR102170690B1 (ko) 감시카메라 장치
KR102116091B1 (ko) 구획 필터들을 가진 감시 카메라
KR101622254B1 (ko) 감시카메라용 하우징 구동 및 연결 시스템
KR200200320Y1 (ko) 감시용 카메라 시스템
US20060098091A1 (en) Surveillance system for remotely controlling camera through monitor and method thereof
KR20100103779A (ko) 고성능 무인 감시장치의 영상 멀티 전송체계 시스템
CN113917878B (zh) 控制盒、远程遥控操作控制系统及作业机械
KR102572328B1 (ko) 관제차량을 이용한 무인 자율주행 차량의 제어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3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2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2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26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