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07870U - 척추 교정용 타진장치 - Google Patents

척추 교정용 타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07870U
KR20090007870U KR2020080001416U KR20080001416U KR20090007870U KR 20090007870 U KR20090007870 U KR 20090007870U KR 2020080001416 U KR2020080001416 U KR 2020080001416U KR 20080001416 U KR20080001416 U KR 20080001416U KR 20090007870 U KR20090007870 U KR 20090007870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ercussion
controller
output
solenoid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8000141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상해
Original Assignee
(주)아이티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아이티시 filed Critical (주)아이티시
Priority to KR202008000141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07870U/ko
Publication of KR2009000787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07870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0102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recting deformities of the limbs or for supporting them; Ortheses, e.g. with articul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1/00Apparatus for passive exercising; Vibrating apparatus ; Chiropractic devices, e.g. body impacting devices, external devices for briefly extending or aligning unbroken bones
    • A61H1/008Apparatus for applying pressure or blows almost perpendicular to the body or limb axis, e.g. chiropractic devices for repositioning vertebrae, correcting deform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3/00Percussion or vibration massage, e.g. using supersonic vibration; Suction-vibration massage; Massage with moving diaphragms
    • A61H23/006Percussion or tapping massag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3/00Percussion or vibration massage, e.g. using supersonic vibration; Suction-vibration massage; Massage with moving diaphragms
    • A61H23/02Percussion or vibration massage, e.g. using supersonic vibration; Suction-vibration massage; Massage with moving diaphragms with electric or magnetic driv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3/00Percussion or vibration massage, e.g. using supersonic vibration; Suction-vibration massage; Massage with moving diaphragms
    • A61H23/02Percussion or vibration massage, e.g. using supersonic vibration; Suction-vibration massage; Massage with moving diaphragms with electric or magnetic drive
    • A61H23/0218Percussion or vibration massage, e.g. using supersonic vibration; Suction-vibration massage; Massage with moving diaphragms with electric or magnetic drive with alternating magnetic fields producing a translating or oscillating movement

Abstract

본 고안은 척추 교정용 타진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신체 부위에 반복적인 물리력을 가함으로 척추교정 및 물리치료 효과를 얻을 수 있는 타진장치를 제공하되, 리듬감을 갖는 주파수 출력 패턴으로 타진효과를 향상시킨 척추 교정용 타진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은 신체의 특정 부위에 반복적으로 물리적인 힘을 가하는 것으로, 전원공급시 전자기력을 형성하는 솔레노이드 및 탄성력을 제공하는 스프링에 의해 타진봉이 축방향으로 왕복운동을 하는 타진부와; 상기 타진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것으로, 다양한 동작 패턴의 출력주파수를 제공하는 컨트롤러와; 상기 타진부와 컨트롤러 사이를 전기적으로 연결하여 동작 제어신호를 전달하는 전선;을 포함하는 것으로, 상기 컨트롤러에서 출력되는 주파수 패턴은 펄스신호의 수차례 연속발진과 휴식이 일정한 시간 간격으로 반복되는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척추교정, 물리치료, 안마, 타진부, 컨트롤러, 솔레노이드, 주파수 패턴변경, 포토커플러

Description

척추 교정용 타진장치 {Stimulating apparatus for vertebra remedy}
본 고안은 척추 교정용 타진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치료하고자 하는 신체 부위에 반복적인 물리력을 가함으로써 척추교정 및 물리치료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으로, 병원이나 가정에서 쉽게 척추 또는 골반의 위치를 바로잡아 척추 통증을 유발하는 원인을 해소할 뿐 아니라 만성요통, 디스크에 의한 좌골신경통 및 기타 척추질환을 치유하는 척추 교정용 타진장치에 관한 것이다.
중력이 작용하는 지구상에서 직립 보행하는 인간에 있어서 척추에 하중이 크게 작용하는 것은 피할 수 없는 현실이고 특히 현대인의 복잡한 생활 가운데 잘못된 습관에 기인하여 중력이 집중되면 근육이나 골격, 인대, 추간 디스크 등에 무리한 부담을 주게 되어 척추신경을 비롯한 자율신경 및 그 장기들에 이르기까지 광범위한 척추 문제를 일으키게 된다.
근래 들어 현대인들에게 빈번하게 발생하는 질병중의 하나가 디스크로 인한 요통(腰痛)과, 어깨와 팔등의 무리한 움직임에 의한 견비통(肩臂痛)등이 있다. 이 러한 질병은 현대인들의 운동 부족과 특히 앉아서 컴퓨터등을 사용하는 시간이 많아지면서 더욱 심각하게 대두되고 있는 실정이다.
일반적으로 디스크나 견비통 등의 치료를 위해 가장 널리 이용되고 있는 방법은 척추의 근육을 강화시키는 물리치료나 경혈을 자극하여 혈행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등 인체의 자연 치유력에 의해 치료 효과를 얻을 수 있도록 하는 방법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척추 교정용으로 사용되는 종래의 물리치료장치는 침대 형태를 갖는 것으로 그 부피가 클 뿐 아니라 구성이 복잡하고 가격이 고가여서 가정에서 구비하기에는 어려움이 있었다.
이와 같이, 휴대 가능하도록 소형이면서 효과적인 척추 교정기구가 부재하여 환자는 치료를 미루다가 병원을 찾게 되므로 치료시기를 놓쳐 척추의 변형과 통증을 심화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물리치료 등에 사용되는 일반적인 타진장치는 출력주파수에 따른 타진동작이 단순하여 그 효과를 극대화할 수 없었으며, 보다 다양한 프로그램에 의한 타진동작이 구현되는 타진장치가 요구되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휴대 가능한 소형이면서 반복적인 타진동작으로 척추교정 및 각종 물리치료에 효과적인 척추 교정용 타진장치를 제공하고자 함에 본 고안의 목적이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척추 교정용 타진장치는 다양한 형태의 주파수 출력 패턴에 따른 타진동작으로 척추교정 및 물리치료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는 척추 교정용 타진장치를 제공하고자 함에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이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 본 고안은 신체의 특정 부위에 반복적으로 물리적인 힘을 가하는 것으로, 전원공급시 전자기력을 형성하는 솔레노이드 및 탄성력을 제공하는 스프링에 의해 타진봉이 축방향으로 왕복운동을 하는 타진부와; 상기 타진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것으로, 다양한 동작 패턴의 출력주파수를 제공하는 컨트롤러와; 상기 타진부와 컨트롤러 사이를 전기적으로 연결하여 동작 제어신호를 전달하는 전선;을 포함하는 것으로, 상기 컨트롤러에서 출력되는 주파수 패턴은 펄스신호의 수차례 연속발진과 휴식이 일정한 시간 간격으로 반복되는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의 타진부는, 각 구성요소를 수용하는 외형에 해당하는 것으로 손잡이를 형성하는 몸체와; 상기 몸체 내측에 수용되며 전원공급시 전자기력 을 형성하는 솔레노이드와; 상기 솔레노이드 내측을 관통하여 왕복운동을 하는 것으로, 솔레노이드의 전자기력 형성시 어느 일측으로 이동하는 타진봉과; 상기 타진봉을 밀어낼 수 있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것으로, 솔레노이드의 전자기력에 의해 타진봉이 이동하는 힘의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하는 제1스프링과; 상기 타진봉에서 외부로 노출된 일측 단부에 형성되는 것으로, 완충효과를 갖는 고무소재의 헤드팁을 포함하며 교체가능한 구조의 헤드부와; 상기 타진봉의 내측에 수용된 일측 단부에 형성되는 것으로, 타진봉과 제1스프링과의 간격조절로 타진 강도를 조절하는 길이조절부와; 상기 몸체의 손잡이에 형성되는 것으로 솔레노이드측으로 전달되는 동작 전원의 공급 여부를 결정하는 동작스위치;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컨트롤러는, 다수의 동작제어 버튼을 구비한 입력부와; 상기 입력부를 통해 설정된 현재 상태값을 시각적으로 표시하는 표시부와; 주파수의 발진기능 및 컨트롤러의 전체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와; 컨트롤러를 구성하는 각 회로부에 동작전원을 인가하는 저전압정류회로와; 타진부의 솔레노이드에 동작전원을 인가하는 고전압반파정류회로와; 제어부로부터 전달된 출력 제어신호를 빛으로 변환하여 출력드라이브측으로 전달하는 포토커플러와; 포토커플러를 통해 전달된 출력 제어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제어신호의 펄스값에 따라 타진부의 솔레노이드 동작을 제어하는 출력드라이브;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의 입력부는, 전체 전원의 공급여부를 결정하는 전원버튼과; 출력 주파수 값의 조절로 타진 속도를 제어하는 속도조절버튼과; 출력 전압의 조절로 타진 강도를 제어하는 강도조절버튼과; 출력 주파수의 패턴을 변경하는 출력패턴변경버튼과; 타진부의 동작스위치를 누르지 않아도 자동으로 동작하도록 하는 자동동작버튼과; 컨트롤러의 동작 설정이 완료되고 출력 준비중임을 나타내는 것으로, 버튼이 눌려서 시작상태(on)가 되었을 경우 출력주파수 및 동작 전원을 타진부로 전달하는 준비버튼;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른 척추 교정용 타진장치에 의하면, 휴대 가능하도록 소형이면서 사용이 간편한 구성으로 각 가정에서 척추교정 및 물리치료에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출력되는 주파수 패턴이 수회 연속출력과 휴식이 반복되는 리듬감을 갖는 것으로 타진효과를 향상시킨 효과도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고안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척추 교정용 타진장치에 대한 전체 사시도를 나타낸 것으로,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척추 교정용 타진장치는 신체의 특정 부위에 반복적으로 물리적인 힘을 가하는 타진부(100)와, 상기 타진부(100)의 동작을 제어하는 컨트롤러(200)를 포함하는 것으로, 상기 타진부(100)와 컨트롤러(200) 사이는 전선(300)으로 연결되어 전기적 제어신호를 전달 한다.
타진부(100)에 대한 상세한 구성은 다음과 같다.
도 2는 척추 교정용 타진장치에서 타진부를 도시한 정면도이며, 도 3은 척추 교정용 타진장치의 타진부 내부를 도시한 것으로 길이조절부의 동작을 도시한 사용상태도이며, 도 4는 척추 교정용 타진장치의 타진부 내부를 도시한 것으로 타진봉의 왕복운동 동작을 도시한 사용상태도이다.
도 2 내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타진부(100)는 척추 부위를 포함한 신체의 특정 부위를 반복적으로 타진하기 위해 적용되는 것으로, 몸체(110)와, 솔레노이드(120)와, 타진봉(130)과, 헤드부(140)와, 제1스프링(150) 및 제2스프링(160)과, 길이조절부(170)와, 동작스위치(18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에서 몸체(110)는 타진부(100)의 각 구성요소를 수용하고 있는 외형에 해당하는 것으로, 상부측에는 솔레노이드(120)와, 타진봉(130)과, 제1스프링(150) 및 제2스프링(160)이 수용된 구성을 갖으며, 타진봉(130)의 일단부가 외부로 노출된 형상을 갖는다. 또한, 하부측에는 사용자의 편의를 위해 손잡이(111)를 형성하되 손잡이(111)의 일측에는 솔레노이드(120)에 동작신호를 인가하는 동작스위치(180)가 포함된 구성을 갖는다.
상기에서 솔레노이드(120)는 통상적으로 알려진 바와 같이 다수의 코일이 권취된 구성으로 전원공급시 전자기력을 형성하며, 솔레노이드(120) 내측을 관통하는 타진봉(130)은 전자기력 형성에 따라 어느 일측으로 움직이는 구성을 갖는 것이다.
상기에서 타진봉(130)은 상술한 바와 같이 솔레노이드(120)의 내측을 관통하여 왕복운동을 하는 것으로, 솔레노이드(120)의 전자기력에 대응하기 위하여 중심부위는 금속부재로 형성되며, 몸체(110) 외부로 노출된 타진봉(130)의 일단부는 헤드부(140)가 장착되고 또 다른 단부는 길이조절부(170)가 연결된 구성을 갖는다.
상기에서 헤드부(140)는 타진봉(130)의 왕복운동에 따른 타진동작시 환자의 증상에 따라 정확한 부위에 힘을 전달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타진봉(130)의 일단부에 연결되며 환자의 치료부위 및 증상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헤드부(140)에 있어서 신체와 직접 맞닿는 부위는 고무소재로 이루어진 헤드팁(141)을 형성하여 피부 표면에 전달되는 충격은 완충하면서 그 진동은 피부 깊숙이 전달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에서 제1스프링(150)은 타진봉(130)을 몸체(110)로부터 밀어내는 탄성력을 제공하는 것으로, 전원공급시 전자기력이 형성된 솔레노이드(120)로부터 일측으로 이탈된 타진봉(130)을 다시 솔레노이드(120)측으로 밀어내는 탄성력을 제공함으로써 타진봉(130)의 왕복운동이 형성되는 것이다.
상기에서 제2스프링(160) 및 길이조절부(170)는 타진 강도를 조절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축의 외주연에 숫나사를 형성한 길이조절부(170)는 암나사가 형성된 타진봉(130)측에 축방향으로 결합하되 길이조절부(170)의 회전 수에 대응하여 체결부위의 길이 조절이 가능한 것이다.
즉, 길이조절부(170)의 회전시 길이조절부(170)와 타진봉(130)의 체결부위가 좁아지거나 늘어나면서 타진봉(130)의 노출된 부위 역시 그 길이가 변동되는 것이 며, 이때 몸체(110) 및 타진봉(130) 사이에서 양단이 고정된 제1스프링(150)의 길이도 함께 조절되어 제1스프링(150)의 탄성력을 증가 또는 감소시키는 것으로 타진봉(130)의 타진 강도를 조절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에서 동작스위치(180)는 솔레노이드(120)측으로 전달되는 동작 전원의 공급 여부를 결정하는 스위칭수단으로, 사용자에 의해 타진 동작의 시작과 정지 신호를 전달하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타진부(100)의 전체적인 동작은 다음과 같다.
먼저, 컨트롤러(200)로 부터 동작 제어신호가 인가되면 사용자는 타진부(100)의 동작 여부를 동작스위치(180)의 조작으로 결정하며, 동작스위치에 의해 시작(on) 신호가 전달되면 솔레노이드(120)에 동작전원이 인가됨으로 발생한 전자기력에 의해 타진봉(130)은 일측으로 이동하며, 이 과정에서 수축된 제1스프링(150)은 탄성력에 의해 타진봉(130)을 다시 밀어내는 과정이 수행됨에 따라 타진봉(130)은 직선 왕복운동을 하는 것이다.
또한, 길이조절부(170)의 회전으로 몸체(110) 외부로 노출된 타진봉(130)의 길이가 조절됨과 더불어 제1스프링(150)의 길이도 함께 조절되어 탄성력을 증가 또는 감소시킬 수 있으며, 그에 따른 타진 강도를 조절할 수 있는 것이다.
컨트롤러(200)에 대한 상세한 구성은 다음과 같다.
컨트롤러(200)는 타진부(100)의 동작을 제어하는 것으로, 타진속도와 타진강 도 및 다양한 패턴에 따른 타진동작 등을 제어하는 것이다.
도 5는 척추 교정용 타진장치에서 컨트롤러를 도시한 정면도이며, 도 6은 척추 교정용 타진장치에서 컨트롤러를 도시한 배면도이며, 도 7은 척추 교정용 타진장치에서 컨트롤러 구성에 대한 블록도이며, 도 8은 척추 교정용 타진장치에서 컨트롤러의 출력패턴변경버튼을 눌렀을 경우 변화되는 주파수 출력 패턴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5 및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컨트롤러(200)의 외형은 박스형태의 하우징의 정면 및 배면부에 다수의 동작제어 버튼을 구비한 입력부(210)와, 상기의 입력부(210)를 통해 설정된 상태값을 표시하는 표시부(220)가 형성된 것으로 사용자가 시각적으로 현재 설정된 동작 상태를 확인하며 타진부(10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는 것이다.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컨트롤러(200)의 회로 구성은, 입력부(210)와, 표시부(220)와, 제어부(230)와, 저전압정류회로(240)와, 고전압반파정류회로(250)와, 포토커플러(260)와, 출력드라이브(27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에서 입력부(210)는 타진부(100)의 동작 상태를 설정하기 위해 다수의 입력버튼을 구비한 것으로, 전체 전원의 공급여부를 결정하는 전원버튼(211)과, 출력 주파수의 조절로 타진 속도를 제어하는 속도조절버튼(212)과, 출력 전압의 조절로 타진 강도를 제어하는 강도조절버튼(213)과, 출력 주파수의 패턴을 변경하는 출력패턴변경버튼(214)과, 타진부(100)의 동작스위치(180)를 누르지 않아도 자동으로 동작하도록 하는 자동동작버튼(215)과, 컨트롤러(200)의 동작 설정이 완료되고 출 력 준비중임을 나타내는 것으로, 버튼이 눌려서 시작상태(on)가 되었을 경우 출력주파수 및 동작 전원을 타진부(100)로 전달하는 준비버튼(216)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에서 출력패턴변경버튼(214)은 제어부(230)에서 발진되는 주파수의 출력 패턴을 변경하는 것으로, 출력패턴변경버튼(214)이 동작상태(on)가 되면 일정한 시간 간격으로 1회씩 출력되는 주파수 출력 패턴을 일정한 시간 간격으로 3회씩 출력되는 주파수 출력 패턴으로 변경하는 것이다. 도 8은 출력패턴변경버튼(214)의 조작 여부에 따라 변경되는 주파수 출력 패턴을 도시한 예시도로서, 신체에 전달되는 타진효과를 더욱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상기에서 표시부(220)는 컨트롤러(200)의 현재 설정값을 시각적으로 전달하기 위한 것으로, 버튼의 on/off 상태를 나타내기 위한 다수의 LED(221) 및 설정된 주파수 값을 수치로 표현하기 위한 7-segment LED(222) 등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에서 제어부(230)는 주파수의 발진기능과, 입력된 신호값을 판단하여 표시부(220) 및 포토커플러(250)측에 출력신호를 전달하는 등 컨트롤러(200)를 구성하는 각 구성부의 동작 제어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 바람직하게는 마이크로프로세서가 적용된다.
상기에서 저전압정류회로(240)는 컨트롤러(200)를 구성하는 각 회로부에 동작전원을 인가하는 것으로, 바람직하게는 5V의 직류전원을 각 회로부에 공급하는 것이다.
상기에서 고전압반파정류회로(250)는 타진부(100)측의 솔레노이드(120)에 동 작전원을 인가하는 것으로, 바람직하게는 220V의 교류전원을 공급하는 것이다.
상기에서 포토커플러(260)는 전기신호를 빛으로 결합시키는 것으로, 컨트롤러(200)를 구성하는 회로에 있어서 저전압과 고전압을 분리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제어부(230)를 통해 생성된 5V, 1~9Hz의 주파수 범위에 해당하는 출력 제어신호를 이용해 220V의 교류전원으로 동작하는 솔레노이드(120)를 제어함에 있어서 저전압회로와 고전압회로 상호간을 절연함과 동시에 출력 제어신호를 빛으로 변환하여 출력드라이브(270)측으로 전달하는 것이다.
상기에서 출력드라이브(270)는 포토커플러(260)를 통해 전달된 출력 제어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제어신호의 펄스값에 따라 타진부(100)의 솔레노이드(120)의 동작을 제어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라면 하기의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고안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고안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는 것이다.
도 1은 척추 교정용 타진장치에 대한 전체 사시도이며,
도 2는 척추 교정용 타진장치에서 타진부를 도시한 정면도이며,
도 3은 척추 교정용 타진장치에서 타진부 내부를 도시한 것으로 길이조절부의 동작을 도시한 사용상태도이며,
도 4는 척추 교정용 타진장치의 타진부 내부를 도시한 것으로 타진봉의 왕복운동 동작을 도시한 사용상태도이며,
도 5는 척추 교정용 타진장치에서 컨트롤러를 도시한 정면도이며,
도 6은 척추 교정용 타진장치에서 컨트롤러를 도시한 배면도이며,
도 7은 척추 교정용 타진장치에서 컨트롤러 구성에 대한 블록도이며,
도 8은 척추 교정용 타진장치에서 컨트롤러의 출력패턴변경버튼을 눌렀을 경우 변화되는 주파수 출력 패턴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타진부 110 : 몸체
111 : 손잡이 120 : 솔레노이드
130 : 타진봉 140 : 헤드부
141 : 헤드팁 150 : 제1스프링
160 : 제2스프링 170 : 길이조절부
180 : 동작스위치 200 : 컨트롤러
210 : 입력부 211 : 전원버튼
212 : 속도조절버튼 213 : 강도조절버튼
214 : 출력패턴변경버튼 215 : 자동동작버튼
216 : 준비버튼 220 : 표시부
221 : LED 222 : 7-segment LED
230 : 제어부 240 : 저전압정류회로
250 : 고전압정류회로 260 : 포토커플러
270 : 출력드라이브 300 : 전선

Claims (4)

  1. 신체의 특정 부위에 반복적으로 물리적인 힘을 가하는 것으로, 전원공급시 전자기력을 형성하는 솔레노이드 및 탄성력을 제공하는 스프링에 의해 타진봉이 축방향으로 왕복운동을 하는 타진부(100)와;
    상기 타진부(100)의 동작을 제어하는 것으로, 다양한 동작 패턴의 출력주파수를 제공하는 컨트롤러(200)와;
    상기 타진부(100)와 컨트롤러(200) 사이를 전기적으로 연결하여 동작 제어신호를 전달하는 전선(300);을 포함하는 것으로,
    상기 컨트롤러(200)에서 출력되는 주파수 패턴은 펄스신호의 수차례 연속발진과 휴식이 일정한 시간 간격으로 반복되는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척추 교정용 타진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의 타진부(100)는,
    각 구성요소를 수용하는 외형에 해당하는 것으로 손잡이(111)를 형성하는 몸체(110)와;
    상기 몸체(110) 내측에 수용되며 전원공급시 전자기력을 형성하는 솔레노이드(120)와;
    상기 솔레노이드(120) 내측을 관통하여 왕복운동을 하는 것으로, 솔레노이 드(120)의 전자기력 형성시 어느 일측으로 이동하는 타진봉(130)과;
    상기 타진봉(130)을 밀어낼 수 있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것으로, 솔레노이드(120)의 전자기력에 의해 타진봉(130)이 이동하는 힘의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하는 제1스프링(150)과;
    상기 타진봉(130)에서 외부로 노출된 일측 단부에 형성되는 것으로, 완충효과를 갖는 고무소재의 헤드팁(141)을 포함하며 교체가능한 구조의 헤드부(140)와;
    상기 타진봉(130)의 내측에 수용된 일측 단부에 형성되는 것으로, 타진봉(130)과 제1스프링(150)과의 간격조절로 타진 강도를 조절하는 길이조절부(170)와;
    상기 몸체(110)의 손잡이(111)에 형성되는 것으로 솔레노이드(120)측으로 전달되는 동작 전원의 공급 여부를 결정하는 동작스위치(18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척추 교정용 타진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200)는,
    다수의 동작제어 버튼을 구비한 입력부(210)와;
    상기 입력부(210)를 통해 설정된 현재 상태값을 시각적으로 표시하는 표시부(220)와;
    주파수의 발진기능 및 컨트롤러(200)의 전체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230)와;
    컨트롤러(200)를 구성하는 각 회로부에 동작전원을 인가하는 저전압정류회로(240)와;
    타진부(100)의 솔레노이드(120)에 동작전원을 인가하는 고전압반파정류회로(250)와;
    제어부(130)로부터 전달된 출력 제어신호를 빛으로 변환하여 출력드라이브(270)측으로 전달하는 포토커플러(260)와;
    포토커플러(260)를 통해 전달된 출력 제어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제어신호의 펄스값에 따라 타진부(100)의 솔레노이드(120) 동작을 제어하는 출력드라이브(270);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척추 교정용 타진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의 입력부(210)는,
    전체 전원의 공급여부를 결정하는 전원버튼(211)과;
    출력 주파수 값의 조절로 타진 속도를 제어하는 속도조절버튼(212)과;
    출력 전압의 조절로 타진 강도를 제어하는 강도조절버튼(213)과;
    출력 주파수의 패턴을 변경하는 출력패턴변경버튼(214)과;
    타진부(100)의 동작스위치(180)를 누르지 않아도 자동으로 동작하도록 하는 자동동작버튼(215)과;
    컨트롤러(200)의 동작 설정이 완료되고 출력 준비중임을 나타내는 것으로, 버튼이 눌려서 시작상태(on)가 되었을 경우 출력주파수 및 동작 전원을 타진 부(100)로 전달하는 준비버튼(216);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척추 교정용 타진장치.
KR2020080001416U 2008-01-30 2008-01-30 척추 교정용 타진장치 KR20090007870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01416U KR20090007870U (ko) 2008-01-30 2008-01-30 척추 교정용 타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01416U KR20090007870U (ko) 2008-01-30 2008-01-30 척추 교정용 타진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7870U true KR20090007870U (ko) 2009-08-04

Family

ID=412943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80001416U KR20090007870U (ko) 2008-01-30 2008-01-30 척추 교정용 타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007870U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670782A (zh) * 2018-05-04 2018-10-19 郑州飞龙医疗设备有限公司 一种脉冲智能治疗枪
KR20210157198A (ko) * 2020-06-19 2021-12-28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미용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670782A (zh) * 2018-05-04 2018-10-19 郑州飞龙医疗设备有限公司 一种脉冲智能治疗枪
KR20210157198A (ko) * 2020-06-19 2021-12-28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미용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083581B2 (en) Multi-functional massager
EP3043763B1 (en) A stimulation and treatment device
KR20180075868A (ko) 키성장 자세교정기
KR101823227B1 (ko) 경추 보조장치
KR101675762B1 (ko) 큐브형 척추 교정용 마사지기
CN106691826A (zh) 一种全方位按摩床
KR101699852B1 (ko) 신체 마사지기
JP6870799B2 (ja) 電気刺激装置
KR20180057794A (ko) 어깨 견착형 마사지기
KR20090007870U (ko) 척추 교정용 타진장치
KR101717894B1 (ko) 건 타입 전극부를 구비한 중주파 치료기
CN104207934B (zh) 一种皮肤针
KR20040052970A (ko) 다기능 통합 물리치료기
US20220184395A1 (en) Current stimulation apparatus
KR100310305B1 (ko) 휴대형 전기 자극기
KR100782344B1 (ko) 저주파 치료겸용 휴대용 마사지 치료기
CN203802771U (zh) 一种按摩头装置
KR101396191B1 (ko) 스캐닝 방식의 저주파 자극기
CN209316812U (zh) 一种新型的美容电疗仪
KR200359450Y1 (ko) 다기능 통합 물리치료기
KR100978414B1 (ko) 마사지용 건강 지압기
KR20030040588A (ko) 마사지 장치 및 그의 제어방법
CN109200466A (zh) 手部电子脉冲按摩器
KR200274215Y1 (ko) 지압 맛사지기
KR100400787B1 (ko) 척추 치료기 제어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