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07904U - 이산화탄소 감지 장치를 내장한 기관내 삽관 튜브 - Google Patents

이산화탄소 감지 장치를 내장한 기관내 삽관 튜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07904U
KR20090007904U KR2020080001461U KR20080001461U KR20090007904U KR 20090007904 U KR20090007904 U KR 20090007904U KR 2020080001461 U KR2020080001461 U KR 2020080001461U KR 20080001461 U KR20080001461 U KR 20080001461U KR 20090007904 U KR20090007904 U KR 20090007904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bon dioxide
intubation
endotracheal
endotracheal tube
detection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8000146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진우
Original Assignee
정진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진우 filed Critical 정진우
Priority to KR202008000146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07904U/ko
Publication of KR2009000790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07904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6/00Devices for influencing the respiratory system of patients by gas treatment, e.g. mouth-to-mouth respiration; Tracheal tubes
    • A61M16/04Tracheal tubes
    • A61M16/0434Cuff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6/00Devices for influencing the respiratory system of patients by gas treatment, e.g. mouth-to-mouth respiration; Tracheal tubes
    • A61M16/22Carbon dioxide-absorbing devices ; Other means for removing carbon dioxid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6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with identification means
    • A61M2205/6063Optical identification systems
    • A61M2205/6081Colour co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10/00Anatomical parts of the body
    • A61M2210/10Trunk
    • A61M2210/1025Respiratory system
    • A61M2210/1032Trachea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lmo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esthes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Hemat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asurement Of The Respiration, Hearing Ability, Form, And Blood Characteristics Of Living Organisms (AREA)

Abstract

(가) 기술분야
기관삽관술 시 기관내 튜브의 위치를 신속하게 확인하기 위한 고안
(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
기관내 삽관 시 별도의 장치를 사용하지 않고 기관내 튜브의 위치를 객관적이고 신속하게 확인하는 방법
(다) 과제의 해결 수단
이산화탄소와 접촉시 색상이 변하는 화학 물질을 이용한 이산화탄소 감지 장치를 기관내 튜브에 일체형으로 통합
(라) 효과
기관삽관술 후 삽관 성공 여부의 확인이 신속하고 정확해져 응급환자 및 마취 환자의 치료 개선이 기대됨
기관내 삽관,이산화탄소 검출 장치,기관내 튜브,삽관 위치 확인,인튜베이션,intubation,carbon dioxide,confirmation

Description

이산화탄소 감지 장치를 내장한 기관내 삽관 튜브 {Endotracheal tube with integrated carbon dioxide detector}
본 실용신안은 응급환자 또는 전신마취 환자의 기도(airway)를 확보하기 위해 사용되는 기관삽관술(tracheal intubation)시행 시 기관내 튜브(endotracheal tube)의 위치를 신속하게 확인하여 시술 오류로 인한 치명적인 부작용의 발생을 예방함을 목적으로 한다.
[문헌 1] American heart association. Adjuncts for airway control and ventilation. Circulation 2005;112:IV-51~IV-57
[문헌 2] US 04691701 (R. Tudor Williams) 1987.09.08
기관내 삽관(tracheal intubation)은 최종적이고 확실한 기도 확보를 위한 의료 행위로, 응급환자나 전신마취 환자 등에게 행해지고 있다. 기관내 삽관법은 튜브를 환자의 기관(trachea)내에 위치시키는 것이 그 본래의 목적이나, 간혹 튜브가 식도 내로 삽입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고, 만일 식도 내로 삽관된 것을 인지하지 못하고 장시간(수분 이상)경과할 시에는 정상적인 호흡이 되지 않아 치명적인 결과를 초래할 수 있다. 따라서 삽관 후 튜브의 위치가 기관 내에 위치하였는지 식도 내에 위치하였는지를 신속히 확인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현재 기관 튜브의 위치를 확인하는 데 사용되는 객관적인 방법으로는 이산화탄소 검출 장치를 사용하는 방법과, 음압을 사용하여 확인하는 방법이 있다. 이 중 이산화탄소 검출 장치를 사용하는 방법에는 이산화탄소와 접촉시 색상이 변하는 화학 물질을 사용하는 방법 (Calorimetric CO2 detector)와 전자 회로와 센서를 사용한 이산화탄소 검출 방식(capnometry)이 현재 사용되고 있다.
현재 사용되는 튜브 위치 확인 방법들은 모두 별도의 검출 장치를 따로 준비하여 기관내 튜브에 결합시키는 방식을 채택하고 있어, 튜브와 별도로 검출 장치의 보관 및 재고 관리를 하여야 하며, 긴급 상황에서 신속하게 적용하는 데 제한점이 있다.
본 고안에서는 환자의 기도에 삽입되는 기관내 튜브 자체에 이산화탄소 검출 장치를 통합함으로써 튜브와 검출 기구를 별도로 준비, 관리하는 불편을 해소하고 시술 후 튜브의 위치 확인을 신속하게 할 수 있도록 한다.
통상의 방법과 같이 기관내 튜브를 환자의 기관 내에 위치시키고 호흡을 공급하면, 기관내 튜브를 통과하는 공기의 일부가 공기 통로([도 2] 의 6) 를 통해 이산화탄소 검출 장치 ([도 2]의 5)에 도달한다. 이산화탄소 검출 장치는 이산화탄소와 접촉하면 색상이 변하는 화학 물질을 사용한다. 색상의 변화는 투명한 케이스([도 2]의 7)를 통해 관찰, 확인이 가능하다.
환자가 호흡하는 공기 중에 이산화탄소가 포함되어 있다는 것은 기관내 튜브가 기도 내에 위치해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만일 이산화탄소에 의한 색상 변화가 관찰되지 않는다면 기관내 튜브가 잘못된 위치(식도 등)에 위치해 있는 것으로 판단하고 튜브의 제거 및 재삽관 등의 조치를 취할 필요가 있다.
본 고안으로 인해 기관삽관술 후 튜브 위치의 객관적인 확인이 보다 쉽고 빨라져 응급환자 및 전신마취 환자에 대한 치료가 보다 안전해질 것으로 기대된다.
튜브, 커넥터, 커프, 공기 주입 장치를 가진 통상의 기관내 튜브 디자인에 이산화탄소 검출 장치를 통합, 부착하여 제조한다. 이산화탄소 검출 장치는 이산화탄소와 접촉하면 색상이 변하는 화학 물질을 사용하며, 이는 기본적으로는 이산화 탄소가 물에 녹으면 탄산이 되어 pH가 변하는 성질을 이용한 것이다.
이산화탄소 검출 장치가 통합된 기관내 튜브는 멸균 상태로 포장, 공급하여 사용자가 개봉후 즉시 사용할 수 있게 한다.
의료소모품 제조 산업에 즉시 활용 가능한 고안이다.
제 1도는 현재 많이 사용되고 있는 기관내 튜브의 전형적인 모습을 나타낸 것이다.
1. 튜브 본체. 연질의 합성 수지로 이루어져 있고, 내부의 관을 통해 환기가 이루어진다.
2. 커넥터(connector). 단단한 재질의 합성 수지로 이루어져 있으며, 호흡 장치(인공호흡기 또는 백-밸브 장치)와 연결되는 부분이다. 외경은 표준화되어 있다.
3. 커프(cuff). 얇은 합성 수지 막으로 이루어진 공기 주머니이다. 공기를 주입하면 부풀어 올라서 환자의 기관 내벽에 밀착된다.
4. 공기 주입구. 3.의 커프에 공기를 주입하는 통로이다. 밸브와 파일럿 밸룬(pilot balloon)이 내장되어 있다.
제 2도는 본 고안의 전체 개요를 나타낸 것이다.
5. 이산화탄소 감지 장치
6. 공기 통로 : 기관내 튜브를 통과하는 공기 중 일부가 이산화탄소 감지 장치로 흐를 수 있게 한다.
7. 케이스 : 기관내 튜브의 재질과 같거나 유사한, 투명한 합성 수지를 사용하며 기관내 튜브에 고정시킨다.

Claims (4)

  1. 기관내 튜브에 일체형으로 부착, 고정된 이산화탄소 검출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이산화탄소 검출 장치의 케이스는 투명한 연질 합성수지를 사용
  3. 청구항 1에 있어서 기관내 튜브 본체와 이산화탄소 검출 장치 사이에는 하나 이상의 공기 통로가 존재
  4. 청구항 1에 있어서 전체 장치는 멸균 상태로 개별 포장되어 공급
KR2020080001461U 2008-01-31 2008-01-31 이산화탄소 감지 장치를 내장한 기관내 삽관 튜브 KR20090007904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01461U KR20090007904U (ko) 2008-01-31 2008-01-31 이산화탄소 감지 장치를 내장한 기관내 삽관 튜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01461U KR20090007904U (ko) 2008-01-31 2008-01-31 이산화탄소 감지 장치를 내장한 기관내 삽관 튜브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7904U true KR20090007904U (ko) 2009-08-05

Family

ID=413003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80001461U KR20090007904U (ko) 2008-01-31 2008-01-31 이산화탄소 감지 장치를 내장한 기관내 삽관 튜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007904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39293A (ko) * 2021-09-14 2023-03-21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이산화탄소 분압 측정에 기반한 기관내삽관 보조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39293A (ko) * 2021-09-14 2023-03-21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이산화탄소 분압 측정에 기반한 기관내삽관 보조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420906B2 (en) Airway products and technique for using the same
US8844534B2 (en) Tracheal tube with lumen for tracheal pressure measurement and technique for using the same
US8109272B2 (en) Carbon dioxide-sensing airway products and technique for using the same
JP2013517016A (ja) 鎮静下内視鏡手技を受ける患者に使用するマスク
CN104994899A (zh) 可逆性气道装置以及用于使患者通气的相关方法
JP2012520708A (ja) ジェット換気用カテーテル
US20100300450A1 (en) Nasal airway management device with inflatable supraglottic laryngeal cuff
US20130098363A1 (en) Endotracheal cuff pressure regulation circuit and method
US20170239431A1 (en) Device for evacuating and/or monitoring gas leaking from a patient during surgery or anesthetization
PT2239004E (pt) Dispositivo de assistência respiratória e sistema de medição compreendendo um tal dispositivo
US11478596B2 (en) System and method for high flow oxygen therapy
Pascoe et al. Anesthesia for thoracoscopy
WO2015078204A1 (zh) 一种安全三通道喉罩
US8424516B2 (en) Ventilating tube and stylet system
US10010690B1 (en) Endotracheal tube apparatus
KR20200025778A (ko) 자가호흡 모니터링 기능을 갖는 기도확보장치
SE522361C2 (sv) Ventilatortub
KR20090007904U (ko) 이산화탄소 감지 장치를 내장한 기관내 삽관 튜브
CN208436195U (zh) 一种急救双腔双套囊喉通气管
CN101455873A (zh) 双腔咽喉通气导管
Shin et al. Changes in endotracheal tube intracuff pressure and air leak pressure over time in anesthetized Beagle dogs
CN109701130A (zh) 一种急救双腔双套囊喉通气管
CN105664318A (zh) 喉罩位置连续监测装置
CN201320340Y (zh) 双腔咽喉通气导管
CN205698781U (zh) 喉罩位置连续监测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