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06532U - 시편용 핀셋 - Google Patents

시편용 핀셋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06532U
KR20090006532U KR2020070020761U KR20070020761U KR20090006532U KR 20090006532 U KR20090006532 U KR 20090006532U KR 2020070020761 U KR2020070020761 U KR 2020070020761U KR 20070020761 U KR20070020761 U KR 20070020761U KR 20090006532 U KR20090006532 U KR 20090006532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weezers
specimen
present
pick
stab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7002076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상우
이영환
Original Assignee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202007002076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06532U/ko
Publication of KR2009000653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06532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9/00Supporting devices; Holding devices
    • B01L9/50Clamping means, to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BTOOLS OR BENCH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STENING, CONNECTING, DISENGAGING OR HOLDING
    • B25B9/00Hand-held gripping tools other than those covered by group B25B7/00
    • B25B9/02Hand-held gripping tools other than those covered by group B25B7/00 without sliding or pivotal connections, e.g. tweezers, onepiece to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linical Laboratory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Container, Conveyance, Adherence, Positioning, Of Wafer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글라스나 웨이퍼 가공을 통하여 시편을 제작하거나 제작한 후 시편을 시험하는 경우, 시편을 안정적으로 집어올리고 이동시키는 작업이 가능한 핀셋에 관한 것으로,
그 구성상의 특징은 눕혀져 있는 시편의 바닥 부분을 받쳐 집어올리는 것이 가능한 핀셋 말단부 날(14)를 이용하여 시편(15)을 집어올려 이동할 경우, 핀셋 말단부 날(14)을 이용하여 시편 표면의 접촉을 최소한으로 유지한 채 시편(15)을 받쳐주며, 핀셋 말단부(13)를 이용하여 시편(15)의 측면에 최소한의 힘을 가지고 균형을 유지하여 안정적으로 시편(15)을 집어올리고 이동하는 것이 가능한 시편용 핀셋이다.
핀셋, 퍼셉, 트위저, 시편, 웨이퍼, 글라스

Description

시편용 핀셋 {Tweezers for samples}
본 고안은 시편의 표면 손상을 최소화하기 위한 시편용 핀셋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글라스나 웨이퍼의 시편을 집어올리고 이동시키기 위해, 표면에 핀셋이 닿는 부위를 최소화하고 측면부분에 최소한의 장력만으로 시편을 잡음으로써 표면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한 핀셋 구조이다.
종래에 일반적으로 시편을 잡기 위하여 사용되어온 핀셋으로는 핀셋 말단 부분이 뾰족한 모양으로 생긴 핀셋이나 테플론이나 바이톤, 플라스틱 계열의 재료로 만들어진 핀셋, 혹은 웨이퍼용 계단형 핀셋이 사용되었다.
상기 뾰족한 말단 모양의 핀셋은 시편을 잡는데 있어 무리한 힘을 가하게 되어 시편이 손상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집어올린 시편의 균형을 유지하기 어려워 시편을 잡고 이동시키는 과정에서 시편을 떨어뜨리기 쉽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 테플론이나 바이톤, 플라스틱 계열의 재료로 만들어진 핀셋은 핀셋으로 인한 시편의 직접적인 손상 방지는 수월하나, 상기 뾰족한 말단 모양의 핀셋과 동일하게 집어올린 시편의 균형을 잡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테플론이나 바이톤, 플라스틱 계열의 재료로 만들어진 핀셋은 정밀한 형태로 만드는 것이 불가능하므로, 세밀한 시편의 조작에는 무리가 있었다. 상기 웨이퍼용 핀셋을 사용할 경우, 시편의 표면이 쉽게 손상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웨이퍼용 핀셋은 눕혀져 있는 시편을 집어 올리는 것이 불가능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시편용 핀셋과 같은 구조의 핀셋을 사용할 경우, 최소한의 힘만으로 시편을 집어올리는 것이 가능하여 시편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으며, 집어올린 상태에서 시편의 균형을 잡기 수월하여 안정적으로 이동할 할 수 있다. 본 고안의 핀셋 말단 구조를 통하여 본 고안의 시편용 핀셋을 통하여 세밀한 시편의 조작과 눕혀져 있는 시편을 집어올리는 것이 수월하다. 본 고안은 글라스나 웨이퍼 가공을 통하여 시편을 제작하거나 제작한 후 시편을 시험하는 경우, 시편을 안정적으로 집어올리고 이동시키는 작업이 가능한 핀 셋을 실험자나 작업자에게 제공한다.
본 고안에 따라 시편용 핀셋을 이용하여 시편을 집어올리고 이동할 경우, 눕혀져 있는 시편을 집어올리는 것이 수월하며, 시편의 표면 손상 또는 무리한 힘을 통한 시편의 손상을 방지한 채 안정적으로 시편을 집어올리고 이동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웨이퍼 혹은 글라스 시편을 다루는 실험자 혹은 작업자에게 편리한 도구로써 이용된다.
이하, 본 고안의 구성과 작용에 대하여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의 시편용 핀셋을 나타내는 평면도로서, 종래의 핀셋과 유사하게 핀셋 지지부(11), 핀셋 몸체(12)와 핀셋 말단부(13)으로 이루어진다. 본 고안의 시편용 핀셋은 핀셋 말단부(13)가 끝부분이 갈수록 점차 넓어져, 안정적으로 시편을 집어올리고 이동하는데 유리하다.
도 2는 본 고안의 시편용 핀셋을 나타내는 측면도로서, 핀셋 말단부(13)의 끝부분에 핀셋과 수직 방향의 날(14)이 부착되어있어, 시편 표면의 손상을 최소화하면서 최소한의 힘으로 시편을 집어올리고 안정적으로 균형을 유지할수 있도록 구성되어있다.
도 3은 본 고안의 시편용 핀셋의 구조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하여 핀셋 몸체(12)와 핀셋 말단부(13)를 핀셋 내부 시점으로 한쪽 부분만 나타낸 사시도이다. 핀셋 말단 부(13)의 끝부분에 부착된 날(14)은 핀셋 만단부(13)에서 돌출된 부분이 0.1 ~ 2 mm이며, 바람직하게는 0.5 mm가 적당하다. 핀셋 말단부 날(14)은 예리한 끝부분으로 이루어져, 눕혀져 있는 시편을 집어올리기 수월하고 시편 표면의 손상을 최소화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시편용 핀셋의 구조는 측면에서 볼때, 좌우 대칭으로 이루어진다.
도 4는 본 고안의 시편용 핀셋을 이용하여 시편(15)을 집어올린 실시예로, 핀셋 말단부(13)를 확대하여 나타낸 측면도이다. 본 고안의 시편용 핀셋을 이용하여 시편(15)을 집어올릴 경우, 핀셋 말단부 날(14)를 이용하여 눕혀져 있는 시편의 바닥 부분을 받쳐 집어올리는 것이 가능하다. 본 고안의 시편용 핀셋을 이용하여 시편(15)을 집어올려 이동할 경우, 핀셋 말단부 날(14)을 이용하여 시편 표면의 접촉을 최소한으로 유지한 채 시편(15)을 받쳐주며, 핀셋 말단부(13)를 이용하여 시편(15)의 측면에 최소한의 힘을 가지고 균형을 유지하여 안정적으로 시편(15)을 집어올리고 이동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고안의 시편용 핀셋을 나타내는 평면도,
도 2는 본 고안의 시편용 핀셋을 나타내는 측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시편용 핀셋의 핀셋 몸체(12)와 핀셋 말단부(13)를 핀셋 내부 시점으로 한쪽 부분만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시편용 핀셋을 이용하여 시편(15)을 집어올린 실시예로, 핀셋 말단부(13)를 확대하여 나타낸 측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핀셋 지지부 12: 핀셋 몸체
13: 핀셋 말단부 14: 핀셋 말단부 날
15: 시편

Claims (2)

  1. 시편을 제작할 때, 혹은 제작할 후 시험하거나 잡을 때 사용하는 핀셋에 있어서, 시편의 측면부분을 집어올리기 용이하도록 핀셋 말단부(13)의 끝부분이 넓은 형태를 가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핀셋.
  2. 시편을 제작할 때, 혹은 제작할 후 시험하거나 잡을 때 사용하는 핀셋에 있어서, 시편의 표면의 손상을 최소화하면서도 눕혀져 있는 시편을 집어올리기 용이하도록, 집어올린 시편의 균형을 잡기가 용이하도록 핀셋 말단부 날(14)의 구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핀셋.
KR2020070020761U 2007-12-26 2007-12-26 시편용 핀셋 KR20090006532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20761U KR20090006532U (ko) 2007-12-26 2007-12-26 시편용 핀셋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20761U KR20090006532U (ko) 2007-12-26 2007-12-26 시편용 핀셋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6532U true KR20090006532U (ko) 2009-07-01

Family

ID=413232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70020761U KR20090006532U (ko) 2007-12-26 2007-12-26 시편용 핀셋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006532U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250113B2 (en) Cell mass measurement and apparatus
US8919840B2 (en) Mechanical gripper for manipulation of micro-sized objects
EP1555676A3 (en) Method of operating a probe microscope
JP4540070B2 (ja) 微小検体回収装置および微小検体回収方法
CN106272671B (zh) 一种用于光纤延迟线的切割装置及利用该切割装置切割光纤延迟线的方法
JP2015526743A5 (ko)
CN109521227A (zh) 一种胶体探针的快速制备方法及应用
JP5950280B2 (ja) 微小物体を空間的に操作するための方法および前記方法を実行するための装置
KR20090006532U (ko) 시편용 핀셋
JP4645912B2 (ja) 生体試料操作方法
EP2480925B1 (en) System for mechanical characterization of materials and biological samples in the sub-millinewton force range
EP1470863B1 (en) Apparatus for trapping micro-object
CN213632901U (zh) 晶圆制样装置
US10054613B2 (en) Scanning probe microscope combined with a device for modifying the surface of an object
Fatikow et al. Automated nanorobotic handling of bio-and nano-materials
KR20210101231A (ko) 크라이오 캐리어
RU2006101285A (ru) Зонд для сканирующего зондового микроскопа и способ его изготовления
US20170358474A1 (en) Wafer Support Device and Method for Removing Lift Pin Therefrom
KR20140041268A (ko) 시편 그립 지그 및 이를 갖는 인장 시험 장치
JP5849331B2 (ja) 微小付着物剥離システムおよび微小付着物剥離方法
JPH04166077A (ja) ゼリー状小物品の移載ハンド
CN110108627A (zh) 一种基于微球透镜的细胞原位观测及操作装置
EP1843188B1 (en) Stabilizer for in vivo examination
KR101953623B1 (ko) 페로브스카이트 박막의 시편 제조방법 및 이를 통해 제조된 박막형 시편을 이용한 시험방법
JP2004144573A (ja) 付着力測定装置及び付着力測定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